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563B1 - 탈수기능이 구비된 청소용 밀대 - Google Patents

탈수기능이 구비된 청소용 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563B1
KR101762563B1 KR1020170063665A KR20170063665A KR101762563B1 KR 101762563 B1 KR101762563 B1 KR 101762563B1 KR 1020170063665 A KR1020170063665 A KR 1020170063665A KR 20170063665 A KR20170063665 A KR 20170063665A KR 101762563 B1 KR101762563 B1 KR 101762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watering
bar
head plate
ring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경
Original Assignee
김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혜경 filed Critical 김혜경
Priority to KR1020170063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25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8Wringers for scouring pads, mops, or the like, combined with buckets
    • A47L13/60Wringers for scouring pads, mops, or the like, combined with buckets with squeezing roller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는 상하로 연장된 중공(11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탈수링(120)이 형성되며 상기 탈수링(120)에는 상기 중공(111)과 연통되고 하향 개구된 장공(121)이 형성된 본체프레임(110); 상하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내부에 삽입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가압되어 상기 중공(111)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봉(130); 납작한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측면에는 걸레포(141)가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딩봉(130)의 하단에 체결되어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장공(121)을 통해 탈수링(120)을 관통하는 헤드판(140); 및 상기 탈수링(120) 내에서 장공(121)이 연장된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탈수링(120)을 관통하는 걸레포(141)를 측방가압하면서 걸레포(141)의 물기를 탈수하는 탈수바(150);를 포함하는 탈수기능이 구비된 청소용 밀대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탈수기능이 구비된 청소용 밀대{CLEANING MOP HAVING DEHYDRATION FUNCTION}
본 발명은 탈수기능이 구비된 청소용 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슬라이딩봉을 가압하는 조작만으로 걸레포가 장착된 헤드판이 탈수링을 관통하면서 걸레포의 물기가 탈수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한 탈수기능이 구비된 청소용 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용 밀대는 길이가 긴 봉의 하단에 장착된 걸레포를 물에 적신 상태에서 바닥이나 창문 등의 세척대상을 문질러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도구이다.
이러한 청소용 밀대는 사용한 후 걸레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물에 세척하게 되는데, 물세척한 후에는 건조나 재사용을 위해 걸레포가 머금은 물기를 탈수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종래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걸레포를 비틀거나 가압하는 방식으로 걸레포가 머금은 물기를 제거할 수 있었다.
그러나, 걸레포를 깨끗이 세척하더라도 이물질이나 세균 또는 냄새가 걸레포에 남아 있어 탈수하는 중에 사용자의 손이 오염되어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걸레포를 탈수한 후에는 손을 재차 세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29924호(2016.06.07), 청소용 밀대에 착탈되는 걸레포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척한 걸레포를 탈수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걸레포를 비틀거나 가압할 필요없이 슬라이딩봉을 가압하는 조작만으로 걸레포의 물기를 제거할 수 있어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한 탈수기능이 구비된 청소용 밀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탈수기능이 구비된 청소용 밀대는, 내부에는 상하로 연장된 중공(11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탈수링(120)이 형성되며 상기 탈수링(120)에는 상기 중공(111)과 연통되고 하향 개구된 장공(121)이 형성된 본체프레임(110); 상하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내부에 삽입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가압되어 상기 중공(111)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봉(130); 납작한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측면에는 걸레포(141)가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딩봉(130)의 하단에 체결되어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장공(121)을 통해 탈수링(120)을 관통하는 헤드판(140); 및 상기 탈수링(120) 내에서 장공(121)이 연장된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탈수링(120)을 관통하는 걸레포(141)를 측방가압하면서 걸레포(141)의 물기를 탈수하는 탈수바(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삽입된 슬라이딩봉(130)을 향해 측방 돌출되어 중공(111)이 연장된 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된 레일(112)이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딩봉(130)의 일측에는 상기 레일(112)에 지지되어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가이드블럭(131)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112)은 