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091B1 - 탄성 아크릴을 이용한 아스팔트 슁글 방수공법 - Google Patents

탄성 아크릴을 이용한 아스팔트 슁글 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091B1
KR102591091B1 KR1020220150132A KR20220150132A KR102591091B1 KR 102591091 B1 KR102591091 B1 KR 102591091B1 KR 1020220150132 A KR1020220150132 A KR 1020220150132A KR 20220150132 A KR20220150132 A KR 20220150132A KR 102591091 B1 KR102591091 B1 KR 102591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film
solu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0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미정
Original Assignee
노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미정 filed Critical 노미정
Priority to KR1020220150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0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0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2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9Esters; Ether-esters of carbonic acid, e.g. R-O-C(=O)-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1/02Poly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9D201/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 C09D201/025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containing 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9D201/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 C09D201/06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containing oxygen atoms
    • C09D201/08Carb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된 제1 막, 제2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된 제2 막 및 제3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된 제3 막을 포함하는 방수 적층체, 및 제1 조성물, 제2 조성물 및 제3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 공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탄성 아크릴을 이용한 아스팔트 슁글 방수공법{WATERPROOFING METHODE FOR ASPHALT SHINGLE USING ELASTIC ACRYL}
본 발명은 방수 공법 및 방수 적층체에 대한 것으로 특히, 슁글 방수 공법 및 슁글 방수 적층체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방법으로 지붕 또는 슁글을 보호할 수 있는 방수 적층체를 형성할 수 있다.
건물의 지붕, 바닥, 지하 주차장 등과 같이 수분과 접할 수 있는 부위에는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공사가 행해지는데, 지붕은 빗물에 그대로 노출되는 부위로서 지붕의 방수공사가 중요하다.
최근, 지붕은 단열, 차열 등을 위해 슁글을 배치하는 경우가 많다. 슁글은 건물의 지붕 마감재이며, 주로 아스팔트 슁글이 사용된다. 슁글은 가격이 저렴하고 방수성이 우수하다. 슁글은 가벼우며 쉽게 자르거나 구부릴 수 있어서, 시공이 간편하다. 슁글은 무게가 가벼우므로 건물에 하중의 부담을 주지 않는다. 또한, 슁글은 가볍고 유연하기 때문에, 시공에 하자만 없다면 지진이나 강풍으로 인한 충격에도 잘 견딜 수 있다.
그러나, 슁글 사이의 간격 및 겹침 부분을 통해 수분의 침투가 일어날 수 있고, 이에 따라, 슁글 또는 건물의 파손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보호하기 위하여 별도의 방수 작업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간단한 방법으로, 우수한 방수 특성을 갖는 방수재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우수한 방수 특성을 갖는 방수 적층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조성물을 방수 대상물에 도포하여, 제1 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막 상에 제2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2 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막 상에 제3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3 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수 공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 조성물은 제1 용액 및 제2 용액을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용액은, 상기 제1 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95 내지 99 중량%의 폴리옥시프로필렌-TDI 중합체(Polyoxypropylene-TDI Polymer) 및 1 내지 5 중량%의 폴리다이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용액은, 상기 제2 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25 내지 35 중량%의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50 내지 60 중량%의 탄산 칼슘(Calcium Carbonate) 분말, 5 내지 15 중량%의 디옥틸 프탈레이트(Dioctyl Phthalate); 및 1 내지 5 중량%의 스토다드 용제(Stoddard Solven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조성물은, 상기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50 중량%의 물, 20 내지 30 중량%의 2-프로펜산, 뷰틸 에스테르, 에텐일벤젠과 2-프로펜나이트릴과의 중합체(2-Propenoic acid, butyl ester polymer with ethenylbenzene and 2-propenenitrile), 1 내지 10 중량%의 에틸렌 프로필렌-다이엔 테르폴리머(Ethylene propylene-diene terpolymer) 및 20 내지 30 중량%의 탄산 칼슘(Calcium Carbonate)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조성물은, 상기 제3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5 내지 45 중량%의 물, 20 내지 30 중량%의 2-프로펜산, 뷰틸 에스테르, 에텐일벤젠과 2-프로펜나이트릴과의 중합체(2-Propenoic acid, butyl ester polymer with ethenylbenzene and 2-propenenitrile), 1 내지 10 중량%의 에틸렌 프로필렌-다이엔 테르폴리머(Ethylene propylene-diene terpolymer) 및 25 내지 35 중량%의 탄산 칼슘(Calcium Carbonate)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조성물은 상기 제1 용액 및 상기 제2 용액이 1:2 내지 1:4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수 대상물은 지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붕은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 상의 슁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슁글 상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붕은, 상기 슁글을 지지하는 후레슁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3 막을 형성하는 단계 후, 후레슁 픽서로 상기 후레싱을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레슁 픽서는 제1단 및 제2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단은 상기 제3 막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2단은 방수 대상물을 지지하는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방수 공법은, 상기 제1 막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제4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4 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조성물은, 상기 제4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의 크실렌(Xylene), 1 내지 5 중량%의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10 내지 20 중량%의 탄산 다이메틸(Dimethyl Carbonate), 30 내지 40 중량%의 아크릴기 및 우레탄기를 갖는 에멀젼 수지, 1 내지 10 중량%의 말레산 무수물, 프탈산 무수물, 아디프산, 에틸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중합체(Maleic anhydride, phthalic anhydride, adipic acid, eth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polymer), 1 내지 10 중량%의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및 10 내지 20 중량%의 에틸벤젠(Ethylbenzene)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제1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제1 막; 제2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상기 제1 막 상의 제2 막; 및 제3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상기 제2 막 상의 제3 막;을 포함하는 방수 적층체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조성물은 제1 용액 및 제2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용액은, 상기 제1 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95 내지 99 중량%의 폴리옥시프로필렌-TDI 중합체(Polyoxypropylene-TDI Polymer) 및 1 내지 5 중량%의 폴리다이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용액은, 상기 제2 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25 내지 35 중량%의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50 내지 60 중량%의 탄산 칼슘(Calcium Carbonate) 분말, 5 내지 15 중량%의 디옥틸 프탈레이트(Dioctyl Phthalate); 및 1 내지 5 중량%의 스토다드 용제(Stoddard Solven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조성물은, 상기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50 중량%의 물, 20 내지 30 중량%의 2-프로펜산, 뷰틸 에스테르, 에텐일벤젠과 2-프로펜나이트릴과의 중합체(2-Propenoic acid, butyl ester polymer with ethenylbenzene and 2-propenenitrile), 1 내지 10 중량%의 에틸렌 프로필렌-다이엔 테르폴리머(Ethylene propylene-diene terpolymer) 및 20 내지 30 중량%의 탄산 칼슘(Calcium Carbonate)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조성물은, 상기 제3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5 내지 45 중량%의 물, 20 내지 30 중량%의 2-프로펜산, 뷰틸 에스테르, 에텐일벤젠과 2-프로펜나이트릴과의 중합체(2-Propenoic acid, butyl ester polymer with ethenylbenzene and 2-propenenitrile), 1 내지 10 중량%의 에틸렌 프로필렌-다이엔 테르폴리머(Ethylene propylene-diene terpolymer) 및 25 