KR20050002713A - 미디어 배신 장치, 미디어 배신 방법 및 미디어 배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미디어 배신 장치, 미디어 배신 방법 및 미디어 배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2713A
KR20050002713A KR1020040098087A KR20040098087A KR20050002713A KR 20050002713 A KR20050002713 A KR 20050002713A KR 1020040098087 A KR1020040098087 A KR 1020040098087A KR 20040098087 A KR20040098087 A KR 20040098087A KR 20050002713 A KR20050002713 A KR 20050002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information
content
cli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8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무라고이치
무네츠구도시히코
다다히로유키
하라노리요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2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271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1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vending, access and use of specific services not covered anywhere else in G07F17/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2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un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 H04L65/762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at the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05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enabling multiple viewpoints, e.g.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9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for generating different ver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3Billing, e.g. for subscription services
    • H04N21/25435Billing, e.g. for subscription services involving characteristics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video resolution or the amount of advert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3Billing, e.g. for subscription services
    • H04N21/2547Third Party Billing, e.g. billing of adverti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7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 H04N21/6377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directed to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2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content or source identification data, e.g. Unique Material Identifier [UM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3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by locking or enabling a set of features, e.g. optional functionalities in an executable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3Content authoring using a description language, e.g. 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coding Expert Group [MHEG],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9Creating video summaries, e.g. movie trai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마다 복수의 다른 형태의 미디어를 저장하여, 클라이언트의 배신 요구에 따른 형태의 미디어를 선택하여 배신하도록 하는 것으로,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클라이언트가 요구하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미디어를 클라이언트가 요구하는 형태로 배신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미디어 배신 장치, 미디어 배신 방법 및 미디어 배신 시스템{APPARATUS, METHOD, SYSTEM FOR PROVIDING MEDIA, AND RECORDED MEDIA}
본 발명은, 영상, 음성, 텍스트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휴대단말이나 저장형 방송 단말, 가정용 게이트 웨이 등에 배신하는 미디어 배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일본국 특허 공개 평성 제 10-303986 호 공보「중개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영상, 음성, 텍스트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이하, 컨텐츠라 함)에 대응하는 미디어를 휴대 단말이나 저장형 방송 단말, 가정용 게이트웨이 등의 사용자 단말에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배신하고 있다. 그리고, 미디어 배신자(配信者)는, 배신한 미디어에 대한 과금을 사용자에 대하여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하, 종래의 미디어 배신 장치를 포함하는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 7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1은 종래의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종래의 미디어 배신 시스템은, 미디어 배신 장치인 서버(8800)와 클라이언트 단말(8810)이 네트워크(8820)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서버(8800)에는, 컨텐츠의 오리지널 미디어인 뷰(d8801)와 컨텐츠를 관리하는 정보인 컨텐츠 관리 정보(d8802)를 저장하는 저장부(8801)가 마련되어 있다.
뷰(d8801)는 영상, 음성, 텍스트 등의 데이터이다. 또한, 컨텐츠 관리 정보(d8802)는 뷰(d8801)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또한, 컨텐츠 관리 정보(d8802)는, 도 7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텐츠를 특정하는 정보이며, 컨텐츠의 식별번호인 컨텐츠 ID(8100)와, 컨텐츠명(8101)과, 컨텐츠명(8101)에 대응하는 미디어의 위치 정보인 위치(8102)와, 컨텐츠를 배신했을 때의 요금인 요금 정보(8103)와, 컨텐츠의 시간 정보(8201)의 조합이 복수 저장되어 있다.
또한, 서버(8800)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8802)로부터, 도 73에 도시한, 컨텐츠의 리스트 정보(8200)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8810)에 송신하는 리스트 정보 송신부(8802)가 마련되어 있다. 리스트 정보(8200)는, 도 73으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가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에 필요한 정보이다, 컨텐츠 ID(8100)와, 컨텐츠명(8101)과, 컨텐츠의 시간 정보(8201)와, 컨텐츠의 요금 정보(8103)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8810)에는, 서버(8800)로부터 송신되어 온 리스트 정보(8200)를 수신하는 리스트 정보 수신부(8811)와, 수신한 리스트 정보(8200)를 표시하는 리스트 정보 표시부(881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8810)에는, 리스트 정보(8200)로부터 소망하는 컨텐츠 배신을 요구하는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입력하는 조작 입력부(881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8810)에는, 조작 입력부(8813)로부터 입력된 컨텐츠 ID(8100) 등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서버(8800)에 송신하는 요구 송신부(8814)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서버(8800)에는, 클라이언트 단말(8810)로부터 송신되어 온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컨텐츠 ID)를 수신하여, 컨텐츠명이나, 요금 정보 등을 해석하여, 해석 결과를 출력하는 요구 수신부(880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서버(8800)에는, 요구 수신부(8803)가 해석한 요금 정보에 근거하여, 미디어 송신부(8806)의 미디어 송신 완료에 맞춰,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과금하는 과금부(880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서버(8800)에는,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로부터, 클라이언트의 배신 희망 컨텐츠를 선택하여, 저장부(8801)로부터 이 컨텐츠에 대응하는 미디어(d8801)를 추출(thinning)하는 미디어 선택부(8805)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서버(8800)에는, 미디어 선택부(8805)에서 선택된 미디어(d8801)를 클라이언트 단말(8810)에 송신하는 미디어 송신부(8806)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8810)에는, 송신되어 온 미디어(d8801)를 수신하는 미디어 수신부(8815)와, 수신한 미디어(d8801)를 재생하는 미디어 재생부(8816)가마련되어 있다.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된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 7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4는 종래의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우선, 서버(8800)의 리스트 정보 송신부(8802)가 컨텐츠 관리 정보(d8802)로부터 리스트 정보(8200)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8810)에 송신한다(P8501).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8810)의 리스트 정보 수신부(8811)가 리스트 정보(8200)를 수신하면(P8502), 리스트 정보 표시부(8812)가 리스트 정보(8200)를 표시한다(P8503). 클라이언트는, 이 리스트 정보 표시부(8812)에 표시한 리스트 정보(8200)를 참조하여, 소망하는 컨텐츠를 선택하고, 조작 입력부(8813)로부터 소망하는 컨텐츠의 컨텐츠 ID(8100)를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로서 입력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입력하면(P8504), 요구 송신부(8814)가 이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서버(8800)에 송신한다(P8505).
그리고, 서버(8800)의 요구 수신부(8803)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하면(P8506), 요구 수신부(8803)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로부터 클라이언트가 요구한 컨텐츠명(8101) 및, 이 컨텐츠명(8101)에 대한 요금 정보(8103)를 해석한다.
다음에, 미디어 선택부(8805)가 요구 수신부(8803)가 해석한 컨텐츠명(8101)에 대응하는 뷰(d8801)를 저장부(8801)로부터 선택하여(P8507), 이 선택한 뷰(d8801)를 미디어 송신부(8806)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8810)에 송신한다(P8508). 그리고, 뷰(d8801)의 송신이 종료하면, 과금부(8804)가 컨텐츠 ID(8100)에 대한 요금 정보(8103)에 대응하는 요금을 클라이언트에 과금한다(P8509).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8810)의 미디어 수신부(8815)가 뷰를 수신하면(P8510), 미디어 재생부(8816)가 이 뷰를 재생한다(P8511).
이렇게하여, 클라이언트는 소망하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오리지널의 미디어인 뷰를 배신하여 줄 수 있다. 한쪽, 미디어 배신자도, 배신한 뷰에 대응하는 요금을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과금할 수 있다.
그러나, 클라이언트측으로 송신되어 오는 리스트 정보(8200)에는, 컨텐츠 ID(8100)와, 컨텐츠명(8101)과,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8102)와, 요금 정보(8103)가 포함되어 있을 뿐이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리스트 정보(8200)에 포함되는 이들의 정보로부터 컨텐츠의 미디어(뷰)의 내용을 판단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리스트 정보(8200)에 포함되는 이들의 정보에는, 컨텐츠의 미디어(뷰)가 구체적인 내용에 관한 정보가 없다. 따라서, 클라이언트가 리스트 정보(8200)에 포함되는 정보로부터 컨텐츠의 미디어의 내용을 충분히 판단하는 것은 대단히 어렵다. 즉, 클라이언트는 컨텐츠의 미디어의 내용을 충분히 판단하지 않고, 컨텐츠의 미디어 배신을 요구하게 된다. 이 때문에, 클라이언트가 배신을 요구한 미디어가, 소망하는 미디어와 다를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클라이언트는 이 소망하는 미디어 이외의 미디어 배신에 대하여 요금을 지불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것은, 클라이언트에 있어서는 쓸데없는 지출비가 되기 때문에, 컨텐츠의미디어 배신 요구를 주저하게 된다. 한편, 미디어(컨텐츠) 배신의 서비스 제공 회사에서 보면, 클라이언트가 미디어 배신 요구를 주저함으로써, 미디어 배신 요구가 감소하여, 미디어(컨텐츠) 배신 서비스의 제공에 의한 이익이 증가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클라이언트가 요구하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미디어를 클라이언트가 요구하는 형태로, 또는 다양한 단말 능력이나 네트워크 상황에 적응하는 형태로 미디어를 배신할 수 있는 미디어 배신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컨텐츠 관리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리스트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미디어 배신의 동작 흐름도,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기타 동작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
도 7은 실시예 2에 따른 뷰의 참고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실시예 2에 따른 컨텐츠 관리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실시예 2에 따른 리스트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l0은 실시예 2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
도 12는 실시예 3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
도 14는 실시예 4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
도 16은 실시예 5에 따른 컨텐츠 관리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실시예 5에 따른 리스트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실시예 5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
도 20은 실시예 6에 따른 컨텐츠 관리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실시예 6에 따른 리스트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실시예 6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
도 24는 실시예 7에 따른 컨텐츠 관리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실시예 7에 따른 리스트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실시예 7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
도 28은 실시예 8에 따른 컨텐츠 관리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실시예 8에 따른 리스트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0은 실시예 8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
도 32는 실시예 9에 따른 컨텐츠 관리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3은 실시예 9에 따른 리스트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4는 실시예 9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
도 36은 실시예 10에 따른 컨텐츠 관리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7은 실시예 10에 따른 리스트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
도 39는 실시예 11에 따른 컨텐츠 관리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0은 실시예 11에 따른 리스트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4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
도 44는 실시예 14에 따른 컨텐츠 관리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5는 실시예 14에 따른 리스트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6은 실시예 14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도 4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5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
도 48은 실시예 15에 따른 컨텐츠 관리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9는 실시예 15에 따른 리스트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0은 실시예 15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도 5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6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
도 52는 실시예 16에 따른 컨텐츠 관리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3은 실시예 16에 따른 리스트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7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
도 55는 실시예 17에 따른 사용자 관리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6은 실시예 17에 따른 컨텐츠 관리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7은 실시예 17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도 5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8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
도 59는 실시예 18에 따른 사용자 관리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0은 실시예 18에 따른 컨텐츠 관리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1은 실시예 18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도 6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9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
도 63은 실시예 19에 따른 사용자 관리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4는 실시예 19에 따른 컨텐츠 관리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5는 실시예 19에 따른 과금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6은 실시예 19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도 6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0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
도 68은 실시예 20에 따른 컨텐츠 관리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9는 실시예 20에 따른 과금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0은 실시예 20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도 71은 종래의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
도 72는 종래의 컨텐츠 관리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3은 종래의 리스트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4는 종래의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미디어 선택부 103 : 미디어 송신부
104 : 요구 수신부 105 : 요구 해석부
106 : 과금부 107 : 리스트 정보
111 : 미디어 수신부 112 : 미디어 재생부
113 : 조작 입력부 115 : 요구 송신부
116 : 리스트 정보 수신부 117 : 리스트 정보 표시부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컨텐츠마다 복수의 다른 형태의 미디어 저장하여, 클라이언트의 배신 요구에 따른 형태의 미디어를 선택하여 배신하도록 했다.
이것에 의해,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다른 형태의 미디어로부터 클라이언트의 소망하는 형태의 미디어를 선택하여 배신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는, 소망하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미디어를 소망하는 형태로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및 기타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이하의 설명에 대한 고찰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미디어 배신 장치를 포함하는 미디어 배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실시예 1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은, 컨텐츠 배신 서비스를 실행하는 미디어 배신자(공급자 : provider)의 서버(100)와 휴대 단말이나 저장형 방송 단말, 가정용 게이트웨이 등의 클라이언트 단말(110)이, 공중 네트워크, 휴대 통신망 등의 네트워크(120)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즉, 미디어 배신 장치인 서버(100)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네트워크(120)를 거쳐서 미디어를 송신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서버(100)의 저장부(101)에는, 컨텐츠마다 다른 형태의 미디어가 저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저장부(101)에는, 다른 형태의 미디어로서는 오리지널의 미디어인 뷰(d101)와, 뷰(d101)에 관련되는 정보인 컨텐츠의 프리뷰(요약 영상)(d102)가 저장되어 있다.
뷰(d101)는 영상, 음성, 텍스트 등의 AV 스트림이다. 또한, 프리뷰(d102)는, 뷰(d101)와는 별도로 준비하는 AV 스트림이나 대표 정지 화상 등이며, 뷰의 특징 부분의 영상을 편집한 미디어이다. 뷰(d101)및 프리뷰(d102)는, MPEG-1, MPEG-2, MPEG-4, DV, JPEG, 또는 GIF 등의 데이터 형식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컨텐츠 관리 정보(dl11)는, 컨텐츠 그룹을, 컨텐츠마다, 뷰(d101) 및프리뷰(d102)로부터 추출한 일부 정보와, 요금 정보(후술하는, 과금부가 이 요금 정보를 이용하여 과금함) 등을 합쳐서 관리하는 메타 데이터이다. 컨텐츠 관리 정보(d111)는, 컨텐츠 ID를 키(key)로 하여 뷰(d101) 및 프리뷰(d102)로부터 추출한 일부 정보와, 요금 정보 등을 합쳐서 관리한다. 또, 컨텐츠 관리 정보(d111)는, 미리 작성하여 저장해 두어도 좋고, 서버(100)가 뷰(d101), 프리뷰(d102)에 요금 정보를 합쳐서 생성해도 좋다.
또한, 컨텐츠 관리 정보(d111)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텐츠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인 컨텐츠 ID(200)와, 컨텐츠명(201)과, 컨텐츠 ID(200)에 대응하는 뷰(202)의 위치 정보인 위치(204)와,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인 시간 정보(301)와, 컨텐츠명(201)의 뷰(202)를 배신했을 때의 요금(금액) 정보(205)와, 컨텐츠 ID(200)에 대응하는 프리뷰(203)의 위치 정보(206)와, 프리뷰(203)의 재생 시간 정보인 시간 정보(302)의 조합이 복수 저장되어 있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컨텐츠 관리 정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 당연히 컨텐츠명(201)도 컨텐츠를 특정하는 정보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111)로부터, 도 3에 도시하는, 컨텐츠의 리스트 정보(300)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전자메일이나 HTTP로 송신하는 리스트 정보 송신부(107)가 마련되어 있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리스트 정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리스트 정보(300)는,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가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에 필요한 정보인, 컨텐츠 ID(200)와, 컨텐츠명(201)과, 뷰의시간 정보(301)와, 뷰를 배신한 경우의 요금인 요금 정보(205)와, 컨텐츠 ID(200)에 대응하는 프리뷰의 시간 정보(302)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또, 리스트 정보(300)에, 컨텐츠의 내용을 알게 하기 위한 정지 화상을 보내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컨텐츠의 유형을 적어도 하나 이상 미리 서버(100)에 등록하고, 서버(100)는 클라이언트가 등록한 유형에 대응하는 리스트 정보(300)에 생성하여, 정기적으로 전자메일 등으로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형태이더라도 좋다. 이 형태에서는, 클라이언트는 소망 유형에 관한 컨텐츠의 리스트를 얻을 수 있다. 이 결과, 컨텐츠의 검색이 용이하게 되어, 확실히 소망 컨텐츠의 미디어 배신을 받을 수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110)은, 서버(100)로부터 송신되어 온 리스트 정보(300)를 수신하는 리스트 정보 수신부(116)와, 수신한 리스트 정보(300)를 표시하는 리스트 정보 표시부(117)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10)에는, 리스트 정보(300)로부터 소망하는 컨텐츠의 뷰 배신이나 프리뷰 배신을 요구하는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입력하는 조작 입력부(11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10)에는,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입력된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서버(100)에 송신하는 요구 송신부(115)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서버(100)에는, 클라이언트 단말(110)로부터 송신되어 온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하는 요구 수신부(10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서버(100)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111)를 참조하여, 수신한 컨텐츠배신 요구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ID(200), 컨텐츠명(201), 뷰(202)의 위치 정보(204), 요금 정보(205), 프리뷰(203)의 위치 정보(206) 등의 정보를 해석하는 요구 해석부(105)가 마련되어 있다. 요구 해석부(105)는,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가, 소정 컨텐츠 ID(200)인지, 그 컨텐츠의 뷰 배신 요구 또는 프리뷰 배신 요구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요구 해석부(105)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가 뷰 배신 요구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111)를 참조하여, 뷰(202)의 위치 정보(204) 및, 그 요금 정보(205)를 해석하여, 미디어 선택부(102) 및 과금부(106)에 해석 결과를 송신한다.
한편, 요구 해석부(105)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가 프리뷰 배신 요구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111)를 참조해서, 미디어의 프리뷰(203)의 위치 정보(206)를 해석하여, 미디어 선택부(102)에 해석 결과를 송신한다.
또한, 서버(100)에는, 요구 해석부(105)가 해석한 요금 정보에 근거하여, 미디어 송신부(103)의 송신 완료에 맞춰,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과금하는 과금부(106)가 마련되어 있다. 과금부(106)는 과금하는 요금을 클라이언트의 구좌로부터 인출하는 처리를 한다.
또한, 서버(100)에는, 요구 해석부(105)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해석한 결과로부터, 클라이언트의 배신 희망 컨텐츠의 뷰(d101) 또는 프리뷰(d102)를 선택하여, 저장부(101)로부터 추출하는 미디어 선택부(10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서버(100)에는, 미디어 선택부(102)로 선택된 뷰(d101) 또는 프리뷰(d102)를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송신하는 미디어 송신부(103)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110)에는, 송신되어 온 뷰(d101) 또는 프리뷰(d102)를 수신하는 미디어 수신부(111)와, 수신한 뷰(dl01) 또는 프리뷰(d102)를 재생하는 미디어 재생부(112)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 실시예 1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미디어 배신의 동작 흐름도이다.
우선, 서버(100)의 리스트 정보 송신부(107)가 컨텐츠 관리 정보(d111)로부터 리스트 정보(300)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송신한다(P401).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110)의 리스트 정보 수신부(116)가 이 리스트 정보(300)를 수신하면(P402), 리스트 정보 표시부(117)가 리스트 정보(300)를 표시한다(P403). 다음에, 클라이언트가, 이 리스트 정보 표시부(117)에 표시한 리스트 정보(300)를 참조해서, 소망하는 컨텐츠명(201)을 선택하여,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소망하는 컨텐츠명(201)에 대응하는 컨텐츠 ID(200)와, 컨텐츠명(201)에 대응하는 프리뷰를 요구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입력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가, 이 프리뷰를 요구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의 입력이 종료하면(P404), 요구 송신부(115)가 프리뷰를 요구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서버(100)에 송신한다(P405). 또,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입력하는 컨텐츠를 특정하는 정보는, 컨텐츠 ID(200)이더라도, 컨텐츠명(201)이더라도 좋다.
한편, 서버(100)의 요구 수신부(104)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하면(P406), 요구 해석부(105)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해석하여(P407), 프리뷰 배신을 요구하고 있는 것인가, 뷰 배신 요구하고 있는 것인가를 판단한다(P408).
이 단계는, 클라이언트가 프리뷰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가, 프리뷰 배신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미디어 선택부(102)가 컨텐츠 관리 정보(d111)를 참조하여 클라이언트가 요구하고 있는 컨텐츠명(201)의 프리뷰(203)의 위치(206)를 추출한다. 그리고, 미디어 선택부(102)가 추출한 위치(206)에 위치하는 프리뷰(d102)를 저장부(101)로부터 선택한다(P409). 그리고, 미디어 송신부(103)가, 이 선택한 프리뷰(d102)를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송신한다(P41O). 단, 본 실시예에서는, 프리뷰는 무료로 되어있기 때문에, 과금부(106)는, 프리뷰 송신시에는 과금을 실행하지 않는다.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110)은, 미디어 수신부(111)가 송신되어 온 정보가, 뷰(d101)인지 프리뷰(d102)인지를 판단한다(P411). 이 경우에는, 송신되어 온 정보가 프리뷰(d102)이기 때문에, 미디어 재생부(112)가 프리뷰(d102)를 재생한다(P412).
그리고, 클라이언트는, 재생된 프리뷰의 내용을 확인하여, 이 프리뷰가 소망하는 컨텐츠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이 컨텐츠의 뷰 배신을 요구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입력한다. 그리고,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뷰 배신을 요구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의 입력이 종료하면(P404), 이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서버(100)에 송신한다(P405).
한편, 서버(100)의 요구 수신부(104)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하면(P406), 요구 해석부(105)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해석한다(P407). 그리고,요구 해석부(105)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해석하여(P407), 프리뷰 배신을 요구하고 있는 것인가, 뷰 배신 요구하고 있는 것인가를 판단한다(P408).
이 경우에는,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가 뷰 배신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미디어 선택부(102)가 요구 해석부(105)가 해석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뷰(d101)를 저장부(101)로부터 선택하여(P413), 이 선택한 뷰(d101)를 미디어 송신부(103)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송신한다(P414).
그리고, 뷰의 송신 완료에 맞춰 요구 해석부(105)는, 클라이언트가 요구한 뷰에 대한 요금을 해석한다. 그리고, 과금부(106)가 이 뷰에 대한 요금을 클라이언트에 과금한다(P415).
또, 본 실시예에서는, 과금부(106)는,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미디어를 송신했을 때에 과금하고 있지만, 클라이언트로부터의 미디어의 배신 요구에 대하여 과금, 또는, 클라이언트가 미디어를 완전히 수신했을 때에 과금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110)의 미디어 수신부(111)가 뷰를 수신하면(P411), 미디어 재생부(112)가 이 뷰를 재생한다(P416).
이와 같이 실시예 1에 의하면, 서버(100)가 뷰(dl01)와 무료인 프리뷰(d102)의 두 가지의 미디어를 클라이언트에 배신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컨텐츠의 뷰(d101)를 배신하기 전에 프리뷰(d102)를 무료로 배신할 수 있다. 이 결과, 클라이언트가 과금의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프리뷰(d102)를 확인하는 것으로 뷰(d101)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는 뷰(d101)의 내용을 파악한 후에 뷰 배신을 요구할 수 있다. 이 결과, 클라이언트는, 여분의지불을 하지 않고, 소망하는 뷰를 확실히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의 의사에 반대되는 수신을 하고, 더욱이 과금되는 것과 같은 사태를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클라이언트가 미디어 배신 요구를 회피하지 않고 실행하게 된다. 이 결과, 미디어 배신자측의 수입도 불어나, 미디어 배신자의 경영도 잘 되게 된다.
또한, 실시예 1에 의하면, 클라이언트는, 복수의 뷰, 또는 뷰와 프리뷰의 배신 요구를 한 번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의 입력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클라이언트의 배신 요구가 간단해진다.
또한, 실시예 1에 의하면, 클라이언트가 컨텐츠 관리 정보(d111)로부터 작성된, 리스트 정보(300)를 보는 것으로 용이하게 소망하는 미디어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미디어 배신자측도 컨텐츠 관리 정보(d111)를 이용함으로써 클라이언트로부터 송신되어 온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의 해석이 용이하게 되어, 클라이언트의 요구한 미디어의 처리가 간단해진다. 또한, 컨텐츠 관리 정보(d111)는,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이기 때문에, 컨텐츠 관리 정보(d111)와 컨텐츠를 조합하는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프리뷰를 무료로서 설명했지만, 무료가 아니더라도 클라이언트가 소망하는 요금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111)에, 프리뷰의 요금 정보도 추가한다.
또한, 리스트 정보(300)에도, 프리뷰의 요금 정보를 부여하도록 한다. 또, 실시예 1에서는, 클라이언트의 조작에 의해, 뷰 배신이 프리뷰 배신인지를 선택하는 형태로 설명했지만, 클라이언트가 리스트 정보(300)를 보고 있어 특정 정보인컨텐츠 ID(200)만을 서버(100)에 송신하는 형태이더라도 좋다. 이 형태에서는, 서버(100)측에서, 자동적으로 뷰가 프리뷰인지를 선택하여 송신한다. 또한, 프리뷰를 휴대 단말에, 뷰를 홈 게이트웨이나 STB 등 다른 곳에 배신, 저장하는 형태이더라도 좋다.
이 형태에 대하여,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기타 동작 흐름도이다. 또, 도 4로 설명한 흐름과 동일한 처리를 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나타내는 형태의 경우에는, 도 4의 (P404)에 상당하는 처리로, 클라이언트가 리스트 정보(300)를 보고 있어 컨텐츠ID(200)만을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로서 입력한다(P501). 그리고, 서버측에서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송신되어 온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하여(P406), 해석한다(P407).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110)로부터 서버(100)에 송신되어 온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에 포함되는 컨텐츠 ID(200)가, 최초에 서버(100)에 송신되어 온 컨텐츠 ID(200)인지 판단하여, 서버(100)가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프리뷰 송신 완료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P502).
그리고, 서버(100)가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프리뷰를 송신 완료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P409∼P412)까지의 처리로 이행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가 송신되어 온 프리뷰로부터 컨텐츠의 내용을 판단하여, 컨텐츠가 소망하는 내용이라고 하는 판단을 하면, 두 번째,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컨텐츠 ID(200)를 입력하여(P501),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송신한다(P405). 그리고, 서버(100)측에서는,클라이언트 단말(110)로부터 송신되어 온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하여(P406), 해석한다(P407).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110)로부터 서버(100)에 송신되어 온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에 포함되는 컨텐츠 ID(200)가, 이미 서버(100)에 송신되어 온 컨텐츠 ID(200)와 같고, 또한 소정 시간 이내에 송신되어 오는지를 판단하여, 서버(100)가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프리뷰 송신 완료인지 판단한다(P502).
그리고, 서버(100)가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프리뷰를 송신 완료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P413∼P415) 및 (P411, P416)의 처리로 이행한다.
이 형태의 경우에서는, 클라이언트 단말(110)로부터 프리뷰 배신이 뷰 배신인지의 정보를 보내지 않더라도, 서버(100)측에서 자동적으로 필요에 따라서 프리뷰를 배신할 수 있다. 이 결과, 클라이언트의 입력이 간단히 되어, 클라이언트가 미디어 배신 요구를 보다 간단히 할 수 있다.
또, 실시예 1에서는, 컨텐츠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로서, 컨텐츠 ID(200)를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특정 정보로서 컨텐츠명(201)을 이용하는 형태이더라도 좋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은, 컨텐츠의 프리뷰를 미리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클라이언트로부터의 배신 요구시에 뷰로부터 프리뷰를 생성하도록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저장하는 데이터량을 삭감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2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실시예 2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실시예 2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또, 이미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2와, 실시예 1에서는, 서버(600)의 구성이 서로 다르다. 서버(600)의 저장부(601)에는, 컨텐츠의 오리지널의 미디어인 뷰(d101)와, 뷰(d101)로부터 프리뷰를 생성할 때에 사용하는 메타 데이터(d602)가 저장되어 있다.
