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358Y1 - 주방용 탈수기 - Google Patents

주방용 탈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358Y1
KR200384358Y1 KR20-2005-0004518U KR20050004518U KR200384358Y1 KR 200384358 Y1 KR200384358 Y1 KR 200384358Y1 KR 20050004518 U KR20050004518 U KR 20050004518U KR 200384358 Y1 KR200384358 Y1 KR 2003843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ylinder
dehydration
lid
dehydrato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5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to KR20-2005-00045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3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3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3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086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with centrifug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용 탈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외통을 기울여 물을 버리기에 적합한 구조로 이루어져 별도의 배수구나 마개가 필요 없고 이에 따라 탈수통에서 탈수된 물을 쉽고 간편하게 버릴 수 있게 해주는 주방용 탈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주방용 탈수기는, 상단 개방형의 외통과, 복수의 탈수공을 갖춘 채 상기 외통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탈수통과, 상기 탈수통을 상기 외통 외측에서 회전시키도록 마련된 회전기와, 회전되는 탈수통 위를 덮도록 상기 외통의 상단에 얹혀지는 뚜껑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통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파지된 상태로 외통의 기울임을 허용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의 손잡이가 서로 슬라이딩하도록 대면하면서 뚜껑 및 외통에 각각 형성되는 두개의 손잡이부로 된 경우, 배수를 위해 뚜껑을 별도로 개방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주방용 탈수기{DEHYDRATOR FOR KITCHEN}
본 고안은 주방에서 사용되는 탈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야채, 과일, 현미, 쌀 등을 물로 씻은 후 물기를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주방용 탈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업소 또는 가정에서는 야채나 과일 등을 손으로 씻고 난 후 어느 정도 물기를 제거하여 식탁에 올려놓는다. 그러나, 야채나 과일 등의 물기를 손으로 제거하는 과정에서 물이 사방으로 튀게 되어 주방 등의 실내가 지저분해지는 경우가 많았다. 게다가, 상추 또는 토마토 등과 같이 무른 야채는 물기를 손으로 제거하는 과정에서 손상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대해, 종래에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야채 등의 물기를 제거하는 야채 탈수기가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야채 탈수기는 외통 내에 수용된 탈수통을 외통 외부로 연장된 회전기가 회전시켜 원심력으로써 탈수통 내에 담긴 야채 등의 물기를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탈수기는 외통에 형성된 배수구를 마개를 개방하여 열고 이를 통해 탈수된 외통 내의 물을 배수하는 구조를 이루며, 이러한 종래 탈수기의 배수구조는 탈수된 물을 버리는데 있어서 사용자에게 번거로움을 주며, 또한, 물의 배수 위치를 미리 설정하여 배수시켜야 하므로 사용자가 그 사용에 있어서 많은 불편함을 겪었다.
한편, 현미 발아 또는 곡류의 여러 식품 가공을 위해, 현미나 쌀 등의 곡류를 씻고 그 씻은 곡류로부터 물기를 제거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종래의 야채 탈수기는 그 용도가 야채나 과일 등에 국한되어 있어 상기한 곡류 등의 탈수에는 그 이용이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외통을 기울여 물을 버리기에 적합한 구조로 이루어져 별도의 배수구나 마개가 필요 없고 이에 따라 탈수통에서 탈수된 물을 쉽고 간편하게 버릴 수 있게 해주는 주방용 탈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외통을 기울여 물을 버릴 수 있도록 손잡이를 구비하되, 사용자가 그 손잡이를 잡는 그 자체만으로 외통과 뚜껑 사이에 물 배출이 가능한 틈이 생겨서 보다 간편하고 쉽게 탈수된 물을 버릴 수 있게 해주는 주방용 탈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따른 목적은 탈수된 물을 쉽게 버릴 수 있게 해주는 구조를 갖는 한편 기존 야채 탈수기로는 힘들었던 현미, 쌀 등의 탈수에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는 주방용 탈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방용 탈수기는, 상단 개방형의 외통과, 복수의 탈수공을 갖춘 채 상기 외통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탈수통과, 상기 탈수통을 상기 외통 외측에서 회전시키도록 마련된 회전기와, 회전되는 탈수통 위를 덮도록 상기 외통의 상단에 얹혀지는 뚜껑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통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파지된 상태로 외통의 기울임을 허용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이런 주방용 탈수기의 구성은 사용자가 탈수기를 편하게 잡아 외통 내의 물을 쉽게 버릴 수 있게 해주는 한편, 그 손잡이가 탈수기의 일 측면에 위치되게 하므로, 손잡이의 파지시 탈수된 물과 탈수물의 중량에 의해 탈수기, 특히 외통이 손잡이의 반대방향으로 기울게 해주어, 보다 적은 힘으로 외통 내 물을 버릴 수 있게 해준다.
