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772Y1 - 도포체 및 이 도포체를 구비하는 도포구 - Google Patents

도포체 및 이 도포체를 구비하는 도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772Y1
KR200496772Y1 KR2020217000028U KR20217000028U KR200496772Y1 KR 200496772 Y1 KR200496772 Y1 KR 200496772Y1 KR 2020217000028 U KR2020217000028 U KR 2020217000028U KR 20217000028 U KR20217000028 U KR 20217000028U KR 200496772 Y1 KR200496772 Y1 KR 2004967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main body
coated
longitudinal direction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70000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1428U (ko
Inventor
나오야 마츠모토
노리히로 모리
Original Assignee
오벡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9128147A external-priority patent/JP7149231B2/ja
Application filed by 오벡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벡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014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4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7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7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00Nibs; Writing-points
    • B43K1/12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pads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도포나 필기, 묘화를 할 때는 쉽게 닳지 않고, 안정되며, 정확하게 원하는 가공을 하는 것이 가능한 도포체, 및 이 도포체를 구비하는 도포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도포체(1)는, 장척 판형상의 도포 주체(2)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도포 주체(2)를, 그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2a)에서의 상기 도포 주체(2)의 최대 폭(X)이, 상기 단면(2a)에서의 상기 도포 주체(2)의 최대 두께(Y)의 1.2~5.0배가 되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그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 단부의 두께가 1.8mm 이하가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도포체(1)에 의하면, 대상에 대해 도포나 필기, 묘화 등을 행할 때에는, 쉽게 닳지 않고, 안정되며, 정확하게 원하는 가공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도포체 및 이 도포체를 구비하는 도포구{APPLICATION BODY AND APPLICATOR PROVIDED WITH APPLICATION BODY}
본 고안은, 도포체와, 이 도포체를 구비하는 도포구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도포나 필기 등을 할 때에 이용되는 도포체로서, 도포나 필기 등을 할 때는 쉽게 닳지 않고, 안정되며, 정확하고 용이하게 도포부의 가공을 하는 것이 가능한 도포체 및 이 도포체를 구비하는 도포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필기나 묘화(描畵), 도포 등의 분야에서, 다양한 도포구가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도포구에 대해서는, 각각 품질이 좋은 것을 찾아서 재질이나 형상 등에 대한 검토가, 항상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 2012-239739호 공보(특허문헌 1)에서는, 품질이 일정하고 유연하여, 장기간의 사용에도, 섬유가 흐트러지는 일이 없는 장척(長尺)의 편평한 도포체용 소재가 제안되고 있다.
이 도포체용 소재는, 나일론 섬유를 길이 방향으로 가지런히 당긴 섬유속(纖維束)을, 원하는 형상, 예를 들어, 단면 형상이 가로로 긴 타원형 내지는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직사각형, 변형 삼각형 혹은 측면에서 볼 때 물방울 모양의 빈 구멍을 가진 파이프 형상의 이형 다이(stepped die)로 가열 압축하여, 원하는 단면 형상을 가진 편평한 모양의 장척체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196621호 공보(특허문헌 2)에서는, 더 섬세한 화장을 하는데 적합한 화장용 펜의 심재가 제안되고 있다.
이 화장용 펜의 심재는, 섬유질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축선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축선 방향의 일단측에 위치하여 펜 끝이 되는 선단부를 갖고, 상기 선단부는, 상기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소정 방향의 두께가 선단을 향해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선단부의 선단면에는,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 절삭된 절삭부가 적어도 1개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도포체용 소재는, 장척(長尺; rectangular)이면서 짧은 변의 폭이 0.5~2.0mm인 편평한 것이기 때문에, 강한 힘으로 필기나 묘화 등을 행하면, 구부러질 우려가 있었다.
또한, 상기 도포체용 소재로 구성된 도포체는, 편평하고 부피가 작기 때문에, 이것을 도포구로 했을 경우에는, 이 도포구의 내부의 액체 저장부에서 액체를 흡수하여 도포부로 방출하는 양이 한정적으로 되어, 닳기 쉽다는 점에서, 더 나은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아이브로우로 사용하는 경우에, 아이브로우는, 파운데이션 등의 메이크업베이스 위에 도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피부 위의 파운데이션 등이 도포체의 선단에 부착되어, 막힘을 일으켜서, 더 닳기 쉬워지는 점에서도, 보다 나은 개량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화장용 펜의 심재는, 그 축방향으로 직교 하는 단면 형상이 원형 형상이 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이 심재는, 구르기 쉽기 때문에, 가공할 때, 안정된 상태에서 정확하게 원하는 가공을 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 2012-239739호 공보(특허청구의 범위, 도 1) 특허문헌 2: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3196621호 공보(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 도 2, 도 3)
본 고안은 이러한 현상을 감안하여, 필기나 묘화 시에 이용되는 도포체로서, 도포나 필기, 묘화 등(이하, 「도포 등」이라고 함.)을 할 때에는 쉽게 닳지 않고, 안정되며, 정확하게 원하는 가공을 하는 것이 가능한 도포체, 및 이 도포체를 구비하는 도포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 관한 청구항 1에 기재된 고안은, 장척 판형상(rectangular plate-shape)의 도포 주체(主體)로 이루어지는 도포체로서, 상기 도포 주체는, 그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서의 상기 도포 주체의 최대 폭이, 상기 단면에서의 상기 도포 주체의 최대 두께의 1.2~5.0배이며, 그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 단부의 두께가 1.8mm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체이다.
