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490B1 - 용수저장조의 골조 구조물 - Google Patents

용수저장조의 골조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490B1
KR101779490B1 KR1020170031094A KR20170031094A KR101779490B1 KR 101779490 B1 KR101779490 B1 KR 101779490B1 KR 1020170031094 A KR1020170031094 A KR 1020170031094A KR 20170031094 A KR20170031094 A KR 20170031094A KR 101779490 B1 KR101779490 B1 KR 101779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water
frame structure
storage tank
wat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홍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홍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홍인
Priority to KR1020170031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94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용수, 생활용수, 공사용수 및 편의용수 등을 포함한 각종 용수를 저장할 때 사용되기 위한 용수저장조의 골조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골조 구조물을 폴딩 타입으로 구성함으로써 휴대,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해 이동성이 우수한 등 전반적인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가져 경제적인 부담 또한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한 용수저장조의 골조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골조 구조물을 지주봉, 연결바 및 연결부로 간단하게 구성하면서 연결바를 체결하는 연결부를 폴딩 타입으로 구성함으로써 휴대,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해 이동성이 우수한 등 전반적인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가져 경제적인 부담 또한 경감시킬 수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용수저장조의 골조 구조물{Framework of water storage tank}
본 발명은 소방용수, 생활용수, 공사용수 및 편의용수 등을 포함한 각종 용수를 저장할 때 사용되기 위한 용수저장조의 골조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골조 구조물을 폴딩 타입으로 구성함으로써 휴대,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해 이동성이 우수한 등 전반적인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가져 경제적인 부담 또한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한 용수저장조의 골조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수저장조는 유체 즉, 생활용수, 소방용수, 공사용수 및 편의용수 등을 포함한 각종 용수를 지원하기 위해 설치 사용되고 있으나, 통상 금속재질 혹은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되는 탱크를 통째로 화물차에 적재하여 운반되거나 지정된 장소에 설치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저장조는 고정식임에 따라 지정된 장소 이외의 곳에서 용수 지원이 요구될 경우 신속하게 대처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간이 시설물 형태로 된 새로운 용수저장조가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특허공개번호 제10-2009-0128116호(2009.12.15. 공개)의 분리형 유체저장탱크가 제안되었다.
이 공보를 참조로 하면, 종래의 유체저장탱크는 담수부재, 프레임, 지지부재, 연결부재 및 분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져, 프레임을 기준으로 지지부재 및 연결부재를 볼팅 체결토록 하여 조립이 가능한 타입으로 구성함으로써 휴대성 및 설치 효율을 향상시키고 있다.
물론, 이는 조립 및 분리 가능한 타입으로 구성함에 따른 효율성이 증대되는 부분이 있었으나 상기 프레임, 지지부재 및 연결부재를 조립하기 위해서 항시 볼팅을 체결해야 되는 단점, 볼팅된 부분을 분리해야만 분해가 가능한 점에서 설치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골조 구조물을 폴딩 타입으로 구성함으로써 휴대,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해 이동성이 우수한 등 전반적인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가져 경제적인 부담 또한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한 용수저장조의 골조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사각형 혹은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도록 직립 설치되는 다수 개의 지주봉; 상기 지주봉 사이에서 상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지주봉을 수평 방향에서 연결하기 위한 다수 개의 연결바; 및 상기 지주봉의 상하측에 각각 장착되어서 상기 연결바를 체결하되, 각도 조절에 의해 상기 연결바를 일자 형태 혹은 직각 형태로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는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제1,2회전축으로 구성된 회전축부재; 상기 제1,2회전축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2회전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2회전체에는 상기 연결바를 볼팅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가 각각 형성된 회전체부재; 및 상기 회전축부재의 상하면에 각각 구비되는 상판 및 하판으로 구성되며, 적어도 상기 하판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돌출된 테두리를 형성하고, 상기 테두리에는 상기 제1,2회전체를 일자 방향 혹은 직각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해 각 회전체의 체결부가 안착되는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를 뒤집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은 하판의 대칭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골조 구조물을 지주봉, 연결바 및 연결부로 간단하게 구성하면서 연결바를 체결하는 연결부를 폴딩 타입으로 구성함으로써 휴대,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해 전반적인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가져 경제적인 부담 또한 경감시킬 수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수저장조의 골조 구조물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바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보인 확대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결합관계를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수저장조의 골조 구조물을 폴딩시키는 모습을 보인 일부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용수저장조의 골조 구조물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수저장조의 골조 구조물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바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확대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결합관계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수저장조의 골조 구조물을 폴딩시키는 모습을 보인 일부 확대도이다.
