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2894A -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2894A
KR20110032894A KR1020090090631A KR20090090631A KR20110032894A KR 20110032894 A KR20110032894 A KR 20110032894A KR 1020090090631 A KR1020090090631 A KR 1020090090631A KR 20090090631 A KR20090090631 A KR 20090090631A KR 20110032894 A KR20110032894 A KR 20110032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caffold member
dewatering
coupled
driv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광철
박성순
Original Assignee
조광철
박성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광철, 박성순 filed Critical 조광철
Priority to KR1020090090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2894A/ko
Publication of KR20110032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8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8Wringers for scouring pads, mops, or the like, combined with buckets

Landscapes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작업자의 족답력에 의해 탈수바스켓에 형성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걸레 등을 탈수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작업자가 과도한 힘을 들이지 않고서도 걸레 등을 손쉽게 탈수할 수 있는 탈수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탈수장치{APPARATUS FOR DEHYDRATING}
본 발명은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걸레 등의 탈수작업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마련된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가정에는 세척과 탈수 기능을 겸비한 세탁기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세탁기는 주로 의류나 이불과 같이 청결함이 중요시되는 빨랫감의 세척 및 탈수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세탁기가 구비된 가정에서도 걸레와 같이 지저분한 물건의 세척 및 탈수는 근래까지 사람이 손으로 직접 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한편, 손으로 걸레를 탈수 할 때는 걸레의 양 끝을 양손으로 잡고 비틀어 물기를 짜내게 되는데, 이때는 손목이나 팔목 관절에 과도한 힘이 들어가기 때문에, 작업자의 관절이 손상될 우려가 발생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걸레 등의 탈수를 보다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양동이에 압착기가 설치된 탈수기구 등이 등장하고 있다.
상기 압착기는 상호 접철되도록 힌지 결합된 한 쌍의 압착판으로 구성된다. 이중 하나의 압착판은 양동이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압착판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누를 수 있도록 손잡이가 연결된다.
따라서 이러한 탈수기구를 이용하여 걸레 등을 탈수 할 때 작업자는 걸레를 압착판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양 압착판 사이를 가압하여 걸레를 짜내게 되고, 이때 걸레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양동이로 수집된다.
그러나 압착판을 이용한 종래 탈수기구의 경우에도 걸레 등을 제대로 탈수하기 위해서는 압착판을 손으로 강하게 눌러줘야 하기 때문에, 팔 힘이 약한 어린이나 노약자가 이용하기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과도한 힘을 들이지 않고서도 걸레 등의 탈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 탈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탈수장치는 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부로 개방된 물수용공간과, 상기 물수용공간과 구획되도록 상기 물수용공간 하부 일측에 측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구동실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구동실 상부의 물수용공간 내 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탈수바스켓과; 일단이 상기 탈수바스켓의 중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탈수바스켓 직하방의 구동실로 연장된 회전축과; 상하방향으로 스윙 가능하도록 일단은 상기 구동실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실 외부로 연장되게 마련된 발판부재와; 상기 발판부재의 누름력을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여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발판부재에 일체로 형성된 제1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축과 상기 발판부재 사이의 상기 구동실에 마련되는 기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어유닛은 상기 구동실의 회전축 외주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축을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내주에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이 마련된 제2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 사이에 상기 발판부재의 스윙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1기어와 내접기어를 형성하는 내접기어부와 상기 제2기어와 베벨기어를 형성하는 베벨기어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제3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판부재에는 발판부재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발판부재의 누름방향을 따라 부채꼴 형태로 연장된 연장부가 마련되되, 상기 제1기어는 상기 연장부에 상기 연장부의 호를 따라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실의 하부는 개방되고, 상기 구동실의 개방된 하부에는 상기 구동실 내부 상기 발판부재의 일단부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대가 입설된 받침판이 결합되되, 상기 연장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중 어느 하나의 지지대에 지지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기어는 일단이 그 중심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연장부가 지지되는 지지대 쪽에 결합된 기어축을 통해 고정되되, 상기 제1기어 상부의 연장부에는 상기 발판부재의 스윙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기어축이 관통되는 호형상의 슬릿이 상기 제1기어를 따라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탈수장치는 하부 쪽으로 눌려진 상기 발판부재를 탄성력에 의해 상부 쪽으로 복귀시키도록 중앙의 고리부가 상기 발판부재 일단의 회전중심에 결합되고 상기 고리부 양측으로 연장된 양단부가 각각 상기 지지대와 발판부재의 타단 쪽에 지지될 수 있도록 설치된 토션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탈수장치는 작업자의 족답력에 의해 탈수바스켓에 형성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걸레 등을 탈수할 수 있게 마련되므로, 이러한 탈수장치의 이용시 작업자는 과도한 힘을 들이지 않고서도 걸레 등을 손쉽게 탈수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탈수장치는 발판부재에 가해지는 족답력을 회전축으로 전달하여 탈수바스켓이 회전되도록 하는 기어유닛의 구성이 발판부재와 일체로 마련된 제1기어 및 내접기어부와 외접기어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제3기어 등을 통해 간소화 되면서 전체적인 생산성과 공간활용도도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장치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탈수장치(1)는 봉 걸레 등의 탈수에 적합하도록 마련된 것으로, 내부가 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부로 개방된 물수용공간(11)을 형성하는 본체(10)를 통해 외관을 이룬다. 물수용공간(11) 하부 일측에는 물수용공간(11)과 구획되고 본체(10)의 측방과 하부로 개방된 구동실(12)이 형성된다.
