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862Y1 -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 - Google Patents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862Y1
KR200494862Y1 KR2020200002662U KR20200002662U KR200494862Y1 KR 200494862 Y1 KR200494862 Y1 KR 200494862Y1 KR 2020200002662 U KR2020200002662 U KR 2020200002662U KR 20200002662 U KR20200002662 U KR 20200002662U KR 200494862 Y1 KR200494862 Y1 KR 2004948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head
floor
cleaning surface
head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6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규
Original Assignee
이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규 filed Critical 이덕규
Priority to KR20202000026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8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8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8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1Squeege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헤드부와; 일단이 상기 헤드부의 중앙 일측에 결합되는 봉 형상의 손잡이부와; 상기 헤드부의 양측단에 각각 서로 다른 경사방향을 가지며 마련되어, 청소면의 물기를 제거하는 제1와이퍼 및 제2와이퍼;를 포함하되, 상기 경사방향은, 상기 손잡이부를 통해 상기 헤드부를 밀거나 당길때 상기 헤드부의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청소면과 접촉되는 상기 제1와이퍼 및 제2와이퍼의 끝단이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헤드부의 양측에 서로 다른 경사방향을 갖는 2개의 와이퍼를 마련함으로써 사용자 측으로 헤드부를 당기거나 밀어내면서 물기를 제거할 때, 손쉽게 헤드부를 돌려 사용하기만 하면 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가된다.

Description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APPARATUS FOR CLEANING MOISTURE OF FLOOR AND WINDOW}
본 고안은, 물기 제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헤드부의 양측에 서로 다른 경사방향을 갖는 2개의 와이퍼를 마련함으로써 사용자 측으로 헤드부를 당기거나 밀어내면서 물기를 제거할 때, 손쉽게 헤드부를 돌려 사용하기만 하면 되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호텔이나 식당 등의 공공시설이나 가정의 욕실 등의 바닥면 또는 유리창을 물청소한 후 남아있는 물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물기 제거기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물기 제거기는 손잡이가 중앙 일측에 고정된 헤드부가 마련되고, 헤드부의 일측에는 거품등을 이용하여 청소하기 위한 스펀지가 마련되고, 헤드부의 타측면에는 물청소 후에 청소면에 남아있는 물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탄성재질의 와이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퍼를 청소면에 수직으로 놓은 채로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헤드부를 밀거나 당기면 더 많은 힘이 소요되기 때문에, 통상의 와이퍼는 일정한 경사를 가지도록 마련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와이퍼의 경사가 한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유리창의 상단 끝에서 중앙부분으로 사용자를 향해 끌어당길 때에는 경사방향에 의해 많은 힘이 들지 않지만, 반대로 유리창의 중앙부분에서 하단부로 사용자로부터 밀어내는 경우에는 경사방향이 반대가 되므로 밀어내는 것 자체가 불가능할 정도로 많은 힘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몸을 낮춰 쪼그려 앉은 상태로 헤드부를 당겨 사용할 수 밖에 없어 사용자가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9473호
이에, 본 고안의 목적은, 헤드부의 양측에 서로 다른 경사방향을 갖는 2개의 와이퍼를 마련함으로써 사용자 측으로 헤드부를 당기거나 밀어내면서 물기를 제거할 때, 손쉽게 헤드부를 돌려 사용하기만 하면 되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와이퍼를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하는 경우, 헤드부의 이동방향에 따라 와이퍼가 경사방향을 자동으로 바꾸게 되므로, 헤드부를 돌리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극대화할 수 있는 있는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헤드부의 일측은 회동형 와이퍼를 구비하고, 헤드부의 타측은 거품발생을 위한 스폰지 또는 부직포 등을 장착함으로써 물기제거는 물론 청소기능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있는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와이퍼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와이퍼가 중앙위치로 복귀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방향으로의 사용이 용이함은 물론, 와이퍼와 와이퍼수용홈 사이에 개제되는 이물질이나 물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게 함으로써 청소가 용이하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헤드부와; 일단이 상기 헤드부의 중앙 