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909Y1 - 리프트업 침대 - Google Patents

리프트업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909Y1
KR200494909Y1 KR2020200003490U KR20200003490U KR200494909Y1 KR 200494909 Y1 KR200494909 Y1 KR 200494909Y1 KR 2020200003490 U KR2020200003490 U KR 2020200003490U KR 20200003490 U KR20200003490 U KR 20200003490U KR 200494909 Y1 KR200494909 Y1 KR 2004949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pair
fixing
bed
b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4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지영
Original Assignee
원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지영 filed Critical 원지영
Priority to KR20202000034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9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9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9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4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 A47C19/045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with entire frame height or inclination adjust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프트업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가 물품수납공간으로 사용되게 공간을 형성하는 베드 프레임; 상기 베드 프레임의 상부 개구를 개폐하되 매트리스가 탑재되되 상호 분리되는 한 쌍의 깔판; 상기 베드 프레임의 양측 사이드 벽체와 해당 위치의 상기 깔판에 각각 결합하며, 상기 베드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깔판을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한 쌍의 업/다운 구동부; 및 상기 한 쌍의 업/다운 구동부를 연결하되 상기 한 쌍의 깔판과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깔판을 보강하는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업/다운 구동부는, 상기 베드 프레임의 사이드 벽체에 나사 고정되는 벽체 고정바; 상기 깔판에 나사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교차하게 절곡되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깔판 고정부재; 일측은 상기 벽체 고정바의 일측 단부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깔판 고정부재의 고정부의 단부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링크부재; 일측은 상기 벽체 고정바의 타측 단부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깔판 고정부재의 고정부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링크부재; 상기 제2 링크부재에 연결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에 고정되는 실린더 본체와, 상기 실린더 본체에 길이 연장 또는 축소되게 결합하는 실린더 로드를 구비하는 실린더 장치; 및 상기 실린더 로드와 상기 깔판 고정부재의 절곡부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리프트업 침대{FUNCTIONAL LIFT UP BED}
본 고안은, 리프트업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베드 프레임의 바닥면을 물품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어 수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배송과 조립에 어려움이 없고 내구성을 종래보다 월등히 높일 수 있는 리프트업 침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납기능을 강화하는 한편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리프트업 침대(LIFT UP BED)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리프트업 침대는 매트리스가 놓이는 상판, 즉 깔판을 올리거나 내릴 수 있게 만든 침대로서, 보통 아래의 2가지 구조를 이룬다.
첫째, 도 1처럼 갈비살 형태의 깔판(20)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도 1의 리프트업 침대(10)가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서, 조립의 편리성 때문에 갈비살 형태의 깔판(20)을 사용한다.
하지만, 도 1의 경우, 갈비살 구조의 특성상 갈비살 부러짐, 소음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갈비살 틈 사이로 매트리스 먼지 등이 빠져 물품수납공간에 먼지가 쌓이게 됨에 따라 수납의 기능이 퇴색될 수 있다.
둘째, 도 1의 갈비살 깔판(20)을 사용하는 대신, 하나의 큰 판체로 된 깔판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즉 나무, 합판, MDF 등으로 침대 면적만큼 큰 하나의 깔판을 제작하여 도 1의 갈비살 깔판(20)을 대신하는 것이다.
