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251B1 - 리프트침대용 도어브라켓 - Google Patents

리프트침대용 도어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251B1
KR102663251B1 KR1020220066963A KR20220066963A KR102663251B1 KR 102663251 B1 KR102663251 B1 KR 102663251B1 KR 1020220066963 A KR1020220066963 A KR 1020220066963A KR 20220066963 A KR20220066963 A KR 20220066963A KR 102663251 B1 KR102663251 B1 KR 102663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panel
bed
bed body
doo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6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66686A (ko
Inventor
이영우
원지영
Original Assignee
이영우
원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우, 원지영 filed Critical 이영우
Priority to KR1020220066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251B1/ko
Publication of KR20230166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6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86Parts or details for beds, sofas or couches only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A47C17/02, A47C17/04, A47C17/38, A47C17/52, A47C17/64, or A47C17/84; Drawers in or under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2Combinations of bedsteads with other furniture or with accessories, e.g. with bedside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공간의 개구에 대하여 개폐하면서 상부에 매트리스가 안치되는 개폐판넬을 침대본체에 고정하는 중에, 개폐판넬과의 조립작업이 안정적이면서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상부개구를 통해 내부에 물품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침대본체와, 상기 침대본체의 상기 상부개구를 개폐하도록 된 개폐판넬과, 상기 침대본체에 대하여 상기 개폐판넬을 회전운동가능하게 결속시킴과 더불어 탄성지지력을 형성하도록 된 탄성지지수단을 포함하는 리프트침대에 적용되어 상기 탄성지지수단에 대하여 상기 개폐판넬를 고정하며 상기 개폐판넬의 저면에 길이를 가지면서 결합되는 리프트침대용 도어브라켓에 있어서;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구조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침대본체에 대하여 상기 개폐판넬이 수납공간을 개방한 상태에서 하측에 위치한 하단에 상기 개폐판넬의 단부를 밀착하면서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돌출형성되는 리프트침대용 도어브라켓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리프트침대용 도어브라켓{A door bracket for lift bed}
본 발명은, 내부에 수납물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수납기능을 가지는 리프트침대에서 수납공간의 개구를 개폐하는 것에 적용되는 도어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수납공간의 개구에 대하여 개폐하면서 상부에 매트리스가 안치되는 판넬을 고정하도록 된 리프트침대용 도어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판넬과의 조립작업이 안정적이면서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경제적 이익을 구현하도록 된 리프트침대용 도어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누워 쉬거나 취침하도록 된 침대는, 크기와 기능에 따라 싱글 침대, 더블 침대, 세미더블 침대, 어린이용 침대, 유아용 침대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침대에 대하여 근자에는, 실내의 공간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에서 침대로 활용하는 침대 프레임에 옷 가지와 같은 물품들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들이 설치된 기능성 침대들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침대를 구성하는 '프레임구조체'의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도록 된 수납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수납공간에 물품들이 수납하도록 된 '수납 침대'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침대의 하부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공간사용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5-0022891호(명칭: 수납공간이 구비된 침대/2005.08.08.)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양측 상단에는 슬라이딩 레일이 설치되는 침대본체 및 전술한 침대본체의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양측 하부에 슬라이딩 유닛이 설치되며, 전술한 침대본체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수납공간을 개폐시키는 상판을 포함하는 침대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2-0028595호(명칭: 수납공간부가 구비된 침대/2002.09.24.)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침대 본체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어 종 또는 횡방향으로 폴딩되는 매트리스를 포함하며, 이 매트리스를 받치되, 상기 침대 본체의 상부에 안착되어지는 매트리스가 폴딩되는 폭만큼 폴딩수단에 의해 그 양측이 상반되게 개폐되도록 결합되어지며 매트리스의 폴딩방향과 일치되게 폴딩되도록 한복수의 폴딩 프레임과, 상기 침대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납되는 물품에 따라 다양한 수납공간부를 제공하는 다수의 구획판이 구비된 침대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1-0003889호(명칭: 개폐식 뚜껑을 구비한 침대프레임/2001.02.16.)