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5081A -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5081A
KR20190065081A KR1020170164553A KR20170164553A KR20190065081A KR 20190065081 A KR20190065081 A KR 20190065081A KR 1020170164553 A KR1020170164553 A KR 1020170164553A KR 20170164553 A KR20170164553 A KR 20170164553A KR 20190065081 A KR20190065081 A KR 20190065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edge
cutting
saw blade
cutting edg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종
천기정
Original Assignee
사이언스메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이언스메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사이언스메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4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5081A/ko
Publication of KR20190065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0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4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 A61B17/142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with reciprocating saw blades, e.g. with cutting edges at the distal end of the saw bla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의 제조를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절단효율을 높일 수 있는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에 관한 발명으로서,
상단에 형성되는 컷팅 에지(20)와, 하단에 형성되는 체결부(30)와, 상기 컷팅 에지와 체결부 사이에 형성되는 몸체부(10)로 구성되는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1)에 있어서, 상기 컷팅 에지(20)는, 길이방향의 중심선(C1)을 기준으로 양측 대칭으로 형성되고, 중앙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1 컷팅 에지(21a, 21b)와, 상기 제1 컷팅 에지(21a, 21b)의 외측 방향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2 컷팅 에지(23a, 23b)와, 상기 제2 컷팅 에지(23a, 23b)의 외측 방향에 형성되어 컷팅 에지의 단부를 형성하는 제3 컷팅 에지(25a, 25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The surgical saw blade}
본 발명은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의 제조를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절단효율을 높일 수 있는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외과수술용 핸드피스에 사용되는 쏘우 블레이드는 뼈 등을 절단하여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컷팅 에지가 지그재그로 형성되도록 제조되어 왔다.
미국 특허 US7,744,616호는 외과용 시상 쏘우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반대되도록 형성된 기저단부와 말초단부 및 상기 양 단부 사이로 연장되는 종축을 가지도록 형성된 평면 블레이드 바디; 드라이버 헤드가 블레이드 바디를 진동시켜 말초단부가 기저단부에 상대적으로 축회전하도록 상기 드라이버 헤드와 블레이드 바디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블레이드 바디의 기저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기하학적 형상; 및 블레이드 바디의 말초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다수의 톱니로 구성되고, 여기에서 상기 블레이드 본체는, 블레이드 바디 말초단으로부터 말단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서로 이격된 뿔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뿔은 블레이드 바디 종축으로부터 대칭적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뿔들은 블레이드 바디의 말초단이 집합적으로 모여 형성된 말초단부를 이루고, 상기 뿔들은 각 뿔들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적어도 두 개의 톱니를 가지며, 상기 뿔들은 상기 뿔들의 말초단부 사이에 위치한 개방부와 빈공간부를 구성하도록 집학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는 블레이드 바디 종축에 수직인 폭을 가지며, 상기 빈공간부는 상기 뿔들의 말초단부와 상기 뿔들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톱니의 단부 사이 개방부에 근접하고, 상기 빈공간부는 블레이드 바디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뿔들의 말초단부 사이에 개방부와 연결되며, 상기 빈공간부는 블레이드 바디의 종축과 수직인 폭을 가지고, 상기 빈공간부의 폭은 상기 뿔들의 말초단부 사이의 개방부보다 더 큰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미국특허공개공보 