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679Y1 - 페리오톰 - Google Patents

페리오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679Y1
KR200496679Y1 KR2020210000810U KR20210000810U KR200496679Y1 KR 200496679 Y1 KR200496679 Y1 KR 200496679Y1 KR 2020210000810 U KR2020210000810 U KR 2020210000810U KR 20210000810 U KR20210000810 U KR 20210000810U KR 200496679 Y1 KR200496679 Y1 KR 2004966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gth
periotome
recessed
toothed member
saw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8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267U (ko
Inventor
김한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스코리아
Priority to KR20202100008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679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2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2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6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6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14Dentists' forceps or the like for extrac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61C3/025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e.g. for cleaning, polishing or cut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61C3/03Instruments operated by vib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12Tooth sa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페리오톰은, 절단 대상과 접촉하여 상기 절단 대상을 절단하는 톱니부재 및 상기 톱니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톱니부재를 고정하는 톱니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톱니부재는 외측면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 부분과, 외측면에 내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페리오톰{PERIOTOME}
아래의 설명은 페리오톰에 관한 것이다.
페리오톰이란 팁부분이 날카롭게 형성되어 치아 또는 그 주변 연조직을 절개할 때 사용되는 기구를 의미한다. 페리오톰은 치아를 발치하거나 특정 부위를 절단하는 수술에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페리오톰은 절골술, 골절제술 및 골 성형술 등에 활용될 수 있다. 페리오톰은 장치에 의해 진동하거나 사용자의 손에 의해 움직임으로써 특정 부위를 절단할 수 있다. 다만, 페리오톰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과도한 진동 또는 전달날의 구조적 불량 등의 요인으로 주변 부위를 손상시키거나 절단 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페리오톰의 사이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페리오톰이 보다 유연하게 치아 및 주변조직의 내부로 진입하고 보다 원활하게 치아 및 주변 조직을 분리 및 절단시키기 위해, 톱날부분의 구조적 사이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는 톱날부분의 돌출 및 함몰된 부분의 비율과 크기에 따라 절단대상의 절단 정도와 효율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2042542호는 완충 장치를 갖는 페리오톰에 대해 개시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른 페리오톰의 목적은, 형상적 특징을 통해 보다 원활하게 절단대상을 절단하는 페리오톰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페리오톰은, 절단 대상과 접촉하여 상기 절단 대상을 절단하는 톱니부재 및 상기 톱니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톱니부재를 고정하는 톱니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톱니부재는 외측면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 부분과, 외측면에 내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정면을 바라본 기준으로, 상기 돌출 부분의 길이는 상기 톱니부재의 폭 길이의 5% 내지 15%이내의 길이일 수 있다.
상기 함몰 부분의 길이는 상기 톱니부재의 폭 길이의 5% 내지 15%이내의 길이일 수 있다.
상기 함몰 부분의 함몰된 깊이는 상기 돌출 부분의 길이의 50% 내지 100%이내의 길이일 수 있다.
상기 함몰 부분의 함몰된 깊이는 상기 함몰 부분의 길이의 50% 내지 100%이내의 길이일 수 있다.
상기 톱니부재의 외측면은 삼각형, 타원 및 사다리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페리오톰에 따르면, 형상적 특징을 통해 보다 원활하게 절단대상을 절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페리오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페리오톰의 일 형상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페리오톰의 일 형상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페리오톰의 일 형상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페리오톰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페리오톰(1)은 절단 대상을 절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리오톰(1)은 날카로운 일 측면을 포함하여, 치아 및 그 주변 조직을 분리 및 절단할 수 있다. 페리오톰(1)은 특정 장치에 의해 진동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왕복운동함으로써 절단 대상을 절단할 수 있다.
페리오톰(1)은 톱니부재(10) 및 톱니몸체(11)를 포함할 수 있다.
톱니부재(10)는 절단 대상과 접촉하여 절단 대상을 절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톱니부재(10)는 날카로운 외측면을 포함할 수 있고, 외측면은 톱날부분일 수 있다. 외측면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톱니부재(10)는 외측면에 내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 부분과 함몰 부분은 서로 번갈아가며 연속되게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돌출 부분과 함몰 부분의 굴곡 및 경사진 형상에 의해 절단 대상은 절단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 부분의 길이(L2)와 복수의 함몰 부분의 길이(L1)의 총합은 톱니부재(10)의 외측면의 길이일 수 있다. 또한, 정면을 바라본 기준으로, 돌출 부분의 길이(L2)는 톱니부재의 폭 길이(D2)의 5% 내지 15%의 길이일 수 있다. 정면을 바라본 기준으로, 함몰 부분의 길이(L1)는 톱니부재의 폭 길이(D2)의 5% 내지 15%의 길이일 수 있다. 이 경우, 정면을 바라보는 방향은 톱니부재의 외측으로 돌출 부분 및 함몰 부분이 보이도록 바라보는 방향일 수 있다. 돌출 부분의 길이(L2)와 함몰 부분의 길이(L1)는 서로 같을 수 있다.
돌출 부분의 길이(L2)와 함몰 부분의 길이(L1)가 톱니부재의 폭 길이(D2)의 5% 미만인 경우, 돌출 부분과 함몰 부분의 간격은 좁아져 톱니부재(10)의 톱니로써 기능은 크게 저하될 수 있다. 반대로, 돌출 부분의 길이(L2)와 함몰 부분의 길이(L1)가 톱니부재(10)의 폭 길이의 15%초과인 경우에도, 돌출 부분과 함몰 부분의 간격은 과도하게 커져 톱니부재(10)의 톱니로써 기능은 저하될 수 있다.
함몰 부분의 함몰된 깊이(D1)는 돌출 부분의 길이(L2)의 50% 내지 100%이내의 길이일 수 있다. 또는, 함몰 부분의 함몰된 깊이(D1)는 함몰 부분의 길이(L1)의 50% 내지 100%이내의 길이일 수 있다. 함몰 부분의 함몰된 깊이(D1)가 돌출 부분의 길이(L2)의 100%를 초과할 경우, 함몰 부분이 깊어져 절단 대상에 과도하게 박히게 되어 톱니부재(10)는 절단 대상에 박힌 상태에서 원활하게 동작하기 어려워지므로, 톱니부재(10)의 절단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반대로, 함몰 부분의 함몰된 깊이(D1)가 돌출 부분의 길이(L2)의 50%미만일 경우, 함몰 부분의 깊이가 작아져 톱니부재(10)가 절단 대상에 거의 박히지 않게 되므로, 톱니부재(10)의 절단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톱니부재(10)가 절단대상에 적절한 깊이로 박혀 보다 원활하게 절단 대상을 절단할 수 있도록 작용하는 최적의 함몰 부분의 사이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절단 대상과 접촉되어 절단 대상을 절단하는 톱니부재(10)의 외측면은 여러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페리오톰의 일 형상이고, 톱니부재(10)의 외측면은 삼각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페리오톰의 일 형상이고, 톱니부재(10)의 외측면은 타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페리오톰의 일 형상이고, 톱니부재(10)의 외측면은 사다리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톱니부재(10)의 외측면은 삼각형, 타원 및 사다리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톱니부재(10)의 외측면은 삼각형, 타원 및 사다리꼴의 형상을 절단계획에 따라 조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톱니몸체(11)는 톱니부재(10)와 연결되어 톱니부재(10)를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톱니몸체(11)는 톱니부재(10)를 진동시키는 기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톱니몸체(11)는 톱니부재(10)를 단순히 고정시키는 손잡이가 형성된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 페리오톰
10: 톱니부재
11: 톱니몸체
L1: 함몰 부분의 길이
L2: 돌출 부분의 길이
D1: 함몰된 깊이
D2: 폭 길이

