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4633B1 - 자루걸레 청소기 - Google Patents

자루걸레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4633B1
KR101184633B1 KR1020100110289A KR20100110289A KR101184633B1 KR 101184633 B1 KR101184633 B1 KR 101184633B1 KR 1020100110289 A KR1020100110289 A KR 1020100110289A KR 20100110289 A KR20100110289 A KR 20100110289A KR 101184633 B1 KR101184633 B1 KR 101184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hydration
pipe
dehydration tank
brush
connect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0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8865A (ko
Inventor
이경화
Original Assignee
이경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화 filed Critical 이경화
Priority to KR1020100110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4633B1/ko
Publication of KR20120048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8Wringers for scouring pads, mops, or the like, combined with bucket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자루걸레 청소기가 제공된다. 제공된 자루걸레 청소기는 손잡이가 구비된 자루; 상기 자루의 하단에 체결되며, 내측에 스크류축을 갖는 결속구가 연결되고, 상부에 연결홀더가 연결되며, 상기 연결홀더의 외면에 탈수손잡이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연결관; 상기 연결관을 따라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내측에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일 방향 클러치베어링이 연결되고, 상기 클러치베어링의 내륜에 연결구가 연결되며, 상기 연결구의 내측에 상기 스크류축과 축결합되는 나선홈이 마련된 가변봉; 상기 가변봉의 하단에 체결되며, 하부에 브러쉬가 구비된 회전판 및 상기 브러쉬에 흡수된 수분을 탈수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탈수조를 포함하되, 상기 탈수조는 그 상부에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덮개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에 회전축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탈수통이 축결합되고, 상기 탈수통의 인접한 하부에 상기 탈수조의 상단과 연결편에 의해 걸림을 이루는 받침구가 구비됨으로써, 청소작업을 통해 이물질이 묻은 브러쉬의 탈수동작을 연결관의 승강 동작만으로 더욱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자루걸레 청소기{A mop cleaner}
본 발명은 자루걸레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청소 후 더러운 이물질이 묻은 브러쉬의 세척 및 탈수작업을 연결관의 승강 동작만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청소작업을 마친 작업자가 사용하였던 도구의 뒷마무리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자루걸레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실외 또는 실내를 청소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청소용품 중 특히, 건물의 바닥면에 오염된 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걸레가 사용된다.
이러한 걸레는 그 사용방법에 따라 손걸레 또는 자루걸레로 구분되며, 상기 손걸레는 별도의 도구 없이 섬유로만 이루어진 제품이며, 상기 자루걸레는 통상적으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자루가 있고, 그 자루에 섬유로 이루어진 걸레가 장착된 제품을 말한다.
이때, 상기 손걸레는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섬유이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이 가능하여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청소시 사용자가 무릎을 꿇은 상태에로 이동하며 청소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됨은 물론, 무릎과 같은 신체에 부담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손걸레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제품이 자루걸레이다. 즉, 상기 자루걸레는 직립 상태에서 청소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켰으나, 걸레의 세척 및 탈수방식이 매우 불편하여 보완해야할 부분이 많았다.
이에, 상술한 종래 자루걸레가 갖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8920호에는 자루걸레와 이의 탈수통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자루걸레에는 돌릴 수 있는 손잡이 하나와 하나의 회전판 그리고 회전판과 연결된 브러쉬 고정틀이 포함되며, 이로 인하여 손잡이 하단부의 고정틀이 경사지게 결합틀과 연결되고, 결합틀의 중간축부가 회전판의 축심홀에 끼워진다.
상기 회전판 밑부분에는 브러쉬와 결합되는 브러쉬 고정틀이 설치되어 있어 회전판이 회전 작동에 의해 탈수할 때는 손잡이가 직립상태 또는 경사상태가 되든 모두 회전하지 않고, 안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고정틀에는 홈이 있는 탄성의 손잡이 조절용 잠금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 조절용 잠금장치가 결합틀 요홈부의 패인 부위에 고정될 때 탄성력이 있어 신축되는 것을 저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자루걸레와 이의 탈수통 조립체는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어느 정도 보완하였으나, 아직 개선해야할 부분이 많았다.