보다 바람직한 구조로서, 본 고안의 주방용 탈수기는 상기 손잡이가 외통 및 뚜껑에 각각 형성된 하부 손잡이부 및 상부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손잡이부와 하부 손잡이부가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대면하여, 그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뚜껑이 소정의 틈으로 열려지도록 해준다.
이 때, 상기 상부 손잡이부와 상기 하부 손잡이부는 서로 대면한 채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뚜껑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하부 손잡이부의 선단과 상기 상부 손잡이부의 선단 사이에 소정의 갭이 마련되어, 상기 뚜껑이 상기 갭에 상응하는 틈을 갖고 열려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탈수기는, 상기 손잡이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기 외통의 상단에는 배수를 위한 주둥이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주방용 탈수기는 탈수통의 탈수공이 2mm 미만의 폭 또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어 쌀, 현미 등과 같이 작은 크기를 갖는 탈수물의 탈수가 가능하다는 특징을 또한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주방용 탈수기(1)는 외통(2)과, 그 외통(2) 내에 수용되는 탈수통(3)과, 상기 외통(2) 위에 얹혀져 외통(2) 내부를 덮는 뚜껑(4)과, 상기 탈수통(3)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기(5)와, 탈수된 물을 버릴 때 사용하는 손잡이(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외통(2)은 원통형의 탈수통(3)을 수용하기 위해 상단 개방형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외통(2)의 내측 바닥면 중앙에는 산의 형태로 돌출한 축돌기(22)가 형성된다. 이 축돌기(22)는 탈수통(3)의 저면의 산형 축홈(32)에 끼워져 상기 탈수통(3)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해준다. 이 때, 상기 축돌기(22)와 상기 산형 축홈(32)은 탈수통(3)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 외에 탈수통(3)을 외통(2)의 바닥면에 대해 이격시켜 주어 탈수통(3)의 물이 탈수공(34b)을 통해 외통(2) 내로 바람직하게 향하도록 해준다.
상기 탈수통(3)은 외통(2) 내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 채 이하 설명되는 회전기(5)에 의해 회전되어, 그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자체 내부에 채워진 야채, 과일, 현미 또는 쌀 등과 같은 탈수물의 탈수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기(5)는 회전판(52)과 그 회전판(52)을 구동시키는 구동부(54)를 포함한다. 이 회전판(52)은 탈수통(3) 상단에 꼭 맞게 끼워진 채 구동부(54)의 회전동력을 탈수통(3)에 전달하여 탈수통(3)을 회전시킨다. 이를 위해, 회전판(52)의 상단 중앙에는 이하 설명될 구동부(54)의 내치기어(542)와 상호 작용하는 소기어(522)가 형성되며, 상기 소기어(522)의 하부 중심축부(524)는 뚜껑(4) 저면에 형성된 제 1 축공(44)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된다.
한편, 구동부(54)는 회전핸들(541)과 그 회전핸들(541)에 의해 회전되는 내치기어(542)를 포함하며, 상기 내치기어(542)는 뚜껑(4)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어진 채 그 상부 중심축부(545)가 그 뚜껑(4)의 상단에 형성된 제 2 축공(4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회전핸들(541)을 회전시켜 구동부(54)를 구동시키면 그 구동부(54)의 내치기어(542)와 회전판(52)의 소기어(522)의 상호작용을 통해 회전판(52)이 고정되어 있는 탈수통(3)을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탈수통(3) 내의 물기는 탈수공(34a, 34b)을 통하여 외통(2)으로 빠져 나가게 나가게 된다.
