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1370A - 전기 광학 장치, 제조 방법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기 광학 장치, 제조 방법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1370A
KR20050001370A KR1020040047047A KR20040047047A KR20050001370A KR 20050001370 A KR20050001370 A KR 20050001370A KR 1020040047047 A KR1020040047047 A KR 1020040047047A KR 20040047047 A KR20040047047 A KR 20040047047A KR 20050001370 A KR20050001370 A KR 20050001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
optical panel
optical
optical devic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7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2181B1 (ko
Inventor
히라노요시히사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1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1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1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 H05K2201/052Branch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 H05K2201/056Folded around rigid support or compon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05K2201/10136Liquid Crystal display [LC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광학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공정 및 제조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기판, 전기 광학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11)가 마련된 전기 광학 패널(10)에 인터페이스 기판(20)이 접속부(22)를 거쳐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전기 광학 장치(1)로서, 인터페이스 기판(20)은 접속부(22)로부터 전기 광학 패널의 이면 측으로 구부려진 절곡부(21 : folding part)와, 전기 광학 패널(10)의 이면 측에 위치하는 절곡부로부터 연장하여 이루어지는 돌출부(23, 24)를 포함하고, 돌출부(23, 24)는 전기 광학 패널(10)의 표면 측으로 구부려지고, 돌출부(23, 24)의 전자 부품(28)이 전기 광학 패널(10)의 연장부(14)에 실장되어 있는 드라이버 IC(15, 16, 17)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전기 광학 장치, 제조 방법 및 전자기기{ELECTRO-OPTIC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전기 광학 장치, 제조 방법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인터페이스 기판에 실장된 전자 부품을 전기 광학 패널의 표면 또는 이면과 대향하도록 배치하는 전기 광학 장치, 그 제조 방법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전기 광학 장치는 액정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로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부를 갖는 전기 광학 패널과, 이 화상 표시부를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복수의 전자 부품으로 구성되는 구동 회로부와, 이 전기 광학패널과 휴대 전화기 등 전자기기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기판과, 도광판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이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화상 표시부로 출사하는 도광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광원인 백라이트는 인터페이스 기판에 실장되고, 또한 전기 광학 장치가 수납되는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이 케이스 내부에 수납된 도광판에 광을 조사하고, 이 도광판은 전기 광학 패널의 화상 표시부로 광을 출사하는 것이다. 또한, 인터페이스 기판은 종래에는 유리 기판 등의 경질 기판이 사용되고 있었지만, 근년에는 형상 변형 등이 용이하고 설계의 자유도가 높은 FPC(Flexible Printed Circuits), 히트 실(heat seal) 등의 가요성 기판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 회로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전자 부품에는,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드라이버 IC, 이 드라이버 IC 등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IC, 이 드라이버 IC나 전원 IC을 제어하는 제어 IC 등이 있다. 이들 전자 부품 중, 드라이버 IC는 전기 광학 패널 상에 실장되고, 그 밖의 전자 부품(전원 IC, 제어 IC 등)은 인터페이스 기판 상에 실장된다. 그 밖의 전자 부품은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에 실장된 광원의 근방에 실장된다.
그렇지만, 인터페이스 기판의 광원이 실장되는 부분은 케이스와 도광판으로 형성되는 한정된 스페이스이며, 이 부분에 상기 그 밖의 전자 부품을 전부 실장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그 밖의 전자 부품은 이 인터페이스 기판의 전기 광학 장치의 외부로 연장되는 부분에 실장되어 있고, 전기 광학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없었다. 그래서, 종래에는, 대향하는 한 쌍의 기판으로 형성되는 전기 광학 패널에 마련된 연장부에 직접 실장되어 있는 드라이버 IC 상에 전원 IC나 제어 IC 등의 전자 부품을 탑재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76068호 공보
이것은 전원 IC나 제어 IC 등이 실장된 제어 회로 기판을 드라이버 IC 상에 탑재하고, 이 제어 회로 기판과 드라이버 IC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는, 화소수나 연장부에 실장되는 드라이버 IC의 배치가 다른 전기 광학 패널마다 제어 회로 기판을 제조해야 한다. 따라서, 전기 광학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 수가 증가하여, 제조 비용이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제어 회로 기판과 드라이버 IC 또는 전기 광학 패널은 상당수의 배선에 의해 접속된다. 특히, 드라이버 IC가 복수개 있고, 1개소에서 제어 회로 기판과 복수개의 드라이버 IC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경우에는, 이 배선끼리의 간격을 고려하면 드라이버 IC가 실장되는 연장부의 면적이 넓어질 우려가 있고, 그에 따라 제어 회로 기판의 면적도 넓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전기 광학 장치의 외형이 커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전기 광학 장치의 전체적인 소형화를 도모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제어 회로 기판은 드라이버 IC에만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 회로부를 구성하는 전자 부품 이외를 실장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에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적어도 전기 광학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공정 및 제조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는 전기 광학 장치, 그 제조 방법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전기 광학 패널과 인터페이스 기판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전기 광학 패널과 인터페이스 기판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 가이드 유닛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조립 흐름도,
도 5는 전기 광학 장치의 조립 설명도,
도 6은 전기 광학 장치의 조립 설명도,
도 7은 전기 광학 장치의 조립 설명도,
도 8은 전기 광학 장치의 조립 설명도,
도 9는 전기 광학 장치의 조립 설명도,
도 10은 실시예 1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경우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실시예 2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실시예 2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조립 흐름도,
도 14는 인터페이스 기판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인터페이스 기판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전기 광학 장치 10 : 전기 광학 패널
11 : 화상 표시부 20, 20' : 인터페이스 기판
23, 23', 24 : 돌출부 26 : 광원부
28 : 전자 부품 28a : 전원 IC
30 : 광 가이드 유닛 31 : 도광판
32 : 케이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가 마련된 전기 광학 패널에, 인터페이스 기판이 접속부를 거쳐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전기 광학 장치로서, 인터페이스 기판은 접속부로부터 전기 광학 패널의 이면 측으로 구부려진 절곡부와, 전기 광학 패널의 이면 측에 위치하는 절곡부로부터 연장하여 이루어지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돌출부는 전기 광학 패널의 표면 측으로 구부려지고, 돌출부의 전자 부품이 전기 광학 패널의 표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음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가 마련된 전기 광학 패널에, 인터페이스 기판이 접속부를 거쳐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전기 광학 장치로서, 인터페이스 기판은 접속부로부터 전기 광학 패널의 이면 측으로 구부려진 절곡부와, 전기 광학 패널의 이면 측에 위치하는 절곡부로부터 연장하여 이루어지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돌출부는 전기 광학 패널의 이면 측으로 구부려지고, 돌출부의 전자 부품이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이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발명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기판과 전기 광학 패널의 접속은 인터페이스 기판의 접속부에서 행하고, 전기 광학 패널의 표면 또는 이면에 대향하는 전자 부품의 배치는 구부려지는 것에 의해 전기 광학 패널의 표면 측 또는 이면 측에 위치하는 돌출부에서 행해진다. 따라서, 돌출부는 인터페이스 기판과 전기 광학 패널과의 접속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자 부품을 실장할 수 있는 외형이 있으면 되어, 적어도 전기 광학 패널과 인터페이스 기판으로 구성되는 전기 광학 장치의 외형이 커지는 경우는 없다. 또한, 전기 광학 패널의 표면 또는 이면, 특히, 전기 광학 패널이 한 쌍의 기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또한 당해 기판 사이가 갖는 연장부에, 이 돌출부의 전자 부품을 대향시킴으로써 전기 광학 장치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일없이, 전자 부품을 복수개 전기 광학 패널의 표면 또는 이면에 배치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전기 광학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기판의 접속부가 접속할 수 있는 전기 광학 패널이면, 화소수나 실장되는 드라이버 IC의 배치가 달라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형상(화소수나 실장되는 드라이버 IC의 배치)이 다른 전기 광학 패널마다 인터페이스 기판을 제조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에 따라, 전기 광학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 수의 증가, 제조 비용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부품이란, 전기 광학 패널의 화상 표시부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부를 구성하는 전자 부품, 예컨대, 화상 표시부에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드라이버 IC, 이 드라이버 IC 등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IC, 이 드라이버 IC나 전원 IC를 제어하는 제어 IC 등이 포함될 뿐만 아니라, 그 밖의 전자 부품, 예컨대, 인터페이스 기판에 광원인 LED가 실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LED를 구동하기 위한 전자 부품, 인터페이스 기판을 포함하는 전기 광학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필요한 전자 부품 등도 포함된다. 또한, 전기 광학 패널이란, 유리 기판 등의 경질 기판이나 FPC(Flexible Printed Circuits)나 히트 실 등의 가요성 기판이 포함된다. 한편, 인터페이스 기판이란, FPC이나 히트 실 등의 가요성 기판이다. 또한, 광원으로는 인터페이스 기판에 실장할 수 있는 것이면 좋고, LED나 EL(electroluminesence) 등이 포함된다(이하, 마찬가지).