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침대프레임을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으로 분리 형성하고 제 1 프레임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서랍식 수납공간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 2 프레임 내부 중앙에 칸막이를 형성하고 칸막이 좌·우로 수납부를 형성한 침대프레임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 20-2000-0028159호(명칭: 물품수납기능을 갖는 침대/2000.10.10.)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본체 내부에 물품이 수납 인출 가능하도록 구성된 침대에 있어서, 침대본체의 상부를 개방하여 내측 수납공간부를 다수개의 격벽으로 분리 구성하고 격벽으로 분리된 각 수납공간부의 상부를 각각의 상판으로 덮어 밀폐시켜주되, 통상의 고정구를 측벽의 일측면 상부와 상판의 저면 일측에 각각 고정하여 상판이 일측으로 회동되어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각 수용부에는 양쪽 측판이 중앙 연결판과 일체형으로 연결 형성된 보조칸막이가 내설되어 구성된 침대가 기재되어 있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5-0022891호(2005.08.08.)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2-0028595호(2002.09.24.)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1-0003889호(2001.02.16.)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 20-2000-0028159호(2000.10.10.)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리프트 침대(수납침대)들에서 판넬(상판)을 고정하는 도어브라켓은, 단순이 프레임구조체로 이루어져 있어, 판넬과의 조립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수납공간이 구비된 침대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브라켓에 판넬을 결합할 때, 좁은 작업공간과 경사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도어브라켓상에서의 판넬의 지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조립작업이 불편하고 불량발생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납공간의 개구에 대하여 개폐하면서 상부에 매트리스가 안치되는 개폐판넬을 침대본체에 고정하는 중에, 개폐판넬과의 조립작업이 안정적이면서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경제적 이익을 구현하도록 된 리프트침대용 도어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리프트침대용 도어브라켓은, 상부개구를 통해 내부에 물품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침대본체와, 상기 침대본체의 상기 상부개구를 개폐하도록 된 개폐판넬과, 상기 침대본체에 대하여 상기 개폐판넬을 회전운동가능하게 결속시킴과 더불어 탄성지지력을 형성하도록 된 탄성지지수단을 포함하는 리프트침대에 적용되어 상기 탄성지지수단에 대하여 상기 개폐판넬를 고정하며 상기 개폐판넬의 저면에 길이를 가지면서 결합되는 리프트침대용 도어브라켓에 있어서;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구조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침대본체에 대하여 상기 개폐판넬이 수납공간을 개방한 상태에서 하측에 위치한 하단에 상기 개폐판넬의 단부를 밀착하면서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판넬과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가 관통되면서 결합되는 브라켓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리프트침대용 도어브라켓은, 간편한 볼트체결구조를 통해 개폐판넬과 도어브라켓을 결합하도록 됨에 따라, 제조를 용이하게 하도록 되어 경제적 이익을 구현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도어브라켓의 상부에 개폐판넬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개폐판넬의 하단을 지지부재를 통해 지지하여 그 위치 및 자세를 확고히 유지하면서 볼트체결작업을 수행하도록 됨에 따라, 조립작업이 안정적이면서 신속하게 이루어져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리프트침대용 도어브라켓을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리프트침대용 도어브라켓이 적용된 리프트침대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리프트침대용 도어브라켓을 구성하는 지지부재의 일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리프트침대용 도어브라켓을 구성하는 지지부재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리프트침대용 도어브라켓을 구성하는 지지부재의 또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리프트침대용 도어브라켓이 적용된 리프트침대를 구성하는 개폐판넬을 보인 개략 저면 사시 예시도.
도 1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리프트침대용 도어브라켓이 적용된 리프트침대를 구성하는 개폐판넬을 보인 개략 저면 예시도.
도 1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리프트침대용 도어브라켓이 적용된 리프트침대를 구성하는 개폐판넬을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리프트침대용 도어브라켓이 적용된 리프트침대를 구성하는 개폐판넬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리프트침대용 도어브라켓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리프트침대용 도어브라켓(1)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리프트침대용 도어브라켓(1)은, 상부개구를 통해 내부에 물품이 수납되는 수납공간(A)이 형성된 침대본체(120)와, 상기 침대본체(120)의 상기 상부개구를 개폐하도록 된 개폐판넬(130)과, 상기 침대본체(120)에 대하여 상기 개폐판넬(130)을 회전운동가능하게 결속시킴과 더불어 탄성지지력을 형성하도록 된 탄성지지수단(200)을 포함하는 리프트침대(100)에 적용되어, 상기 탄성지지수단(200)에 대하여 상기 개폐판넬(130)를 고정하며 상기 개폐판넬(130)의 저면에 길이를 가지면서 결합하는 것에 적합하게 적용된다.