이 때, 상기 탈수공(34a, 34b)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통(3)의 측면 및 저면에 일정한 배열로 형성된다. 이 때, 탈수통(3) 측면의 탈수공(34a)들은 상하 길이방향으로 슬릿 형태를 가지면서 탈수통(3)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탈수통(3) 저면의 탈수공(34b)들은 중앙의 축홈(32)을 중심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원호 형태를 그리며 배열되어지되, 그 대부분이 축홈(32)에서 멀어질수록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특히, 탈수통(34)의 측면 및 저면에 형성된 탈수공(34a, 34b)들 각각은 그 폭(b1, b2)들이 각각 2mm 미만으로 정해지며, 이를 통해, 야채나 과일과 같은 큰 탈수물은 물론이고 현미나 쌀 등과 같이 작은 탈수물들도 탈수통(34) 내에서 이탈 없이 유지되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탈수공(34a, 34b)은 원형 또는 사각형이 아닌 원호 형태 또는 슬릿형태로 형성됨으로서 작은 폭에도 불구하고 탈수되는 물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탈수 작용에 의해 외통(2)에 채워진 물은 사용자가 손잡이(6)를 잡고 외통(2)을 기울임으로써 외통(2) 외측으로 배출되어지게 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손잡이(6)는 외통(2)에 형성된 하부 손잡이부(62)와 뚜껑(4)에 형성된 상부 손잡이부(63)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최적 실시예에 따라, 손잡이가 두 개의 손잡이부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외통에 임의의 단일의 손잡이를 형성시켜 그 손잡이를 파지하여 외통 내의 물을 버릴 수 있게 하는 구성, 그리고, 손잡이에 형성된 임의의 장치를 이용해 외통 상의 뚜껑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개방시키는 구성 또한 본 고안의 범위 내에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최적 실시예에 따라, 하부 손잡이부(62)와 상부 손잡이부(63)는 각각 외통(2) 및 뚜껑(4)의 일 측면에 형성된 채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게다가, 두 손잡이부(62, 63)는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대면하고 있어, 하나의 손잡이부(62 또는 63)에 대해 다른 손잡이부(62 또는 63)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외통(2)에 형성된 하부 손잡이부(62)에 대해 뚜껑(4)에 형성된 상부 손잡이부(63)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면, 그 상부 손잡이부(63)와 연결된 뚜껑(4)은 외통의 상단면을 타고 이동할 수 있으며, 그 이동은 외통(2) 내의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틈을 뚜껑(4)과 외통(2) 사이에 형성시켜주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한 하부 손잡이부(62)는 하향 연장되어진 채 그 선단부(622)가 위쪽으로 향해 절곡 형성되어 하향 연장된 상부 손잡이부(63)의 선단부(632)를 마주한다. 특히, 뚜껑(4)이 외통(2) 위에 완전히 닫혀 있을 때, 즉, 뚜껑(4)과 외통(2)의 중심축선이 일치하고 있을 때, 하부 손잡이부(62)의 선단부와 상부 손잡이부(63)의 선단부(622, 632) 사이에는 소정의 갭(G)이 형성된다. 이 갭(G)은 상부 손잡이부(63)와 하부 손잡이부(62)의 상대적인 이동에 따라 뚜껑(4)이 일부 개방될 때 그 뚜껑(4)과 외통(2) 사이의 틈(d)을 한정하며, 이는 본 고안에 따른 탈수기의 제작시 뚜껑(4)의 개방 정도를 미리 결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손잡이부(63)와 하부 손잡이부(62)의 상호작용에 의한 뚜껑(4) 개방의 원리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뚜껑(4)과 외통(2)의 중심축선이 일치하고 상부 손잡이부(63)의 선단부와 하부 손잡이부(62)의 선단부(632, 622) 사이에 소정의 갭(G)이 존재하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위치에서는, 뚜껑(4)이 외통(2) 상단을 완전히 차단하고 있으며, 이 때에는, 뚜껑(4)을 한 손으로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전술한 회전기(5)의 회전 핸들(541)을 돌려 탈수물에 대한 탈수를 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외통(2) 내의 물 배출을 위해 손잡이(6)를 파지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기(1) 내의 내용물(C), 즉 물과 탈수물의 중량에 의해, 탈수기(1)는 손잡이(6)의 반대방향으로 기울여진다. 이 때, 비교적 가벼운 뚜껑(4)은, 그와 연결된 상부 손잡이부(63)가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에 의해 쉽게 구속될 수 있으므로, 그 기울어짐이 어느 정도 제한되게 된다. 반면, 뚜껑(4)에 비해 무거운 외통(2)은 그 기울어짐의 크기가 뚜껑(4)에 비해 크게 되며, 이는 상부 손잡이부(63)와 하부 손잡이부(62) 간의 상대적인 슬라이딩 이동을 유발한다. 결국, 상기 슬라이딩 이동은 뚜껑(4)과 외통(2) 사이에 틈(d)을 생기게 하며, 이 틈(d)은 외통(2) 내의 물을 탈수기(1) 외측으로 쉽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 때, 하부 손잡이부(62)와 상부 손잡이부(63) 사이에는 전술한 갭(G)이 존재하지 않음은 도 4를 통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주방용 탈수기(1)는 손잡이(6)의 반대방향으로 외통(2) 상단에 주둥이부(28)를 갖는다. 이 주둥이부(28)는 물을 한데 모아 배출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전술한 뚜껑(4)과 외통(2) 사이의 틈(d)과 일치하는 부분에 위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주방용 탈수기는, 배수를 위한 별도의 배수구 및 그 배수구를 막는 마개의 필요성을 제거해주며, 이에 따라, 배수시 마개를 개폐하는 번거로움 없이 손잡이를 파지한 후 탈수기 또는 외통을 기울여 쉽게 외통 내의 물을 배수시킬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고안의 주방용 탈수기는, 손잡이가 서로 대면하면서 외통과 뚜껑에 각각 연결되는 상, 하 한 쌍의 손잡이부로 구성될 경우, 뚜껑을 별도로 열어주는 번거로움 없이 보다 편하게 탈수기 내 물을 제거해줄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의 주방용 탈수기는 그 용도가 야채, 과일에만 국한되던 기존의 탈수기와는 달리 현미 및 쌀과 같이 작은 크기의 곡류를 탈수하는데도 적합한 구조를 이루어 그 범용성이 뛰어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탈수기의 조립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방용 탈수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탈수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뚜껑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손잡이와 그 손잡이 반대편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탈수기가 배수를 위해 기울어진 상태로 도시된 도면