또한, 다음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는, 상기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전기 광학 패널에는, 화상 표시부의 화상 표시를 제어하는 드라이버 IC가 실장되어 이루어지고, 돌출부는 드라이버 IC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광학 패널에 실장되어 있는 드라이버 IC에 이 돌출부의 전자 부품을 대향시킴으로써 전기 광학 장치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일없이, 전자 부품을 복수개 전기 광학 패널이 실장되어 있는 드라이버 IC 상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다음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는, 상기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돌출부는 인터페이스 기판의 양쪽에 마련되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기판에는, 전기 광학 패널의 표면에 전자 부품을 대향시키는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전자 부품을 하나의 돌출부에 실장한 경우와 비교하여, 하나의 돌출부에 형성되는 전자 부품의 배선이 적어지고, 돌출부의 폭을 좁게 할 수 있어, 돌출부의 외형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 광학 패널의 표면, 특히 전기 광학 패널이 한 쌍의 기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또한 당해 기판 사이가 갖는 연장부보다도, 이 돌출부의 외형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기 광학 장치의 소형화를 더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다음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는, 상기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전자 부품에는, 적어도 전기 광학 패널의 화상 표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IC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 IC를 인터페이스 기판의 열을 발생시키는 부분, 예컨대, 광원인 LED 등이 실장되어 있는 부분 이외인 돌출부에 실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열에 의해 온도 보증 회로가 내장되어 있는 전원 IC가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화상 표시부의 표시 이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음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는, 상기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전자 부품은 절연층으로 덮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돌출부의 전자 부품과, 전기 광학 패널의 표면에 형성되는 배선 또는 실장되는 드라이버 IC와의 사이에 절연층을 마련한다. 따라서, 돌출부의 전자 부품과 전기 광학 패널 표면의 배선 또는 드라이버 IC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의 전자 부품, 전기 광학 패널 표면의 배선 또는 드라이버 IC가 단락되는 것에 의한 화상 표시부의 표시 이상을 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음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는, 상기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전기 광학 패널은 크기가 다른 한 쌍의 기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또한 당해 한 쌍의 기판에 의해 형성되는 연장부를 갖고, 돌출부는 연장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광학 패널의 연장부에 이 돌출부의 전자 부품을 대향시킴으로써 전기 광학 장치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일없이, 복수의 전자 부품을 전기 광학 패널의 표면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 광학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다음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는, 상기한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드라이버 IC는 전기 광학 패널의 연장부에 실장되어 이루어지고, 돌출부는 전자 부품과 드라이버 IC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부품과 드라이버 IC 사이에 형성된 간격에 의해, 전자 부품과 드라이버 IC가 직접 접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부품 또는 드라이버 IC가 단락되는 것에 의한 화상 표시부의 표시 이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음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는, 상기한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고정 수단은 돌출부 및 연장부의 대향하는 면 사이에 마련된 절연성을 갖는 양면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돌출부와 연장부를 소정 높이의 양면 테이프에 의해 고정한다. 따라서, 양면 테이프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전자 부품과 드라이버 IC 사이에 임의 높이의 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부품과 드라이버 IC 사이에 간격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돌출부의 연장부에 대한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양면 테이프는 절연성을 가지므로, 돌출부에 형성되는 전자 부품 등의 배선과 전기 광학 패널의 표면에 형성되는 드라이버 IC 등의 배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는 없다. 이에 따라, 돌출부에 형성되는 배선과 전기 광학 패널의 표면에 형성되는 배선이 단락하는것에 의한 화상 표시부의 표시 이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음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는, 상기한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고정 수단은 상기 전자 부품과 전기 드라이버 IC를 고정하는 절연성을 갖는 접착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연성을 갖는 접착제에 의해, 전자 부품과 드라이버 IC 사이에 간격을 형성한다. 따라서, 전자 부품과 드라이버 IC 사이에 절연성을 갖는 접착제가 개재되므로, 전자 부품과 드라이버 IC가 직접 접속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부품 또는 드라이버 IC가 단락하는 것에 의한 화상 표시부의 표시 이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음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는, 상기한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전기 광학 패널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갖는 케이스를 더 구비하고, 케이스의 내주면에 전기 광학 패널의 표면 측으로 구부려지는 돌출부의 일부가 배치되는 절결부가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돌출부는 케이스의 내주면에 마련된 절결부에 삽입되어, 전기 광학 패널의 표면 측으로 구부려진다. 이에 따라, 돌출부가 케이스의 외주면보다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일이 없으므로, 전기 광학 장치의 소형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전기 광학 패널을 케이스에 수납하는 등의 경우에 돌출부가 파손되고, 이 돌출부의 배선이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의 배선이 단락되는 것에 의한 화상 표시부의 표시 이상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음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는, 상기한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기판의 한쪽 면에 마련된 광원부와, 케이스 내부에 수납되고, 또한광원부로부터 광을 조사받아, 당해 조사된 광을 화상 표시부로 출사하는 도광판을 더 구비하고, 절결부에 대향하는 도광판 측면의 일단을 곡면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돌출부를 전기 광학 패널의 표면 측으로 구부리는 절곡부가 위치하는 절결부에 대향하는 도광판 측면의 일단을 곡면으로 한다. 