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8499Y1 - 음식물 탈수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탈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499Y1
KR200168499Y1 KR2019970043326U KR19970043326U KR200168499Y1 KR 200168499 Y1 KR200168499 Y1 KR 200168499Y1 KR 2019970043326 U KR2019970043326 U KR 2019970043326U KR 19970043326 U KR19970043326 U KR 19970043326U KR 200168499 Y1 KR200168499 Y1 KR 2001684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gear
vegetables
transmission gear
dehyd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33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0633U (ko
Inventor
박진현
정태성
Original Assignee
박진현
정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현, 정태성 filed Critical 박진현
Priority to KR20199700433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8499Y1/ko
Publication of KR199900306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6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4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4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 탈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야채류 또는 폐기 음식물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상부커버와, 이 상부커버가 상단으로 결합되게 내부의 바닥면 중앙에 지지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이 몸체의 지지돌기부에 재치되도록 하면으로 수용홈부가 형성되고 차단커버의 밑면에 형성된 체결리이브가 결합되어 설치되는 수용부재로 구성되는 음식물 탈수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는 상면에 다수개의 파지홈부가 형성되고 중심에서 편심되게 수용부가 형성된 외측판과, 상기 몸체의 상단 외주연과 나선결합되는 내측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상측에는 일측으로 잡이부가 회전자재하게 설치된 지지대가 지지턱으로 수직지지되게 힌지결합되며, 하측에는 스프링과 일방향기어가 형성된 체결부재와, 상부에는 상기 일방향기어와 맞물리도록 일방향기어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구동기어가 설치된 구동부재가 형성되며, 이 구동부재의 구동기어는 전달기어의 제 1전달기어와, 전달기어의 제 2전달기어는 차단커버의 지지돌기가 삽입되는 종동부재의 종동기어와 맞물리게 설치된 음식물 탈수기를 제공하므로서, 상추나 쑥갓 등과 같은 각종 야채류를 세척한 후 야채류에 묻어 있는 수분을 간단한 조작으로 편리하게 제거하여 위생적인 야채를 제공함은 물론 폐기 음식물에 함유된 수분을 손쉽게 제거하여 쓰레기 분리수거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탈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 탈수기(A dehydrator of the food).
본 고안은 음식물 탈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야채류를 세척후 탈수시키고자 할 때나 음식물 쓰레기등을 탈수하고자 사용되는 음식물 탈수기에 있어 손잡이를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도록 하여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음식물 탈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추나 쑥갓과 같은 야채류 등을 섭취하고자 할 때에는 섭취하고자 하는 야채류를 물이나 세제로 세척한 후,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용기나 바구니 등에 담아 일정시간 경과한 후에, 야채에 묻어 있는 수분이 자연 탈수되면 이를 섭취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에 있어서는 장시간이 경과 하더라도 야채에 묻어 있는 수분이 완전하게 제거되지 않아 섭취하고자 할 때 다시 한번 털어서 섭취해야 하였으나, 이 또한 수분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수분과 같이 야채를 섭취해야 함으로써, 야채의 신선한 고유의 맛을 즐길수 없었던 문제점과, 야채에 묻어 있는 수분과 같이 섭취되어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거되지 않는 수분으로 인해 야채를 섭취시에 섭취자의 의복이나 다른 음식 등으로 수분이 흘러 내려 묻게 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근래에 들어 많은 야채수분 탈수기가 안출된 바, 본 원에서는 종래 실용신안공보에 기재된 공고번호 제 89-709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 수동식 고속회전드럼을 이용한 야채수분 탈수기 "가 안출된 바 있는 데,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는 종래 야채수분 탈수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로, 그 구성은 다수의 탈수통공(62) 및 걸림통공(64)이 형성된 회전드럼(60)을 돌축(52)이 내부 저면 중심부에 돌설된 탈수기 통체(50) 내에 내장하고, 방사상으로 다수의 보강돌조(72)가 형성된 뚜껑(70)의 중심으로 부터 편심되게 형성된 요입부(74)의 힌지축공(75) 내로 내륜기어(82)가 형성된 회전원판(80)을 회동자재토록 설치하며, 상기 내륜기어(82)와 상호 맞물려 고속회전하는 