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401Y1 - 강풍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후레싱 마감구조 - Google Patents

강풍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후레싱 마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401Y1
KR200497401Y1 KR2020210000637U KR20210000637U KR200497401Y1 KR 200497401 Y1 KR200497401 Y1 KR 200497401Y1 KR 2020210000637 U KR2020210000637 U KR 2020210000637U KR 20210000637 U KR20210000637 U KR 20210000637U KR 200497401 Y1 KR200497401 Y1 KR 2004974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ing
roof
fixing part
side wall
finish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6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144U (ko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넷폼알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넷폼알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넷폼알앤디
Priority to KR20202100006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401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1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1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4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4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5Trimming strips; Edge strips; Fascias; Expansion joints for roofs
    • E04D13/155Trimming strips; Edge strips; Fascias; Expansion joints for roofs retaining the roof sheat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5Trimming strips; Edge strips; Fascias; Expansion joints for roofs
    • E04D13/158Trimming strips; Edge strips; Fascias; Expansion joints for roofs covering the overhang at the eave side, e.g. soffits, or the verge of saddle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04D2001/3408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er type or material
    • E04D2001/3414Metal strips or sheet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태풍과 같은 강풍에 의해 후레싱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후레싱의 분리로 인하여 지붕까지 분리되는 2차 피해를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강풍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후레싱 마감구조를 제시한다. 그 마감구조는 건축물의 지붕에 고정되는 지붕고정부와, 건축물의 측벽에 고정되는 측벽고정부와, 지붕고정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측벽고정부에 타측이 연결되며 후레싱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지붕고정부, 수용부 및 측벽고정부는 일체를 이룬다.