일측에 결합되는 봉 형상의 손잡이부와; 상기 헤드부의 양측단에 각각 서로 다른 경사방향을 가지며 마련되어, 청소면의 물기를 제거하는 제1와이퍼 및 제2와이퍼;를 포함하되, 상기 경사방향은, 상기 손잡이부를 통해 상기 헤드부를 밀거나 당길때 상기 헤드부의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청소면과 접촉되는 상기 제1와이퍼 및 제2와이퍼의 끝단이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와이퍼 및 제2와이퍼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각 상기 경사방향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상기 헤드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와이퍼 또는 상기 제2와이퍼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상기 헤드부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청소면과 접촉하는 끝단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일단이 상기 헤드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끝단이 상기 청소면과 이격되는 경우 상기 끝단이 중앙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복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헤드부와; 일단이 상기 헤드부의 중앙 일측에 결합되는 봉 형상의 손잡이부와; 일단이 상기 헤드부의 일측부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를 통해 상기 헤드부를 밀거나 당길 때 끝단이 청소면에 접촉하면서 물기를 제거하는 제1와이퍼;를 포함하되, 상기 제1와이퍼는, 상기 일단이 상기 헤드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헤드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끝단이 상기 헤드부의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와이퍼의 끝단이 상기 청소면과 떨어지는 경우 상기 끝단이 중앙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복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원부는 상기 제1와이퍼의 일단에 마련된 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헤드부의 일측부에는 상기 제1와이퍼의 일단 측이 수용되는 와이퍼수용홈이 마련되고, 상기 복원부는 상기 와이퍼수용홈의 내측 양측벽에 각각 마련된 복수의 탄성돌기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헤드부의 일측부에는 상기 제1와이퍼의 일단 측이 수용되는 와이퍼수용홈이 마련되고, 상기 복원부는 상기 와이퍼수용홈에 수용되는 상기 제1와이퍼의 외주연에 마련된 탄성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따른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에 따르면, 헤드부의 양측에 서로 다른 경사방향을 갖는 2개의 와이퍼를 마련함으로써 사용자 측으로 헤드부를 당기거나 밀어내면서 물기를 제거할 때, 손쉽게 헤드부를 돌려 사용하기만 하면 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가된다.
또한, 본 고안의 따른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에 따르면, 와이퍼를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하는 경우, 헤드부의 이동방향에 따라 와이퍼가 경사방향을 자동으로 바꾸게 되므로, 헤드부를 돌리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극대화된다.
또한, 본 고안의 따른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에 따르면, 헤드부의 일측은 회동형 와이퍼를 구비하고, 헤드부의 타측은 거품발생을 위한 스폰지 또는 부직포 등을 장착함으로써 물기제거는 물론 청소기능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에 따르면, 와이퍼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와이퍼가 중앙위치로 복귀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방향으로의 사용이 용이함은 물론, 와이퍼와 와이퍼수용홈 사이에 개제되는 이물질이나 물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게 함으로써 청소가 용이하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부의 단면도 및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의 헤드부 측 요부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의 헤드부 측 동작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의 헤드부 측 요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1)는, 헤드부(10)와, 손잡이부(20)와, 서로 다른 경사방향을 갖는 제1와이퍼(31) 및 제2와이퍼(32)를 포함하되, 상기 경사방향은 헤드부(10)의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각 와이퍼(31, 32)의 끝단(313)이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헤드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단의 중앙 일측에는 손잡이부(20)의 일단이 결합된다.
헤드부(10)의 전방 및 후방의 양측단에는 설정된 폭을 갖는 2개의 제1와이퍼(31) 및 제2와이퍼가 결합된다.
헤드부(10)는 1개의 통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필요한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한 제1헤드부(11) 및 제2헤드부(12)로 마련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3개 이상의 분리가능한 조립체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손잡이부(20)는 봉 형상으로 마련되어 일단이 상기 헤드부(10)의 중앙 일측에 결합된다.