피니온기어(76)와 일체로 형성된 삼발이 형상의 파지대(78)의 각 단부상에 걸림돌기(79)를 하향 돌설하여 상기 회전드럼(60)이 상단주연부에 형성된 걸림통공(64)과 상호 결합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도면에서 설명되지 않은 미설명 부호 85는 손잡이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야채수분 탈수기(100)의 사용은 먼저, 회전드럼(60) 내로 물과 세제류 등으로 세척한 야채류를 수납시킨 후, 회전드럼(60)을 탈수기 동체(50) 내의 돌축(52) 상에 재치되게 내장하고 보강돌조(72)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뚜껑(70)을 탈수기 동체(50) 상에 설치하게 되면 삼발이 형상의 파지대(78)의 걸림돌기(79)는 회전드럼(60)의 상단 주연부 상에 형성된 걸림통공(64)과 상호 결합하게 되어 내용물 즉, 야채류가 수납된 회전드럼(60)의 중심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뚜껑(70)의 중심으로 부터 편심되게 설치된 회전원판(80)상의 손잡이(85)를 손으로 파지한 후 일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회전원판(8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내륜기어(82)와 상호 맞물려 있는 피니온기어(76)가 회동하게 되므로 회전드럼(60) 내에 수납되어 야채에 묻은 수분이 회전드럼(60)의 회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수분이 다수의 탈수통공(62)을 통하여 깨끗하게 제거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종래의 야채수분 탈수기(100)에서는 회전드럼(60)의 회전으로 인한 원심력을 이용하여 야채류에 묻어 있는 수분등을 깨끗하게 제거하여 신선한 야채를 제공하는 장점은 있었으나, 야채에 수분이 완전히 탈수되는 시점에서 뚜겅(70)의손잡이(85)를 멈추게 되면 회전되던 회전드럼(60)의 원심력이 별도로 고정되어 있지 않는 동체(50)에 전달됨으로서, 그 힘의 작용에 의해 동체(50)가 전복되어 탈수기(100) 내의 뚜껑(70)이 이탈되면서 회전드럼(60)에 수납된 야채등이 쏟아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야채에 묻어 있는 물기가 회전드럼(60) 내에서 탈수되는 과정에서 동체(50)와 이 동체(50)의 상부로 설치되는 뚜껑(70) 사이에는 기밀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탈수 중에 비산되는 물등이 동체(50)의 의부로 누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상기 탈수기(100)의 회전원판(80)의 회전반경이 작은 관계로 초기회동시에 많은 힘이 요구되는 불편함도 초래되었다.
한편, 상기 야채수분 탈수기(100)는 상기와 같이 야채를 탈수하는 것이 아니라, 페기 음식물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하였으나, 폐기 음식물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회전속도가 상당히 고속으로 회전되어야 하는 조건을 갖추어야 수분이 제거되었는 데, 상기와 같은 야채수분 탈수기에서는 회동되는 회전드럼(60)이 고속이 아닌 저속으로 회전되는 관계로 폐기 음식물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탈수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종래의 폐기 음식물 탈수기는 고속회전될 수 있도록 다수의 기어를 이용하는 것과 고속모터를 설치하여 안출한 것이 있었으나, 상기 고속모터를 사용할 경우는 먼저 고속모터를 구비하고, 그 고속모터에 수분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별도의 기밀부재를 구비해야 함으로써, 그 구성이 복잡하고 원가가 고가인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야채류를 세척후 탈수시키고자 할 때나 음식물 쓰레기등을 탈수하고자 사용되는 음식물 탈수기에 있어 손잡이를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도록 하여 보관이 용이 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야채류 및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중심에서 편심되게 수용부가 형성된 외측판과 외주연에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내측판으로 형성된 상부커버와, 상기 외측판과 내측판 사이에는 상기 수용부의 상부 일측으로 잡이부가 회전자재하게 설치된 지지대가 형성되며 하측 내부에는 스프링과 일방향기어가 형성되어 상측으로 상기 지지대의 일단과 결합되는 체결부재와, 상부에는 상기 일방향기어와 맞물리도록 일방향기어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구동기어가 설치된 구동부재가 형성되며, 이 구동부재의 구동기어는 전달기어의 제 1전달기어와, 전달기어의 제 2전달기어는 차단커버의 지지돌기가 삽입되는 종동부재의 종동기어와 맞물리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커버가 상단으로 결합되게 내부의 바닥면 중앙에 지지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지지돌기부에 재치되도록 하면으로 수용홈부가 형성되고 차단커버의 밑면에 형성된 체결리이브가 결합되어 설치되는 수용부재로 구성된 음식물 탈수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의 외측판 상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파지홈부와; 상기 수용부에 내장된 체결부재의 상단과 결합되는 지지대의 일단은 절첩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그 일면에는 지지대가 펼쳐진 상태에서 수평지지되도록 지지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 음식물 탈수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2은 본 고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3는 본 고안이 결합된 상태의 요부 일측 단면도.