본체프레임(110) 내에서 대향하는 두 내벽면 상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블럭(131)은 슬라이딩봉(130)을 중심으로 각 레일(112)을 향해 양 측방으로 돌출되어 대향하는 각 레일(112)에 지지되면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112)의 하단에는 가이드블럭(131)이 삽입되는 삽입홈(116)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16)의 상단에는 측방으로 돌출된 걸림턱(115)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블럭(131)은 하향 슬라이딩하며 상기 삽입홈(116)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115)에 상단 모서리가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딩봉(130)의 상향 슬라이딩 이동을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양 측면에는 상기 헤드판(140)이 삽입되기 위한 개구공(117)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프레임(110)은 중앙부의 측방폭(W1)이 상기 탈수링(120)의 측방폭(W2)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어, 상기 중앙부와 탈수링(120) 사이에는 개구공(117)에 삽입된 헤드판(140)의 걸레포(141)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판(140)은 양 측면에 각각 걸레포(141)가 장착되고, 두 개의 탈수바(150)는 상기 장공(121)을 사이에 두고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수평배치되되, 각 탈수바(150)의 이격거리는 상기 걸레포(141)가 장착된 헤드판(140)의 전체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어 상기 헤드판(140)은 두 탈수바(150) 사이를 통과하면서 동시에 측방 가압되어 양 측면의 걸레포(141)가 동시에 탈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수링(120)의 내부에는 탈수바(150)의 양측에 측방으로 돌출된 바축(151)이 끼움결합되기 위한 축홈(122)이 상하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축홈(122)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축홈(122)을 따라 상향 이동하는 두 탈수바(150)의 이격거리가 좁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판(140)의 일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딩봉(130)의 하단이 체결되는 경질의 상판(126)이 장착되고, 상기 헤드판(140)의 타측면에는 걸레포(141)가 장착되며, 상기 탈수바(150)는 탈수링(120) 내에서 삽입되는 헤드판(140)의 걸레포(141)와 대향하는 위치에 수평배치되고, 상기 탈수링(120)의 내부에는 상기 헤드판(140)을 사이에 두고 상기 탈수바(150)와 대향배치되어 상기 상판(126)과 접촉하며 회전하는 가압롤러(125)가 장착되며, 상기 탈수바(150)와 가압롤러(125)의 이격거리는 상기 걸레포(141)와 상판(126)이 장착된 헤드판(140)의 전체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어 상기 헤드판(140)은 탈수바(150)와 가압롤러(125) 사이를 통과하면서 탈수바(150)에 의해 걸레포(141)가 측방가압되면서 탈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수링(120)의 내부 양측에는 탈수바(150)의 양측에 측방으로 돌출된 바축(151)이 끼움결합되기 위한 축홈(122)이 상하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축홈(122)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탈수바(150)가 축홈(122)을 따라 상향 이동하면서 탈수바(150)와 가압롤러(125)간의 격거리가 좁아질 수 있다.
한편,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본체프레임(110)에 일측이 수평축결합되면서 타측이 상하로 회동동작하는 조작레버(160); 및 일단은 상기 슬라이딩봉(130)의 중앙부에 수평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조작레버(160)의 타측에 수평축결합되어 상기 조작레버(160)의 상하 회동동작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봉(130)을 가압하여 중공(111) 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가압링크(1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수기능이 구비된 청소용 밀대에 의하면,
첫째, 본체프레임(110)의 하부에는 장공(121)이 하향 개구된 탈수링(120)이 형성되고, 본체프레임(110) 내부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봉(130)의 하단에는 걸레포(141)가 장착된 헤드판(140)이 체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슬라이딩봉(130)을 가압하는 조작만으로 걸레포(141)의 물기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어 손이 오염될 염려없이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
둘째,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연장된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형성된 레일(112)이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딩봉(130)의 일측에는 레일(112)에 지지되어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가이드블럭(131)이 구비되므로, 탈수조작 간에 슬라이딩봉(130)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슬라이딩봉(130)이 본체프레임(110) 내에서 휘거나 유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상기 레일(112)의 하단에는 가이드블럭(131)이 삽입되는 삽입홈(116)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16)의 상단에는 측방으로 돌출된 걸림턱(115)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블럭(131)은 하향 슬라이딩하며 상기 삽입홈(116)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115)에 상단 모서리가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딩봉(130)의 상향 슬라이딩 이동을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걸레포(141)로 바닥면이나 창문을 물지르면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슬라이딩봉(130)이 상향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청소용 밀대를 사용할 수 있다.