본 고안의 청구항 2에 기재된 고안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도포체에 있어서, 상기 도포 주체는, 섬유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청구항 3에 기재된 고안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도포체에 있어서, 상기 도포 주체는, 그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의 경도가, JIS K6301 준거의 A형 듀로미터에 의한 경도로 나타내어 5~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청구항 4에 기재된 고안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도포체에 있어서, 상기 단면의 형상은, 다각형상, 혹은 이들의 2 이상을 상하 및/또는 좌우 대칭으로 결합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청구항 5에 기재된 고안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도포체에 있어서, 상기 단면의 형상은, 상기 도포 주체의 두께 방향의 양면이 두 변을 구성하는 대략 삼각형상 또는 상기 도포 주체의 두께 방향의 양면이 대향하는 두 변을 구성하는 대략 사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청구항 6에 기재된 고안은, 청구항 5에 기재된 도포체에 있어서, 상기 단면의 형상은, 상기 도포 주체의 두께 방향의 양면에 의해 구성되는 두 변이 이루는 각이, 각도 10~40°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청구항 7에 기재된 고안은, 청구항 5 또는 6에 기재된 도포체에 있어서, 상기 단면의 형상은, 상기 두 변 사이에 개재하는 긴 변이, 외측을 향해 원호 형상으로 팽출(膨出)하도록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청구항 8에 기재된 고안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도포체에 있어서, 상기 도포 주체는, 그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횡단면에서 볼 때, 지름 방향 외주부에서의 경도가, 중심부에서의 경도보다도 높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청구항 9에 기재된 고안은,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포체에 있어서, 상기 도포 주체는, 그 길이 방향의 단부의 모서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짧은 변 방향 또는 두께 방향을 따라 모따기(chamfering)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청구항 10에 기재된 고안은,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포체에 있어서, 상기 도포 주체는, 그 길이 방향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한쪽 단부에, 펀칭 가공 또는 커팅 처리가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청구항 11에 기재된 고안은,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포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이다.
본 고안의 도포체는, 장척 판형상의 도포 주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도포 주체를, 그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서의 상기 도포 주체의 최대 폭이, 상기 단면에서의 상기 도포 주체의 최대 두께의 1.2~5.0배이며, 그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 단부의 두께가 1.8mm 이하가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도포체에 의하면, 이 도포체를 구성하는 도포 주체에서는, 두께 0.5~2.0mm의 종래의 편평한 장척체에 비해, 그 부피가 크고, 액상물(잉크나 액상 화장품 등)의 보유량도 많아지므로, 신속히 도포 등을 행한 경우에도, 상기 액상물의 유출량이 많아짐과 아울러, 마모의 발생이 억제되어, 안정되게 도포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도포체는, 도포 등 할 때의 도포압 등의 가압과 그 해제에 의해 용이하게 액상물을 방출하거나 흡수할 수 있다는 특성(흡수방출 특성)도 갖는다.
상기 도포체에서는, 상기 도포 주체를, 섬유 소재, 특히 원하는 섬유 소재로 이루어진 섬유속을 가열 압축하고, 합성 수지의 함침에 의해 접착 고정한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도포 주체에서, 그 내부의 섬유가 축선 방향으로 배열해 있음으로써, 액상물의 도통로(導通路)가 축선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도포 주체로 구성한 도포체를, 예를 들어, 액상물이 충전된 저장부와 조합하여, 소정의 용기 내에 수용시켜서 도포구로 했을 경우에는, 상기 저장부에서 유출된 액상물의 보유 성능과 상기 저장부 내의 액상물에 대한 흡수방출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도포체에서는, 상기 도포 주체를, 그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의 경도가, JIS K6301 준거의 A형 듀로미터에 의한 경도로 나타내어 5~80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도포체의 내구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피부에 닿아도 통증을 주지 않는 적당한 유연성이 부여되고, 상기 도포체에서 액체의 흡수 방출 특성이 더욱 발현하기 쉬워진다.
상기 도포체를, 상기 단면의 형상이, 다각형상, 혹은 이들의 2 이상을 상하 및/또는 좌우 대칭으로 결합한 형상을 나타내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도포체를, 상기 단면의 형상이, 상기 도포 주체의 두께 방향의 양면이 두 변을 구성하는 대략 삼각형상 또는 상기 도포 주체의 두께 방향의 양면이 대향하는 두 변을 구성하는 대략 사각형상을 나타내도록 구성하고, 또한 상기 도포 주체의 두께 방향의 양면에 의해 구성되는 두 변이 이루는 각이, 각도 10~40°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도포 주체의 길이 방향 단부에 대해 원하는 가공을 하는 경우에는, 그 가공을 안정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도포체에서는, 상기 대향하는 두 변 사이에 개재하는 긴 변을, 외측을 향해 원호 형상으로 팽출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원하는 가공, 특히 펀칭 가공할 때에, 상기 도포 주체가 가압 압축되면, 긴 변, 즉 상기 도포 주체의 짧은 변 방향에서의 최대 두께를 가진 부분보다 외측의 부분은, 짧은 변 방향 외측을 향해 안정되게 찌부러지므로, 상기 도포 주체의 가공을 안정되고 정밀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상기 도포 주체의 길이 방향 단부를, 원하는 형상으로 정확하고 정밀하게 가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도포 주체에 대해서는, 그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횡단면에서 볼 때, 지름 방향 외주부에서의 경도가, 중심부에서의 경도보다 높아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도포체는, 대상에 대해 단속적으로 도포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구부러짐이 방지되어, 뛰어난 형상 유지 성능과 필기감을 가진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 주체에 대해서는, 그 길이 방향의 단부의 모서리부의 적어도 하나를 짧은 변 방향 또는 두께 방향을 따라 모따기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에 닿는 도포부 표면에서 모서리부가 제거되기 때문에, 사용시에, 사용자의 피부에 주는 통증 등의 감각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 주체에 대해서는, 그 길이 방향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한쪽 단부에, 펀칭 가공 또는 커팅 처리를 할 수 있다.