뷰(d101)는 영상, 음성, 텍스트 등의 AV 스트림이다. 뷰(d101)의 참고예를, 도 7에 나타낸다. 도 7에 도시한 참고예는, 구조 기술 데이터의 일례로서, Extensible Markup Language(XML)를 이용한 것으로, World Wide Web Consortium(W3C)에 의해서 표준화된 데이터 기술 언어이다. 도 7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뷰(d101)는 복수의 세그먼트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는, id가「Seg0」인 세그먼트(d702)가 기술되어 있다. 뷰(dl01)에는, 위치 정보(d701)와, 세그먼트마다 부여된, 관점(d703a∼d703c)과, 시간 정보(d70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관점(d703a∼d703c)에는, 각각 관점의 우선도(d705a∼d705c)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관점(d703a∼d703c)은 뷰(d101)를 설명하기 위한 메타 데이터이다. 메타 데이터는 뷰(d101)의 세그먼트마다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세그먼트의 특징을 관점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클라이언트가 관점을 지정하여, 지정된 관점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를 뷰(d101)로부터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메타 데이터(d602)는 MPEG-7의 메타 데이터가 이용된다. 메타 데이터(d602)는, 개개의 컨텐츠에 대한 후술하는 관점 정보나, 개개의 컨텐츠에 대한 처리 방법을 포함하는 컨텐츠 기술이다. 이 예에서는, 개개의 컨텐츠에 대한 처리 방법으로서, 뷰를 변환하여 프리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변환 정보)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컨텐츠 관리 정보(d601)는 컨텐츠 그룹을 컨텐츠마다 뷰(d101) 및 메타 데이터(d602)로부터 추출한 일부 정보와, 요금 정보(과금부가 요금 정보를 이용하여 과금함) 등을 합쳐서 관리하는 메타 데이터이다. 컨텐츠 관리 정보(d601)는, 컨텐츠 ID를 키로서, 뷰(d101) 및 메타 데이터(d602)로부터 추출한 일부 정보와, 요금 정보 등을 합쳐서 관리한다. 또, 컨텐츠 관리 정보(d601)는, 미리 작성하여 저장해 두더라도 좋고, 서버(100)가 뷰(d101), 메타 데이터(d602), 및 요금 정보로부터 생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컨텐츠 관리 정보(d601)는 뷰(d101)를 설명하기 위한 메타 데이터이다. 또한, 컨텐츠 관리 정보(d601)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텐츠 ID(200), 컨텐츠명(201)과, 컨텐츠에 대응하는 미디어(202)의 위치 정보(204)와, 시간 정보(301)와, 컨텐츠의 미디어(202)를 배신했을 때의 요금 정보(205)와, 컨텐츠로부터 프리뷰를 생성할 때에 사용하는 메타 데이터(701)의 위치 정보(702)와, 관점(event)(801)의 조합이 복수 저장되어 있다. 도 8은 실시예 2에 따른 컨텐츠 관리 정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서버(600)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601)로부터, 도 9에 도시하는, 컨텐츠의 리스트 정보(800)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전자메일이나 HTTP로 송신하는 리스트 정보 송신부(607)가 마련되어 있다. 리스트 정보(800)는, 도 9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가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에 필요한 정보이다, 컨텐츠 ID(200)와, 컨텐츠명(201)과, 컨텐츠의 시간 정보(301)와, 컨텐츠를 배신한 경우의 요금 정보(205)와, 컨텐츠에 포함되는 관점 정보(키워드)(801)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도 9는 실시예 2에 따른 리스트 정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리스트 정보(800)가, 실시예 1의 리스트 정보(300)와 다른 곳은, 컨텐츠의 관점 정보(801)가 포함되어 있는 부분이다. 이 때문에, 클라이언트는, 리스트 정보 수신부(116)에서 수신한 리스트 정보(800)를 참조하면서, 조작 입력부(113)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인 컨텐츠 ID를 지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컨텐츠 ID(200)에 대응하는 관점 정보(801)도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컨텐츠 ID(200) 및 관점 정보(801)를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에 포함시켜 서버(600)에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서버(600)에는, 요구 수신부(104)에서 수신한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컨텐츠 ID(200)) 로부터, 컨텐츠명(201), 미디어(202)의 위치 정보(204), 요금 정보(205), 관점(801) 등의 정보를 해석하는 요구 해석부(605)가 마련되어 있다. 요구 해석부(605)는,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가, 어떤 컨텐츠명(201)인 것인지, 그 컨텐츠의 미디어 배신 요구 또는 프리뷰 배신 요구인 것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요구 해석부(605)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가 미디어 배신 요구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601)를 참조하여, 컨텐츠에 대응하는 미디어(202)의 위치 정보(204) 및, 그 요금 정보(205)를 해석하여, 미디어 선택부/변환부(602) 및 과금부(106)에 해석 결과를 송신한다.
한편, 요구 해석부(605)는,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가 프리뷰 배신 요구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또한 관점 정보(801)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에 관점 정보(801)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요구 해석부(605)는, 컨텐츠 관리 정보(d601)를 참조하여, 뷰(d101)로부터 프리뷰를 생성하기 위한 메타 데이터(701)의 위치 정보(702)를 추출한다. 그리고, 요구 해석부(605)는,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에 포함되고 있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뷰(d101)의 위치 정보(204)와 함께, 메타 데이터(701)의 위치 정보(702)를 미디어 선택/변환부(602)에 송신한다.
또한, 서버(600)에는, 요구 해석부(605)로부터 송신되어 온 해석 결과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보내는 미디어(d101)를 선택하거나,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보내는 프리뷰를 뷰(d101)로부터 생성하거나 하는 미디어 선택/변환부(602)가 마련되어 있다.
미디어 선택/변환부(602)는, 프리뷰를 뷰(d101)로부터 생성할 때에는, 요구 해석부(605)로부터 송신되어 온, 뷰(d101)의 위치 정보(204)와, 메타 데이터(701)의 위치 정보 702)를 이용하여, 프리뷰를 생성한다. 또한, 미디어 선택/변환부(602)는, 클라이언트 단말(110)로부터 관점 정보(801)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에 포함되어 송신되어 온 경우에는, 송신되어 온 컨텐츠 ID(200)에 대응하는 뷰(d101)로부터, 전송되어 온 관점 정보(801)에 적합한 관점을 포함하는 세그먼트를 추출하여, 추출한 세그먼트를 합쳐서 프리뷰를 생성한다.
이하, 실시예 2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실시예 2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우선, 서버(600)의 리스트 정보 송신부(607)가 컨텐츠 관리 정보(d601)로부터 리스트 정보(800)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송신한다(P901).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110)의 리스트 정보 수신부(116)가 리스트 정보(800)를 수신하면(P902), 리스트 정보 표시부(117)가 리스트 정보(800)를 표시한다(P903). 다음에, 클라이언트는, 이 리스트 정보 표시부(117)에 표시한 리스트 정보(800)를 참조하여, 우선 소망하는 컨텐츠명(201)을 선택하여,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소망하는 컨텐츠명(201)에 대응하는 컨텐츠 ID(200)를 입력한다. 이와 같이, 클라이언트는, 소망하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프리뷰를 요구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입력한다. 구체적으로는, 클라이언트는, 프리뷰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프리뷰를 요구하는 취지를 입력하든지, 관점 정보(801)를 입력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가, 이 프리뷰를 요구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입력하면(P904), 요구 송신부(115)가 프리뷰를 요구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서버(600)에 송신한다(P905).
한편, 서버(600)의 요구 수신부(104)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하면(P906), 요구 해석부(605)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해석하여(P907), 프리뷰 배신을 요구하고 있는 것인가, 뷰 배신 요구하고 있는 것인가를 판단한다(P908).
이 단계에서는, 클라이언트는 프리뷰 배신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가 프리뷰 배신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미디어 선택/변환부(602)는, 컨텐츠 관리 정보(d601)를 참조하여, 클라이언트가 요구하고 있는 컨텐츠명(201)에 대응하는 미디어(202)의 위치(204)와, 메타 데이터(701)의 위치(702)를 선택한다(P909). 다음에, 미디어 선택/변환부(602)는, 추출한 위치(204)에 위치하는 뷰(d101)와, 위치(702)에 위치하는 메타 데이터(701)를 저장부(601)로부터 추출한다. 그리고, 미디어 선택/변환부(602)는, 추출한 뷰(d101)를 추출한 메타 데이터(701)를 이용하여 변환하여, 프리뷰를 생성한다(P910).
또한, 메타 데이터(701)는 클라이언트가 소망하는 시간에 대응하는 길이의 프리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클라이언트가 소망하는 길이의 시간을 선택하여 입력함으로써, 메타 데이터(701)가 입력된 길이에 일치하는 길이의 프리뷰를 다이나믹하게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에 관점 정보(801)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미디어 선택/변환부(602)는, 송신되어 온 관점 정보(801)를 이용하여, 송신되어 온 컨텐츠명(201)의 뷰(d101)로부터 적절한 부분(세그먼트)의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한 세그먼트를 연결시켜 프리뷰를 생성한다. 또, 미디어 선택/변환부(602)는, 추출한 세그먼트를 서로 연결시키지 않고 단말에서의 요구에 의해서, 수시 송신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다음에, 미디어 송신부(103)가, 이 생성한 프리뷰(변환 미디어)를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송신한다(P911). 단, 프리뷰는 무료로 되어있기 때문에, 과금부(106)는, 프리뷰 송신시에는 과금을 실행하지 않는다.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110)은, 미디어 수신부(111)가 송신되어 온 정보가, 뷰(d101)가 프리뷰인지를 판단한다(P912). 이 경우에는, 송신되어 온 정보가 프리뷰이기 때문에, 미디어 재생부(112)가 프리뷰(d602)를 재생한다(P913).
그리고, 클라이언트는, 재생된 프리뷰의 내용을 확인하여, 이 프리뷰가 소망하는 컨텐츠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이 컨텐츠의 뷰 배신을 요구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입력한다. 그리고,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뷰 배신을 요구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의 입력이 종료하면(P904), 이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서버(600)에 송신한다(P905).
한편, 서버(600)의 요구 수신부(104)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하면(P906), 요구 해석부(605)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해석한다(P907). 그리고, 요구 해석부(605)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해석하여(P907), 프리뷰 배신을 요구하고 있는 것인가, 뷰 배신을 요구하고 있는 것인가를 판단한다.
다음에,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가, 뷰 배신을 요구하고 있는 경우에는, 미디어 선택부/변환부(602)가 요구 해석부(605)의 해석한 컨텐츠 ID(200)에 대응하는 뷰(d101)를 저장부(601)로부터 선택하여(P914), 이 선택한 뷰(d101)를 미디어 송신부(103)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송신한다(P915).
그리고, 요구 해석부(605)가 클라이언트의 요구한 컨텐츠에 대한 요금을 해석한다. 그리고, 과금부(106)가 컨텐츠에 대한 요금을 클라이언트에 과금한다(P916).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110)의 미디어 수신부(111)가 이 뷰를 수신하면(P912), 미디어 재생부(112)가 뷰를 재생한다(P917).
이렇게 하여, 실시예 2에 의하면, 실시예 1과 같이,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컨텐츠의 뷰를 배신하기 전에 이 뷰에 관한 정보인 프리뷰를 무료로 배신할 수 있다.
또, 실시예 2에서는, 생성한 프리뷰를 무료로 배신하지만, 무료가 아니더라도 프리뷰의 길이에 따라 적절한 값을 과금하는 형태이더라도 좋다.
또한, 실시예 2는, 프리뷰를 미리 생성하여 저장해 두는 것이 아니라, 프리뷰를 생성하기 위한 메타 데이터(d602)를 저장해 둬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프리뷰를 생성하기 때문에, 저장부(601)의 저장 용량이 줄어든다. 또한, 메타 데이터를 복수 저장함으로써, 한 개의 컨텐츠에 대하여 보다 많은 패턴의 프리뷰를 생성하여, 배신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저장 용량은 줄어든다.
또한, 실시예 2에 의하면, 클라이언트에 컨텐츠의 관점 정보를 보일 수 있기 때문에, 클라이언트가 컨텐츠명뿐만 아니라 관점 정보도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600)는, 클라이언트가 지정한 관점 정보를 가미하여 프리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결과, 클라이언트는, 소망하는 관점에서 작성한 프리뷰를 열람함으로써, 보다 확실히 컨텐츠의 내용이 소망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소망하는 컨텐츠를 보다 확실히 배신하여 줄 수 있다.
또, 컨텐츠의 액세스 빈도에 따라 한번 변환한 미디어(프리뷰)를 보존(cash) 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CPU 리소스와 저장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또, 실시예 2와 실시예 1의 형태를 조합시키는 형태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미리 배신 희망이 많을 것 같은 미디어에 대응하는 프리뷰를 미리 생성하여 저장하면 좋다. 또한, 처리의 흐름은 실시예 2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프리뷰 다음에 별도의 프리뷰를 요구하더라도 좋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은, 실시예 1과 같이 미디어의 배신이 완료된 시점에서 과금하는 것이 아니라, 클라이언트가 미디어를 일단 저장한 후에 이 미디어에 대하여 소정의 액션을 했을 때에 과금하도록 한 것이다. 즉, 클라이언트가 보고 싶어하는 미디어를 재생하고, 재생했을 때에 과금하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 3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에 대하여,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실시예 3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또, 이미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3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1100)이, 실시예 1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110)과 다른 점은, 미디어 수신부(111)로 수신한 미디어를 저장하는 저장부(2C)와, 저장부(2C)에 저장한 미디어를 재생하는 미디어 재생부(1012)와, 미디어 재생부(1012)가 미디어를 재생하면 클라이언트의 ID 및 재생한 컨텐츠 ID(200)를 미디어 배신 장치에 있는 서버(1000)에 송신하는 ID 송신부(1001)를 마련한 것이다.
저장부(2C)는, 하드 디스크나 메모리 카드, DVD등이다. 또한, 미디어 재생부(1012)는, 미디어의 재생이 끝나면, 재생한 컨텐츠 ID(200)를 ID 송신부(1001)에 출력한다. 그리고, ID 송신부(1001)는, 미디어 재생부(1012)로부터, 컨텐츠ID(200)를 수신하면, 컨텐츠 ID(200)를 클라이언트의 ID와 같이 서버(1000)에 송신한다. 또, 클라이언트의 ID는, 서버(1000)와, 클라이언트(1100)사이에서 미리 정해져 있다.
한편, 서버(1000)에는, ID 송신부(1001)로부터 컨텐츠 ID(200) 및 클라이언트의 ID를 수신하면, 컨텐츠 ID(200)로부터 컨텐츠를 특정하여, 컨텐츠에 대응하는 과금을 실행하는 과금부(1006)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 실시예 3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실시예 3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우선, 서버(1000)의 리스트 정보 송신부(107)가 컨텐츠 관리 정보(d111)로부터 리스트 정보(300)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100)에 송신한다(P1101).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1100)의 리스트 정보 수신부(116)가 리스트 정보(300)를 수신하면(P1102), 리스트 정보 표시부(117)가 리스트 정보(300)를 표시한다(P1103). 다음에, 클라이언트가, 이 리스트 정보 표시부(117)에 표시한 리스트 정보(300)를 참조하여, 소망하는 컨텐츠명(201)의 컨텐츠 ID(200)를 선택하여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입력함으로써, 프리뷰 배신을 요구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입력하면(P1104), 요구 송신부(115)가 이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서버(1000)에 송신한다(P1105).
한편, 서버(1000)의 요구 수신부(104)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하면(P1106), 요구 해석부(105)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해석한다(P1107). 그리고,요구 해석부(105)가 이미 프리뷰를 배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클라이언트가 프리뷰 배신을 요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P1108).
그리고, 클라이언트에 프리뷰를 배신하지 않고 있다고 판단하면, 미디어 선택부(102)가, 컨텐츠 관리 정보(d111)를 참조하여 클라이언트가 요구하고 있는 컨텐츠명(201)의 프리뷰(203)의 위치(206)를 추출한다. 그리고, 미디어 선택부(102)가 추출한 위치(206)에 위치하는 프리뷰(d102)를 저장부(101)로부터 선택한다(P1109). 그리고, 미디어 송신부(103)가, 이 선택한 프리뷰(d102)를 클라이언트 단말(1100)에 송신한다(P1110).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1100)의 미디어 수신부(111)가, 송신되어 온 정보가 뷰(d101)인지 프리뷰(d102)인지를 판단한다(P1111). 이 경우에는, 송신되어 온 정보가 프리뷰(d102)이기 때문에, 저장부(2C)가 일단 프리뷰(d102)를 저장한 후에, 미디어 재생부(1012)가 이 프리뷰(d102)를 재생한다(P1112).
그리고, 클라이언트는, 재생된 프리뷰의 내용을 확인하여, 이 프리뷰가 소망하는 컨텐츠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이 컨텐츠명(201)의 컨텐츠 ID(200)를 입력함으로써, 뷰 배신을 요구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입력한다. 그리고,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뷰 배신을 요구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가 입력되면(P1104), 이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서버(1000)에 송신한다(P1105).
한편, 서버(1000)의 요구 수신부(104)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하면(P1106), 요구 해석부(105)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해석한다(P1107). 그리고,요구 해석부(105)가 이미 프리뷰를 배신하여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클라이언트가 뷰 배신을 요구하고 있는지 판단한다(P1108).
이 경우, 클라이언트에 이미 프리뷰를 배신하고 있기 때문에, 뷰 배신 요구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다음에, 미디어 선택부(102)가 요구 해석부(105)의 해석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뷰(d101)를 저장부(101)로부터 선택하여(P1113), 이 선택한 뷰(d101)를 미디어 송신부(103)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1100)에 송신한다(P1114).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1100)의 미디어 수신부(111)가 미디어를 수신하면(P1111), 저장부(2C)에 일단 저장한다(P1115). 그리고, 그 후,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미디어 재생부(1012)가 미디어를 재생한다(P1116).
다음에, 미디어 재생부(1012)는, 미디어의 재생이 모두 종료하면(P1117), 이 컨텐츠 ID를 ID 송신부(1001)에 보낸다. 그리고, ID 송신부(1001)는, 이 컨텐츠 ID(200)와 함께, 클라이언트의 ID를 서버(1000)의 과금부(1006)에 보낸다(P1118).
다음에, 과금부(1006)는, 이들의 ID를 수신하면(P1119), 클라이언트의 ID를 확인하여, 정규의 사용자인지 확인한다. 그리고, 과금부(1006)는, 클라이언트의 ID가 정규인 것이라고 판단하면, 컨텐츠 ID(200)를 해석하여, 미디어에 따른 과금을 실행한다(P112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3에 의하면, 클라이언트는, 뷰의 프리뷰를 본 후에 뷰의 배신 요구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신한 뷰를 일단 저장함으로써 좋아하는 때에 뷰를 재생할 수 있다. 이 결과, 클라이언트는 보다 좋은 조건으로 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3에 의하면, 프리뷰나 뷰 등의 미디어를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클라이언트는 몇번이나 네트워크를 거쳐서 같은 미디어를 다운로드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실시예 3에 의하면,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저장한 뷰의 재생이 끝날 때마다 과금을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클라이언트가 한번의 과금으로, 저장한 뷰를 몇번이나 재생하는 것과 같은 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가 뷰의 재생을 종료한 시점에서 과금이 발생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가 뷰를 정상으로 다운로드할 수 없는 경우에는 과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클라이언트가 쓸데없는 비용을 지불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실시예 3에서는, 뷰의 재생이 한 번 종료할 때마다 ID를 서버에 송신하여, 서버가 과금하는 형태로 설명했지만, 뷰의 재생이 소정 회수 종료된 후에 ID를 서버에 송신하여, 서버가 과금하는 형태이더라도 좋다. `또한, 미디어의 재생이 최후까지 종료되지 않더라도, 뷰의 재생이 개시한 시점이나 뷰의 재생을 정지한 시점에서 ID를 서버에 송신하는 형태이더라도 좋다. 이 형태에서는, 뷰의 재생이 최후까지 종료하지 않더라도, 뷰를 조금이라도 재생한 과금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가 뷰의 재생을 뷰의 끝의 직전에서 멈춰 과금이 발생하지 않게 하는 행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가 뷰를 재생하기 전에, 컨텐츠 ID(200) 및 클라이언트의 ID를 서버(1000)에 송신하여, 서버(1000)가 클라이언트에 뷰의 재생 허가를 한 경우에만, 클라이언트가 뷰의 재생을 할 수 있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미디어 배신자가 뷰의 재생을 허가하는 기간이나 재생 시간을 미리 설정하여, 이 기간이나 재생 시간을 넘으면 자동적으로 클라이언트 단말(1100)로부터 서버(1000)에 컨텐츠 ID(200) 및 클라이언트의 ID를 송신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 형태의 경우에는, 어떤 일정 기간 또는 재생 시간을 지나면 자동적으로 이들의 ID가 서버(1000)에 보내져 과금되고, 그 후에는 재생이 할 수 없게 되는 것 같은 프로그램을 뷰와 같이 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태에 의하면, 클라이언트는, 허가하는 기간이나 재생 시간내이면, 몇번이라도 자기가 바라는 이용 방법으로 재생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이, 클라이언트가 뷰재생을 도중에서 정지한 경우에 이 위치를 기억해 둬, 다음번 클라이언트가 재생을 하는 경우에 이 위치 이외의 부분으로부터 재생을 시작한 경우에는, 컨텐츠 ID(200) 및 클라이언트의 ID를 서버(1000)에 송신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 형태는, 이러한 처리를 하는 프로그램을 뷰와 같이 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형태에 의하면, 클라이언트가 재생의 정지를 반복하여, 몇번이나 같은 부분을 재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4는, 실시예 3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에, 실시예 2와 같은 프리뷰 생성기능을 갖게 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 4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에 대하여,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실시예 4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또, 이미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4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은, 구체적으로는, 이 예의 미디어 배신 장치에 있는 서버(1200)를 실시예 2에 따른 서버(1000)의 과금부(106)를 실시예 3의 과금부(1006)로 한 것이다.
다음에, 실시예 4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실시예 4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우선, 서버(1200)의 리스트 정보 송신부(607)가 컨텐츠 관리 정보(d601)로부터, 도 9에 나타내는 리스트 정보(800)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100)에 송신한다(P1301).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1100)의 리스트 정보 수신부(116)가 이 리스트 정보(800)를 수신하면(P1302), 리스트 정보 표시부(117)가 리스트 정보(800)를 표시한다(P1303). 다음에, 클라이언트가, 이 리스트 정보 표시부(117)에 표시한 리스트 정보(800)를 참조하여, 소망하는 컨텐츠명(201)의 컨텐츠 ID(200)를 선택하여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입력함으로써, 프리뷰 배신을 요구하는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입력하면(P1304), 요구 송신부(115)가 이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서버(1200)에 송신한다(P1305).
한편, 서버(1200)의 요구 수신부(104)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하면(P1306), 요구 해석부(605)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해석한다(P1307). 그리고, 요구 해석부(605)가 이미 프리뷰를 배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클라이언트가 프리뷰 배신을 요구하고 있는지 판단한다(P1308).
이 경우에는, 클라이언트에 아직 프리뷰를 배신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미디어 선택/변환부(602)는, 컨텐츠 관리 정보(d601)를 참조하여, 클라이언트가 요구하고 있는 컨텐츠명(201)에 대응하는 미디어(202)의 위치(204)와, 메타 데이터(701)의 위치(702)를 선택한다(P1309). 그리고, 미디어 선택/변환부(602)는, 추출한 위치(204)에 위치하는 뷰(d101)와, 위치(702)에 위치하는 메타 데이터(701)를 저장부(601)로부터 추출한다. 그리고, 미디어 선택/변환부(602)는, 추출한 뷰(d101)를 추출한 메타 데이터(701)를 이용하여 변환하여, 프리뷰를 생성한다(P1310).
또한,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에 관점 정보(801)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미디어 선택/변환부(602)는, 송신되어 온 관점 정보(801)를 이용하여, 송신되어 온 컨텐츠명(201)의 뷰(d101)로부터 적절한 부분의 정보를 추출하여, 이들 정보를 합쳐서 프리뷰를 생성한다.
그리고, 다음에, 미디어 송신부(103)가 이 생성한 프리뷰(변환 미디어)를 클라이언트 단말(1100)에 송신한다(P1311).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1100)은, 미디어 수신부(111)로 송신되어 온 정보가 뷰(d101)가 프리뷰인지를 판단한다(P1312). 이 경우에는, 송신되어 온 정보가 프리뷰이기 때문에, 저장부(2C)가 일단 프리뷰(d102)를 저장한 후에, 미디어 재생부(1012)가 프리뷰를 재생한다(P1313).
그리고, 클라이언트는, 재생된 프리뷰의 내용을 확인하여, 이 프리뷰가 소망하는 컨텐츠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이 컨텐츠명(201)의 컨텐츠 ID(200)를 입력함으로써, 뷰 배신을 요구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입력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1100)은,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뷰 배신을 요구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가 입력되면(P1304), 이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서버(1200)에 송신한다(P1305).
한편, 서버(1200)의 요구 수신부(104)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하면(P1306), 요구 해석부(605)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해석한다(P1307). 그리고, 요구 해석부(605)가 이미 프리뷰를 배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클라이언트가 뷰 배신을 요구하고 있는지 판단한다(P1308).
이 경우, 클라이언트에 이미 프리뷰를 배신하고 있기 때문에, 뷰 배신 요구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다음에, 미디어 선택/변환부(602)가 요구 해석부(605)의 해석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뷰(d101)를 저장부(601)로부터 선택하여(P1314), 이 선택한 뷰(d101)를 미디어 송신부(103)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1100)에 송신한다(P1315).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1110)의 미디어 수신부(111)가 이 뷰를 수신하면(P1312), 저장부(2C)에 일단 저장한다(P1316). 그리고, 그 후, 미디어 재생부(1012)가 이 미디어를 재생한다.
다음에, 미디어 재생부(1012)는, 뷰의 재생이 모두 종료하면(P1318), 이 컨텐츠 ID(200)를 ID 송신부(1001)에 보낸다. 그리고, ID 송신부(1001)는, 이 컨텐츠 ID(200)와 함께, 클라이언트의 ID를 서버(1200)의 과금부(1006)에 보낸다(P1319).
다음에, 과금부(1006)는, 이들의 ID를 수신하면(P1320), 클라이언트의 ID를확인하여, 정규의 사용자인지 확인한다. 그리고, 과금부(1006)는, 클라이언트의 ID가 정규인 것이라고 판단하면, 컨텐츠 ID(200)를 해석하여, 뷰에 따른 과금을 실행한다(P1321).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4에 의하면, 실시예 2와 실시예 3와에서 얻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5)
실시예 5에 따른 미디어 배신 장치는, 클라이언트에 조금이라도 싼 가격으로 미디어 배신을 하기 위해서, 컨텐츠에 대한 미디어로서 광고를 갖고, 클라이언트에 배신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클라이언트는 광고를 보는 것에 의해 요금을 할인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클라이언트가, 미디어에 관련되는 정보인 광고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미디어 배신 서비스를 저렴하게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클라이언트는 빈번하게 미디어 배신 서비스를 받게 된다.
이하, 실시예 5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에 대하여,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실시예 5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또, 이미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다.
