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516B1 - 치과용 톱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톱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516B1
KR101627516B1 KR1020150033602A KR20150033602A KR101627516B1 KR 101627516 B1 KR101627516 B1 KR 101627516B1 KR 1020150033602 A KR1020150033602 A KR 1020150033602A KR 20150033602 A KR20150033602 A KR 20150033602A KR 101627516 B1 KR101627516 B1 KR 101627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
main body
driving means
dental
cov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종훈
이영석
엄태관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주)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주)
Priority to KR1020150033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5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12Tooth sa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4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 A61B17/147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with circularly moving saw blades, i.e. non-reciprocating saw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B2090/033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과 시술시 골의 절개를 위해 사용되는 톱과 함께 구동수단에 장착되는 치과용 톱 안전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치과용 톱 안전장치는, 구동수단(2, 4)에 끼워지는 본체(11, 21)와;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톱(8)의 주위를 감싸는 안전부재(14, 24)와; 시술자가 상기 톱을 육안관찰할 수 있도록 상기 안전부재에 형성되는 윈도우(16a, 26a);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과용 톱 안전장치 {DENTAL SAW PROTECTOR}
본 발명은 치과용 톱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 시술시 골의 절개를 위해 사용되는 원형 톱이 주위의 치아나 구강 내부에 상처를 입히지 않도록 하기 위한 치과용 톱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치아의 결손이 있는 부위에 대하여, 생체 적합 소재인 타이타늄 재질의 인공치아를 식립하여 자연치의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치과 치료가 주로 이루어진다. 이때 사용되는 인공치아를 치아 임플란트 또는 단순히 임플란트라고 부른다.
임플란트를 성공적으로 식립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구강 내에 충분한 골량과 치조골이 필수적이다. 임플란트가 식립되어 안정적으로 자리잡기 위해 일정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환자의 구강상태는 항상 이상적이지 않으며 임플란트 식립에 있어 많은 악조건의 상황을 마주하게 된다. 특히 장기간 지속된 무치악 부위는 치아의 상실과 함께 골흡수가 진행되어 잔존골의 순설측 혹은 협설측의 수평적 골량이 초기 치조골보다 부족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보다 안정적으로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위해서는 골 결손부에 자가골, 동종골, 합성골 등을 이용한 골이식을 하거나 구강 또는 신체 내 일부인 덩어리 뼈(block bone)를 채취해서 골 결손부에 덧대거나 치조능분할술을 시행하여야 한다.
상기 시술방법 중 치조능 분할술은 골의 높이와 기저골의 치조골량(폭경)은 적절하지만 치조능 상방부의 폭이 좁은 치조골 폭을 골의 신축성(탄성)을 이용하여 넓히는 술식이다.
종래의 치조능 분할술은 치즐 등의 치과용 기구를 사용하여 좁은 치조정을 말렛(망치질)으로 두드려 수직적으로 절개한 후, 협설측으로 증대시키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었다. 그런데, 이 방법은 치즐을 통한 말렛팅시의 충격이 환자에게 전달이 되어 환자의 불편감이 크고 시술자가 과도하게 큰 힘을 가할 때는 협측골의 파절 위험성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파절로 인해 임플란트의 초기 고정력을 얻지 못하거나 임플란트가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식립되는 문제가 있었다.