넷째,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양 측면에는 상기 헤드판(140)이 삽입되기 위한 개구공(117)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프레임(110)은 중앙부의 측방폭(W1)이 상기 탈수링(120)의 측방폭(W2)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어, 상기 중앙부와 탈수링(120) 사이에는 개구공(117)에 삽입된 헤드판(140)의 걸레포(141)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홈(114)이 형성되므로, 헤드판(140)을 본체프레임(110)에 삽입하여 수납한 상태에서도 걸레포(141)를 외부로 노출시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장공(121)의 내측 둘레에는 측방으로 돌출되어 걸레포(141)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124)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므로, 걸레포(141) 세척시 제거되지 않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걸레포(141)에 부착된 이물질에 의해 걸레포(141)의 표면이 노출되지 않아 부분적으로 탈수되지 않은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상기 헤드판(140)은 양 측면에 각각 걸레포(141)가 장착되고, 두 개의 탈수바(150)는 상기 장공(121)을 사이에 두고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수평배치되되, 각 탈수바(150)의 이격거리는 상기 걸레포(141)가 장착된 헤드판(140)의 전체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어 상기 헤드판(140)은 두 탈수바(150) 사이를 통과하면서 동시에 측방 가압되어 양 측면의 걸레포(141)가 동시에 탈수될 수 있으므로 걸레포(141)를 세척해야 하는 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탈수소요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일곱째, 상기 탈수링(120)의 내부에는 탈수바(150)의 양측에 측방으로 돌출된 바축(151)이 끼움결합되기 위한 축홈(122)이 상하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축홈(122)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축홈(122)을 따라 상향 이동하는 두 탈수바(150)의 이격거리가 좁아지므로, 걸레포(141)의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충분한 가압력으로 걸레포(141)를 가압할 수 있으며 걸레포(141)의 두께가 얇아지더라도 탈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홉째, 상기 헤드판(140)의 일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딩봉(130)의 하단이 체결되는 경질의 상판(126)이 장착되고, 상기 헤드판(140)의 타측면에는 걸레포(141)가 장착된 경우, 상기 탈수바(150)는 탈수링(120) 내에서 삽입되는 헤드판(140)의 걸레포(141)와 대향하는 위치에 수평배치되고, 상기 탈수링(120)의 내부에는 상기 헤드판(140)을 사이에 두고 상기 탈수바(150)와 대향배치되어 상기 상판(126)과 접촉하며 회전하는 가압롤러(125)가 장착되며, 상기 탈수바(150)와 가압롤러(125)의 이격거리는 상기 걸레포(141)와 상판(126)이 장착된 헤드판(140)의 전체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어 상기 헤드판(140)은 탈수바(150)와 가압롤러(125) 사이를 통과하면서 탈수바(150)에 의해 걸레포(141)가 측방가압되면서 탈수될 수 있다.