실시예 5에 따른 서버(1400)에는, 컨텐츠의 뷰(d101)와, 뷰(d101)에 관련되도록 관리된 정보인 광고 미디어(이하, 광고라 함)(d1402)와, 뷰(d101)와 광고(d1402)를 관리하는 정보인 컨텐츠 관리 정보(d1401)을 저장하는 저장부(1401)가 마련되어 있다.
광고(d1402)는, AV 컨텐츠이며, 표시하는 곳의 WEB 컨텐츠 등으로의 링크(예컨대, URL)나, 배너 광고 데이터의 저장처를 나타내는 링크(예컨대, URL)를 포함하더라도 좋다. 또, URL은 일관된 자원 위치(Uniform Resource Locator)의 약어이다.
또한, 컨텐츠 관리 정보(d1401)에는, 메타 데이터가 이용된다. 또한, 컨텐츠 관리 정보(d1401)는, 컨텐츠 그룹을 컨텐츠마다, 뷰(d101), 광고(d1402)로부터 추출한 일부 정보를, 요금 등과 합쳐서 관리하는 메타 데이터이다.
또한, 컨텐츠 관리 정보(d1401)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ID(200)와, 컨텐츠명(201)과, 뷰(202)의 위치 정보(204)와, 컨텐츠명(201)의 뷰(202)의 시간 정보(301)와, 뷰(202)를 배신했을 때의 요금 정보(205)와, 컨텐츠명(201)에 대응하는 광고(1502)의 위치 정보(1503)와, 광고를 보는 것에 의한 할인(페이백) 요금 정보(1504)와, 광고(1502)의 스폰서가 되는 회사명(1505)과, 광고(1502)의 시간 정보(1506)의 조합이 복수 저장되어 있다. 도 16은, 실시예 5에 따른 컨텐츠 관리 정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서버(1400)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1401)로부터, 도 17에 도시하는 컨텐츠의 리스트 정보(1600)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410)에 전자메일이나 HTTP로 송신하는 리스트 정보 송신부(1407)가 마련되어 있다. 도 17은, 실시예 5에 따른 리스트 정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리스트 정보(1600)는, 도 17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가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에 필요한 정보이다, 컨텐츠 ID(200)와, 컨텐츠명(201)과, 컨텐츠의 시간 정보(301)와, 컨텐츠를 배신한 경우의 요금 정보(205)와, 컨텐츠에 대응하는 광고의 내용(1601)으로 구성된다. 광고의 내용(1601)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1401)로부터 추출된 스폰서 이름, 광고의 재생 시간 정보, 및 페이백 요금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서버(1400)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1401)를 참조함으로써, 클라이언트 단말(141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컨텐츠 ID(200))로부터, 컨텐츠명(201), 뷰(202)의 위치 정보(204), 요금 정보(205), 광고(1502)의 위치 정보(1503) 등의 정보를 해석하는 요구 해석부(1405)가 마련되어 있다. 요구 해석부(1405)는,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가, 어떤 컨텐츠명(201)인 것인지, 그 컨텐츠의 뷰 배신 요구 또는 광고 배신 요구인 것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요구 해석부(1405)는,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가 뷰 배신 요구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1401)를 참조하여, 뷰의 위치 정보(204) 및, 그 요금 정보(205)를 해석하여, 미디어 선택부(1402) 및 과금부(1406)에 해석 결과를 송신한다.
한편, 요구 해석부(1405)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가 광고 배신 요구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1401)를 참조해서, 광고의 위치 정보(206)를 해석하여, 미디어 선택부(1402)에 해석 결과를 송신한다.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1410)에는, 미디어 수신부(111)로 수신하여, 저장부(2C)에 저장한 뷰나 광고를 재생하는 미디어 재생부(1412)가 마련되어 있다. 미디어 재생부(1412)는, 뷰의 재생이 끝나면, 재생한 컨텐츠 ID(200)를 ID 송신부(1001)에 출력한다. 그리고, ID 송신부(1001)는, 미디어 재생부(1412)로부터, 컨텐츠 ID(200)를 수신하면, 컨텐츠 ID(200)를 클라이언트의 ID와 같이 서버(1400)에 송신한다. 또, 클라이언트의 ID는, 서버(1400)와, 클라이언트 단말(1410) 사이에서 미리 정해져 있다.
한편, 서버(1400)에는, ID 송신부(1001)로부터 컨텐츠 ID(200) 및 클라이언트의 ID를 수신하면, 컨텐츠 ID(200)로부터 컨텐츠를 특정하여, 컨텐츠에 대응하는 과금을 실행하는 동시에, 클라이언트 단말(1410)에서 광고의 재생이 행하여진 경우에는 광고에 대응하는 요금의 페이백을 실행하는 과금부(1406)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 실시예 5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 1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실시예 5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우선, 서버(1400)의 리스트 정보 송신부(1407)가 컨텐츠 관리 정보(d1401)로부터 리스트 정보(1600)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410)에 송신한다(P1701).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1410)의 리스트 정보 수신부(116)가 이 리스트 정보(1600)를 수신하면(P1702), 리스트 정보 표시부(117)가 리스트 정보(1600)를 표시한다(P1703). 다음에, 클라이언트는, 이 리스트 정보 표시부(117)에 표시한 리스트 정보(1600)를 참조하여, 우선, 소망하는 컨텐츠명(201)의 컨텐츠 ID(200)를 선택하여,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소망하는 컨텐츠명(201)의 광고를 요구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입력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가, 이 광고를 요구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의 입력을 종료하면(P1704), 요구 송신부(115)가 광고를 요구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서버(1400)에 송신한다(P1705).
한편, 서버(1400)의 요구 수신부(104)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하면(P1706), 요구 해석부(1405)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해석하여(P1707), 광고 배신(송신)을 요구하고 있는 것인지, 미디어 배신 요구하고 있는 것인지를 판단한다(P1708).
그리고,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가, 광고 배신을 요구하고 있는 경우에는, 미디어 선택부(1402)가, 컨텐츠 관리 정보(d1401)를 참조하여 클라이언트가 요구하고 있는 컨텐츠명(201)의 광고의 위치(1503)를 추출한다. 그리고, 미디어 선택부(1402)가 추출한 위치(1503)에 위치하는 광고(d1402)를 저장부(1401)로부터 선택한다(P1709). 그리고, 미디어 송신부(103)가, 이 선택한 광고(d1402)를 클라이언트 단말(1410)에 송신한다(P1710).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1410)의 미디어 수신부(111)는, 송신되어 온 정보가, 뷰(d101)가 광고(d1402)인지를 판단한다(P1711). 이 경우에는, 송신되어 온 정보가 광고(d1402)이기 때문에, 저장부(2C)가 일단 광고(d1402)를 저장한 후에, 미디어 재생부(1412)가 이 광고(d1402)를 재생한다(P1712). 또한, 미디어 재생부(1412)는, 광고(d1402)의 재생이 종료하면, ID 송신부(1001)에 컨텐츠 ID(200)를 출력한다. 그리고, 이것을 수신한 ID 송신부(1001)는 컨텐츠 ID(200)를 서버(1400)에 송신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는, 광고를 재생한 후,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컨텐츠명(201)을 입력함으로써, 뷰 배신을 요구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입력한다. 그리고,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뷰 배신을 요구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요구 정보가 입력되면(P1704), 이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서버(1400)에 송신한다(P1705). 또, 클라이언트는, 다른 광고를 보고 싶은 경우에는, 두 번째 광고의 배신을 요구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입력하더라도 좋다.
한편, 서버(1400)의 요구 수신부(104)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하면(P1706), 요구 해석부(1405)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해석한다(P1707). 그리고, 이 경우, 클라이언트가 뷰 배신 요구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송신하고 있기 때문에, 다음에 미디어 선택부(1402)가 요구 해석부(1405)에 의해 해석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뷰(dl01)를 저장부(1401)로부터 선택하여(P1713), 이 선택한 뷰(d101)를 미디어 송신부(103)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1410)에 송신한다(P1714).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1410)의 미디어 수신부(111)가 뷰를 수신하면(P1711), 저장부(2C)에 일단 저장한다(P1715). 그리고, 그 후, 미디어 재생부(1412)가 이 뷰를 재생한다.
다음에, 미디어 재생부(1412)는, 뷰의 재생이 모두 종료하면(P1717), 이 컨텐츠 ID(200)를 ID 송신부(1001)에 보낸다. 그리고, ID 송신부(1001)는, 이 컨텐츠 ID(200)와 같이, 클라이언트의 ID를 서버(1400)의 과금부(1406)에 보낸다(P1718).
다음에, 과금부(1406)는, 이들의 ID를 수신하면(P1719), 클라이언트의 ID를 확인하여, 정규 사용자인지 확인한다. 그리고, 과금부(1406)는, 클라이언트의 ID가 정규인 것이라고 하는 판단을 하면, 컨텐츠 ID(200)를 해석하여, 뷰에 따른 과금을 실행한다(P1720).
다음에, 서버(1400)는, 클라이언트 단말(1410)이 광고 재생 완료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P1721). 구체적으로는, 서버(1400)의 과금부(1406)가, 같은 클라이언트 단말(1410)로부터 같은 컨텐츠 ID(200)가 송신되고 있는 지를 판단함으로써, 광고 재생 완료인지 판단한다.
그리고, 서버(1400)가, 클라이언트(1410)가 광고 재생 완료라고 판단하면, 클라이언트(1410)가 재생한 광고에 대한 페이백을 실행한다(P1722).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5에 의하면,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뷰와, 뷰에 관련되어 관리되어 있고, 또한 배신에 의해 페이백이 발생하는 광고를 배신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클라이언트가 광고를 보는 것에 의해, 뷰 배신의 과금을 싸게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클라이언트는, 뷰의 배신을 받기쉽게 된다.
또, 실시예 5에서는, 미디어의 배신전에 광고를 보는 형태로 설명했지만, 뷰의 배신 후나 배신 도중, 동시에 다른 레이아웃으로 광고를 보는 것에 의해, 페이백을 받는 형태이더라도 좋다.
또, 한 개의 컨텐츠에 대하여, 복수의 광고가 있더라도 좋다. 또한, 컨텐츠에 대하여, 광고와 프리뷰의 양쪽을 저장하는 형태이더라도 좋다. 또한, 동작흐름은,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프리뷰 후에 재생 완료 통지를 서버에 통지하더라도 좋다.
또, 광고의 페이백을 뷰의 요금에 따라 바꾸도록 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뷰의 요금의 비쌀수록 광고의 페이백을 높게함으로써, 클라이언트의 부담이 보다경감된다.
또한, 광고의 페이백을 컨텐츠의 인기에 따라 결정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컨텐츠의 인기가 높을수록 스폰서에 대한 광고 요금을 높게 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컨텐츠 작성자의 수입을 늘릴 수 있기 때문에, 컨텐츠 작성 의욕이 증가된다.
또한, 광고의 페이백은, 컨텐츠의 인기가 낮을수록 크게 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클라이언트는 인기가 낮은 컨텐츠의 배신을 싼 요금으로 받을 수 있다. 이 결과, 인기가 낮은 컨텐츠의 배신 요구자가 늘어나게 된다.
(실시예 6)
실시예 6은, 미디어 배신측의 서버에, 데이터량이 많은 광대역 통신용 버전의 뷰인 광대역 미디어와, 광대역 미디어보다 데이터량이 적은 협대역 통신용 버전의 뷰인 협대역 미디어를 저장한 것이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의 상태, 즉 클라이언트 단말이 채용할 수 있는 대역에 따라서, 배신하는 미디어를 광대역 미디어로 할지, 협대역 미디어로 할지 전환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 6에 따른 미디어 배신 장치를 포함하는 미디어 배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실시예 6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 1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실시예 6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은, 컨텐츠 배신 서비스를 실행하는 미디어 배신자(공급자)의 서버(1800)와, 휴대 단말 등의 이동체 통신 단말인 클라이언트 단말(1810)이라든가, 휴대 통신망 등의 이동체 통신망(network)(1020)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즉, 미디어 배신 장치에 있는 서버(1800)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1810)에, 이동체통신망(1020)을 거쳐서 미디어의 송신을 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서버(1800)에는, 컨텐츠의 미디어로서, 광대역 통신용(광대역 버전)에 데이터량이 많아지고 있는 뷰인 미디어(이하, 광대역 미디어라 함)(d1801)와, 협대역 통신용(협대역 버전)에 광대역 버전보다 데이터량이 적어지고 있는 뷰인 미디어(이하, 협대역 미디어라 함)(d1802)와, 광대역 미디어(d1801)와, 협대역 미디어(d1802)를 관련지어 관리하는 컨텐츠 관리 정보(d1811)를 저장하는 저장부(1801)가 마련되어 있다.
광대역 미디어(d1801), 및 협대역 미디어(d1802)는, 영상, 음성, 텍스트 등의 AV 스트림이다. 광대역 미디어(d1801), 및 협대역 미디어(d1802)에는, MPEG-1, MPEG-2, MPEG-4, DV, JPEG, 또는 GIF 등의 데이터 형식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광대역 미디어(d1801)를 오디오 부가 컬러 영상이라고 하면, 협대역 미디어(d1802)는, 텍스트만의 데이터이거나, 오디오만의 데이터이거나, 프레임 추출(thinning) 영상 등의 데이터량이 적은 데이터이다.
또한, 컨텐츠 관리 정보(d1811)는, 컨텐츠 그룹을 컨텐츠마다 광대역 미디어(d1801) 및 협대역 미디어(d1802)로부터 추출한 일부 정보와 요금 등을 합쳐서 관리하는 메타 데이터이다.
또한, 컨텐츠 관리 정보(d1811)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텐츠ID(200)와, 컨텐츠명(201)과, 컨텐츠명(201)에 대응하는 광대역 미디어(1901)의 위치 정보(1902)와, 광대역 미디어(1901)의 시간 정보(2001)와, 컨텐츠명(201)의 광대역 미디어(1901)를 배신했을 때의 요금 정보(1903)와, 컨텐츠명(201)에 대응하는 협대역 미디어(1904)의 위치 정보(1905)와, 협대역 미디어(1904)의 시간 정보(2002)와, 컨텐츠 ID(200)의 협대역 미디어(1904)를 배신했을 때의 요금 정보(1906)의 조합이 복수 저장되어 있다. 도 20는 실시예 6에 따른 컨텐츠 관리 정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서버(1800)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1811)로부터, 도 21에 도시하는, 컨텐츠의 리스트 정보(2000)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810)에 송신하는 리스트 정보 송신부(1807)가 마련되어 있다. 도 21은 실시예 6에 따른 리스트 정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리스트 정보(2000)는, 도 21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가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에 필요한 정보이다, 컨텐츠 ID(200)와, 컨텐츠명(201)과, 광대역 미디어(1901)의 시간 정보(2001)와, 광대역 미디어(1901)를 배신한 경우의 요금 정보(1903)와, 협대역 미디어(1904)의 시간 정보(2002)와, 협대역 미디어(1904)를 배신한 경우의 요금 정보(1906)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1810)은, 서버(1800)로부터 송신되어 온 리스트 정보(2000)를 수신하는 리스트 정보 수신부(116)와, 수신한 리스트 정보(2000)를 표시하는 리스트 정보 표시부(117)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810)에는, 리스트 정보(2000)로부터 소망하는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입력하는 조작 입력부(11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810)에는, 클라이언트 단말(1810)의 상태를 감시하여, 이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상태 감시부(1811)가 마련되어 있다. 상태 정보는, 클라이언트 단말(1810)이 채용할 수 있는 대역을 판단하기 위한 같은 정보이다. 예컨대, 상태 정보는, 클라이언트 단말(1810)의 전송 가능 대역에 관한 정보나, 이동 중 또는 정지 중이라는 상태 정보 등이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810)에는, 조작 입력부(113) 또는, 상태 감시부(1811)로부터 입력된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나 상태 정보를 서버(1800)에 송신하는 요구 송신부(115)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서버(1800)에는, 클라이언트 단말(1810)로부터 송신되어 온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 또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요구 수신부(10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서버(1800)에는,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1811)를 참조함으로써, 수신한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ID(200)와, 컨텐츠명(201), 광대역 미디어(1901)의 위치 정보(1902), 요금 정보(1903), 협대역 미디어(1904)의 위치 정보(1905), 요금 정보(1906) 등의 정보를 해석하는 요구 해석부(1805)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요구 해석부(1805)는, 수신한 상태 정보에 의해, 현재의 선택해야 되는 컨텐츠의 미디어가 광대역 미디어 배신 요구 또는 협대역 미디어 배신 요구인 것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요구 해석부(1805)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가 광대역 미디어 배신 요구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1811)를 참조하여,광대역 미디어(1901)의 위치 정보(1902) 및, 그 요금 정보(1903)를 해석하여, 미디어 전환부(1802) 및 과금부(1806)에 해석 결과를 송신한다.
한편, 요구 해석부(1805)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가 협대역 미디어(1904)의 배신 요구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1811)를 참조하여, 협대역 미디어(1904)의 위치 정보(1905), 및 요금 정보(1906)를 해석하여, 미디어 전환부(1802) 및 과금부(1806)에 해석 결과를 송신한다.
또한, 서버(1800)에는, 미디어 송신부(103)의 미디어 송신 완료 후에, 요구 해석부(1805)가 해석한 요금 정보에 근거하여,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과금하는 과금부(1806)가 마련되어 있다. 과금부(1806)는, 과금하는 요금을 클라이언트의 구좌로부터 인출하는 처리를 한다.
또한, 서버(1800)에는, 요구 해석부(1805)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해석한 결과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의 배신 희망 컨텐츠의 광대역 미디어(d1801) 또는 협대역 미디어(d1802)를 선택하여, 저장부(1801)로부터 추출하는 미디어 전환부(1802)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서버(1800)에는, 미디어 전환부(1802)로 선택된 광대역 미디어(d1801) 또는 협대역 미디어(d1802)를 클라이언트 단말(1810)에 송신하는 미디어 송신부(103)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1810)에는, 송신되어 온 광대역 미디어(d1801) 또는 협대역 미디어(d1802)를 수신하는 미디어 수신부(111)와, 수신한 광대역 미디어(d1801) 또는 협대역 미디어(d1802)를 재생하는 미디어 재생부(112)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 실시예 6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 2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실시예 6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우선, 서버(1800)의 리스트 정보 송신부(1807)가 컨텐츠 관리 정보(d1811)로부터 리스트 정보(2000)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810)에 송신한다(P2101).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1810)의 리스트 정보 수신부(116)가 이 리스트 정보(2000)를 수신하면(P2102), 리스트 정보 표시부(117)가 리스트 정보(2000)를 표시한다(P2103). 다음에, 클라이언트는, 이 리스트 정보 표시부(117)에 표시한 리스트 정보(2000)를 참조하여, 우선, 소망하는 컨텐츠명(201)의 컨텐츠 ID(200)를 선택하여,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소망하는 컨텐츠 ID(200)를 입력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가, 컨텐츠를 요구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입력하면(P2104), 상태 감시부(1811)가 현재의 클라이언트 단말(1810)의 상태를 감시하여, 현재의 상태 정보를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에 가미한다. 그리고, 이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와 상태 정보를 서버(1800)에 송신한다(P2105).
한편, 서버(1800)의 요구 수신부(104)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하면(P2106), 요구 해석부(1805)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해석하여(P2107), 이들의 정보가 미디어를 요구하고 있는지, 클라이언트 단말(1810)의 상태변화를 알리고 있는 것인지를 판단한다(P2108).
이 경우에는,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가 송신되어와 있기 때문에, 미디어를 요구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다음에, 요구 해석부(1805)는, 상태 정보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1810)의 사용할 수 있는 대역이 광대역 미디어인지 협대역 미디어인지 판단한다.
다음에, 미디어 전환부(1802)가 요구 해석부(1805)에 의해 해석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미디어를 저장부(1801)로부터 선택하여(P2109), 이 선택한 미디어를 미디어 송신부(103)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1810)에 송신한다(P2110). 그리고, 클라이언트가 요구한 컨텐츠명(201)에 대응하는 광대역 미디어 또는 협대역 미디어에 대한 요금을 해석한다. 그리고, 과금부(1806)가 이 컨텐츠에 대한 요금 정보를 클라이언트에 과금한다(P2111).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1810)의 미디어 수신부(111)가 이 미디어를 수신하면(P2112), 미디어 재생부(112)가 이 미디어를 재생한다(P2113).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810)의 상태 감시부(1811)는 끊임없이 클라이언트 단말(1810)의 상태 변화를 감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태 감시부(1811)가 상태 변화를 검지한 경우에는(P2114), 상태 감시부(1811)는 요구 송신부(115)에 대하여, 변화된 상태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를 출력한다. 그리고, 이 정보를 받은 요구 송신부(115)는, 서버(1800)에 대하여, 이 정보를 송신한다(P2115).
그리고, 서버(1800)는, 이 정보를 수신하고(P2106), 해석하여(P2107), 이 정보가 미디어 배신 요구 정보가 상태 변화 정보인지 판단한다(P2108). 이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1810)로부터 송신되어 온 정보가 상태 변화 정보이기 때문에, 요구 해석부(1805)는 선택하는 미디어를 전환하는 정보를 미디어 전환부(1802)에 송신한다. 그리고, 미디어 전환부(1802)가 미디어의 종류를 전환한다(P2116). 다음에, 미디어 송신부(103)는, 이 전환한 미디어를 클라이언트 단말(1810)에 송신한다(P2117). 그리고, 요구 해석부(1805)는, 전환하는 미디어에 대응하는 요금 정보를 과금부(1806)에 송신한다. 그리고, 과금부(1806)는, 전환한 미디어에 대응하는 과금을 실행한다(P2118).
이것에 대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810)은, 이 전환한 미디어를 수신하여(P2112), 재생한다(P2113).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6에 의하면, 광대역 미디어와 협대역 미디어의 두 가지의 미디어를 배신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클라이언트는, 상태에 따른 대역의 미디어를 이용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 단말(1810)이 협대역 밖에 못 쓰는 경우에, 광대역 미디어를 사용하여 높은 요금을 지불하는 것 같은 사태를 피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클라이언트가 보다 좋은 상황으로 또한 쓸데없는 지출비를 억제한 미디어 배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 6에 의하면, 클라이언트 단말(1810)의 상태 변화를 감시하여, 상태에 따른 대역의 미디어를 다이나믹하게 선택하여, 자동적으로 배신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클라이언트는 끊임없이 적절한 미디어 배신을 받을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6에 의하면, 실시간으로 클라이언트 단말(1810)의 상태를 감시하기 때문에, 광대역 CDMA 등과 같이 실시간으로 사용할 수 있는 대역이 변화되는 형태에 대응하여 미디어를 전환할 수 있다.
또, 실시예 6에서는, 광대역 CDMA 등의, 실시간으로 사용할 수 있는 대역이변화되는 형태에 대응하여 설명했지만, 클라이언트 단말은 설치형의 PC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PC의 데이터 전송 능력, 예컨대 PC가 모뎀을 사용하고 있는지, ADSL을 사용하고 있는지 등을 판단하여, 미디어를 전환하도록 하면 좋다.
또, 클라이언트가, 클라이언트 단말의 능력과, 클라이언트 단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인 클라이언트의 ID를 관련지어 서버에 미리 등록해 두는 형태이더라도 좋다. 이 형태의 경우에는, 클라이언트가 단말 ID를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에 포함시키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 클라이언트가 클라이언트 단말의 능력을 구체적으로 기재할 필요가 없어진다.
(실시예 7)
실시예 7은 실시예 6을 개량한 것이다. 즉, 실시예 6에서는 미리 광대역 미디어와 협대역 미디어를 생성하여 저장해 두었지만, 실시예 7은, 광대역 미디어만을 저장하고, 협대역 미디어는 다이나믹하게 생성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7에서는, 광대역 미디어로부터 협대역 미디어를 생성하기 위한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여, 필요에 따라서 사용하고 있다.
이하, 실시예 7에 따른 미디어 배신 장치를 포함하는 미디어 배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실시예 7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 2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실시예 7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또, 이미 설명한 부분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다.
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은, 컨텐츠 배신 서비스를 실행하는 미디어 배신자(공급자)의 서버(2200)와, 휴대 단말 등의 이동체 통신 단말인 클라이언트 단말(1810)이, 휴대 통신망 등의 이동체 통신망(1020)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즉, 미디어 배신 장치에 있는 서버(2200)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1810)에, 이동체 통신망(1020)을 거쳐서 미디어의 송신을 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서버(2200)에는, 컨텐츠의 미디어로서, 광대역 통신용(광대역 버전)에 데이터량이 많아지고 있는 미디어(이하, 광대역 미디어라 함)(d1801)와, 광대역 미디어를 협대역 통신용(협대역 버전)으로 변환하기 위한 파라미터인 메타 데이터(d2202)와, 광대역 미디어(d1801)와 메타 데이터(d2202)를 관련지어 관리하는 컨텐츠 관리 정보(d2211)를 저장하는 저장부(220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메타 데이터(d2202)는, MPEG-7의 메타 데이터가 이용된다. 메타 데이터(d2202)는, 개개의 컨텐츠에 대한 처리 방법을 포함하는 컨텐츠 기술이다. 이 예에서는, 개개의 컨텐츠에 대한 처리 방법으로서, 광대역 미디어로부터 협대역 미디어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컨텐츠 관리 정보(d2211)에는, 메타 데이터가 이용된다. 또한, 컨텐츠 관리 정보(d2211)는, 컨텐츠 그룹을, 컨텐츠마다, 광대역 미디어(d1801) 및 메타 데이터(d2202)로부터 추출한 일부 정보와, 요금 등을 합쳐서 관리하는 메타 데이터이다.
또한, 컨텐츠 관리 정보(d2211)는,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텐츠 ID(200)와, 컨텐츠명(201)과, 컨텐츠명(201)에 대응하는 광대역 미디어(1901)의 위치 정보(1902)와, 광대역 미디어(1901)의 시간 정보(2001)와, 컨텐츠 ID(200)의 광대역 미디어(1901)를 배신했을 때의 요금 정보(1903)와, 컨텐츠 ID(200)에 대응하는 메타 데이터(2301)의 위치 정보(2302)와, 메타 데이터(2301)를 이용하여 생성한 협대역 미디어를 배신했을 때의 요금 정보(2303)와, 메타 데이터(2301)를 이용하여 생성한 미디어의 대역 프로파일(2304)과, 그 종별(種別)(2305)의 조합이 복수 저장되어 있다. 또한, 한 개의 컨텐츠에 대하여 복수의 협대역 미디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 개의 컨텐츠에 대하여 대역 프로파일(2304)을 마련하고 있다. 도 24는 실시예 7에 따른 컨텐츠 관리 정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서버(2200)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2211)로부터, 도 25에 도시하는, 컨텐츠의 리스트 정보(2400)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810)에, 송신하는 리스트 정보 송신부(2207)가 마련되어 있다. 도 25는 실시예 7에 따른 리스트 정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리스트 정보(2400)는, 도 25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가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에 필요한 정보이다, 컨텐츠 ID(200)와, 컨텐츠명(201)과, 광대역 미디어(1901)의 시간 정보(2001)와, 광대역 미디어(1901)를 배신한 경우의 요금 정보(1903)와, 메타 데이터에 의해 생성하는 협대역 미디어(2400)의 시간 정보 및 종별 정보(2401)와, 협대역 미디어(2400)를 배신한 경우의 요금 정보(2402)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1810)은, 서버(2200)로부터 송신되어 온 리스트 정보(2400)를 수신하는 리스트 정보 수신부(116)와, 수신한 리스트 정보(2400)를 표시하는 리스트 정보 표시부(117)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810)에는, 리스트 정보(2400)로부터 소망하는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입력하는 조작 입력부(11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810)에는, 클라이언트 단말(1810)의 상태를 감시하여, 이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상태 감시부(1811)가 마련되어 있다. 상태 정보는, 클라이언트 단말(1810)이 채용할 수 있는 대역을 판단하기 위한 정보이다. 예컨대, 상태 정보는, 클라이언트 단말(1810)이 이동 중인지, 또는 정지 중인지 등의 정보이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810)에는, 조작 입력부(113) 또는, 상태 감시부(1811)로부터 입력된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나 상태 정보를 서버(2200)에 송신하는 요구 송신부(115)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서버(2200)에는, 클라이언트 단말(1810)로부터 송신되어 온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하는 요구 수신부(10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서버(2200)에는,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2211)를 참조함으로써, 수신한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명(201), 광대역 미디어(1901)의 위치 정보(1902), 요금 정보(1903), 메타 데이터(2301)의 위치 정보(2302), 요금 정보(2303) 등의 정보를 해석하는 요구 해석부(2205)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요구 해석부(2205)는, 수신한 상태 정보에 의해, 현재의 선택해야되는 컨텐츠의 미디어가 광대역 미디어 배신 요구 또는 협대역 미디어 배신 요구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요구 해석부(2205)가, 현재 클라이언트 단말(1810)의 사용할 수 있는 대역이 광대역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2211)를 참조해서, 광대역 미디어(1901)의 위치 정보(1902) 및, 그 요금 정보(1903)를 해석하여, 미디어 전환/변환부(2202) 및 과금부(2206)에 해석 결과를 송신한다.
