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542B1 - 완충 장치를 갖는 페리오톰 - Google Patents

완충 장치를 갖는 페리오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542B1
KR102042542B1 KR1020180113696A KR20180113696A KR102042542B1 KR 102042542 B1 KR102042542 B1 KR 102042542B1 KR 1020180113696 A KR1020180113696 A KR 1020180113696A KR 20180113696 A KR20180113696 A KR 20180113696A KR 102042542 B1 KR102042542 B1 KR 102042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tooth
support
blade
cutt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진
남승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구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구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구도
Priority to KR1020180113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5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14Dentists' forceps or the like for extrac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발치 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수술적 발치를 위한 것으로, 수술이 시야 확보가 어렵고, 발치 기구의 접근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치아로부터 치주인대를 손쉽게 분리하여 치아를 발치할 수 있는, 완충 장치를 갖는 페리오톰에 관한 것으로, 치아를 치주인대로부터 분리하여 발치하기 위한, 작동부(10), 커버부(20), 헤드부(30)로 이루어진 완충 장치를 갖는 페리오톰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10)는, 핸들부(11) 및 작동봉(1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부(20)는, 상기 작동봉(12)과 커팅부(30)의 일부를 수용하는 중공 몸체(21), 작동부 고정캡(22) 및 헤드부 고정링(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헤드부(30)는, 단부에 치주인대를 커팅하는 절단날(310)이 형성된 커팅부(31)와, 상기 커팅부(31)의 상, 하 이동을 지지하는 지지부(32)와, 상기 지지부(32) 속으로 삽입된 커팅부(31)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완충 스프링(33)과, 상기 완충 스프링(33) 및 커팅부(31)가 삽입된 지지부(32)를 상기 커버부(20)에 고정하는 헤드부 커버(34)로 이루어지는 완충장치를 갖는 페리오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완충 장치를 갖는 페리오톰{A BUFFERED PERIOTOME}
본 발명은 치아 발치 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수술적 발치를 위한 것으로, 수술이 시야 확보가 어렵고, 발치 기구의 접근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치아로부터 치주인대를 손쉽게 분리하여 치아를 발치할 수 있는, 완충 장치를 갖는 페리오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치아 발치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페리오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치는 수술적 발치와 비수술적 발치로 나눌 수 있다. 비수술적 발치는 보통 유치의 발치에 사용되며, 임플란트 시술 등을 위한 발치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수술적 발치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수술적 발치를 위한 기구에 대한 선행기술로, 특허공보 제0444349호에는 평판형의 홀더 조립부(12)를 포함하고, 그 끝단부(13)에서는 폭 전체를 오목한 반원통형으로 하고, 그 오목한 반원통형 부분의 끝단을 호형으로 형성한 후, 그 호형의 둘레에 걸쳐 모두 날을 가공하여 반원통형의 오목함에 의해 치아의 주변을 절개하기가 용이하도록 블레이드를 가진 메스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공보 제1741071호에는, 치근(100)과 치조골(30) 사이에 진입하며 흡착공(61d)이 형성된 끝단부(61e)를 일단에 가지는 중공관(61)과 손잡이(62), 흡입 수단, 노즐몸체(63) 등으로 이루어진 치근용 탈구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2008-0075977호에는 발치하고자 하는 치아의 외부에 설치되는 메인자석과; 일측부가 치아에 삽입되며 타측부가 외부로 노출됨과 동시에 상기 메인자석에서 발생하는 자력에 의하여 상기 메인자석쪽으로 이동하는 힘을 받도록 한 삽입부재를 구비한 치아 발치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2014-0105744호에는, 기저(1), 본체(2), 샤프트(3), 다수의 틈(4), 에지(5) 및 오목한 채널(6)을 갖는 수술 팁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미국특허공보 제6309219호에는 5면의 절단면을 갖는 공구(14)와 3면의 절단면을 갖는 공구(16)로 이루어진 페리오톰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임상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시야 확보다 불리하고, 발치 기구의 접근 방향이 불리하여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페리오톰은 절단날 가장자리에 톱날을 형성하여 치주인대를 절단하는 기능을 강화시켰으나, 이 경우 치주인대를 절단하기 위하여 치아와 잇몸 사이로 페리오톰을 삽입하는데 더 많은 힘이 들어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술자(의사)가 무리하게 힘을 주게 되면, 골판을 뚫는 경우가 발생하거나, 치근과 함께 상악동을 천공하게 되는 등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 특허공보 제0444349호(2004.08.16. 