내지 35 중량%의 탄산 칼슘(Calcium Carbonate)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성물은 상기 제1 용액 및 제2 용액을 1:2 내지 1:4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적층체는 상기 제1 막이 1,000 내지 5,000㎛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제2 막은 100 내지 500㎛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3 막은 200 내지 1,0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적층체는, 제4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1 막 하부에 형성된 제4 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조성물은, 상기 제4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의 크실렌(Xylene), 1 내지 5 중량%의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10 내지 20 중량%의 탄산 다이메틸(Dimethyl Carbonate), 30 내지 40 중량%의 아크릴기 및 우레탄기를 갖는 에멀젼 수지, 1 내지 10 중량%의 말레산 무수물, 프탈산 무수물, 아디프산, 에틸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중합체(Maleic anhydride, phthalic anhydride, adipic acid, eth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polymer), 1 내지 10 중량%의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및 10 내지 20 중량%의 에틸벤젠(Ethylbenzene)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공법은, 우수한 방수 특성을 갖는 방수막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공법은, 우수한 방수 특성을 갖는 방수막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적층체의 제조 사용되는 방수재 조성물들은, 우수한 방수 특성을 갖는 방수막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적층체는 우수한 방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적층체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적층체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공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적층체가 형성된 건물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적층체가 형성된 건물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레슁 픽서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의 표면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항목, 제2 항목 또는 제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방수 대상물 상에 형성될 수 있는 방수 적층체(1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적층체(100)는 방수가 필요한 다양한 곳에 사용될 수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슁글(Shingle)(412) 상에 형성되는 방수 적층체(100)를 중심으로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슁글(412) 상에 형성되는 방수 적층체(1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적층체(100)를 "방수재"라고도 하고, "방수 도장막"이라고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적층체(100)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방수 적층체(100)는 제1 막(110), 제2 막(120) 및 제3 막(130)을 포함한다. 제1 막(110)은 제1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되고, 제2 막(120)은 제2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되고, 제3 막(130)은 제3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적층체(100)는 지붕(410)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방수재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적층체(100)는, 슁글(412)이 배치된 지붕(410)의 누수를 방지하고, 누수로 인한 지붕(41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재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막(110)을 하부층이라고 할 수 있다. 또는 제1 막(110)을 하도(下塗, undercoat)라고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막(120)을 중간층이라고 할 수 있다. 또는 제2 막(120)을 중도(中塗, middle-coat)라고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막(130)을 상부층이라고 할 수 있다. 또는 제3 막(130)을 상도(上塗, top-coat)라고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적층체(100)는 우수한 방수 특성을 가져, 방수 대상물을 보호한다.
제1 막(110) 형성을 위한 제1 조성물, 제2 막(120) 형성을 위한 제2 조성물 및 제3 막(130) 형성을 위한 제3 조성물을 "방수재 조성물"이라고 할 수 있다.
방수재 조성물은 방수 대상물의 방수 처리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재 조성물은 방수 대상물, 예를 들어, 지지체(411) 상의 슁글(412)을 고정 및 지지체(411)의 방수를 위하여 슁글(412) 상에 도포 또는 도장(painting)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재 조성물은, 예를 들어, 슁글(412) 상에 도장되어, 방수 특성을 갖는 방수 적층체(100)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조성물, 제2 조성물 및 제3 조성물에 따라 형성된 방수 적층체(100)는 우수한 기계적 물리적 안정성을 가지며, 동시에 방수 대상물과 우수한 호환성 및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조성물에 의하여 방수 대상물 상에 제1 막(11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조성물은 제1 용액과 제2 용액을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제1 용액과 제2 용액을 혼합하여 제조된 제1 조성물은 폴리우레탄계 탄성체를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방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조성물은 예를 들어, 제1 용액과 제2 용액을 1:2 내지 1: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조성물은 제1 용액과 제2 용액을 1: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제1 용액은, 제1 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95 내지 99 중량%의 폴리옥시프로필렌-TDI 중합체(Polyoxypropylene-TDI Polymer) 및 1 내지 5 중량%의 폴리다이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용액의 폴리옥시프로필렌-TDI 중합체(Polyoxypropylene-TDI Polymer)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져, 제2 용액의 폴리프로필렌 글리콜과 반응하여 폴리우레탄을 형성할 수 있다. 폴리옥시프로필렌-TDI 중합체는 반응성이 우수하여, 상온에서 경화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성이 우수하다. 상기 반응에 의하여 형성된 폴리우레탄은 제1 조성물의 주요 구성 성분이 된다.
폴리옥시프로필렌-TDI 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1]
화학식 1에서 "n"은 반복 단위이다.
제1 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폴리옥시프로필렌-TDI 중합체의 함량이 95 중량 % 미만인 경우, 제1 조성물 내의 우레탄 함량이 부족할 수 있어, 제1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된 제1 막(110)의 안정성 및 방수 특성이 부족해질 수 있다. 제1 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폴리옥시프로필렌-TDI 중합체의 함량이 99 중량 % 초과인 경우, 폴리다이메틸실록산의 함량이 1% 미만이 되어, 제1 막(110)에 적절한 탄성을 부여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제1 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폴리옥시프로필렌-TDI 중합체의 함량은 95 내지 99 중량%으로 조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용액에서 폴리다이메틸실록산은 도막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첨가제이다. 폴리다이메틸실록산은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2]
CH3[Si(CH3)2O]nSi(CH3)3
제1 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폴리다이메틸실록산이 1 중량%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 제1 막(110)에 적절한 탄성을 부여하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고, 제1 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폴리다이메틸실록산이 2 중량% 초과로 사용될 경우, 점성이 지나치게 높아져 경도가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용액에서 폴리다이메틸실록산의 함량은 1 내지 2 중량%로 조정된다.
제2 용액은, 제2 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25 내지 35 중량%의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50 내지 60 중량%의 탄산 칼슘(Calcium Carbonate) 분말, 5 내지 15 중량%의 디옥틸 프탈레이트(Dioctyl Phthalate) 및 1 내지 5 중량%의 스토다드 용제(Stoddard Solvent)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용액에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은 제1 용액의 폴리옥시프로필렌-TDI 중합체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하여 폴리우레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반응에 의하여 형성된 폴리우레탄은 제1 조성물의 주요 구성 성분이 된다.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3]
화학식 3에서 "n"은 반복 단위이다.
제2 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의 함량이 25 중량 % 미만인 경우, 제1 조성물 내의 우레탄 함량이 부족할 수 있어, 제1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된 제1 막(110)의 안정성 및 방수 특성이 부족해질 수 있다. 제2 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의 함량이 35 중량 % 초과인 경우, 제1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1 막(110)의 도장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의 함량은 25 내지 35 중량%으로 조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용액에서 탄산 칼슘(Calcium carbonate) 분말은 CaCO3의 화학식으로 표현되는 탄산 칼슘을 포함한다. 탄산칼슘은 암석에서 발견될 수 있는데, 특히 석회암(Limestone)의 구성 성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말 상태의 탄산 칼슘이 사용된다. 탄산 칼슘 분말은 제1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1 막(110)의 주요 구성 성분이 된다.