열번째,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본체프레임(110)에 일측이 수평축결합되면서 타측이 상하로 회동동작하는 조작레버(160) 및, 일단은 상기 슬라이딩봉(130)의 중앙부에 수평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조작레버(160)의 타측에 수평축결합되어 상기 조작레버(160)의 상하 회동동작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봉(130)을 가압하여 중공(111) 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가압링크(161)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슬라이딩봉(130)을 잡고 상하로 가압할 필요없이 상기 조작레버(160)를 상하로 회동시키는 조작만으로 슬라이딩봉(130)을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밀대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밀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수링의 구성을 나타낸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수바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수바에 의해 걸레포가 탈수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측단면도 및 사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봉이 레일 및 가이드블럭에 의해 지지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구성을 나타낸 정단면도 및 사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밀대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사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탈수링의 구성을 나타낸 사진,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밀대의 동작원리를 측단면도 및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수기능이 구비된 청소용 밀대는 세척한 걸레포(141)를 탈수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걸레포(141)를 비틀거나 가압할 필요없이 슬라이딩봉(130)을 가압하는 조작만으로 걸레포(141)의 물기를 제거할 수 있어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한 청소도구로서, 이하에서는 걸레포(141)를 탈수한 사용자의 조작방식에 따라 실시예를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밀대는 사용자가 슬라이딩봉(130)을 손으로 상향으로 잡아당기거나 하향으로 미는 가압동작에 의해 걸레포(141)의 탈수가 이루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진 밀대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110), 슬라이딩봉(130), 헤드판(140) 및 탈수바(15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프레임(110)은 청소용 밀대의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구조물로서, 내부에는 상하로 연장된 중공(11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탈수링(120)이 형성되며 상기 탈수링(120)에는 중공(111)과 연통되고 하향 개구된 장공(1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하단 둘레에는 청소용 밀대를 직립한 사태로 거치시키는데 사용되는 복수 개의 받침부(123)가 외향 확장된 형태로 이격배치된다. 또한, 상기 장공(121)의 내측 둘레에는 측방으로 돌출되어 걸레포(141)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124)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므로, 걸레포(141) 세척시 제거되지 않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걸레포(141)에 부착된 이물질에 의해 걸레포(141)의 표면이 노출되지 않아 부분적으로 탈수되지 않은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수링(120)의 측부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배수공(127)이 형성되어 탈수 중에 걸레포(141)에서 빠지는 물이 탈수링(120)에 고이지 않도록 배수할 수 있어 청소용 밀대를 눕힌 상태에서도 탈수작업이 가능하다.
상기 슬라이딩봉(130)은 헤드판(140)이 탈수링(120)을 왕복이동하며 관통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가압력을 전달하는 봉재로서, 상하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이루어져 본체프레임(110)의 내부에 삽입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가압되어 중공(111)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왕복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봉(130)은 본체프레임(110)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로 연장형성되어 본체프레임(110)의 상단으로 노출됨으로써 사용자가 한 손으로 본체프레임(110)를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노출된 슬라이딩봉(130)을 잡고 상하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봉(130)의 상부에는 밀대 사용시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136)가 구비된다.
상기 헤드판(140)은 걸레포(141)를 바닥이나 창문 등의 세척대상을 문지를 때 세척대상을 가압할 때 또는 탈수링(120)을 관통하면서 걸레포(141)가 탈수되도록 걸레포(141)의 측면을 지지하는 판재로서, 납작한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측면에는 걸레포(141)가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딩봉(130)의 하단에 체결되어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며 장공(121)을 통해 탈수링(120)을 관통한다.