즉, 청소작업을 수행하여 더러워진 걸레는 세척 및 탈수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종래 기술은 세척 및 탈수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손과 발의 신체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자루걸레 청소기의 구조개선을 통해 청소기에 구비된 브러쉬의 탈수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루걸레 청소기를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손잡이가 구비된 자루;
상기 자루의 하단에 체결되며, 내측에 스크류축을 갖는 결속구가 연결되고, 외면에 탈수손잡이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연결관을 매개로 상부측의 자루에 연결된 연결관;
상기 연결관을 따라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내측에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일 방향 클러치베어링이 연결되고, 상기 클러치베어링의 내륜에 연결구가 연결되며, 상기 연결구의 내측에 상기 스크류축과 축결합되는 나선홈이 마련된 가변봉;
상기 가변봉의 하단에 체결되며, 하부에 브러쉬가 구비된 회전판 및
상기 브러쉬에 흡수된 수분을 탈수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탈수조를 포함하되,
상기 탈수조는 그 상부에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덮개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에 회전축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탈수통이 축결합되고, 상기 탈수통의 인접한 하부에 상기 탈수조의 상단과 연결편에 의해 걸림을 이루는 받침구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연결관의 하부 외면에는 가변봉의 슬라이딩 이동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를 설치하되,
상기 스토퍼는
상기 연결관의 하부 외면에 연결되며, 외측에 상협하광의 형상을 갖는 테이퍼돌부가 마련되고, 상기 테이퍼돌부의 내측에 하방으로 개구된 복수개의 절개부가 형성되며, 양측에 힌지공이 형성된 결속관과,
상기 결속관의 외면에 연결되며, 내측에 상기 테이퍼돌부가 삽입되는 연결홈이 형성되고, 양측에 횡방향장공이 마련된 가압관과,
상기 횡방향장공과 힌지공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관의 외면에 고정된 힌지축 및
상기 힌지축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양단부에 편심돌부가 마련된 이동손잡이를 포함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루걸레 청소기의 구조개선을 통해 청소작업의 편의성 향상 및 청소작업 후 이물질이 묻은 브러쉬의 세척 및 탈수동작을 연결관의 승강 동작만으로 더욱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루걸레 청소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루걸레 청소기를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루걸레 청소기 중 탈수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루걸레 청소기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루걸레 청소기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루걸레 청소기 중 스토퍼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루걸레 청소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루걸레 청소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루걸레 청소기를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루걸레 청소기 중 탈수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루걸레 청소기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루걸레 청소기(100)는 자루(110)와, 상기 자루(110)에 연결된 연결관(120)과, 상기 연결관(120)을 따라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가변봉(130)과, 상기 가변봉(130)의 하단에 연결된 회전판(140) 및 탈수조(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자루(110)는 상체의 굽힘 동작 없이 편리하게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자루(110)는 그 상단에 청소작업시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111)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연결관(120)은 상기 자루(110)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판(140)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1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연결관(120)은 상기 자루(110)의 하단에 체결되며, 내측에 결속구(123)가 억지끼움 연결되고, 상기 결속구(123)의 하부에는 스크류축(121)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연결관(120)은 그 상부에 연결홀더(125)가 연결되며, 상기 연결홀더(125)의 외면에는 탈수손잡이(127)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상기 가변봉(130)은 상기 연결관(120)의 내측에 이를 따라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회전판(140)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2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가변봉(130)은 그 내측에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일 방향 클러치베어링(131)이 연결되고, 상기 클러치베어링(131)의 내륜에 연결구(133)가 연결되며, 상기 연결구(133)의 내측에 상기 스크류축(121)과 축결합되는 나선홈(135)이 마련다.