탄산 칼슘 분말은 방수 대상물, 예를 들어, 슁글(412)과의 적합성 및 호환성(compatibility)이 우수하여, 제1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된 제1 막(110)이 슁글(412) 표면과 우수한 접착성을 가지도록 한다. 탄산칼슘 분말은 제1 조성물에 포함되어, 슁글(412)과 제2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2 막(120)과 우수한 부착 안정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탄산 칼슘 분말은 차열 특성을 지녀, 외부의 열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2 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탄산 칼슘 분말의 함량이 50 중량% 미만인 경우, 제1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1 막(110)과 방수 대상물 사이의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제1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1 막(110)과 제2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2 막(120) 사이의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제1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탄산칼슘 분말의 함량이 6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제1 조성물의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제1 조성물의 경화가 지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용액에 포함된 탄산 칼슘 분말의 함량은, 제2 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60 중량%의 범위로 조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산 칼슘 분말은 200㎛ 이하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 칼슘 분말은 1 내지 200㎛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 칼슘 분말은 1 내지 100㎛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 내지 50㎛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도 있고, 2 내지 10㎛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도 있고, 20 내지 50㎛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용액에서 디옥틸 프탈레이트는 고분자 사슬 간의 인력을 감소시켜 유연성을 높이는 가소제로 사용될 수 있는 첨가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옥틸 프탈레이트를 적절한 비율로 첨가함으로써, 제1 조성물의 점성을 낮추어 적절한 탄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디옥틸 프탈레이트는 하기 화학식 4로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4]
제2 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디옥틸 프탈레이트의 5 중량% 미만인 경우, 디옥틸 프탈레이트를 사용함으로써 도막의 유연성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제2 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디옥틸 프탈레이트의 15 중량% 초과인 경우, 제1 용액과 제2 용액이 혼합되어 폴리우레탄이 형성될 때 반응 속도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디옥틸 프탈레이트의 함량은 5 내지 15 중량%의 범위로 조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용액에서 스토다드 용제는 나프타로도 불리며, 나프타는 원유를 증류할 때, 35∼220℃의 끓는점 범위에서 유출(溜出)되는 탄화수소의 혼합체이다. 중질(重質) 가솔린이라고도 한다. 나프타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제품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as No. 8052-41-3을 갖는, 시판되는 나프타 제품들이 사용될 수 있다. 나프타는 소포제로 작용하여 기포 형성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스토다드 용제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 스토다드 용제를 사용하려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으며, 제2 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스토다드 용제의 함량이 5 중량%를 초과하여도 특별한 상승 효과를 얻을 수 없어 경제적인 측면에서 불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조성물에 포함된 나프타의 함량은, 제2 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의 범위로 조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1 막(110)은, 상기와 같은 조성상의 특징으로 인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방수 대상물에 대하여 우수한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경도 변화가 적어 막의 안정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1 막(110)은, 상기와 같은 조성상의 특징으로 인하여, 셀프 레벨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셀프 레벨링 특성은 재료 자체의 유동성으로 평탄화 작업을 거치지 않더라도, 스스로 평탄하게 계면이 형성되는 특성이다. 따라서, 셀프 레벨링 특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조성물은 작업성 및 복원력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된 제1 막(110)은 1,000 내지 5,0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제1 막(110)은 2,000 내지 3,0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된 제1 막(110)은 상기와 같은 조성상의 특징으로 인하여, 두께가 1,000㎛ 미만의 박막형이 아닌 1,000㎛ 이상의 후막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박막형에 의한 문제점인 도막 박리, 크랙 발생이 억제 또는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조성물은,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50 중량%의 물, 20 내지 30 중량%의 2-프로펜산, 뷰틸 에스테르, 에텐일벤젠과 2-프로펜나이트릴과의 중합체(2-Propenoic acid, butyl ester polymer with ethenylbenzene and 2-propenenitrile), 1 내지 10 중량%의 에틸렌 프로필렌-다이엔 테르폴리머(Ethylene propylene-diene terpolymer); 및 20 내지 30 중량%의 탄산칼슘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조성물에서 물은 용매로 작용한다. 따라서, 유기 용매를 사용할 때 보다 방수 적층체(100) 형성 작업시 안전하다.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물의 함량이 30 중량% 미만일 경우, 점도가 높아 작업성이 떨어질 수 있고, 물의 함량이 5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점도가 낮아져 방수 적층체(100) 형성시 흘러내릴 수 있어, 적절한 두께의 도막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조성물에 포함된 물의 함량은,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50 중량%의 범위로 조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조성물에서 2-프로펜산, 뷰틸 에스테르, 에텐일벤젠과 2-프로펜나이트릴과의 중합체는 탄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로써, 건조 및 경화시 아크릴계 도막을 형성한다. 2-프로펜산, 뷰틸 에스테르, 에텐일벤젠과 2-프로펜나이트릴과의 중합체는 방수 대상물, 예를 들어, 슁글(412)과의 밀착력이 우수하며, 우수한 방수성 및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산성비 등 화학적 환경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하다.
2-프로펜산, 뷰틸 에스테르, 에텐일벤젠과 2-프로펜나이트릴과의 중합체는 제2 조성물의 주요 구성성분으로서, 하기 화학식 5의 화합물들이 공중합하여 형성된 탄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이다.
[화학식 5]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프로펜산, 뷰틸 에스테르, 에텐일벤젠과 2-프로펜나이트릴과의 중합체의 함량이 20% 미만인 경우, 아크릴 성분이 충분하지 않아, 제2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막(120)의 안정성 및 접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프로펜산, 뷰틸 에스테르, 에텐일벤젠과 2-프로펜나이트릴과의 중합체의 함량이 30% 초과하는 경우, 제2 조성물의 점도가 증가하여,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고, 경화 시간 및 건조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조성물에서 2-프로펜산, 뷰틸 에스테르, 에텐일벤젠과 2-프로펜나이트릴과의 중합체는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30 중량% 범위로 조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조성물에서 에틸렌 프로필렌-디엔 테르폴리머는 첨가제로 사용된다.