상기 도포체는, 특히, 필기나 묘화, 화장 등에 사용되는 도포구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한 도포체의 일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로, (A)는, 도포체의 정면 사시도이고, (B)는, (A)의 A-A'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도포체의 액체의 흡수 방출 특성을 나타내는 설명도로, (A)는, 도포체가 정치(靜置)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B)는, 도포체가 두께 방향으로 가압 압축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C)는, 가압이 해제되어, 도포체의 부피가 회복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도포체의 액체의 흡수 방출 특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로, (A)는, 도포체가 정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B)는, 도포체의 짧은 변 방향의 일단이 두께 방향으로 가압 압축된 상태에서 길이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커팅 가공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C)는, 가압이 해제되어 도포체의 부피가 회복되고, 도포체의 짧은 변 방향의 일단에 커팅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관한 도포체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로, (A)는, 편평하고 높이가 길며, 좌우 양측의 가장자리(윗변 및 아랫변)가 원호 형상을 한 등각 사다리꼴 형상 내지 좌우측의 가장자리 중 한쪽이 둥그스름하고, 다른 쪽이 원호 형상을 한 이등변삼각형을, (B)는, 편평하고 가로로 길며, 윗변이 원호 형상을 한 2개의 서로 동일한 등각 사다리꼴의 아랫변을 결합한 육각 형상을, (C)는, 편평하고, 상하 양측의 가장자리가 원호 형상을 한 정방형의 좌우 양측의 가장자리 각각에, 윗변이 원호 형상이고 아랫변의 길이가 정방형의 한 변의 길이보다도 짧은 2개의 서로 동일한 등각 사다리꼴의 아랫변을 좌우 대칭으로 결합한 형상을, (D)는, 편평하고, 정방형의 좌우 양측의 가장자리 각각에, 아랫변의 길이가 정방형의 한 변의 길이와 같은 2개의 서로 동일한 등각 사다리꼴의 아랫변을 결합한 형상을, (E)는, 편평하고, 높이가 긴 등각 사다리꼴의 아랫변과, 이 등각 사다리꼴과는 높이가 짧지만 아랫변의 길이가 같은 등각 사다리꼴의 아랫변을 결합한 형상을 하고 있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도포체의 길이 방향 단부에 펀칭 가공을 하여 빗(pecten) 형상으로 만든 것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도포체를 형성하기 위한 펀칭 가공의 공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로, (A)는, 펀칭 가공기의 상부 날과 하부 날 사이에 도포체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B)는, 도포체가 상부 날과 하부 날에 의해 가압, 끼움지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C)는, 도포체가 상부 날과 하부 날에 의해 펀칭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D)는, 도포체의 길이 방향 단부가 빗 형상으로 형성된 상태(도 5에 나타내는 도포체의 B-B' 단면)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도포체에 커팅 가공을 한 것의 일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로, (A)는, 도포체의 평면도이고, (B)는, (A)의 C-C'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도포체에 커팅 가공을 함과 아울러, 그 길이 방향 양단부의 예각 첨단(우측 단부)에 라운드부를 형성한 것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내는 도포체의 횡단면을 나타내는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이하, 본 고안에 관한 도포체의 실시의 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 본 고안의 도포체는, 도시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개량을 추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관한 도포체(1)(이하,「도포체(1)」라고 함.)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가진 장척 판형상의 도포 주체(2)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도포 주체(2)는, 그 길이 방향(도 1에서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서의 상기 도포 주체(2)의 최대 폭(X)이, 상기 단면에서의 상기 도포 주체(2)의 최대 두께(Y)의 1.2~5.0배, 바람직하게는 1.2~3.0배, 더 바람직하게는 1.2~2.0배가 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도포 주체(2)는, 펀칭 가공이나 커팅 처리 등의 원하는 가공을 하는 경우에, 안정된 상태에서, 그 가공을 행할 수 있다.
또, 이 작용 효과는, 펀칭 가공이나 커팅 처리 등의 가공을,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포 주체(2)로 구성되는 도포체(1)를 눕혀서 행하는 경우에 현저하다.
이 경우에, 상기 최대 폭(X)이 상기 최대 두께(Y)의 1.2배보다도 비율이 작으면, 상기 단면 형상이 원형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도포체가 굴러버리는 등, 안정된 상태에서 가공을 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가공을 할 때, 도포체를 세팅할 때에 두께 방향과 폭 방향의 분별을 하기 어려워져서, 작업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도포 주체(2)는, 그 폭 방향(도 1에서 좌우 방향)의 적어도 한쪽 단부의 두께가 1.8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2~1.8mm 정도가 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가공, 특히 펀칭 가공을 행하는 경우에는, 펀칭할 때의 저항을 저감하여, 펀칭 가공기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두께를 가진 단부를 사용하여 도포 등을 행하면, 가는 선을 그릴 수 있다.
