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473Y1 - 바닥 청소 및 물기 제거기 - Google Patents

바닥 청소 및 물기 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473Y1
KR200479473Y1 KR2020140004004U KR20140004004U KR200479473Y1 KR 200479473 Y1 KR200479473 Y1 KR 200479473Y1 KR 2020140004004 U KR2020140004004 U KR 2020140004004U KR 20140004004 U KR20140004004 U KR 20140004004U KR 200479473 Y1 KR200479473 Y1 KR 2004794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water
cleaning
present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0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4353U (ko
Inventor
서동현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filed Critical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Priority to KR20201400040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473Y1/ko
Publication of KR201500043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3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4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4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 A47L13/44Securing scouring-cloths to the brush or like body of the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6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cloth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 청소 및 물기 제거기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청소도구로 바닥 물청소와 물기 제거 작업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청소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청소시간을 단축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바닥부(30)와, 상기 바닥부(30)의 상면에 구비되는 힌지부(20)와, 상기 힌지부(20)에 연결되는 봉 형상의 몸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닥 청소 및 물기 제거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30)의 일측면에 빗자루부(40)가 구비되고, 상기 바닥부(30)의 타측면에 탄성력을 지닌 물기제거부(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바닥 청소 및 물기 제거기{Cleaning Equipment for Floor Cleaning and Water Removal}
본 고안은 사업장 식당의 주방 바닥이나 가정의 욕실 바닥을 물청소할 때 사용하는 바닥 청소 및 물기 제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청소용 도구로 바닥 물청소와 물기 제거 작업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바닥 청소 및 물기 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호텔이나 사업장 식당 등의 주방 바닥을 청소할 때에는, 바닥의 쓰레기를 제거한 후 물을 뿌려가면서 빗자루로 물청소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주방 바닥에 물청소를 실시한 후에는 바닥에 남아있는 물기를 제거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보행 중 미끄러짐에 의한 전도 재해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미끄러짐에 의한 전도 재해는 대형 사업장의 식당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가정에서 욕실을 물청소한 후에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지 않으면, 슬리퍼가 타일에 미끄러져 허리 등을 다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가정에서도 욕실의 바닥에 물청소를 실시한 후에는 걸레 등을 이용하여 물기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걸레를 사용하여 주방이나 욕실 바닥의 물기를 제거하는 경우, 바닥에 있는 물기를 완전히 흡수하여 제거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바닥이 타일로 된 경우에는 타일 틈새에 물기가 잔존하게 된다.
또한 걸레를 사용하여 사업장 주방 바닥의 물기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물기 제거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물기를 머금은 걸레를 짜서 수분을 제거한 후 다시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따라 주방 바닥에 물청소를 한 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물기 제거기를 사용하여 물기를 제거하는 경우가 많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물기 제거기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의 하단에 구비되는 결합부재(120)와, 상기 결합부재에 끼워지는 고정부(130)와, 상기 고정부(130)의 하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11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의 물기 제거기에 의하면, 바닥에 물청소를 실시한 후 바닥을 밀어 잔류 물기를 제거할 수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물기 제거기에 의하면, 빗자루를 사용하여 바닥 청소를 한 후, 별도의 물기 제거기를 사용하여 바닥의 물기를 제거해야 하므로 청소 작업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물기 제거기는, 몸체부의 길이가 짧아 장기간 사용시 요통이 발생할 우려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물기 제거기는, 바닥 물청소시 빗자루 이외에 별도의 물기 제거기를 준비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특허문헌 1 :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22237호(2006. 7. 25. 공고). 특허문헌 2 :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2007-0000098호(2007. 1. 18. 