한편, 요구 해석부(2205)가, 현재 클라이언트 단말(1810)의 사용할 수 있는 대역이 협대역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2211)를 참조하여, 메타 데이터(2301)의 위치 정보(2302), 요금 정보(2303) 등의 정보를 해석하여, 미디어 전환/변환부(2202) 및 과금부(2206)에 해석 결과를 송신한다.
또한, 서버(2200)에는, 요구 해석부(2205)가 해석한 요금 정보에 근거하여,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과금하는 과금부(2206)가 마련되어 있다. 과금부(2206)는, 과금하는 요금을 클라이언트의 구좌로부터 인출하는 처리를 한다.
또한, 서버(2200)에는, 요구 해석부(2205)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 또는 상태 정보를 해석한 결과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의 배신 희망 컨텐츠의 광대역 미디어(d1801)를 선택하여 저장부(2201)로부터 추출, 또는 클라이언트의 배신 희망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d2202)를 저장부(2201)로부터 추출하여 광대역 미디어(d1801)로부터 협대역 미디어를 생성하는 미디어 전환/변환부(2202)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서버(2200)에는, 미디어 전환/변환부(2202)로 선택된 광대역 미디어(d1801) 또는 생성한 협대역 미디어를 클라이언트 단말(1810)에 송신하는 미디어 송신부(103)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1810)에는, 송신되어 온 광대역 미디어(d1801) 또는 협대역 미디어를 수신하는 미디어 수신부(111)와, 수신한 광대역 미디어(d1801) 또는 협대역 미디어를 재생하는 미디어 재생부(112)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 실시예 7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 2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6은, 실시예 7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우선, 서버(2200)의 리스트 정보 송신부(2207)가 컨텐츠 관리 정보(d2211)로부터 리스트 정보(2400)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810)에 송신한다(P2501).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1810)의 리스트 정보 수신부(116)가 이 리스트 정보(2400)를 수신하면(P2502), 리스트 정보 표시부(117)가 리스트 정보(2400)를 표시한다(P2503). 다음에, 클라이언트는, 이 리스트 정보 표시부(117)에 표시한 리스트 정보(2400)를 참조해서, 소망하는 컨텐츠명(201)의 컨텐츠 ID(200)를 선택하여,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소망하는 컨텐츠 ID(200)를 입력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가, 컨텐츠를 요구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입력하면(P2504), 상태 감시부(1811)가 현재의 클라이언트 단말(1810)의 상태를 감시하여, 현재의 상태 정보를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에 가미한다. 그리고, 이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와 상태 정보를 서버(2200)에 송신한다(P2505).
한편, 서버(2200)의 요구 수신부(104)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하면(P2506), 요구 해석부(2205)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해석하여(P2507), 이들의 정보가 미디어를 요구하고 있는지, 클라이언트 단말(1810)의 상태 변화를 알리고 있는지를 판단한다(P2508).
이 경우에는,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가 송신되어와 있기 때문에, 미디어를 요구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다음에, 요구 해석부(2205)는, 상태 정보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1810)의 사용할 수 있는 대역이 광대역 미디어인지 협대역 미디어인지 판단한다. 다음에, 미디어 전환/변환부(2202)가 요구 해석부(2205)에 의해 해석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미디어를 저장부(2201)로부터 선택, 또는 생성하여(P2509), 이 선택, 또는 생성한 미디어를 미디어 송신부(103)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1810)에 송신한다(P2510).
그리고, 클라이언트가 요구한 컨텐츠명(201)에 대응하는 광대역 미디어 또는 협대역 미디어에 대한 요금을 해석한다. 그리고, 과금부(2206)가 컨텐츠에 대한 요금을 클라이언트에 과금한다(P2511).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1810)의 미디어 수신부(111)가 미디어를 수신하면(P2512), 미디어 재생부(112)가 이 미디어를 재생한다(P2513).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810)의 상태 감시부(1811)는, 끊임없이 클라이언트 단말(1810)의 상태 변화를 감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태 감시부(1811)가 상태 변화를 검지한 경우에는(P2514), 상태 감시부(1811)는 요구 송신부(115)에 대하여, 변화된 상태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를 출력한다. 그리고, 이 정보를 받은 요구 송신부(115)는, 서버(2200)에 대하여, 이 정보를 송신한다(P2515).
그리고, 서버(2200)는, 이 정보를 수신하고(P2506), 해석하여(P2507), 이 정보가 미디어 배신 요구 정보가 상태 변화 정보인지 판단한다(P2508). 이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1810)로부터 송신되어 온 정보가 상태 정보만 이기 때문에, 요구 해석부(2205)는, 선택하는 미디어를 전환하는 정보를 미디어 전환/변환부(2202)에 송신한다. 그리고, 미디어 전환/변환부(2202)가 필요에 따라서 메타 데이터를 사용하여 미디어를 변환하여(P2516), 미디어의 종류를 전환한다(P2517). 그리고, 미디어 송신부(103)가 전환한 미디어를 클라이언트 단말(1810)에 송신한다(P2518).
그리고, 요구 해석부(2205)는, 전환하는 미디어에 대응하는 요금 정보를 과금부(2206)에 송신한다. 그리고, 과금부(2206)는, 전환하는 미디어에 대응하는 과금을 실행한다(P2519).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1810)은, 이 전환한 미디어를 수신하여(P2512), 재생한다(P2513).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7에 의하면, 광대역 미디어와 협대역 미디어를 배신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협대역 미디어를 미리 생성하여 저장해 두는 것이 아니라, 협대역 미디어를 생성하기 위한 메타 데이터(d2202)를 저장해 두고 클라이언트 단말의 상태 변화에 따라 생성하기 때문에, 저장부(2201)의 저장 용량이 줄어든다.
또한, 실시예 7에 의하면, 메타 데이터를 복수 대역에 대응시킴으로써, 한 개의 컨텐츠에 대하여 보다 많은 패턴의 대역용의 미디어를 배신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의 상태 변화에 대하여 미세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저장 용량은 줄어든다.
또한, 저장하는 메타 데이터의 타입으로서는, 광대역 미디어로부터, 텍스트만, 오디오만, 비디오(컬러/흑백/그레이 스케일)만, 프레임 추출 비디오(컬러/흑백), 또는 프레임 추출 비디오(컬러/흑백) 등을 생성하는 프로그램이 고려된다.
(실시예 8)
실시예 8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은, 컨텐츠마다, 컬러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뷰인 컬러 미디어와 흑백 버전의 뷰인 흑백 미디어를 마련한 것이다. 그리고, 클라이언트가 자기의 필요에 따라 미디어를 선택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미디어 배신 장치를 포함하는 미디어 배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실시예 8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 2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7은, 실시예 8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또, 이미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은, 컨텐츠 배신 서비스를 실행하는 미디어 배신자(공급자)의 서버(2600)와 휴대 단말이나 저장형 방송 단말, 가정용 게이트웨이 등의 클라이언트 단말(110)이, 공중 네트워크, 휴대 통신망 등의 네트워크(120)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즉, 미디어 배신 장치에 있는 서버(2600)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네트워크(120)를 거쳐서 미디어를 송신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서버(2600)에는, 컨텐츠의 미디어로서, 컬러 데이터로 구성된 뷰인 미디어(이하, 컬러 미디어라 함)(d2601)와, 흑백(2치) 데이터로 뿐 구성된 뷰인 미디어(이하, 흑백 미디어)(d2602)와, 컬러 미디어(d2601)와 흑백 미디어(d2602)를 관리하는 정보인 컨텐츠 관리 정보(d2611)를 저장하는 저장부(2601)가 마련되어 있다.
컬러 미디어(d2601) 및 흑백 미디어(d2602)는, 영상, 음성, 텍스트 등의 AV 스트림이며, MPEG-1, MPEG-2, MPEG-4, DV, JPEG, 또는 GIF 등의 데이터 형l식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컨텐츠 관리 정보(d2611)는, 컨텐츠 그룹을, 컨텐츠마다, 컬러 미디어(d2601) 및 흑백 미디어(d2602)로부터 추출한 일부 정보와, 요금 등을 합쳐서 관리하는 메타 데이터이다.
또한, 컨텐츠 관리 정보(d2611)는,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텐츠 ID(200)와, 컨텐츠명(201)과, 컨텐츠명(201)에 대응하는 미디어(2701)의 위치 정보(2702)와, 미디어(2701)의 시간 정보(2801)와, 컨텐츠명(201)의 미디어2701)를 배신했을 때의 요금 정보(2703)와, 미디어(2701)의 조건(2802)의 조합이 복수 저장되어 있다. 또한, 이 예로서는, 「AAA」라는 이름의 컨텐츠는, 컬러 미디어(2704)와 흑백 미디어(2705)를 갖고 있다. 도 28은 실시예 8에 따른 컨텐츠 관리 정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서버(2600)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2611)로부터, 도 29에 도시하는, 컨텐츠의 리스트 정보(2800)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전자메일이나 HTTP로 송신하는 리스트 정보 송신부(2607)가 마련되어 있다. 도 29는 실시예 8에 따른 리스트 정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리스트 정보(2800)는, 도 29으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가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에 필요한 정보이다, 컨텐츠 ID(200)와, 컨텐츠명(201)과 컨텐츠의 시간 정보(2801)와, 컨텐츠를 배신한 경우의 요금 정보(2703)와, 컨텐츠에 대응하는 미디어의 조건(종류)(2802)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110)에는, 서버(2600)로부터 송신되어 온 리스트 정보(2800)를 수신하는 리스트 정보 수신부(116)와, 수신한 리스트 정보(2800)를 표시하는 리스트 정보 표시부(117)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10)에는, 리스트 정보(2800)로부터 소망 컨텐츠의 소망 미디어 배신을 요구하는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입력하는 조작 입력부(113)가 마련되어 있다. 클라이언트는,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컬러 미디어 배신인지 흑백 미디어 배신인지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10)에는,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입력된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서버(2600)에 송신하는 요구 송신부(115)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서버(2600)에는, 클라이언트 단말(110)로부터 송신되어 온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하는 요구 수신부(10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서버(2600)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2611)를 참조함으로써, 수신한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명(201), 미디어(2701)의 위치 정보(2702), 요금 정보(2703) 등의 정보를 해석하는 요구 해석부(2605)가 마련되어 있다. 요구 해석부(2605)는,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로부터, 클라이언트가 컬러 미디어 배신 또는 흑백 미디어 배신의 어느 쪽을 요구하고 있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요구 해석부(2605)는, 컨텐츠 관리 정보(d2611)를 참조하여, 클라이언트가 선택한, 컬러 미디어 또는 흑백 미디어 중 어느 하나의 위치 정보(2702) 및, 그 요금 정보(2703)를 해석하여, 미디어 선택부(2602) 및 과금부(2606)에 해석 결과를 송신한다.
또한, 서버(2600)는, 요구 해석부(2605)가 해석한 요금 정보에 근거하여,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과금하는 과금부(2606)가 마련되어 있다. 과금부(2606)는, 과금하는 요금을 클라이언트의 구좌로부터 인출하는 처리를 한다.
또한, 서버(2600)에는, 요구 해석부(2605)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해석한 결과로부터, 클라이언트가 요구하는 컨텐츠명의 컬러 미디어 또는 흑백 미디어를 선택하여, 저장부(2601)로부터 추출하는 미디어 선택부(2602)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서버(2600)에는, 미디어 선택부(2602)에서 선택된 컬러 미디어 또는 흑백 미디어를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송신하는 미디어 송신부(103)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110)에는, 송신되어 온 컬러 미디어 또는 흑백 미디어를 수신하는 미디어 수신부(111)와, 수신한 컬러 미디어 또는 흑백 미디어를 재생하는 미디어 재생부(112)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 실시예 8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 3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0은 실시예 8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우선, 서버(2600)의 리스트 정보 송신부(2607)가 컨텐츠 관리 정보(d2611)로부터 리스트 정보(2800)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송신한다(P2901).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110)의 리스트 정보 수신부(116)가 이 리스트 정보(2800)를 수신하면(P2902), 리스트 정보 표시부(117)가 리스트 정보(2800)를 표시한다(P2903). 다음에, 클라이언트는, 이 리스트 정보 표시부(117)에 표시한 리스트 정보(2800)를 참조하여, 우선, 소망하는 컨텐츠명(201) 및 소망하는 미디어 유형을 선택하고,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소망하는 컨텐츠명(201)의 미디어를 소망하는 미디어 유형으로 요구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입력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가, 이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입력하면(P2904), 요구 송신부(115)가 이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서버(2600)에 송신한다(P2905).
한편, 서버(2600)의 요구 수신부(104)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하면(P2906), 요구 해석부(2605)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해석하여, 어떤 이름의 컨텐츠명의 미디어를 어떤 미디어 유형으로 배신 요구하고 있는 것인가 판단한다(P2907).
다음에, 미디어 선택부(2602)가, 컨텐츠 관리 정보(d2611)를 참조하여, 클라이언트가 요구한 미디어 유형으로 클라이언트가 요구한 컨텐츠명(201)의 미디어의 위치2702)를 추출한다. 그리고, 미디어 선택부(2602)가 추출한 위치(2702)에 위치하는 미디어를 저장부(2601)로부터 선택한다(P2908). 그리고, 미디어 송신부(103)가, 이 선택한 미디어를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송신한다(P2909).
그리고,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가 흑백 미디어 배신을 요구하고 있는 경우에는, 과금부(2606)는 컨텐츠 관리 정보(d2611)를 참조하여, 흑백 미디어에 대응하는 과금을 실행한다. 또한,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가 컬러 미디어 배신을 요구하고 있는 경우에는, 과금부(2606)는 컨텐츠 관리 정보(d2611)를 참조하여, 컬러 미디어에 대응하는 과금을 실행한다(P2910).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110)은, 미디어 수신부(111)가 송신되어 온 미디어를 수신하여(P2911), 미디어 재생부(112)가 미디어를 재생한다(P2912).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8에 의하면,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컬러 미디어와 흑백 미디어를 배신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클라이언트가 자기의 필요에 맞게, 컬러 미디어와 흑백 미디어를 선택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는 단말의 능력이 낮은 경우는 흑백 미디어를 선택하고, 단말의 능력이 높은 경우는 컬러 미디어를 선택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단말의 능력이 낮은 것에 관계없이, 불필요하게 데이터량이 많고 또한 고가인 컬러의 미디어 배신을 받을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당연한 일이지만 클라이언트는, 미디어에 대한 흥미나 경제면을 가미하여, 좋아하는 타입의 미디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그레이 스케일, 2치, 다치, n색 등의 조합이나, 3개 이상의 조합도 가능하다.
또, 실시예 8에서는, 클라이언트가, 컬러 미디어 배신이 흑백 미디어 배신인지를 선택하는 입력을 하는 형태로 설명했지만, 클라이언트 단말(110)의 데이터 통신 능력을 입력하는 형태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요구 해석부(2605)가 클라이언트 단말(110)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 통신 능력 정보를 해석하여, 자동적으로 컬러 미디어 또는 흑백 미디어를 배신할지 결정한다.
(실시예 9)
실시예 9는, 실시예 8을 개량한 것이다. 즉, 실시예 8에서는 미리 컬러 미디어와 흑백 미디어를 생성하여 저장해 두었지만, 실시예 9는, 컬러 미디어만을 저장하고, 흑백 미디어나 그 밖의 타입의 미디어를 다이나믹하게 생성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9에서는, 컬러 미디어로부터 흑백 미디어나 그 밖의 미디어를 생성하기 위한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여, 필요에 따라서 사용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따른 미디어 배신 장치를 포함하는 미디어 배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실시예 9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 3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1은, 실시예 9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또, 이미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서버(3000)에는, 컨텐츠의 미디어로서, 컬러 미디어(d2601)와, 컬러 미디어(d2601)를 흑백 미디어나 그 밖의 타입의 미디어로 변환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메타 데이터(d3002)와, 컬러 미디어(d2601)와, 메타 데이터(d3002)를 관련지어 관리하는 컨텐츠 관리 정보(d3011)를 저장하는 저장부(300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메타 데이터(d3002)는, MPEG-7의 메타 데이터가 이용된다. 메타 데이터(d3002)는, 개개의 컨텐츠에 대한 처리 방법을 포함하는 컨텐츠 기술이다. 이 예에서는, 개개의 컨텐츠에 대한 처리 방법으로서, 컬러 미디어로부터 흑백 미디어나 그 밖의 타입의 미디어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컨텐츠 관리 정보(d3011)에는, 메타 데이터가 이용된다. 또한, 컨텐츠 관리 정보(d3011)는, 컨텐츠 그룹을, 컨텐츠마다, 컬러 미디어(d2601) 및 메타 데이터(d3002)로부터 추출한 일부 정보와, 요금 등을 합쳐서 관리하는 메타 데이터이다.
또한, 컨텐츠 관리 정보(d3011)는,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텐츠 ID(200)와, 컨텐츠명(201)과, 컨텐츠 ID(200)에 대응하는 컬러 미디어(3101)의 위치 정보(3102)와, 컬러 미디어(3101)의 시간 정보(2801)와, 컨텐츠 ID(200)의 컬러 미디어(3101)를 배신했을 때의 요금 정보(3103)와, 컨텐츠 ID(200)에 대응하는 메타 데이터(3104)의 위치 정보(3105)와, 메타 데이터(3104)를 이용하여 생성한 그 밖의 미디어를 배신했을 때의 요금 정보(3106)와, 메타 데이터(3104)에 변경이 있는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변경 키(3107)와, 메타 데이터(3104)에 의해서 생성되는 미디어의 조건(2802)의 조합이 복수 저장되어 있다. 또한, 한 개의 컨텐츠에 대하여 복수의 유형의 미디어를 생성할 수 있도록, 메타 데이터(3104)에 복수의 변경을 마련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AAA」라는 컨텐츠에는, 3개의 변경이 마련되어 있다. 도 32는, 실시예 9에 따른 컨텐츠 관리 정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서버(3000)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3011)로부터, 도 33에 도시하는, 컨텐츠의 리스트 정보(3200)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송신하는 리스트 정보 송신부(3007)가 마련되어 있다. 도 33은, 실시예 9에 따른 리스트 정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리스트 정보(3200)는, 도 33으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가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에 필요한 정보인, 컨텐츠 ID(200)와, 컨텐츠명(201)과, 컨텐츠의 시간 정보(3201)와, 컨텐츠를 배신한 경우의 요금 정보(3203)와, 컨텐츠에 대응하는 미디어의 조건(종류)(3202)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110)은, 서버(3000)로부터 송신되어 온 리스트 정보(3200)를 수신하는 리스트 정보 수신부(116)와, 수신한 리스트 정보(3200)를 표시하는 리스트 정보 표시부(117)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10)에는, 리스트 정보(3200)로부터 소망 컨텐츠의 소망하는 미디어 배신을 요구하는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입력하는 조작 입력부(113)가 마련되어 있다. 클라이언트는,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컬러 미디어 배신인지 흑백 미디어 배신인지 그 밖의 미디어 배신인지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10)에는,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입력된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서버(3000)에 송신하는 요구 송신부(115)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서버(3000)에는, 클라이언트 단말(110)로부터 송신되어 온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하는 요구 수신부(10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서버(3000)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3011)를 참조함으로써, 수신한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명(201), 미디어(3101)의 위치 정보(3102), 요금 정보(3103) 등의 정보를 해석하는 요구 해석부(3005)가 마련되어 있다. 요구 해석부(3005)는,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로부터, 클라이언트가 컬러 미디어, 흑백 미디어, 그 밖의 미디어의 어떤 미디어의 배신을 요구하고 있는지 판단한다.
또한, 요구 해석부(3005)는,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가 컬러 미디어 요구인 경우, 컨텐츠 관리 정보(d3011)을 참조하여, 컬러 미디어(d2601)의 위치 정보(3102) 및, 그 요금 정보(3103)를 해석하여, 미디어 선택/변환부(3002) 및 과금부(3006)에 해석 결과를 송신한다.
한편, 요구 해석부(3005)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가 컬러 미디어 이외의 미디어 요구인 경우, 컨텐츠 관리 정보(d3011)를 참조하여, 메타 데이터(3104)의 위치 정보(3105), 요금 정보(3106) 등의 정보를 해석하여, 미디어 선택/변환부(3002) 및 과금부(3006)에 해석 결과를 송신한다.
또한, 서버(3000)는, 요구 해석부(3005)가 해석한 요금 정보에 근거하여,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과금하는 과금부(3006)가 마련되어 있다. 과금부(3006)는, 과금하는 요금을 클라이언트의 구좌로부터 인출하는 처리를 한다.
또한, 서버(3000)에는, 요구 해석부(3005)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해석한 결과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의 배신 희망 컨텐츠의 컬러 미디어(d2601)를 저장부(3001)로부터 추출, 또는 클라이언트의 배신 희망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d3002)를 저장부(3001)로부터 추출하여 컬러 미디어(d2601)로부터 흑백 미디어 또는 그 밖의 유형의 미디어를 생성하는 미디어 선택/변환부(3002)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서버(3000)에는, 미디어 선택/변환부(3002)에서 선택된 컬러 미디어(d2601) 또는 생성한 흑백 미디어 또는 그 밖의 유형의 미디어를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송신하는 미디어 송신부(103)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110)에는, 송신되어 온 컬러 미디어(d2601) 또는 생성한 흑백 미디어 또는 그 밖의 유형의 미디어를 수신하는 미디어 수신부(111)와, 수신한 컬러 미디어(d2601) 또는 생성한 흑백 미디어 또는 그 밖의 유형의 미디어를 재생하는 미디어 재생부(112)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 실시예 9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 3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4는, 실시예 9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우선, 서버(3000)의 리스트 정보 송신부(3007)가 컨텐츠 관리 정보(d3011)로부터 리스트 정보(3200)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송신한다(P3301).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110)의 리스트 정보 수신부(116)가 이 리스트 정보(3200)를 수신하면(P3302), 리스트 정보 표시부(117)가 리스트 정보(3200)를 표시한다(P3303). 다음에, 클라이언트는, 이 리스트 정보 표시부(117)에 표시한 리스트 정보(3200)를 참조하여, 우선, 소망하는 컨텐츠명(201) 및 소망하는 미디어 유형을 선택하여,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소망하는 컨텐츠명(201)의 미디어를 소망하는 미디어 유형으로 요구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입력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가, 이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입력하면(P3304), 요구 송신부(115)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서버(3000)에 송신한다(P3305).
한편, 서버(3000)의 요구 수신부(104)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하면(P3306), 요구 해석부(3005)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해석하여, 어떤 이름의 컨텐츠명의 미디어를 어떤 미디어 유형으로 배신 요구하고 있는 것인지 판단한다(P3307).
다음에, 미디어 선택/변환부(3002)는,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근거하여 미디어의 유형을 선택하여, 필요에 따라서 변환한다(P3308).
구체적으로는, 클라이언트가 요구한 미디어의 유형이 컬러 미디어인 경우에는, 미디어 선택/변환부(3002)는 컨텐츠 관리 정보(d3011)를 참조하여, 클라이언트가 요구한 컨텐츠명(201)의 컬러 미디어(3101)의 위치(3102)를 추출한다. 그리고, 미디어 선택/변환부(3002)가 추출한 위치(3102)에 위치하는 미디어를 저장부(3001)로부터 선택한다.
한편, 클라이언트가 요구한 미디어의 유형이 컬러 미디어 이외의 경우에는,미디어 선택/변환부(3002)는 컨텐츠 관리 정보(d3011)를 참조하여, 클라이언트가 요구한 컨텐츠명(201)의 컬러 미디어(3101)의 위치(3102), 및클라이언트의 요구에 대응하는 미디어 유형로 변환하는 메타 데이터를 추출한다. 그리고, 미디어 선택/변환부 3002)는, 추출한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컬러 미디어를 변환한다.
그리고, 미디어 송신부(103)가, 이 생성한 미디어를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송신한다(P3309).
그리고, 과금부(3006)가, 컨텐츠 관리 정보(d3011)를 참조하여, 미디어 유형에 대응하는 과금을 실행한다(P3310).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110)은 미디어 수신부(111)가, 송신되어 온 미디어를 수신하여(P3311), 미디어 재생부(112)가 미디어를 재생한다(P3312).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9에 의하면, 실시예 8에서 얻어지는 효과는 물론, 흑백 미디어나 그 밖의 유형의 미디어를 미리 생성하여 저장해 두는 것이 아니라, 흑백 미디어나 그 밖의 유형의 미디어를 컬러 미디어로부터 생성하기 위한 메타 데이터(d3002)를 저장해 두고 클라이언트 단말의 상태 변화에 따라 흑백 미디어나 그 밖의 유형의 미디어 생성하기 때문에, 저장부(3001)의 저장 용량이 줄어든다.
또한, 실시예 9에 의하면, 메타 데이터에 복수의 변경을 가지게 함으로써 한 개의 컨텐츠에 대하여 보다 많은 패턴의 미디어를 배신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클라이언트의 미디어 요구에 대하여 미세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저장 용량은 줄어든다.
또한, 메타 데이터의 변경의 유형으로서는, 컬러 미디어로부터, 텍스트만, 오디오만, 비디오(컬러/흑백)만, 프레임 추출 비디오(컬러/흑백), 또는 프레임 추출 비디오(컬러/흑백) 등을 생성하는 프로그램이 고려된다.
또, 한 개의 메타 데이터에 복수의 변경을 갖게 하지 않고, 한 개의 변경을 갖는 메타 데이터를 복수 저장하는 형태이더라도 좋다.