본체(10) 상부의 개구 양측으로는 본체(10)의 이동시 작업자가 본체(10)를 들어 올리는데 이용되도록 손잡이(13)가 연결된다. 손잡이(13)는 본체(10)의 개구를 가리지 않도록 양측으로 회동될 수 있게 힌지 결합된다.
구동실(12) 상부의 물수용공간(11) 내부에는 회전 가능하도록 탈수바스켓(20)이 설치된다. 탈수바스켓(20)은 상부로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며, 탈수바스켓(20) 내부의 물을 하부와 반경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탈수바스켓(20)의 바닥과 측벽에는 복수개의 배수공(21)이 형성된다.
탈수바스켓(20)의 바닥 중심에는 탈수바스켓(20)으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30)의 일단이 결합되고, 회전축(30)의 타단은 탈수바스켓(20) 직하방의 본체(10)를 관통하여 구동실(12)로 연장된다.
참고로 물수용공간(11)은 탈수바스켓(20) 일측에 구동실(12)과 탈수바스켓(20)이 차지하는 부피 정도의 여유공간을 갖도록 마련되며, 이에 따라 본체(10)는 한 쪽 폭이 넓게 형성된 통 모양을 이룬다. 따라서 탈수바스켓(20) 하부 쪽 물 수용공간(11)에 깨끗한 물을 담아 놓을 경우 작업자는 탈수바스켓(12) 측방의 이러한 여유공간을 이용하여 걸레 등을 세척할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실(12)에는 작업자가 발로 밟을 수 있도록 마련된 발판부재(40)와, 발판부재(40)의 누름력을 상기 회전축(30)에 전달하여 회전축(30)을 회전시키는 기어유닛(50)이 마련된다.
따라서 봉 걸레나 손 걸레와 같이 일반 세탁기로 탈수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수분 함유물을 이러한 탈수장치(1)를 이용하여 탈수할 때, 작업자는 걸레 등을 탈수바스켓(20)에 담은 상태에서 발판부재(40)를 발로 밟아 탈수바스켓(20)을 회전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탈수장치(1)는 본체(10)와 탈수바스켓(20)이 모두 상부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탈수장치(1)를 이용하게 되면, 봉 걸레 등을 탈수할 때도 봉을 걸레로부터 분리할 필요 없이 봉 걸레의 걸레 부분을 탈수바스켓(20)에 수용되도록 한 상태에 바로 탈수바스켓(20)을 회전시켜 봉 걸레의 걸레를 탈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탈수바스켓(20)이 회전되면, 걸레는 배어있던 물기가 원심력에 의해 탈수바스켓(20)의 바닥과 측벽의 배수공(21)을 통해 물수용공간(11)으로 배출되면서 탈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탈수장치(1)를 이용하게 되면, 걸레 등을 손으로 짜거나 눌러 가압할 필요 없이 작업자의 족답력과 이에 따른 탈수바스켓(20)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간단히 탈수 할 수 있으므로 노약자나 어린이와 같은 이용자도 걸 레 등을 용이하게 탈수할 수 있게 된다.