손잡이부(2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헤드부(10)를 상기 청소면에 밀거나 당기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길이로 마련되며, 필요한 경우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고, 손잡이부(20)와 헤드부(10)의 결합부위에는 상대회동이 가능하도록 힌지부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제1와이퍼(31) 및 제2와이퍼(32)는, 헤드부(10)의 양 측단에 각각 서로 다른 경사방향을 가지며 마련되어, 청소면의 물기를 제거한다.
제1와이퍼(31) 및 제2와이퍼(32)는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재질 또한 고무, 실리콘 등 탄성이 있는 다양한 재질로 제한없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방향은, 손잡이부(20)를 통해 헤드부(10)를 밀거나 당길때 헤드부(10)의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청소면과 접촉되는 제1와이퍼(31) 및 제2와이퍼(32)의 끝단(313)이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도 1에서 제1와이퍼(31)는 헤드부(10)의 하방으로 경사져 있고, 제2와이퍼(32)는 헤드부(10)의 상방으로 경사져 있는데, 제1와이퍼(31)는 도 4의 (a)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부(20)를 이용하여 헤드부(10)를 사용자 쪽으로 당길 때 사용하며, 제2와이퍼(32)는 도 4의 (b)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부(20)를 이용하여 헤드부(10)를 사용자로부터 멀리 밀어낼때 사용한다.
예를 들어, 벽면 유리창의 물기를 제거하는 경우, 유리창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헤드부(10)는 당겨서 물기를 제거할 때에는 제1와이퍼(31)를 사용하며, 반대로 벽면 유리창의 중간 높이에서 하단부로 헤드부(10)를 밀어내리면서 물기를 제거할 때에는 헤드부(10)를 반대방향으로 돌려서 제2와이퍼(32)를 사용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1)의 경우, 헤드부(10)의 양측에 서로 다른 경사방향을 갖는 2개의 와이퍼를 마련함으로써 사용자 측으로 헤드부(10)를 당기거나 밀어내면서 물기를 제거할 때 손쉽게 헤드부(10)를 돌려 사용하면 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제1와이퍼(31) 및 제2와이퍼(32)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각 상기 경사방향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헤드부(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0)를 분리한 다음 오른쪽의 제2와이퍼(32)의 경사방향을 아래로 변경한 후 다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제1와이퍼(31) 또는 제2와이퍼(32)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헤드부(10)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청소면과 접촉하는 끝단(313)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일단(311)이 헤드부(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와이퍼(31)의 일단(311)을 헤드부(10)에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면, 도 4의 (a) 또는 (b)와 같이, 헤드부(10)를 당기거나 밀어낼 때 제1와이퍼(31)의 끝단(313)이 화살표방향으로 회동되면서 경사방향을 바꾸게 된다.
상기의 경우에는, 헤드부(10)의 이동방향에 따라 제1와이퍼(31)가 경사방향을 자동으로 바꾸게 되므로, 헤드부(10)를 돌리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극대화된다.
이 경우, 끝단(313)이 상기 청소면과 이격되면, 끝단(313)이 중앙위치(C, 도 3참조)로 복귀하도록 하는 복원부(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원부(35)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와이퍼(31)의 양측으로 마련된 복수의 탄성돌기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제1와이퍼(31)의 끝단(313)이 청소면에서 떨어지는 경우 상기 탄성돌기(35)에 의해 제1와이퍼(31)의 끝단(313)이 중앙위치(C)로 복원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1)는, 헤드부(10)와, 손잡이부(20)와, 일단(311)이 헤드부(10)의 일측부에 결합되어 손잡이부(20)를 통해 헤드부(10)를 밀거나 당길때 끝단(313)이 상기 청소면에 접촉하면서 물기를 제거하는 제1와이퍼(31)를 포함하되, 제1와이퍼(31)는 일단(311)이 헤드부(10)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헤드부(10)의 이동에 따라 끝단(313)이 헤드부(10)의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여기서, 헤드부(10)는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와이퍼(31)의 일단측이 수용되는 와이퍼수용홈(15)이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퍼수용홈(15)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1)는 헤드부(10)의 일측은 회동형 제1와이퍼(31)를 구비하고, 헤드부(10)의 타측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품발생을 위한 스폰지 또는 부직포 등을 장착함으로써 물기제거는 물론 청소기능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4의 (a)는 손잡이부(20)를 통해 헤드부(10)를 왼쪽으로 당겨 청소면의 물기를 제거하는 경우로서, 제1와이퍼(31)의 끝단(313)은 청소면과 접촉되어 당기는 힘에 의해 헤드부(10)의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 있다.