즉, 상부에 매트리스(110)가 안치되면서 상기 수납공간(A)의 상부개구를 개폐하도록 된 상기 개폐판넬(130)을 상기 침대본체(12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에서 개폐판넬(130)은, 상기 리프트침대(100)의 수납공간(A)을 개폐하는 '개폐도어의 기능'과 매트리스(110)를 안치하는 '상판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평상시에는 상부에 상기 매트리스(110)가 안치된 상태에서 침대의 기능을 수행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 개폐판넬(130)을 회전운동시켜 상기 침대본체(120)의 상기 수납공간(A)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수납공간(A)에 수용된 물품을 선택적으로 수납하게 된다.
상기에서 침대본체(120)는, 바닥에 대하여 직립되게 시설되며 길이를 가지는 다수의 '판(板;plate)' 형상의 측면프레임판들이 '사각틀' 형상으로 결속조립되어 내부에 상기 수납공간(A)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프레임판들의 하단을 연결하여 상기 수납공간(A)의 하부를 폐쇄하도록 된 바닥판이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종래 공지된 기술이 적용된 구조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에서 탄성지지수단(200)은, 상기 침대본체(120)에 대하여 상기 개폐판넬(130)을 회전운동가능하게 결속시킴과 더불어 탄성지지력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탄성지지수단(200)을 통해 상기 침대본체(120)에 대하여 상기 개폐판넬(130)을 탄성지지하면서 회전운동시키어 상기 수납공간(A)을 개폐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매트리스(110)가 적층되어 소정의 하중을 가지는 상기 개폐판넬(130)을 상기 탄성지지수단(200)의 탄성지지력을 통해 사용자에게 개방압력을 보강하도록 된다.
따라서, 노약자라도 안정되게 상기 수납공간(A)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도록 되어 사용성을 향상된다.
상기에서 탄성지지수단(20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리프트침대용 도어브라켓(1)과 간격을 가지면서 평행한 방향성을 가지고 상기 침대본체(120)에 길이를 가지면서 구비되는 수납브라켓(220)과; 일단은 상기 도어브라켓(1)에 도어회전축을 통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수납브라켓(220)의 수납회전축을 통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하되, 상기 도어브라켓(1)과 상기 수납브라켓(220)에 대하여 직각상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배치되는 수직지지링크(230)와; 일단은 상기 도어브라켓(1)에 도어가변축을 통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수납브라켓(220)의 수납가변축을 통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하는 가변지지링크(240)와; 일단은 상기 도어브라켓(1)의 탄성지지축을 통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가변지지링크(240)에 탄성가변축을 통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하되 신축탄성력을 가지는 탄성지지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판넬(130)의 저면에 상기 도어브라켓(1)이 결합되고, 상기 침대본체(120)의 내측면에 상기 수납브라켓(2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지지링크(230)의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침대본체(120)에 대하여 상기 개폐판넬(130)이 회전운동하도록 됨에 따라, 상기 수납공간(A)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변지지링크(240)를 통해 상기 수납브라켓(220)에 대하여 상기 도어브라켓(1)을 지지하게 되며, 상기 탄성지지부재(250)를 통해 상기 가변지지링크(240)에 대하여 상기 개폐판넬(130)을 탄성지지하도록 됨에 따라, 상기 침대본체(120)에 대하여 회전운동하는 상기 개폐판넬(130)이 탄성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판넬(130)의 개방상태기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됨은 물론, 상기 개폐판넬(130)을 개방하고자 상부로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작은 힘으로도 안정되게 개방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노약자라도 안정되게 상기 수납공간(A)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도록 되어 사용성을 향상된다.
상기에서 탄성지지부재(250)는, 종래 공지된 기술이 적용된 '가스스프링 구조체'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개폐판넬(130)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취부한 후, 개폐작업을 수행하도록 되는 '손잡이홈'(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리프트침대용 도어브라켓(1)은,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구조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침대본체(120)에 대하여 상기 개폐판넬(130)이 수납공간(A)을 개방한 상태에서 하측에 위치한 하단에 상기 개폐판넬(130)의 단부를 밀착하면서 지지하는 지지부재(6)가 돌출형성된다.
즉, 상기 도어브라켓(1)의 상부에 상기 개폐판넬(130)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상기 개폐판넬(130)의 하단을 상기 지지부재(6)를 통해 지지하여 그 위치 및 자세를 확고히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조립작업이 안정적이면서 신속하게 이루어져 작업성이 향상된다.