도 1에서, 도포체를 구성하는 도포 주체는, 그 폭 방향의 일단(우단부)의 두께만이 상기 범위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한쪽 단부로 가는 선을 그릴 수 있고, 다른 쪽 단부로 굵은 선도 그릴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도포체로, 가는 선과 굵은 선을 용도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상기 도포체(1)에서는, 상기 도포 주체(2)의 부피가, 두께 0.5~2.0mm인 종래의 편평한 장척체에 비해 큰 것에 의해, 액상물(잉크나 액상 화장품 등)의 보유량도 많아지므로, 신속히 도포 등을 행한 경우에도, 상기 액상물의 유출량이 많아짐과 아울러, 마모의 발생이 억제되어, 안정되게 도포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도포 주체(2), 특히, 다공질의 소재로 구성된 도포 주체(2)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포 등을 할 때의 도포압 등에 의해 가압 압축되면, 그 부피가 감소됨으로써 내부의 액상물을 방출하는 한편, 그 가압이 해제되면, 그 부피가 회복함으로써 액체(액상물)를, 예를 들어, 상기 도포 주체로 구성한 도포체를, 액상물이 충전된 저장부와 조합하여, 소정의 용기 내에 수용시켜서 도포구로 했을 경우의 상기 저장부로부터, 내부에 흡수한다는 특성도 얻을 수 있다.
이 작용 효과는, 도포 주체를, 그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횡단면에서 볼 때, 지름 방향 외주부에서의 경도가, 중심부에서의 경도보다 높아지도록 구성한 경우에, 상기 중심부가 찌부러지기 쉬워지므로, 현저하다.
또, 상기 액체의 흡수 방출 특성에 대해서는, 도포 주체의 경도를 조정하는 것이나, 도포 주체의 길이 방향 단부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것 등에 의해, 원하는 크기의 흡수 방출 특성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도포 주체(2)의 짧은 변 방향의 일단부(도포 주체(2)의 두께가 최대가 되는 측의 단부)에는, 두께 방향으로 가압 압축한 상태에서, 길이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θ)로 경사진 절단면이 형성되도록 커팅 가공을 함으로써, 필요한 깊이의 커팅부(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커팅부(3)의 주연(周緣)은, 도포 주체(2)의 중심부의 부드러운 면이 노출된 부분이며, 가압에 의해 변형 가능하므로, 액체의 흡수 방출 특성이 향상된다.
또, 상기 커팅부의 크기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대향하는 두 변 사이에 개재하는 긴 변을, 외측을 향해 원호 형상으로 팽출하도록 형성할 때의 원호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이나, 외측에 원호 형상으로 팽출되는 형상의 크기나, 상기 각도(θ)를 변경하는 것 등의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호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나, 상기 각도(θ)를 크게 했을 경우에는, 작은 커팅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액체의 흡수 방출량에 대해서는, 상기 원호의 형성의 유무나, 상기 원호의 크기의 변경, 상기 각도(θ)의 변경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도포 주체(2)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형상(횡단면 형상)에 대해서는, 상기 단면의 폭과 두께가 상기 특정의 범위내에 있는 한,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중실(中實)의 단면 형상을 갖고 있으면 된다.
상기 단면 형상으로는, 예를 들어, 삼각형, 사각형(사다리꼴이나 마름모꼴 등), 육각형 등의 다각형상, 혹은 이들의 2 이상을 상하 및/또는 좌우 대칭으로 결합한 것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단면 형상은, 그 각 중 적어도 하나가 둥그스름한 것이어도 되고, 수직 또는 수평 방향에서 대칭적인 것이어도 되고, 비대칭적인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단면 형상은, 도포 등의 대상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 맞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관점에서, 그 변 중 적어도 하나가 직선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포 주체가 굴러가지 않는 또는 안정되게 배치 가능해지는 한에서, 예를 들어,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변 중 적어도 하나가 바깥쪽을 향해 원호 형상으로 팽출하거나 또는 안쪽을 향해 원호 형상으로 오목한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포 등의 대상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 맞춤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정치(靜置)한 상태에서, 안정되게 원하는 가공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단면 형상을, 용도에 따라, 도 4의 (A)~(E)와 같은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단면 형상은, 모두, 좌우측의 가장자리 중 한쪽에서 다른쪽을 향함에 따라 점차, 두께(높이)를 두껍게 함으로써, 한 쌍의 빗변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4에 나타내는 단면 형상을 가진 도포 주체는, 그 두께 방향에서, 외측에서 내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상방으로 경사지는 한 쌍의 오름 경사면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단면 형상을 가진 도포 주체(2)에서는, 그 짧은 변 방향의 일단과 타단에서 굵기가 서로 다른 것이 되므로, 상기 도포 주체(2)로 구성되는 도포체(1)에서, 그 짧은 변 방향의 일단측과 타단측에서, 서로 다른 선폭의 사용 구분이 가능해진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면 