따라서, 돌출부의 절곡부가 이 곡면을 따라 구부려지므로, 돌출부의 절곡부가 케이스의 이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불룩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가 케이스의 이면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일이 없으므로, 전기 광학 장치의 소형화를 더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다음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는, 상기한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전기 광학 패널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갖는 케이스를 더 구비하고, 케이스의 외주면에 전기 광학 패널의 표면 측으로 구부려지는 돌출부의 일부가 배치되는 절결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돌출부는 케이스의 외주면에 마련된 절결부에 삽입되어, 전기 광학 패널의 표면 측으로 구부려진다. 이에 따라, 돌출부가 케이스의 외주면보다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일이 없으므로, 전기 광학 장치의 소형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또, 돌출부를 전기 광학 패널의 표면 측으로 구부리는 절곡부가 위치하는 케이스의 절결부 양단을 곡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돌출부의 절곡부가 곡면을 따라 구부려지므로, 돌출부의 절곡부가 케이스의 표면 및 이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불룩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음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본 발명에 기재한 전기 광학 장치를 구비하므로, 전기 광학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함으로써 전자기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다음 발명에 따른 전자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가 마련된 전기 광학 패널과 인터페이스 기판의 접속부를 접속하는 공정과, 인터페이스 기판의 절곡부를 접속부로부터 전기 광학 패널의 이면 측으로 구부리는 공정과, 인터페이스 기판의 절곡부로부터 연장하여 이루어지는 돌출부를 전기 광학 패널의 표면 측으로 구부리고, 돌출부의 전자 부품이 전기 광학 패널의 표면과 대향하도록 배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기판과 전기 광학 패널의 접속은 인터페이스 기판의 접속부에서 행하고, 전기 광학 패널의 표면에 대향하는 복수의 전자 부품의 배치는 구부려지는 것에 의해 전기 광학 패널의 표면 측에 위치하는 돌출부에서 행해진다. 따라서, 돌출부는 인터페이스 기판과 전기 광학 패널의 접속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자 부품을 실장할 수 있는 외형이면 되고, 전기 광학 장치의 외형이 커지는 일은 없다. 또한, 전기 광학 패널의 표면, 특히 전기 광학 패널이 한 쌍의 기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또한 당해 기판 사이가 갖는 연장부로, 이 돌출부의 전자 부품을 대향시킴으로써 전기 광학 장치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일없이, 복수의 전자 부품을 전기 광학 패널의 표면에 배치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전기 광학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기판의 접속부가 접속할 수 있는 전기 광학 패널이면, 화소수나 연장부에 실장되는 드라이버 IC의 배치가 달라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형상(화소수나 실장되는 드라이버 IC의 배치)이 다른 전기 광학 패널마다 인터페이스 기판을 제조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에 따라, 전기 광학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공수의 증가, 제조 비용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음 발명에 따른 전자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전자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가 마련된 전기 광학 패널과 광원이 실장되어 이루어지는 인터페이스 기판의 접속부를 접속하는 공정과, 케이스 내부에 도광판을 수납하는 공정과, 케이스의 내주면에 마련된 절결부와 도광판 사이에, 인터페이스 기판의 절곡부로부터 연장하여 이루어지는 돌출부를 삽입하는 공정과,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도광판에 입사하도록, 인터페이스 기판을 도광판에 고정하는 공정과, 전기 광학 패널을 절곡부로부터 구부려, 케이스에 형성된 수납부에 수납하는 공정과, 돌출부를 전기 광학 패널의 표면 측으로 구부리는 공정과, 돌출부의 전자 부품을 전기 광학 패널의 표면과 대향하도록 배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기판과 전기 광학 패널의 접속은 인터페이스 기판의 접속부에서 행하고, 전기 광학 패널의 표면에 대향하는 복수 전자 부품의 배치는 전기 광학 패널의 표면 측에 위치하는 돌출부가 구부려지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따라서, 돌출부는 인터페이스 기판과 전기 광학 패널의 접속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복수의 전자 부품을 실장할 수 있는 외형이면 되어, 전기 광학 장치의 외형이 커지는 일은 없다. 또한, 전기 광학 패널 표면의 연장부에 이 돌출부의전자 부품을 대향시킴으로써 전기 광학 장치의 두께를 엷게 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전기 광학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인터페이스 기판의 돌출부를 절결부에 삽입하여, 전기 광학 장치를 조립(제조)하므로, 전기 광학 패널을 케이스에 수납할 때에 돌출부가 파손되어, 이 돌출부의 배선이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의 배선이 단락되는 것에 의한 화상 표시부의 표시 이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하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에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상정할 수 있는 것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포함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로는, 예컨대, 액정 표시 장치를 들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 및 도 2는 전기 광학 패널과 인터페이스 기판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광학 패널(10)과 인터페이스 기판(20)은 휴대 전화기 등의 전자기기에 실장하는 것이다. 전기 광학 패널(10)은 유리 기판 등의 경질 기판이며, 화상 표시부(11)가 마련되어 있다. 이 화상 표시부(11)는 복수개의 화소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기 광학 장치가, 예컨대, 액정 표시 장치이면, 전기 광학 패널(10)은 제 1 전기 광학 패널(10a)과 제 2 전기광학 패널(10b) 두 개의 기판의 사이에, 도시하지 않은 밀봉재에 의해 액정이 봉입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화상 표시부(11)는 그 상하에 후술하는 광원부(26)인 LED(27)의 광을 편광하는 편광판(12, 13)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 1 전기 광학 패널(10a)은 제 2 전기 광학 패널(10b)보다 길이 방향으로 길고, 이 제 1 전기 광학 패널(10a)과 제 2 전기 광학 패널(10b)에 의해 연장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장부(14)에는, 화상 표시부(1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부를 구성하는 드라이버 IC(15∼17)가 실장되어 있다. 여기서, 드라이버 IC(15∼17)는 이들의 도시하지 않은 입력 단자와 전기 광학 패널(10)의 연장부(14)에 형성된 드라이버 IC(15∼17)의 배선이 AFC(Anisotropic Conductive Film : 이방성 도전 필름)을 거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이 전기 광학 장치는 COG 구조(Chip On Glass)이다. 또, 드라이버 IC(15, 17)는 주사용 신호 구동 회로를 형성하고 있고, 드라이버 IC(16)는 데이터용 신호 구동 회로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 기판(20)은 FPC나 히트 실 등의 가요성 기판이며, 절곡부(21)와, 접속부(22)와, 두 개의 돌출부(23, 24)와, 외부 접속부(25)로 구성되어 있다. 절곡부(21)는 거의 장방형이며, 그 일단에 접속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곡부(21)에는, 후술하는 광 가이드 유닛(30)의 도광판(31)과 케이스(32) 사이에 배치되는 광원부(26)로서, 케이스(32)의 도광판(31)에 광을 조사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27)가 복수개(도 1에서는 세 개) 실장되어 있다. 