상기에서 도어브라켓(1)은, 길이를 가지는 '일자형 판(板;plate)' 형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절곡되어 단면형상의 'ㄱ'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그 형상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형상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리프트침대용 도어브라켓(1)에서, 상기 지지부재(6)는, 상기 도어브라켓(1)의 단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형성된 '돌출편'(61)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돌출편(61)은, 상기 도어브라켓(1)의 단부에서 절곡형성될 수 있고, 별도의 '금속편'이 용접 및 나사결합을 통해 조립될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6)는, 도어브라켓(1)의 단부에서 상면에 결합된 길이를 가지는 '봉(rod)' 형상의 '지지봉'(62)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양단이 상기 도어브라켓(1)의 단부에서 상면에 각각 결합되며 중앙부위가 절곡된 '∩' 형상의 '절곡봉'(6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리프트침대용 도어브라켓(1)에는, 상기 개폐판넬(130)과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51)가 관통되면서 결합되는 브라켓체결공(Bh)이 형성된다.
즉, 상기 체결볼트(51)를 통한 간편한 '볼트체결구조'를 통해 상기 개폐판넬(130)과 상기 도어브라켓(1)을 결합하도록 됨에 따라, 제조를 용이하게 하도록 되어 경제적 이익을 구현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판넬(130)은, 저면에 상기 도어브라켓(1)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가지면서 다수 개가 형성되는 고정홈(21)들이 형성된 '판(板;plate)' 형상의 베이스판(2)과; 길이를 가지며 각각의 상기 고정홈(21)에 맞춤되게 끼움결속되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관(管;pipe)'로 이루어진 다수의 심관(3)들과; 상기 베이스판(2)과 각각의 상기 심관(3)들을 체결하는 체결수단(5);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판(2)의 상기 고정홈(21)들에 상기 심관(3)들이 각각 맞춤되면서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수단(5)을 통해 결합하여 조립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심관(3)들을 통해 내구성이 취약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상기 베이스판(2)에 대한 내구성을 구조적으로 향상시키어 사용상의 안전성을 구현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베이스판(2)은, '목재'를 재질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종래 공지된 기술이 적용된 구조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심관(3)들은, '사각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종래 공지된 기술이 적용된 구조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심관(3)들은, 단일의 상기 베이스판(2)에 대하여 3개가 간격을 가지면서 평행한 방향으로 결속고정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심관(3)들은, 상기 침대본체(120)의 각각의 양측상단들에 양측부위가 각각 접촉하도록 된 길이와 배치를 가지면서 상기 베이스판(2)에 결속될 수 있다.
즉, 상기 침대본체(120)의 양측 상단들에 대하여 상기 심관(3)들을 통해 지지하도록 적층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판(2)에 대한 테두리부위에서의 파단손상을 방지하도록 됨에 따라, 구조적 안성을 확보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체결수단(5)은, 상기 베이스판(2)과 상기 심관(3)들 및 상기 도어브라켓(1)에 각각 서로 맞춤되면서 형성되는 베이스판체결공(22)들과 심관체결공(31)들; 및 상기 브라켓체결공(Bh)들을 각각 관통하면서 체결너트(52)에 나사체결되는 상기 체결볼트(5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판(2)과 각각의 상기 심관(3)들 및 상기 도어브라켓(1)을 각각 관통하는 상기 체결볼트(51)와 상기 체결볼트(51)에 나사결합되는 상기 체결너트(52)를 통한 '볼트체결구조'를 구성하여 상기 베이스판(2)과 각각의 상기 심관(3)들 및 상기 도어브라켓(1)을 동시에 결합하여 조립하게 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도어브라켓(1)과 상기 베이스판(2)을 직접적으로 결속하지 않고 내구성이 비교적 큰 상기 심관(3)들을 통해 결속됨에 따라, 결속부위에서의 구조적 손상 및 붕괴가 발생되지 않아 사용품질이 향상된다.