(실시예 10)
실시예 10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은, 컨텐츠마다, 평론가가 작성한 미디어 요약과 아이돌이 작성한 미디어 요약을 마련한 것이다. 그리고, 클라이언트가 자기의 필요에 맞게, 좋아하는 미디어 요약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따른 미디어 배신 장치를 포함하는 미디어 배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실시예 10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 3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5는, 실시예 10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또, 이미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은, 컨텐츠 배신 서비스를 실행하는 미디어 배신자(공급자)의 서버(3400)와 휴대 단말이나 저장형 방송 단말, 가정용 게이트웨이 등의 클라이언트 단말(110)이, 공중 네트워크, 휴대 통신망 등의 네트워크(120)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즉, 미디어 배신 장치에 있는 서버(3400)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네트워크(120)를 거쳐서 미디어의 송신을 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서버(3400)에는, 컨텐츠의 미디어로서, 평론가가 작성한 미디어 요약(이하, 평론가 요약이라 함)(d3401)과, 아이돌이 작성한 미디어 요약(이하, 아이돌 요약이라 함)(d3402)과, 평론가 요약(d3401)와 아이돌 요약(d3402)를 관리하는 정보인 컨텐츠 관리 정보(d3411)를 저장하는 저장부(3401)가 마련되어 있다.
평론가 요약(d3401) 및 아이돌 요약(d3402)은, 영상, 음성, 텍스트 등의 AV 스트림이며, MPEG-1, MPEG-2, MPEG-4, 또는 DV 등의 데이터 형식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컨텐츠 관리 정보(d3411)에는, 메타 데이터가 이용된다. 또한, 컨텐츠 관리 정보(d3411)는, 컨텐츠 그룹을, 컨텐츠마다, 평론가 요약(d3401) 및 아이돌 요약(d3402)으로부터 추출한 일부 정보와, 요금 등을 합쳐서 관리하는 메타 데이터이다.
또한, 컨텐츠 관리 정보(d3411)는,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텐츠 ID(200)와, 컨텐츠명(201)과, 컨텐츠 ID(200)에 대응하는 평론가 요약(3501)의 위치 정보(3502)와, 그 시간 정보(3507)와, 그 요금 정보(3503)와, 아이돌 요약(3504)의 위치 정보(3505)와, 그 시간 정보(3508)와, 그 요금 정보(3506)의 조합이 복수 저장되어 있다. 도 36은, 실시예 10에 따른 컨텐츠 관리 정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서버(3400)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3411)로부터, 도 37에 도시하는, 컨텐츠의 리스트 정보(3600)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전자메일이나 HTTP로 송신하는 리스트 정보 송신부(3407)가 마련되어 있다. 도 37은, 실시예 10에 따른 리스트 정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리스트 정보(3600)는, 도 37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가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에 필요한 정보이다, 컨텐츠 ID(200)와, 컨텐츠명(201)과 컨텐츠의 시간 정보(3601)와, 미디어 요약의 버전(종별)(3602)과, 컨텐츠를 배신한 경우의 요금인 요금 정보(3603)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110)은, 서버(3400)로부터 송신되어 온 리스트 정보(3600)를 수신하는 리스트 정보 수신부(116)와, 수신한 리스트 정보(3600)를 표시하는 리스트 정보 표시부(117)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10)에는, 리스트 정보(3600)로부터 소망 컨텐츠의 소망하는 미디어 요약배신을 요구하는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입력하는 조작 입력부(11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10)에는,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입력된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서버(3400)에 송신하는 요구 송신부(115)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서버(3400)에는, 클라이언트 단말(110)로부터 송신되어 온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하는 요구 수신부(10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서버(3400)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3411)를 참조함으로써, 수신한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명(201), 미디어 요약(3501, 3504)의 위치 정보(3502, 3505), 요금 정보(3503, 3506) 등의 정보를 해석하는 요구 해석부(3405)가 마련되어 있다. 요구 해석부(3405)는,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로부터, 클라이언트가 평론가 요약 또는 아이돌 요약의 어느쪽의 배신을 요구하고 있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요구 해석부(3405)는, 컨텐츠 관리 정보(d3411)를 참조하여 선택한,평론가 요약 또는 아이돌 요약의 어느 하나의 위치 정보(3502, 3505), 그 요금 정보(3503, 3506)를 해석하여, 미디어 선택부(3402) 및 과금부(3406)에 해석 결과를 송신한다.
또한, 서버(3400)는, 미디어의 송신 완료 후에, 요구 해석부(3405)가 해석한 요금 정보에 근거하여,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과금하는 과금부(3406)가 마련되어 있다. 과금부(3406)는, 과금하는 요금을 클라이언트의 구좌로부터 인출하는 처리를 한다.
또한, 서버(3400)에는, 요구 해석부(3405)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해석한 결과로부터, 클라이언트의 요구하는 컨텐츠명의 평론가 요약 또는 아이돌 요약을 선택하여, 저장부(3401)로부터 추출하는 미디어 선택부(3402)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서버(3400)에는, 미디어 선택부(3402)로 선택된 평론가 요약 또는 아이돌 요약을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송신하는 미디어 송신부(103)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110)에는, 송신되어 온 평론가 요약 또는 아이돌 요약을 수신하는 미디어 수신부(111)와, 수신한 평론가 요약 또는 아이돌 요약을 재생하는 미디어 재생부(112)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컨텐츠마다, 평론가 요약과 아이돌 요약을 마련했기 때문에, 클라이언트가 자기의 필요에 맞게 요약을 선택할 수 있다.
또, 실시예 10에서는, 저장부(3401)에 평론가 요약(d3401)과 아이돌 요약(d3402)과 컨텐츠 관리 정보(d3411)를 저장하는 형태로 설명했지만, 저장부(3401)에 뷰(d101)를 더 저장하는 형태이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클라이언트는, 평론가 요약(d3401)과 아이돌 요약(d3402)을 본 후에, 뷰(d101)를 볼 수 있다.
(실시예 11)
실시예 11은 실시예 10를 개량한 것이다. 즉, 실시예 10에서는 미리 평론가 요약 또는 아이돌 요약을 생성하여 저장해 두었지만, 실시예 11은, 오리지널 버전의 미디어만을 저장하여, 복수의 유형의 미디어 요약을 다이나믹하게 생성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11에서는, 오리지널 버전의 미디어로부터 복수의 유형의 미디어 요약을 생성하기 위한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여, 필요에 따라서 사용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따른 미디어 배신 장치를 포함하는 미디어 배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실시예 11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 3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8은, 실시예 11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또, 이미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서버(3700)에는, 컨텐츠의 미디어로서, 오리지널 버전의 미디어(이하, 미디어라 함)(d101)와, 뷰(d101)를 복수의 유형의 미디어 요약으로 변환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메타 데이터(d3702)와, 뷰(d101)와 메타 데이터(d3702)를 관련지어 관리하는 컨텐츠 관리 정보(d3711)를 저장하는 저장부(370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메타 데이터(d3702)는, MPEG-7의 메타 데이터가 이용된다. 메타 데이터(d3702)는, 개개의 컨텐츠에 대한 처리 방법을 포함하는 컨텐츠 기술이다. 이 예에서는, 개개의 컨텐츠에 대한 처리 방법으로서, 미디어의 어떤 위치의 화상을 추출하는가라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뷰(d101)의 소정의 부분에, 각각의 메타 데이터에 대한 추출용의 관점(키워드)를 넣어 놓음으로써 요약을 고속으로 생성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 정보(d3711)는, 컨텐츠 그룹을, 컨텐츠마다, 뷰(d101) 및 메타 데이터(d3702)로부터 추출한 일부 정보와, 요금 등을 합쳐서 관리하는 메타 데이터이다.
또한, 컨텐츠 관리 정보(d3711)는,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텐츠 ID(200)와, 컨텐츠명(201)과, 컨텐츠 ID(200)에 대응하는 미디어(3801)의 위치 정보(3802)와, 미디어(3801)의 시간 정보(3901)와, 컨텐츠명(201)에 대응하는 메타 데이터(3803)와, 메타 데이터(3803)의 위치 정보(3804)와, 메타 데이터(3803)를 이용하여 생성한 요약을 배신했을 때의 요금 정보(3805)와, 메타 데이터(3803)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요약의 버전(3902)의 조합이 복수 저장되어 있다. 또한, 한 개의 컨텐츠에 대하여 복수의 유형의 미디어를 생성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예컨대, 컨텐츠명「AAA」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메타 데이터(3803)는, 복수의 버전의 미디어가 생성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한 개의 컨텐츠에 대하여 복수의 유형의 미디어를 생성할 수 있도록, 컨텐츠명 「BBB」의 컨텐츠에는 메타 데이터(3803)를 복수 마련하고 있다. 도 39는, 실시예 11에 따른 컨텐츠 관리 정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서버(3700)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3711)로부터, 도 40에 도시하는, 컨텐츠의 리스트 정보(3900)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송신하는 리스트 정보 송신부(3707)가 마련되어 있다. 도 40는, 실시예 11에 따른 리스트 정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리스트 정보(3900)는, 도 40으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가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에 필요한 정보이다, 컨텐츠 ID(200)와, 컨텐츠명(201)과, 컨텐츠의 시간 정보(3901)와, 생성한 요약의 버전(3902)과, 그 요약을 배신한 경우의 요금 정보(3805)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110)은, 서버(3700)로부터 송신되어 온 리스트 정보(3900)를 수신하는 리스트 정보 수신부(116)와, 수신한 리스트 정보(3900)를 표시하는 리스트 정보 표시부(117)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10)에는, 리스트 정보(3900)로부터 소망 컨텐츠의 소망하는 요약 배신을 요구하는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입력하는 조작 입력부(113)가 마련되어 있다. 클라이언트는,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각종 요약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10)에는,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입력된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서버(3700)에 송신하는 요구 송신부(115)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서버(3700)에는, 클라이언트 단말(110)로부터 송신되어 온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하는 요구 수신부(10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서버(3700)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3711)를 참조함으로써, 수신한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명(201), 미디어(3801)의 위치 정보(3802), 메타 데이터(3803)의 위치 정보(3804), 요금 정보(3805) 등의 정보를 해석하는 요구 해석부(3705)가 마련되어 있다. 요구 해석부(3705)는,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로부터, 클라이언트가 요구하는 요약의 버전을 판단한다.
그리고, 요구 해석부(3705)는, 클라이언트가 요구하고 있는 요약의 요금 정보(3803)를 해석하여, 과금부(3706)에 해석 결과를 송신한다.
다음에, 요구 해석부(3705)는, 클라이언트가 요구하고 있는 요약을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메타 데이터(3803)의 위치(3804를 해석하여, 미디어 선택/변환부(3702)에 해석 결과를 송신한다.
또한, 서버(3700)는, 요구 해석부(3705)가 해석한 요금 정보에 근거하여,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과금하는 과금부(3706)가 마련되어 있다. 과금부(3706)는, 과금하는 요금을 클라이언트의 구좌로부터 인출하는 처리를 한다.
또한, 서버(3700)에는, 요구 해석부(3705)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해석한 메타 데이터(3803)의 위치(3804)를 이용해서 저장부(3701)로부터 소정의 메타 데이터(d3702)를 추출하여, 이 메타 데이터(d3702)를 이용하여 뷰(d101)를 변환함으로써 소정의 요약을 생성하는 미디어 선택/변환부(3702)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서버(3700)에는, 미디어 선택/변환부(3702)로 선택 변환된 요약을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송신하는 미디어 송신부(103)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110)에는, 송신되어 온 요약을 수신하는 미디어 수신부(111)와, 수신한 요약을 재생하는 미디어 재생부(112)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실시예 10에서 얻어지는 효과는 물론, 각종 요약을 미리 생성하여 저장해 두는 것이 아니라, 각종 요약을 미디어로부터 생성하기 위한 메타 데이터(d3702)를 저장해 두고 클라이언트 단말의 상태 변화에 따라 각종 요약을 생성하기 때문에, 저장부(3701)의 저장 용량이 줄어든다.
또한, 실시예 11에 의하면, 메타 데이터를 복수 저장함으로써, 한 개의 컨텐츠에 대하여 보다 많은 패턴의 요약을 배신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대하여 미세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저장 용량은 줄어든다..
또, 클라이언트가, 사용한 메타 데이터를 작성한 사람에 대하여, 소정의 요금을 불입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메타 데이터 생성자의, 메타 데이터 생성 의욕이 북돋워지고, 보다 좋은 메타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다.
(실시예 12)
실시예 12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은, 미디어 배신자의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미디어, 프리뷰, 및 컨텐츠 관리 정보 등의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의 저장부에 저장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측에서 미디어 선택을 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과금만은, 서버에서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하, 실시예 12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에 대하여, 도 4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1은, 실시예 12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또, 이미 설명한 부분과 동일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미디어 시스템은, 컨텐츠 배신 서비스를 실행하는 미디어 배신자(공급자)의 서버(4000)와 휴대 단말이나 저장형 방송 단말, 가정용 게이트웨이 등의 클라이언트 단말(4100)이, 공중 네트워크, 휴대 통신망 등의 네트워크(120)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즉, 미디어 배신 장치에 있는 서버(4000)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4100)에, 네트워크(120)를 거쳐서 미디어의 송신을 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서버(4000)의 저장부(101)에는, 상술한 뷰(d101), 프리뷰(d102), 컨텐츠 관리 정보(d111)가 저장되어 있다. 이들의 정보는, 네트워크(120)를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4100)에 송신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4100)은, 송신되어 온 뷰(d101), 프리뷰(d102), 컨텐츠 관리 정보(d111)를 저장부(4101)에 저장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의 조작에 의해, 컨텐츠 관리 정보(d111)가 리스트 정보 생성부(4102)에 송신된다. 리스트 정보 생성부(4102)는, 컨텐츠 관리 정보(d111)로부터 도 3에 나타내는 리스트 정보(300)를 생성하여, 리스트 정보 표시부(117)에 송신한다. 리스트 정보 표시부(117)는, 이 리스트 정보(300)를 표시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는 이 표시된 리스트 정보를 보면서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소망하는 컨텐츠의 프리뷰 또는 미디어를 선택하여, 입력한다. 그리고 입력된 정보는, 요구 해석부(105)에 보내여진다. 그리고, 요구 해석부(105)는, 이 정보를 해석하여, 해석 결과를 미디어 선택부(102)에 보낸다. 그리고, 미디어 선택부(102)는, 이 해석 결과에 근거하여 프리뷰 또는 미디어를 선택해서 미디어 재생부(112)에 보내어, 미디어 재생부(112)에서 재생된다.
한편, 조작 입력부(113)로 입력된 정보는, 요구 송신부(115)를 거쳐서, 서버(4000)에도 보내어진다. 그리고, 서버(4000)가, 이 정보를 요구 수신부(104)에서 수신하여, 과금부(4006)에 보낸다. 그리고, 과금부(4006)가 이 정보를 해석하고, 또한 컨텐츠 관리 정보(d111)를 참조하여, 클라이언트가 선택한 미디어에 대한 과금을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2에 의하면, 클라이언트 단말측에서 미디어나 프리뷰를 선택하고, 재생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서버에 액세스하지 않더라도 미디어나 프리뷰의 재생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고속으로 재생할 수 있다.
또, 실시예 12는, 실시예 1을 응용하는 형태로 설명했지만, 실시예 2로부터 실시예 11의 어떤 형태를 응용하더라도 좋다.
(실시예 13)
실시예 13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은, 미디어 배신자의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미디어, 프리뷰, 및 컨텐츠 관리 정보 등의 정보를 클라이언트의 프라이버시 서버에 저장하여, 프라이버시 서버에 실시예 1에 따른 미디어 배신자의 서버 기능을 갖게 한 것이다. 또한, 미디어 배신자의 서버 과금만은, 서버에서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하, 실시예 13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에 대해서, 도 4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2는, 실시예 13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또, 이미 설명한 부분과 동일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미디어 시스템은, 컨텐츠 배신 서비스를 실행하는 미디어 배신자(공급자)의 서버(4000)와, 클라이언트의 프라이버시 서버가, 네트워크(120)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의 프라이버시 서버와, 클라이언트 단말(110)이, 공중 네트워크, 휴대 통신망, 홈 네트워크 등의 네트워크(120)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서버(4000)의 저장부(101)에는, 상술한 뷰(d101), 프리뷰(d102), 컨텐츠 관리 정보(d111)가 저장되어 있다. 이들의 정보는, 네트워크(120)를 거쳐서, 클라이언트서버(4200)에 송신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서버(4200)는, 송신되어 온 뷰(d101), 프리뷰(d102), 컨텐츠 관리 정보(d111)를 저장부(4201)에 저장한다.
그리고, 컨텐츠 관리 정보(d111)가 리스트 정보 송신부(107)에 송신되어, 리스트 정보(300)와,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송신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110)이 리스트 정보(300)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동작을 하여, 클라이언트 서버(4200)가 실시예 1의 서버(100)와 같은 처리를 한다. 이것에 의해, 클라이언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과금에 관해서는, 클라이언트 단말(110)로부터 송신된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가, 직접 서버(4000)에 보내어진다. 그리고, 서버(4000)가, 이 정보를 요구 수신부(104)에서 수신하여, 과금부(4006)에 보낸다. 그리고, 과금부(4006)가 이 정보를 해석하고, 또한 컨텐츠 관리 정보(d111)를 참조하여, 클라이언트가 선택한 미디어에 대한 과금을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3에 의하면, 클라이언트의 서버(4200)에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미디어 배신자의 서버와 같은 동작을 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의 서버(4200)와 클라이언트 단말(110)을, LAN 등의 가정내 네트워크로 접속함으로써, 서버에 액세스하지 않더라도 미디어나 프리뷰를 재생할 수 있기 때문에, 고속으로 재생할 수 있다.
또, 실시예 13은, 실시예 1을 응용하는 형태로 설명했지만, 실시예 2로부터 실시예 11의 어떤 형태를 응용하더라도 좋다.
(실시예 14)
실시예 14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은, 클라이언트가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얻고 나서, 실제로 컨텐츠의 배신을 요구하기까지의 시간에 따라 과금 요금을 바꾸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4에 따른 미디어 배신 장치를 포함하는 미디어 배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실시예 14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 4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3은, 실시예 14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또, 이미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은, 컨텐츠 배신 서비스를 실행하는 미디어 배신자(공급자)의 서버(4300)와 휴대 단말이나 저장형 방송 단말, 가정용 게이트웨이 등의 클라이언트 단말(110)이, 공중 네트워크, 휴대 통신망 등의 네트워크(120)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즉, 미디어 배신 장치에 있는 서버(4300)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네트워크(120)를 거쳐서 미디어의 송신을 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서버(4300)에는, 컨텐츠의 오리지널의 미디어인 뷰(d101)와 컨텐츠를 관리하는 정보인 컨텐츠 관리 정보(d4311)를 저장하는 저장부(430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컨텐츠 관리 정보(d4311)는, 도 4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텐츠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인 컨텐츠 ID(200)와, 컨텐츠명(201)과, 컨텐츠 ID(200)에 대응하는 뷰(202)의 위치 정보인 위치(204)와, 사용자가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나서 실제로 컨텐츠의 배신 요구를 하기까지의 액세스 시간 임계값(4401)과, 액세스 시간 임계값(4401)에 따른 과금 정보(4402)의 조합이 복수 저장되어 있다.
도면으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컨텐츠명이 「AAA」인 미디어는, 액세스 시간이 짧을수록 과금이 싸지게 되어 있다. 즉, 사용자는, 일찍이 액세스하면 할 인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컨텐츠명이 「BBB」인 미디어는, 액세스 시간이 길수록 과금이 싸지게 되어 있다. 즉, 사용자는, 느리게 액세스하면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세스 시간이 길수록 과금이 싸게 되도록 하는 것은, 뉴스 등 실시간성이 높은 미디어나, 영화 등과 같이 신작일수록 가치가 있는 미디어에 대한 과금 방법으로서 유효하다. 또한, 액세스 시간 임계값(4401)의 단위는, 컨텐츠의 가치가 변하는 특성에 따라 정하도록 한다. 예컨대, 영화 등과 같이, 컨텐츠의 가치가 일 수(日數) 단위로 변하는 것에는, 액세스 시간 임계값(4401)의 단위를 일수 단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컨텐츠의 가치가 초 단위나 분 단위 등으로 빠르게 변하는 것에는, 액세스 시간 임계값(4401)의 단위를 초단위나 분단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컨텐츠 관리 정보(d4311)에는, 미디어(d101)의 컨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메타 데이터가 이용된다. 또, 도 44는, 실시예 14에 따른 컨텐츠 관리 정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서버(4300)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4311)로부터, 도 45에 도시하는, 컨텐츠의 리스트 정보(4500)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송신하는 리스트 정보 송신부(4307)가 마련되어 있다. 도 45는, 실시예 14에 따른 리스트 정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리스트 정보(4500)는, 도 45으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가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에 필요한 정보이다, 컨텐츠명(201)과, 액세스 시간 임계값(4401)과, 액세스 시간 임계값(4401)에 대한 과금 정보(4402)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110)은, 서버(4300)로부터 송신되어 온 리스트 정보(4500)를 수신하는 리스트 정보 수신부(116)와, 수신한 리스트 정보(4500)를 표시하는 리스트 정보 표시부(117)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10)에는, 리스트 정보(4500)로부터 소망 컨텐츠의 배신을 요구하는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입력하는 조작 입력부(11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10)에는,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입력된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서버(4300)에 송신하는 요구 송신부(115)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서버(4300)에는, 클라이언트 단말(110)로부터 송신되어 온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하는 요구 수신부(10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서버(4300)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4311)를 참조함으로써, 수신한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명(201), 미디어(202)의 위치 정보(204) 등의 정보를 해석하는 요구 해석부(4305)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요구 해석부(4305)는,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의 해석 결과를 미디어 선택부(4302), 과금부(4306)에 송신한다.
미디어 선택부(4302)는, 송신되어 온 해석 결과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뷰(d101)로부터 추출하여, 미디어 송신부(103)에 송신한다. 또한, 미디어 송신부(103)는, 송신되어 온 뷰를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송신한다.
또한, 서버(4300)는, 리스트 정보 송신부(4307)가 리스트 정보를 송신한 시간과, 요구 수신부(104)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한 시간을 비교하는 시간 비교부(4308)가 마련되어 있다. 시간 비교부(4308)는, 비교한 시간 비교 결과를 과금부(4306)에 송신한다.
과금부(4306)는, 시간 비교부(4308)로부터 송신되어 온 시간 비교 결과와, 요구 해석부(4305)로부터 송신되어 온 컨텐츠 배신 요구의 해석 결과에 근거하여, 컨텐츠의 배신시에 과금하는 요금을 결정하여, 과금한다. 구체적으로는, 과금부(4306)는, 컨텐츠 관리 정보(d4311)를 참조하여, 송신하는 컨텐츠에 대한 액세스 시간 임계값(4401)의 일람으로부터, 시간 비교부(4308)로부터 송신되어 온 시간 비교 결과에 대응하는 액세스 시간 임계값(4401)을 결정한다. 그리고, 과금부(4306)는, 결정한 액세스 시간 임계값(4401)에 대한 과금 정보(4402)를 추출하여, 과금정보(4402)에 따른 과금을 한다.
이하, 실시예 14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 4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6은, 실시예 14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우선, 서버(4300)의 리스트 정보 송신부(4307)가 컨텐츠 관리 정보(d4311)로부터 리스트 정보(4500)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송신한다(P4601).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110)의 리스트 정보 수신부(116)가 이 리스트 정보(4500)를 수신하면(P4602), 리스트 정보 표시부(117)가 리스트 정보(4500)를 표시한다(P4603). 다음에, 클라이언트는, 이 리스트 정보 표시부(117)에 표시한 리스트 정보(4500)를 참조하여, 소망하는 컨텐츠명(201)을 선택하여,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소망하는 컨텐츠명(201)의 미디어를 요구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입력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가, 이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입력하면(P4604), 요구 송신부(115)가 이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서버(4300)에 송신한다(P4605).
한편, 서버(4300)의 요구 수신부(104)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하면(P4607), 요구 해석부(4305)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해석하여, 어떤 컨텐츠명의 미디어를 배신 요구하고 있는 것인지 판단한다(P4608).
다음에, 미디어 선택부(4302)는,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기초를 둔 미디어를 선택한다(P4609).
다음에, 시간 비교부(4308)가, 리스트 정보 송신부(4307)가 리스트 정보를송신한 시간과, 요구 수신부(104)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한 시간을 비교하여, 비교한 시간 결과를 과금부(4306)에 송신한다(P4610).
다음에, 과금부(4306)가, 요구 해석부(4305)로부터 송신되어 온 컨텐츠 배신 요구에 대하여, 시간 비교부(4308)로부터 송신되어 온 시간 비교 결과에 따른 과금을 실행한다(P4611).
그리고, 미디어 송신부(103)가, (P4609)에서 선택한 미디어를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송신한다(P4610).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110)은, 미디어 수신부(111)가 송신되어 온 미디어를 수신하여(P4613), 미디어 재생부(112)가 미디어를 재생한다(P4614).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4에 의하면, 클라이언트가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얻고 나서, 실제로 컨텐츠의 배신을 요구하기까지의 시간에 따라 과금 요금을 바꾸도록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클라이언트가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얻고 나서, 실제로 컨텐츠의 배신을 요구하기까지의 시간이 짧을 수록 과금이 싸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결과, 클라이언트가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얻고 나서, 빠르게 컨텐츠의 배신을 요구하게 된다. 즉, 컨텐츠 배신측은, 컨텐츠의 배신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가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얻고 나서, 실제로 컨텐츠의 배신을 요구하기까지의 시간이 길수록 싸게 하는 것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세스 시간이 길수록 과금이 싸게 되도록 하는 것은, 뉴스 등 실시간성이 높은 미디어나, 영화 등과 같이 신작일수록 가치가 있는 미디어에 대한 과금 방법으로서 유효하다.이것은, 오래되어 가치가 내려 간 미디어도 값이 싸져, 클라이언트가 이 미디어의 배신을 요구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실시예 14에서는, 미디어 송신의 후에 과금을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과금 오류나 클라이언트의 잔금 부족 등의 이유로 과금을 할 수 없던 경우에, 미디어를 송신해 버린다고 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사용자에 제시하는 리스트 정보에 현재의 요금으로 이용할 수 있는 남아 시간 정보를 카운트다운 하도록 표시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몇 초 후에 컨텐츠 요금이 올라가는 것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그 시간 내에 컨텐츠의 배신을 요구하게 된다. 이 결과, 컨텐츠 배신을 촉진할 수 있다.