도4은 본 고안의 회동수단이 상호 맞물려 있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평면도.
도5는 종래 야채수분 탈수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탈수기 10 : 상부커버
10a : 외측판 10b : 내측판
11 : 파지홈부 14 : 수용부
15 : 잡이부 16 : 지지대
16a : 지지턱 18 : 체결부재
20 : 구동부재 21 : 스프링
22,22a : 일방향기어 24 : 구동기어
30 : 수용부재 32 : 수용홈부
34 : 체결리이브 35 : 차단커버
36 : 지지돌기 40 : 몸체
40a : 배출공 41 : 기밀부재
44 : 지지손잡이 200 : 전달부재
202 : 제 1전달기어 204 : 제 2전달기어
300 : 종동부재 302 : 종동기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 음식물 탈수기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2은 본 도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3는 본 고안이 결합된 상태의 요부 일측 단면도이고, 도4은 본 고안의 회동수단이 상호 맞물려 있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평면도이다.
중심에서 편심되게 수용부(14)가 형성된 외측판(10a)과 외주연에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내측판(10b)으로 형성된 상부커버(10)와, 상기 외측판(10a)과 내측판(10b)사이에는 상기 수용부(14)의 상부 일측으로 잡이부(15)가 회전자재하게 설치된 지지대(16)가 형성되며 하측 내부에는 스프링(21)과 일방향기어(22)가 형성되어 상측으로 상기 지지대(16)의 일단과 결합되는 체결부재(18)와, 상부에는 상기 일방향기어(22)와 맞물리도록 일방향기어(22a)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구동기어(24)가 설치된 구동부재(20)가 형성되며, 이 구동부재(20)의 구동기어(24)는 전달기어(200)의 제 1전달기어(202)와, 전달기어(200)의 제 2전달기어(204)는 차단커버(35)의 지지돌기(36)가 삽입되는 종동부재(300)의 종동기어(302)와 맞물리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커버(10)가 상단으로 결합되게 내부의 바닥면 중앙에 지지돌기부(42)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40)와, 상기 몸체(40)의 지지돌기부(42)에 재치되도록 하면으로 수용홈부(32)가 형성되고 차단커버(35)의 밑면에 형성된 체결리이브(34)가 결합되어 설치되는 수용부재(30)로 구성된 음식물 탈수기(1)에 있어, 본 고안은 상기 상부커버(10)의 외측판(10a) 상면에 상기 지지대(16)를 접었을 때 일측으로 형성된 잡이부(15)가 재치됨과 동시에 작업자가 손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파지홈부(11)와; 상기 수용부(14)에 내장된 체결부재(18)의 상단과 결합되는 지지대(16)의 일단은 절첩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그 일면에는 지지대(16)가 펼쳐진 상태에서 수평지지되도록 지지턱(16a)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40)의 상단으로 나선결합되는 상부커버(10)의 내측판(10b)과 몸체(40)의 상단 사이에는 패킹등과 같은 기밀부재(41)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40)의 외주면 일측에는 작업자가 몸체(40)를 지지하여 잡을 수 있도록 끼워맞춤 결합되는 지지손잡이(44)가 체결된다.
또 상기 몸체(40)의 밑면에는 탈수과정에서 야채류나 폐기 음식물에서 탈수된 수분등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공(40a)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물과 세제로 세척한 야채류나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부재(30)에 넣은후에 상면으로 형성된 지지돌기(42)에 종동기어(302)가 형성된 종동부재(300)가 결합되고 밑면으로 형성된 체결리이브(34)를 사용하여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수용부재(30)와 차단커버(35)를 결합시킨 다음, 외주면 일측에 지지손잡이(44)가 끼워맞춤 결합된 몸체(40)의 지지돌기부(42)에 수용부재(30)의 수용흠부(32)를 재치한다.
