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1890B1 - 물걸레 청소기 - Google Patents

물걸레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1890B1
KR100961890B1 KR1020080043911A KR20080043911A KR100961890B1 KR 100961890 B1 KR100961890 B1 KR 100961890B1 KR 1020080043911 A KR1020080043911 A KR 1020080043911A KR 20080043911 A KR20080043911 A KR 20080043911A KR 100961890 B1 KR100961890 B1 KR 100961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roller shaft
case
washing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8239A (ko
Inventor
조명희
최승권
Original Assignee
조명희
최승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명희, 최승권 filed Critical 조명희
Priority to KR1020080043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1890B1/ko
Publication of KR20090118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8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8Wringers for scouring pads, mops, or the like, combined with bucket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롤(roll) 형상의 걸레를 한쪽방향으로만 간헐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한번의 세척으로 걸레의 전체면을 바닥 청소에 이용할 수 있고, 바닥 청소 중 걸레를 세척 및 탈수하기 위한 이동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어 바닥 청소에 따른 시간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물걸레 청소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는 자루와, 자루에 일체로 장착되는 지지홀더를 가지는 본체; 양단이 지지홀더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축과, 롤러축에 감겨지는 걸레와, 롤러축을 한쪽방향으로만 간헐적으로 회전되게 단속하는 단속클러치를 가지는 걸레부;를 포함한다. 단속클러치는 롤러축에 장착되는 래칫 휠과, 지지홀더에 장착되어 래칫 휠의 역회전을 단속하는 래칫 폴로 이루어진다. 또한 물걸레 청소기는, 걸레를 세척 및 탈수시키는 세척수조부를 더 포함한다. 세척수조부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세척수가 충진되며 걸레가 삽입되어 세척되는 수조; 수조를 감싸며 지지하는 케이스; 및 상기 수조와 케이스 사이에 장착되고, 세척이 완료된 걸레를 회전 탈수시킬 수 있도록 롤러축의 양단이 삽입되고, 롤러축을 회전시키는 탈수어셈블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물걸레 청소기{CLEANER FOR WET FLOOR CLOTH}
본 발명은 바닥을 물청소하는 물걸레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롤(roll) 형상의 걸레를 한쪽방향으로만 간헐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한번의 세척으로 걸레의 전체면을 바닥 청소에 이용할 수 있고, 바닥 청소 중 걸레를 세척 및 탈수하기 위한 이동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어 바닥 청소에 따른 시간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물걸레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의 바닥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우선, 빗자루 또는 진공청소기 등을 이용하여 바닥에 쌓인 먼지나 작은 이물질을 제거한 후, 깨끗하게 세척한 물걸레를 이용하여 다시 바닥을 청소하게 된다. 물걸레는 진공청소기 및 빗자루 등에 의해 제거되지 못한 이물질, 예를 들면, 바닥에 달라붙은 먼지, 기름때, 음식물 찌꺼기 등을 제거하게 된다.
종래 물걸레를 이용하여 바닥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엎드린 상태 하에서 물걸레를 손으로 잡고 바닥을 닦아왔으나, 최근에는 긴 자루의 하부에 물걸레가 착탈되는 구조를 가지는 다양한 물걸레 청소기를 이용해 바닥을 청소하고 있다.
전술한 물걸레 청소기들은 엎드린 자세에서 바닥을 청소할 때 보다는 보다 편한 자세로 바닥을 청소할 수 있고, 바닥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적은 힘으로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전술한 물걸레 청소기에 장착되는 걸레는 청소기 전체 무게를 감안하여 평판형상에서 롤 형상으로 제공되고 있다.
그런데, 전술한 물걸레 청소기에 장착되는 걸레는 한번의 세척으로 바닥 전체를 닦는 것이 아니라 수시로 세척하여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세척으로 인한 청소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걸레 세척을 위해 청소기에서 걸레를 분리한 후, 욕실 등으로 이동하여 세척 및 탈수를 하고, 다시 청소기에 장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청소기에 장착되는 롤 형상의 걸레는, 바닥 청소 중 걸레를 회전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걸레의 전체면을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롤(roll) 형상의 걸레를 한쪽방향으로만 간헐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한번의 세척으로 걸레의 전체면을 바닥 청소에 이용할 수 있고, 바닥 청소 중 걸레를 세척 및 탈수하기 위한 이동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어 바닥 청소에 따른 시간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물걸레 청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자루와, 자루에 일체로 장착되는 지지홀더를 가지는 본체;
양단이 지지홀더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축과, 롤러축에 감겨지는 걸레와, 롤러축을 한쪽방향으로만 간헐적으로 회전되게 단속하는 단속클러치를 가지는 걸레부; 및
걸레를 세척 및 탈수시키는 세척수조부;를 포함하며,
단속클러치는 롤러축에 장착되는 래칫 휠과, 지지홀더에 장착되어 래칫 휠의 역회전을 단속하는 래칫 폴로 이루어지고,
세척수조부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세척수가 충진되며 걸레가 삽입되어 세척되는 수조와, 수조를 감싸며 지지하는 케이스, 및 수조와 케이스 사이에 장착됨과 아울러 세척이 완료된 걸레를 회전 탈수시킬 수 있도록 롤러축의 양단이 삽입되며, 롤러축을 회전시키는 탈수어셈블리,를 가지는 물걸레 청소기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 청소 중 걸레의 전체면을 사용할 수 있도록 걸레를 한쪽방향으로만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래칫 휠 및 래칫 폴을 구비하는 롤형 걸레부를 구비함으로써, 한번의 세척 및 탈수로 걸레의 전체면을 바닥 물청소에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동가능하게 제공되는 세척수조부를 구비함으로써, 걸레의 세척 및 탈수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어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체에 걸레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100)는 본체(110)와, 본체(110)에 장착되고 바닥 청소 중 전체면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쪽방향으로만 간헐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롤(roll)형 걸레부(120)와, 이동가능하게 제공되고, 바닥 청소 중 이물질이 묻은 걸레부(120)를 세척 및 탈수시키는 세척수조부(140)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체(110)는 수직하게 제공되는 자루(112)와, 자루(112)의 하부에 일체로 장착되는 지지홀더(114)를 구비한다.