마찬가지로, 도 4의 (b)는 손잡이부(20)를 통해 헤드부(10)를 오른쪽으로 밀어 청소면의 물기를 제거하는 경우로서, 제1와이퍼(31)의 끝단(313)은 헤드부(10)의 이동방향(오른쪽)의 반대방향인 왼쪽으로 회동된 상태에 있다.
여기서, 제1와이퍼(31)의 끝단(313)이 상기 청소면과 떨어지는 경우, 즉, 제1와이퍼(31)의 끝단(313)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된 경우, 끝단(313)이 중앙위치(C)로 복귀하도록 하는 복원부(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원부(35)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와이퍼(31)의 일단에 마련된 코일스프링(35)으로 마련될 수 있다. 코일스프링(35)은 예를 들어, 제1와이퍼(31)의 일단(311)이 결합된 힌지부분에 마련되고 양단은 와이퍼수용홈(15)에 지지되도록 하여, 제1와이퍼(31)의 끝단(313)에서 외력이 제거되면 제1와이퍼(31)가 중앙위치(C)로 복귀하도록 한다.
또는, 복원부(3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수용홈(15)의 내측 양측벽에 각각 마련된 복수의 탄성돌기(35)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와이퍼(31)의 끝단(313)이 이동되는 측의 탄성돌기(35)는 압축되어 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제1와이퍼(31)를 중앙위치(C)롤 복귀시킨다.
또는, 복원부(3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수용홈(15)에 수용되는 제1와이퍼(31)의 외주연에 마련된 탄성부재(35)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4의 (a)의 경우 우측의 탄성부재(35a)는 압축되어 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제1와이퍼(31)를 중앙위치(C)로 복귀시킨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른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1)는 와이퍼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와이퍼가 중앙위치로 복귀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방향으로의 사용이 용이함은 물론, 와이퍼와 와이퍼수용홈 사이에 개제되는 이물질이나 물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게 함으로써 청소가 용이하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1)에서, 헤드부(10), 손잡이부(20), 제1와이퍼(31) 및 제2와이퍼(32) 및 복원부(35) 등의 구성은 도면 및 설명에 도시된 형상이나 재질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
10 : 헤드부 11 : 제1헤드부
12 : 제2헤드부 15 : 와이퍼수용홈
20 : 손잡이부 31 : 제1와이퍼
311 : 일단 313 : 끝단
35 : 복원부 C : 중앙위치
32 : 제2와이퍼 40 : 스펀지

Claims (8)

  1. 헤드부와;
    일단이 상기 헤드부의 중앙 일측에 결합되는 봉 형상의 손잡이부와;
    상기 헤드부의 양측단에 각각 서로 다른 경사방향을 가지며 마련되어, 청소면의 물기를 제거하는 제1와이퍼 및 제2와이퍼;를 포함하되,
    상기 경사방향은, 상기 손잡이부를 통해 상기 헤드부를 밀거나 당길때 상기 헤드부의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청소면과 접촉되는 상기 제1와이퍼 및 제2와이퍼의 끝단이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퍼 및 제2와이퍼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각 상기 경사방향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상기 헤드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퍼 또는 상기 제2와이퍼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상기 헤드부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청소면과 접촉하는 끝단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일단이 상기 헤드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끝단이 상기 청소면과 이격되는 경우 상기 끝단이 중앙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복원부를 더 포함하는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
  4. 헤드부와;
    일단이 상기 헤드부의 중앙 일측에 결합되는 봉 형상의 손잡이부와;
    일단이 상기 헤드부의 일측부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를 통해 상기 헤드부를 밀거나 당길 때 끝단이 청소면에 접촉하면서 물기를 제거하는 제1와이퍼;를 포함하되,