(실시예 15)
실시예 15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은, 클라이언트가 컨텐츠의 프리뷰를 요구하고 나서, 컨텐츠의 미디어 배신을 요구하기까지의 시간에 따라 과금 요금을 바꾸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5에 따른 미디어 배신 장치를 포함하는 미디어 배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실시예 15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 4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7은, 실시예 15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또, 이미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은, 컨텐츠 배신 서비스를 실행하는 미디어 배신자(공급자)의 서버(4700)와 휴대 단말이나 저장형 방송 단말, 가정용 게이트웨이 등의 클라이언트 단말(110)이, 공중 네트워크, 휴대 통신망 등의 네트워크(120)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서버(4700)의 저장부(4701)에는, 컨텐츠마다, 다른 형태의 미디어로서 오리지널의 미디어인 뷰(d101)와, 뷰(d101)에 관련되는 정보인 컨텐츠의 프리뷰(요약 영상)(d102)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컨텐츠 관리 정보(d4711)는, 도 4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텐츠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인 컨텐츠 ID(200)와, 컨텐츠명(201)과, 컨텐츠 ID(200)에 대응하는 뷰(202)의 위치 정보인 위치(204)와, 사용자가 프리뷰를 수신하고 나서 뷰의 배신 요구를 하기까지의 액세스 시간(4801)과, 액세스 시간(4801)에 따른 과금 정보 4802)와, 컨텐츠 ID(200)에 대응하는 프리뷰(203)의 위치 정보(206)와, 프리뷰(203)의 재생 시간 정보인 시간 정보(302)의 조합이 복수 저장되어 있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컨텐츠명이 「AAA」인 미디어는, 액세스 시간(4801)이 짧을 수록 과금이 싸지게 되어 있다. 즉, 사용자는, 프리뷰를 수신한 후, 빠르게 뷰의 배신을 요구하면 할인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컨텐츠명이 「BBB」인 미디어는, 액세스 시간(4801)이 길수록 과금이 싸지게 되어 있다. 즉, 사용자는, 프리뷰를 수신한 후, 시간을 두고 뷰의 배신을 요구하면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세스 시간이 길수록 과금이 싸지게 하는 것은, 뉴스 등 실시간성이 높은 미디어나, 영화 등과 같이 신작일수록 가치가 있는 미디어에 대한 과금 방법으로서 유효하다.
또한, 컨텐츠 관리 정보(d4711)에는, 미디어(d101)의 컨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메타 데이터가 이용된다. 또, 도 48은, 실시예 15에 따른 컨텐츠 관리 정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서버(4700)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4711)로부터, 도 49에 도시하는, 컨텐츠의 리스트 정보(4900)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송신하는 리스트 정보 송신부(4707)가 마련되어 있다. 도 49는, 실시예 15에 따른 리스트 정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리스트 정보(4900)는, 도 49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가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에 필요한 정보이다, 컨텐츠명(201)과, 액세스 시간(4801)과, 액세스 시간(4801)에 대한 과금 정보(4802)와, 프리뷰의 시간(302)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110)은, 서버(4700)로부터 송신되어 온 리스트 정보(4900)를 수신하는 리스트 정보 수신부(116)와, 수신한 리스트 정보(4900)를 표시하는 리스트 정보 표시부(117)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10)에는, 리스트 정보(4900)로부터 소망 컨텐츠의 소망하는 미디어 배신을 요구하는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입력하는 조작 입력부(11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10)에는,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입력된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서버(4700)에 송신하는 요구 송신부(115)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서버(4700)에는, 클라이언트 단말(110)로부터 송신되어 온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하는 요구 수신부(10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서버(4700)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4711)를 참조함으로써, 수신한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명(201), 미디어(202)의 위치 정보(204), 프리뷰(203)의 위치 정보(206) 등의 정보를 해석하는 요구 해석부(105)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요구 해석부(105)는,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의 해석 결과를 미디어 선택부(102), 과금부(4706)에 송신한다.
미디어 선택부(102)는, 송신되어 온 해석 결과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뷰를 뷰(d101)로부터, 프리뷰를 프리뷰(d102)로부터 추출하여, 미디어 송신부(103)에 송신한다. 또한, 미디어 송신부(103)는, 송신되어 온 뷰 또는 프리뷰를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송신한다.
또한, 서버(4700)에는, 요구 수신부(104)가 프리뷰를 배신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를 수신한 시간과, 뷰를 배신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한 시간을 비교하는 시간 비교부(4708)가 마련되어 있다. 시간 비교부(4708)는, 비교한 시간 비교 결과를 과금부(4706)에 송신한다.
과금부(4706)는, 시간 비교부(4708)로부터 송신되어 온 시간 비교 결과와, 요구 해석부(105)로부터 송신되어 온 컨텐츠 배신 요구의 해석 결과에 근거하여, 컨텐츠의 배신시에 과금하는 요금을 결정하여, 과금한다. 구체적으로는, 과금부(4706)는, 컨텐츠 관리 정보(d4711)를 참조하여, 송신하는 컨텐츠에 대한 액세스 시간(4801)의 일람으로부터, 시간 비교부(4708)로부터 송신되어 온 시간 비교 결과에 대응하는 액세스 시간(4801)을 결정한다. 그리고, 과금부(4706)는, 결정한 액세스 시간(4801)에 대한 과금 정보(4802)를 추출하여, 과금 정보(4802)에 따른 과금을 한다.
이하, 실시예 15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 50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0은, 실시예 15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우선, 서버(4700)의 리스트 정보 송신부(4707)가 컨텐츠 관리 정보(d4711)로부터 리스트 정보(4900)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송신한다(P5001).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110)의 리스트 정보 수신부(116)가 리스트 정보(4900)를 수신하면(P5002), 리스트 정보 표시부(117)가 리스트 정보(4900)를 표시한다(P5003). 다음에, 클라이언트는, 이 리스트 정보 표시부(117)에 표시한 리스트 정보(4900)를 참조해서, 우선, 소망하는 컨텐츠명(201)을 선택하여,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소망하는 컨텐츠명(201)에 대응하는 컨텐츠 ID(200)와, 컨텐츠명(201)에 대응하는 프리뷰를 요구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입력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가, 이 프리뷰를 요구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의 입력이 종료하면(P5004), 요구 송신부(115)가 프리뷰를 요구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서버(4700)에 송신한다(P5005).
한편, 서버(4700)의 요구 수신부(104)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하면(P5006), 요구 해석부(105)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해석하여(P5007), 프리뷰 배신을 요구하고 있는 것인지, 뷰 배신을 요구하고 있는 것인지를 판단한다(P5008).
이 경우에는,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가, 프리뷰 배신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미디어 선택부(102)가 컨텐츠 관리 정보(d4711)를 참조하여 클라이언트가 요구하고 있는 컨텐츠명(201)의 프리뷰(203)의 위치(206)를 추출한다. 그리고, 미디어 선택부(102)가 추출한 위치(206)에 위치하는 프리뷰(d102)를 저장부(4701)로부터 선택한다(P5009). 그리고, 미디어 송신부(103)가, 이 선택한 프리뷰(d102)를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송신한다(P5010). 단, 본 실시예에서는, 프리뷰는 무료로 되어있기 때문에, 과금부(4706)는, 프리뷰 송신시에는 과금을 실행하지 않는다.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110)은, 미디어 수신부(111)에 의해 송신되어 온 정보가, 뷰(d101)인지 프리뷰(d102)인지를 판단한다(P5011). 이 경우에는, 송신되어 온 정보가 프리뷰(d102)이기 때문에, 미디어 재생부(112)가 프리뷰(d102)를 재생한다(P5012).
그리고, 클라이언트는, 재생된 프리뷰의 내용을 확인하여, 이 프리뷰가 소망하는 컨텐츠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이 컨텐츠의 뷰 배신을 요구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입력한다. 그리고,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뷰 배신을 요구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의 입력이 종료하면(P5004), 이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서버(4700)에 송신한다(P5005).
한편, 서버(4700)의 요구 수신부(104)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하면(P5006), 요구 해석부(105)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해석한다(P5007). 그리고, 요구 해석부(105)가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해석하여(P5007), 프리뷰 배신을 요구하고 있는 것인지, 뷰 배신을 요구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P5008).
이 경우에는,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가 뷰 배신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미디어 선택부(102)가 요구 해석부(105)가 해석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뷰(d101)를 저장부(4701)로부터 선택한다(P5013).
다음에, 시간 비교부(4708)가, 요구 수신부(104)가 프리뷰를 배신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를 수신한 시간과, 뷰를 배신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한 시간을 비교하여, 과금부(4706)에 비교 결과를 출력한다(P5014).
다음에, 과금부(4706)는, 컨텐츠 관리 정보(d4711)를 참조하여, 송신한 컨텐츠에 대한 액세스 시간(4801)의 일람으로부터, 시간 비교부(4708)로부터 송신되어 온 시간 비교 결과에 대응하는 액세스 시간(4801)을 결정한다. 그리고, 과금부(4706)는, 결정한 액세스 시간(4801)에 대한 과금 정보(4802)를 추출하여, 과금 정보(4802)에 따른 과금을 한다(p5015).
그리고, 미디어 송신부(103)가, (P5013)에서 선택한 미디어를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송신한다(P5016).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110)의 미디어 수신부(111)가 뷰를 수신하면(P5011), 미디어 재생부(112)가 이 뷰를 재생한다(P5017).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5에 의하면, 클라이언트가 프리뷰 배신을 요구하고 나서, 실제로 컨텐츠의 뷰 배신을 요구하기까지의 시간에 따라 과금 요금을 바꾸도록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클라이언트가 프리뷰를 얻고 나서, 뷰 배신을 요구하기까지의 시간이 짧을 수록 과금이 싸지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결과, 클라이언트가 무료인 프리뷰를 얻고 나서, 빠르게 뷰 배신을 요구하게 된다. 즉, 컨텐츠 배신측은, 뷰의 배신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가 프리뷰를 얻고 나서, 실제로 컨텐츠의 뷰 배신을 요구하기까지의 시간이 길수록 싸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액세스 시간이 길수록 싸지게 하는 것은, 뉴스 등 실시간성이 높은 미디어나, 영화 등과 같이 신작일수록 가치가 있는 미디어에 대한 과금 방법으로서 유효하다. 이것은, 오래되어 가치가 떨어진 미디어도 값이 싸져, 클라이언트가가 미디어의 배신을 요구하게 되기 때문이다.
(실시예 16)
실시예 16은, 실시예 15를 개량한 것이다. 즉, 실시예 15에서는 프리뷰를 생성하여 저장해 두었지만, 실시예 16은, 오리지널 버전의 미디어만을 저장하여, 복수의 유형의 미디어 요약을 다이나믹하게 생성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16에서는, 오리지널 버전의 미디어로부터 복수의 유형의 미디어 요약을 생성하기 위한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여, 필요에 따라서 사용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6에 따른 미디어 배신 장치를 포함하는 미디어 배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실시예 16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 5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1은, 실시예 16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또, 이미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은, 컨텐츠 배신 서비스를 실행하는 미디어 배신자(공급자)의 서버(5100)와 휴대 단말이나 저장형 방송 단말, 가정용 게이트웨이 등의클라이언트 단말(110)이, 공중 네트워크, 휴대 통신망 등의 네트워크(120)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서버(5100)에는, 컨텐츠의 미디어로서, 오리지널 버전의 미디어(이하, 미디어라 함)(d101)와, 뷰(d101)를 복수의 유형의 미디어 요약으로 변환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메타 데이터(d3702)와, 뷰(d101)와 메타 데이터(d3702)를 관련지어 관리하는 컨텐츠 관리 정보(d5111)를 저장하는 저장부(510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컨텐츠 관리 정보(d5111)는, 도 5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텐츠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인 컨텐츠 ID(200)와, 컨텐츠명(201)과, 컨텐츠 ID(200)에 대응하는 뷰(202)의 위치 정보인 위치(204)와, 사용자가 요약을 수신하고 나서 뷰의 배신 요구를 하기까지의 액세스 시간(4801)과, 액세스 시간(4801)에 따른 과금 정보(4802)와, 컨텐츠명(201)에 대응하는 메타 데이터(3803)와, 메타 데이터(3803)의 위치 정보(3804)와, 메타 데이터(3803)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요약의 버전(3902)의 조합이 복수 저장되어 있다.
도면으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컨텐츠명이 「AAA」인 미디어는, 액세스 시간(4801)이 짧을 수록 과금이 싸게 되게 되어 있다. 즉, 사용자는, 프리뷰를 수신한 후, 빠르게 뷰의 배신을 요구하면 할인을 받는 것이 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명이「AAA」인 미디어는, 버전이 2종류인 요약을 작성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컨텐츠명이 「AAA」인 미디어는, 요약의 버전에 따라서, 액세스 시간(4802)에 대응하는 과금이 다르다. 즉, 사용자는, 배신을 요구하는 요약에 따라 다른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짧은 요약의 배신을 받은 경우에 긴 버전의 요약을 받은 경우보다도 값이 싼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서버(5100)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5111)로부터, 도 53에 도시하는, 컨텐츠의 리스트 정보(5300)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송신하는 리스트 정보 송신부(5107)가 마련되어 있다. 도 53은, 실시예 16에 따른 리스트 정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리스트 정보(5300)는, 도 53으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가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에 필요한 정보이다, 컨텐츠 ID(200)와, 컨텐츠명(201)과, 액세스 시간(4801)과, 과금정보 4802)와, 요약의 버전 정보(3902)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110)은, 서버(5100)로부터 송신되어 온 리스트 정보(5300)를 수신하는 리스트 정보 수신부(116)와, 수신한 리스트 정보(5300)를 표시하는 리스트 정보 표시부(117)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10)에는, 리스트 정보(5300)로부터 소망 컨텐츠의 소망하는 미디어 배신 또는 요약을 요구하는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입력하는 조작 입력부(11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10)에는,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입력된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서버(5100)에 송신하는 요구 송신부(115)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서버(5100)에는, 클라이언트 단말(110)로부터 송신되어 온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하는 요구 수신부(10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서버(5100)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5111)를 참조함으로써, 수신한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명(201), 미디어(202)의 위치 정보(204),메타 데이터(3803)의 위치 정보(3804) 등의 정보를 해석하는 요구 해석부(3705)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요구 해석부(3705)는,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의 해석 결과를 미디어 선택/변환부(602), 과금부(5106)에 송신한다.
미디어 선택/변환부(602)는,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가 컨텐츠의 배신 요구인 경우에는, 송신되어 온 해석 결과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뷰를 뷰(d101)로부터 추출한다. 또한, 미디어 선택/변환부(602)는,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가 요약의 배신 요구인 경우에는, 송신되어 온 해석 결과로부터 메타 데이터(3803)의 위치(3804)를 이용하여 저장부(5101)로부터 소정의 메타 데이터(d3702)를 추출하여, 이 메타 데이터(d3702)를 이용하여 뷰(d101)를 변환함으로써 소정의 요약을 생성한다. 그리고, 미디어 선택/변환부(602)는, 컨텐츠 또는 요약을 미디어 송신부(103)에 송신한다. 또한, 미디어 송신부(103)는, 송신되어 온 뷰또는 프리뷰를 클라이언트 단말(110)에 송신한다.
또한, 서버(5100)에는, 요구 수신부(104)가 요약을 배신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를 수신한 시간과, 뷰를 배신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한 시간을 비교하는 시간 비교부(4708)가 마련되어 있다. 시간 비교부(4708)는, 비교한 시간 비교 결과를 과금부(5106)에 송신한다.
과금부(5106)는, 시간 비교부(4708)로부터 송신되어 온 시간 비교 결과와, 요구 해석부(3705)로부터 송신되어 온 컨텐츠 배신 요구의 해석 결과에 근거하여, 컨텐츠의 배신시에 과금하는 요금을 결정하여, 과금한다. 구체적으로는, 과금부(5106)는, 컨텐츠 관리 정보(d5111)를 참조하여, 송신한 컨텐츠에 대한 액세스 시간(4801)의 일람으로부터, 시간 비교부(4708)로부터 송신되어 온 시간 비교 결과에 대응하는 액세스 시간(4801)을 결정한다. 다음에, 과금부(5106)는, 요약의 버전 일람으로부터 송신한 요약을 추출한다. 그리고, 과금부(5106)는, 결정한 액세스 시간(4801) 및 요약의 버전(3902)에 대한 과금 정보(4802)를 추출하여, 과금 정보(4802)에 따른 과금을 한다.
이하, 실시예 16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6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은, 도 50의 흐름의 일부를 개량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50의 흐름도에 있어서의 (P5009) 부분에서, 클라이언트가 요구한 버전의 요약을 메타 데이터(3703) 및 미디어(d101)를 이용하여 작성하여, (P5010) 부분에서 작성한 요약을 송신하는 부분이 다르다.
또한, 과금에 관해서는, (P5015) 부분에서, 시간 비교부(4708)가, 요구 수신부(104)가 요약을 배신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를 수신한 시간과, 뷰를 배신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한 시간을 비교하여, 비교한 시간 비교 결과를 출력한다. 그리고, (P5016)에서, 과금부(5106)가, 컨텐츠 관리 정보(d5111)를 참조하여, 송신한 컨텐츠에 대한 액세스 시간(4801)의 일람으로부터, 시간 비교부(4708)로부터 송신되어 온 시간 비교 결과에 대응하는 액세스 시간(4801)을 결정한다. 다음에, 과금부(5106)는, 요약의 버전 일람으로부터 송신한 요약을 추출한다. 그리고, 과금부(5106)는, 결정한 액세스 시간(4801) 및 요약의 버전(3902)에 대한 과금 정보(4802)를 추출하여, 과금 정보(4802)에 따른 과금을 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16에 의하면, 클라이언트가 요약을 요구하고 나서 실제로 뷰를 요구하기까지의 시간에 따른 과금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클라이언트가 요약을 요구하고 나서 실제로 뷰를 요구하기까지의 시간이 빠를수록 과금을 낮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클라이언트가 빠르게 뷰를 요구하게 된다.
또한, 실시예 16에 의하면, 작성하는 요약마다, 클라이언트가 요약을 요구하고 나서 실제로 뷰를 요구하기까지의 시간에 대한 과금을 바꿀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배신하는 요약에 따른 할인도 할 수 있다.
(실시예 17)
본 발명의 실시예 17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은, 클라이언트가 미리 원하는 관점을 미디어 배신측에 송신해 두고, 이것에 대하여 미디어 배신측이 클라이언트의 관점에 있던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실시예 17에서는, 클라이언트가 광고 배신 희망을 관점과 같이 미디어 배신측에 송신하여, 클라이언트가 광고의 배신을 받음으로써 할인을 받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7에 따른 미디어 배신 장치를 포함하는 미디어 배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실시예 17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 5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4는, 실시예 17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또, 이미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은, 컨텐츠 배신 서비스를 실행하는 미디어 배신자(공급자)의 서버(5400)와 휴대 단말이나 저장형 방송 단말, 가정용 게이트웨이 등의 클라이언트 단말(5410)이, 공중 네트워크, 휴대 통신망 등의 네트워크(120)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5410)에는, 사용자가 컨텐츠의 배신을 요구하는 경우에, 소망하는 관점이나 광고 희망 등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조작 입력부(11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는 광고를 희망할 때에, 광고의 량을 지정할 수도 있다.
사용자 정보 송신부(5402)는, 사용자 정보를 서버(5400)에 보낸다.
한편, 서버(5400)에는, 송신되어 온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정보 수신부(5403)가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 정보 수신부(5403)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정보 등록부(5404)에 보낸다. 사용자 정보 등록부(5404)는, 사용자 정보를 해석하여, 저장부(5401) 내의 사용자 관리 정보(d5412)에 저장한다.
사용자 관리 정보(d5412)는, 도 5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 ID(5600)와, 사용자명(5601)과, 사용자 관리 정보(5602)로서 복수의 관점(801)과 광고 희망 정보(5603)의 조합을 복수 저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광고 희망 정보(5603)는, 광고량에 따라 복수의 단계로 나누어진다. 또, 도 55는, 실시예 17에 따른 사용자 관리 정보의 구성도이다.
또한, 저장부(5401)에는, 컨텐츠의 뷰(d101)와, 광고(d1402)와, 뷰(d101)와 광고(d1402)를 관리하는 정보인 컨텐츠 관리 정보(d5411)가 저장되어 있다.
컨텐츠 관리 정보(d5411)는, 도 5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텐츠 ID(200)와, 컨텐츠명(201)과, 뷰(202)의 위치 정보(204)와, 컨텐츠명(201)의 뷰(202)의 시간정보(301)와, 뷰(202)를 배신했을 때의 요금 정보(205)와, 컨텐츠의 관점 정보(801)와, 컨텐츠를 배신할 때에 광고를 배신하는 것에 의하는 할인 요금인 광고 페이백 요금(5502)과, 광고(1502)의 위치 정보(1503)와, 광고의 중요도(5501)와, 광고(1502)의 스폰서가 되는 회사명(1505)과, 광고(1502)의 시간 정보(1506)의 조합이 복수 저장되어 있다. 또한, 광고 페이백 요금(5502)은, 배신하는 광고의 량에 따라 값이 다르다. 도면으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광고를 배신하는 량이 많을 수록 페이백 요금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광고의 중요도(5501)는, 뷰와 같이 광고를 송신할 때에 사용하는 정보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광고의 량을 많게 하는 취지의 희망을 하면, 중요도가 높은 광고로부터 중요도가 낮은 광고까지 송신한다. 또한, 사용자가 광고의 량을 적게 하는 취지의 희망을 하면, 중요도가 높은 광고만을 송신한다.
또, 도 56은, 실시예 17에 따른 컨텐츠 관리 정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서버(5400)에는, 사용자 관리 정보(d5412) 및 컨텐츠 관리 정보(d5411)를 참조해서, 사용자 정보에 포함되는 관점을 가지는 컨텐츠를 해석하고, 해석한 컨텐츠의 컨텐츠 ID(200), 컨텐츠명(201), 위치(204), 요금 정보(205) 등의 정보를 추출하여, 미디어 선택/변환부(5407) 및 과금부(5406)에 송신하는 요구 해석부(5405)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요구 해석부(5405)는, 사용자 관리 정보(d5412)의 광고 희망 정보(5603)에 광고의 배신을 희망하는 취지의 정보가 기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광고 희망량에 따른 개수의 광고의 위치(1503)를 추출하여, 미디어 선택/변환부(5407) 및 과금부(5406)에 송신한다.
미디어 선택/변환부(5407)는, 미디어(d101) 및 광고(d1402)를 참조하여, 요구 해석부(5405)로부터 송신되어 온 정보에 대응하는 미디어 및 광고를 추출한다. 그리고, 미디어 선택/변환부(5407)는, 추출한 미디어에 광고를 삽입한 미디어를 작성하여, 미디어 송신부(103)에 송신한다. 미디어 송신부(103)는, 송신되어 온 미디어를 클라이언트 단말(5410)에 송신한다.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5410)에는, 송신되어 온 미디어를 수신하는 미디어 수신부(111)와, 수신한 미디어를 재생하는 미디어 재생부(11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서버(5400)에는, 미디어의 송신 완료 후에, 요구 해석부(5405)가 추출한 컨텐츠의 요금 정보(205)와, 광고 페이백 요금(5502)에 근거하여,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과금하는 과금부(5406)가 마련되어 있다. 과금부(5406)는, 과금하는 요금을 클라이언트의 구좌로부터 인출하는 처리를 한다.
이하, 실시예 17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 5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7은, 실시예 17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우선, 사용자가, 조작 입력부(113)에 의해 소망하는 관점이나 광고 희망 등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한다. 또한, 사용자는, 광고를 희망할 때는, 광고의 량을 지정한다. 다음에, 사용자 정보 송신부(5402)가, 이 사용자 정보를 서버(5400)에 송신한다(P5701).
한편, 서버(5400)는, 사용자 정보 수신부(5403)에서, 송신되어 온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정보 등록부(5404)가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해석하여, 저장부(5401) 내의 사용자 관리 정보(d5412)에 등록한다(P5702).
다음에, 서버(5400)의 요구 해석부(5405)가 사용자 관리 정보(d5412) 및 컨텐츠 관리 정보(d5411)를 참조하여, 사용자 관리 정보(d5412)의 사용자 관리 정보(5602)에 기술된 관점(801)을 가지는 컨텐츠를 해석하여, 해석한 컨텐츠의 컨텐츠 ID(200), 컨텐츠명(201), 위치(204), 요금 정보(205) 등의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요구 해석부(5405)는, 추출한 정보를, 미디어 선택/변환부(5407) 및 과금부(5406)에 송신한다(P5703). 다음에, 요구 해석부(5405)는, 사용자 관리 정보(d5412)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의 광고 희망 정보(5603)에 광고의 배신을 희망하는 취지의 정보가 기재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요구 해석부(5405)는, 광고의 배신을 희망하는 취지의 기재가 있는 경우에는, 광고 희망량에 따라 배신하는 광고의 위치(1503)를 추출하여, 미디어 선택/변환부(5407) 및 과금부(5406)에 송신한다(P5704).
다음에, 미디어 선택/변환부(5407)가, 미디어(d101) 및 광고(d1402)를 참조하여, 요구 해석부(5405)로부터 송신되어 온 정보에 대응하는 미디어 및 광고를 선택한다(P5705). 그리고, 미디어 선택/변환부(5407)는, 추출한 미디어에 광고를 삽입한 미디어를 작성한다(P5706). 다음에, 서버(5400)의 과금부(5406)가, 요구 해석부(5405)가 추출한 컨텐츠의 요금 정보(205)와, 광고 페이백 요금(5502)에 근거하여,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과금한다(P5710). 미디어 송신부(103)가, (P5706)에서 작성한 미디어를 클라이언트 단말(5410)에 송신한다(P5707).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5410)은, 송신되어 온 미디어를 미디어 수신부(111)에서 수신하여(P5709), 미디어 재생부(112)에서 수신한 미디어를 재생한다(P571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7에 의하면, 클라이언트가 미리 원하는 관점을 미디어 배신측에 송신해 두고, 이것에 대하여 미디어 배신측이 클라이언트의 관점에 있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7에 의하면, 클라이언트가 광고 배신 희망을 관점과 함께 미디어 배신측에 송신함으로써, 클라이언트가 광고의 배신을 받는 데 따른 할인도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7에 의하면, 클라이언트가 배신되는 광고의 량을 지정할 수 있어, 지정한 광고의 량에 따른 할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클라이언트가, 시간이 걸리더라도 싸게 서비스를 받고 싶은 경우에는, 광고의 배신량을 많게 함으로써, 싸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가, 값이 높더라도 빠르게 서비스를 받고 싶은 경우에는, 광고의 배신을 없앰으로서, 빠르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또, 컨텐츠를 배신하는 사용자의 수에 따른 과금을 광고 제공자에게 실행하는 형태이더라도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방송과 같이, 클라이언트(사용자) 가 무료로 컨텐츠를 배신받고, 컨텐츠 배신의 비용을 모두 광고업자가 부담하는 모델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18)
본 발명의 실시예 18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은, 클라이언트가 미리 원하는 관점을 미디어 배신측에 송신해 두고, 이것에 대하여 미디어 배신측이 클라이언트의 관점에 있는 컨텐츠의 요약을 작성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8에 따른 미디어 배신 장치를 포함하는 미디어 배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실시예 18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 5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8은, 실시예 18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또, 이미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은, 컨텐츠 배신 서비스를 실행하는 미디어 배신자(공급자)의 서버(5800)와 휴대 단말이나 저장형 방송 단말, 가정용 게이트웨이 등의 클라이언트 단말(5410)이, 공중 네트워크, 휴대 통신망 등의 네트워크(120)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5410)에는, 사용자가 컨텐츠의 배신을 요구하는 경우에, 소망하는 관점 등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조작 입력부(11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 송신부(5402)는, 사용자 정보를 서버(5800)에 보낸다.
한편, 서버(5800)에는, 송신되어 온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정보 수신부(5403)가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 정보 수신부(5403)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정보 등록부(5404)에 보낸다. 사용자 정보 등록부(5404)는, 사용자 정보를 해석하여, 저장부(5801) 내의 사용자 관리 정보(d5812)에 저장한다.
사용자 관리 정보(d5812)는, 도 5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 ID(5600)와, 사용자명(5601)과, 사용자 관리 정보(5602)인 복수의 관점(801)의 조합을 복수 저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도 59는, 실시예 18에 따른 사용자 정보의 구성도이다.