공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청소도구로 바닥 물청소와 물기 제거 작업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바닥 물청소 및 물기 제거작업을 하나의 청소 도구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청소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청소시간을 단축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바닥 물청소 후에 물기를 완벽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물청소 후 바닥에 잔류하는 물기에 의한 전도 재해의 발생을 방지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몸체부인 봉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장시간 청소시에도 요통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 구비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 연결되는 봉 형상의 몸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닥 청소 및 물기 제거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일측면에 빗자루부가 구비되고, 상기 바닥부의 타측면에 탄성력을 지닌 물기제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의 저면에 걸레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레는 상기 바닥부에 탈착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레는 상기 바닥부에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힌지부에 연결되는 봉 형상의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며 그 단부에 손잡이가 구비된 제2몸체와,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를 연결하면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부의 내면홈에는 스프링 및 볼이 구비되고, 상기 제2몸체의 원주상에는 상기 볼이 안착되기 위한 다수의 오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제1몸체부가 180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볼트에 의해 회동감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하나의 청소도구를 사용하여 바닥 물청소와 물기 제거 작업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닥 물청소 및 물기 제거작업을 하나의 도구에 의해 수행할 수 있으므로, 청소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청소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닥 물청소 후에 물기를 완벽히 제거할 수 있으므로 바닥에 잔류하는 물기에 의해 전도 재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부인 봉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 청소시에도 요통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물기 제거기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 청소 및 물기 제거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 청소 및 물기 제거기의 길이조절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닥 청소 및 물기 제거기의 바닥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 청소 및 물기 제거기를 빗자루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바닥 청소 및 물기 제거기로 물기를 제거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2 내지 도 3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 청소 및 물기 제거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30)와, 상기 바닥부(30)의 상면에 구비되는 힌지부(20)와, 상기 힌지부(20)에 연결되는 봉 형상의 몸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바닥부(30)의 일측면에는 빗자루부(40)가 구비되고, 상기 바닥부(30)의 타측면에는 탄성력을 지닌 물기제거부(50)가 구비된다.
상기 물기제거부(50)의 재질은 합성수지 계열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청소 도구로 물청소와 물기 제거 작업을 모두 수행할 수 있어, 청소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청소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20)에 연결되는 봉 형상의 제1몸체(10)와, 상기 제1몸체(1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며 그 단부에 손잡이(16)가 구비된 제2몸체(12)와, 상기 제1몸체(10)와 제2몸체(12)를 연결하면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길이조절부(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몸체부인 봉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 청소작업에 의한 요통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종래의 물기 제거기는 주로 유리창 세척용으로 봉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주방 바닥의 물청소용으로는 적합하지가 않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부(14)의 내면홈에는 스프링(14a) 및 볼(14b)이 구비되고, 상기 제2몸체(12)의 원주상에는 상기 볼(14b)이 안착되기 위한 다수의 오목홈(12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오목홈(12a)은 볼(14b)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몸체부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가 있고, 길이를 조절한 후에는 제2몸체(12a)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20)는 제1몸체부(10)가 180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힌지부(20)에는 볼트(20a)가 구비되어 있어 제1몸체(10)의 회동 감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해 주방 바닥을 물청소하고 물기를 제거하는 과정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물을 사용하여 주방 바닥이나 욕실의 이물질 및 먼지를 청소할 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자루부(40)가 바닥을 향하도록 제1몸체(10)를 회동시킨 후 이물질을 청소한다.
이물질 및 먼지의 청소가 완료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기제거부(5)가 바닥을 향하도록 제1몸체(10)를 반대로 회동시킨다.
이어서 주방 바닥의 배수구 측을 향해 물기제거부(50)로 쓸어가면서 바닥에 남아 있는 물기를 제거한다.
상기한 본 고안에 의하면, 하나의 청소도구로 물청소 작업과 물기 제거 작업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청소 작업이 매우 간편해진다.
또한 몸체부인 봉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 청소 작업을 하여도 요통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 바닥부(30)의 저면에 걸레(60)가 더 구비한 것이다.
상기 걸레(60)는 상기 바닥부(30)에 탈착식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례로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걸레(60)는 바닥부(30)에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에 의하면, 빗자루부(40)에 의해 이물질 및 먼지를 제거하고, 물기제거부(50)로 바닥의 물기를 1차적으로 제거한 후, 걸레(60)에 의해 남은 물기를 2차적으로 제거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사업장의 식당이나 주방에서 바닥의 물기로 인해 발생하는 전도 재해를 예방할 수가 있고, 가정의 욕실에서 발생하는 미끄러짐 사고를 예방할 수가 있다.
그 이외의 사항은 상기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제1몸체 12: 제2몸체
12a: 오목홈 14: 길이조절부
14a: 스프링 14b: 볼
16: 손잡이 20: 힌지(Hinge)부
30: 바닥부 40: 빗자루부
50: 물기제거부 60: 걸레