에틸렌 프로필렌-디엔 테르폴리머는 EPDM rubber(Ethylene-Propylene Terpolymer Rubber)로 불리는 합성고무이다. EPDM rubber는 내오존성, 내후성, 내화학성, 직사광선에 대한 내성이 우수하고, 저온에서 유연성이 좋으며, 넓은 범위의 온도 저항력을 가져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탄산칼슘 분말과의 호환성이 좋아 탄산칼슘과 함께 충진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특성을 지닌 에틸렌 프로필렌-디엔 테르폴리머를 포함하는 제2 막(120)은, 제3 막(130)과 함께 방수 적층체(100)의 최상부에 적층되어 환경 변화에 대한 저항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제2 조성물에서 에틸렌 프로필렌-디엔 테르폴리머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 에틸렌 프로필렌-디엔 테르폴리머를 첨가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에틸렌 프로필렌-디엔 테르폴리머의 함량이 10 중량% 초과인 경우, 제2 조성물 내 고무 함량이 지나치게 커져 점도가 높아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에틸렌 프로필렌-디엔 테르폴리머의 함량은 1 내지 10 중량%의 범위로 조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조성물은 충진제로 탄산 칼슘(Calcium Carbonate)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탄산 칼슘 분말은 방수 대상물, 예를 들어, 슁글(412)과의 적합성 및 호환성(compatibility)이 우수하여, 슁글(412) 표면과 우수한 접착성을 가지도록 한다. 탄산칼슘 분말은 제2 조성물에 포함되어, 제1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1 막(110) 및 제3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3 막(130)과 우수한 부착 안정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탄산 칼슘 분말은 차열 특성을 지녀, 외부의 열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탄산 칼슘 분말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인 경우, 제2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2 막(120)과 제3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3 막(130) 사이의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탄산칼슘 분말의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제2 조성물의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제2 조성물의 경화가 지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조성물에 포함된 탄산칼슘 분말의 함량은,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30 중량%의 범위로 조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산 칼슘 분말은 200㎛ 이하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 칼슘 분말은 1 내지 200㎛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 칼슘 분말은 1 내지 100㎛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 내지 50㎛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도 있고, 2 내지 10㎛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도 있고, 20 내지 50㎛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조성물은 탄성 아크릴계 방수재 조성물로써, 상기와 같은 조성상의 특징으로 인하여, 우수한 방수성 및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피시공면의 충격이나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및 팽창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여, 제2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2 막(120)에 온도 변화에 따른 크랙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조성물에 의하여 제1 막(110) 상에 형성된 제2 막(120)은 100 내지 5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제2 막(120)은 200 내지 4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조성물은 제3 조성물과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조성물은, 제3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5 내지 45 중량%의 물, 20 내지 30 중량%의 2-프로펜산, 뷰틸 에스테르, 에텐일벤젠과 2-프로펜나이트릴과의 중합체(2-Propenoic acid, butyl ester polymer with ethenylbenzene and 2-propenenitrile), 1 내지 10 중량%의 에틸렌 프로필렌-다이엔 테르폴리머(Ethylene propylene-diene terpolymer); 및 25 내지 35 중량%의 탄산칼슘 분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조성물에서 물은 용매로 작용한다. 제3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용매가 물이므로, 유기 용매를 사용할 때 보다 방수 적층체 형성 작업시 안전하다.
제3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물의 함량이 25 중량% 미만일 경우, 점도가 높아 작업성이 떨어질 수 있고, 물의 함량이 45 중량%를 초과할 경우, 점도가 낮아져 방수 적층체 형성시 흘러내릴 수 있어, 적절한 두께의 도막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제3 막(130)은 제2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막(120)에 비해 두껍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3 조성물의 점도가 제2 조성물에 비하여 높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조성물에 포함된 물의 함량은, 제3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5 내지 45 중량%의 범위로 조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조성물에서 2-프로펜산, 뷰틸 에스테르, 에텐일벤젠과 2-프로펜나이트릴과의 중합체는 탄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로써, 건조 및 경화시 아크릴계 도막을 형성한다. 2-프로펜산, 뷰틸 에스테르, 에텐일벤젠과 2-프로펜나이트릴과의 중합체는 슁글(412)과의 밀착력이 우수하며, 우수한 방수성 및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산성비 등 화학적 환경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하다.
2-프로펜산, 뷰틸 에스테르, 에텐일벤젠과 2-프로펜나이트릴과의 중합체는 제3 조성물의 주요 구성성분으로서, 하기 화학식 6의 화합물들이 공중합하여 형성된 탄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이다.
[화학식 6]
제3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프로펜산, 뷰틸 에스테르, 에텐일벤젠과 2-프로펜나이트릴과의 중합체의 함량이 20% 미만인 경우, 아크릴 성분이 충분하지 않아, 제3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제3 막(130)의 안정성 및 접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제3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프로펜산, 뷰틸 에스테르, 에텐일벤젠과 2-프로펜나이트릴과의 중합체의 함량이 30% 초과하는 경우, 제3 조성물의 점도가 증가하여,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고, 경화 시간 및 건조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조성물에서 2-프로펜산, 뷰틸 에스테르, 에텐일벤젠과 2-프로펜나이트릴과의 중합체는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30 중량% 범위로 조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조성물에서 에틸렌 프로필렌-디엔 테르폴리머는 첨가제로 사용된다.
에틸렌 프로필렌-디엔 테르폴리머는 EPDM rubber(Ethylene-Propylene Terpolymer Rubber)로 불리는 합성고무이다. EPDM rubber는 내오존성, 내후성, 내화학성, 직사광선에 대한 내성이 우수하고, 저온에서 유연성이 좋으며, 넓은 범위의 온도 저항력을 가져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탄산칼슘 분말과의 호환성이 좋아 탄산칼슘과 함께 충진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특성을 지닌 에틸렌 프로필렌-디엔 테르폴리머를 포함하는 제3 막(130)은, 제2 막(120)과 함께 방수 적층체(100)의 최상부에 적층되어 환경 변화에 대한 저항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제3 조성물에서 에틸렌 프로필렌-디엔 테르폴리머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 에틸렌 프로필렌-디엔 테르폴리머를 첨가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에틸렌 프로필렌-디엔 테르폴리머의 함량이 10 중량% 초과인 경우, 제3 조성물 내 고무 함량이 지나치게 커져 점도가 높아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에틸렌 프로필렌-디엔 테르폴리머의 함량은 1 내지 10 중량%의 범위로 조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조성물은 충진제로 탄산 칼슘(Calcium Carbonate)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탄산 칼슘(Calcium carbonate) 분말은 CaCO3의 화학식으로 표현되는 탄산칼슘을 포함한다. 탄산 칼슘은 암석에서 발견될 수 있는데, 특히 석회석의 구성 성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말 상태의 탄산 칼슘이 사용된다. 탄산칼슘 분말은 제3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3 막(130)의 주요 구성 성분이 된다.
탄산 칼슘 분말은 방수 대상물, 예를 들어, 슁글(412)과의 적합성 및 호환성(compatibility)이 우수하여, 슁글(412) 표면과 우수한 접착성을 가지도록 한다. 탄산칼슘 분말은 제3 조성물에 포함되어, 제2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2 막(120)과 우수한 부착 안정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탄산 칼슘 분말은 차열 특성을 지녀, 외부의 열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제3 막(130)은 방수 적층체(100)의 최외각에 배치되어, 환경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게 된다. 이로 인해, 제3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3 막(130)은 환경의 영향을 받아 오염되거나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3 막(130)의 오염 또는 파손을 방지 또는 억제하고 막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3 조성물은 제2 조성물 대비 상대적으로 탄산 칼슘 분말의 함량을 더 많이 포함할 수 있다.