근래에는 좁은 치조능(narrow ridge)에 치과용 엔진으로 원형 톱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뼈를 절개시킨 후 치조골을 확장하는 시술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원형 톱을 사용하는 시술방법은 빠르게 뼈를 삭제할 수 있고, 환자에 충격을 가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고속으로 회전하는 원형 톱이 뼈를 삭제하는 과정에서 튀어올라 인접치나 혀, 잇몸 등과 같은 구강 내부에 상처를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인접치가 있는 경우에는 원형 톱을 인접치에 바짝 붙여 치조골 절개를 해야만 치조골이 원활하게 확장될 수 있지만, 시술의 위험성으로 원형 톱을 인접치에 쉽게 접근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위험의 발생을 방지하여 안전한 시술이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시술자의 시야확보가 가능하여 좁은 치조골능을 절개하는 과정에서 협, 설측으로 편심되지 않고 원하는 방향으로 절개할 수 있는 육안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원형 톱 주위에 톱의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시야확보용 윈도우를 갖춘 안전부재를 포함하는 치과용 톱 안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시술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여러 직경의 원형 톱을 교체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 원형톱과 안전장치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시술 시간 단축과 시술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치과용 톱 안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치과 시술시 골의 절개를 위해 사용되는 톱과 함께 구동수단에 장착되는 치과용 톱 안전장치로서, 상기 구동수단에 끼워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톱의 주위를 감싸는 안전부재와; 시술자가 상기 톱을 육안관찰할 수 있도록 상기 안전부재에 형성되는 윈도우; 를 포함하는, 치과용 톱 안전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안전부재는, 상기 톱의 외주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상기 커버부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전부재는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장착부와, 상기 커버부를 상기 장착부에 연결하여 지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중심부분에는 일부가 뚫려있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의 중심부분은 정면에서 볼 때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톱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힘이 가해질 때 상기 연결부가 상기 톱의 자루부에 간섭되어 벗겨짐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의 중심부분에 형성된 개방부의 간격은 상기 톱의 자루부의 직경 미만의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안전부재는, 상기 톱의 회전방향이나 회전반대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로 상기 본체에 끼워질 수 있거나, 상기 본체에 끼워진 후 상기 톱의 회전방향이나 회전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톱 안전장치는, 상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톱 쪽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주수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부재는, 상기 톱의 외주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를 상기 주수관에 연결하여 지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은, 손잡이의 방향과 회전축선의 방향이 일직선 상에 있는 스트레이트 타입 구동수단과, 손잡이의 방향과 회전축선의 방향이 일직선이 아닌 앵글드(angled) 타입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스트레이트 타입 구동수단 또는 상기 앵글드 타입 구동수단의 머리부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원호형상 또는 다각형상 또는 원과 다각형이 조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치과 시술시 골의 절개를 위해 사용되는 톱과 함께 앵글드 타입 구동수단에 장착되는 치과용 톱 안전장치로서, 상기 톱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에 끼워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 말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톱의 주위를 감싸는 안전부재와; 상기 구동수단에 대한 상기 본체의 장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본체가 상기 구동수단에 장착된 후 상기 본체의 타측 말단에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톱 쪽으로 물을 공급하는 주수관; 을 포함하며, 상기 안전부재는, 상기 본체에 장착될 수 있는 장착부와, 상기 톱의 외주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원호 형상을 이루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를 상기 장착부에 연결하여 지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에는 윈도우가 형성되는, 치과용 톱 안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치과 시술시 골의 절개를 위해 사용되는 톱과 함께 스트레이트 타입 구동수단에 장착되는 치과용 톱 안전장치로서, 상기 톱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에 끼워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 말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톱의 주위를 감싸는 안전부재와; 상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톱 쪽으로 물을 공급하는 주수관; 을 포함하며, 상기 안전부재는, 상기 톱의 외주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원호 형상을 이루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를 