공고) : 특허공보 제1741071호(2017.05.29. 공고) : 공개특허공보 제2008-0075977호(2008.08.20. 공개) : 공개특허공보 제2014-0105744호(2014.09.02. 공개) : 미국특허공보 제6309219호(2001.10.30.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시야 확보가 어렵고 발치 기구의 접근이 어려운 경우에도, 손쉽게 치주인대를 분리하여 발치를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완충 장치를 가짐으로 치주인대에 가하는 힘을 줄이면서, 반복 터치하는 것에 의하여 치아로부터 치주인대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커팅부의 절단날에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절단 보조날을 형성하여, 페리오톰의 절단날이 치아와 잇몸 사이로 삽입된 후에, 절단날이 잇몸측으로 더 벌어지게 하므로, 치주인대의 절단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1] 치아를 치주인대로부터 분리하여 발치하기 위한, 작동부(10), 커버부(20), 헤드부(30)로 이루어진 완충 장치를 갖는 페리오톰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10)는, 핸들부(11) 및 작동봉(1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부(20)는, 상기 작동봉(12)과 커팅부(30)의 일부를 수용하는 중공 몸체(21), 작동부 고정캡(22) 및 헤드부 고정링(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헤드부(30)는, 단부에 치주인대를 커팅하는 절단날(310)이 형성된 커팅부(31)와, 상기 커팅부(31)의 상, 하 이동을 지지하는 지지부(32)와, 상기 지지부(32) 속으로 삽입된 커팅부(31)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완충 스프링(33)과, 상기 완충 스프링(33) 및 커팅부(31)가 삽입된 지지부(32)를 상기 커버부(20)에 고정하는 헤드부 커버(34)로 이루어지는 완충장치를 갖는 페리오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31)의 절단날(310) 반대측 단부에는 걸림 돌기부(31a)를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32)의 선단에는 받침 홈부(32a)를 반경 방향 내측으로 파여지도록 형성하여, 커팅부(31)가 지지부(32)로부터 이탈되지 못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를 갖는 페리오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31)의 절단날(310) 내측으로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절단 보조날(311)을 절단날(311)에 대해서 예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를 갖는 페리오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4] 상기 [3]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310)은, 잇몸의 형상에 맞추어 안쪽으로 둥근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를 갖는 페리오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완충 장치를 가짐으로 해서 치주인대에 가하는 힘이 지나치게 커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반복 터치하는 것에 의하여 치아로부터 치주인대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발치 기구의 접근이 어려운 경우에도, 치주인대를 일정 길이만큼씩 절단할 수 있는 것으로, 치아로부터 치주인대를 쉽게 분리해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절단 보조날을 형성하여, 페리오톰의 절단날이 치아와 잇몸 사이로 삽입된 후에, 절단날이 잇몸측으로 더 벌어지게 하므로, 치주인대의 절단이 보다 쉽게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의 페리오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 사시도
도 4a 내지 4e는 본 발명의 페리오톰이 치주인대를 절단하는 개념도
아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 장치를 가진 페리오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완충 장치를 갖는 페리오톰은, 치아(1)를 치주인대(2)로부터 분리하여 발치하기 위한 것으로, 페리오톰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부(10)와, 작동부(10)의 조작에 의하여 치아(1) 주변의 치주인대(2)를 제거하는 헤드부(30)와, 상기 작동부(10) 및 헤드부(30)를 수용하는 커버부(2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작동부(10)는, 발치를 위하여 시술자(의사)가 손으로 잡고 조작하는 구성이다. 