제3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탄산칼슘 분말의 함량이 25 중량% 미만인 경우, 제2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2 막(120)과 제3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3 막(130) 사이의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제3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탄산칼슘 분말의 함량이 3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제3 조성물의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제3 조성물의 경화가 지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조성물에 포함된 탄산칼슘 분말의 함량은, 제3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5 내지 35 중량%의 범위로 조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산 칼슘 분말은 200㎛ 이하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 칼슘 분말은 1 내지 200㎛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 칼슘 분말은 1 내지 100㎛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 내지 50㎛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도 있고, 2 내지 10㎛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도 있고, 20 내지 50㎛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조성물은 탄성 아크릴계 방수재 조성물로써, 상기와 같은 조성상의 특징으로 인하여, 우수한 방수성 및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피시공면의 충격이나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및 팽창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여, 제3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3 막(130)에 온도 변화에 따른 크랙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막(130)은 제2 막(120)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나, 방수 적층체(100)의 최외각에 적층되어 외부에 노출된다. 이로 인해, 환경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게 되므로, 제2 막(120)에 비해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조성물에 의하여 제2 막(120) 상에 형성된 제3 막(130)은 200 내지 1,0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제3 막(130)은 500 내지 8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조성물, 제2 조성물 및 제3 조성물은 서로 독립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조성물, 제2 조성물 및 제3 조성물은 서로 혼합되어 사용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사용되어, 각각 제1 막(110), 제2 막(120) 및 제3 막(130)을 형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적층체(200)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수 적층체(200)는 제1 막(110) 하단에 제4 막(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수 적층체(200)가 제4 막(140)을 더 포함하는 경우, 제4 막(140)을 프라이머층이라고도 할 수 있다. 또는 제4 막(140)을 하도(下塗, undercoat)라고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막(110)을 중간층이라고 할 수 있다. 또는 제1 막(110)을 중도(中塗, middle-coat)라고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막(120)을 1차 상부층이라고 할 수 있다. 또는 제2 막(120)을 1차 상도(一次 上塗, 1st top-coat)라고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막(130)을 2차 상부층이라고 할 수 있다. 또는 제3 막(130)을 2차 상도(二次 上塗, 2nd top-coat)라고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수재 조성물은 제4 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4 막(140)은 제4 조성물을 통하여 형성되며, 제1 막(110) 형성 전에 형성되어 제1 막(110)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조성물은 입자 성분을 포함하지 않고 프라이머로 작용하여 방수 대상물, 예를 들어, 슁글(412) 표면에 제1 조성물, 제2 조성물 및 제3 조성물이 도포되기 용이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제4 조성물은 입자 성분을 포함하지 않아 우수한 분산성을 가질 수 있으며, 매우 얇은 막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조성물에 의하여 슁글(412) 상에 제4 막(140)이 형성되고, 그 후, 제4 막(140) 상에 제1 조성물, 제2 조성물 및 제3 조성물이 도장됨으로써, 제1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된 제1 막(110), 제2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된 제2 막(120) 및 제3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된 제3 막(130)이 슁글(412) 상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수 대상물, 예를 들어, 슁글(412)이 장기간 사용되거나 다양한 환경에 노출되어 표면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슁글(412)과 제1 막(110)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 막(110) 형성 전에 제4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제4 막(14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조성물은, 10 내지 20 중량%의 크실렌(Xylene), 1 내지 5 중량%의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10 내지 20 중량%의 탄산 다이메틸(Dimethyl Carbonate), 30 내지 40 중량%의 아크릴기 및 우레탄기를 가지는 에멀전 수지, 1 내지 10 중량%의 말레산 무수물, 프탈산 무수물, 아디프산, 에틸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중합체(Maleic anhydride, phthalic anhydride, adipic acid, eth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polymer), 1 내지 10 중량%의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및 10 내지 20 중량%의 에틸벤젠(Ethylbenzene)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크실렌(xylene)은 고무에 대해 우수한 적합성 및 호환성(compatibility)을 갖는다. 크실렌은 용매로 사용되어 아크릴기 및 우레탄기를 가지는 에멀전 수지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크실렌은 제4 조성물에서 에틸벤젠과 함께 사용되어, 에틸벤젠에 대한 아크릴기 및 우레탄기를 가지는 에멀전 수지의 분산성을 향상시킨다.
크실렌(xylene)으로, o- 크실렌, m- 크실렌 및 p-크실렌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o- 크실렌, m- 크실렌 및 p-크실렌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크실렌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 크실렌에 의한 아크릴기 및 우레탄기를 가지는 에멀전 수지의 분산성 향상 효과가 미미하거나 없을 수 있다. 반면, 제4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크실렌의 함량이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에틸벤젠 대비 크실렌의 비율이 증가하여, 제4 조성물을 이용한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조성물에 포함된 크실렌의 함량은, 제4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의 범위로 조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조성물에서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은 용매 역할을 한다. 메틸에틸케톤은 비방향족 유기 용매로써, 방향족 용매와 함께 사용되어, 방향족 용매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메틸에틸케톤은 우레탄계 도료의 희석제로 많이 사용된다.
제4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메틸에틸케톤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 방향족 용매의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환경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제4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메틸에틸케톤의 함량이 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제4 조성물의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조성물에 포함된 메틸에틸케톤의 함량은, 제4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의 범위로 조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조성물에서 탄산 다이메틸은 용매 역할을 한다. 탄산 다이메틸은 비휘발성 용매로서, 방향족 용매의 일부를 대체하여 휘발성 방향족 용매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탄산 다이메틸은 용매 내에서 아크릴기 및 우레탄기를 가지는 에멀전 수지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4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탄산 다이메틸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 방향족 용매의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환경 문제가 생길 수 있고, 아크릴기 및 우레탄기를 가지는 에멀전 수지의 분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제4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탄산 다이메틸의 함량이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용매의 휘발성이 저하되어, 제4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된 제4 막(140)의 건조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조성물에 포함된 디메틸카보네이트의 함량은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의 범위로 조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조성물에서 에틸벤젠은 용매로 작용한다. 에틸벤젠은 방향족 용매로서 아크릴기 및 우레탄기를 가지는 에멀전 수지를 효율적으로 분산시킨다.
제4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에틸벤젠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 제4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혼합 및 분산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고,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제4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에틸벤젠의 함량이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제4 조성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져 흐름이 발생될 수 있고, 건조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조성물에 포함된 에틸벤젠의 함량은, 제4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의 범위로 조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조성물은 아크릴기 및 우레탄기를 갖는 에멀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아크릴기 및 우레탄기를 갖는 에멀전 수지는 예를 들어, Poly[oxy(methyl-1,2-ethanediyl)], α,α',α''- 1,2,3-propanetriyltris[
Figure 112022120005668-pat00006
-hydroxy-, polymer with 1,3-diisocyanatomethylbenzene and α-hydro-
Figure 112022120005668-pat00007
-hydroxypoly[ oxy(methyl-1,2-ethanediyl)] (Cas no. 57451-08-8)일 수 있다.