또한, 저장부(5801)에는, 컨텐츠의 뷰(d101)와, 뷰(d101)로부터 사용자 정보에 기초를 둔 요약을 작성하는 메타 데이터(d3702)와, 뷰(d101)와 메타 데이터(d3702)를 관리하는 정보인 컨텐츠 관리 정보(d5811)저장되어 있다.
컨텐츠 관리 정보(d5811)는, 도 6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텐츠 ID(200)와, 컨텐츠명(201)과, 뷰(202)의 위치 정보(204)와, 컨텐츠의 관점 정보(801)와, 메타 데이터(3803)의 위치 정보(3804)의 조합이 복수 저장되어 있다. 또, 도 60은, 실시예 18에 따른 컨텐츠 관리 정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서버(5800)에는, 사용자 관리 정보(d5812) 및 컨텐츠 관리 정보(d5811)를 참조해서, 사용자 정보에 포함되는 관점을 추출하고, 추출한 관점을 가지는 컨텐츠의 컨텐츠 ID(200), 컨텐츠명(201), 위치(204), 메타 데이터의 위치 정보(3804) 등의 정보를 추출하여, 미디어 선택/변환부(5804)에 송신하는 요구 해석부(5805)가 마련되어 있다.
미디어 선택/변환부(5804)는, 미디어(d101) 및 메타 데이터(d3702)를 참조하여, 요구 해석부(5805)로부터 송신되어 온 정보에 대응하는 미디어 및 메타 데이터를 추출한다. 다음에, 미디어 선택/변환부(5804)는, 추출한 미디어로부터 사용자 정보에 포함되는 관점과 동일한 관점을 가지는 세그먼트를 추출해서, 서로 연결시켜, 요약을 작성한다. 그리고, 미디어 선택/변환부(5804)는, 작성한 요약을 미디어 송신부(103)에 송신하고, 미디어 송신부(103)는, 송신되어 온 미디어를 클라이언트 단말(5410)에 송신한다.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5410)에는, 송신되어 온 미디어를 수신하는 미디어 수신부(111)와, 수신한 미디어를 재생하는 미디어 재생부(112)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 실시예 18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 6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1은, 실시예 18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우선, 사용자가, 조작 입력부(113)에 의해 소망하는 관점 등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한다. 다음에 사용자 정보 송신부(5402)가, 이 사용자 정보를 서버(5800)에 송신한다(P6001).
한편, 서버(5800)는, 사용자 정보 수신부(5403)에서, 송신되어 온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정보 등록부(5404)가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해석하여, 저장부(5801) 내의 사용자 관리 정보(d5812)에 등록한다(P6002).
다음에, 서버(5800)의 요구 해석부(5805)가 사용자 관리 정보(d5812) 및 컨텐츠 관리 정보(d5511)를 참조해서, 사용자 관리 정보(d5812)의 사용자 관리 정보(5602)에 포함되는 관점(801)을 가지는 컨텐츠를 해석하고, 해석한 컨텐츠의 컨텐츠 ID(200), 컨텐츠명(201), 위치(204), 메타 데이터의 위치(3804) 등의 정보를 추출하여, 미디어 선택/변환부(5804)에 송신한다(P6003).
다음에, 미디어 선택/변환부(5804)가, 미디어(d101) 및 메타 데이터(d3702)를 참조해서, 요구 해석부(5805)로부터 송신되어 온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추출하고, 이 컨텐츠로부터 사용자 정보에 포함되는 관점과 동일한 관점을 가지는 세그멘트를 추출하여, 서로 연결시켜, 요약을 작성한다(P6004). 그리고, 미디어 선택/변환부(5804)는, 작성한 요약을 클라이언트 단말(5410)에 송신한다(P6005).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5410)은, 송신되어 온 미디어를 미디어 수신부(111)에서 수신하여(P6006), 미디어 재생부(112)로 수신한 미디어를 재생한다(P6007).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8에 의하면, 클라이언트가 미리 원하는 관점을 미디어 배신측에 송신해 둠으로써 미디어 배신측에서 원하는 관점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요약의 배신을 받아진다. 이것에 의해, 클라이언트가 불필요한 요약을 받는 것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통신비를 지불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 실시예 18에서는, 요약의 배신을 무료로서 설명했지만, 요약에 대하여 요약의 시간 길이에 따른 과금을 하는 형태이더라도 좋다.
(실시예 19)
실시예 19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은, 미리 사용자가 컨텐츠 배신을 받기 위해서 과금을 해 두는 것이다. 그리고, 컨텐츠 배신측이 사용자의 잔금 정보를 사용자에 제시하여, 사용자가 잔금 정보를 확인하여 소망하는 컨텐츠의 배신을 요구하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 19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실시예 19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 6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도 62는, 실시예 19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또, 이미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은, 컨텐츠 배신 서비스를 실행하는 미디어 배신자(공급자)의 서버(6200)와 휴대 단말이나 저장형 방송 단말, 가정용 게이트웨이 등의 클라이언트 단말(6210)이, 공중 네트워크, 휴대 통신망 등의 네트워크(120)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6210)에는, 사용자가 컨텐츠의 배신을 요구하는 경우에, 소망하는 관점 등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조작 입력부(11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 송신부(5402)는, 사용자 정보를 서버(6200)에 보낸다.
한편, 서버(6200)에는, 송신되어 온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정보 수신부(5403)가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 정보 수신부(5403)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정보 등록부(5404)에 보낸다. 사용자 정보 등록부(5404)는, 사용자 정보를 해석하여, 저장부(6201) 내의 사용자 관리 정보(d6212)에 저장한다.
사용자 관리 정보(d6212)는, 도 6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 ID(5600)와, 사용자명(5601)과, 사용자 관리 정보(5602)로서 복수의 관점(801)과, 사용자가 미리 오프 라인 또는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입금한 요금의 잔금 정보(6301)의 조합을 복수 저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도 63은, 실시예 19에 따른 사용자 정보의 구성도이다.
또한, 저장부(6201)에는, 컨텐츠의 뷰(d101)와, 뷰(d101)를 관리하는 정보인 컨텐츠 관리 정보(d6211)가 저장되어 있다.
컨텐츠 관리 정보(d6211)는, 도 6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텐츠 ID(200)와, 컨텐츠명(201)과, 뷰(202)의 위치 정보(204)와, 뷰(202)의 요금 정보(6401)와, 뷰(202)의 시간 정보(6402)와, 컨텐츠의 관점 정보(801)의 조합이 복수 저장되어 있다.
또한, 요금 정보(6401)는, 뷰(202)의 배신을 받고 있는 인원수가 많을 수록 싸게 되게 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다른 사람에게 컨텐츠의 배신을 받도록 권유하는 게 되어, 컨텐츠의 배신을 받는 인원수가 많아진다. 이 결과, 컨텐츠 배신측의 이익이 커지게 된다.
또, 도 64는, 실시예 19에 따른 컨텐츠 관리 정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서버(6200)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6211)로부터, 도 65에 도시하는, 과금 정보(6500)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6210)에, 송신하는 과금 정보 송신부(6207)가 마련되어 있다. 도 65는, 실시예 19에 따른 과금 정보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과금 정보(6500)는, 도 65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리스트 정보(6501)와, 잔금 정보(6502)로 구성된다. 리스트 정보(6501)는, 클라이언트가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에 필요한 정보이다, 컨텐츠명(201)과, 요금 정보(6503)와, 시간 정보(301)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또한, 리스트 정보(6501)에 기술되는 컨텐츠명(201)은, 사용자가 미리 등록한 사용자 관리 정보(d6212의 관점을 가지는 컨텐츠의 컨텐츠명이다. 또한, 도면 중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금 정보(6503)에는, 이후몇 사람이 컨텐츠 배신을 요구하면 값이 변한다고 하는 정보도 기술되어 있다.
또한, 잔금 정보(6502)는 클라이언트가 지급한 금액의 잔금 정보(6505)로 구성된다.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6210)에는, 서버(6200)로부터 송신되어 온 과금 정보(6500)를 수신하는 과금 정보 수신부(6216)와, 수신한 과금 정보(6500)를 표시하는 과금 정보 표시부(6217)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6210)에는,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입력된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서버(6200)에 송신하는 요구 송신부(115)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서버(6200)에는, 클라이언트 단말(6210)로부터 송신되어 온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하는 요구 수신부(10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서버(6200)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6211)를 참조함으로써, 수신한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명(201), 미디어(202)의 위치 정보(204), 요금 정보(6401) 등의 정보를 해석하는 요구 해석부(6205)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요구 해석부(6205)는,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의 해석 결과를 과금 판정부(6208), 미디어 선택부(102)에 송신한다.
과금 판정부(6208)는, 요구 해석부(6205)의 해석 결과로부터, 사용자가 요구하는 컨텐츠를 인식하여, 이 컨텐츠를 현재 몇 사람의 사용자에게 배신하고 있는지 판단한다. 또한, 과금 판정부(6208)는, 사용자 관리 정보(d6212)의 잔금 정보(6301)와, 현재 해당하는 컨텐츠를 배신하고 있는 사용자수에 따른 요금 정보(6401)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요구 해석부(6205)와, 과금 정보 송신부(6207)에송신한다.
또한, 과금 판정부(6208)는, 잔금 정보(6301)가, 컨텐츠의 요금 정보(6401)보다 작은 경우에는, 요구 해석부(6205)에, 미디어 선택부(102)로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의 해석 결과를 송신하지 않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과금 판정부(6208)는, 잔금 정보(6301)가, 컨텐츠의 요금 정보(6401)보다 큰 경우에는, 요구 해석부(6205)에, 미디어 선택부(102)로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에 대응하는 뷰를 송신시키는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과금 판정부(6208)는, 이것과 함께 컨텐츠의 요금 정보(6401)를 과금부(6206)에 송신한다.
과금부(6206)는, 과금 판정부(6208)로부터 컨텐츠의 요금 정보(6401)를 수신하면, 사용자 관리 정보(d6212)의 잔금 정보(6301)로부터 컨텐츠의 요금 정보(6503)를 감산한다.
또한, 미디어 선택부(102)는, 요구 해석부(6205)로부터 해석 결과가 보내져오면, 송신되어 온 해석 결과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뷰를 뷰(d101)로부터 추출하여 미디어 송신부(103)에 송신한다. 또한, 미디어 송신부(103)는, 송신되어 온 뷰를 클라이언트 단말(6210)에 송신한다.
이하, 실시예 19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 6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6은, 실시예 19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우선, 사용자가, 조작 입력부(113)에 의해 소망하는 관점 등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한다. 다음에 사용자 정보 송신부(5402)가, 이 사용자 정보를 서버(6200)에 송신한다(P6601).
한편, 서버(6200)는, 사용자 정보 수신부(5403)에서, 송신되어 온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정보 등록부(5404)가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해석하여, 저장부(6201) 내의 사용자 관리 정보(d6212)에 등록한다(P6602). 또, 이 단계에서, 사용자가 컨텐츠 배신측에 돈을 지불해 놓고, 사용자 관리 정보(d6212)의 잔금 정보(6301)에는 지급한 금액이 기술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다음에, 서버(6200)의 과금 정보 송신부(6207)가, 컨텐츠 관리 정보(d6211)에 포함되는 컨텐츠중 사용자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관점을 가지는 컨텐츠를 추출하고, 또한 사용자 관리 정보(d6212)로부터 잔금 정보(6301)를 추출하여, 과금 정보(6500)를 작성한다(P6603). 그리고, 과금 정보 송신부(6207)는, 작성한 과금 정보(6500)를 클라이언트 단말(6210)에 대하여 송신한다(P6604).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6210)의 과금 정보 수신부(6216)가 이 과금 정보(6500)를 수신하고(P6605), 과금 정보 표시부(6217)가 과금 정보(6500)를 표시한다(P6606). 다음에, 클라이언트가, 이 과금 정보 표시부(6217)에 표시한 과금 정보(6500)를 참조하여, 우선, 잔금 정보(6502)를 확인한 뒤에, 배신 가능한 컨텐츠명(201)을 선택하여,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입력한다. 그리고, 요구 송신부(115)가, 이 컨텐츠를 요구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서버(6200)에 대하여 송신한다(P6607).
한편, 서버(6200)는, 요구 수신부(104)에서, 클라이언트 단말(6210)로부터 송신되어 온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하여(P6608), 요구 해석부(6205)에 송신한다.
요구 해석부(6205)는, 컨텐츠 관리 정보(d6211)를 참조함으로써, 수신한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명(201), 미디어(202)의 위치 정보(204), 요금 정보(6401) 등의 정보를 해석하여(P6609), 해석 결과를 과금 판정부(6208)에 송신한다.
다음에, 과금 판정부(6208)는, 요구 해석부(6205)로부터 송신되어 온 해석 결과로부터, 사용자가 요구하는 컨텐츠를 인식하여, 이 컨텐츠를 현재 몇 사람의 사용자에게 배신하고 있는지 판단한다. 다음에, 과금 판정부(6208)는, 사용자 관리 정보(d6212)의 잔금 정보(6301)와, 현재 해당하는 컨텐츠를 배신하고 있는 사용자수에 따른 요금 정보(6401)를 비교하여, 잔금 정보(6301)가, 컨텐츠의 요금 정보(6401)보다 작은지의 여부, 즉 잔금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P6610).
그리고, 과금 판정부(6208)가, 잔금이 모자란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요구 해석부(6205)에 대하여, 미디어 선택부(102)로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에 대응하는 미디어를 송신하지 않도록 하는 취지의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과금 판정부(6208)가, 잔금이 충분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요구 해석부(6205)에, 미디어 선택부(102)로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에 대응하는 미디어를 송신하는 취지의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과금 판정부(6208)는, 이것과 함께 컨텐츠의 요금 정보(6401)를 과금부(6206)에 송신한다.
다음에, 미디어 선택부(102)는, 요구 해석부(6205)로부터 해석 결과가 보내져오면, 송신되어 온 해석 결과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뷰를 뷰(d101)로부터 선택하여(P6611), 선택한 뷰를 미디어 송신부(103)에 송신하고, 미디어 송신부(103)가, 송신되어 온 뷰를 클라이언트 단말(6210)에 송신한다(P6612).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6210)은 송신되어 온 뷰(미디어)를 미디어 수신부(111)로 수신하여(P6613), 미디어 재생부(112)로 재생한다.
또한, 서버(6200)는, 클라이언트 단말(6210)로의 미디어 송신이 종료되면, 과금부(6206)는, 잔금 정보(6301)로부터 컨텐츠의 요금 정보(6401)를 감산함으로써, 사용자 관리 정보(d6212)를 갱신한다(P6615).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9에 의하면, 사용자에 대하여 잔금 정보를 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잔금 정보를 확인한 뒤에 배신을 요구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잔금보다도 값이 높은 컨텐츠를 요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잔금이, 소망하는 컨텐츠의 값에 미치지 않는 경우에는, 오프 라인으로 과금을 실행하도록함으로써, 소망하는 컨텐츠의 배신을 받을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 19에 의하면, 사용자가 잔금보다도 높은 값의 컨텐츠 배신을 잘못 요구한 경우에는, 과금 판정부(6208)가 잔금이 모자라다는 취지의 정보를 요구 해석부(6205)에 송신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잔금보다도 높은 값의 컨텐츠를 배신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결과, 사용자가 잔금보다도 값이 높은 컨텐츠를 배신 받아버려, 빚지게 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잔금보다 높은 과금이 발생하는 컨텐츠의 배신을 요구한 경우에, 서버(6200)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로, 잔금이 모자라기 때문에 컨텐츠를 배신할 수 없다는 취지의 정보를 송신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과금 판정부(6208)가, 잔금 정보(6301)가 컨텐츠의 요금 정보(6401)보다 적다고 판단했을 때에, 잔금이 모자라기 때문 컨텐츠를 배신할 수 없다는 취지의 정보를 과금 정보 송신부(6207)를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6210)에 송신하도록 하면 좋다.
(실시예 20)
실시예 20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은, 미리 사용자가 컨텐츠를 배신 받기 위해서 과금을 해 두는 것이다. 그리고, 컨텐츠 배신측이 사용자의 잔금 정보를 사용자에 제시하고, 사용자가 잔금 정보를 확인하여 잔금에 적당한 요약의 배신을 요구하는 것이다. 또한, 실시예 20에서는, 사용자가 잔금보다도 고가인 요약의 배신을 요구한 경우에, 잔금에 적당한 길이의 요약을 작성하여 배신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 20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실시예 20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 6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7은, 실시예 20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또, 이미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은, 컨텐츠 배신 서비스를 실행하는 미디어 배신자(공급자)의 서버(6700)와 휴대 단말이나 저장형 방송 단말, 가정용 게이트웨이 등의 클라이언트 단말(6210)이, 공중 네트워크, 휴대 통신망 등의 네트워크(120)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6210)에는, 사용자가 컨텐츠의 배신을 요구하는 경우에, 소망하는 관점 등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조작 입력부(11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 송신부(5402)는, 사용자 정보를 서버(6700)에 보낸다.
한편, 서버(6700)에는, 송신되어 온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정보 수신부(5403)가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 정보 수신부(5403)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정보 등록부(5404)에 보낸다. 사용자 정보 등록부(5404)는, 사용자 정보를 해석하여, 저장부(6701) 내의 사용자 관리 정보(d6212)에 저장한다.
사용자 관리 정보(d6212)는, 도 63에 도시되어 있고, 이미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저장부(6701)에는, 컨텐츠의 뷰(d101)와, 뷰(d101)를 복수의 유형의 미디어 요약으로 변환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메타 데이터(d3702)와, 뷰(d101)와 메타 데이터(d3702)를 관련지어 관리하는 컨텐츠 관리 정보(d6711)가 저장되어 있다.
컨텐츠 관리 정보(d6711)는, 도 6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텐츠 ID(200)와, 컨텐츠명(201)과, 뷰(202)의 위치 정보(204)와, 뷰(202)의 요금 정보(6401)와, 뷰(202)의 시간 정보(6402)와, 컨텐츠명(201)에 대응하는 메타 데이터(3803)와, 메타 데이터(3803)의 위치 정보(3804)와, 메타 데이터(3803)를 이용하여 생성한 요약을 배신했을 때의 요금 정보(3805)와, 컨텐츠의 관점 정보(801)의 조합이 복수 저장되어 있다.
또, 도 68은, 실시예 20에 따른 컨텐츠 관리 정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서버(6700)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6711)로부터, 도 69에 도시하는, 과금 정보(6900)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6210)에, 송신하는 과금 정보 송신부(6707)가 마련되어 있다. 도 69는, 실시예 20에 따른 과금 정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과금 정보(6900)는, 도 69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리스트 정보(6901)와, 잔금 정보(6502)로 구성된다. 리스트 정보(6901)는, 클라이언트가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에 필요한 정보이다, 컨텐츠명(201)과, 요금 정보(6503)와, 시간 정보 301)와, 요약의 요금 정보(3805)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또한, 리스트 정보(6901)에 기술되는 컨텐츠명(201)은, 사용자가 미리 등록한 사용자 관리 정보(d6212)의 관점을 가지는 컨텐츠의 컨텐츠명이다. 또한, 컨텐츠의 요금 정보(6503)에는, 이후 몇 사람이 컨텐츠 배신을 요구하면 값이 변한다고 하는 정보도 기술되어 있다. 또한, 요약의 요금 정보(3805)에는, 시간에 따른 요금이 기술되어 있다.
또한, 잔금 정보(6502)는 클라이언트가 지급한 금액의 잔금 정보(6505)로 구성된다.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6210)은, 서버(6700)로부터 송신되어 온 과금 정보(6900)를 수신하는 과금 정보 수신부(6216)와, 수신한 과금 정보(6900)를 표시하는 과금 정보 표시부(6217)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6210)에는,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입력된 뷰 또는 요약 등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서버(6700)에 송신하는 요구 송신부(115)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서버(6700)에는, 클라이언트 단말(6210)로부터 송신되어 온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하는 요구 수신부(10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서버(6700)에는, 컨텐츠 관리 정보(d6711)를 참조함으로써, 수신한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명(201), 미디어(202)의 위치 정보(204), 요금 정보(6401), 메타 데이터(3803)의 위치 정보(3804), 메타 데이터(3803)의 요금 정보(3805)를 해석하는 요구 해석부(6705)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요구 해석부(6705)는,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의 해석 결과를 과금 판정부(6708), 미디어 선택/변환부(6702)에 송신한다. 또한, 요구 해석부(6705)는, 미디어 선택/변환부(6702)에 대하여 요약의 시간 정보도 송신한다. 요약의 시간 정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컨텐츠 배신 요구로부터 추출되는 경우와, 과금 판정부(6708)로부터 보내져오는 경우가 있다.
과금 판정부(6708)는, 요구 해석부(6705)가 컨텐츠 배신 요구를 해석한 해석 결과로부터, 사용자가 뷰의 배신을 요망하고 있는 경우에는, 뷰를 인식하여, 이 뷰를 현재 몇 사람의 사용자에게 배신하고 있는지 판단한다. 흔히, 과금 판정부(6708)는, 사용자 관리 정보(d6212)의 잔금 정보(6301)와, 현재 해당하는 컨텐츠를 배신하고 있는 사용자수에 따른 요금 정보(6401)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요구 해석부(6705)에 송신한다.
또한, 과금 판정부(6708)는, 잔금 정보(6301)가, 컨텐츠의 요금 정보(6401)보다 작은 경우에는, 요구 해석부(6705)에, 미디어 선택/변환부(6702)로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에 대응하는 미디어를 송신하지 않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과금 판정부(6708)는, 잔금 정보(6301)가, 컨텐츠의 요금 정보(6401)보다 큰 경우에는, 요구 해석부(6705)에, 미디어 선택/변환부(6702)로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에 대응하는 미디어를 송신시키는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과금 판정부(6708)는, 이것과 함께 컨텐츠의 요금 정보(6401)를 과금부(6706)에 송신한다.
또한, 과금 판정부(6708)는, 요구 해석부(6705)가 컨텐츠 배신 요구를 해석한 해석 결과로부터, 사용자가 요약의 배신을 요망하고 있는 경우에는, 요망하고 있는 요약을 인식하여, 사용자 관리 정보(d6212)의 잔금 정보(6301)와, 해당하는 요약의 요금 정보(3805)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요구 해석부(6705)에 송신한다.
또한, 과금 판정부(6708)는, 잔금 정보(6301)가, 요약의 요금 정보(3805)보다 작은 경우에는, 잔금 정보(6301)에 대응하는 요금으로 배신할 수 있는 요약의 시간을 계산한다. 그리고, 과금 판정부(6708)는, 계산한 배신할 수 있는 요약의 시간을 요구 해석부(6705)에 보낸다. 또한, 과금 판정부(6708)는, 이것과 함께 잔금 정보 6301)를 과금부(6706)에 송신한다.
한편, 과금 판정부(6708)는, 잔금 정보(6301)가, 요약의 요금 정보(3805)보다 큰 경우에는, 요구 해석부(6705)에, 미디어 선택/변환부(6702)로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에 대응하는 요약을 송신시키는 취지의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과금 판정부(6708)는, 이것과 함께 요약의 요금 정보(3805)를 과금부(6706)에 송신한다.
과금부(6706)는, 과금 판정부(6708)로부터 송신되어 온 컨텐츠의 요금 정보(6401), 요약의 요금 정보(3805), 또는 잔금 정보(6301)를 수신하면, 사용자 관리 정보(d6212)의 잔금 정보(6301)로부터 컨텐츠의 요금 정보(6401), 요약의 요금 정보(3805), 또는 잔금 정보(6301)를 감산한다.
또한, 미디어 선택/변환부(6702)는, 요구 해석부(6705)로부터 해석 결과가 보내져오면, 송신되어 온 해석 결과가 뷰의 배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뷰를 뷰(d101)로부터 추출하여 미디어 송신부(103)에 송신한다. 또한, 미디어 선택/변환부(6702)는, 송신되어 온 해석 결과가 요약의 배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요약에 대응하는 뷰를 뷰(d101)로부터 추출하여, 메타 데이터(d3702)를 이용해서 요약으로 변환하여 미디어 송신부(103)에 송신한다.
또한, 미디어 송신부(103)는, 송신되어 온 뷰 또는 요약을 클라이언트 단말(6210)에 송신한다.
이하, 실시예 20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 70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0은 실시예 20에 따른 미디어 배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우선, 사용자가, 조작 입력부(113)에 의해 소망하는 관점 등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한다. 다음에 사용자 정보 송신부(5402)가, 이 사용자 정보를 서버(6700)에 송신한다(P7000).
한편, 서버(6700)는, 사용자 정보 수신부(5403)에서, 송신되어 온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정보 등록부(5404)가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해석하여, 저장부(6701) 내의 사용자 관리 정보(d6212)에 등록한다(P7001). 또, 이 단계에서, 사용자가 컨텐츠 배신측에 돈을 지불해 놓고, 사용자 관리 정보(d6212)의 잔금 정보(6301)에는 지급한 금액이 기술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다음에, 서버(6700)의 과금 정보 송신부(6707)가, 컨텐츠 관리 정보(d6711)에 포함되는 컨텐츠중 사용자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관점을 가지는 컨텐츠를 추출하고, 또한 사용자 관리 정보(d6212)로부터 잔금 정보(6301)를 추출하여, 과금 정보(6900)를 작성한다(P7002). 그리고, 과금 정보 송신부(6707)는, 작성한 과금 정보(6900)를 클라이언트 단말(6210)에 대하여 송신한다(P7003).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6210)의 과금 정보 수신부(6216)가 과금 정보(6900)를 수신하고(P7004), 과금 정보 표시부(6217)가 과금 정보(6900)를 표시한다(P7005). 다음에, 클라이언트가, 이 과금 정보 표시부(6217)에 표시한 과금 정보(6900)를 참조하여, 잔금 정보(6502)를 확인한 뒤에, 소망하는 미디어 또는 요약을 선택하여, 조작 입력부(113)에 의해 입력한다. 그리고, 요구 송신부(115)가, 이 미디어 또는 요약을 요구하는 취지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서버(6700)에 대하여 송신한다(P7006).
한편, 서버(6700)는, 요구 수신부(104)에서, 클라이언트 단말(6210)로부터 송신되어 온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를 수신하여(P7007), 요구 해석부(6705)에 송신한다.
요구 해석부(6705)는, 컨텐츠 관리 정보(d6211)를 참조함으로써, 수신한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명(201), 미디어(202)의 위치 정보(204),요금 정보(6401), 또는 메타 데이터(3803)의 위치(3804), 요약의 요금 정보(3805) 등의 정보를 해석하여(P7008), 해석 결과를 과금 판정부(6708)에 송신한다.
다음에, 과금 판정부(6708)는, 요구 해석부(6705)로부터 송신되어 온 해석 결과가 뷰를 요구하고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뷰를 인식하여, 이 뷰를 현재 몇 사람의 사용자에 배신하고 있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과금 판정부(6708)는, 사용자 관리 정보(d6212)의 잔금 정보(6301)와, 현재 해당하는 컨텐츠를 배신하고 있는 사용자수에 따른 요금 정보(6401)를 비교하여, 잔금 정보(6301)가, 컨텐츠의 요금 정보(6401)보다 작은가 아닌가, 즉 잔금이 충분한가 아닌가를 판단한다(P7009). 또, 과금 판정부(6708)는, 요구 해석부(6705)로부터 송신되어 온 해석 결과가 요약을 요구하고 있는 경우에는, 잔금 정보(6301)와 사용자가 요구하는 요약의 요금 정보(3805)를 비교하고, 잔금 정보(6301)가 요약의 요금 정보(3805)보다 작은가 아닌가, 즉 잔금이 충분한가 아닌가를 판단한다(P7009).