접속부(22)는 전기 광학 패널(10)의 연장부(1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접속부(22)까지 형성된 후술하는 돌출부(23, 24)에 실장된 전자 부품(28)인 전원IC(28a)나 제어 IC(그 밖의 전자 부품(28b))의 배선과 전기 광학 패널(10)의 연장부(14)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드라이버 IC(15∼17)의 배선이 AFC(Anisotropic Conductive Film : 이방성 도전 필름)을 거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두 개의 돌출부(23, 24)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기판(20)의 접속부(22)가 접속되는 전기 광학 패널(10)의 폭 W보다도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것이다. 이 돌출부(23, 24)는 띠 형상의 전자 부품 실장부(23a, 24a)와, 이 전자 부품 실장부(23a)와 절곡부(21)의 양 측면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띠 형상의 암부(23b, 24b)로 구성되어 있다. 돌출부(23, 24)의 전자 부품 실장부(23a, 24a)의 한쪽 면에는, 복수의 전자 부품(28)이 실장되어 있다. 이 전자 부품(28)에는, 예컨대, 전기 광학 패널(10)에 실장된 드라이버 IC(15∼17)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IC(28a)나 이 드라이버 IC(15∼17)나, 전원 IC(28a)를 제어하는 제어 IC 또는 전기 광학 장치가 실장되는 전자기기에 필요한 전자 부품 등의 그 밖의 전자 부품(28b)이 있다. 이들 전자 부품(28)은 돌출부(23, 24)의 한쪽 면 상에 형성된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전기적인 접속 방법에는 상기 AFC 등이 있다. 여기서, 전원 IC(28a)는 인터페이스 기판(20)의 광원부(26), 즉 열을 발생하는 부분 이외의 돌출부(23)에 실장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 IC(28a)의 온도 보증 회로가 오작동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기 광학 패널(10)의 화상 표시부(11)의 표시 이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돌출부(23, 24)의 전자 부품(28)의 배선은 각각 암부(23b, 24b)를 거쳐, 절곡부(21)까지 연장된다. 그리고, 전원 IC(28a)와 그 밖의 전자 부품(28b)인 제어IC의 배선은 절곡부(21)의 접속부(22)까지 연장되고, 드라이버 IC(15∼17)의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편, 그 밖의 전자 부품(28b)의 전자기기에 필요한 전자 부품의 배선은 절곡부(21)로부터 외부 접속부(25)까지 연장되고,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돌출부(23, 24)에는, 드라이버 IC에만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원 IC(28a)나 그 밖의 전자 부품인 제어 IC 이외의 전자 부품을 실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 가이드 유닛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동 도(a)는 광 가이드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동 도(b)는 동 도(a)의 A-A선 단면도, 동 도(c)는 동 도(a)의 B-B선 단면도이다. 동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 가이드 유닛(30)은 도광판(31)과, 케이스(32)와, 반사 시트(33)와, 확산 시트(34)와, 두 개의 프리즘 시트(35, 35)로 구성되어 있다.
이 광 가이드 유닛(30)은 인터페이스 기판(20)의 광원부(26)의 LED(27)로부터의 광을 전기 광학 패널(10)의 화상 표시부(11)로 조사하는 것이고, 광 가이드 유닛(30)과 광원부(26)로부터, 전기 광학 패널(10)의 화상 표시부(11)로 광을 조사하는 조명 장치가 형성된다.
도광판(31)은 장방형이 투명한 합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고, 그 양측 면의 소정 위치에 계지부(31a)가 복수개(동 도(a)에서는, 네 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도광판(31)의 네 변 중 한 변에는, 두 개의 돌기부(31b, 31c)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 이 두 개의 돌기부(31b, 31c) 사이에는, 인터페이스 기판(20)의 광원부(26)가 배치된다. 여기서, 도광판(31)의 돌기부(31b, 31c)는, 동 도(b)에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측면의 일단(동 도에서는, 하단)이 곡면(31d)으로 형성되어 있다(동 도(b) 참조).
케이스(32)는 프레임 형상의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기 광학 패널(10)을 수납하는 수납부(32a)와, 도광판(31)을 수납하는 도광판 수납부(32b)로 구성되어 있다. 도광판 수납부(32b)의 측면에는, 상기 도광판(31)의 유지부(31a : retaining part)에 대응하는 위치에 유지용 구멍(32c)이 복수개(동 도(a)에서는, 네 개)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납부(32a)의 측면 및 도광판 수납부(32b)의 측면의 각각에는, 동 도(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향하도록 절결부(32d, 32e)가 형성되어 있다. 즉, 케이스(32)의 내주면에 절결부(32d, 32e)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절결부(32d, 32e)의 폭은 인터페이스 기판(20)의 두께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다.
반사 시트(33)는 도광판(31)의 이면에 배치되는 것이고, 도광판(31)으로 안내된 광원부(26)로부터의 광 중, 이 도광판(31)의 이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도광판(31)의 표면 측으로 반사시키는 것이다. 확산 시트(34)는 도광판(31)의 표면에 배치되는 것이고, 도광판(31)의 표면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확산하는 것에 의해, 그 표면으로부터 균일한 광을 출사시키는 것이다. 두 개의 프리즘 시트(35, 35)는 확산 시트(34)의 표면에 적층하여 접착되는 것이고, 확산 시트(34)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를 향상시켜 전기 광학 패널(10)의 화상 표시부(11)로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또, 참조 부호 40은 전기 광학 패널(10)과 광 가이드 유닛(30)을 고정하는 차광판이며, 프레임 형상의 합성 수지재로 형성되어, 차광성을 갖는 것이다. 차광판(40)은 그 네 변 중 한 변으로부터 이 차광판(4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볼록부(41)가 형성되고, 케이스(32)의 도광판 수납부(32b)의 절결부(32e)를 덮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차광판(40)은 그 양면에 접착재가 도포되어 있는 것이다.
다음에, 전기 광학 패널(10)과, 인터페이스 기판(20)과, 광 가이드 유닛(30)으로 구성되는 실시예 1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조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1)의 조립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는 전기 광학 장치의 조립 설명도이다. 우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광학 패널(10)과 인터페이스 기판(20)을 접속한다(단계 ST1). 즉, 인터페이스 기판(20)의 접속부(22)를 전기 광학 패널(10)의 연장부(14)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다음에, 케이스(32)에 도광판(31)을 수납한다(단계 ST2).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32)의 도광판 수납부(32b) 내에, 케이스(32)의 이면으로부터 도광판(31)을 수납한다. 이 때, 도광판(31)의 유지부(31a)는 케이스(32)의 유지용 구멍(32c)에 삽입되어, 유지된다. 그리고, 동 도(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광판(31)을 수납한 케이스(32)의 이면을 덮도록, 반사 시트(33)를 도광판(31)의 이면에 접착한다. 이 때, 케이스(32)의 절결부(32e)는, 이 반사 시트(33)에 의해, 막히지 않고 이 케이스(32)의 이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또한,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32)의 도광판 수납부(32b)에 수납된 도광판(31)의 상면에, 확산 시트(34)와 두 개의 프리즘 시트(35, 35)를 순차 실장하는 것에 의해, 광 가이드 유닛(30)을 조립한다. 또한, 동 도(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32) 수납부(32a)의 저부에 차광판(40)을 접착한다. 이 때, 이 광 가이드 유닛(30)의 상면, 즉 도광판(31)에 실장된 프리즘 시트(35)의 상면은 차광판(40)에 둘러싸인 상태로 된다. 또한, 케이스(32)의 절결부(32e)는 차광판(40)의 볼록부(41)에 의해, 이 차광판(40)으로 막히지 않고 노출되어 있다.