또 탈수바스켓(20) 측방의 물수용공간(11)에 소정의 물을 담아 놓을 경우 작업자는 이러한 여유공간의 물을 이용하여 걸레 등을 빨 수도 있게 되는데, 이때는 탈수장치(1)가 걸레 등의 세척과 탈수에 동시에 이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기어유닛(50)의 경우 상하방향을 따라 누름 동작되는 발판부재(40)의 족답력을 회전축(30)의 회전운동으로 전환시켜야 하는 만큼, 복수개의 기어를 구비할 수 밖에 없어 구성이 복잡하게 될 우려가 크고, 복잡한 기어유닛(50)의 구조는 탈수장치(1)의 생산성을 저하시고 구동실의 부피를 증가시켜 탈수장치(1)의 공간활용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탈수장치(1)의 생산성 및 공간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기어유닛(50)이 탈수바스켓(20)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대로 간소화된 구조를 갖는다.
도 3과 도 4를 통해 이러한 기어유닛(50)의 구조를 발판부재(40)의 구조와 연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판부재(40)와 기어유닛(50)의 설치를 위해 구동실(12)의 개방된 하부에는 받침대(60)가 결합된다. 받침대(60)의 양측에는 구동실(12) 내부 회전축(30) 양측으로 입설되는 한 쌍의 지지대(61,62)가 일체로 마련되며, 지지대(61,62) 사이의 받침대(60)에는 회전축(30)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삽입공(63)이 형성된다.
발판부재(40)는 일단에 일체로 마련된 고정축부(41)가 상기 양 지지 대(61,62) 상단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스윙동작 가능하게 되며, 발판부재(40)의 타단은 구동실(12) 개방된 측방을 통해 구동실(12) 외부로 연장된다.
참고로 미설명 부호 64a 및 64b는 상기 고정축부(41)를 지지대(61,62) 상단의 고정홀(61a,62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핀이며, 또 다른 미설명 부호 41a는 양 지지대(61,62) 사이로 위치되는 회전축의 통과를 위해 고정축부(41) 중앙에 형성된 통과홈이다.
그리고 기어유닛(50)은 발판부재(40)에 일체로 형성된 제1기어(51)와, 회전축(30)과 함께 회전하도록 회전축(30) 외주에 결합되는 제2기어(52)와, 발판부재(40)의 스윙방향과 평행하도록 제1기어(51)와 제2기어(52) 사이에 세로로 배치되는 제3기어(53)를 포함하여 회전축(30)과 발판부재(40) 사이의 구동실(12)에 설치된다.
이중 제1기어(51)는 발판부재(40) 일측에 발판부재(40)의 회전중심이 되는 고정축부를 중심으로 하여 발판부재(40)의 누름방향을 따라 부채꼴 형태로 연장되는 연장부(42)에 형성되어 발판부재(40)와 일체로 한 몸을 이룬다. 이러한 제1기어(51)는 연장부(42) 외곽 안쪽에 연장부(42)의 호를 따라 소정길이에 걸쳐 배열된 기어열로 마련되며, 발판부재(40)의 스윙동작에 따른 제1기어(51)의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 상기 연장부(42)는 바깥 쪽 외면이 인접한 지지대(62)에 지지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별도의 부품으로 제조되지 않고 발판부재(40)와 한 몸을 이루도록 마련된 제1기어(51)는 기어유닛(50)의 구성이 간소화 되도록 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그리고 제2기어(52)는 삽입공(63) 상부의 회전축(30) 외주에 회전축(30)과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발판부재(40)의 족답력에 의해 회전하는 탈수바스켓(20)의 경우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마련되어야 발판부재(40)를 여러 번 밟는 과정에서 쉽게 가속될 수 있으므로, 제2기어(52)의 내주에는 상기 회전축(30)을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미도시)이 마련된다. 따라서 회전축(30)은 기어유닛(50)의 구동시 제2기어(52)가 양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회전축(30) 및 회전축(30)에 연결된 탈수바스켓(20)을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키게 된다.
또 제1기어(51)와 제2기어(52) 사이에 발판부재(40)의 스윙방향과 평행하게 세로로 배치되는 제3기어(53)의 배치구조는 제1기어(51)와 제2기어(52) 사이의 폭을 줄여 기어유닛(50)의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탈수장치(1)의 공간활용도가 향상되도록 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이러한 제3기어(53)는 제1기어(51)와 내접기어를 형성하는 일측의 내접기어부(53a)와, 제2기어(52)와 베벨기어를 형성하는 타측의 베벨기어부(53b)를 구비하고, 기어유닛(50)의 구성이 보다 간소화 될 수 있도록 내접기어부(53a)와 베벨기어부(53b)는 상호 한 몸을 이룬다. 내접기어부(53a)와 베벨기어부(53b)의 중심이되는 제3기어(53)의 축심에는 기어축(54)의 일단이 결합되고, 기어축(54)의 타단은 제1기어(51) 상부의 연장부(42)를 관통하여 연장부(42) 쪽 지지대(62)에 마련된 결합공(62b)에 결합된다.