상기 작동부(10)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헤드부(30)의 절단날(310)를 상, 하로 조작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작동부(10)는, 핸들부(11) 및 작동봉(12)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 도면에서는 상기 핸들부(10) 및 작동봉(12)을 별개의 구성을 한 후 결합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핸들부(11) 및 작동부(12)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커버부(20)는, 상기 작동봉(12)과 커팅부(30)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커버부(20)는, 중공 몸체(21), 작동부 고정캡(22) 및 헤드부 고정링(23)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도면에서는 상기 중공 몸체(21), 작동부 고정캡(22) 및 헤드부 고정링(23)을 별개의 구성을 한 후 결합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중공 몸체(21), 작동부 고정캡(22) 및 헤드부 고정링(23)은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헤드부(30)는, 단부에 치주인대(3)를 커팅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절단날(310)이 형성된 커팅부(31)와, 상기 커팅부(31)의 상, 하 이동을 지지하는 지지부(32)와, 상기 지지부(32) 속으로 삽입된 커팅부(31)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완충 스프링(33)과, 상기 완충 스프링(33) 및 커팅부(31)가 삽입된 지지부(32)가 상기 커버부(20)의 헤드부 고정링(23)에 고정 지지되도록 하는 헤드부 커버(34)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커팅부의 절단날(310)에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절단 보조날(311)을 더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절단 보조날(311)에 의하여 페리오톰의 절단날(310)이 치아(1)와 잇몸(2) 사이로 삽입된 후에, 절단날(310)이 잇몸(2) 측으로 더 벌어지게 하므로, 치주인대(2)의 절단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절단 보조날(311)은 도 3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다수개의 선(線)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단날(310)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절단날(310)에 대해서 일정한 각도를 갖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면 된다. 또한 상기 절단 보조날(311)은 절단날(310)에 대해서 예각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하여 절단날(310)을 치아(1)와 잇몸(2) 사이로 삽입시키는 경우에 저항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는, 도 4a 내지 도4e를 살펴보면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완충 장치를 갖는 페리오톰으로 치아 주위에 있는 치주인대(3)를 제거하기 위해서 도 4a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절단날(310)을 치아(1)와 잇몸(2) 사이에 접촉시킨다. 이때는 상기 절단날(310)이 형성된 커팅부(31) 후측에 완충 스프링(33)이 이완된 상태로 절단날(310)을 지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4b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절단날(310)이 치아(1)와 잇몸(2) 사이에 접촉된 상태에서 조작자가 작동부(10)의 핸들부(11)를 누르게 되면, 상기 작동봉(12)이 전방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완충 스프링(33)이 압축된다.
상기와 같이 완충 스프링(33)이 압축된 상태에서 조작자가 작동부(10)의 핸들부(11)를 더 누르게 되면, 상기 완충 스프링(33)이 압축된 상태에서 작동봉(12)이 전방으로 진행하면서, 도 4c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커팅부(31)의 절단날(310)이 치아(10)와 잇몸(20 사이로 삽입되면서, 잇몸(2) 상측 부위의 치주인대(3)를 절단하게 된다.
상기 도 4a 내지 도 4c의 동작이 이루어질 때에는, 조작자가 절단날(310)을 치아(1) 측으로 접촉하면서 삽입하므로, 절단날(310)에 형성된 절단보조날(311)도 절단날과 함께 치아(1)측으로 접촉하면서 삽입된다.
다음으로, 조작자가 작동부(10)의 핸들부(11)에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로 평형 상태로 하면, 도 4d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커팅부(31)의 절단날(310)이 치아(1)와 잇몸(2) 사이에 중간 부분만큼 삽입된 상태로 상기 완충 스프링(33)이 이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도 4d의 동작이 이루어질 때에는 조작자가 절단날(310)을 치아(1)측으로부터 잇몸측으로 벌려줄 수 있으며, 이때 절단 보조날(311)이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므로, 절단날에 형성된 절단보조날(311)에 의하여 절단날(310)은 더욱 치아(1)측으로부터 잇몸(2)측으로 벌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치주인대의 절단이 더욱 많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조작자가 작동부(10)의 핸들부(11)에 다시 힘을 가하게 되면, 커팅부(31)의 절단날(310)이 치아(1)와 잇몸(2) 사이에 중간 부분만큼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완충 스프링(33)이 압축되고, 이 상태에서 다시 조작자가 작동부(10)의 핸들부(11)에 더욱 힘을 가하게 되면, 도 4e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압축 스프링(33)이 압축된 상태로 커팅부(31)의 절단날(310)이 치아(1)와 잇몸(2) 사이의 치근 부분까지 삽입되며, 치주인대(3)를 절단하게 된다.