상기 주수관에 연결하여 지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에는 윈도우가 형성되는, 치과용 톱 안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하는 원형 톱 주위에 톱의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시야확보용 윈도우를 갖춘 안전부재를 포함하는 치과용 톱 안전장치가 제공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톱 안전장치에 의하면, 시술 도중에 원형 톱의 톱날이 시술부위 이외에 치아, 혀, 잇몸 등에 접촉하는 것을 안전부재에 의해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구강 내부를 원형 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톱 안전장치에 의하면, 안전부재에 시야확보용 윈도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술자가 시술과정에서 상기 안전장치에 의해 시야가 가리지 않고 정확한 절개를 할 수 있고, 시술자의 심리적 불안감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좁은 치조골능을 절개하는 과정에서 협, 설측으로 편심되지 않고 원하는 방향으로 절개 할수 있는 육안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톱 안전장치는, 시술부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주수관을 포함할 수 있어, 원형 톱이 뼈를 삭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식혀주고, 시술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강 내 또는 신체의 일부분에서 덩어리의 뼈(block bone)을 채취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시술 주변에 상처를 주지 않고 안전하게 뼈를 채취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톱 안전장치에 의하면, 시술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여러 직경의 원형 톱을 교체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 원형톱과 안전장치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시술 시간 단축과 시술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치과용 톱 안전장치가 구동수단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치과용 톱 안전장치를 뒤쪽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치과용 톱 안전장치의 결합 전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치과용 톱 안전장치가 구동수단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치과용 톱 안전장치가 구동수단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도 5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톱이 제거된 상태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치과용 톱 안전장치의 변형예들을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치과용 톱 안전장치가 구동수단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치과용 톱 안전장치를 뒤쪽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치과용 톱 안전장치의 결합 전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치과용 톱 안전장치가 구동수단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치과용 톱 안전장치가 구동수단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톱이 제거된 상태의 정면도,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치과용 톱 안전장치의 변형예들을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치과용 톱 안전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톱 안전장치는, 원형 톱을 회전 구동시킬 수 있는 치과용 엔진, 드라이버 등의 구동수단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구동수단으로서는, 손잡이의 방향과 회전축선의 방향이 일직선이 아닌 일정한 각도를 이루는 앵글드(angled) 타입 구동수단(2)(도 1 내지 도 4 참조)과, 손잡이의 방향과 회전축선의 방향이 일직선 상에 있는 스트레이트(straight) 타입 구동수단(4)(도 8 내지 도 11 참조)이 있으며,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치과용 톱 안전장치는 앵글드 타입 구동수단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고,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치과용 톱 안전장치는 스트레이트 타입 구동수단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치과용 톱 안전장치는, 원형 톱(8)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2)에 끼워지는 본체(11)와, 이 본체(11)의 일측 말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원형 톱(8)의 주위를 감싸는 안전부재(14)를 포함한다.
구동수단(2)에는 원형 톱(8)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구동수단(2)에는 톱 이외에도 치과용 드릴 등의 다양한 수술용 도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치과용 톱 안전장치는, 본체(11)가 구동수단(2)의 머리부(2a)에 장착될 수 있다. 구동수단(2)에 대한 본체(11)의 장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구동수단(2)에 장착된 후 본체(11)의 타측 말단에는 고정부재(19)가 결합될 수 있다.
본체(11)의 외부에는, 원형 톱(8) 쪽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주수관(12)이 설치될 수 있다. 주수관(12)은 본체(11)에 대하여 용접 등에 의해 직접 부착될 수도 있고, 주수관 홀더(13)를 통해 부착될 수도 있다. 주수관(12)의 일측 말단, 즉 분사구(12a)는 원형 톱(8)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고, 주수관(12)의 타측 말단에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관(도시 생략)이 연결될 수 있다. 주수를 위해 사용되는 물은 구동수단으로부터 주수관을 통해 원형 톱을 향하여 공급되거나, 시린지(주사기)를 이용하여 별도로 주수될 수도 있다.