이때, 상기 일방향 클러치베어링(131)은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일반적인 공지기술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회전판(140)은 본원발명을 이용하여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회전판(140)은 상기 가변봉(130)의 하단에 체결되며, 하부에 브러쉬(141)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브러쉬(141)는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섬유재질이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다.
한편, 상기 탈수조(150)는 상기 브러쉬(141)에 흡수된 수분을 탈수하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탈수조(150)는 그 내부에 수용공간(151)이 마련되고, 상기 탈수조(150)의 상부에는 상기 수용공간(151)을 개폐하기 위한 덮개(153)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151)의 바닥에 회전축(155)이 직립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155)의 상부에는 탈수통(156)이 축결합되고, 상기 탈수통(156)의 인접한 하부에는 받침구(159)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구(159)는 그 상부에 상기 탈수조(150)의 상단과 걸림을 이룰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개구된 삽입홈(H)을 갖는 연결편(158)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155)은 상기 받침구(159)를 관통하여 탈수조(150)의 하부에 축결합된다.
한편, 상기 연결관(120)의 하부 외면에는 상기 가변봉(130)의 슬라이딩 이동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200)를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200)는 상기 연결관(120)의 하부 외면에 연결된 결속관(210)과, 상기 결속관(210)의 외면에 연결된 가압관(220)과, 상기 가압관(220)의 양측에 연결되는 힌지축(230) 및 상기 힌지축(230)과 축결합된 이동손잡이(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결속관(210)은 그 내경의 축소 및 이완동작을 통해 상기 가변봉(130)의 외면을 가압하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결속관(210)은 그 외측에 상협하광의 형상을 갖는 테이퍼돌부(211)가 마련되고, 상기 테이퍼돌부(211)의 내측에 하방으로 개구된 복수개의 절개부(213)가 형성되며, 양측에 힌지공(215)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가압관(220)은 상기 결속관(210)의 수축 및 팽창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1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가압관(220)은 그 내측에 상기 테이퍼돌부(211)가 삽입되는 연결홈(221)이 형성되고, 양측에 횡방향장공(223)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연결홈(221)은 그 내부형상이 상기 테이퍼돌부(211)의 외부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힌지축(230)은 상기 결속관(210)과 가압관(220)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힌지축(230)은 상기 횡방향장공(223)과 힌지공(215)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관(120)의 외면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이동손잡이(240)는 상기 가압관(220)을 결속관(210)의 외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이동손잡이(240)는 그 양측이 상기 힌지축(230)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양단부에는 상기 힌지축(230)으로 부터 소정길이 돌출되는 편심돌부(241)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편심돌부(241)의 돌출길이는 상기 횡방향장공(223)이 폭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의 자루걸레 청소기는 그 구조개선을 통해 사용자가 수분을 흡수한 브러쉬의 탈수동작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동작관계 및 작용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루걸레 청소기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먼저, 청소작업을 마친 브러쉬(141)에 이물질이 묻으면, 상기 브러쉬(141)를 물로 세척한 후 상기 탈수통(156)에 넣는다.
이후, 상기 탈수손잡이(127)를 잡고 하방으로 힘을 가한다.
이때, 상기 연결관(120)이 하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스크류축(121)은 연결관(120)과 함께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상기 스크류축(121)이 하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스크류축(121)은 이와 축결합된 나선홈(135)을 통과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연결구(133)는 나선홈(135)을 통과하는 스크류축(121)에 의해 회전력을 갖게 되며, 그 회전력은 상기 가변봉(130) 및 회전판(140)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탈수통(156)에 삽입된 회전판(140)은 탈수통(156) 내에서 회전하여 흡수했던 물이 원심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연결관(120)을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스크류축(121)은 연결관(120)과 함께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상기 스크류축(121)이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스크류축(121)은 이와 축결합된 나선홈(135)을 통과한다.