여기서, 상기 헤드판(140)의 중앙에는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슬라이딩봉(130)의 하단에 체결되는 헤드바(142)가 축결합되고, 헤드판(140)에는 헤드바(142)가 삽입되기 위한 바삽입공(147)이 형성되어 헤드판(140)과 헤드바(142)가 평행하게 회동한 상태에서 일자로 나란히 정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헤드판(140)의 전방 변부에는 고무나 실리콘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적으로 얇아지는 형상의 물기제거부(143)가 구비되어 세척대상에 묻은 물기를 밀어내어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헤드판(140)의 후방 변부에는 스폰지나 천재질로 이루어진 이물질제거부(144)가 구비되어 세척대상에 흡착된 이물질을 세게 문지르거나 긁어 내어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양 측면에는 상기 헤드판(140)이 삽입되기 위한 개구공(117)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프레임(110)은 중앙부의 측방폭(W1)이 상기 탈수링(120)의 측방폭(W2)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어, 상기 중앙부와 탈수링(120) 사이에는 개구공(117)에 삽입된 헤드판(140)의 걸레포(141)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홈(114)이 형성되므로, 헤드판(140)을 본체프레임(110)에 삽입하여 수납한 상태에서도 걸레포(141)를 외부로 노출시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탈수바(150)는 탈수링(120)을 관통하는 헤드판(140)의 걸레포(141)를 탈수하기 위한 가압수단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수링(120) 내에서 장공(121)이 연장된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탈수링(120)을 관통하는 걸레포(141)를 측방가압하면서 걸레포(141)의 물기를 탈수한다.
여기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판(140)은 양 측면에 각각 걸레포(141)가 장착되고, 두 개의 탈수바(150)는 상기 장공(121)을 사이에 두고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수평배치되되, 각 탈수바(150)의 이격거리는 상기 걸레포(141)가 장착된 헤드판(140)의 전체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어 상기 헤드판(140)은 두 탈수바(150) 사이를 통과하면서 동시에 측방 가압되어 양 측면의 걸레포(141)가 동시에 탈수될 수 있으므로 걸레포(141)를 세척해야 하는 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탈수소요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수링(120)의 내부에는 탈수바(150)의 양측에 측방으로 돌출된 바축(151)이 끼움결합되기 위한 축홈(122)이 상하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축홈(122)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축홈(122)을 따라 상향 이동하는 두 탈수바(150)의 이격거리가 좁아짐으로써 탈수바(150)에 의한 가압력을 극대화하여 탈수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걸레포(141)의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충분한 가압력으로 걸레포(141)를 가압할 수 있으며 걸레포(141)의 두께가 얇아지더라도 탈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더불어,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연장된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형성된 레일(112)이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딩봉(130)의 일측에는 레일(112)에 지지되어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가이드블럭(131)이 구비되므로, 탈수조작 간에 슬라이딩봉(130)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슬라이딩봉(130)이 본체프레임(110) 내에서 휘거나 유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112)의 하단에는 가이드블럭(131)이 삽입되는 삽입홈(116)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16)의 상단에는 측방으로 돌출된 걸림턱(115)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블럭(131)은 하향 슬라이딩하며 상기 삽입홈(116)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115)에 상단 모서리가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딩봉(130)의 상향 슬라이딩 이동을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걸레포(141)로 바닥면이나 창문을 문지르면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슬라이딩봉(130)이 상향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청소용 밀대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밀대는 사용자가 조작레버(160)를 상하로 회동시키는 가압동작에 의해 걸레포(141)의 탈수가 이루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진 밀대로서,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는 상하로 연장된 중공(11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탈수링(120)이 형성되며 상기 탈수링(120)에는 상기 중공(111)과 연통되고 하향 개구된 장공(121)이 형성된 본체프레임(110)과, 상하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내부에 삽입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가압되어 상기 중공(111)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봉(130)과, 납작한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측면에는 걸레포(141)가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딩봉(130)의 하단에 체결되어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장공(121)을 통해 탈수링(120)을 관통하는 헤드판(140) 및, 상기 탈수링(120) 내에서 장공(121)이 연장된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탈수링(120)을 관통하는 걸레포(141)를 측방가압하면서 걸레포(141)의 물기를 탈수하는 탈수바(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헤드판(140)의 일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딩봉(130)의 하단이 체결되는 경질의 상판(126)이 장착되고, 상기 헤드판(140)의 타측면에는 걸레포(141)가 장착되며, 상기 탈수바(150)는 탈수링(120) 내에서 삽입되는 헤드판(140)의 걸레포(141)와 대향하는 위치에 수평배치된다.