이렇게, 몸체(40) 내로 수용부재(30)가 삽입되면 상기 상부커버(10)의 내측 판(10b)과 몸체(40)의 상단으로 패킹등과 같은 기밀부재(41)를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은 체결과정이 완료되면 체결부재(18)와 힌지결합된 지지대(16)를 도4에서와 같이 탈수기(1)의 외측으로 펼치게 되면 일면으로 형성된 지지턱(16a)에 의해 체결부재(18)와 수평방향으로 지지되고,이때 상기 지지대(16)에 회전자재케 설치된 잡이부(15)를 하측으로 누르면서 회전시킴과 동시에 몸체(40)의 외주면일측에 끼워맞춤 결합된 지지손잡이(44)를 다른 손으로 파지함과 아울러 상부커버(10)의 외측판(10a) 상면으로 형성된 파지홈부(l1)을 지지하면서 잡이부(15)를 회 전시킨다. 이때, 회전되는 잡이부(15)와 지지대(16)의 회전반경이 체결부재(18)에 힌지결합된 부분에서 잡이부(15)가 결합된 지지대(16)의 길이 만큼 즉, 크게 회전되므로서, 초기 작동시에 많은 힘이 필요없이 적은 힘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잡이부(15)와 지기대(16)가 하측으로 눌러져 회전되면서 지지대(16)와 힌지결합된 체결부재(18)가 회동하게 되고 이 체결부재(18)와 스프링(21)과 일방향기어(22)(22a)로 체결된 구동부재(20)의 구동기어(24)가 회동됨에 따라 도3 및 도4에서와 같이 구동기어(24)와 맞물려 있는 전달부재(200)의 제 1전달기어(202)와 제 2전달기어(204)가 회동되면서 제 2전달기어 (204)와 맞물린 종동부재(300)의 종동기어(302)가 회동하게 되어 차단커버(35)의 체결리이브(34)로 결합되어 있는 수용부재(30)가 고속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수용부재(30)가 고속회전됨에 따라 그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야채류나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이 그 원심력으로 인해 이탈되면서 수용부재(30)와 차단커버(35)의 통공을 통해 몸체(40) 내로 포집되고, 이 포집된 수분은 몸체(40)의 밑면에 형성된 배출공(40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야채류나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의 탈수가 완료되어 잡이부(15)와 지지대(16)를 멈추게 됨과 아울러 잡이부(15)에서 손을 놓게 되면 구동부재(20)와 일방향기어(22)(22a)로 체결된 체결부재(18)가 스프링(21)의 작용에 의해 상측으로 상승되어 체결부재(18)와 구동부재(20)가 이탈되면서 잡이부(15)와 지지대(16)는 멈춰지게 되고, 몸체(40)의내부에 체결된 수용부재(30)는 그 회동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수용부재(30)와, 이와 연동되게 설치된 종동부재(300)와 구동부재(20)가 일정시간 동안에 계속해서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통체(5o)의 내부에서 회동되는 회전드럼(6o)에 의해 탈수기(100)가 전복되었던 문제점은 상기 몸체(40)의 외주면 일측에 설치된 지지손잡이(44)와 상부커버(10)의 외측판(10a) 상면으로 형성된 파지홈부(11)로 지지되게 잡고 있는 관계로 탈수기(1)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수용부재(30)가 상부커버(10)와 몸체(40) 내에서 회동되면서 비산되는 물이 탈수기(1)의 외부로 누수되었던 문제점은 상부커버(10)의 내측판(10b)과 몸체(40) 상단부에 설치된 기밀부재(41)에 의해 해소된다.