기어축(54)이 관통되는 제1기어(51) 상부의 연장부(42)에는 발판부재(40)의 스윙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제1기어(51)를 따라 형성된 호 형상의 슬릿(42a)이 마련 된다. 따라서 발판부재(40)는 기어축(54)이 상기 슬릿(42a)의 일단과 타단에 걸릴 때까지 하부나 상부로 스윙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축(30)의 회전 원동력이 되는 발판부재(40)의 족답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기 용이하도록 탈수장치(1)는 하부 쪽으로 눌려진 발판부재(40)를 다시 상부 쪽으로 복원시키기 위한 탄성부재(70)를 더 구비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부재(70)는 좁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한 토션스프링으로 마련되며, 이러한 탄성부재(70)는 별도의 설치공간이 필요 없도록 코일형태를 취하는 중앙의 고리부(71)가 발판부재(40) 일단의 고정축부(41)에 끼워지고 양단부(72,73)가 각각 상기 지지대(61)와 발판부재(40)의 타단 쪽에 지지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다음은 이와 같이 마련되는 탈수장치(1)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봉 걸레(2)를 이용하여 청소를 하던 도중 때나 이물질로 인해의 걸레(2a)가 더러워졌을 때, 작업자는 먼저 탈수바스켓(20) 측방의 물 수용공간(11)에 담겨진 물속으로 봉 걸레(2)의 걸레(2a)를 삽입하여 빨개 된다. 그리고 걸레(2a)의 세척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걸레(2a)를 탈수하기 위해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바스켓(20)에 봉 걸레(2)의 걸레(2a)부분이 담겨지도록 한 후 구동실(12) 외부로 연장된 부위의 발판부재(40)를 발로 밟게 된다.
이와 같이 발판부재(40)가 화살표 A 방향을 따라 하부로 눌려지게 되면, 발판부재(40)와 일체로 마련된 제1기어(51)는 연장부(42)의 호를 따라 화살표 B 방향 으로 이동하면서 제3기어(53)의 내접기어부(53a)를 화살표 C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는 내접기어부(53a)와 일체를 이루는 베벨기어부도(53b) 화살표 C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화살표 C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3기어(53)의 베벨기어부(53b)는 제2기어(52) 및 회전축(30)을 화살표 D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화살표 D 방향은 곧 탈수바스켓(20)의 회전 방향이 된다.
또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발판부재(40)에 가했던 족답력을 거두어들이게 되면, 발판부재(40)는 탄성부재(7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E 방향을 따라 본래 상태 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동시에 발판부재(40)와 일체로 마련된 제1기어(51)는 연장부(42)의 호를 따라 화살표 F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3기어(53)의 내접기어부(53a)를 아까와는 반대로 화살표 G 방향을 따라 회전시키게 된다. 화살표 G 방향은 곧 제3기어(53)의 베벨기어부(53a)의 회전 방향이 된다.
베벨기어부(53b)가 화살표 G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베벨기어부(53b)와 베벨기어를 이루는 제2기어(52)도 아까와는 반대로 화살표 H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제2기어(52) 내주의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미도시)에 의해 회전축을 D 방향으로만 회전구속하게 되는 제2기어(52)의 특성에 따라 이때에도 회전축(30)은 발판부재(40)가 눌려졌을 때 회전하던 관성에 의해 그대로 D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상태에 작업자가 다시 발판부재(40)를 밟게 되면, 기어유닛(50)은 다시 도 5 및 도 6과 같은 상태로 동작하며 D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회전축(30)의 속도를 가속시켜 탈수바스켓을 고속으로 회전시키고, 이러한 과정이 반복적으로 진행 되면서 걸레(2a)는 배어 있던 물기가 탈수바스켓(20)의 원심력에 의해 물수용공간(11)으로 배출되면서 탈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 본체와 탈수바스켓과 기어유닛이 상호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장치에 있어서, 기어유닛 쪽 구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장치에 있어서, 기어유닛 쪽 구조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장치에 의해 봉 걸레가 탈 수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 발판부재가 눌려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5의 상태에 있는 탈수장치의 기어유닛 쪽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장치에 의해 봉 걸레가 탈수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 발판부재가 본래의 위치로 복귀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에 있는 탈수장치의 기어유닛 쪽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탈수장치 10: 본체
20: 탈수바스켓 30: 회전축
40: 발판부재 50: 기어유닛
51: 제1기어 52: 제2기어
53: 제3기어 53a: 내접기어부
53b: 베벨기어부 70: 탄성부재

Claims (6)

  1. 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부로 개방된 물수용공간과, 상기 물수용공간과 구획되도록 상기 물수용공간 하부 일측에 측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구동실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구동실 상부의 물수용공간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탈수바스켓과;
