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385B1 - 청소용 밀대 - Google Patents

청소용 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385B1
KR101874385B1 KR1020170150360A KR20170150360A KR101874385B1 KR 101874385 B1 KR101874385 B1 KR 101874385B1 KR 1020170150360 A KR1020170150360 A KR 1020170150360A KR 20170150360 A KR20170150360 A KR 20170150360A KR 101874385 B1 KR101874385 B1 KR 101874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watering
support rod
slider
dehydrating
hea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0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굿프렌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굿프렌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굿프렌드
Priority to KR1020170150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3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6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clo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8Plate frames of adjustable or fold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용 밀대에 관한 것으로, 일단의 헤드단부와 타단의 조작단부를 갖는 지지로드와, 저면에 걸레포가 부착되며, 상면의 중앙영역에 헤드단부에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부를 가지고, 지지로드의 축선방향에 평행한 철회위치와 철회위치로부터 회동된 사용위치 간을 회동 가능한 헤드플레이트와, 지지로드의 조작단부 영역에 축선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수슬라이더와, 탈수슬라이더의 축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축 방향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로드에 결합되어, 헤드플레이트가 철회위치에 있을 때 걸레포에 접촉하여 탈수하면서 이동하는 탈수동작위치와 헤드플레이트로부터 물러난 휴지위치 간을 이동하는 탈수부재 및, 탈수부재가 휴지위치로 향하여 이동하도록 탈수슬라이더와 탈수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로드에 대해 탄성적으로 미는 탄성복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청소용 밀대{A push-stick for cleaner}
본 발명은 밀대의 단부에 설치된 헤드판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 걸레포를 헤드판으로부터 떼어내지 않고 탈수가 용이한 청소용 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용 밀대는 길이가 긴 봉의 하단에 장착된 걸레포를 물에 적신 상태에서 바닥이나 창문 등의 세척대상을 문질러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도구이다.
이러한 청소용 밀대는 사용한 후 걸레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물에 세척하게 되는데, 물세척한 후에는 건조나 재사용을 위해 걸레포가 머금은 물기를 탈수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종래에는 사용자가 걸레포를 청소용 밀대로부터 떼어낸 후 손으로 걸레포를 비틀거나 가압하는 방식으로 걸레포가 머금은 물기를 제거하였다.
그러나, 걸레포를 깨끗이 세척하더라도 이물질이나 세균 또는 냄새가 걸레포에 남아 있어 탈수하는 중에 사용자의 손이 오염되어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걸레포를 탈수한 후에는 손을 재차 세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29924호(2016.06.07)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걸레포를 탈수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걸레포를 비틀거나 가압하지 않고서도 걸레포의 물기를 제거할 수 있어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청소용 밀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에 의한 청소용 밀대는 일단의 헤드단부와 타단의 조작단부를 갖는 지지로드와, 저면에 걸레포가 부착되며, 상면의 중앙영역에 헤드단부에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부를 가지고, 지지로드의 축선방향에 평행한 철회위치와 철회위치로부터 회동된 사용위치 간을 회동 가능한 헤드플레이트와, 지지로드의 조작단부 영역에 축선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수슬라이더와, 탈수슬라이더의 축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축 방향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로드에 결합되어, 헤드플레이트가 철회위치에 있을 때 걸레포에 접촉하여 탈수하면서 이동하는 탈수동작위치와 헤드플레이트로부터 물러난 휴지위치 간을 이동하는 탈수부재 및, 탈수부재가 휴지위치로 향하여 이동하도록 탈수슬라이더와 탈수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로드에 대해 탄성적으로 미는 탄성복귀부재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탈수슬라이더는 지지로드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슬라이딩축공을 가지며, 탈수슬라이더에 지지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결합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로드는 관상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복귀부재는 일단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작단부를 통해 지지로드 내에 수용되고, 타단부가 손잡이에 접촉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로드와 평행하여 연장되어 탈수슬라이더와 