이때, 상기 연결구(133)는 스크류축(121)이 하방으로 이동하였을 때와는 반대방향의 회전력을 갖게 되며, 연결관(120)과 연결구(133) 사이에 연결된 클러치베어링(131)에 의해 클러치베어링(131) 내부에서 공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클러치베어링(131)은 스크류축(121)이 하방으로 이동하였을 때에는 걸림을 이룬 상태가 되어 상기 연결구(133)에 회전력을 전달하지만, 상기 스크류축(121)이 상방으로 이동하였을 때에는 회전하여 상기 연결구(133)가 상기 클러치베어링(131) 내에서 공회전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연결관(120)이 자유롭게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동작의 반복을 통해 상기 회전판(140)에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브러쉬(141)의 탈수동작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청소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스토퍼(200)를 이용하여 가변봉(130)의 슬라이딩 이동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루걸레 청소기 중 스토퍼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손잡이(240)를 상방으로 힌지회전시키면, 상기 편심돌부(241)는 힌지축(230)을 중심으로 힌지회전하여 횡방향장공(223)의 하부와 맞닿음과 동시에 상기 횡방향장공(223)을 하방으로 밀어 내린다.
이에, 상기 가압관(220)은 편심돌부(241)의 미는 힘을 전달받아 하방으로 이동하며, 이와 동시에 가압관(220)의 내면은 상기 테이퍼돌부(211)를 가압하여 그 부위의 내경을 축소한다.
따라서, 상기 결속관(210)의 내경 축소부위가 상기 가변봉(130)의 외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가변봉(130)을 결속관(210)에 고정한다.
한편, 청소작업을 마친 후, 이물질이 묻은 브러쉬(141)를 세척 및 탈수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동손잡이(240)를 하방으로 힌지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이동손잡이(240)가 하방으로 힌지회전하면, 상기 편심돌부(241)는 힌지축(230)을 중심으로 힌지회전하여 횡방향장공(223)의 상부와 맞닿음과 동시에 상기 횡방향장공(223)을 상방으로 밀어올린다.
이에, 상기 가압관(220)은 편심돌부(241)의 미는 힘을 전달받아 상방으로 이동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테이퍼돌부(211)는 그와 동일한 형상의 내부구조를 갖는 연결홈(221)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테이퍼돌부(211)가 상기 연결홈(221)에 삽입되면, 내경이 축소되었던 결속관(210)의 하부는 이완되어 결속관(210)에 고정된 가변봉(130)을 해제한다.
이에, 청소작업도중 연결관(120)의 하강이동 및 이로 인한 가변봉(130)의 회전동작을 상기 스토퍼(200)를 통해 제어함으로써, 편리하게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110 : 자루 120 : 연결관
130 : 가변봉 140 : 회전판
150 : 탈수조 200 : 스토퍼
210 : 결속관 220 : 가압관
230 : 힌지축 240 : 이동손잡이

Claims (2)

  1. 손잡이(111)가 구비된 자루(110);
    상기 자루(110)의 하단에 체결되며, 내측에 스크류축(121)을 갖는 결속구(123)가 연결되고, 외면에 탈수손잡이(127)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연결홀더(125)를 매개로 상부측의 자루(110)에 연결된 연결관(120);
    상기 연결관(120)을 따라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내측에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일 방향 클러치베어링(131)이 연결되고, 상기 클러치베어링(131)의 내륜에 연결구(133)가 연결되며, 상기 연결구(133)의 내측에 상기 스크류축(121)과 축결합되는 나선홈(135)이 마련된 가변봉(130);
    상기 가변봉(130)의 하단에 체결되며, 하부에 브러쉬(141)가 구비된 회전판(140) 및
    상기 브러쉬(141)에 흡수된 수분을 탈수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151)이 마련된 탈수조(150)를 포함하되,