Claims (7)

  1. 바닥부(30)와, 상기 바닥부(30)의 상면에 구비되는 힌지부(20)와, 상기 힌지부(20)에 연결되는 봉 형상의 몸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닥 청소 및 물기 제거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30)의 일측면에 빗자루부(40)가 구비되고,
    상기 바닥부(30)의 타측면에 탄성력을 지닌 물기제거부(50)가 구비되며,
    상기 바닥부(30)의 저면에 걸레(60)가 더 구비되어,
    상기 빗자루부(40)와 물기제거부(50)가 저면에 걸레(60)를 구비한 바닥부(30)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힌지부(20)에 연결되는 봉 형상의 제1몸체(10)와,
    상기 제1몸체(1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며 그 단부에 손잡이(16)가 구비된 제2몸체(12)와,
    상기 제1몸체(10)와 제2몸체(12)를 연결하면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길이조절부(14)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조절부(14)의 내면홈에는 스프링(14a) 및 볼(14b)이 구비되고,
    상기 제2몸체(12)의 원주상에는 상기 볼(14b)이 안착되기 위한 다수의 오목홈(12a)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20)는 제1몸체부(10)가 180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볼트(20a)에 의해 회동감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청소 및 물기 제거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20140004004U 2014-05-26 2014-05-26 바닥 청소 및 물기 제거기 KR2004794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004U KR200479473Y1 (ko) 2014-05-26 2014-05-26 바닥 청소 및 물기 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004U KR200479473Y1 (ko) 2014-05-26 2014-05-26 바닥 청소 및 물기 제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353U KR20150004353U (ko) 2015-12-07
KR200479473Y1 true KR200479473Y1 (ko) 2016-02-02

Family

ID=55028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004U KR200479473Y1 (ko) 2014-05-26 2014-05-26 바닥 청소 및 물기 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4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862Y1 (ko) 2020-07-22 2022-01-12 이덕규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0365A1 (en) * 2003-06-16 2004-12-16 Torrence Anderson Cleaning implement having a scraper and a pivoting squeegee with broo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0365A1 (en) * 2003-06-16 2004-12-16 Torrence Anderson Cleaning implement having a scraper and a pivoting squeegee with broo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862Y1 (ko) 2020-07-22 2022-01-12 이덕규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353U (ko) 201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40331A1 (en) Shower scrub
KR200479473Y1 (ko) 바닥 청소 및 물기 제거기
US2719999A (en) Toilet bowl swab
CN203841638U (zh) 一种拖把
US6922865B1 (en) Toilet scrubber
CN204379185U (zh) 折杆式拖把
KR200487886Y1 (ko) 밀대 청소기
KR200462197Y1 (ko) 청소용 밀걸레 구조
KR20190135712A (ko) 변기 커버 밑 부분 세척기
CN104545720A (zh) 用于保持清洁机构的清洁设备
CN210643929U (zh) 一种多功能拖把
CN207707869U (zh) 多功能拖把
KR102534177B1 (ko) 청소 장치
CN204520568U (zh) 方便拧干的伸缩拖把
JP2013001380A (ja) 車イス用タイヤブラシ
TWM499882U (zh) 多功能拖地刷
KR200437626Y1 (ko) 개량 밀대 걸레
KR102064263B1 (ko) 창문 청소장치
US20110180103A1 (en) Multi-Purpose Wet or Dry Cleaning Apparatus
US2247115A (en) Glass cleaner
KR101805707B1 (ko) 봉 걸레
CN204520561U (zh) 方便拧干的拖把
KR20180060418A (ko) 화장실에서 사용하는 이물질, 김 등을 닦을 수 있는 거울
KR20230010009A (ko) 흔들이 공
KR200467837Y1 (ko) 빗자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