다음에, 케이스(32)의 절결부(32e)와 도광판(31)의 돌기부(31b, 31c) 사이에, 각각 인터페이스 기판(20)의 두 개 돌출부(23, 24)를 삽입한다(단계 ST3). 이것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케이스(32)의 이면과 전기 광학 패널(10)의 이면이 대향하도록, 인터페이스 기판(20)을 배치한다. 다음에, 이 인터페이스 기판(20)의 두 개의 돌출부(23, 24)가 케이스(32)의 이면, 즉, 이 케이스(32)의 절결부(32e)를 향하도록 화살표 C 방향으로 구부려진다. 그리고, 돌출부(23, 24)를 구부린 상태에서, 전기 광학 패널(10) 및 인터페이스 기판(20)을 케이스(32)의 이면을 향해 이동하고, 케이스(32)의 절결부(32e)와 도광판(31)의 돌기부(31b, 31c) 사이에, 돌출부(23, 24)를 각각 화살표 D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한다.
다음에, 돌출부(23, 24)가 삽입된 상태에서, 인터페이스 기판(20)을 도광판(31)에 고정한다(단계 ST4). 즉, 인터페이스 기판(20)의 절곡부(21)와 도광판(31)의 이면을 도시하지 않은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 등으로 고정한다. 다음에, 전기 광학 패널(10)을 케이스(32)의 수납부(32a)에 수납한다(단계 ST5). 이것은 인터페이스 기판(20)이 도광판(31)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광학 패널(10)을 화살표 E 방향으로 구부림으로써 케이스(32)의수납부(32a)에 수납한다. 이 때, 전기 광학 패널(10)의 이면(편광판(13))은 상기 차광판(40)에 의해 고정되어, 전기 광학 패널(10)과 광 가이드 유닛(30)이 일체화된다. 이에 따라, 광원부(26)의 LED(27)는 도광판(31)과, 케이스(32)와, 전기 광학 패널(10)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인터페이스 기판(20)은 접속부(22)로부터 전기 광학 패널(10)의 이면 측으로 구부려진 상태로 된다.
다음에, 인터페이스 기판(20)의 돌출부(23, 24)를 전기 광학 패널(10)의 표면 측으로 구부린다(단계 ST6). 즉,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32)의 절결부(32d)로부터 노출된 돌출부(23, 24), 즉 전자 부품 실장부(23a, 24a)를 화살표 F 방향으로 구부린다. 다음에, 돌출부(23, 24)의 복수의 전자 부품(28)을 드라이버 IC(15∼17)와 대향하도록 배치한다(단계 ST7). 즉, 인터페이스 기판(20)의 돌출부(23, 24)를 전기 광학 패널(10)의 표면과 대향하도록 배치한다. 이것은 고정 수단인 소정 높이의 절연성을 갖는 양면 테이프(50)의 한쪽 면을 미리 전기 광학 패널(10)의 연장부(14)에 고정해 둔다. 그리고, 상기 단계 ST6에서 돌출부(23, 24)를 전기 광학 패널(10)의 표면 측으로 구부렸을 때에, 이 양면 테이프(50)의 다른쪽 면을 전기 광학 패널(10)의 표면과 대향하는 돌출부(23, 24)의 면(복수의 전자 부품(28)이 실장되어 있는 한쪽 면)에 고정하는 것으로 행해진다. 여기서, 양면 테이프(50)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전기 광학 패널(10)의 표면 측으로 구부려진 돌출부(23, 24)가 전기 광학 패널(10)보다 위쪽에 위치하지 않도록 배치되고, 또한 복수의 전자 부품(28)과 드라이버 IC(15∼17) 사이에 후술하는 간격이 형성된다. 즉, 양면 테이프(50)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으로, 전자 부품(28)과 드라이버 IC(15∼17) 사이에 간격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가 있어, 돌출부(23, 24)의 전기 광학 패널(10)의 연장부(14)에 대한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전기 광학 장치(1)의 제조(조립)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인터페이스 기판(20)을 접속부(22)로부터 전기 광학 패널(10)의 이면 측으로 구부리고, 돌출부(23, 24)를 전기 광학 패널(10)의 표면 측으로 구부림으로써 돌출부(23, 24)의 전자 부품(28 : 28a, 28b)은 전기 광학 패널(10)의 표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전기 광학 패널(10)과 인터페이스 기판(20)의 접속은 인터페이스 기판(20)의 접속부(22)에서 행해지고, 전기 광학 패널(10)의 표면에 대향하는 복수의 전자 부품(28)의 배치는 전기 광학 패널(10)의 표면 측에 위치하는 돌출부가 구부려지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따라서, 돌출부(23, 24)는 전기 광학 패널(10)과 인터페이스 기판(20)의 접속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복수의 전자 부품(28)을 실장할 수 있는 외형이 있으면 되어, 전기 광학 장치(1)의 외형이 커지는 일은 없다. 또한, 전기 광학 패널(10)의 표면의 연장부(14)에, 복수의 전자 부품(28)을 대향시킴으로써, 전기 광학 장치(1)의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고, 복수의 전자 부품(28)을 전기 광학 패널(10)의 표면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 광학 장치(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기판(20)의 접속부(22)를 접속할 수 있는 전기 광학 패널(10)이면, 화소수나 실장되는 드라이버 IC(15∼17)의 배치가 다르더라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기판(20)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형상(화소수나 실장되는 드라이버 IC(15∼17)의 배치)이 다른 전기 광학 패널(10)마다 인터페이스 기판(20)을제조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에 따라, 전기 광학 장치(1)를 제조하기 위한 공수의 증가, 제조 비용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기판(20)은 전기 광학 패널(10)의 표면에 복수의 전자 부품(28)을 대향시키는 두 개의 돌출부(23, 24)가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전자 부품(28)을 하나의 돌출부에 실장한 경우와 비교하여, 하나의 돌출부에 형성되는 전자 부품(28)의 배선이 적어져, 돌출부의 폭을 좁게 할 수가 있고, 돌출부의 외형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 광학 패널(10) 표면의 연장부(14)보다도, 이 돌출부의 외형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기 광학 장치(1)의 소형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도 10은 실시예 1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단면도이며, 동 도(a)는 주요부 종단면도, 동 도(b)는 주요부 횡단면도, 동 도(c)는 동 도(b)의 G부분 확대도이다. 