제4 조성물에 포함되는 아크릴기 및 우레탄기를 갖는 에멀전 수지는 제4 막(140)의 주요 구성 성분으로, 제4 조성물을 도포하는 슁글(412)의 표면경도를 높이고, 슁글(412)과 제1 막(110) 간의 부착성 및 유연성을 적절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제4 조성물에서 아크릴기 및 우레탄기를 갖는 에멀젼 수지의 함량이 30 중량% 미만인 경우, 제4 막(140) 상에 적층되는 제1 막(110)과의 접착력 향상 효과가 부족해질 수 있다. 제4 조성물에서 아크릴기 및 우레탄기를 갖는 에멀젼 수지의 함량이 40 중량% 초과인 경우, 제4 조성물의 점도가 증가되어 제4 조성물의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고, 건조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조성물에서 말레산 무수물, 프탈산 무수물, 아디프산, 에틸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중합체(Maleic anhydride, phthalic anhydride, adipic acid, eth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polymer)는 수지 성분에 해당된다. 말레산 무수물, 프탈산 무수물, 아디프산, 에틸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중합체는 아크릴기 및 우레탄기를 갖는 에멀전 수지와 함께 제4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4 막(140)의 구성 성분이 된다.
말레산 무수물, 프탈산 무수물, 아디프산, 에틸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중합체는 아크릴기 및 우레탄기를 갖는 에멀전 수지에 의하여 형성되는 우레탄 성분과 방수 대상물, 예를 들어, 슁글(412)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고, 제4 막(140)과 제4 막(140) 상에 형성되는 제1 막(110)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킨다.
말레산 무수물, 프탈산 무수물, 아디프산, 에틸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7의 화합물들이 공중합하여 형성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이다.
[화학식 7]
제4 조성물에서 말레산 무수물, 프탈산 무수물, 아디프산, 에틸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중합체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 말레산 무수물, 프탈산 무수물, 아디프산, 에틸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중합체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제4 조성물에서 말레산 무수물, 프탈산 무수물, 아디프산, 에틸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중합체의 함량이 10 중량% 초과인 경우, 제4 조성물의 점도가 증가되어 제4 조성물의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고, 건조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조성물에서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는 용매 역할을 한다.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는 비방향족 용매로서, 방향족 용매와 함께 사용되어, 방향족 용매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는 휘발성 유기화합물로써, 아크릴기 및 우레탄기를 갖는 에멀전 수지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우레탄계 프라이머의 표면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4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프로필렌글리콜 메틸 에테르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 방향족 용매의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환경 문제가 생길 수 있고, 탄산칼슘 분말의 분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제4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프로필렌글리콜 메틸 에테르의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제4 조성물의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조성물은 습기 경화형 우레탄 조성물로써, 상기와 같은 조성상의 특징으로 인하여, 방수 대상물, 예를 들어, 슁글(412) 표면에 깊숙히 침투하여, 슁글(412)의 표면강도를 높이고, 후속으로 적층되는 제1 막(110)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조성물에 의하여 방수 대상물 상에 형성된 제4 막(140)은 10 내지 1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제3 막(130)은 30 내지 7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조성물, 제2 조성물, 제3 조성물 및 제4 조성물은 서로 독립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조성물, 제2 조성물, 제3 조성물 및 제4 조성물은 서로 혼합되어 사용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사용되어, 각각 제1 막(110), 제2 막(120), 제3 막(130) 및 제4 막(140)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방수 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공법은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재 조성물을 이용하여 방수 대상물 상에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방수 공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 공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작업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수 적층체(100)를 형성하기 전, 방수 대상물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적층체(100)를 형성하려는 방수 대상물의 표면에 이물질이 많을 경우, 방수 대상물 상에 방수 적층체(100)가 형성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공법의 작업 효율을 높이기 위해, 방수 대상물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선행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공법은, 제1 조성물을 방수 대상물에 도포하여, 제1 막(110)을 형성하는 단계, 제1 막(110) 상에 제2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2 막(120)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2 막(120) 상에 제3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3 막(13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막(110)은 제1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되고, 제2 막(120)은 제2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되고, 제3 막(130)은 제3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조성물은 제1 용액 및 제2 용액을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조성물은 제1 용액 및 상기 제2 용액이 1:2 내지 1:4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공법을 이용하여, 방수 대상물 상에 제1 막(110), 제2 막(120) 및 제3 막(1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적층체(10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공법은, 다양한 방수 대상물 상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대상물로 지붕(410)이 있다. 지붕(4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41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체(411) 단독으로 지붕(410)이 될 수 있다.
도 5의 지지체(411)가 경사면인 것이 예시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체(411)는 경사 없는 수평면일 수도 있다.
또한, 지붕(410)은 지지체(411) 상에 배치된 슁글(4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붕(410)은 슁글(412)을 지지하기 위한 후레슁(Flashing)(4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공법은 지지체(411) 및 지지체(411) 상의 슁글(412)을 포함하는 지붕(410) 상에 수행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적층체(100)가 형성된 건물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적층체(100)가 형성된 지붕(410)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대상물은 지붕(41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410)은 지지체(411) 및 지지체(411) 상의 슁글(41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공법은, 지붕(410)이 지지체(411) 및 지지체(411) 상의 슁글(412)을 포함하는 경우, 제1 막(110)을 형성하는 단계는 슁글(412) 상에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슁글(412) 상에 제1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1 막(110)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막(110)은 제1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된다. 제1 조성물은 제2 조성물 및 제3 조성물보다 큰 점도를 갖는다. 따라서, 제1 막(110)은 브러쉬, 롤러 또는 페인트 주걱(헤라)을 이용하는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막(110)의 두께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제1 막(110)은 1,000 내지 5,0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막(110)은 2,000 내지 3,000㎛의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슁글(412)은 일정한 크기의 패드 형태를 가지며, 슁글(412)의 일부가 겹쳐진 상태로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슁글(412) 간 계면의 단차가 발생할 수 있다. 제1 막(110) 형성 시 슁글(412) 간 계면의 단차가 발생한 상태에서 슁글(412) 상에 형성되므로, 제1 막(110)에 오목부가 생길 수도 있다. 또한, 슁글(412)에 크랙이 발생한 경우에도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조성물은, 셀프 레벨링 특성을 지녀, 오목부를 포함한 제1 막(110)이 형성되어도 스스로 평탄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추가적인 오목부를 메우는 단계 또는 평탄화 작업 단계가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막(110) 상에 제2 막(120)이 형성된다. 제2 막(120)은 제2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된다. 제2 막(120)은, 브러쉬 방식 또는 롤러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브러쉬 방식은 페인트 붓을 이용하는 도포 방법이고, 롤러 방식은 페인트 롤러를 사용하는 도포 방법이다.
슁글(412) 표면에 오목부가 있더라도, 제1 막(110)에 의해 오목부가 메워질 수 있으므로 제2 막(120) 형성시에는 슁글(412) 표면의 오목부가 제2 막(120)의 계면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오목부를 메우는 단계 또는 평탄화 작업 단계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막(120)은 예를 들어, 100 내지 5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제2 막(120)은 200 내지 400㎛의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막(130)은 제3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된다.