탈수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바아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실시예에 따르면, 걸레포를 탈수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걸레포를 비틀거나 가압하지 않고서도 걸레포의 물기를 제거할 수 있어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밀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청소용 밀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헤드판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IV-IV 선의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탈수부의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밀대의 사용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밀대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밀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청소용 밀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헤드판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IV-IV 선의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탈수부의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밀대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밀대(100)는 일단의 헤드단부(112)와 타단의 조작단부(114)를 갖는 지지로드(110)와, 저면에 걸레포(10)가 부착되며, 상면의 중앙영역에 헤드단부(112)에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부(122)를 가지고, 지지로드(110)의 축선방향에 평행한 철회위치와 철회위치로부터 회동된 사용위치 간을 회동 가능한 헤드플레이트(120)와, 지지로드(110)의 조작단부 영역에 축선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수슬라이더(140)와, 탈수슬라이더(140)의 축 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축 방향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로드(110)에 결합되어, 헤드플레이트(120)가 철회위치에 있을 때 걸레포(10)에 접촉하여 탈수하면서 이동하는 탈수동작위치와 헤드플레이트(120)로부터 물러난 휴지위치 간을 이동하는 탈수부재(150) 및, 탈수부재(150)가 휴지위치로 향하여 이동하도록 탈수슬라이더(140)와 탈수부재(150)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로드(110)에 대해 탄성적으로 미는 탄성복귀부재(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지지로드(110)는 긴 막대 형상의 관상체로 형성되고, 헤드단부(112)에는 힌지결합부(122)의 힌지부(122a)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수용부(112a)가 형성된다.
여기서, 헤드단부(112)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결합부(122)의 힌지축(122b)에 형성된 결합부(122c)의 외주면에 형성된 락킹홈(122d)에 락킹되는 락킹핀(112b)이 지지로드(110)의 축선방향으로 탄성 이동되게 설치된다.
락킹핀(112b)은 헤드플레이트(120)가 철회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헤드플레이트(120)의 위치가 고정되게 락킹홈(122d)에 락킹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플레이트(120)에 형성된 힌지결합부(122)는 헤드플레이트(120)의 상면 중앙영역에 형성된 힌지부(122a)와, 힌지부(122a)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소정 위치에 형성되어 헤드단부(112)와 결합되는 결합부(112c)를 갖는 힌지축(112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결합부(112c)의 외주면에는 전술한 락킹핀(112b)이 락킹되는 반원형상의 락킹홈(112d)이 형성된다.
또한, 헤드플레이트(120)의 상면 가장자리영역에는 헤드플레이트(120)의 길이방향으로 안내홈(124)이 형성되고, 안내홈(124)에는 후술하는 탈수부재(150)의 몸체(152)가 탈수동작위치와 휴지위치 간을 이동할 때 헤드플레이트(120)의 상면에 구름접촉되는 가이드 롤러(156)의 이동을 안내한다.
헤드플레이트(120)의 저면에는 걸레포(10)가 부착되는 걸레포 부착플레이트(130)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걸레포 부착플레이트(130)의 양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레포(10)의 양측 하부면에 구비된 걸림부(12)가 끼워지는 걸림돌기(132a)가 각각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날개부(132)가 형성된다.
한 쌍의 날개부(132a)의 각각의 상면에는 일측에 물림홈(134a)이 구비된 누름부(134)가 형성되고, 헤드플레이트(120)의 양측에는 물림홈(134a)에 물림되는 물림돌기(120a)가 돌출 형성된다.
이처럼 걸레포(10)의 양단부가 한 쌍의 날개부(132)에 형성된 걸림돌기(132a)에 끼워진 후 누름부(134)를 통해 한 쌍의 날개부(132)가 헤드플레이트(120)에 고정됨으로써 후술하는 탈수부재(150)가 탈수동작위치에서 동작될 때 걸레포(10)가 탈수부재(150)에 걸려서 걸레포 부착플레이트(130)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탈수슬라이더(140)는 지지로드(110)의 조작단부(114) 영역에 지지로드(110)의 축선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탈수슬라이더(140)는 지지로드(11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슬라이딩축공(140a)을 가지며, 탈수슬라이더(140)에 지지로드(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결합되는 손잡이(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손잡이(142)의 단부에는 탈수슬라이더(140)와 결합되는 체결구(142a)가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손잡이(142)를 파지하였을 때 미끄럼이 발생되지 않게 하는 쿠션재(142b)가 결합된다.