상기와 같이 야채류나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가 완료되어 몸체(40)의 내부에서 회동되었던 수용부재(30)가 멈춰지게 되면 몸체(40)의 상단 외주연으로 나선결합된 상부커버(10)를 이탈시켜 수용부재(30)를 꺼낸 후 차단커버(35)를 분리한 다음 수용부재(30)에 넣어져 있는 야채나 음식물 쓰레기를 꺼내면 모든 수분탈수공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야채류나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이 탈수되어 탈수기(1)를 보관시에나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지지대(16)가 수용부(14)에 내장된 체결부재(18)의 상단과 힌지결합되어 있어, 도1이나 도3에서와 같이 대응되는 위치로 유동시켜 상부커버(10)의 외측판(10a) 상면으로 형성된 파지홈부(11)에 잡이부(15)를 재치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이 용이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음식물 탈수기를 사용하여 야채류나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시 사용자가 손쉽게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하지 않을 경우나 보관시에는 상부커버에서 회전되는 지지대를 절첩되도록 형성시킴에 따라 종래의 음식물 탈수기 보다 협소한 점유면적을 갖을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야채류 및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중심에서 편심되게 수용부가 형성된 외측판과 외주연에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내측판으로 형성된 상부커버와, 상기 외측판과 내측판 사이에는 상기 수용부의 상부 일측으로 잡이부가 회전자재하게 설치된 지지대가 형성되며 하측 내부에는 스프링과 일방향기어가 형성되어 상측으로 상기 지지대의 일단과 결합되는 체결부재와, 상부에는 상기 일방향기어와 맞물리도록 일방향기어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구동기어가 설치된 구동부재가 형성되며, 이 구동부재의 구동기어는 전달기어의 제 1전달기어와, 전달기어의 제 2전달기어는 차단커버의 지지돌기가 삽입되는 종동부재의 종동기어와 맞물리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커버가 상단으로 결합되게 내부의 바닥면 중앙에 지지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지지돌기부에 재치되도록 하면으로 수용홈부가 형성되고 차단 커버의 밑면에 형성된 체결리이브가 결합되어 설치되는 수용부재로 구성된 음식물 탈수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10)의 외측판(10a) 상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파지홈부(111)와; 상기 수용부(16)에 내장되는 체결부재(18)의 상단과 결합되는 지지대(16)의 일단은 절첩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그 일면에는 지지대(16)가 펼쳐진 상태에서 수평지지되도록 지지턱(16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탈수기.
KR2019970043326U 1997-12-30 1997-12-30 음식물 탈수기 KR2001684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326U KR200168499Y1 (ko) 1997-12-30 1997-12-30 음식물 탈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326U KR200168499Y1 (ko) 1997-12-30 1997-12-30 음식물 탈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633U KR19990030633U (ko) 1999-07-26
KR200168499Y1 true KR200168499Y1 (ko) 2000-02-01

Family

ID=19519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3326U KR200168499Y1 (ko) 1997-12-30 1997-12-30 음식물 탈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849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013B1 (ko) * 2013-02-07 2013-07-10 류지호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633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1585U (ja) 足踏みモップバケツ及びモップセット
KR200168499Y1 (ko) 음식물 탈수기
KR200460003Y1 (ko) 회전탈수장치 뚜껑
KR200439290Y1 (ko) 보조통을 구비한 야채 세척기
JP3157468B2 (ja) 食品洗浄脱水器
KR200406401Y1 (ko) 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
KR890007097Y1 (ko) 수동식 고속회전드럼을 이용한 야채수분 탈수기
KR101178899B1 (ko) 자루형 걸레의 세척 겸용 탈수장치
KR20110032894A (ko) 탈수장치
KR20060099228A (ko) 젖은 우산 수분 제거장치
KR200328814Y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890007679Y1 (ko) 야채 탈수기
KR200295000Y1 (ko) 탈수 겸용 믹서기
KR19980038151U (ko) 전기탈수기용 탈수통 안전 덮개
KR200384358Y1 (ko) 주방용 탈수기
JP3060627U (ja) 容易に洗浄殺菌できる遠心脱水機
JP3206617U (ja) 生ごみ脱水機の支持装置及び生ごみ脱水装置
KR19980067816U (ko) 음식물 탈수장치
KR200272873Y1 (ko) 야채 자동 세척, 탈수기
CN209268690U (zh) 一种大蒜烘干用装置
FR2643553A1 (fr) Essoreuse
JPH11267045A (ja) 脱水及び他用途器
JPH0496795A (ja) 脱水槽に着脱するカゴ
KR100228074B1 (ko) 액즙기
KR0133338Y1 (ko) 세탁물 수거부재가 구비된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