Claims (5)

  1. 외측면이 삼각형, 타원 및 사다리꼴의 형상이 조합된 형태로 형성되고, 절단 대상과 접촉하여 상기 절단 대상을 절단하는 톱니부재; 및
    상기 톱니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톱니부재를 고정하는 톱니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톱니부재는 외측면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 부분과, 외측면에 내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 부분을 포함하고,
    정면을 바라본 기준으로, 상기 돌출 부분의 길이는 상기 톱니부재의 폭 길이의 5% 내지 15%이내의 길이이고, 상기 함몰 부분의 길이는 상기 톱니부재의 폭 길이의 5% 내지 15%이내의 길이인, 페리오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 부분의 함몰된 깊이는 상기 돌출 부분의 길이의 50% 내지 100%이내의 길이인, 페리오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 부분의 함몰된 깊이는 상기 함몰 부분의 길이의 50% 내지 100%이내의 길이인, 페리오톰.
  4. 삭제
  5. 삭제
KR2020210000810U 2021-03-16 2021-03-16 페리오톰 KR2004966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810U KR200496679Y1 (ko) 2021-03-16 2021-03-16 페리오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810U KR200496679Y1 (ko) 2021-03-16 2021-03-16 페리오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267U KR20220002267U (ko) 2022-09-23
KR200496679Y1 true KR200496679Y1 (ko) 2023-04-05

Family

ID=83445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810U KR200496679Y1 (ko) 2021-03-16 2021-03-16 페리오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679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85192A1 (en) 2016-09-28 2018-03-29 Michael E. Lasner Flexibly resilient periotome
KR102042542B1 (ko) * 2018-09-21 2019-11-08 주식회사 구도 완충 장치를 갖는 페리오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60663B2 (en) * 2016-05-25 2020-05-26 Ethicon Llc Ultrasonic surgical instrument blade with heat reduction fea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85192A1 (en) 2016-09-28 2018-03-29 Michael E. Lasner Flexibly resilient periotome
KR102042542B1 (ko) * 2018-09-21 2019-11-08 주식회사 구도 완충 장치를 갖는 페리오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267U (ko) 2022-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370478B (en) Reciprocating saw blade, methods of making it and reciprocating saw including the same
US6120508A (en) Rasp determined for one-time use, particularly bone rasp as well as process for its production
AU2010200141B2 (en) Saw Blade
JPS5866621A (ja) のこ刃
ATE389488T1 (de) Reversibles sägeblatt mit einem mit abgeschrägtem abschnitt versehenen befestigungsschaft
ATE447369T1 (de) Sägenblatt
KR200496679Y1 (ko) 페리오톰
EP2233085A1 (en) Surgical instrument for cutting bone
JP2020133017A (ja) まつ毛エクステンションの装着方法
JP5941945B2 (ja) 往復刃
EP0823869B1 (fr) Microdenture pour lame d'outil tranchant, couteau notamment
JP2016055407A (ja) ジグソー等用ブレード
US1445972A (en) Detachable tooth for handsaws
US1579039A (en) Saw blade
US11490898B2 (en) Surgical saw blade
SU797675A1 (ru) Хирургический ультразвуковойиНСТРуМЕНТ
KR20220054515A (ko) 통이 달린 손톱깎이
US886296A (en) Crosscut-saw.
KR200324506Y1 (ko) 톱날
RU2004110798A (ru) Остеотом
JP2021112549A (ja) 爪きり
KR20190065081A (ko)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
JP3058093U (ja)
KR200143456Y1 (ko) 손톱깎이
JPH0785881B2 (ja) 縦引き用手引き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