이러한 일체형 깔판을 적용하면 갈비살 부러짐, 소음 등의 문제를 없앨 수는 있으나, 깔판의 큰 부피로 인한 배송과 조립에 어려움이 있어 사용이 기피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도 1의 리프트업 침대(10)를 포함해서 일체형 깔판을 적용한 여러 방식의 리프트업 침대가 제안되고 있고 실제 일부는 출시되고 있지만, 갈비살 부러짐 문제, 소음 문제, 배송과 조립 문제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을 두루 고려해 볼 때,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리프트업 침대에 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6-0150934호
본 고안의 목적은, 베드 프레임의 바닥면을 물품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어 수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배송과 조립에 어려움이 없고 내구성을 종래보다 월등히 높일 수 있는 리프트업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내부가 물품수납공간으로 사용되게 공간을 형성하는 베드 프레임; 상기 베드 프레임의 상부 개구를 개폐하되 매트리스가 탑재되되 상호 분리되는 한 쌍의 깔판; 상기 베드 프레임의 양측 사이드 벽체와 해당 위치의 상기 깔판에 각각 결합하며, 상기 베드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깔판을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한 쌍의 업/다운 구동부; 및 상기 한 쌍의 업/다운 구동부를 연결하되 상기 한 쌍의 깔판과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깔판을 보강하는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업/다운 구동부는, 상기 베드 프레임의 사이드 벽체에 나사 고정되는 벽체 고정바; 상기 깔판에 나사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교차하게 절곡되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깔판 고정부재; 일측은 상기 벽체 고정바의 일측 단부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깔판 고정부재의 고정부의 단부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링크부재; 일측은 상기 벽체 고정바의 타측 단부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깔판 고정부재의 고정부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링크부재; 상기 제2 링크부재에 연결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에 고정되는 실린더 본체와, 상기 실린더 본체에 길이 연장 또는 축소되게 결합하는 실린더 로드를 구비하는 실린더 장치; 및 상기 실린더 로드와 상기 깔판 고정부재의 절곡부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업 침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업/다운 구동부는, 상기 깔판 고정부재의 고정부의 일측에 돌출되게 마련되되 상기 깔판의 핀홀에 끼워져 자리 배치되는 깔판 고정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중심부에서 돌출되게 고정되는 일체형 돌출나사; 및 상기 일체형 돌출나사가 나사 결합하는 나사홀이 형성되되 상기 보강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팅 브릿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깔판이 상기 보강 플레이트와 나란하거나 교차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베드 프레임의 바닥면을 물품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어 수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배송과 조립에 어려움이 없고 내구성을 종래보다 월등히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갈비살 형태의 깔판을 사용하는 리프트업 침대의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업 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깔판을 업/(up) 동작시킨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2 및 도 3의 내부 투영도이다.
도 6은 도 5의 업/다운 구동부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업 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업 침대에서 업/다운 구동부 영역의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업 침대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업 침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깔판을 업/(up) 동작시킨 도면,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2 및 도 3의 내부 투영도, 도 6은 도 5의 업/다운 구동부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업 침대(100)는 베드 프레임(110)의 바닥면을 물품수납공간(111)으로 활용할 수 있어 수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배송과 조립에 어려움이 없고 내구성을 종래보다 월등히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업 침대(100)는 베드 프레임(110), 깔판(120), 업/다운 구동부(130), 보강 플레이트(150)를 포함할 수 있다.
베드 프레임(1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업 침대(100)의 외곽 골조를 이룬다.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 구조를 이룬다.
베드 프레임(110)은 목재로 제작될 수 있지만, 플라스틱이나 금속이 추가될 수도 있다. 그뿐만 아니라 베드 프레임(110)의 바닥에 미끌림 방지를 위한 푸트부재가 추가될 수도 있다.
베드 프레임(110) 내에는 물품수납공간(111)이 형성된다. 도 3 및 도 5처럼 깔판(120)을 올린 상태에서 베드 프레임(110) 내의 물품수납공간(111)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어서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깔판(120)은 베드 프레임(110)의 상부 개구를 개폐하는 판체로서, 그 상면에 매트리스가 탑재된다. 깔판(120) 역시, 목재로 제작될 수 있지만, 플라스틱이나 금속이 추가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처럼 깔판(120)을 적용하면 도 1과 같은 갈비살 부러짐, 소음 등의 문제를 없앨 수는 있다.
본 실시예에서 깔판(120)은 분할된 한 쌍의 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종전처럼 하나의 큰 깔판을 사용하던 것보다 보관, 운반 및 핸들링이 쉬운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한 쌍의 깔판(120)은 보강 플레이트(150)와 나란하게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깔판(120)은 가로 방향의 조립 구조를 이룬다.