US2006/272468호는 듀얼 컷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조정할 수 있는 진동 출력 도구에 연결되어 뼈를 관통하기 위한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쏘우 블레이드는, 기저단과 말초단 사이로 연장되는 반대면에 의해 정의되는 두께를 가지며, 측면 에지를 가지는 생크; 상기 기저단은 진동 출력 도구에 연결하고 진동축을 결정하는 허브를 가지며; 서로 이격되고, 상기 말초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생크의 두께보다 더 넓은 그루브를 컷팅하기 위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교대로 옵셋 절단된 다수의 톱니; 인접 톱니 사이에 배치되고, 아치형 폐쇄단과 상기 폐쇄단으로부터 연장된 직선 측벽으로 구성된 소제 개구부; 상기 각 톱니는 제 1 컷팅에지를 규정하기 위해 서로 교차하는 제 1 레이크면과 제 1 릴리프면 및 제 2 컷팅에지를 규정하기 위해 서로 교차하는 제 2 레이크면과 제 2 릴리프면으로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2 컷팅에지는 서로 반대로 배치되고; 여기서 상기 제 1 레이크면은 쏘우 블레이드가 한 방향으로 이동할 때 양의 레이크 각을 가지고, 상기 제2 레이크면은 쏘우 블레이드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 양의 레이크 각을 가지며; 상기 레이크면은 상기 직선측벽과 교차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쏘우 블레이드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기술들에 제시된 쏘우 블레이드는, 컷팅 에지를 지그재그로 형성하여 절단과정에서 발생되는 스크랩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마주보는 컷팅 에지가 서로 지그재그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조가 쉽지 않고, 제조된 경우라도 블레이드 사이에 스크랩이 끼어서 스크랩의 배출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한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를 제공함으로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쏘우 블레이드의 컷팅 에지의 형상을 단순화하여 경제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한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단에 형성되는 컷팅 에지(20)와, 하단에 형성되는 체결부(30)와, 상기 컷팅 에지와 체결부 사이에 형성되는 몸체부(10)로 구성되는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1)에 있어서, 상기 컷팅 에지(20)는, 길이방향의 중심선(C1)을 기준으로 양측 대칭으로 형성되고, 중앙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1 컷팅 에지(21a, 21b)와, 상기 제1 컷팅 에지(21a, 21b)의 외측 방향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2 컷팅 에지(23a, 23b)와, 상기 제2 컷팅 에지(23a, 23b)의 외측 방향에 형성되어 컷팅 에지의 단부를 형성하는 제3 컷팅 에지(25a, 25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1 컷팅 에지(21a, 21b), 제2 컷팅 에지(23a, 23b) 및 제3 컷팅 에지(25a, 25b)는 전후면 교대로 단턱(27a, 27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단턱(27a, 27b)은, 일측 컷팅 에지의 하단과 타측 컷팅 에지의 하단에서 호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호형으로 연장 형성된 단턱의 하부에는 홀(29)이 형성되어, 상기 홀(29)을 통해 스크랩이 빠져나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호형으로 연장 형성된 단턱이 교대로 형성되고, 교대로 형성된 상기 호형으로 연장된 단턱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확장단턱(28a, 28b)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1 컷팅 에지(21)와 중앙선(C1)이 이루는 각(θ1), 상기 제1 컷팅 에지(21)와 상기 제2 컷팅 에지(23) 및 제2 컷팅 에지(23) 사이의 각(θ2) 및 상게 제2 컷팅 에지(23)와 상기 제3 컷팅 에지(25) 사이의 각(θ3)는, θ12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컷팅 에지의 선단을 서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곡률반경 R1과, 상기 컷팅 에지와 컷팅 에지 사이의 골을 서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곡률반경 R2는, R1 > R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쏘우 블레이드의 컷팅 에지가 서로 반대방향의 경사면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쏘우 블레이드의 컷팅 에지의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적은 비용을 쏘우 블레이드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의 곡률반경을 표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에 홀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에 확장단턱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의 컷팅 에지 사이의 각도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의 