주수관 홀더(13)는 본체(11)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시술시 환자의 구강 내의 어느 위치에도 주수가 가능하다.
안전부재(14)는 본체(11)의 일측, 즉 원형 톱(8) 쪽에 형성된 돌출부(11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안전부재(14)는, 본체(11)의 돌출부(11a)에 장착될 수 있는 장착부(15)와, 원형 톱(8)의 외주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원호 형상을 이루는 커버부(16)와, 이 커버부(16)를 장착부(15)에 연결하여 지지하는 연결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15)는, 예컨대 복수개의 절개부가 형성된 콜릿 타입(collet type)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며, 장착부의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커버부(16)는 예를 들어 반원호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커버부(16)의 내부에는 측면 윈도우(16a)가 형성될 수 있고, 커버부(16)의 후방에는 후방 윈도우(16b)가 형성될 수 있어, 시술자는 시술 도중에도 커버부(16)에 형성된 측면 윈도우(16a) 및 후방 윈도우(16b)를 통해 원형 톱(8)을 육안관찰할 수 있다. 또, 시술자는 시술 도중에 윈도우를 통해서 골 폭이 좁은 치조골을 보면서(open technique) 절개할 수 있어 육안 시인성이 우수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커버부는 반원호 형상 이외에도, 예를 들어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커버부는 원과 다각형이 조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안전부재(14)는 원형 톱(8)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시술자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원형 톱들 중에서 적절한 크기, 즉 직경을 갖는 원형 톱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 선택된 원형 톱의 크기에 맞춰 다양한 크기를 갖는 안전부재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본체(11)에 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부재(14)를 본체(11)에 장착할 때, 필요에 따라 안전부재(14)가 장착되는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주수관(12)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주수관(12)이 안전부재(14)의 커버부(16) 중심에 위치되도록 안전부재를 장착시킬 수도 있고, 주수관(12)이 커버부(16)의 일측에 치우쳐 위치되도록 안전부재를 장착시킬 수도 있다. 즉, 안전부재(14)는 원형 톱(8)의 회전방향이나 회전반대방향으로 일정각도만큼 회전한 상태로 본체(11)의 돌출부(11a)에 끼워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시술자가 오른손잡이나 왼손잡이인 경우에, 시술자 자신에게 편리하도록 안전부재(14)의 각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전부재(14)를 본체(11)에 장착할 때 필요에 따라 안전부재(14)가 장착되는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부재(14)를 본체(11)에 끼운 후 회전시켜 안전부재가 장착되는 각도를 변화시키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안전부재(14)가 본체(11)에 장착된 후 회전 가능하게 제작되면, 시술시 인접한 치아 등에 안전부재(14)가 걸리는 경우에도 안전부재(14)가 회전함에 따라 원형 톱(8)에 무리하게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시술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시술 도중에 커버부(16)가 시술부 주변의 치아나 잇몸 등에 걸려 안전부재(14)가 우발적으로 본체(11)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부의 중심 부분은 원형 톱의 자루부를 원형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는 커버부(16)를 몸체 쪽에 연결하는 연결부의 중심 부분이 원형이 아니라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연결부의 중심 부분이 원호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도, 안전부재(14)의 우발적인 벗겨짐을 방지하기 위해 원호의 길이는 반원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의 중심 부분이 반원보다 큰 원호 형상을 가지면, 원형 톱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연결부의 중심 부분이 원형 톱의 자루부에 간섭되어 커버부의 벗겨짐이 방지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3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7)의 중심부분(17a)에는 일부가 뚫려있는 개방부(17b)가 형성되어, 연결부(17)를 정면에서 볼 때 연결부의 중심부분(17a)은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런데, 연결부(17)에 형성된 개방부(17b)의 간격이 원형 톱(8)의 자루부의 직경과 같거나 큰 치수를 갖는다면, 원형 톱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힘이 가해질 때, 연결부(17), 나아가서 커버부(16)가 원형 톱(8)의 주위를 감싸고 있는 위치로부터 벗겨지거나 위치어긋남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연결부(17)가 원형 톱(8)의 자루부에 간섭됨에 따라 정위치에서 움직이지 않을 수 있도록, 연결부의 중심부분(17a)에 형성된 개방부(17b)의 간격은 원형 톱의 자루부의 직경 미만의 치수를 가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부재(14)의 커버부(16)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의 (a)에는 안전부재(14)의 커버부(16)에 2개의 측면 윈도우(16a)가 형성되는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고, 도 7의 (b)에는 안전부재(14)의 커버부(16)에 1개의 측면 윈도우(16a)가 형성되는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다. 커버부(16)에 형성되는 측면 윈도우(16a)의 형상 및 개수는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치과용 톱 안전장치는, 원형 톱(8)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4)에 끼워지는 본체(21)와, 이 본체(21)의 일측 말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원형 톱(8)의 주위를 감싸는 안전부재(24)를 포함한다.