또한, 탈수슬라이더(140)에는 지지로드(110)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탈수슬라이더(140)의 위치를 지지로드(110)의 축선방향 소정위치에 고정되게 하는 위치고정구(144)가 설치된다.
탈수부재(150)는 탈수슬라이더(140)의 축 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축 방향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로드(110)에 결합되어, 헤드플레이트(120)가 철회위치에 있을 때 걸레포(10)에 접촉하여 탈수하면서 이동하는 탈수동작위치와 헤드플레이트(120)로부터 물러난 휴지 위치 간을 이동한다.
이러한, 탈수부재(150)는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탈수슬라이더(140)의 축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축 방향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로드(110)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헤드플레이트(120)가 통과되는 공간부(152a)가 형성된 몸체(152)와, 공간부(152a)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몸체(152)가 탈수동작위치와 휴지위치 간을 이동할 때 걸레포(10)를 가압하는 가압부(154)와, 가압부(154)와 마주보도록 공간부(152a)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어 몸체(152)가 탈수동작위치와 휴지위치 간을 이동할 때 헤드플레이트(110)의 상부면에 구름 접촉되는 가이드 롤러(1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압부(154)의 일측에는 걸레포(1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복수개의 이물질 제거 돌기(155)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복귀부재(160)는 탄성복귀부재(160)는 탈수슬라이더(140)를 헤드플레이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민다. 이에 의해 탈수슬라이더(140)와 일체로 이동하도록 연결된 탈수부재(150)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휴지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탄성복귀부재(160)가 탈수슬라이더(140)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탄성복귀부재(160)가 탈수부재(150) 혹은 한 쌍의 연결바아(158)에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구성하여도 동일한 작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탄성복귀부재(160)는 일단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작단부(114)를 통해 지지로드(110) 내에 수용되고, 타단부가 손잡이(142)에 접촉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탄성복귀부재(160)가 지지로드(110)의 외부에 마련되어 탈수슬라이더(140)와 탈수부재(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지로드(110)에 대해 탄성적으로 미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탄성복귀부재(160)는 조작단부(114)에 일단이 걸림되고, 타단이 지지로드(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탄성체(162)와, 탄성체(162)의 중심을 관통하여 일단이 탄성체(162)의 타단에 지지되고, 타단이 지지로드(11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손잡이(142)의 내부에 접촉되는 작동바(16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탄성체(162)는 조작단부(114)에 걸림되는 걸림구(162a)와, 걸림구(162a)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지지로드(110) 내에 수용되는 코일스프링(162b)과, 코일스프링(162b)의 타단에 결합되어 지지로드(110)의 축선방향으로 탄성이동되는 이동구(162c)로 이루어진다. 이때, 작동바(164)의 타단은 이동구(162c)의 내부 일측에 지지된다.
한편, 탈수슬라이더(140)와 탈수부재(150)는 일체화되어 탄성복귀부재(160)에 의해 일체된 탈수슬라이더(140)와 탈수부재(150)가 헤드플레이트(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밀리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탈수슬라이더(140)와 탈수부재(150)는 지지로드(110)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바아(158)를 통해 일체화될 수 있고, 탈수슬라이더(140)와 탈수부재(150)를 직접 결합시켜 일체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탈수슬라이더(140)와 탈수부재(150)가 한 쌍의 연결바(158)를 통해 일체화된 경우에는 지지로드(110)의 축선방향 소정 위치에는 한 쌍의 연결바(158)를 지지하는 가이드(116)가 설치된다. 가이드(116)는 양측면에 한 쌍의 가이드바(116a)가 돌출 형성되고, 한 쌍의 가이드바(116a) 각각에는 한 쌍의 연결바(158)가 관통삽입되는 관통홀(116b)이 형성된다.