상기에서 베이스판(2)의 상면에는, 상기 체결볼트(51)의 '볼트머리부'가 수용되는 수용홈(23)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볼트(51)의 '볼트머리부'가 상기 베이스판(2)의 상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개폐판넬(130)은, 복수의 상기 베이스판(2)들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2개의 상기 베이스판(2)들이 상기 도어브라켓(1)에 서로 연결되게 고정결합되어 상기 침대본체(120)의 상부개구 전체를 개폐하는 상기 개폐판넬(130)을 구성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판넬(130)의 크기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어,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함은 물론, 운반 및 보관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져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리프트침대용 도어브라켓(1)은, 상기 개폐판넬(130)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된 상기 지지부재(6)를 구비하는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도어브라켓
100 : 리프트침대 110 : 매트리스
120 : 침대본체 130 : 개폐판넬
200 : 탄성지지수단 220 : 수납브라켓
230 : 수직직지링크 240 : 가변지지링크
250 : 탄성지지부재 2 : 베이스판
21 : 고정홈 22 : 베이스판체결공
23 : 수용홈 3 : 심관
31 : 심관체결공 4 : 손잡이홈
5 : 체결수단 51 : 체결볼트
52 : 체결너트 6 : 지지부재
61 : 돌출편 62 : 지지봉
63 : 절곡봉 Bh : 브라켓체결공
A : 수납공간

Claims (2)

  1. 상부개구를 통해 내부에 물품이 수납되는 수납공간(A)이 형성된 침대본체(120)와, 상기 침대본체(120)의 상기 상부개구를 개폐하도록 된 개폐판넬(130)과, 상기 침대본체(120)에 대하여 상기 개폐판넬(130)을 회전운동가능하게 결속시킴과 더불어 탄성지지력을 형성하도록 된 탄성지지수단(200)을 포함하는 리프트침대(100)에 적용되어 상기 탄성지지수단(200)에 대하여 상기 개폐판넬(130)를 고정하며 상기 개폐판넬(130)의 저면에 길이를 가지면서 결합되며;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구조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침대본체(120)에 대하여 상기 개폐판넬(130)이 수납공간(A)을 개방한 상태에서 하측에 위치한 하단에 상기 개폐판넬(130)의 단부를 밀착하면서 지지하는 지지부재(6)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개폐판넬(130)과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51)가 관통되면서 결합되는 브라켓체결공(Bh))이 형성되는 리프트침대용 도어브라켓(1)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넬(130)은,
    저면에 상기 도어브라켓(1)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가지면서 다수 개가 형성되는 고정홈(21)들이 형성된 '판(板;plate)' 형상의 베이스판(2)과, 길이를 가지며 각각의 상기 고정홈(21)에 맞춤되게 끼움결속되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관(管;pipe)'로 이루어진 다수의 심관(3)들과, 상기 베이스판(2)과 각각의 상기 심관(3)들을 체결하는 체결수단(5)을 포함하되;
    상기 심관(3)들은,
    상기 침대본체(120)의 각각의 양측상단들에 양측부위가 각각 접촉하도록 된 길이와 배치를 가지면서 상기 베이스판(2)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침대용 도어브라켓.
  2. 삭제
KR1020220066963A 2022-05-31 2022-05-31 리프트침대용 도어브라켓 KR102663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963A KR102663251B1 (ko) 2022-05-31 2022-05-31 리프트침대용 도어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963A KR102663251B1 (ko) 2022-05-31 2022-05-31 리프트침대용 도어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6686A KR20230166686A (ko) 2023-12-07
KR102663251B1 true KR102663251B1 (ko) 2024-05-03

Family

ID=89163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6963A KR102663251B1 (ko) 2022-05-31 2022-05-31 리프트침대용 도어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25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78454B2 (ja) * 2011-03-31 2015-09-16 株式会社錦之堂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ベッド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78454B2 (ja) * 2011-03-31 2015-09-16 株式会社錦之堂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ベッ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6686A (ko) 2023-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22216A1 (en) Extendable folding bed frame
US9289063B2 (en) Convertible headboard tabl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5443020A (en) Plastic table structure
US9918555B2 (en) Adjustable bed with storage compartment
CN207902936U (zh) 可折叠储存间隔体
KR20200002858U (ko) 다기능 통기성 물건 보관함
US9930970B2 (en) Adjustable bed with outer support perimeter
CN102726979A (zh) 具有座位伸展器的沙发
KR102663251B1 (ko) 리프트침대용 도어브라켓
KR102650475B1 (ko) 리프트침대용 판넬
KR102607256B1 (ko) 리프트침대용 판넬
US5494181A (en) Roll-top cedar chest
CA2798329A1 (en) Foldable artist bench
US20230106161A1 (en) Furniture Article
KR200456067Y1 (ko) 상판 접이식 책상
KR20120079311A (ko) 수납박스
KR102118554B1 (ko) 조립이 용이한 침대프레임과 이에 의해 조립된 침대
US2317613A (en) Crate for refrigerator cabinets and the like
CN208371364U (zh) 一种便于展开及收纳的折叠床架
JP3051883U (ja) ソファーマットレス
CN214815957U (zh) 一种折叠式焊接挡风装置
KR102072034B1 (ko) 침대
KR200419103Y1 (ko) 수납장이 구비된 아기용 안전침대
KR20220002870U (ko) 기능성 침대
CN221012618U (zh) 一种折叠床垫支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