형상은, 상기 도포 주체의 두께 방향의 양면이 대향하는 두 변(2b, 2c)을 구성하는 대략 삼각형상 또는 대략 사각형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포 주체(2)의 두께 방향의 양면이 대향하는 두 변을 구성하는 대략 삼각형상 또는 상기 도포 주체의 두께 방향의 양면이 한 쌍의 각변(脚邊)을 구성하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도포 주체(2)의 길이 방향 단부에 대해 원하는 가공을 하는 경우에는, 그 가공을 안정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단면 형상은, 상기 도포 주체(2)의 두께 방향의 양면에 의해 구성되는 두 변(2b, 2c)이 이루는 각(R)이, 각도 10~40°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도포 주체(2)의 길이 방향 단부에 원하는 가공, 특히 펀칭 가공을 하는 경우에는, 그 가공을 보다 안정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단면 형상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포 주체(2)의 두께 방향의 양면이 한 쌍의 빗변으로 이루어지는 각변을 구성하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그 윗변의 길이가 0.2~1.8mm이고, 아랫변의 길이가 1.8~4.0mm이며, 높이가 상기 아랫변의 1.2~5.0배(바람직하게는 1.2~3.0배, 더 바람직하게는 1.2~2.0배)이고, 한 쌍의 각변이 이루는 개방 각도가 10~40°의 사다리꼴 형상(특히 등각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윗변의 길이가 0.2mm를 밑돌면, 선단이 뾰족해지므로, 도포체로서의 사용시에 피부에 통증을 주는 경향이 있고, 1.8mm를 웃돌면, 도포체로 했을 때에, 짧은 변 방향의 일단과 타단에서 굵기가 같은 것이 되므로, 선폭의 사용 구분을 할 수 없게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윗변의 길이가 0.2mm를 밑돌면, 상기 도포 주체는 얇아져서, 그 강도가 극단으로 저하되어, 찌부러지기 쉬워지므로, 상기 도포 주체의 가공시의 위치 맞춤이나, 상기 도포 주체로 구성되는 도포체의, 도포구 제조시의 용기에의 조립을 할 때는, 이들을 안정되게 행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아랫변의 길이가 1.8mm를 밑돌면, 얇아져서, 강한 힘을 가했을 경우에 구부러지는 경향이 있고, 4.0mm를 웃돌면, 미세한 가공을 안정되게 행하는 것이나, 펀칭 가공을 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높이가 상기 아랫변의 길이의 1.2배를 밑돌면, 상기 단면 형상의 종횡의 분별을 하기 어려워지는 등 , 가공시의 위치 맞춤이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고, 상기 아랫변의 5.0배를 웃돌면, 도포체로 했을 때에 지나치게 커져서, 미세한 화장 작업이 하기 어려워지고, 대형의 가공 기계를 사용할 필요가 있어, 비용 상승으로 연결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개방 각도가 10°를 밑돌면, 도포체로 했을 때에, 짧은 변 방향의 일단과 타단에서 굵기가 같은 것이 되므로, 선폭의 사용 구분을 할 수 없게 되는 경향이 있고, 40°를 웃돌면, 도포체로 했을 때에 경사 각도가 너무 커서, 사용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단면 형상이, 상기 도포 주체의 두께 방향의 양면이 두 변을 구성하는 대략 삼각형상 또는 상기 도포 주체의 두께 방향의 양면이 대향하는 두 변을 구성하는 대략 사각형상이 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향하는 두 변 사이에 개재하는 긴 변은, 외측을 향해 원호 형상으로 팽출하도록 형성된다.
도 1에서, 상기 도포 주체(2)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은,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등각 사다리꼴 형상으로, 그 좌우측의 가장자리 중, 긴 변측의 가장자리, 즉 대향하는 빗변(2b, 2c) 사이에 개재하는 아랫변(2d)이 외측을 향해 원호 형상으로 팽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원하는 가공, 특히 펀칭 가공시에, 상기 도포 주체가 가압 압축되면, 긴 변, 즉 상기 도포 주체의 짧은 변 방향에서의 최대 두께를 갖는 부분보다 외측의 부분은, 특히, 상기 도포 주체의 경도가 낮은 경우, 예를 들어 JIS K6301 준거의 A형 듀로미터에 의한 경도로 나타내어 5~80의 범위에 있는 경우에, 짧은 변 방향 외측을 향해 안정되게 찌부러지므로, 상기 도포 주체의 가공을 안정되면서 정밀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상기 도포 주체의 길이 방향 단부를, 원하는 형상으로 정확하면서도 정밀하게 가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내는 도포 주체(2)가 형성되도록, 상기 도포 주체(2)의 길이 방향 단부를 빗 형상이 되도록,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펀칭 가공을 하는 경우에는, 그 단부에서의 가공 형상이 더욱 정밀한 것이 된다.
이에 대해, 상기 대향하는 두 변 사이에 개재하는 긴 변(2d)을, 외측을 향해 원호 형상으로 팽출하도록 형성하지 않는, 즉 직선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두 변 중 한쪽의 변과 긴 변(2b와 2d, 2c와 2d) 사이의 각(모서리부)의 각도는 모두 예각이 되고, 도포 주체의 구조적 강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이 도포 주체를 두께 방향으로 가압 압축할 때에는, 상기 모서리부는 변형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모서리부가 변형되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 긴 변(2d)의 두께 방향 중앙부로부터 변형이 생기므로, 펀칭 가공에 의해 형성된 빗 형상에서는, 상기 긴 변(2d) 근방에서 형태가 흐트러지는 일이 있어, 안정되게 형성(가공)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상기 도포 주체(2)를 구성하는 소재로는, 액체를 흡수 보유할 수 있는 소재가 선택된다.