그리고, 과금 판정부(6708)가 잔금이 모자란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잔금 정보(6301)에 대응하는 요금으로 배신할 수 있는 요약의 시간을 계산하여, 계산한 배신할 수 있는 요약의 시간을 요구 해석부(6705)에 보낸다(P7010). 과금 판정부(6708)는 이것과 함께 잔금 정보(6301)를 과금부(6706)에 송신한다.
그리고, 요구 해석부(6705)는, 계산한 배신할 수 있는 요약의 시간을 미디어 선택/변환부(6702)에 송신한다. 다음에, 미디어 선택/변환부(6702)는 사용자 관리(d6212)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관점(801)과, 뷰(d101)로부터 사용자의 소망하는 뷰를 추출한다. 그리고, 미디어 선택/변환부(6702)는, 뷰의 세그먼트중 사용자가입력한 관점(801)을 가지는 것을, 수신한 배신할 수 있는 시간만큼 추출한다. 이와 같이, 미디어 선택/변환부(6702)는, 잔금으로 배신할 수 있는 시간의 요약을 작성한다(P7011). 그리고, 미디어 선택/변환부(6702)는 작성한 요약을 미디어 송신부(103)에 송신하고, 미디어 송신부(103)는 송신되어 온 요약을 클라이언트 단말(6210)에 송신한다(P7012).
한편, (P7009)에 있어서, 과금 판정부(6708)가, 잔금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요구 해석부(6705)에, 미디어 선택부(6702)로의 컨텐츠 배신 요구 정보에 대응하는 뷰 또는 요약을 송신하라는 취지의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과금 판정부(6708)는, 이것과 함께 뷰의 요금 정보(6401) 또는 요약의 요금 정보(3805)를 과금부(6706)에 송신한다.
다음에, 미디어 선택/변환부(6702)는, 요구 해석부(6205)로부터 해석 결과가 보내져오면, 송신되어 온 해석 결과가 뷰를 요구하는 것인지, 요약을 요구하는 것인지를 판단한다(P7013). 그리고, 미디어 선택/변환부(6702)는, 해석 결과가 요약을 요구하는 것이면, 해석 결과에 대응하는 요약을 메타 데이터(d3702)와 뷰(dl01)를 이용하여 작성한다(P7014). 그리고, 미디어 선택/변환부(6702)는, 작성한 요약을 미디어 송신부(103)에 송신한다. 그리고, 미디어 송신부(103)가, 송신되어 온 요약을 클라이언트 단말(6210)에 송신한다(P7012).
한편, (P7013)에서, 미디어 선택/변환부(6702)가, 해석 결과가 뷰를 요구하는 것이면, 해석 결과에 대응하는 뷰를 뷰(d101)로부터 선택하여(P7015), 선택한 뷰를 미디어 송신부(103)에 송신한다. 그리고, 미디어 송신부(103)가, 송신되어온 뷰를 클라이언트 단말(6210)에 송신한다(P7016).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6210)은 송신되어 온 뷰 또는 요약을 미디어 수신부(111)에서 수신하여(P7017), 미디어 재생부(112)로 재생한다(P7018).
또한, 서버(6700)는, 클라이언트 단말(6210)에 뷰 또는 요약의 송신이 종료하면, 과금부(6706)가, 사용자 관리 정보(d6212)의 잔금 정보(6301)로부터, 과금 판정부(6208)로부터 송신되어 온 컨텐츠의 요금 정보(6401), 요약의 요금 정보(3805), 또는 잔금 정보(6301)를, 감산함으로써, 사용자 관리 정보(d6212)를 갱신한다(P7019).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20에 의하면, 사용자의 요구하는 관점에 대응하는 요약을 사용자에 대하여 배신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0에 의하면, 사용자에 대하여 잔금 정보를 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잔금 정보를 확인한 뒤에 배신을 요구하는 뷰 또는 요약을 선택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잔금보다도 값이 높은 뷰 또는 요약을 요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잔금이, 소망하는 뷰 또는 요약의 값에 미치지 않는 경우에는, 오프 라인으로 과금을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소망하는 뷰 또는 요약의 배신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0에 의하면, 사용자가 잔금보다도 높은 값의 뷰 또는 요약 배신을 요구한 경우에는, 컨텐츠 배신측이, 잔금으로 배신할 수 있는 요약의 시간을 계산하고, 이 계산한 시간의 요약을 작성하여, 이 작성한 요약을 사용자에 대하여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잔금에 적당한 요약의 배신을 받도록 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잔금보다 높은 과금이 발생하는 뷰 또는 요약의 배신을 요구한 경우에, 서버(6700)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로, 잔금이 모자라기 때문에 뷰 또는 요약을 배신할 수 없다는 취지의 정보를 송신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과금 판정부(6708)가, 잔금 정보(6301)가 컨텐츠의 요금 정보(6401) 또는 요약의 요금 정보(3805)보다 적다고 판단했을 때에, 잔금이 모자라기 때문 컨텐츠를 배신할 수 없다는 취지의 정보를, 과금 정보 송신부(6707)를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6210)에 송신하도록 하면 좋다.
또, 실시예 1로부터 실시예 20에서 설명한, 저장부 이외의 구성을 전용 하드웨어로 구성해도 좋고, 저장부 이외의 구성의 동작을 프로그램으로 하고 기억 매체에 저장하여,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내서 저장부 이외의 부분의 동작을 하는 형태이더라도 좋다.
또, 본 발명은, 오리지널의 미디어인 뷰와, 통신이 곤란한 장소로의 배신을 가능하게 하거나, 원래 볼 수 없는 단말에서도 이 뷰를 볼 수 있도록 변환하는 등의 처리를 한 미디어를 저장하는 형태이더라도 좋다. 이 형태에서는,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특별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처리한 미디어에 대한 요금은, 고가로 설정하도록 한다.
또, 컨텐츠마다, 컨텐츠에 포함되는 미디어의 정보와, 요금 정보를 관련시킨 컨텐츠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컨텐츠 관리 정보를 2개의 정보, 즉, 컨텐츠의 관리 정보인 컨텐츠 기술 정보와 컨텐츠의 요금 정보인 컨텐츠 요금 정보로나누는 형태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컨텐츠 기술 정보와 컨텐츠 요금 정보 각각을 컨텐츠 ID로 관리하고, 컨텐츠 ID를 키(key)로 하여, 컨텐츠 기술 정보와 컨텐츠 요금 정보를 관련지어 취급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리스트 정보는, 컨텐츠 기술 정보와, 컨텐츠 요금 정보로부터 생성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살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및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은, 2001년 3월 8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01-065460와 2002년 1월 31일자로 출원된 2002-024750호에 근거한 것이며, 그 전체 내용을 본 명세서에 포함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컨텐츠마다 복수의 다른 형태의 미디어를 배신할 수 있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클라이언트가 요구하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미디어를 클라이언트의 요구하는 형태로, 또는 여러 가지 단말 능력이나 네트워크 상황에 적응하는 형태로 배신할 수 있다.

Claims (11)

  1. 복수의 컨텐츠와, 상기 컨텐츠마다 마련된 오리지널 미디어 및 상기 오리지널 미디어에 관련된 미디어와, 상기 오리지널 미디어 및 상기 관련된 미디어를 배신할 때에 과금하는 소정 요금을 저장한 저장부와,
    클라이언트로부터 송신되어 온, 특정의 상기 콘텐츠의 상기 오리지널 미디어 또는 상기 관련된 미디어의 배신 요구를 수신하는 요구 수신부와,
    상기 배신 요구를 해석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가 배신 요구하는 상기 오리지널 미디어 또는 상기 관련된 미디어를 특정하는 요구 해석부와,
    특정한 상기 오리지널 미디어 또는 관련된 미디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선택하는 미디어 선택부와,
    상기 특정한 오리지널 미디어 또는 관련된 미디어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송신하는 미디어 송신부와,
    상기 특정한 오리지널 미디어 또는 관련된 미디어의 배신 시에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상기 특정한 오리지널 미디어 또는 관련된 미디어에 대응하는 상기 소정 요금을 과금하는 과금부를 구비하되,
    상기 관련된 미디어에 대한 상기 소정 요금과 상기 오리지널 미디어에 대한 상기 소정 요금을 다르게 하되,
    상기 오리지널 미디어는 상기 콘텐츠의 뷰이고, 상기 관련된 미디어는 상기 뷰의 요약 정보로 상기 소정 요금이 무료인 프리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배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마다, 상기 오리지널 미디어에 대응하는 상기 소정 요금과 상기 관련된 미디어에 대응하는 상기 소정 요금을, 관련지어 관리하는 메타 데이터인 컨텐츠 관리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컨텐츠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신 요구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오리지널 미디어 또는 상기 관련된 미디어를 특정하고 또한, 특정한 상기 오리지널의 미디어 또는 상기 관련된 미디어에 대응하는 상기 소정 요금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배신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리 정보로부터 상기 복수의 컨텐츠의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리스트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송부하는 리스트 정보 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배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부는,
    상기 리스트 정보 송신부가 상기 리스트 정보를 송신하고 나서, 상기 요구 수신부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송신되어 온 상기 컨텐츠의 배신 요구를 수신하기까지의 시간에 따라서, 상기 오리지널 미디어 또는 상기 관련된 미디어를 배신할 때에 과금하는 소정 요금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배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부는 상기 미디어 송신부가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해서 상기 프리뷰를 송신하고 나서, 상기 요구 수신부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오리지널 미디어의 배신 요구를 수신하기까지의 시간에 따라서, 상기 오리지널 미디어를 배신할 때에 과금하는 소정 요금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배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된 미디어는 상기 콘텐츠의 광고로서 배신 시에 소정의 페이백 요금이 설정된 광고 미디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배신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지널 미디어는 광대역 통신용의 미디어이고, 상기 관련된 미디어는 협대역 통신용의 미디어이며,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되어 온 클라이언트 단말의 통신 능력 정보에 정보에 따라 상기 광대역용의 미디어 또는 상기 협대역용의 미디어를 선택하여 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배신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용 미디어는, 컬러 데이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협대역용 미디어는 2치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배신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부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배신 요구 미디어를 재생했다는 취지의 정보를 수신한 후에 과금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배신 장치.
  10. 청구항 1에 기재된 미디어 배신 장치와,
    상기 미디어 배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을 구비하되,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미디어 배신 장치에 대하여 상기 미디어의 배신을 송신하고, 상기 미디어 배신 장치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송신된 상기 배신 요구를 수신하여, 상기 배신 요구에 대한 상기 미디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배신 시스템.
  11. 복수의 컨텐츠와, 상기 컨텐츠마다 마련된 오리지널 미디어 및 상기 오리지널 미디어에 관련된 미디어와, 상기 오리지널 미디어 및 상기 관련된 미디어를 배신할 때에 과금하는 소정 요금을 저장하는 단계와,
    클라이언트로부터 송신되어 온, 특정의 상기 콘텐츠의 상기 오리지널 미디어 또는 상기 관련된 미디어의 배신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배신 요구를 해석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가 배신 요구하는 상기 오리지널 미디어 또는 상기 관련된 미디어를 특정하는 단계와,
    특정한 상기 오리지널 미디어 또는 관련된 미디어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한 오리지널 미디어 또는 관련된 미디어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한 오리지널 미디어 또는 관련된 미디어의 배신 시에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상기 특정한 오리지널 미디어 또는 관련된 미디어에 대응하는 상기소정 요금을 과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관련된 미디어에 대한 상기 소정 요금과 상기 오리지널 미디어에 대한 상기 소정 요금을 다르게 하되,
    상기 오리지널 미디어는 상기 콘텐츠의 뷰이고, 상기 관련된 미디어는 상기 뷰의 요약 정보로 상기 소정 요금이 무료인 프리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배신 방법.
KR1020040098087A 2001-03-08 2004-11-26 미디어 배신 장치, 미디어 배신 방법 및 미디어 배신 시스템 KR200500027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65460 2001-03-08
JP2001065460 2001-03-08
JP2002024750A JP4191932B2 (ja) 2001-03-08 2002-01-31 メディア配信装置およびメディア配信方法
JPJP-P-2002-00024750 2002-01-3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2610A Division KR20020072244A (ko) 2001-03-08 2002-03-08 미디어 배신 장치, 미디어 배신 방법, 미디어 배신 시스템및 기록 매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8875A Division KR20080001684A (ko) 2001-03-08 2007-10-29 미디어 배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2713A true KR20050002713A (ko) 2005-01-10

Family

ID=2661089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2610A KR20020072244A (ko) 2001-03-08 2002-03-08 미디어 배신 장치, 미디어 배신 방법, 미디어 배신 시스템및 기록 매체
KR1020040098087A KR20050002713A (ko) 2001-03-08 2004-11-26 미디어 배신 장치, 미디어 배신 방법 및 미디어 배신 시스템
KR1020070108875A KR20080001684A (ko) 2001-03-08 2007-10-29 미디어 배신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2610A KR20020072244A (ko) 2001-03-08 2002-03-08 미디어 배신 장치, 미디어 배신 방법, 미디어 배신 시스템및 기록 매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8875A KR20080001684A (ko) 2001-03-08 2007-10-29 미디어 배신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20129371A1 (ko)
EP (1) EP1239619A3 (ko)
JP (1) JP4191932B2 (ko)
KR (3) KR20020072244A (ko)
CN (1) CN10034132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28229A1 (en) * 2002-01-08 2003-07-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llowing a user to determine whether to view web content based on cost
US20030204630A1 (en) * 2002-04-29 2003-10-30 The Boeing Company Bandwidth-efficient and secure method to combine multiple live events to multiple exhibitors
US7690021B2 (en) * 2002-04-29 2010-03-30 The Boeing Company Combining multiple simultaneous source cinema to multiple exhibitor receivers
US7793323B2 (en) * 2002-04-29 2010-09-07 The Boeing Company Digital cinema system hub for multiple exhibitor distribution
US6954718B2 (en) * 2002-04-29 2005-10-11 The Boeing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aring actual use data with contract data
US20030202576A1 (en) * 2002-04-29 2003-10-30 The Boeing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mpressing and multiplexing multiple video streams in real-time
JP2004056462A (ja) * 2002-07-19 2004-02-19 Sony Corp 映像検索支援方法及び映像検索支援装置、並びに放送受信装置
JP2004080416A (ja) * 2002-08-19 2004-03-11 Nec Corp 動画像配信システム
US10373420B2 (en) 2002-09-16 2019-08-06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downloading jukebox with enhanced communication features
JP4369708B2 (ja) * 2002-09-27 2009-11-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
US20040210942A1 (en) * 2002-10-18 2004-10-21 Thomas Lemmons Demographic/preference sniffer
AU2003286487B2 (en) * 2002-10-18 2007-07-26 Opentv, Inc. iChoose video advertising
US7870593B2 (en) * 2002-12-05 2011-01-11 Att Knowledge Ventures, L.P. DSL video service with storage
US20040111750A1 (en) * 2002-12-05 2004-06-10 Stuckman Bruce E. DSL video service with automatic program selector
US20040111754A1 (en) * 2002-12-05 2004-06-10 Bushey Robert R.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media content
US8086093B2 (en) * 2002-12-05 2011-12-27 At&T Ip I, Lp DSL video service with memory manager
US7522675B2 (en) * 2002-12-30 2009-04-21 Motorola, Inc. Digital content preview generation and distribution among peer devices
JP4305004B2 (ja) * 2003-02-28 2009-07-2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4287597A (ja) * 2003-03-19 2004-10-14 Nec Corp エンターテイメント提供装置及びエンターテイメント端末
US7426637B2 (en) * 2003-05-21 2008-09-16 Music Public Broadcast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ed media sharing in a network
JP2004357095A (ja) * 2003-05-30 2004-12-16 Sony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346969B2 (ja) * 2003-06-20 2009-10-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装置及びデ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装置の制御方法
DE10341362A1 (de) * 2003-09-08 2005-04-07 Siemens Ag Verfahren zur Vergebührung eines Dienstes in einem Paketdatennetz
JP4385099B2 (ja) * 2003-12-03 2009-12-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放送受信装置及びストリーム出力装置
WO2005057446A1 (ja) * 2003-12-12 2005-06-23 Nec Corporation ピア間通信を用いたコンテンツ流通システム
EP1704698A4 (en) * 2003-12-27 2011-10-19 Sk Telecom Co Ltd MULTIMEDIA CONTROL METHOD BASED ON RTSP
CN1635792A (zh) * 2003-12-29 2005-07-06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节目特定片段的创建方法和装置
JP4475235B2 (ja) 2004-01-28 2010-06-09 日本電気株式会社 コンテンツの符号化、配信及び受信方法と装置とシステムならびにプログラム
US8065696B2 (en) * 2004-03-19 2011-11-22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based content pricing
JP5095396B2 (ja) * 2004-06-24 2012-12-12 エレクトロニクス アンド 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リサーチ インスチチュート ターゲッティング支援のための拡張した記述構造と、これを適用したtvエニタイムサービス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6208692A (ja) * 2005-01-27 2006-08-10 Shigeo Maruyama 音楽配信方法及び装置
EP1855480B1 (en) * 2005-03-02 2017-05-0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Distribution device and reception device
US8225410B2 (en) * 2005-07-08 2012-07-1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 P.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securing content
US20070016530A1 (en) * 2005-07-15 2007-01-18 Christopher Stasi Multi-media file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US20070079342A1 (en) * 2005-09-30 2007-04-05 Guidework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local storage of on-demand content
FR2893204B1 (fr) * 2005-11-07 2008-02-01 Thomson Licensing Sa Procede de reception de contenus audiovisuels a destination de plusieurs appareils, serveur et appareil mettant en oeuvre le procede
US20080016533A1 (en) * 2005-11-09 2008-01-17 Rothschild Leigh M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digital media content to a user
JP5028013B2 (ja) * 2006-01-20 2012-09-19 日立コンシューマ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コンテンツ出力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出力方法
US20070198363A1 (en) * 2006-02-17 2007-08-23 Yahoo!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pricing structures and delivery channels for rights in files on a network
US9166813B2 (en) * 2006-03-06 2015-10-20 Rtem Innovations Corp. System for simultaneous delivery of digital television and interactive broadband service
JP5256436B2 (ja) * 2006-07-09 2013-08-07 雅英 田中 動画データ配信・鑑賞システム、番組動画データ配信装置、広告動画データ配信装置、および動画データ鑑賞装置、
CA2658798A1 (en) * 2006-12-12 2008-06-19 Panasonic Corporation Content information outputting apparatus, content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 content information outputting method, content information receiving method
US9171419B2 (en) 2007-01-17 2015-10-27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Coin operated entertainment system
US9953481B2 (en) 2007-03-26 2018-04-24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Jukebox with associated video server
JP4592719B2 (ja) * 2007-03-27 2010-12-0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ダイジェストコンテンツ表示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SE531899C2 (sv) * 2007-07-10 2009-09-01 Agency 9 Ab System för grafikhantering
US10290006B2 (en) 2008-08-15 2019-05-14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signage and gaming services to comply with federal and state alcohol and beverage laws and regulations
US8332887B2 (en) 2008-01-10 2012-12-11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System and/or methods for distributing advertisements from a central advertisement network to a peripheral device via a local advertisement server
US8234410B2 (en) * 2008-01-04 2012-07-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ubscriber driven media agnostic content delivery across networks
US9934519B2 (en) * 2008-01-04 2018-04-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subscriber driven charging models for media distribution
JP5150350B2 (ja) * 2008-04-23 2013-02-20 日本放送協会 番組管理システム、番組管理サーバ、番組視聴端末、番組管理プログラム、及び番組視聴プログラム
US20090281872A1 (en) * 2008-05-12 2009-11-12 Yahoo! Inc. Targeting of advertisements to a network content provider
JP5286944B2 (ja) * 2008-05-30 2013-09-11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受信装置及びパケット通信方法
US20100030808A1 (en) * 2008-07-31 2010-02-04 Nortel Networks Limited Multimedia architecture for audio and visual content
KR101103099B1 (ko) * 2008-11-28 2012-01-04 육상조 선택전력의 차단수단을 갖는 계량기.
KR101748448B1 (ko) 2009-03-18 2017-06-16 터치튠즈 뮤직 코포레이션 엔터테인먼트 서버 및 관련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US8769589B2 (en) 2009-03-31 2014-07-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to create a media content summary based on viewer annotations
KR200454035Y1 (ko) * 2009-09-28 2011-06-10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접지선 길이 조절장치
CA2881448C (en) 2010-01-26 2017-09-05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jukebox device with improved user interfaces, and associated methods
WO2012125006A2 (ko) 2011-03-16 2012-09-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레프리젠테이션을 사용하는 스트리밍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FR2985131A1 (fr) * 2011-12-23 2013-06-28 France Telecom Systeme de controle pour jouer un flux de donnees sur un dispositif recepteur
JP5864478B2 (ja) * 2013-06-18 2016-02-17 ヤフー株式会社 色情報調整システム、色情報調整方法、コンテンツ選択システム、コンテンツ選択方法、端末、及び、配信装置
JP6379801B2 (ja) * 2013-08-30 2018-08-29 株式会社リコー コンテンツ選択システム、コンテンツ選択方法及び管理装置
US9838734B2 (en) * 2013-12-17 2017-12-05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ized preview videos
JP2016091436A (ja) * 2014-11-08 2016-05-23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615767B (zh) * 2015-06-02 2021-05-25 索尼公司 发送装置、发送方法、媒体处理装置、媒体处理方法以及接收装置
US20160364726A1 (en) * 2015-06-09 2016-12-15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Processing Transactions to Payment Accounts
KR101908940B1 (ko) * 2016-10-26 2018-10-19 주식회사 아리솔테크 이동차량에서의 멀티미디어 제공 시스템
US10798533B1 (en) * 2019-03-12 2020-10-06 Motorola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subscription based deployment and manage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708A (en) * 1896-09-15 goodwin
US5136411A (en) * 1987-12-11 1992-08-04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Dynamically responsive CATV system with shared fiber optic link
US5664227A (en) * 1994-10-14 1997-09-02 Carnegie Mellon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skimming digital audio/video data
US5835667A (en) * 1994-10-14 1998-11-10 Carnegie Mellon Un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searchable digital video library and a system and method of using such a library
US5614940A (en) * 1994-10-21 1997-03-25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roadcast information with indexing
US5619247A (en) * 1995-02-24 1997-04-08 Smart Vcr Limited Partnership Stored program pay-per-play
US5677708A (en) * 1995-05-05 1997-10-14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for displaying a list on a display screen
US5909238A (en) * 1995-07-25 1999-06-0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transmission system with billing based on the kind of MPEG frame transmitted
JP2982698B2 (ja) * 1996-07-08 1999-11-29 日本電気株式会社 分散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
US5973722A (en) * 1996-09-16 1999-10-26 Sony Corporation Combined digital audio/video on demand and broadcast distribution system
US5828809A (en) * 1996-10-01 1998-10-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indexing information from digital video data
FI103628B1 (fi) * 1997-09-02 1999-07-30 Nokia Mobile Phones Ltd Videodatan lähettäminen
US7024681B1 (en) * 1997-12-04 2006-04-04 Verizon Laborato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near video on demand
IL127793A0 (en) * 1998-05-28 1999-10-28 Ibm Internet server
CA2343751A1 (en) * 1998-07-27 2000-02-10 Webtv Networks, Inc. Remote computer access
US6714909B1 (en) * 1998-08-13 2004-03-30 At&T Corp.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multimedia content indexing and retrieval
US6144375A (en) * 1998-08-14 2000-11-07 Praja Inc. Multi-perspective viewer for content-based interactivity
US6563517B1 (en) * 1998-10-02 2003-05-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Automatic data quality adjustment to reduce response time in browsing
US6236395B1 (en) * 1999-02-01 2001-05-22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Audiovisu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6993789B1 (en) * 1999-04-23 2006-01-3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DTV data service application and receiver mechanism
GB9909606D0 (en) * 1999-04-26 1999-06-23 Telemedia Systems Ltd Networked delivery of profiled media files to clients
US7028325B1 (en) * 1999-09-13 2006-04-11 Microsoft Corporation Annotating programs for automatic summary generation
US7194687B2 (en) * 1999-09-16 2007-03-20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Audiovisu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ith user identification
US7181757B1 (en) * 1999-10-11 2007-02-2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Video summary description scheme and method and system of video summary description data generation for efficient overview and browsing
US7159233B2 (en) * 2000-01-28 2007-01-02 Sedna Patent Servic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rocessing and postprocessing content in an interactive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JP3810268B2 (ja) * 2000-04-07 2006-08-16 シャープ株式会社 オーディオビジュアルシステム
US7055168B1 (en) * 2000-05-03 2006-05-30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 for interpreting and executing user preferences of audiovisual information
US6829781B1 (en) * 2000-05-24 2004-12-07 At&T Corp. Network-based service to provide on-demand video summaries of television progra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335519A (ja) 2002-11-22
KR20020072244A (ko) 2002-09-14
EP1239619A3 (en) 2009-10-21
JP4191932B2 (ja) 2008-12-03
CN1374805A (zh) 2002-10-16
EP1239619A2 (en) 2002-09-11
KR20080001684A (ko) 2008-01-03
CN100341328C (zh) 2007-10-03
US20020129371A1 (en) 200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02713A (ko) 미디어 배신 장치, 미디어 배신 방법 및 미디어 배신 시스템
CA2840827C (en)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ement delivery within a video time shifting architecture
US107696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treaming media
JP4995713B2 (ja) ビデオオンデマンドのためのデジタル広告挿入
US20040254887A1 (en) Access control and metering system for streaming media
US20040254851A1 (en) Electronic merchandise distribution apparatus, electronic merchandise receiving terminal, and electronic merchandise distribution method
US20040019900A1 (en) Integration platform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s and management of video on demand services
JP2005534117A (ja) メディアデータの利用を測定し、レポート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30227598A1 (en) Broadcast Media with Targeted Advertising
CN101248425A (zh) 呈现广告内容
JPWO2003027860A1 (ja) 時間軸上で変化するコンテンツを配信する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ログ収集サーバ、コンテンツ中継サーバ、ユーザ端末、コンテンツ視聴状態把握方法、レコメンデーション方法及びコンテンツ提供方法
KR20090010861A (ko) 콘텐트 사용자 또는 콘텐트 제작자가 콘텐트에 삽입되는광고를 선택할 수 있는 콘텐트의 재생/제작 방법 및 장치
JP4303085B2 (ja) コンテンツ提供サービスシステム
KR20020006216A (ko) 광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고방법
US20040044745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servicing viewing record of contents
WO2002050737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traitement d'information, support d'enregistrement et programme
US20110313916A1 (en) Streamed content distribution service
JP2004070646A (ja) 情報端末装置、サーバ装置、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の同時再生制限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00054315A (ko) 인터넷 광고 방송 대행 시스템 및 방법
JP4130760B2 (ja) コンテンツ配信管理方法,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10785514B1 (en) Campaign router
US7593922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elivery of segmented data files
CN101867561B (zh) 用于管理正版多媒体文件的网络服务器
KR20190130868A (ko) 광고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0855623B1 (ko) 디지탈 방송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유니캐스팅 전송시스템 및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