도 5a는 도 1 내지 도4에 도시된 주방용 탈수기의 탈수통을 도시한 정면도.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탈수통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 외통 3: 탈수통
4: 뚜껑 5: 회전기
6: 손잡이 28: 주동이부
34a, 34b: 탈수공 62: 하부 손잡이부
63: 상부 손잡이부 G: 갭
d: 틈

Claims (6)

  1. 상단 개방형의 외통과;
    복수의 탈수공을 갖춘 채 상기 외통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탈수통과;
    상기 탈수통을 상기 외통 외측에서 회전시키도록 마련된 회전기와;
    회전되는 탈수통 위를 덮도록 상기 외통의 상단에 얹혀지는 뚜껑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통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파지된 상태로 외통의 기울임을 허용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탈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외통 및 뚜껑에 각각 형성된 하부 손잡이부 및 상부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손잡이부와 상부 손잡이부가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대면하여, 그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뚜껑이 소정의 틈으로 열려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탈수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 손잡이부와 상기 상부 손잡이부는 서로 대면한 채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탈수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뚜껑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하부 손잡이부의 선단과 상기 상부 손잡이부의 선단 사이에 소정의 갭이 마련되어, 상기 뚜껑이 상기 갭에 상응하는 틈을 갖고 열려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탈수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기 외통의 상단에는 배수를 위한 주둥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탈수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공이 2mm 미만의 폭으로 형성되어, 쌀, 현미의 탈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탈수기.
KR20-2005-0004518U 2005-02-21 2005-02-21 주방용 탈수기 KR2003843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518U KR200384358Y1 (ko) 2005-02-21 2005-02-21 주방용 탈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518U KR200384358Y1 (ko) 2005-02-21 2005-02-21 주방용 탈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358Y1 true KR200384358Y1 (ko) 2005-05-16

Family

ID=43685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518U KR200384358Y1 (ko) 2005-02-21 2005-02-21 주방용 탈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35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56315A1 (en) Salad Spinner
CZ9903473A3 (cs) Koš a poháněcí zařízení pro odstředivku na salát
CN107223032B (zh) 蔬菜甩水器
KR20100008882U (ko) 원액기
CN100396218C (zh) 翻盖型整果榨汁机
KR20150054376A (ko) 식기 세척기
KR200384358Y1 (ko) 주방용 탈수기
KR20120029638A (ko)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주서기
KR200460003Y1 (ko) 회전탈수장치 뚜껑
KR102369159B1 (ko) 찌꺼기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착즙기
KR20130131855A (ko) 하부 배출도어를 갖는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US7337712B1 (en) Vessel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excess oil from deep fried foods disposed therein before the sauteing thereof
KR200238328Y1 (ko) 탈수기
KR200461306Y1 (ko) 곡물 세척기
CN210144439U (zh) 榨汁组件及榨汁机
KR200168499Y1 (ko) 음식물 탈수기
CN112545330A (zh) 一种破壁机
KR200295000Y1 (ko) 탈수 겸용 믹서기
KR20200007902A (ko) 대걸레 세척 시스템
KR102408753B1 (ko) 찌꺼기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착즙기
KR102509331B1 (ko) 다용도 채반
KR101241186B1 (ko) 하부 배출형 물뿌리개
KR20050016250A (ko) 자동 및 수동겸용 야채 탈수기
KR20090001811U (ko) 야채 탈수기
KR890007679Y1 (ko) 야채 탈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