Description

강풍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후레싱 마감구조{Finishing structure of flashing blocking damage by strong wind having}
본 고안은 후레싱 마감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풍과 같은 강풍에 의해 지붕의 피해를 차단하기 위하여, 보강재를 부착하여 후레싱의 분리를 방지하는 지붕 마감을 하는 후레싱 마감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지붕 마감재는 주로 아스팔트 슁글, 금속 지붕재가 많이 사용된다. 아스팔트 슁글은 가격이 저렴하고 방수성이 뛰어나고, 가벼우며 쉽게 자르거나 구부릴 수 있어서, 시공이 간편하다. 금속지붕재는 금속기와, 칼라강판, 동판, 아연판 등이 활용되고 있다. 금속기와는 가볍고 튼튼하며,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 기간이 대폭 단축되어 건축비가 절감되며, 수명이 길며, 유지보수비가 저렴한 장점이 있다. 후레싱은 지붕의 틈새를 차단하기 위한 방수용 금속판 구조물을 통칭한다. 이러한 후레싱은 지붕 끝단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빗물이나 습기가 지붕이나 건물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스며들지 않도록 한다. 국내등록특허 제10-1923102호는 슁글 및 후레싱의 상면 방향 및 측면 방향을 감싸고, 건축물의 측면에 고정된 방수시트를 포함하는 후레싱 마감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후레싱 마감구조는 태풍과 같은 강풍에 노출되면, 상기 마감구조는 강풍에 의해 탈리되어 지붕으로부터 분리된다. 태풍과 같은 강풍의 위력은 너무 강하기 때문에, 다양하게 방법을 시도함에도 후레싱 마감구조의 분리가 일어나는 문제점은 아직 해결되고 있지 않다. 이에 따라, 태풍과 같은 강풍으로 인하여 마감구조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상기 마감구조가 분리되면, 상기 마감구조가 시발점이 되어 지붕 전체가 분리되는 2차 피해가 발생하므로, 후레싱 마감구조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2차 피해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태풍과 같은 강풍에 의해 후레싱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후레싱의 분리로 인하여 지붕까지 분리되는 2차 피해를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강풍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후레싱 마감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강풍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후레싱 마감구조는 건축물의 지붕에 고정되는 지붕고정부와, 상기 건축물의 측벽에 고정되는 측벽고정부와, 상기 지붕고정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측벽고정부에 타측이 연결되며, 후레싱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붕고정부,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측벽고정부는 일체를 이룬다.
본 고안의 마감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붕고정부는 경사각(θ)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용부에 의해 제공되는 수용공간의 크기는 상기 수용부의 길이 및 단턱의 폭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상기 수용부는 다수 압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박돌기는 탄성의 범위 내에서 상기 후레싱을 변형시킬 수 있다. 상기 압박돌기는 평면으로 보아 띠 형태, 격자 형태, 섬 형태, 울타리 형태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태 중의 어느 하나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압박돌기의 전면에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강풍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후레싱 마감구조에 의하면, 후레싱을 고정하는 보강재를 활용함으로써, 태풍과 같은 강풍에 의해 후레싱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후레싱의 분리로 인하여 지붕까지 분리되는 2차 피해를 근본적으로 방지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제1 보강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제1 보강재를 포함한 후레싱 마감구조가 건축물에 적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제2 보강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제2 보강재를 포함한 후레싱 마감구조가 건축물에 적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한편, 상부, 하부, 정면 등과 같이 위치를 지적하는 용어들은 도면에 나타낸 것과 관련될 뿐이다. 실제로, 마감구조는 임의의 선택적인 방향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실제 사용할 때 공간적인 방향은 마감구조의 방향 및 회전에 따라 변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후레싱을 고정하는 보강재를 활용함으로써, 태풍과 같은 강풍에 의해 후레싱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후레싱의 분리로 인하여 지붕까지 분리되는 2차 피해를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후레싱 마감구조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보강재가 포함된 후레싱 마감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상기 마감구조에 의해 후레싱의 분리에 의한 2차 피해를 방지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후레싱 마감구조는 지붕 끝단을 마감하는 구조이며, 구체적으로 보강재에 결합된 후레싱을 말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보강재(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다만, 엄밀한 의미의 도면을 표현한 것이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의하면, 제1 보강재(100)는 지붕고정부(10), 제1 수용부(20) 및 측벽고정부(30)를 포함한다. 지붕고정부(10), 제1 수용부(20) 및 측벽고정부(30)는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수용부(20)의 일측은 지붕고정부(10)와 연결되고, 타측은 측벽고정부(30)에 연결된다. 지붕고정부(10)는 후레싱(도 3의 102)의 상면에 밀착되고, 측벽고정부(30)는 건축물의 측벽에 고정된다. 후레싱(102)의 상면은 건축물의 지붕에 부착되고 측면은 측벽에 밀착되므로, 지붕고정부(10)는 건축물의 지붕에 고정되고 측벽고정부(30)는 건축물의 측벽에 고정된다. 즉, 제1 보강재(100)는 후레싱(102)과 함께 건축물에 부착된다. 지붕고정부(10)는 나사, 못, 볼트 등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고정홀(11)을 이용하여 상기 지붕에 고정된다. 측벽고정부(30)는 나사, 못, 볼트 등이 삽입될 수 있는 제2 고정홀(31)을 이용하여 상기 측벽에 고정된다.