또한, 상기 탈수링(120)의 내부에는 상기 헤드판(140)을 사이에 두고 상기 탈수바(150)와 대향배치되어 상기 상판(126)과 접촉하며 회전하는 가압롤러(125)가 장착되며, 상기 탈수바(150)와 가압롤러(125)의 이격거리는 상기 걸레포(141)와 상판(126)이 장착된 헤드판(140)의 전체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어 상기 헤드판(140)은 탈수바(150)와 가압롤러(125) 사이를 통과하면서 탈수바(150)에 의해 걸레포(141)가 측방가압되면서 탈수될 수 있다.
더불어,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본체프레임(110)에 일측이 수평축결합되면서 타측이 상하로 회동동작하는 조작레버(160) 및, 일단은 상기 슬라이딩봉(130)의 중앙부에 수평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조작레버(160)의 타측에 수평축결합되어 상기 조작레버(160)의 상하 회동동작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봉(130)을 가압하여 중공(111) 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가압링크(161)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슬라이딩봉(130)을 잡고 상하로 가압할 필요없이 상기 조작레버(160)를 상하로 회동시키는 조작만으로 슬라이딩봉(130)을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탈수링(120)의 내부 양측에는 탈수바(150)의 양측에 측방으로 돌출된 바축(151)이 끼움결합되기 위한 축홈(122)이 상하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축홈(122)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탈수바(150)가 축홈(122)을 따라 상향 이동하면서 탈수바(150)와 가압롤러(125)간의 이격거리가 좁아짐으로써 탈수바(150)가 걸레포(141)를 가압하는 정도를 증대시켜 탈수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도 14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레버(160) 상에서 조작레버(160)가 하향 회동하여 본체프레임(110)와 근접하면서 슬라이딩봉(130)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슬라이딩봉(130)의 둘레에 끼움결합되기 위한 고정편(164)이 돌출형성되어, 조작레버(160)가 본체프레임(110)에 밀착한 상태에서 고정편(164)이 슬라이딩봉(130)과 체결되어 슬라이딩봉(130)과 조작레버(160)를 함께 고정하여 슬라이딩봉(130)의 상향 슬라이딩 이동을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2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밀대의 각 구성 및 기능에 의해, 본체프레임(110)의 하부에는 장공(121)이 하향 개구된 탈수링(120)이 형성되고, 본체프레임(110) 내부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봉(130)의 하단에는 걸레포(141)가 장착된 헤드판(140)이 체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슬라이딩봉(130)을 가압하는 조작만으로 걸레포(141)의 물기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어 손이 오염될 염려없이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10...본체프레임 111...중공
112...레일 115...걸림턱
120...탈수링 121...장공
130...슬라이딩봉 131...가이드블럭
140...헤드판 141...걸레포
143...물기제거부 144...이물질제거부
150...탈수바 160...조작레버
161...가압링크

Claims (10)

  1. 내부에는 상하로 연장된 중공(11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탈수링(120)이 형성되며 상기 탈수링(120)에는 상기 중공(111)과 연통되고 하향 개구된 장공(121)이 형성된 본체프레임(110);
    상하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내부에 삽입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가압되어 상기 중공(111)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봉(130);
    납작한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측면에는 걸레포(141)가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딩봉(130)의 하단에 체결되어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장공(121)을 통해 탈수링(120)을 관통하는 헤드판(140); 및
    상기 탈수링(120) 내에서 장공(121)이 연장된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탈수링(120)을 관통하는 걸레포(141)를 측방가압하면서 걸레포(141)의 물기를 탈수하는 탈수바(15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삽입된 슬라이딩봉(130)을 향해 측방 돌출되어 중공(111)이 연장된 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된 레일(112)이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딩봉(130)의 일측에는 상기 레일(112)에 지지되어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가이드블럭(131)이 구비되며,