다만, 이처럼 분할된 한 쌍의 깔판(120)을 연결할 때, 기존처럼 깔판(120)들 사이에 단순히 경첩을 사용하게 되면 강도가 약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 플레이트(150)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업/다운 구동부(130)는 베드 프레임(110)의 양측 사이드 벽체(112)와 해당 위치의 깔판(120)에 각각 결합하며, 베드 프레임(110)에 대하여 깔판(120)을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업/다운 구동부(130)는 베드 프레임(110)의 사이드 벽체(112)에 나사 고정되는 벽체 고정바(131)와, 깔판(120)에 나사 고정되는 고정부(132a)와, 고정부(132a)에 교차하게 절곡되는 절곡부(132b)를 구비하는 깔판 고정부재(132)를 포함한다.
그뿐만 아니라 업/다운 구동부(130)는 일측은 벽체 고정바(131)의 일측 단부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깔판 고정부재(132)의 고정부(132a)의 단부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링크부재(133)와, 일측은 벽체 고정바(131)의 타측 단부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깔판 고정부재(132)의 고정부(132a)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링크부재(134)와, 제2 링크부재(134)에 연결되는 브래킷(135)과, 브래킷(135)에 연결되는 실린더 장치(136)를 포함한다.
쇼버라고도 불리는 실린더 장치(136)는 브래킷(135)에 고정되는 실린더 본체(136a)와, 실린더 본체(136a)에 길이 연장 또는 축소되게 결합하는 실린더 로드(136b)를 포함한다.
실린더 장치(136)의 원활한 구동을 위하여 실린더 로드(136b)와 깔판 고정부재(132)의 절곡부(132b)에는 힌지핀부(137)가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에, 도 2 및 도 4에서 도 3 및 도 5처럼 깔판(120)을 들어 올리면 실린더 장치(136)가 동작하는 한편 제1 및 제2 링크부재(133,134)의 상호작용으로 깔판(120)이 업(up) 동작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베드 프레임(110)의 물품수납공간(111)에 물품을 수납하거나 수납된 물품을 꺼낼 수 있다.
한편, 업/다운 구동부(130)를 베드 프레임(110)의 양 사이드 벽체(112)에 고정한 후, 그 상태에서 깔판(120)과 연결작업을 할 때는 불가피하게 도 3 및 도 5처럼 깔판(120)을 들어 올린 상태에서 진행할 수밖에 없다.
이때, 깔판(120)과 업/다운 구동부(130)가 서로 연결된 상태가 아니면, 업/다운 구동부(130)의 경사 배치로 인해 깔판(120)이 아래쪽으로 흘러내리면서 작업하기가 쉽지 않다. 물론, 작업자 1명을 더 사용해서 깔판(120)을 잡아 작업하면 되지만 이럴 경우, 인건비가 증가할 수밖에 없다.
이에, 이러한 폐단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다운 구동부(130)에 깔판 고정핀(138)이 마련된다. 깔판 고정핀(138)은 깔판 고정부재(132)의 고정부(132a)의 일측에 돌출되게 마련되되 깔판(120)의 핀홀(121)에 끼워져 깔판(120)이 흘러내리지 않게끔 하는 핀이다.