컷팅 에지 자체의 각도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인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의 곡률반경을 표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에 홀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에 확장단턱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의 컷팅 에지 사이의 각도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의 컷팅 에지 자체의 각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1)는 상단에 형성되는 컷팅 에지(20)와, 하단에 형성되는 체결부(30)와, 상기 컷팅 에지와 체결부 사이에 형성되는 몸체부(10)로 구성된다. 몸체부(10)는 중앙에 쏘우 블레이드(1)의 무게를 줄이기 위한 홀(11a, 11b)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의 곡률반경을 표시한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컷팅 에지(20)는 중심선(C1)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대칭으로 형성된다. 컷팅 에지(20)는, 중앙에 형성되는 제1 컷팅 에지(21a, 21b)와, 상기 제1 컷팅 에지(21a, 21b)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컷팅 에지(23a, 23b)와, 상기 제2 컷팅 에지(23a, 23b)의 타측에 형성되어 컷팅 에지(20)의 최외곽을 형성하는 제3 컷팅 에지(25a, 25b)로 구성된다. 또한, 컷팅 에지(20)들 사이를 하나씩 건너뛰어 단턱(27a, 27b)이 형성되는데, 단턱(27a, 27b)은 블레이드의 전후면에 번갈아 가면서 형성되어, 블레이드 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스크랩이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컷팅 에지(20)에 전후면으로 지그재그로 단턱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블레이드의 작동에 따라 단턱은 미세한 틈을 형성하게 되고, 그에 따라 스크랩이 상기 틈을 통하여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컷팅 에지(20)의 선단을 연결하면 일정한 곡률반경 R1이 형성되고, 컷팅 에지(20)의 골을 서로 연결하면 일정한 곡률반경 R2가 형성되며, R1 > R2를 이루게 된다. 또한, 단턱(27a, 27b)은 전후면에 교대로 형성되는데, 컷팅 에지(20)에만 단턱이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단턱이 형성된 컷팅 에지(20)의 하부에서 호형으로 더 연장된다. 호형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단턱(27a, 27b)을 통해 뼈 부스러기인 스크랩이 더 쉽게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도 3은 단턱(27a, 27b)의 하부에 홀(29)을 형성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29)은 전후로 스크랩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어느 일측의 단턱을 통해서 나오게 되는 스크랩은 상기 홀(29)을 통해 전면 또는 배면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홀(29)은 절단되는 뼈의 좌우 두께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교대로 형성된 단턱(27a, 27b)을 서로 연결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호형의 단턱(27a, 27b)을 서로 연결한 확장단턱(28a, 28b)을 표현하고 있는데, 확장단턱(28a, 28b)이 형성되는 경우, 블레이드가 핸드피스의 작동에 의해 더 깊이 뼈 속으로 삽입될 수 있으면서 스크랩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단턱으로 배출된 스크랩은 다시 확장단턱(28a, 28b)을 통해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뼈가 두꺼운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의 컷팅 에지 사이의 각도를 도시한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컷팅 에지(21)와 중앙선(C1)이 이루는 각(θ1), 상기 제1 컷팅 에지(21)와 상기 제2 컷팅 에지(23) 및 제2 컷팅 에지(23) 사이의 각(θ2) 및 상기 제2 컷팅 에지(23)와 상기 제3 컷팅 에지(25) 사이의 각(θ3)을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각들은 θ123의 관계로 이루어진다. 중심선(C1)을 기준으로 하여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핸드피스가 작동하는 경우 절단되는 양이 증가하게 된다. 즉, 컷팅 에지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면 컷팅 에지 사이에 존재하는 스크랩이 많을 수 있기 때문에 절단되는 양이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중심부위는 절단에 따른 정밀도를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각도를 줄여 정확한 절단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절단되는 양이 적기 때문에 핸드피스를 이용하여 정확한 절단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그에 따라 제2 컷팅 에지(23a, 23b)의 골(24a, 24b)의 곡률반경(R3)과 제3 컷팅 에지(25a, 25b)의 골(26a, 26b)의 곡률반경(R4)은 R3 < R4가 된다.