    상기 레일(112)의 하단에는 가이드블럭(131)이 삽입되는 삽입홈(116)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16)의 상단에는 측방으로 돌출된 걸림턱(115)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블럭(131)은 하향 슬라이딩하며 상기 삽입홈(116)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115)에 상단 모서리가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딩봉(130)의 상향 슬라이딩 이동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기능이 구비된 청소용 밀대.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112)은 본체프레임(110) 내에서 대향하는 두 내벽면 상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블럭(131)은 슬라이딩봉(130)을 중심으로 각 레일(112)을 향해 양 측방으로 돌출되어 대향하는 각 레일(112)에 지지되면서 슬라이딩하며,
    상기 헤드판(140)의 전방 변부에는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적으로 얇아지는 형상의 물기제거부(143)가 헤드판(140)의 연장된 길이를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헤드판(140)의 후방 변부에는 스폰지나 천재질로 이루어진 이물질제거부(144)가 헤드판(140)의 연장된 길이를 따라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기능이 구비된 청소용 밀대.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양 측면에는 상기 헤드판(140)이 삽입되기 위한 개구공(117)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프레임(110)은 중앙부의 측방폭(W1)이 상기 탈수링(120)의 측방폭(W2)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어, 상기 중앙부와 탈수링(120) 사이에는 개구공(117)에 삽입된 헤드판(140)의 걸레포(141)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홈(1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기능이 구비된 청소용 밀대.
  6. 청구항 1,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5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판(140)은 양 측면에 각각 걸레포(141)가 장착되고,
    두 개의 탈수바(150)는 상기 장공(121)을 사이에 두고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수평배치되되, 각 탈수바(150)의 이격거리는 상기 걸레포(141)가 장착된 헤드판(140)의 전체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어 상기 헤드판(140)은 두 탈수바(150) 사이를 통과하면서 동시에 측방 가압되어 양 측면의 걸레포(141)가 동시에 탈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기능이 구비된 청소용 밀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탈수링(120)의 내부에는 탈수바(150)의 양측에 측방으로 돌출된 바축(151)이 끼움결합되기 위한 축홈(122)이 상하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축홈(122)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축홈(122)을 따라 상향 이동하는 두 탈수바(150)의 이격거리가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기능이 구비된 청소용 밀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판(140)의 일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딩봉(130)의 하단이 체결되는 경질의 상판(126)이 장착되고, 상기 헤드판(140)의 타측면에는 걸레포(141)가 장착되며,
    상기 탈수바(150)는 탈수링(120) 내에서 삽입되는 헤드판(140)의 걸레포(141)와 대향하는 위치에 수평배치되고,
    상기 탈수링(120)의 내부에는 상기 헤드판(140)을 사이에 두고 상기 탈수바(150)와 대향배치되어 상기 상판(126)과 접촉하며 회전하는 가압롤러(125)가 장착되며,
    상기 탈수바(150)와 가압롤러(125)의 이격거리는 상기 걸레포(141)와 상판(126)이 장착된 헤드판(140)의 전체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어 상기 헤드판(140)은 탈수바(150)와 가압롤러(125) 사이를 통과하면서 탈수바(150)에 의해 걸레포(141)가 측방가압되면서 탈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기능이 구비된 청소용 밀대.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탈수링(120)의 내부 양측에는 탈수바(150)의 양측에 측방으로 돌출된 바축(151)이 끼움결합되기 위한 축홈(122)이 상하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축홈(122)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탈수바(150)가 축홈(122)을 따라 상향 이동하면서 탈수바(150)와 가압롤러(125)간의 이격거리가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기능이 구비된 청소용 밀대.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본체프레임(110)에 일측이 수평축결합되면서 타측이 상하로 회동동작하는 조작레버(160); 및
    일단은 상기 슬라이딩봉(130)의 중앙부에 수평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조작레버(160)의 타측에 수평축결합되어 상기 조작레버(160)의 상하 회동동작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봉(130)을 가압하여 중공(111) 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가압링크(16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기능이 구비된 청소용 밀대.