지붕고정부(10)는 제1 수용부(20)의 단부에 대하여 경사각(θ)을 가진다. 경사각(θ)은 지붕고정부(10)가 고정되는 지붕의 형태에 따라 달라진다. 즉, 상기 지붕의 경사가 크면 경사각(θ)은 커지고, 상기 지붕의 경사가 작으면 경사각(θ)은 작아진다. 제1 수용부(20)는 후레싱(102)을 수용하는 수용공간(a)을 확보한다. 수용공간(a)은 지붕고정부(10), 제1 수용부(20) 및 단턱(21)에 의해 제공된다. 수용공간(a)의 크기는 후레싱(102)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달라진다. 수용공간(a)의 크기는 제1 수용부(20)의 길이(L) 및 단턱(21)의 폭(W)에 의해 정해진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보강재(100)를 포함한 후레싱 마감구조가 건축물에 적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제1 보강재(10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3에 의하면, 지붕(101)의 단부는 후레싱(102)이 부착되고, 후레싱(102)은 제1 보강재(100)에 의해 수용된 상태에서 건축물(CS)의 지붕에 고정된다. 지붕고정부(10)는 제1 고정홀(11)에 나사, 못, 볼트 등과 같은 고정수단(104)이 삽입되어 상기 지붕에 고정된다. 측벽고정부(30)는 제2 고정홀(31)에 나사, 못, 볼트 등과 같은 고정수단(104)이 삽입되어 상기 측벽에 고정된다. 후레싱(102)은 지붕의 틈새를 차단하기 위한 방수용 금속판 구조물을 통칭한다. 후레싱(102)은 지붕 끝단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빗물이나 습기가 지붕이나 건물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스며들지 않도록 한다. 상기 지붕 및 측벽에 고정된 후레싱(102) 및 제1 보강재(100)는 부직포 등을 활용한 방수포(103)를 덮은 후, 마감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보강재(100)는 후레싱(102)이 태풍과 같은 강풍에 부딪치면, 후레싱(102)이 강풍에 의해 탈리되어 건축물(CS)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본 고안의 후레싱(102)이 강풍에 의해 분리되지 않으면, 후레싱(102)의 분리가 상기 지붕 전체로 전파되지 않도록 한다. 만일, 후레싱(102)이 분리되어 날아가면, 후레싱(102)과 결합된 슁글, 금속기와 등과 같은 지붕도 분리되어 날아가는 2차 피해가 발생한다. 제1 보강재(100)가 후레싱(102)의 분리를 방지하면, 지붕 전체가 분리되어 날아가는 2차 피해를 막을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제2 보강재(2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제2 보강재(200)는 제2 수용부(40)를 제외하고 제1 보강재(100)와 동일하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수용부(40)는 적어도 하나의 압박돌기(41)를 포함한다. 제2 수용부(40)는 후레싱(102)을 수용하는 수용공간(b)을 확보한다. 수용공간(b)은 지붕고정부(10), 압박돌기(41)가 존재하는 제2 수용부(40) 및 단턱(21)에 의해 제공된다. 수용공간(b)의 크기는 후레싱(102)의 형상에 따라 달라진다. 수용공간(b)의 크기는 제2 수용부(40)의 길이(L) 및 단턱(21)의 폭(W)에 의해 정해진다. 수용공간(b)의 크기는 후레싱(102)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달라진다. 수용공간(b)의 크기는 제2 수용부(20)의 길이(L), 단턱(21)의 폭(W) 및 압박돌기(41)의 크기에 의해 정해진다.
압박돌기(41)는 수용공간(b)에 수용된 후레싱(102)을 압박한다. 여기서, 상기 압박이란 후레싱(102)에 압력을 가하여, 제2 보강재(200)를 후레싱(102)에 보다 강하게 밀착되게 하는 것을 말한다. 압박돌기(41)가 후레싱(102)을 압박하면, 후레싱(102)이 제2 보강재(200)에 단단하게 고정되게 한다. 만일, 후레싱(102)이 제2 보강재(200)에 밀착되지 않더라도, 압박돌기(41)로 후레싱(102)을 제2 보강재(200)에 밀착시킨다. 더불어, 압박돌기(41)에 의한 압박은 후레싱(102)이 건축물의 측벽에서의 밀착력을 높인다. 이때, 압박돌기(41)의 크기, 형상 및 개수는 후레싱(102)의 압박 및 본 고안의 목적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압박돌기(41)의 형상은 평면으로 보아 띠 형태, 격자 형태, 섬 형태, 울타리 형태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띠 형태를 사례로 제시하였으며, 상기 섬 형태는 상기 띠 형태가 분할된 형태를 말한다.
압박돌기(41)와 후레싱(102)가 접촉하는 부위인 압박돌기(41)의 전면에는 접착층(42)을 마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접착층(42)은 이형층으로 보호되며, 후레싱(102)을 수용공간(b)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이형층을 벗겨내어, 접착층(42)이 후레싱(102)에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접착층(42)은 후레싱(102)이 제2 보강재(200)에 보다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접착층(42)은 압박돌기(41)의 존재를 전제로 하는 것으로, 단순한 반복실험으로 얻어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제2 보강재(200)를 포함한 후레싱 마감구조가 건축물에 적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제2 보강재(20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6에 의하면, 지붕(101)의 단부에는 후레싱(102)이 결합되고, 후레싱(102)은 제2 보강재(200)에 의해 수용된 상태에서 건축물(CS)의 지붕 및 측벽에 고정된다. 지붕고정부(10)는 제1 고정홀(11)에 나사, 못, 볼트 등과 같은 고정수단(104)이 삽입되어 상기 지붕에 고정된다. 측벽고정부(30)는 제2 고정홀(31)에 나사, 못, 볼트 등과 같은 고정수단(104)이 삽입되어 상기 측벽에 고정된다. 후레싱(102)은 지붕의 틈새를 차단하기 위한 방수용 금속판 구조물을 통칭한다. 후레싱(102)은 지붕 끝단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빗물이나 습기가 지붕이나 건물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스며들지 않도록 한다. 상기 지붕 및 측벽에 고정된 후레싱(102) 및 제2 보강재(200)는 부직포 등을 활용한 방수포(103)를 덮은 후, 마감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제2 보강재(200)는 후레싱(102)이 태풍과 같은 강풍에 부딪치면, 제2 보강재(200)에 의해 후레싱(102)이 강풍에 의해 탈리되어 건축물(CS)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제2 보강재(200)의 압착돌기(41)는 후레싱(102)의 탄성의 범위 내에서 압박하여, 측벽에 대한 밀착력을 높여서 상기 강풍에 의한 분리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압착돌기(41)가 후레싱(102)을 탄성의 범위 내에서 압박을 하면, 후레싱(102)은 탄성의 범위 내에서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의 범위는 압박돌기(41)가 제거되면 후레싱(102)은 원상태로 회복되는 것을 말한다. 만일, 후레싱(102)이 분리되어 날아가면, 후레싱(102)과 결합된 슁글, 금속기와 등과 같은 지붕도 분리되어 날아가는 2차 피해가 발생한다. 제2 보강재(200)가 후레싱(102)의 분리를 방지하면, 지붕 전체가 분리되어 날아가는 2차 피해를 막을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지붕고정부
11, 31; 제1 및 제2 고정홀
20, 40; 제1 및 제2 수용부
21; 단턱 41; 압박돌기
101; 지붕 102; 후레싱
103; 방수포 104; 고정수단
100, 200; 제1 및 제2 보강재