도 1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용수저장조의 골조 구조물(100)는 크게 지주봉(110), 연결바(120) 및 연결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전체적인 형상이 정사각형 혹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골조 구조물(100) 내부에 파선으로 도시된 담수부재(20)가 설치되면 생활용수, 소방용수, 공사용수 및 편의용수 등을 포함한 각종 용수를 저장할 수 있는 용수저장조(10)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담수부재(20)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방수천과 같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주봉(110)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전체적인 형상이 정사각형 혹은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도록 일정 간격으로 직립 설치되는 다수 개의 봉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지주봉(110)은 원형 봉 형상이 기본이나 각 봉을 사용하여도 무방함을 인지해야 되며, 길이 혹은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바(120)는 도 1 및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주봉(110) 사이에서 상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지주봉(110)을 수평 방향에서 연결하기 위한 다수 개의 바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바(120) 또한 상기 지주봉(110)과 동일한 원형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 또한 각 봉 타입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연결바(120)가 지주봉(110)에 직접 체결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할 연결부(130)를 매개로 체결되는 것으로,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 단에는 상기 연결부(130)와 미부호 설명인 볼트를 매개로 볼팅 체결되기 위한 볼팅공(124)이 형성된 결합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연결부(130)는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주봉(110)의 상하측에 대칭되게 장착되어서 상기 연결바(120)를 체결하되, 각도 조절에 의해 상기 연결바(120)를 일자 형태 혹은 직각 형태로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연결부(130)가 일자 타입 혹은 직각 타입 전용으로 구분되어서 각각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연결부(130)가 각도 조절에 의해 일자 혹은 직각 타입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한 것임을 인지해야 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부(130)는 도 3 내지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게 회전축부재(132), 회전체부재(134) 및 고정판부재(1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상기 회전축부재(132)는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제1,2회전축(132a,132b)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부재(134)는 상기 제1,2회전축(132a,132b)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2회전체(134a,134b)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2회전체(134a,134b)에는 상기 연결바(120)의 결합부(122)와 미부호 설명인 볼트를 매개로 볼팅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135a,135b)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135a,135b)에는 결합공(136a,136b)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부재(137)는 상기 회전축부재(132)의 상하면에 각각 구비되는 상판(137a) 및 하판(137b)으로 구성되며, 적어도 상기 하판(137b)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상향 돌출된 테두리(138)를 형성하고, 상기 테두리(138)에는 상기 회전체부재(134)의 제1,2회전체(134a,134b)를 일자 방향 혹은 직각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해 각 회전체(134a,134b)의 체결부(135a,135b)가 안착되도록 형성된 삽입홈(139)이 다수 구비된다. 즉, 상기 삽입홈(139)은 제1,2회전체(134a,134b)의 체결부(135a,135b)를 각각 안착하여 일자 형태로 고정하기 위해 하판(137b)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2회전체(134a,134b)를 서로 직각 형태 혹은 십일자 형태로 폴딩시켜 고정하기 위해 하판(137b)의 좌면과 우면 전후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즉, 하판(137b)의 전면 및 좌면과 우면 전측에 형성된 삽입홈(139)은 제1회전체(134a)의 회전 반경 내에 위치하고 있어 제1회전체(134a)를 안착하여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고, 하판(137b)의 후면 및 좌면과 우면 후측에 형성된 삽입홈(139)은 제2회전체(134b)의 회전 반경 내에 위치하고 있어 제2회전체(134b)를 안착하여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이렇게 구성되면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체(134a)의 체결부(135a)가 하판(137b)의 전면에 형성된 삽입홈(139)으로 안착된 상태이고, 제2회전체(134b)의 체결부(135b)는 후면에 형성된 삽입홈(139)으로 삽입된 상태이면 두 회전체(134a,134b)는 일자 형태를 가지게 되는 것으로, 두 회전체(134a,134b)의 체결부(135a,135b)가 각 삽입홈(139)에 안착된 상태이므로 무단으로 각도가 변경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체(134a)의 체결부(135a)를 상향시켜서 삽입홈(139)에서 이탈시킨 뒤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그 면에 형성된 삽입홈(139)으로 안착시키게 되면 두 회전체(134a,134b)는 직각 형태를 취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2회전체(134a,134b)의 각도 변경을 통해 체결되는 연결바(120)를 일자 형태 혹은 직각 형태로 체결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130)를 뒤집어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고정판부재(137)의 상판(137a)을 하판(137b)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하여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결국, 상하면에 연결부(130)가 장착된 지주봉(110)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면서 그 사이 상하측에 연결바(120)를 위치시켜 상기 연결부(130)의 회전체부재(134)에 구비된 체결부(135a,135b)와 연결바(120)의 결합부(122)를 서로 볼팅 체결시킴으로써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각형 형태의 골조 구조물(10)를 쉽게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코너 부분에는 상기 연결부(130)의 제1,2회전체(134a,134b)를 직각 형태로 형성하여 연결바(120)를 체결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용수저장조의 골조 구조물(100)를 형성함에 있어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된 골조 구조물(100)를 운반하거나 설치된 장소에서 이송이 필요할 때 골조 구조물을 분리 할 필요 없이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부(130)의 제1,2회전체(134a,134b)를 좌측방향으로 회전시켜 하판(137b)의 좌측면에 형성된 삽입홈(139)으로 삽입시켜 고정하는 방식으로, 각 회전체(134a,134b)에 체결된 연결바(120)를 십일자 형태로 폴딩(folding)시킬 수 있어 골조 구조물(100) 자체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운반할 수 있어 운반에 대한 용이성도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나아가 운반된 골조 구조물(100)을 재 설치하기 위해서는 폴딩된 부분을 펼치면서 연결부(130)의 제1,2회전체(134a,134b)를 골조 구조물(100) 형상에 맞게 회전시켜 고정시키면 설치가 완료되기 때문에 별도의 공구 없이도 설치 가능한 큰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는 구조적인 간편함은 물론이고 운반 혹은 설치에서 용이성이 향상됨은 물론이고 폴딩 타입으로 인해 이동성이 우수한 등 편의성이 크게 향상됨에 따라 경제적인 비용 경감도 가능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 : 용수저장조 20 : 담수부재
100 : 용수저장조의 골조 구조물 110 : 지주봉
120 : 연결바 122 : 결합부
124 : 볼팅공 130 : 연결부
132 : 회전축부재 132a : 제1회전축
132b : 제2회전축 134 : 회전체부재
134a : 제1회전체 134b : 제2회전체
135a,135b : 체결부 136a,136b : 결합공
137 : 고정판부재 137a : 상판
137b : 하판 138 : 테두리
139 : 삽입홈