    일단이 상기 탈수바스켓의 중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탈수바스켓 직하방의 구동실로 연장된 회전축과;
    상하방향으로 스윙 가능하도록 일단은 상기 구동실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실 외부로 연장되게 마련된 발판부재와;
    상기 발판부재의 누름력을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여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발판부재에 일체로 형성된 제1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축과 상기 발판부재 사이의 상기 구동실에 마련되는 기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유닛은 상기 구동실의 회전축 외주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축을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내주에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이 마련된 제2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 사이에 상기 발판부재의 스윙방향과 평행하게 배치 되되 상기 제1기어와 내접기어를 형성하는 내접기어부와 상기 제2기어와 베벨기어를 형성하는 베벨기어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제3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재에는 발판부재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발판부재의 누름방향을 따라 부채꼴 형태로 연장된 연장부가 마련되되,
    상기 제1기어는 상기 연장부에 상기 연장부의 호를 따라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실의 하부는 개방되고, 상기 구동실의 개방된 하부에는 상기 구동실 내부 상기 발판부재의 일단부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대가 입설된 받침판이 결합되되,
    상기 연장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중 어느 하나의 지지대에 지지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3기어는 일단이 그 중심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연장부가 지지되는 지지대 쪽에 결합된 기어축을 통해 고정되되,
    상기 제1기어 상부의 연장부에는 상기 발판부재의 스윙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기어축이 관통되는 호형상의 슬릿이 상기 제1기어를 따라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하부 쪽으로 눌려진 상기 발판부재를 탄성력에 의해 상부 쪽으로 복귀시키도록 중앙의 고리부가 상기 발판부재 일단의 회전중심에 결합되고 상기 고리부 양측으로 연장된 양단부가 각각 상기 지지대와 발판부재의 타단 쪽에 지지될 수 있도록 설치된 토션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장치.
KR1020090090631A 2009-09-24 2009-09-24 탈수장치 KR201100328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631A KR20110032894A (ko) 2009-09-24 2009-09-24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631A KR20110032894A (ko) 2009-09-24 2009-09-24 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894A true KR20110032894A (ko) 2011-03-30

Family

ID=43937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631A KR20110032894A (ko) 2009-09-24 2009-09-24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28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06753A (zh) * 2018-05-10 2018-10-02 宁波德腾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平板拖把的挤水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06753A (zh) * 2018-05-10 2018-10-02 宁波德腾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平板拖把的挤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7943B1 (ko) 회전탈수 청소도구 및 이를 위한 자루잠금기구
KR200460003Y1 (ko) 회전탈수장치 뚜껑
KR20110032894A (ko) 탈수장치
CN201879632U (zh) 一种离心式脱水地拖系统
KR200459855Y1 (ko) 자루걸레용 회전 탈수장치
KR101184633B1 (ko) 자루걸레 청소기
KR200268623Y1 (ko) 밀걸레 전용 세탁기
TWI552710B (zh) 搥打清洗用之旋轉脫水式拖把清洗器
KR101178899B1 (ko) 자루형 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
KR20140051008A (ko) 감속장치를 구비한 회전걸레청소기
KR101210109B1 (ko) 밀대형 청소도구
KR200168499Y1 (ko) 음식물 탈수기
KR20120004199U (ko) 수동식 세탁탈수장치
KR101246757B1 (ko) 회전걸레세척기의 걸레판 홀더
KR200464298Y1 (ko) 세척기능을 갖는 탈수장치
CN2584121Y (zh) 拖把洗涤脱水机
KR20120019247A (ko) 마대걸레의 세탁 탈수장치
CN219364083U (zh) 一种手动脚踏两用洗衣机
CN213328226U (zh) 一种工业洗衣机
KR20130005606U (ko) 두드리고 비벼빠는 걸레 세척기
CN218356118U (zh) 一种便于使用的旋转拖把清污分离桶
KR200234737Y1 (ko) 세척통을 구비한 마포 걸레 탈수기
KR20110011421U (ko) 원심력을 이용한 밀대걸레용 세척탈수장치
CN101427901B (zh) 拖把清洗机
KR20170045924A (ko) 대걸래 세척, 탈수 및 보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