구동수단(4)에는 원형 톱(8)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구동수단(4)에는 원형 톱 이외에도 치과용 드릴 등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치과용 톱 안전장치에 의하면, 본체(21)가 구동수단(4)의 머리부(4a)에 장착된 후, 예를 들어 베어링(28)과 베어링 고정부재(29)가 본체(21)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의 경우, 원형 톱(8)의 회전축 중간에 직경이 나머지 부분에 비해 크게 형성된 대직경부를 통해 고정부재(29)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구동수단(4)에 대한 본체(21)의 장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은 도시된 것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공지된 어떠한 방법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치과용 톱 안전장치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와는 달리, 주수관(22)을 통하여 안전부재(24)를 본체(21)에 부착시킬 수 있다. 즉, 제2 실시형태에서는, 본체(21)의 외부에 설치된 주수관(22)은, 원형 톱(8) 쪽으로 물을 공급하는 동시에 안전부재(24)를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주수관(22)의 일측 말단, 즉 분사구(22a)는 원형 톱(8)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고, 주수관(22)의 타측 말단에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관(도시 생략)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치과용 톱 안전장치에 있어서도, 주수관(22)으로 안전부재(24)를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변형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통상의 스트레이트 타입 구동수단에는 일체형주수관(4a)이 이미 부착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본체(21)의 결합시 일체형주수관(4a)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본체(21)의 일측에 홈부(21a)를 형성하여 일체형주수관(4a)이 홈부(21a) 내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홈부(21a) 내에 일체형주수관(4a)이 삽입된 상태로 본체(21)가 구동수단(4)에 결합되면, 본체(21)가 우발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안전부재(24)는, 원형 톱(8)의 외주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원호 형상을 이루는 커버부(26)와, 이 커버부(26)를 주수관(22)에 연결하여 지지하는 연결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26)는 예를 들어 반원호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커버부(26)의 내부에는 측면 윈도우(26a)가 형성될 수 있고 커버부(26)의 후방에는 후방 윈도우(26b)가 형성될 수 있어, 시술자는 시술 도중에도 커버부(26)에 형성된 측면 윈도우(26a) 및 후방 윈도우(26b)를 통해 원형 톱(8)을 육안관찰할 수 있다. 또, 시술자는 시술 도중에 윈도우를 통해서 골 폭이 좁은 치조골을 보면서(open technique) 절개할 수 있어 육안 시인성이 우수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커버부는 반원호 형상 이외에도, 예를 들어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커버부는 원과 다각형이 조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부재(24)의 커버부(26)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3의 (a)에는 안전부재(24)의 커버부(26)에 2개의 윈도우(26a)가 형성되는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고, 도 13의 (b)에는 안전부재(24)의 커버부(26)에 1개의 윈도우(26a)가 형성되는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다. 커버부(26)에 형성되는 윈도우(26a)의 형상 및 개수는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원형 톱(8)을 사용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원형 톱 이외에도, 부채꼴 형상을 갖는 톱 등 다양한 형상의 톱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사용되는 톱의 형상에 맞춰 커버부(16, 26)의 형상 역시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형태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2: 구동수단(앵글드 타입)
4: 구동수단(스트레이트 타입)
8: 원형 톱
11, 21: 본체
12, 22: 주수관
14, 24: 안전부재
16, 26: 커버부
16a, 26a: 측면 윈도우
16b, 26b: 후방 윈도우

Claims (10)

  1. 치과 시술시 골의 절개를 위해 사용되는 톱과 함께 구동수단에 장착되는 치과용 톱 안전장치로서,
    상기 구동수단에 끼워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톱의 주위를 감싸는 안전부재와;
    시술자가 상기 톱을 육안관찰할 수 있도록 상기 안전부재에 형성되는 윈도우;
    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부재는 상기 톱의 외주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가 상기 윈도우를 전체적으로 둘러싸도록 상기 윈도우는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구멍 형태로 형성되는, 치과용 톱 안전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커버부 내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치과용 톱 안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부재는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장착부와, 상기 커버부를 상기 장착부에 연결하여 지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톱 안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중심부분에는 일부가 뚫려있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의 중심부분은 정면에서 볼 때 원호 형상을 가지며,
    상기 톱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힘이 가해질 때 상기 연결부가 상기 톱의 자루부에 간섭되어 벗겨짐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의 중심부분에 형성된 개방부의 간격은 상기 톱의 자루부의 직경 미만의 치수를 가지는, 치과용 톱 안전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안전부재는, 상기 톱의 회전방향이나 회전반대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로 상기 본체에 끼워질 수 있거나, 상기 본체에 끼워진 후 상기 톱의 회전방향이나 회전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치과용 톱 안전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톱 쪽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주수관을 더 포함하는, 치과용 톱 안전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안전부재는, 상기 톱의 외주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를 상기 주수관에 연결하여 지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톱 안전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손잡이의 방향과 회전축선의 방향이 일직선 상에 있는 스트레이트 타입 구동수단과, 손잡이의 방향과 회전축선의 방향이 일직선이 아닌 앵글드(angled) 타입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스트레이트 타입 구동수단 또는 상기 앵글드 타입 구동수단의 머리부에 끼워지는, 치과용 톱 안전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원호형상 또는 다각형상 또는 원과 다각형이 조합된 형상을 가지는, 치과용 톱 안전장치.