조립된 전기 광학 장치(1)는, 동 도(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23, 24)의 일부인 암부(23b, 24b)는 케이스(32)의 이면으로부터 도광판(31)의 돌기부(31b, 31c)의 측면과 케이스(32)의 절결부(32e) 사이, 전기 광학 패널(10)의 측면과 케이스(32)의 절결부(32d) 사이를 거쳐, 전기 광학 패널(10)의 표면 측으로 인출된다. 즉, 돌출부(23, 24)의 일부는 케이스(32)의 내주면에 형성된 절결부(32d, 32e)에 삽입된 후, 전기 광학 패널(10)의 표시 측으로 구부려진다. 따라서, 돌출부(23, 24)는 전기 광학 장치(1)(케이스(32))의 외주면보다 바깥쪽으로 돌출하지 않고, 전기 광학 장치(1)의 소형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전기 광학 패널(10)을 케이스(32)에 수납하는 등의 때에, 돌출부(23, 24)가 파손되고, 이 돌출부(23, 24)의 배선이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 광학 장치(1)의 전기 광학 패널(10)의 화상 표시부(11)의 표시 이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동 도(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23, 24)는 복수의 전자 부품(28(28a, 28b))과 드라이버 IC(15∼17) 사이에 간격 H가 형성되도록, 고정 수단인 양면 테이프(5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간격 H에 의해, 복수의 전자 부품(28)과 드라이버 IC(15∼17)가 직접 접촉하는 것에 의해 단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양면 테이프(50)는 절연성을 갖기 때문에, 돌출부(23, 24)에 형성되는 복수의 전자 부품(28) 등의 배선과 전기 광학 패널(10)의 표면인 연장부(14)에 형성되는 드라이버 IC(15∼17) 등의 배선이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것에 의해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 광학 장치(1)의 전기 광학 패널(10)의 화상 표시부(11)의 표시 이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동 도(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32)의 절결부(32e)에 대향하는 도광판(31)의 돌기부(31b, 31c) 측면의 일단이 곡면(31d)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돌기부(23, 24)를 전기 광학 패널(10)의 표면 측으로 구부리는 절곡부 I는 이 곡면(31d)을 따라 구부려진다. 즉, 돌출부(23, 24)의 절곡부 I가 전기 광학 장치(1)(케이스(32))의 이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불룩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23, 24)가 전기 광학 장치(1)의 이면(케이스(32)의 이면)보다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일이 없으므로, 전기 광학 장치(1)의 소형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 2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전기 광학 장치(1')가 도 9(b)에 나타내는 전기 광학 장치(1)와 다른 점은 돌출부(23, 24)가 케이스(32')의 외주면에 마련된 절결부(32f)를 거쳐, 전기 광학 패널(10)의 표면 측으로 구부려지고 있는 점이다. 또, 전기 광학 패널(10), 인터페이스 기판(20), 광 가이드 유닛(30)의 케이스(32')를 제외하는 부분의 기본적 구성은, 도 9(b)에 나타내는 전기 광학 장치(1)와 거의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이 전기 광학 장치(1')는 도 9(b)에 나타내는 전기 광학 장치(1)와 마찬가지로 COG 구조이다.
케이스(32')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 형상의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기 광학 패널(10)을 수납하는 수납부(32a)와, 도광판(31)을 수납하는 도광판 수납부(32b)로 형성되어 있다. 도광판 수납부(32b)의 측면에는, 상기 도광판(31)의 유지부(31a)에 해당하는 위치에 유지용 구멍(32c)이 복수개(동 도에서는, 네 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32)의 외주면에는, 동 도(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향하도록 절결부(32f)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절결부(32f)의 폭은 인터페이스 기판(20)의 두께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이 전기 광학 장치(1')의 제조 방법(조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전기 광학 장치(1')의 조립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광학 패널(10)과 인터페이스 기판(20)을 접속한다(단계ST11). 즉, 인터페이스 기판(20)의 접속부(22)를 전기 광학 패널(10)의 연장부(14)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다음에, 케이스(32')에 도광판(31)을 수납한다(단계 ST12). 즉, 케이스(32')의 도광판 수납부(32b) 내에, 케이스(32')의 이면으로부터 도광판(31)을 수납한다(도 5(a) 참조). 이 때, 도광판(31)의 유지부(31a)는 케이스(32')의 유지용 구멍(32c)에 삽입되어, 유지된다. 그리고, 도광판(31)을 수납한 케이스(32')의 이면을 덮도록, 반사 시트(33)를 도광판(31)의 이면에 배치한다(도 5(b) 참조). 또한, 케이스(32')의 도광판 수납부(32b)에 수납된 도광판(31)의 상면에 확산 시트(34)와 두 개의 프리즘 시트(35, 35)를 순차 실장하는 것에 의해, 광 가이드 유닛(30)을 조립한다(도 6(a) 참조). 또한, 케이스(32')의 수납부(32a)의 저부에 차광판(40)을 접착한다(도 6(b) 참조).
다음에, 전기 광학 패널(10)을 케이스(32')의 수납부(32a)에 수납한다(단계 ST13). 즉, 전기 광학 패널(10)의 이면(편광판(13))이 상기 차광판(40)에 의해 고정되어, 전기 광학 패널(10)과 광 가이드 유닛(30)이 일체화된다. 이에 따라, 광원부(26)의 LED(27)는 도광판(31)과, 케이스(32')와, 전기 광학 패널(10) 사이에 배치된다. 다음에, 전기 광학 패널(10)이 케이스(32')의 수납부(32a)에 수납된 상태로, 인터페이스 기판(20)을 도광판(31)에 고정한다(단계 ST14). 즉, 인터페이스 기판(20)을 접속부(22)로부터 전기 광학 패널(10)의 이면 측으로 구부리고, 이 인터페이스 기판(20)의 절곡부(21)와 도광판(31)의 이면을 도시하지 않은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 등으로 고정한다.