또한, 지지로드(110)에 가이드(116)가 설치되면 탈수부재(150)의 몸체(152)에는 한 쌍의 연결바(158)가 관통삽입되는 충격흡수체(153)가 마련되는데, 이 충격흡수체(153)는 헤드플레이트(120)가 철회위치에 있을 때 탈수부재(150)가 탈수동작위치에서 걸레포(10)에 접촉하여 탈수하면서 이동될 때 탈수부재(150)의 몸체(152)와 한 쌍의 가이드바(116a)가 부딪혀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밀대의 사용 상태도 이다. 도 6을 참조하여 탈수유닛(150)를 통해 걸레포(10)에 함유된 물기가 탈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걸레포(10)를 탈수하기 위해 먼저 헤드플레이트(120)가 지지로드(110)의 축선방향에 평행한 철회위치에 위치되게 한다. 이때, 헤드플레이트(120)는 힌지결합부(122)의 힌지축(122b)에 형성된 결합부(122c)의 외주면에 형성된 락킹홈(122d)에 헤드단부(112)의 내부에 설치된 락킹핀(112b)이 락킹됨으로써 위치가 더욱더 견고하게 고정된다.
헤드플레이트(120)가 철회위치에 고정되면 탈수슬라이더(140)가 지지로드(110)의 조작단부(114) 역역에서 축선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탈수슬라이더(140)에 설치되어 지지로드(110)의 외주면을 가압하고 있는 위치고정구(144)의 가압을 해제한다.
이후, 사용자는 헤드플레이트(120)의 일측이 지면 또는 벽면에 지지시킨 후 탈수슬라이더(140)를 지지로드(110)의 축선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탈수슬라이더(140)는 탄성복귀부재(160)에 의해 탄성 이동하게 되고, 탈수부재(150)는 걸레포(10)와 접촉하여 탈수하면서 이동하는 탈수동작위치에서 걸레포(10)를 가압하여 탈수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지지로드
120: 헤드플레이트
130; 걸레포 부착플레이트
140; 탈수슬라이더
150; 탈수부재
160; 탄성복귀부재

Claims (11)

  1. 일단의 헤드단부와 타단의 조작단부를 갖는 지지로드;
    저면에 걸레포가 부착되며, 상면의 중앙영역에 상기 헤드단부에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지지로드의 축선방향에 평행한 철회위치와 상기 철회위치로부터 회동된 사용위치 간을 회동 가능한 헤드플레이트;
    상기 지지로드의 상기 조작단부 영역에 축선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수슬라이더;
    상기 탈수슬라이더의 축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축 방향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헤드플레이트가 철회위치에 있을 때 상기 걸레포에 접촉하여 탈수하면서 이동하는 탈수동작위치와 상기 헤드플레이트로부터 물러난 휴지 위치간을 이동하는 탈수부재; 및,
    상기 탈수부재가 상기 휴지위치로 향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탈수슬라이더와 상기 탈수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지지로드에 대해 탄성적으로 미는 탄성복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탈수부재는,
    상기 탈수슬라이더의 축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축 방향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로드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상기 헤드플레이트가 통과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공간부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가 상기 탈수동작위치와 상기 휴지위치간을 이동할 때 상기 걸레포를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공간부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기 몸체가 상기 탈수동작위치와 상기 휴지위치간을 이동할 때 상기 헤드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구름 접촉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탈수슬라이더와 상기 탈수부재는 상기 지지로드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바를 통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지지로드의 축선방향 소정위치에는 상기 한 쌍의 연결바를 지지하고, 양측면에 상기 한 쌍의 연결바가 관통삽입되는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바를 갖는 가이드가 설치되며,
    상기 몸체에는 상기 한 쌍의 연결바아가 관통삽입되는 충격흡수체가 마련되고,
    상기 탈수슬라이더는 상기 지지로드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슬라이딩 축공을 가지며, 상기 탈수슬라이더에 상기 지지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복귀부재는 상기 조작단부에 일단이 걸림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로드의 내부에 수용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중심을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탄성체의 타단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로드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 접촉되는 작동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조작단부에 걸림되는 걸림구와, 상기 걸림구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로드의 내에 수용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로드의 축선방향으로 탄성이동되는 이동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헤드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상기 걸레포가 부착되는 걸레포 부착플레이트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걸레포 부착플레이트의 양측에는 상기 걸레포의 양측 하부면에 구비된 걸림부가 끼워지는 걸림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날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날개부의 각각의 상면에는 일측에 물림홈이 구비된 누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플레이트의 양측에는 상기 물림홈에 물림되는 물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밀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일측에는 상기 걸레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복수개의 이물질 제거 돌기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밀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플레이트의 상면 가장자리영역에는 상기 헤드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에는 몸체가 상기 탈수동작위치와 상기 휴지위치간을 이동할 때 상기 헤드플레이트의 상면에 구름접촉되는 상기 가이드 롤러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밀대.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헤드플레이트의 상면 중앙영역에 형성된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소정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헤드단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는 힌지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밀대.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반원형상의 락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단부의 내부에는 상기 락킹홈에 락킹되는 락킹핀이 상기 지지로드의 축선방향으로 탄성 이동되게 설치되며, 상기 락킹핀은 상기 헤드플레이트가 상기 철회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락킹홈에 락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밀대.