KR1020150033602A 2015-03-11 2015-03-11 치과용 톱 안전장치 KR101627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602A KR101627516B1 (ko) 2015-03-11 2015-03-11 치과용 톱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602A KR101627516B1 (ko) 2015-03-11 2015-03-11 치과용 톱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7516B1 true KR101627516B1 (ko) 2016-06-07

Family

ID=56193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602A KR101627516B1 (ko) 2015-03-11 2015-03-11 치과용 톱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5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264B1 (ko) * 2015-09-18 2017-03-10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치과용 톱날 덮개
KR20210125638A (ko) * 2020-04-08 2021-10-19 (주)오성엠앤디 의료용 쏘우의 커버장치
CN114376660A (zh) * 2021-12-16 2022-04-22 芜湖锐进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配合医疗机器人使用的电动锯钻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7201465U (zh) * 1987-04-13 1988-01-06 泰山医学院附属医院 牙体片切保护器
US20070042324A1 (en) * 2005-08-22 2007-02-22 Florman Michael J Grinder guard
JP2014087633A (ja) * 2012-10-01 2014-05-15 Implantdent Co Ltd 歯科用インプラント埋設穴形成補助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7201465U (zh) * 1987-04-13 1988-01-06 泰山医学院附属医院 牙体片切保护器
US20070042324A1 (en) * 2005-08-22 2007-02-22 Florman Michael J Grinder guard
JP2014087633A (ja) * 2012-10-01 2014-05-15 Implantdent Co Ltd 歯科用インプラント埋設穴形成補助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264B1 (ko) * 2015-09-18 2017-03-10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치과용 톱날 덮개
KR20210125638A (ko) * 2020-04-08 2021-10-19 (주)오성엠앤디 의료용 쏘우의 커버장치
KR102368653B1 (ko) 2020-04-08 2022-03-03 (주)오성엠앤디 의료용 쏘우의 커버장치
CN114376660A (zh) * 2021-12-16 2022-04-22 芜湖锐进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配合医疗机器人使用的电动锯钻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2183B2 (ja) インプラント用器具及びインプラント用器具のガイドシステム
JP6153721B2 (ja) ガイド治具
KR101627516B1 (ko) 치과용 톱 안전장치
JP2012010758A (ja) 穿孔ドリル及び穿孔ドリルシステム
US11007034B2 (en) Device for guiding a dental surgical hollow milling machine and a method for producing such a device
US20170143351A1 (en) Implant placement trephine, prepackaged and sized implant / trephine kit, and methods of use
US201302806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ntal Implants
KR101643351B1 (ko) 어버트먼트 스크류 제거 드릴 및 어버트먼트 스크류 제거 장치
EP3361984A1 (en) Surgical contra-angle drilling device for cutting bone preventing injuries to soft tissues
KR101516949B1 (ko) 본 플레이트닝 드릴장치
US201302806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ntal Implants
JP2021513439A (ja) 口腔外科方法及び装置
AU2020217424B2 (en) Dental retractor with micro mirror
JP6707734B2 (ja) インプラント用骨平面形成具
KR101566457B1 (ko) 어버트먼트 제거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어버트먼트 제거 장치
ES2716148T3 (es) Instrumento quirúrgico manual y un dispositivo de protección
ES2822954T3 (es) Instrumento quirúrgico de mano, y una herramienta y un dispositivo de protección
KR101181923B1 (ko)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
KR20220127666A (ko) 치과용 톱 안전장치
KR102431903B1 (ko) 수술 기구
KR102234777B1 (ko) 임플란트 체결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임플란트 체결 방법
KR20190003043A (ko) 본 플레이트닝 드릴장치
KR101512561B1 (ko) 수술가이드를 이용한 플랩리스 임플란트 시술에서 즉시 보철수복을 위한 치조골의 표면을 정리하는 드릴
KR20210033211A (ko) 치과 임플란트용 드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