상기 소재로는, 예를 들어, 모세관힘에 의해, 액체를 흡수 보유하는, 연속 기포를 가진 발포체 등의 다공질체, 혹은 기모체 또는 식모체, 특히, 섬유를 집속하여 합성 수지로 접착해서 얻어지는 다공질체의 일종으로, 적당한 강도를 가진 섬유속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소재 중에서는, 섬유속체 등의, 액체의 흡수 보유가 가능하며, 다공질로, 그 내부의 섬유가 축선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음에 의해, 액체의 도통로가 축선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섬유 소재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섬유속체를 구성하는 섬유나 섬유 소재로서,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나, 아크릴 섬유, 나일론 섬유 등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가 선택되는데, 더 바람직하게는, 흡수율이 높고, 액체를 흡수함으로써 팽윤하여, 경도가 낮아져서 촉감이 좋고, 또한 도포압 등의 압력으로 변형되기 쉽다는 관점에서, 나일론 섬유가 선택된다.
상기 도포 주체를 열가소성 수지 섬유로 구성했을 경우에는, 상기 도포 주체는, 액체의 흡수 보유 및 방출(유출)이 더욱 양호한 것이 된다.
또, 이 실시예에서, 상기 도포 주체(2)는, 나일론 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포 주체, 특히 섬유 소재로 구성된 도포 주체의 기공율은, 바람직하게는 30%~88%의 범위, 더 바람직하게는 35%~88%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50%~80%의 범위이다.
상기 기공율이 30%를 밑돌면, 액체의 유로가 적어지기 때문에 충분한 액체의 유출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고, 88%를 웃돌면, 도포 주체가 가진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구조체가 적어져서, 사용시의 내구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도포 주체, 특히 섬유 소재로 구성된 도포 주체의 경도에 대해서는, 바람직하게는 5~80의 범위, 더 바람직하게는 10~70의 범위로 한다.
상기 경도가 5를 밑돌면, 사용 횟수가 소정값을 넘었을 때에 흐트러짐(균열)이 발생하는 등, 내구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고, 80을 웃돌면, 도포 주체가 딱딱해져서, 사용감에서 뒤떨어지게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경도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상기 액체의 흡수 방출 특성이 보다 발현되기 쉬워진다.
또, 본 고안에서, 상기 경도는, 듀로미터 경도이며, JIS K6301 준거의 A형 듀로미터 경도계를 이용하여, 도포 주체의,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에 대해 압침을 밀어넣어 측정한 것이다.
또한, 상기 경도에 대해서는, 상기 도포 주체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횡단면에서 볼 때, 지름 방향 외주부에서의 경도가, 중심부에서의 경도보다도 높아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상기 도포 주체를 섬유속 재료로 구성하는 경우에, 섬유 및/또는 이것을 접착 고정하는 합성 수지를, 상기 도포 주체의 외주부에 편재시킴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도 9는, 도포 주체의 횡단면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9에서, 상기 도포 주체의 외주부에는, 상기 도포 주체의 중심부보다도 다량의 섬유 및 이것을 접착 고정하는 합성 수지가 존재하고 있으므로, 상기 지름 방향 외주부에서의 경도는, 상기 중심부에서의 경도보다도 높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했을 경우에는, 상기 도포 주체로 구성되는 도포체를, 도포 등 대상에 눌러대거나 하여 가압 압축시켰을 때에는, 상기 도포체의 단부(도포부)의 지름 방향 중심부는, 그 경도가 낮기 때문에 변형되고, 그 부피가 작아지는 한편, 상기 도포체를 도포 등 대상으로부터 이격하여 상기 가압이 해제되었을 때에는, 그 부피가 원래의 크기까지 회복하려고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아이브로우를 용도로 한 경우에는, 상기 도포 주체의 도포부(길이 방향 단부)에서, 메이크업베이스(파운데이션 등)의 부착에 의한 막힘이 생긴 경우여도, 상기 가압과 그 해제를 반복함으로써, 상기 도포 주체로 구성한 도포체를, 액상물이 충전된 저장부와 조합하여, 소정의 용기내에 수용시켜서 도포구로 했을 경우의 상기 저장부로부터 액상물이 흡수되는 것에 더하여, 상기 도포부에서는, 상기 변형에 의한 균열이나 간극이 형성되므로, 이 균열이나 간극으로부터 액상물이 유출하여, 계속해서 도포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상기 도포 주체 자체가 구부러짐이 방지되어, 도포체에서 뛰어난 형상 유지 성능과 필기감 내지 사용감을 얻을 수 있다는 작용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상기 도포 주체(2)는, 도포 등을 할 때에 대상과 접촉함으로써, 용도에 따라, 임의의 길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포 주체(2)의 길이 방향 양단부 중, 적어도 한쪽 단부에 대해서는, 용도에 따라, 원하는 형태로의 도포 등을 행할 수 있도록, 펀칭 가공이나 커팅 처리, 절삭, 연마 등의 주지의 방법에 의해, 원하는 가공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포 주체(2)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대해 펀칭 가공을 하는 경우에는, 이 단부를 물결 모양이나, 톱니 모양(빗 모양), 계단 모양, 하트 모양, 활 모양(포탄 모양) 등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도포 주체(2)의 길이 방향 양단부 중, 적어도 한쪽 단부에 대해 커팅 처리를 할 때에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길이 방향(도 7 및 도 8에서 전후 방향)에서 대칭이 되도록 커팅 처리를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도포 주체(2)로 구성되는 도포체(1)는, 그 길이 방향의 양단부 모두 도포부로서 이용할 수 있으며, 전후 방향을 고려하지 않고, 소정의 용기내에 수용시켜서 도포구(필기구 등을 포함함)를 조립할 수 있으므로, 도포구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또, 도 8에서, 상기 도포 주체(2)의 길이 방향 양단부의 예각 첨단(우측 단부)(2e, 2e)에는, 라운드(round)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도포 주체(2)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서, 그 모서리부의 적어도 하나를 짧은 변 방향 또는 두께 방향을 따라 모따기 가공이나 라운딩 가공을 해도 된다.