도 6은 제1 컷팅 에지(21a, 21b)와 제2 컷팅 에지(23a, 23b)가 제2 중심선(C2)을 기준으로 θ4, θ5의 각을 이루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각도는 θ4> θ5의 관계를 이루며, 이에 따라 중심쪽보다는 외측으로 더 경사져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쏘우 블레이드가 좌우로 움직일 때 컷팅 에지(20)가 중심선(C1)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되어 절단되는 정도가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컷팅 정도를 조절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 :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
10 : 몸체부 11 : 홀
20 : 컷팅 에지 21(21a, 21b) : 제1 컷팅 에지
23(23a, 23b) : 제2 컷팅 에지 24(24a, 24b) : 골
25(25a, 25b) : 제3 컷팅 에지 26(26a, 26b) : 골
27(27a, 27b) : 단턱 28(28a, 28b) : 확장단턱
29 : 홀

Claims (7)

  1. 상단에 형성되는 컷팅 에지(20)와, 하단에 형성되는 체결부(30)와, 상기 컷팅 에지와 체결부 사이에 형성되는 몸체부(10)로 구성되는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1)에 있어서,
    상기 컷팅 에지(20)는,
    길이방향의 중심선(C1)을 기준으로 양측 대칭으로 형성되고,
    중앙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1 컷팅 에지(21a, 21b)와,
    상기 제1 컷팅 에지(21a, 21b)의 외측 방향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2 컷팅 에지(23a, 23b)와,
    상기 제2 컷팅 에지(23a, 23b)의 외측 방향에 형성되어 컷팅 에지의 단부를 형성하는 제3 컷팅 에지(25a, 25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컷팅 에지(21a, 21b), 제2 컷팅 에지(23a, 23b) 및 제3 컷팅 에지(25a, 25b)는 전후면 교대로 단턱(27a, 27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27a, 27b)은, 일측 컷팅 에지의 하단과 타측 컷팅 에지의 하단에서 호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호형으로 연장 형성된 단턱의 하부에는 홀(29)이 형성되어, 상기 홀(29)을 통해 스크랩이 빠져나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호형으로 연장 형성된 단턱이 교대로 형성되고, 교대로 형성된 상기 호형으로 연장된 단턱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확장단턱(28a, 28b)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컷팅 에지(21)와 중앙선(C1)이 이루는 각(θ1), 상기 제1 컷팅 에지(21)와 상기 제2 컷팅 에지(23) 및 제2 컷팅 에지(23) 사이의 각(θ2) 및 상게 제2 컷팅 에지(23)와 상기 제3 컷팅 에지(25) 사이의 각(θ3)는, θ1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 에지의 선단을 서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곡률반경 R1과, 상기 컷팅 에지와 컷팅 에지 사이의 골을 서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곡률반경 R2는, R1 > R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
KR1020170164553A 2017-12-01 2017-12-01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 KR201900650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553A KR20190065081A (ko) 2017-12-01 2017-12-01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553A KR20190065081A (ko) 2017-12-01 2017-12-01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081A true KR20190065081A (ko) 2019-06-11

Family

ID=66847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553A KR20190065081A (ko) 2017-12-01 2017-12-01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50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25916B (zh) 具有倾斜齿和碎屑捕集器的手术矢状锯片以及具有倾斜齿的往复式锯片
JP4226429B2 (ja) 医療用ナイフ
US6896679B2 (en) Surgical saw blade comprising recesses in the working area
JP6147457B1 (ja) 関節鏡視下手術用の超音波プローブ及び振動体ユニット
TW370478B (en) Reciprocating saw blade, methods of making it and reciprocating saw including the same
JPS6099243A (ja) 外科用やすり
JPS5866621A (ja) のこ刃
WO2014015163A1 (en) Toothform for a cutting tool, such as a hole saw
DE69916258D1 (de) Schneidwerkzeug zum herstellen verzahnter werkstücke
US5481952A (en) Slasher saw blade assembly
CN102729223B (zh) 用于手持电动工具设备的工具
JP2020534978A (ja) 切断ユニット
WO2008061711A2 (en) Surgical bur with anti-chatter flute geometry including a pair of symmetric flutes that emerge from the distal end tip of the bur head
US20110230887A1 (en) Double row keel cut saw blade
US10376277B2 (en) Serrated forceps
KR20190065081A (ko) 외과용 쏘우 블레이드
JP3857596B2 (ja) 刃物
KR101007192B1 (ko)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다목적 범용 팁
JP2011020252A (ja) チップソー
US20110041347A1 (en) Pet hair trimming cutter
US11490898B2 (en) Surgical saw blade
CN219962984U (zh) 摆锯锯片的刀头结构及锯片
JPS592779Y2 (ja) 冷凍食品用の切断刃具
JP4483190B2 (ja) ロータリーダイ
JPS6080518A (ja) 丸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