    상기 탈수조(150)는 그 상부에 상기 수용공간(151)을 개폐하기 위한 덮개(153)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151)의 바닥에 회전축(155)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155)의 상부에 탈수통(156)이 축결합되고, 상기 탈수통(156)의 인접한 하부에 상기 탈수조(150)의 상단과 연결편(158)에 의해 걸림을 이루는 받침구(159)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루걸레 청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120)의 하부 외면에는 가변봉(130)의 슬라이딩 이동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200)를 설치하되,
    상기 스토퍼(200)는
    상기 연결관(120)의 하부 외면에 연결되며, 외측에 상협하광의 형상을 갖는 테이퍼돌부(211)가 마련되고, 상기 테이퍼돌부(211)의 내측에 하방으로 개구된 복수개의 절개부(213)가 형성되며, 양측에 힌지공(215)이 형성된 결속관(210)과,
    상기 결속관(210)의 외면에 연결되며, 내측에 상기 테이퍼돌부(211)가 삽입되는 연결홈(221)이 형성되고, 양측에 횡방향장공(223)이 마련된 가압관(220)과,
    상기 횡방향장공(223)과 힌지공(215)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관(120)의 외면에 고정된 힌지축(230) 및
    상기 힌지축(230)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양단부에 편심돌부(241)가 마련된 이동손잡이(2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루걸레 청소기.
KR1020100110289A 2010-11-08 2010-11-08 자루걸레 청소기 KR101184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289A KR101184633B1 (ko) 2010-11-08 2010-11-08 자루걸레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289A KR101184633B1 (ko) 2010-11-08 2010-11-08 자루걸레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865A KR20120048865A (ko) 2012-05-16
KR101184633B1 true KR101184633B1 (ko) 2012-09-20

Family

ID=46266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0289A KR101184633B1 (ko) 2010-11-08 2010-11-08 자루걸레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46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856A (ko) 2017-09-15 2019-03-25 유지열 탈수가 용이한 자루걸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844Y1 (ko) * 2013-05-08 2014-08-07 (주)팜스코 양돈용 피드 슈터 브러쉬
CN109222787A (zh) * 2018-11-16 2019-01-18 丁国顺 清洗机
TWI816442B (zh) * 2022-06-20 2023-09-21 樹德科技大學 具伸縮外罩及支撐功能的旋轉式拖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856A (ko) 2017-09-15 2019-03-25 유지열 탈수가 용이한 자루걸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865A (ko) 201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4633B1 (ko) 자루걸레 청소기
WO2015003419A1 (zh) 自拧干平板拖把
WO2015010577A1 (zh) 可甩干脱水的旋转式拖把
CN205458514U (zh) 一种拖把挤水装置
AU2009100652A4 (en) Floor Cleaning Utensil
KR101874385B1 (ko) 청소용 밀대
CN201879632U (zh) 一种离心式脱水地拖系统
CN205054124U (zh) 一种清洁工具内的清洗装置
CN208274349U (zh) 一种清洁用杯刷
CN102144910A (zh) 旋转式拖把
CN101828894B (zh) 拖把桶及与其配套的拖把
CN201668362U (zh) 拖把桶及与其配套的拖把
KR101210109B1 (ko) 밀대형 청소도구
CN205458482U (zh) 一种平板拖把清洁工具
CN203591213U (zh) 一种电动搓背机
TWM482364U (zh) 可調昇降脫水槽之脫水桶
KR200487745Y1 (ko) 트위스트형 청소 밀대장치
KR20100120095A (ko) 걸레 세척장치
CN104757915A (zh) 拖把清洁件可收紧式清洗脱水组合装置
KR20120004467U (ko) 밀걸레탈수기
CN204813746U (zh) 一种淋浴喷头清洗拖把压轮挤水器
JP3177107U (ja) モップの水切り用具
KR200464298Y1 (ko) 세척기능을 갖는 탈수장치
KR20110032894A (ko) 탈수장치
CN203873702U (zh) 一种拖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