상기 도 4e의 동작은 상기 도 4a 내지 도 4c의 동작이 이루어질 때와 마찬가지로, 절단날(310) 및 절단보조날(312)이 작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조작자가 작동부(10)의 핸들부(11)에 힘을 가하지 않고 평형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도 4f와 같이 완충 스프링(33)은 이완된 상태로 절단날(31)이 치주인재(3)를 절단한 상태로 치아(1)와 잇몸(2) 사이에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도 4f의 동작은, 상기 도 4d의 동작이 이루어질 때와 마찬가지로, 절단날(310) 및 절단보조날(312)이 작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치아(1)와 잇몸(2) 사이의 치주인대(3)를 절단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완충장치를 갖는 페리오톰을 빼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는 겸자 등을 이용하여 치아(1)를 발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2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지지부(32) 속에서 이동될 수 있게 장착된 커팅부(31)의 뒤쪽 끝에 걸림 돌기부(31a)를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지지부(32)의 선단에는 받침 홈부(32a)를 반경 방향 내측으로 파여지도록 형성하므로, 커팅부(31)가 지지부(32)에서 빠져 나와 이탈하지 못하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들에 의하여, 완충스프링(33)이 이완, 압축되면서, 일정 거리만큼 커팅부(31)의 절단날(310)을 이송시키는 것에 의하여, 조작자가 비교적 적은 힘을 가지면서, 치주인대(3)를 절단해 나아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하여 이루어졌지만, 상기 실시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 상기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청구범위 및 균등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치아
2 : 잇몸
3 : 치주인대
10 : 작동부
11 : 핸들부
12 : 작동봉
20 : 커버부
21: 중공 몸체
22 : 작동부 고정캡
23 : 헤드부 고정링
30 : 헤드부
31 : 커팅부
310 : 절단날
311 : 절단 보조날
31a : 걸림 돌기부
32 : 지지부
32a : 받침 홈부
33 : 완충 스프링
34 : 헤드부 커버

Claims (4)

  1. 치아를 치주인대로부터 분리하여 발치하기 위한, 작동부(10), 커버부(20), 헤드부(30)로 이루어진 완충 장치를 갖는 페리오톰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10)는, 핸들부(11) 및 작동봉(1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부(20)는, 상기 작동봉(12)과 커팅부(30)의 일부를 수용하는 중공 몸체(21), 작동부 고정캡(22) 및 헤드부 고정링(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헤드부(30)는, 단부에 치주인대를 커팅하는 절단날(310)이 형성된 커팅부(31)와,
    상기 커팅부(31)의 상, 하 이동을 지지하는 지지부(32)와,
    상기 지지부(32) 속으로 삽입된 커팅부(31)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완충 스프링(33)과,
    상기 완충 스프링(33) 및 커팅부(31)가 삽입된 지지부(32)를 상기 커버부(20)에 고정하는 헤드부 커버(34)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팅부(31)의 절단날(310) 반대측 단부에는 걸림 돌기부(31a)를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32)의 선단에는 받침 홈부(32a)를 반경 방향 내측으로 파여지도록 형성하여, 커팅부(31)가 지지부(32)로부터 이탈되지 못하게 하며,
    상기 커팅부(31)의 절단날(310) 내측으로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절단 보조날(311)을 절단날(311)에 대해서 예각으로 형성하며,
    상기 절단날(310)은, 잇몸의 형상에 맞추어 안쪽으로 둥근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를 갖는 페리오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113696A 2018-09-21 2018-09-21 완충 장치를 갖는 페리오톰 KR102042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696A KR102042542B1 (ko) 2018-09-21 2018-09-21 완충 장치를 갖는 페리오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696A KR102042542B1 (ko) 2018-09-21 2018-09-21 완충 장치를 갖는 페리오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542B1 true KR102042542B1 (ko) 2019-11-08

Family