KR1020170063665A 2017-05-23 2017-05-23 탈수기능이 구비된 청소용 밀대 KR101762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665A KR101762563B1 (ko) 2017-05-23 2017-05-23 탈수기능이 구비된 청소용 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665A KR101762563B1 (ko) 2017-05-23 2017-05-23 탈수기능이 구비된 청소용 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2563B1 true KR101762563B1 (ko) 2017-07-27

Family

ID=59427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665A KR101762563B1 (ko) 2017-05-23 2017-05-23 탈수기능이 구비된 청소용 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25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483B1 (ko) 2017-08-07 2017-11-06 임영제 청소용 밀대걸레
KR200486671Y1 (ko) * 2017-08-10 2018-06-19 장성자 대걸레
KR20190041234A (ko) * 2017-10-12 2019-04-22 김혜경 탈수기능이 구비된 청소용 밀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7334B2 (ja) * 1992-07-23 2000-10-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転写型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02034883A (ja) * 2000-07-21 2002-02-05 Koowa:Kk 床用掃除具
KR101650122B1 (ko) * 2014-10-27 2016-08-22 자싱 잭슨 트레블 프로덕츠 코., 엘티디 자체탈수식 판형 대걸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7334B2 (ja) * 1992-07-23 2000-10-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転写型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02034883A (ja) * 2000-07-21 2002-02-05 Koowa:Kk 床用掃除具
KR101650122B1 (ko) * 2014-10-27 2016-08-22 자싱 잭슨 트레블 프로덕츠 코., 엘티디 자체탈수식 판형 대걸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483B1 (ko) 2017-08-07 2017-11-06 임영제 청소용 밀대걸레
KR200486671Y1 (ko) * 2017-08-10 2018-06-19 장성자 대걸레
KR20190041234A (ko) * 2017-10-12 2019-04-22 김혜경 탈수기능이 구비된 청소용 밀대장치
KR102019909B1 (ko) 2017-10-12 2019-09-11 구본승 탈수기능이 구비된 청소용 밀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2563B1 (ko) 탈수기능이 구비된 청소용 밀대
WO2017206511A1 (zh) 一种用于平板拖把清洗和挤水的拖把桶
KR19990088546A (ko) 캠형롤러자루걸레
KR101629924B1 (ko) 청소용 밀대에 착탈되는 걸레포
CN105769083A (zh) 胶棉拖把清洁桶
KR101874385B1 (ko) 청소용 밀대
KR200323405Y1 (ko) 쓸고 물기를 짤 수 있는 청소기구
US6061863A (en) Mop provided with means to enhance water absorbing effect thereof and durability thereof
ITPD970174A1 (it) Strizzatore per strisce a frange o per mop con piano pressatorio a traslazione parallela sprovvisto di fondo per consentire alle strisce
CN215457783U (zh) 一种斜向挤压清洗拖把桶
KR20150084088A (ko) 물병세척기
KR200487745Y1 (ko) 트위스트형 청소 밀대장치
KR100961890B1 (ko) 물걸레 청소기
CN211381172U (zh) 一种拖把桶
CN210354590U (zh) 拖把桶和清洁用具套件
CA2601188C (en) Moveable squeezing out device for a stationary flat mop cover
KR200487622Y1 (ko) 탈수 및 지지용 헤드를 구비한 패드형 대걸레
FI108397B (fi) Siivousliina ja siivouslaite sekõ menetelmõ siivouksessa
CN213665115U (zh) 平板拖把清洁桶和平板拖把套装
CN218247135U (zh) 一种捋套不易变形的免手洗拖把
CN215383768U (zh) 一种免手洗胶棉拖把
CN213787242U (zh) 一种横向刮水拖把桶
CN217365756U (zh) 一种折叠桶
CN214760955U (zh) 一种平板拖把清洗装置
KR200406568Y1 (ko) 쌀 씻는 주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