Claims (7)

  1. 건축물의 지붕에 고정되는 지붕고정부;
    상기 건축물의 측벽에 고정되는 측벽고정부;
    상기 지붕고정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측벽고정부에 타측이 연결되며, 후레싱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붕고정부,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측벽고정부는 일체를 이루고,
    상기 수용부는 다수 압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압박돌기는 탄성의 범위 내에서 상기 후레싱을 변형시켜 상기 건축물의 측벽에 대한 밀착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풍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후레싱 마감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고정부는 경사각(θ)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풍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후레싱 마감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의해 제공되는 수용공간의 크기는 상기 수용부의 길이 및 단턱의 폭에 의해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풍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후레싱 마감구조.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돌기는 평면으로 보아 띠 형태, 격자 형태, 섬 형태, 울타리 형태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태 중의 어느 하나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풍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후레싱 마감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돌기의 전면에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풍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후레싱 마감구조.
KR2020210000637U 2021-02-26 2021-02-26 강풍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후레싱 마감구조 KR2004974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637U KR200497401Y1 (ko) 2021-02-26 2021-02-26 강풍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후레싱 마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637U KR200497401Y1 (ko) 2021-02-26 2021-02-26 강풍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후레싱 마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144U KR20220002144U (ko) 2022-09-02
KR200497401Y1 true KR200497401Y1 (ko) 2023-10-31

Family

ID=83278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637U KR200497401Y1 (ko) 2021-02-26 2021-02-26 강풍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후레싱 마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40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091B1 (ko) * 2022-11-11 2023-10-18 노미정 탄성 아크릴을 이용한 아스팔트 슁글 방수공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2700B1 (ko) * 2020-01-20 2020-06-12 이승우 강풍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는 금속지붕 보강재
KR102122691B1 (ko) * 2019-12-16 2020-06-12 이승우 강풍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후레싱 마감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2018A (ko) * 2017-08-25 2019-03-06 (주)하우징기린 코너후레싱 캡형 고정장치 및 외장판넬 보강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2691B1 (ko) * 2019-12-16 2020-06-12 이승우 강풍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후레싱 마감구조
KR102122700B1 (ko) * 2020-01-20 2020-06-12 이승우 강풍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는 금속지붕 보강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144U (ko) 2022-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07287A (en) Structures incorporating batten type joints
US20060080942A1 (en) Facing unit construction
KR200497401Y1 (ko) 강풍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후레싱 마감구조
EP3406818B1 (en) Dormer assembly
KR20090092750A (ko) 조립식 지붕 설치구조
KR102122700B1 (ko) 강풍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는 금속지붕 보강재
KR102122691B1 (ko) 강풍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후레싱 마감구조
EP1203129B1 (en) Use of a fastening device for a roof-flashing
JPH0257621B2 (ko)
EP0658664A1 (en) Flat roof and eave profile therefor
CN220133283U (zh) 一种抗超强台风的抗风揭面金属屋面系统
JP2574205B2 (ja) 縦葺き屋根の接続構造
JP3829799B2 (ja) 屋根機能パネルの取り付け構造
JP2893316B2 (ja) 横葺き屋根の防水構造
JPH08291593A (ja) 瓦屋根構造
JP2572326Y2 (ja) 屋根の防水構造
JP7187232B2 (ja) 軒天見切の防水構造
JPH0634505Y2 (ja) けらば部の構造
IES20020262A2 (en) A roof edging strip
JP2540552Y2 (ja) 棟部の構造
NO783349L (no) Utvendig nedboerstett bygningsbekledning
JPH0310258Y2 (ko)
JPS6224657Y2 (ko)
JPH06185160A (ja) 屋根用下地板
JP2002317531A (ja) 立体型防水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