    상기 제1와이퍼는, 상기 일단이 상기 헤드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헤드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끝단이 상기 헤드부의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와이퍼의 끝단이 상기 청소면과 떨어지는 경우 상기 끝단이 중앙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복원부;를 갖는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는 상기 제1와이퍼의 일단에 마련된 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되는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일측부에는 상기 제1와이퍼의 일단 측이 수용되는 와이퍼수용홈이 마련되고,
    상기 복원부는 상기 와이퍼수용홈의 내측 양측벽에 각각 마련된 복수의 탄성돌기로 마련되는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일측부에는 상기 제1와이퍼의 일단 측이 수용되는 와이퍼수용홈이 마련되고,
    상기 복원부는 상기 와이퍼수용홈에 수용되는 상기 제1와이퍼의 외주연에 마련된 탄성부재로 마련되는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
  8. 삭제
KR2020200002662U 2020-07-22 2020-07-22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 KR2004948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662U KR200494862Y1 (ko) 2020-07-22 2020-07-22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662U KR200494862Y1 (ko) 2020-07-22 2020-07-22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862Y1 true KR200494862Y1 (ko) 2022-01-12

Family

ID=79341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662U KR200494862Y1 (ko) 2020-07-22 2020-07-22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862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0638U (ko) * 1996-05-06 1997-12-10 박국서 유리창닦이
KR200429423Y1 (ko) * 2006-08-08 2006-10-23 박문식 분무장치가 구비된 세척기
KR20100052250A (ko) * 2008-11-10 2010-05-19 김진환 바닥 청소용 밀대
KR200479473Y1 (ko) 2014-05-26 2016-02-02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바닥 청소 및 물기 제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0638U (ko) * 1996-05-06 1997-12-10 박국서 유리창닦이
KR200429423Y1 (ko) * 2006-08-08 2006-10-23 박문식 분무장치가 구비된 세척기
KR20100052250A (ko) * 2008-11-10 2010-05-19 김진환 바닥 청소용 밀대
KR200479473Y1 (ko) 2014-05-26 2016-02-02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바닥 청소 및 물기 제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9275B2 (en) Glass surface cleaning machine
US7412746B1 (en) Single action mop wringer
GB248029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mop material
JPH0624663U (ja) 真空掃除機のクリーナーヘッド
KR200403071Y1 (ko) 밀대 및 카트리지가 내장된 밀대걸레
KR200494862Y1 (ko)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
KR101982453B1 (ko) 보조소제부가 구비된 청소기구
KR101427402B1 (ko) 휴대용 휠체어 청소 모듈
KR101874385B1 (ko) 청소용 밀대
KR101762563B1 (ko) 탈수기능이 구비된 청소용 밀대
CN114052555A (zh) 吸尘器的充电装置及其控制方法、吸尘设备
KR100961890B1 (ko) 물걸레 청소기
JP2002102133A (ja) 掃除用具
KR101521181B1 (ko) 청소 헤드
KR101475259B1 (ko) 다목적 청소기
KR200474749Y1 (ko) 유리창 닦이
KR20120073425A (ko) 청소용 브러쉬 및 이를 구비한 청소 도구
JP3210468U (ja) 掃除具
KR200487886Y1 (ko) 밀대 청소기
CN219270823U (zh) 拖把
KR101805707B1 (ko) 봉 걸레
JP3056624U (ja) ガラス窓ふき器
KR101625400B1 (ko) 청소용 밀대
KR200288566Y1 (ko) 다용도 물걸레 청소기
KR102093904B1 (ko) 마포걸레 탈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