제3 막(130)은 브러쉬 방식 또는 롤러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러쉬 또는 롤러에 의해, 제3 조성물이 제2 막(120) 상에 도포되고, 건조 및 경화되어 제3 막(130)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막(130)은, 예를 들어, 200 내지 10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제3 막(130)은 500 내지 800㎛의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슁글(412) 상에 제1 막(110), 제2 막(120) 및 제3 막(130)이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적층체(10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조성물, 제2 조성물 및 제3 조성물로 이루어진 제1 막(110), 제2 막(120) 및 제3 막(130)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 방수 적층체(100)는 우수한 방수 방식 특성을 가지며, 방수 대상물, 예를 들어, 슁글(412) 및 지붕(410)의 누수, 손상 및 부식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공법을 이용하여, 슁글(412) 상에, 제1 막(110)을 형성하기 전, 제4 막(140)이 먼저 형성되고, 그 후, 제1 막(110), 제2 막(120) 및 제3 막(1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적층체(200)가 형성될 수 있다.
제4 조성물은 낮은 점도를 갖는다. 따라서, 제4 막(140)은, 스프레이 방식, 브러쉬 방식 또는 롤러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제4 조성물을 슁글(412) 상에 분사함으로써 제4 막(14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조성물이 슁글(412) 상에 분사된 후 건조 및 경화되어, 제4 막(140)이 형성된다.
제4 조성물은 신속하게 건조 및 경화될 수 있으며, 저온에서도 경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4 조성물이 사용되는 경우, 제4 막(140) 형성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제4 막(140)의 두께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제4 막(140)은 10 내지 1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제4 막(140)은 30 내지 70㎛의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제4 막(140)은 제1 막(110), 제2 막(120) 및 제3 막(130)보다 얇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4 막(140)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제1 막(110), 제2 막(120) 및 제3 막(130)은 앞서 설명한 내용과 같이 형성된다.
슁글(412) 상에 제4 막(140), 제1 막(110), 제2 막(120) 및 제3 막(130)이 순차적으로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적층체(20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조성물, 제2 조성물, 제3 조성물 및 제4 조성물로 이루어진 제1 막(110), 제2 막(120), 제3 막(130) 및 제4 막(140)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 방수 적층체(200)는 우수한 방수 방식 특성을 가지며, 방수 대상물, 예를 들어, 지붕(410)의 누수, 손상 및 부식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410)은 지지체(411) 및 지지체(411) 상의 슁글(4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지붕(410)은 슁글(412)을 지지하는 후레슁(4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레슁(413)은 슁글(412) 및 슁글(412) 상에 도포된 방수 적층체(1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후레슁(413)이 배치됨으로써, 벽(440)과 지붕(410) 사이에 이격 거리가 생겨, 빗물 등이 벽(440)을 타고 흘러내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후레슁(413)은 후레슁 픽서(Flashing fixer)(500)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체(411)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막(130)을 형성하는 단계 후, 후레슁 픽서(500)로 후레슁(413)을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레슁 픽서(500)에 의해 후레슁(413)이 안정적으로 고정됨으로써, 후레슁(413)과 함께 슁글(412)이 지지체(411)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슁글(412)이 안정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슁글(412) 상의 방수 적층체(10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후레슁 픽서(500)의 개략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후레슁 픽서(500)는 제1단(501) 및 제2단(502)을 포함한다.
도 5 및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후레슁 픽서(500)의 제1단(501)은 나사를 사용하여, 방수 적층체(100, 200)의 제3 막(130)부터 방수 대상물, 예를 들어, 지붕(410)의 지지체(411)까지 관통하여 고정된다. 또한, 후레슁 픽서(500)의 제2단(502)은 나사를 사용하여, 방수 대상물을 지지하는 구조물, 예를 들어 벽(440)에 고정될 수 있다. 후레슁 픽서(500)를 이용하여 후레슁(413)을 고정함으로써, 비, 바람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한 후레슁(413)의 파손이 방지 또는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레슁 픽서(500)의 모양은 지붕(410)에 설치된 후레슁(413) 및 지붕(410)의 모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레슁 픽서(500)는 다양한 변형예 중 하나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200: 방수 적층체 110: 제1 막
120: 제2 막 130: 제3 막
140: 제4 막 410: 지붕
411: 지지체 412: 슁글
413: 후레슁 440: 벽
500: 후레슁 픽서

Claims (11)

  1. 방수 대상물 상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제1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1 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막 상에 제2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2 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막 상에 제3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3 막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성물은 제1 용액 및 제2 용액을 혼합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 용액은, 상기 제1 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95 내지 99 중량%의 폴리옥시프로필렌-TDI 중합체(Polyoxypropylene-TDI Polymer); 및
    1 내지 5 중량%의 폴리다이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용액은, 상기 제2 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25 내지 35 중량%의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50 내지 60 중량%의 탄산 칼슘(Calcium Carbonate) 분말;
    5 내지 15 중량%의 디옥틸 프탈레이트(Dioctyl Phthalate); 및
    1 내지 5 중량%의 스토다드 용제(Stoddard Solvent);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성물은, 상기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50 중량%의 물;
    20 내지 30 중량%의 2-프로펜산, 뷰틸 에스테르, 에텐일벤젠과 2-프로펜나이트릴과의 중합체(2-Propenoic acid, butyl ester polymer with ethenylbenzene and 2-propenenitrile);
    1 내지 10 중량%의 에틸렌 프로필렌-다이엔 테르폴리머(Ethylene propylene-diene terpolymer); 및
    20 내지 30 중량%의 탄산 칼슘(Calcium Carbonate)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조성물은, 상기 제3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5 내지 45 중량%의 물;
    20 내지 30 중량%의 2-프로펜산, 뷰틸 에스테르, 에텐일벤젠과 2-프로펜나이트릴과의 중합체(2-Propenoic acid, butyl ester polymer with ethenylbenzene and 2-propenenitrile);
    1 내지 10 중량%의 에틸렌 프로필렌-다이엔 테르폴리머(Ethylene propylene-diene terpolymer); 및
    25 내지 35 중량%의 탄산 칼슘(Calcium Carbonate)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막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수행되고,
    상기 프라이머층은 제4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4 조성물은, 상기 제4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의 크실렌(Xylene);
    1 내지 5 중량%의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10 내지 20 중량%의 탄산 다이메틸(Dimethyl Carbonate);
    30 내지 40 중량%의 아크릴기 및 우레탄기를 갖는 에멀젼 수지;
    1 내지 10 중량%의 말레산 무수물, 프탈산 무수물, 아디프산, 에틸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중합체(Maleic anhydride, phthalic anhydride, adipic acid, eth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polymer);
    1 내지 10 중량%의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및
    10 내지 20 중량%의 에틸벤젠(Ethylbenzene);을 포함하는,
    방수 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성물은 상기 제1 용액 및 상기 제2 용액이 1:2 내지 1:4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형성된, 방수 공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대상물은 지붕인, 방수 공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은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 상의 슁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슁글 상에 수행되는, 방수 공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은, 상기 슁글을 지지하는 후레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막을 형성하는 단계 후, 후레슁 픽서로 상기 후레슁을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수 공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레슁 픽서는 제1단 및 제2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단은, 상기 제3 막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2단은 방수 대상물을 지지하는 구조물에 고정되는, 방수 공법.