ID=68542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696A KR102042542B1 (ko) 2018-09-21 2018-09-21 완충 장치를 갖는 페리오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5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267U (ko) * 2021-03-16 2022-09-23 주식회사 한스코리아 페리오톰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9384A (en) * 1975-07-07 1978-08-29 Dorian Hubert J Dental tools
CN2266999Y (zh) * 1996-06-14 1997-11-12 李仲影 牙齿劈冠器
US6309219B1 (en) 2000-02-17 2001-10-30 Karl Schumacher Dental Instrument Company, Inc. Periotome
KR100444349B1 (ko) 2001-12-06 2004-08-16 장상건 치과용 메스
JP2008075977A (ja) 2006-09-21 2008-04-03 Shinko Kogyo Co Ltd 業務用空調制御システム
JP2014105744A (ja) 2012-11-26 2014-06-09 O-Oka Corp 歯車
CN204337062U (zh) * 2014-11-27 2015-05-20 李文超 多功能组合微创拔牙刀
CN205322439U (zh) * 2015-12-31 2016-06-22 深圳市鑫迪科技有限公司 一种可快速更换刀头的手术刀
KR101741071B1 (ko) 2015-05-22 2017-05-29 김종호 치근용 탈구기구
US20180235727A1 (en) * 2017-02-17 2018-08-23 American Eagle Instruments, Llc Dental instrument with removable dental tip and method of assembly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9384A (en) * 1975-07-07 1978-08-29 Dorian Hubert J Dental tools
CN2266999Y (zh) * 1996-06-14 1997-11-12 李仲影 牙齿劈冠器
US6309219B1 (en) 2000-02-17 2001-10-30 Karl Schumacher Dental Instrument Company, Inc. Periotome
KR100444349B1 (ko) 2001-12-06 2004-08-16 장상건 치과용 메스
JP2008075977A (ja) 2006-09-21 2008-04-03 Shinko Kogyo Co Ltd 業務用空調制御システム
JP2014105744A (ja) 2012-11-26 2014-06-09 O-Oka Corp 歯車
CN204337062U (zh) * 2014-11-27 2015-05-20 李文超 多功能组合微创拔牙刀
KR101741071B1 (ko) 2015-05-22 2017-05-29 김종호 치근용 탈구기구
CN205322439U (zh) * 2015-12-31 2016-06-22 深圳市鑫迪科技有限公司 一种可快速更换刀头的手术刀
US20180235727A1 (en) * 2017-02-17 2018-08-23 American Eagle Instruments, Llc Dental instrument with removable dental tip and method of assemb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267U (ko) * 2021-03-16 2022-09-23 주식회사 한스코리아 페리오톰
KR200496679Y1 (ko) * 2021-03-16 2023-04-05 주식회사 한스코리아 페리오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48462T3 (es) Elemento de evisceración, dispositivo y método para procesar un grupo de vísceras de un animal sacrificado
KR100587201B1 (ko) 디바이스 제거 키트 및 그 방법
JP6635392B2 (ja) リーマの電動式往復動発生具およびリーマ付きの電動式往復動発生具
ES2278724T3 (es) Dispositivo con una fresa para hueso.
KR102042542B1 (ko) 완충 장치를 갖는 페리오톰
JP6912029B2 (ja) 下顎骨切除テンプレート
JP7369366B2 (ja) キャップおよびこのキャップを備えた根管治療用の往復動発生具
KR20070029610A (ko) 잇몸 펀칭장치
JP4294904B2 (ja) 取り外し器具
CN210204855U (zh) 椎板撑开钳
AU2004296613A1 (en) Surgical mallet
US6312255B1 (en) Endodontic adapter for a sonic scaler
KR101627516B1 (ko) 치과용 톱 안전장치
ITRE20010028A1 (it) Dispositivo perfezionato per prelevare scaglie o trucioli mediante raschiature da un osso donatore
KR102030922B1 (ko) 치과용 리트랙터
JP5858116B1 (ja) 抜歯鉗子
KR100721603B1 (ko) 임플란트용 분리장치
CN109893261B (zh) 一种口腔修复科金属桩钉拆除装置
JP2010220635A (ja) 歯科用ハンドピースのチャック装置
KR100923275B1 (ko) 치과용 뼈 절단공구
US3276120A (en) Surgical knives
JP3643675B2 (ja) 抜歯具
KR102431903B1 (ko) 수술 기구
US2497229A (en) Dental forcep
KR20100052954A (ko) 픽스쳐 식립시술용 드라이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