다음에, 인터페이스 기판(20)의 돌기부(23, 24)를 전기 광학 패널(10)의 표면 측으로 구부린다(단계 ST15). 즉,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23, 24)를 케이스(32')의 외주면으로부터, 전기 광학 패널(10)의 표면 측으로 구부린다. 여기서, 돌출부(23, 24)의 일부는 케이스(32')의 외주면에 형성된 절결부(32f)에 삽입된다. 다음에, 돌출부(23, 24)의 복수의 전자 부품(28)을 드라이버 IC(15∼17)와 대향하도록 배치한다(단계 ST16). 즉, 인터페이스 기판(20)의 돌출부(23, 24)를 전기 광학 패널(10)의 표면과 대향하도록 배치한다. 이것은, 동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수단인 양면 테이프(50)에 의해, 전기 광학 패널(10) 표면의 연장부(14)와 전기 광학 패널(10)의 표면과 대향하는 돌출부(23, 24)의 면(복수의 전자 부품(28)이 실장되어 있는 한쪽 면)에 고정하는 것으로 행해진다. 이상에 의해, 전기 광학 장치(1')의 제조(조립)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인터페이스 기판(20)을 접속부(22)로부터 전기 광학 패널(10)의 이면 측으로 구부리고, 돌출부(23, 24)를 전기 광학 패널(10)의 표면 측으로 구부림으로써, 돌출부(23, 24)의 전자 부품(28(28a, 28b))은 전기 광학 패널(10)의 표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전기 광학 패널(10)과 인터페이스 기판(20)의 접속은 인터페이스 기판(20)의 접속부(22)에서 행하고, 전기 광학 패널(10)의 표면에 대향하는 복수의 전자 부품(28)의 배치는 전기 광학 패널(10)의 표면 측에 위치하는 돌출부가 구부려지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따라서, 돌출부(23, 24)는 전기 광학 패널(10)과 인터페이스 기판(20)의 접속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복수의 전자 부품(28)을 실장할 수 있는 외형이면 되고, 전기 광학 장치(1')의 외형이 커지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기 광학 패널(10)의 표면의 연장부(14)에, 복수의 전자 부품(28)을 대향시킴으로써, 전기 광학 장치(1')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일없이, 복수의 전자 부품(28)을 전기 광학 패널(10)의 표면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 광학 장치(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동 도(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23, 24)의 일부인 암부(23b, 24b)는 케이스(32')의 이면으로부터 이 케이스(32')의 절결부(32f)를 거쳐, 전기 광학 패널(10)의 표면 측으로 인출된다. 즉, 돌출부(23, 24)의 일부는 케이스(32)의 외주면에 형성된 절결부(32f)에 삽입된 후, 전기 광학 패널(10)의 표시 측으로 구부려진다. 따라서, 돌출부(23, 24)는 전기 광학 장치(1')(케이스(32'))의 외주면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전기 광학 장치(1')의 소형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의 복수의 전자 부품(28)을 절연층으로 덮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돌출부(23, 24)의 전자 부품(28)과 전기 광학 패널(10) 표면의 배선 또는 드라이버 IC(15∼17)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23, 24)의 전자 부품(28), 전기 광학 패널(10) 표면의 배선 또는 드라이버 IC(15∼17)가 단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기 광학 패널(10)의 화상 표시부(11)의 표시 이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고정 수단으로서, 돌출부(23, 24)와 전기 광학 패널(10)의 표면을 양면 테이프로 고정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돌출부(23, 24)의 전자 부품(28)과 전기 광학 패널(10)의 드라이버 IC(15∼17) 사이에 간격 H가 형성되면 다른 수단이더라도 좋다. 예컨대, 돌출부(23, 24)의 전자 부품(28)과 전기 광학 패널(10)의 드라이버 IC(15∼17)를 절연성의 접착제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 돌출부(23, 24)와 전기 광학 패널(10)의 표면을 고정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전자 부품(28)과 드라이버 IC(15∼17) 사이에, 간격으로서 절연성을 갖는 접착제를 개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부품(28)과 드라이버 IC(15∼17)가 직접 접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어, 전자 부품(28) 또는 드라이버 IC(15∼17)가 단락하는 것에 의한 화상 표시부의 표시 이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기 광학 장치(1, 1')를 지지하는 금속 프레임에 의해, 돌출부(23, 24)가 전기 광학 패널(10)의 표면과 반대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돌출부(23, 24)의 전자 부품(28)과 전기 광학 패널(10)의 드라이버 IC(15∼17)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돌출부(23, 24)의 어느 한쪽에, 예컨대, T자 형상의 유지 부재를 형성하고, 다른쪽에 유지용 구멍을 형성하며, 이 유지 부재를 유지용 구멍에 삽입하여, 돌출부(23, 24)를 서로 유지함으로써, 돌출부(23, 24)의 전자 부품(28)과 전기 광학 패널(10)의 드라이버 IC(15∼17)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인터페이스 기판(20)의 돌출부(23, 24)가 이 인터페이스 기판(20)의 절곡부(21)의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4 및 도 15는 인터페이스 기판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23')가 인터페이스 기판(20')의 절곡부(21)의 한쪽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돌출부(23')의 길이 L은 복수의 전자 부품(28)의 전부를 실장할 수있는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돌출부(23, 23', 24)는 인터페이스 기판(20, 20')의 접속부(22)가 접속되는 전기 광학 패널(10)의 폭 W보다도 바깥쪽으로 돌출하면 좋고,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23')의 전자 부품 실장부(23'a)가 인터페이스 기판(20')의 절곡부(21)로부터 소정 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하는 암부(23'c)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인터페이스 기판(20')을 접속부(22)로부터 전기 광학 패널(10)의 이면 측으로 구부린 후, 암부(23'c)를 구부려진 인터페이스 기판(20')의 절곡부(21)를 따라 되접는다. 이에 따라, 돌출부(23')는 전기 광학 패널(10)의 표면 측으로 구부려지고, 돌출부(23')의 복수 전자 부품(28)이 전기 광학 패널(10)의 표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기 광학 장치(1, 1')로서 COG 구조의 전기 광학 장치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인터페이스 기판(20)에 드라이버 IC(15∼17)를 실장하는 COF(Chip On FPC) 구조의 전기 광학 장치에 사용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기 광학 장치(1, 1')로서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전기 영동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조사된 광을 이용하는 여러 가지의 전기 광학 장치에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적용 대상)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1, 1')가 실장되는 전자기기로는, 휴대 전화기 외에, 예컨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라고 불리는 휴대형 정보기기나 휴대형 퍼스널 컴퓨터, 퍼스널 컴퓨터, 디지털 스틸 카메라, 차재(車載)용 모니터,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액정 텔레비전, 뷰파인더형, 모니터 직시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카네비게이션 장치, 호출기, 전자 수첩, 전자 계산기, 워드 프로세서, 워크 스테이션, 화상 전화기, POS 단말기 등 전기 광학 장치를 사용하는 기기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1, 1')는 반사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전투과형 또는 전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전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기 광학 패널(10)의 화상 표시부(11)에 광을 조사하는 인터페이스 기판(20)의 광원부(26) 및 광 가이드 유닛(30)은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향기기가 장착된 전기 광학 장치(1, 1')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장치(예컨대,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로 한 TFT나 박막 다이오드로 한 TFD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 또는 패시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1, 1')는 액정 표시 장치를 사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EL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전계 방출 표시 장치, LED(Light Emitting Diode) 표시 장치, 전기 영동 표시 장치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자발광형 전기 광학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기 광학 패널(10)의 화상 표시부(11)에 광을 조사하는 인터페이스 기판(20)의 광원부(26) 및 광 가이드 유닛(30)은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취함으로써, 적어도 전기 광학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공정 및 제조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는 전기 광학 장치, 그 제조 방법 및 전자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6)

  1.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가 마련된 전기 광학 패널에, 인터페이스 기판이 접속부를 통해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전기 광학 장치로서,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은
    상기 접속부로부터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이면 측으로 구부려진 절곡부(folding part)와,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이면 측에 위치하는 절곡부로부터 연장하여 이루어지는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표면 측으로 구부려지고, 상기 돌출부의 전자 부품이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표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패널에는 상기 화상 표시부의 화상 표시를 제어하는 드라이버 IC가 실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드라이버 IC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의 양측에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부품에는, 적어도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화상 표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IC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부품은 절연층으로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은 크기가 다른 한 쌍의 기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또한 당해 한 쌍의 기판에 의해 형성되는 연장부를 갖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장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IC는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연장부에 실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전자 부품과 상기 드라이버 IC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연장부의 대향하는 면 사이에 마련된 절연성을 갖는 양면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전자 부품과 상기 드라이버 IC를 고정하는 절연성을 갖는 접착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갖는 케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표면 측으로 구부려지는 돌출부의 일부가 배치되는 절결부가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의 한쪽 면에 마련된 광원부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납되고, 또한 상기 광원부로부터 광을 조사받아, 당해 조사된 광을 상기 화상 표시부로 출사하는 도광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절결부에 대향하는 상기 도광판 측면의 일단을 곡면(曲面)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갖는 케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표면 측으로 구부려지는 돌출부의 일부가 배치되는 절결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13. 청구항 1에 기재된 전기 광학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