  7. 삭제
  8. 프라이머층;
    제1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상기 프라이머층 상의 제1 막;
    제2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상기 제1 막 상의 제2 막; 및
    제3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상기 제2 막 상의 제3 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성물은, 제1 용액 및 제2 용액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용액은, 상기 제1 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95 내지 99 중량%의 폴리옥시프로필렌-TDI 중합체(Polyoxypropylene-TDI Polymer); 및
    1 내지 5 중량%의 폴리다이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용액은, 상기 제2 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25 내지 35 중량%의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50 내지 60 중량%의 탄산 칼슘(Calcium Carbonate) 분말;
    5 내지 15 중량%의 디옥틸 프탈레이트(Dioctyl Phthalate); 및
    1 내지 5 중량%의 스토다드 용제(Stoddard Solvent);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성물은, 상기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50 중량%의 물;
    20 내지 30 중량%의 2-프로펜산, 뷰틸 에스테르, 에텐일벤젠과 2-프로펜나이트릴과의 중합체(2-Propenoic acid, butyl ester polymer with ethenylbenzene and 2-propenenitrile);
    1 내지 10 중량%의 에틸렌 프로필렌-다이엔 테르폴리머(Ethylene propylene-diene terpolymer); 및
    20 내지 30 중량%의 탄산 칼슘(Calcium Carbonate)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조성물은, 상기 제3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5 내지 45 중량%의 물;
    20 내지 30 중량%의 2-프로펜산, 뷰틸 에스테르, 에텐일벤젠과 2-프로펜나이트릴과의 중합체(2-Propenoic acid, butyl ester polymer with ethenylbenzene and 2-propenenitrile);
    1 내지 10 중량%의 에틸렌 프로필렌-다이엔 테르폴리머(Ethylene propylene-diene terpolymer); 및
    25 내지 35 중량%의 탄산 칼슘(Calcium Carbonate)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프라이머층은 제4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4 조성물은, 상기 제4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의 크실렌(Xylene);
    1 내지 5 중량%의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10 내지 20 중량%의 탄산 다이메틸(Dimethyl Carbonate);
    30 내지 40 중량%의 아크릴기 및 우레탄기를 갖는 에멀젼 수지;
    1 내지 10 중량%의 말레산 무수물, 프탈산 무수물, 아디프산, 에틸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중합체(Maleic anhydride, phthalic anhydride, adipic acid, eth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polymer);
    1 내지 10 중량%의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및
    10 내지 20 중량%의 에틸벤젠(Ethylbenzene);을 포함하는,
    방수 적층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성물은, 상기 제1 용액 및 제2 용액을 1:2 내지 1:4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방수 적층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막은 1,000 내지 5,000㎛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제2 막은 100 내지 500㎛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3 막은 200 내지 1,000㎛의 두께를 가지는,
    방수 적층체.
  11. 삭제
KR1020220150132A 2022-11-11 2022-11-11 탄성 아크릴을 이용한 아스팔트 슁글 방수공법 KR102591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0132A KR102591091B1 (ko) 2022-11-11 2022-11-11 탄성 아크릴을 이용한 아스팔트 슁글 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0132A KR102591091B1 (ko) 2022-11-11 2022-11-11 탄성 아크릴을 이용한 아스팔트 슁글 방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1091B1 true KR102591091B1 (ko) 2023-10-18

Family

ID=88508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0132A KR102591091B1 (ko) 2022-11-11 2022-11-11 탄성 아크릴을 이용한 아스팔트 슁글 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09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2187A (ja) * 2009-09-04 2011-03-17 Asahi Glass Co Ltd 二液型ポリウレタン系塗膜形成材
KR101762172B1 (ko) * 2017-01-06 2017-07-27 주식회사 금강피씨씨 탄성 및 경도가 우수한 아크릴수지를 이용한 체육시설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98153B1 (ko) * 2021-10-21 2022-05-17 신현교 공동주택 아스팔트 슁글 성능 향상을 위한 차열 방수 보수 공법
KR102416822B1 (ko) * 2021-11-30 2022-07-07 (주)빅스코 이엔씨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옥상 방수방법
KR20220002144U (ko) * 2021-02-26 2022-09-02 주식회사 넷폼알앤디 강풍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후레싱 마감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2187A (ja) * 2009-09-04 2011-03-17 Asahi Glass Co Ltd 二液型ポリウレタン系塗膜形成材
KR101762172B1 (ko) * 2017-01-06 2017-07-27 주식회사 금강피씨씨 탄성 및 경도가 우수한 아크릴수지를 이용한 체육시설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02144U (ko) * 2021-02-26 2022-09-02 주식회사 넷폼알앤디 강풍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후레싱 마감구조
KR102398153B1 (ko) * 2021-10-21 2022-05-17 신현교 공동주택 아스팔트 슁글 성능 향상을 위한 차열 방수 보수 공법
KR102416822B1 (ko) * 2021-11-30 2022-07-07 (주)빅스코 이엔씨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옥상 방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5032A (en) Roofing and similar materials
KR101557685B1 (ko) 개질아스팔트시트와 액상형 도막재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US20050107499A1 (en) Moisture curable sealer and adhesive composition
KR101439298B1 (ko) 차열 도막 방수제 조성물을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US10301828B2 (en) Underlayment material
KR101884896B1 (ko) 단열시트의 2중 교차포설과 도막방수를 통한 단열성을 향상시키는 yps구조 및 그에 따른 yps공법
CN101240567B (zh) 采用触变性聚氨酯和织物片材的防水层和楼面的构建方法
KR20140116038A (ko) 자기 수평 모르타르와 단열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US8058342B1 (en) Composition and method of sealing and protecting asphalt shingles or other porous roofing and construction materials
KR102591091B1 (ko) 탄성 아크릴을 이용한 아스팔트 슁글 방수공법
KR101857384B1 (ko) 폴리우레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CN112795307B (zh) 一种耐候自清洁自分层涂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060601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방수 도장 조성물 및 방수 도장 방법
KR101607811B1 (ko) 3중 복합방수 공법
KR20110002136A (ko) 복합형 방수 도막 시공 방법
CN1431262A (zh) 一种高分子乳胶防水涂料
KR101753748B1 (ko) 투명 방수재용 일액형 폴리우레탄 도료조성물
US11097311B2 (en) Hybrid layered structure, method and system including same
JPH0931395A (ja) 塗料用樹脂組成物
Daisey Acrylic Coatings: Not Just Paint
KR102620581B1 (ko) 다층 복합방수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211523547U (zh) 一种应用于阳台推拉门的防渗水结构
KR102499584B1 (ko)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552975B1 (ko) 폴리우레아 방수시공 보수공법
JP2013006897A (ja) 熱線高反射塗料組成物、熱線高反射塗料組成物調製用キット、熱線高反射塗装物、および熱線高反射塗装物の塗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