Claims (3)

  1. 정사각형 혹은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도록 직립 설치되는 다수 개의 지주봉;
    상기 지주봉 사이에서 상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지주봉을 수평 방향에서 연결하기 위한 다수 개의 연결바; 및
    상기 지주봉의 상하측에 각각 장착되어서 상기 연결바를 체결하되, 각도 조절에 의해 상기 연결바를 일자 형태 혹은 직각 형태로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는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제1,2회전축으로 구성된 회전축부재;
    상기 제1,2회전축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2회전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2회전체에는 상기 연결바를 볼팅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가 각각 형성된 회전체부재; 및
    상기 회전축부재의 상하면에 각각 구비되는 상판 및 하판으로 구성되며, 적어도 상기 하판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돌출된 테두리를 형성하고, 상기 테두리에는 상기 제1,2회전체를 일자 방향 혹은 직각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해 각 회전체의 체결부가 안착되는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를 뒤집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은 하판의 대칭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저장조의 골조 구조물.
  2. 삭제
  3. 삭제
KR1020170031094A 2017-03-13 2017-03-13 용수저장조의 골조 구조물 KR101779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094A KR101779490B1 (ko) 2017-03-13 2017-03-13 용수저장조의 골조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094A KR101779490B1 (ko) 2017-03-13 2017-03-13 용수저장조의 골조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9490B1 true KR101779490B1 (ko) 2017-09-18

Family

ID=60034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094A KR101779490B1 (ko) 2017-03-13 2017-03-13 용수저장조의 골조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94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91351A (zh) * 2020-06-19 2020-09-22 江苏宝顺塑胶有限公司 一种内嵌骨架的交通运输设备用水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7492A (ja) * 2004-10-13 2006-06-01 Mitsubishi Chem Mkv Co 組み立て式水槽
KR100847869B1 (ko) * 2007-02-21 2008-07-23 노태종 조립식 텐트의 지지대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7492A (ja) * 2004-10-13 2006-06-01 Mitsubishi Chem Mkv Co 組み立て式水槽
KR100847869B1 (ko) * 2007-02-21 2008-07-23 노태종 조립식 텐트의 지지대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91351A (zh) * 2020-06-19 2020-09-22 江苏宝顺塑胶有限公司 一种内嵌骨架的交通运输设备用水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1160B2 (en) Foldable bed frame
US2168913A (en) Tent
ES2855974T3 (es) Sistema para formar una estructura
US3000602A (en) Pallet container
KR101779490B1 (ko) 용수저장조의 골조 구조물
US1538311A (en) Collapsible bathhouse
ES2935821T3 (es) Caja plegable y casa de mascotas usando la caja
KR101670632B1 (ko) 휴대용 변기
US6820629B2 (en) Leg assembly for a canopy
US11104509B2 (en) Cargo container
US1742313A (en) Portable pool
JP2012025399A (ja) 折畳式水槽
KR101865581B1 (ko) 조립식 책상 프레임
CN212026681U (zh) 一种避震安全仓的外墙连接结构
KR101097100B1 (ko) 의자 일체형 조립식 테이블
CN102691353B (zh) 折叠杆互承式支撑的简易活动房支架结构
KR102663251B1 (ko) 리프트침대용 도어브라켓
CN214815957U (zh) 一种折叠式焊接挡风装置
CN213962613U (zh) 一种合式钢塑二折床及组合双人架子床
KR20180045137A (ko) 휴대용 변기
KR20190017433A (ko) 용수저장조의 골조 구조물
KR200481408Y1 (ko) 변환탁자
CN210460099U (zh) 地上水池
KR102496624B1 (ko) 가이드 분리형 김장용 테이블
CN218127445U (zh) 一种可折叠桌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