상기 도포 주체를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상기 도포 주체의 소재로서, 섬유 소재를 선택한 경우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지런히 정렬시킨 원하는 섬유 소재의 다발(섬유속)을, 횡단면 형상이 원하는 형상을 나타낸 다이(die)에서 가열 성형하여, 섬유 수속체를 얻고, 또한, 얻어진 섬유 수속체를 합성 수지의 함침에 의해 접착 고정하여, 얻어진 장척 판형상체의 단부를 필요에 따라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함으로써, 도포 주체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도포체(1)는, 필기나 묘화, 도포, 화장 등을 행하기 위한 도포구 내지는 필기구용 도포체로서 이용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도포체(1)를, 예를 들어, 필요에 따라 잉크 등이 충전된 저장부와 조합하여, 소정의 용기내에 수용시켜서 도포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도포체(1)를 구비하는 도포구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상기 도포체(1)의 일단측에, 액상 화장품나 잉크를 포함하는 안솜을 부착한 것을, 상기 도포체(1)의 타단측의 도포부가 필요한 길이로 돌출하도록, 용기에 삽입·고정함으로써, 조립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포 주체의 제조
섬유의 굵기가 1데시텍스(deciTex)인 나일론 섬유를, 그 총량이 10,000 데시텍스가 되도록 집속시켜서, 나일론 섬유속을 얻었다.
얻어진 나일론 섬유속을, 횡단면 형상이, 윗변 0.9mm, 아랫변 2.5mm, 높이 3.6mm, 각변의 개방 각도 34°의 등각 사다리꼴의, 윗변과 아랫변 각각을, 외측을 향해 원호 형상으로 팽출되게 하여 이루어지는 대략 등각 사다리꼴 형상의 다이를 통과시켜, 가열 성형한 후, 하기 표 1에 나타내고 있는 조성의 합성 수지 용액에 침지시켜, 대략 등각 사다리꼴 형상의 나일론 섬유 집속체를 얻었다.
그 후, 얻어진 대략 등각 사다리꼴 형상의 나일론 섬유 집속체를, 온도 130~140℃로 설정된 열풍 건조로 내에 넣어서 용제를 제거함과 아울러, 합성 수지를 경화시켜서, 장척 판형상의 도포 주체를 얻었다.
합성수지용액의 조성(단위:질량%)
성 분 배합율
우레탄(이소시아네이트 + 폴리올) 5
용제 95
얻어진 도포 주체는, 그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형상이, 윗변 0.9mm, 아랫변 2.5mm, 높이 3.6mm, 각변의 개방 각도 34°의 등각 사다리꼴의, 윗변과 아랫변 각각이 외측을 향해 원호 형상으로 팽출된 대략 등각 사다리꼴 형상의 것으로, 그 기공율이 71%이고, 그 중심부의 경도가, JIS K6301 A형 듀로미터 경도계로 측정하여 17인 것이었다.
(2) 도포체의 제조
얻어진 도포 주체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 대해, 길이 방향의 최대 길이가 32mm가 되면서, 길이 방향에 대해 각도 45°의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커팅 처리를 함과 아울러, 타단에 대해, 도 5에 나타내는 빗 형상이 형성되도록 펀칭 가공을 함으로써, 도포체를 얻었다.
<결과>
상기 실시예에서 얻어진 도포체에서는, 이 도포체를 구성하는 도포 주체의 길이 방향의 타단이, 4개의 이빨을 가진 입체적인 빗 형상으로 정확하고 정밀하게 가공되어 있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도포체에서, 이것을 구성하는 도포 주체는, 그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서의 좌우측의 가장자리 중 긴 변측이 외측을 향해 원호 형상으로 팽출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도포 주체의 길이 방향 단부를, 원하는 형상으로 정확하고 정밀하게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은 분명하다.