이처럼 깔판(120)의 핀홀(121)이 업/다운 구동부(130)의 깔판 고정부재(132)에 형성되는 깔판 고정핀(138)에 끼워지게 할 경우, 도 3 및 도 5처럼 깔판(120)을 들어 올린 상태일지라도 깔판(120)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 혼자서도 충분히 작업할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150)는 한 쌍의 업/다운 구동부(130)를 연결하되 한 쌍의 깔판(120)과 연결되어 한 쌍의 깔판(120)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종전의 경첩과 달리 보강 플레이트(150)는 한 쌍의 깔판(120) 전체에 접촉하면서 한 쌍의 깔판(120)과 나사 결합하기 때문에 한 쌍의 깔판(120)에 대한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즉 종전처럼 단순히 경첩으로 한 쌍의 깔판(120) 사이를 연결하면 힘이 약해서 가운데 꺼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 리프트업 시 벌어지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보강 플레이트(150)가 한 쌍의 깔판(120) 전체에 접촉하면서 한 쌍의 깔판(120)과 나사 결합하기 때문에 한 쌍의 깔판(120)에 대한 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보강 플레이트(150)의 중심부에는 일체형 돌출나사(151)가 돌출되게 고정된다. 그리고, 일체형 돌출나사(151)에는 서포팅 브릿지(160)가 연결된다. 서포팅 브릿지(160)에는 일체형 돌출나사(151)가 나사 결합하는 나사홀(161)이 형성되되 보강 플레이트(15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보강 플레이트(150)가 마련되어 한 쌍의 깔판(120)을 전체적으로 보강하는 한편, 서포팅 브릿지(160)가 중심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한 쌍의 깔판(120)에 대한 전체적인 강성을 좀 더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베드 프레임(110)의 바닥면을 물품수납공간(111)으로 활용할 수 있어 수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배송과 조립에 어려움이 없고 내구성을 종래보다 월등히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업 침대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업 침대(200) 역시, 베드 프레임(110)과, 한 쌍의 깔판(2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한 쌍의 깔판(220)은 내장된 업/다운 구동부(130, 도 4 참조)의 작용으로 업/다운(up/down) 동작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깔판(220)은 보강 플레이트(150, 도 5 참조)의 길이 방향에 교차하게 배치되는데, 이렇게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깔판(220)이 적용되더라도 본 고안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베드 프레임(110)의 바닥면을 물품수납공간(111)으로 활용할 수 있어 수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배송과 조립에 어려움이 없고 내구성을 종래보다 월등히 높일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업 침대에서 업/다운 구동부 영역의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업/다운 구동부(330) 역시, 베드 프레임(110)의 양측 사이드 벽체(112)와 해당 위치의 깔판(120)에 각각 결합하며, 베드 프레임(110)에 대하여 깔판(120)을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업/다운 구동부(330) 역시, 제1 실시예의 것과 대부분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깔판 고정부재(132)에 추가적인 레일식 깔판 고정부재(332)가 더 연결된다. 이처럼 깔판 고정부재(132)와 레일식 깔판 고정부재(332)가 연결되면 깔판(120)의 길이에 맞게 현장에서 깔판 고정부재(132)와 레일식 깔판 고정부재(332)를 조절한 후, 조립 작업을 진행하면 되기 때문에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베드 프레임(110)의 바닥면을 물품수납공간(111)으로 활용할 수 있어 수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배송과 조립에 어려움이 없고 내구성을 종래보다 월등히 높일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업 침대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업 침대(400) 역시, 베드 프레임(110)과, 한 쌍의 깔판(420), 그리고, 업/다운 구동부(130)를 포함한다. 이들의 구조와 기능,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한 쌍의 깔판(420)이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보강 플레이트(150)가 아닌 경첩(425)으로 연결되지만, 한 쌍의 깔판(420)이 서포팅 브릿지(460)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라서 강성을 제공하는 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즉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베드 프레임(110)의 바닥면을 물품수납공간(111)으로 활용할 수 있어 수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배송과 조립에 어려움이 없고 내구성을 종래보다 월등히 높일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리프트업 침대 110 : 베드 프레임
111 : 물품수납공간 112 : 사이드 벽체
120 : 깔판 121 : 핀홀
130 : 업/다운 구동부 131 : 벽체 고정바
132 : 깔판 고정부재 132a : 고정부
132b : 절곡부 133 : 제1 링크부재
134 : 제2 링크부재 135 : 브래킷
136 : 실린더 장치 136a : 실린더 본체
136b : 실린더 로드 137 : 힌지핀부
138 : 깔판 고정핀 150 : 보강 플레이트
151 : 일체형 돌출나사 160 : 서포팅 브릿지
161 : 나사홀

Claims (4)

  1. 내부가 물품수납공간으로 사용되게 공간을 형성하는 베드 프레임;
    상기 베드 프레임의 상부 개구를 개폐하되 매트리스가 탑재되되 상호 분리되는 한 쌍의 깔판;
    상기 베드 프레임의 양측 사이드 벽체와 해당 위치의 상기 깔판에 각각 결합하며, 상기 베드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깔판을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한 쌍의 업/다운 구동부; 및
    상기 한 쌍의 업/다운 구동부를 연결하되 상기 한 쌍의 깔판과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깔판을 보강하는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업/다운 구동부는,
    상기 베드 프레임의 사이드 벽체에 나사 고정되는 벽체 고정바;
    상기 깔판에 나사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교차하게 절곡되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깔판 고정부재;
    일측은 상기 벽체 고정바의 일측 단부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깔판 고정부재의 고정부의 단부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링크부재;
    일측은 상기 벽체 고정바의 타측 단부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깔판 고정부재의 고정부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링크부재;
    상기 제2 링크부재에 연결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에 고정되는 실린더 본체와, 상기 실린더 본체에 길이 연장 또는 축소되게 결합하는 실린더 로드를 구비하는 실린더 장치; 및
    상기 실린더 로드와 상기 깔판 고정부재의 절곡부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업 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다운 구동부는,
    상기 깔판 고정부재의 고정부의 일측에 돌출되게 마련되되 상기 깔판의 핀홀에 끼워져 자리 배치되는 깔판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업 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중심부에서 돌출되게 고정되는 일체형 돌출나사; 및
    상기 일체형 돌출나사가 나사 결합하는 나사홀이 형성되되 상기 보강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팅 브릿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업 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깔판이 상기 보강 플레이트와 나란하거나 교차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업 침대.