  14.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가 마련된 전기 광학 패널과 인터페이스 기판의 접속부를 접속하는 공정과,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의 절곡부를 상기 접속부로부터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이면 측으로 구부리는 공정과,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의 절곡부로부터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돌출부를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표면 측으로 구부리고, 상기 돌출부의 전자 부품이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표면과 대향하도록 배치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15.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가 마련된 전기 광학 패널과 광원이 실장되어 이루어지는 인터페이스 기판의 접속부를 접속하는 공정과,
    케이스 내부에 도광판을 수납하는 공정과,
    케이스의 내주면에 마련된 절결부와 상기 도광판 사이에, 상기 인터페이스기판의 절곡부로부터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돌출부를 삽입(inserting)하는 공정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상기 도광판에 입사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을 상기 도광판에 고정하는 공정과,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을 상기 절곡부로부터 구부려,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수납부에 수납하는 공정과,
    상기 돌출부를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표면 측으로 구부리는 공정과,
    상기 돌출부의 전자 부품을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표면과 대향하도록 배치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16.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가 마련된 전기 광학 패널에, 인터페이스 기판이 접속부를 통해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전기 광학 장치로서,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은
    상기 접속부로부터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이면 측으로 구부려진 절곡부와,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이면 측에 위치하는 절곡부로부터 연장하여 이루어지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이면 측으로 구부려지고, 상기 돌출부의 전자 부품이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이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KR1020040047047A 2003-06-24 2004-06-23 전기 광학 장치, 제조 방법 및 전자기기 KR1006221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79591A JP4349009B2 (ja) 2003-06-24 2003-06-24 電気光学装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JP-P-2003-00179591 2003-06-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370A true KR20050001370A (ko) 2005-01-06
KR100622181B1 KR100622181B1 (ko) 2006-09-08

Family

ID=34074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7047A KR100622181B1 (ko) 2003-06-24 2004-06-23 전기 광학 장치, 제조 방법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61650B2 (ko)
JP (1) JP4349009B2 (ko)
KR (1) KR100622181B1 (ko)
CN (1) CN1573454B (ko)
TW (1) TWI25594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145B1 (ko) * 2008-11-12 2013-08-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9304B2 (ja) * 2004-06-29 2011-05-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TWM265638U (en) * 2004-10-08 2005-05-21 Au Optronics Corp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a backlight module thereof
TWI291577B (en) * 2004-12-23 2007-12-21 United Microdisplay Optronics Corp Layout of flat flexible cable of liquid crystal panel assembly
CN100468155C (zh) * 2004-12-29 2009-03-1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背光模组和液晶显示器
KR100719923B1 (ko) * 2005-03-10 2007-05-18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표시모듈
JP4534972B2 (ja) * 2005-03-30 2010-09-01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276584A (ja) * 2005-03-30 2006-10-12 Sanyo Epson Imaging Devices Corp 電気光学装置、配線基板の実装方法及び電子機器
KR20070008946A (ko) * 2005-07-14 2007-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JP4616105B2 (ja) * 2005-07-20 2011-01-19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KR101232043B1 (ko) * 2006-02-21 2013-02-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0978045B1 (ko) 2006-03-13 2010-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패널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4238879B2 (ja) * 2006-04-03 2009-03-18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100722119B1 (ko) * 2006-09-20 2007-05-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KR100769425B1 (ko) 2006-09-21 2007-10-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729084B1 (ko) 2006-09-21 2007-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KR100821043B1 (ko) 2006-09-22 2008-04-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성인쇄회로기판
JP4909017B2 (ja) * 2006-11-16 2012-04-04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KR100793514B1 (ko) 2006-12-29 2008-01-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JP2008242108A (ja) * 2007-03-28 2008-10-09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モジュール
KR101348151B1 (ko) * 2007-05-31 2014-0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모듈
KR101348247B1 (ko) * 2007-06-07 2014-0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JP5437567B2 (ja) * 2007-07-10 2014-03-12 ゴールドチャームリミテッド 液晶モジュール
US20090066873A1 (en) * 2007-09-12 2009-03-12 Reynold Li Liao LCD Display with LED Backlight Optimized for Minimum Notebook Computer Dimensions
KR101345172B1 (ko) * 2008-07-18 2013-12-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영동 표시소자
JP5466395B2 (ja) * 2008-11-28 2014-04-09 トッパン・フォームズ株式会社 積層配線基板
CN104597651B (zh) 2009-05-02 2017-12-05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显示设备
JP5170133B2 (ja) * 2010-03-16 2013-03-2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1767961B1 (ko) * 2010-08-31 2017-08-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공급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JP5877318B2 (ja) * 2010-09-28 2016-03-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
CN103733242B (zh) * 2011-09-15 2016-01-27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CN102610173B (zh) * 2012-04-01 2013-11-06 友达光电(苏州)有限公司 显示装置
US9928762B2 (en) * 2012-09-28 2018-03-27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circuit light shields
KR101762778B1 (ko) 2014-03-04 2017-07-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충전 및 통신 기판 그리고 무선 충전 및 통신 장치
KR102195276B1 (ko) * 2014-05-21 2020-12-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
JP2016130820A (ja) * 2015-01-15 2016-07-2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CN108398818B (zh) * 2017-02-06 2021-04-27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电光装置以及电子设备
DE102017222883A1 (de) 2017-12-15 2019-06-19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Kontaktierungseinheit zum elektrischen Kontaktieren zumindest eines Elektroniksegments eines Elektronikmoduls und Verfahren
JP7102296B2 (ja) * 2018-09-05 2022-07-1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7484399B2 (ja) 2020-05-12 2024-05-16 Toppan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調光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6068A (ja) 1999-03-26 2000-10-06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3901503B2 (ja) * 2001-07-30 2007-04-04 株式会社東芝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494586B (en) * 2001-09-26 2002-07-11 Windell Corp Structure for display device
JP4127759B2 (ja) * 2001-10-09 2008-07-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145B1 (ko) * 2008-11-12 2013-08-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73454A (zh) 2005-02-02
US7161650B2 (en) 2007-01-09
CN1573454B (zh) 2010-05-12
TWI255943B (en) 2006-06-01
US20050018102A1 (en) 2005-01-27
KR100622181B1 (ko) 2006-09-08
JP4349009B2 (ja) 2009-10-21
JP2005017483A (ja) 2005-01-20
TW200510845A (en) 200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2181B1 (ko) 전기 광학 장치, 제조 방법 및 전자기기
US7292290B2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4534972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616105B2 (ja) 液晶表示装置
KR100764254B1 (ko) 조명 장치,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US8724049B2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KR100786479B1 (ko) 평판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표시기기
US8303156B2 (en) Light source unit, light emit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same
JP2005084510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気光学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JP4257180B2 (ja) 両面表示型液晶表示装置
JP3565101B2 (ja) サイドライト型面光源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ならびに電子機器
JP2005099619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この電気光学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9216810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297021B2 (ja) 電気光学装置、照明装置及び電子機器
US8155704B2 (en) Display device
JP4345337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572323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296877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この電気光学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5283829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6171388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080001510A (ko) 액정표시소자
KR100754143B1 (ko) 휴대용 표시장치
JP2005266110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070074890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적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100784043B1 (ko) 평판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