본 고안의 도포체는, 장척 판형상의 도포 주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도포 주체를, 그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서의 상기 도포 주체의 최대 폭이, 상기 단면에서의 상기 도포 주체의 최대 두께의 1.2~5.0배가 되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그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 단부의 두께가 1.8mm 이하가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이 도포체는, 종래 도포체로서 사용되고 있는 두께 0.5~2.0mm의 편평한 장척체에 비해, 잉크 등의 액상물의 보유량이 많으므로, 신속히 도포 등을 행한 경우에도, 상기 액상물의 유출량이 많아짐과 아울러, 마모의 발생이 억제되어, 안정되게 도포 등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액상물을 가압과 그 해제에 의해 용이하게 방출하거나 흡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므로, 필기나 묘화, 도포, 화장 등을 목적으로 하는 도포구용 도포체로서, 보다 넓은 용도로의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1 도포체
2 도포 주체
2a 단면
2b 변(상측)
2c 변(하측)
2d 긴 변
2e 길이 방향 단부의 모서리부
3 커팅부
4a 상부 날
4b 하부 날
5 단재(端材)
X  최대 폭
Y 최대 두께
R 개방 각도
θ 단면의 경사 각도

Claims (8)

  1. 장척(長尺; rectangular)의 도포 주체로 이루어지는 도포체로서,
    상기 도포 주체는,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서의 상기 도포 주체의 최대 폭이, 상기 단면에서의 상기 도포 주체의 최대 두께의 1.2~5.0배이며,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 단부의 두께가 1.8mm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면은,
    상기 도포 주체의 두께 방향으로 대향하는 양면에 의해 구성되며, 각각이 외측을 향해 원호 형상으로 팽출(膨出)하며 또한 최대 두께 부분 및 상기 최대 두께 부분과 대향하는 최소 두께 부분 중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해 연장된 두 변과,
    상기 도포 주체의 폭 방향으로 대향하는 양면에 의해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최대 두께 부분에서 외측을 향해 원호 형상으로 팽출하는 긴 변, 및 상기 최소 두께 부분에서 외측을 향해 원호 형상으로 팽출하는 짧은 변을 가지며,
    상기 두 변은, 상기 최대 두께 부분측의 단부의 각각이 연속하도록 상기 긴 변에 의해 연결되며, 또한 상기 최소 두께 부분측의 단부의 각각이 연속하도록 상기 짧은 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도포 주체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한쪽 단부에, 상기 짧은 변측이 상기 긴 변측보다 길이 방향 측으로 돌출하도록 경사지게 커팅 처리된 부분을 가진 도포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사지게 커팅 처리된 부분의 상기 짧은 변측의 선단부에 라운드부가 형성되는 도포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포 주체의 길이 방향의 양단이 상기 커팅 처리되고, 길이 방향의 일단 및 타단의 커팅 처리는 길이 방향 중앙에 대해 면대칭인 도포체.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변의 곡률은, 상기 긴 변의 곡률보다도 작은 도포체.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2020217000028U 2019-07-10 2020-07-02 도포체 및 이 도포체를 구비하는 도포구 KR20049677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28147A JP7149231B2 (ja) 2019-07-10 2019-07-10 塗布体およびこの塗布体を備える塗布具
JPJP-P-2019-128147 2019-07-10
PCT/JP2020/025999 WO2021006173A1 (ja) 2019-07-10 2020-07-02 塗布体およびこの塗布体を備える塗布具
KR1020217014564 2020-07-0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4564 Division 2019-07-10 2020-07-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428U KR20210001428U (ko) 2021-06-25
KR200496772Y1 true KR200496772Y1 (ko) 2023-04-20

Family

ID=76604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7000028U KR200496772Y1 (ko) 2019-07-10 2020-07-02 도포체 및 이 도포체를 구비하는 도포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772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6621B2 (ja) 1995-04-20 2001-08-0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水溶性表面処理剤
JP2012239739A (ja) * 2011-05-23 2012-12-10 Aubex Corp 塗布体用素材の製造方法及び塗布体用素材並びに塗布体及び塗布具
JP2018126210A (ja) 2017-02-06 2018-08-16 株式会社トキワ 液体塗布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55593B1 (fr) * 1996-11-13 1999-01-08 Oreal Brosse pour l'application d'un produit cosmetique et dispositif de maquillage la comprenant
JP3196621U (ja) 2015-01-09 2015-03-26 彩麗國際化粧品股▲フン▼有限公司 化粧用ペンの芯材及びこれを備える化粧用ペ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6621B2 (ja) 1995-04-20 2001-08-0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水溶性表面処理剤
JP2012239739A (ja) * 2011-05-23 2012-12-10 Aubex Corp 塗布体用素材の製造方法及び塗布体用素材並びに塗布体及び塗布具
JP2018126210A (ja) 2017-02-06 2018-08-16 株式会社トキワ 液体塗布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428U (ko) 2021-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34230B (zh) 低阻力理发器的刀片齿轮廓
JP5716960B2 (ja) 塗布体用素材の製造方法及び塗布体用素材並びに塗布体及び塗布具
US6648536B1 (en) Ergonomic writing instrument
TWI683046B (zh) 擦拭用薄片
US20080121246A1 (en) Nail-Art Applicator
CN106793859A (zh) 用于涂抹化妆品的涂抹器
KR102594110B1 (ko) 도포체 및 이 도포체를 구비하는 도포구
KR200496772Y1 (ko) 도포체 및 이 도포체를 구비하는 도포구
US10542811B2 (en) Application pen with an inclined tip end
JP2021028163A (ja) 筆記具
JP6696130B2 (ja) ペン先
JP5744358B1 (ja) 使い捨ての化粧パッド
WO2021010179A1 (ja) 塗布体およびこの塗布体を備える塗布具
EP3329800B1 (en) Pad for holding/supplying liquid cosmetics
KR200450582Y1 (ko) 타점형 아이라이너
KR102350037B1 (ko) 면도기 카트리지
JP2023083886A (ja) 筆先ユニット、筆先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筆先ユニットを用いた液体塗布具
EP4227109A1 (en) Fiber bundle body for writing utensil, penpoint using same, and writing utensil
JP2015199353A (ja) ペン先
JP5575630B2 (ja) 筆記具用ペン先
JP2021070224A (ja) ペン先部材並びにペン先部材を備えた筆記具
KR20210073349A (ko) 면도기 카트리지
KR102371220B1 (ko) 화장료 흡수용량이 향상된 화장도구
WO2021044719A1 (ja) 塗布体およびこの塗布体を備える塗布具
WO2020157941A1 (ja) 液状化粧料の塗布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