KR1020170150360A 2017-11-13 2017-11-13 청소용 밀대 KR101874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360A KR101874385B1 (ko) 2017-11-13 2017-11-13 청소용 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360A KR101874385B1 (ko) 2017-11-13 2017-11-13 청소용 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385B1 true KR101874385B1 (ko) 2018-07-04

Family

ID=62913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360A KR101874385B1 (ko) 2017-11-13 2017-11-13 청소용 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3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42406A (zh) * 2018-08-09 2018-11-06 张文艳 平板拖把挤水机构
KR20220145113A (ko) * 2021-04-21 2022-10-28 주식회사 동양에프앤비 대걸레
KR102552416B1 (ko) * 2022-10-18 2023-07-06 안중수 자체 탈수식 판형 대걸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2542B2 (ja) * 1992-09-24 2001-01-09 松下電工株式会社 雨センサ付電動採光窓装置
KR101378947B1 (ko) * 2012-10-29 2014-03-27 유경수 청소용 밀대 플레이트
KR200479959Y1 (ko) * 2015-01-21 2016-03-25 이승진 밀대형 청소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2542B2 (ja) * 1992-09-24 2001-01-09 松下電工株式会社 雨センサ付電動採光窓装置
KR101378947B1 (ko) * 2012-10-29 2014-03-27 유경수 청소용 밀대 플레이트
KR200479959Y1 (ko) * 2015-01-21 2016-03-25 이승진 밀대형 청소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42406A (zh) * 2018-08-09 2018-11-06 张文艳 平板拖把挤水机构
KR20220145113A (ko) * 2021-04-21 2022-10-28 주식회사 동양에프앤비 대걸레
KR102490129B1 (ko) * 2021-04-21 2023-01-19 주식회사 동양에프앤비 대걸레
KR102552416B1 (ko) * 2022-10-18 2023-07-06 안중수 자체 탈수식 판형 대걸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385B1 (ko) 청소용 밀대
US8079112B2 (en) Disposable liquid absorbing cleaning pad for a hand held cleaning implement having an elongated handle
EP1194064B1 (en) Self-wringing swab mop with scrubber
KR20100111301A (ko) 자체 탈수형 자루걸레
US6872021B1 (en) Cleaning assembly
KR200403071Y1 (ko) 밀대 및 카트리지가 내장된 밀대걸레
KR20160008647A (ko) 청소용 밀대에 착탈되는 걸레포
KR101762563B1 (ko) 탈수기능이 구비된 청소용 밀대
CA2291584C (en) Mop provided with means to enhance water absorbing effect thereof and durability thereof
KR101184633B1 (ko) 자루걸레 청소기
KR101794483B1 (ko) 청소용 밀대걸레
US20060021171A1 (en) Device for wringing out the material of domestic cleaning tools known as mops
KR200336543Y1 (ko) 탈수기능을 갖는 대걸레
KR101749050B1 (ko) 물걸레 청소기
KR200494862Y1 (ko)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
KR101955802B1 (ko) 세척용 브러시
KR20190069057A (ko) 손잡이가 구비된 타월
IT9061979U1 (it) Dispositivo strizzatore per scope piatte
KR102019909B1 (ko) 탈수기능이 구비된 청소용 밀대장치
CN213665115U (zh) 平板拖把清洁桶和平板拖把套装
KR200263714Y1 (ko) 물 제거하는 기능을 갖는 마대걸레
US4557012A (en) Wiper appliance
KR200491268Y1 (ko) 변기 청소용 집게
KR101850512B1 (ko) 물걸레 청소기
KR102534177B1 (ko) 청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