KR2020200003490U 2020-09-24 2020-09-24 리프트업 침대 KR2004949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490U KR200494909Y1 (ko) 2020-09-24 2020-09-24 리프트업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490U KR200494909Y1 (ko) 2020-09-24 2020-09-24 리프트업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909Y1 true KR200494909Y1 (ko) 2022-01-21

Family

ID=80048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490U KR200494909Y1 (ko) 2020-09-24 2020-09-24 리프트업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9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6687A (ko) * 2022-05-31 2023-12-07 이영우 리프트침대용 판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013Y1 (ko) * 2004-11-13 2005-03-11 유영청 침대
JP2005176901A (ja) * 2003-12-16 2005-07-07 France Bed Co Ltd ベッド装置
KR101808149B1 (ko) * 2016-06-07 2018-01-18 주식회사 마리카디자인 각도 조절식 침대용 매트리스 받침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6901A (ja) * 2003-12-16 2005-07-07 France Bed Co Ltd ベッド装置
KR200376013Y1 (ko) * 2004-11-13 2005-03-11 유영청 침대
KR101808149B1 (ko) * 2016-06-07 2018-01-18 주식회사 마리카디자인 각도 조절식 침대용 매트리스 받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6687A (ko) * 2022-05-31 2023-12-07 이영우 리프트침대용 판넬
KR102650475B1 (ko) * 2022-05-31 2024-03-21 이영우 리프트침대용 판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4909Y1 (ko) 리프트업 침대
US20070049464A1 (en) Folding device for treadmills
JP6311850B1 (ja) コンテナ
KR101632331B1 (ko) 포장박스를 가진 화물적재용 팔레트
JP6294451B2 (ja) 荷受台構造および荷受台昇降装置
KR101247749B1 (ko) 조립식 포장박스를 갖는 팔레트
KR200434300Y1 (ko) 사다리 겸용 핸드카트
KR200416881Y1 (ko) 장롱의 레일 보강구조
US20100052354A1 (en) Composite stake racks for flatbed truck body
KR102355496B1 (ko) 탑차 윙바디용 게이트
KR102225453B1 (ko) 운반 카트
FR2749147A1 (fr) Lit basculant compense
KR200494137Y1 (ko)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
KR102607021B1 (ko) 윙바디 적재함의 개구 차단장치
KR101195581B1 (ko) 절첩식 다리가 구비된 테이블
KR20110008632U (ko) 조립식 철재 캐비넷
AU2006100271B4 (en) Trailer support posts
KR102663251B1 (ko) 리프트침대용 도어브라켓
KR200448429Y1 (ko) 가구용 측판
KR102607256B1 (ko) 리프트침대용 판넬
JP4261218B2 (ja) パレット
KR200247752Y1 (ko) 윙바디트럭 적재함의 전후프레임의 구조
JP3897943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JP4654902B2 (ja) 荷運搬台車の荷台支持構造
KR200322750Y1 (ko) 조립식 파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