지지홀더(114)는 수평틀(116a)과, 수평틀(116b)의 양단에서 수직하게 하측으로 절곡된 한 쌍의 수직틀(116b)을 구비한다. 수평틀(116a)의 상부면 중앙부분에는 자루(112)의 하부가 일체로 장착된다.
누구나 알 수 있듯이, 자루(112)에는 자루(112)의 길이를 가변되게 하는 통상의 길이조절구(118)가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체(110)의 지지홀더(114)에는 걸레부(120)가 장착된다.
걸레부(120)는 양단이 수직틀(116b)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축(122)과, 롤러축(122)을 한쪽방향으로만 회전되게 단속하는 단속클러치(126)를 구비한다.
롤러축(122)의 외주면 상에는 판 형상의 걸레(124)가 감겨진다. 롤러축(122)에 감겨지는 걸레(124)는 통상의 매직테이프 또는, 버튼에 의해서 롤러축(122)의 외주면 상에 고정되게 감겨진다. 이때, 걸레(124)의 양단부는 수직틀(116b)의 내측면에 간섭되지 않게 롤러축(122)에 감겨진다. 바람직하게는 걸레(124)는 펄프, 부직포 또는 스펀지 중 어느 하나의 재료로 제작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걸레(124)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축(122)에 감겨지는 평판형상 또는 롤러축(122)에 끼워지는 원통형상을 어느 하나로 제공된다.
한편, 단속클러치(126)는 래칫 휠(ratchet wheel; 128)과, 래칫 폴(ratchet pawl; 130)을 구비한다. 래칫 휠(128)은 걸레(124)의 양단부에 간섭되지 않게 수직틀(116b)의 내측면에 인접한 롤러축(122)의 외주면 상에 고정 장착된다. 래칫 폴(130)은 수직틀(116b)의 내측면 상에 일단이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래칫 폴(130)의 타단은 래칫 휠(128)의 외주면 상에 걸쳐져 래칫 휠(128)을 역회전을 단속한다. 한편, 래칫 휠(128)의 회전방향에 대응하는 래칫 폴(130)의 타측에는 래칫 폴(130)을 래칫 휠(128) 측으로 가압하는 제 1 스프링(132)이 배치된다. 이러한 제 1 스프링(132)의 일단은 래칫 폴(130)의 타측에 연결되고 제 1 스프링(132)의 타단은 래칫 폴(130)의 일단에 간섭되지 않게 수직틀(116b)의 내측면에 연결된다. 즉, 걸레(124)가 감겨진 롤러축(122)은 래칫 휠(128) 및 래칫 폴(130)에 의해서 한쪽방향으로만 간헐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세척수조부(140)는 걸레(124)가 삽입되어 세척되는 수조(142)와, 수조(142)를 감싸며 지지하는 케이스(148)와, 수조(142)와 케이스(148) 사이에 장착되고, 세척이 완료된 걸레(124)를 회전 탈수시키는 탈수어셈블리(158)를 구비한다.
수조(142)는 내부에 세척수(W)가 충진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수조(142)의 바닥 상부면에는 세척판(144)이 제공되는데, 세척판(144)은 걸레(124)에 묻은 이물질들이 용이하게 수조(142)의 바닥으로 침강될 수 있도록 망상(網狀)의 형상을 가지면서 수조(142)의 바닥 상부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높아지는 경사를 가지며 연장된다. 또한 세척판(144)의 상부면 상에는 세척능률을 높일 수 있도록 다수의 세척돌기(146)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케이스(148)는 내부에 수조(142)가 배치됨과 아울러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케이스(148)의 상부와 수조(142)의 상부는 서로 연결되고, 케이스(148)의 내측면과 수조(142)의 외측면은 서로 이격된다. 한편, 케이스(148)의 일단면 상부에는 세척수(W)가 유입되는 급수관(150)이 장착되고, 케이스(148)의 타단면 하부에는 이물질이 혼용된 세척수(W)를 배출하는 배수관(152)이 장착된다. 급수관(150) 및 배수관(152)은 케이스(148)의 외부에서부터 케이스(148) 및 수조(142)를 관통하여 수조(142)의 내부와 연통하게 되며, 케이스(148)의 외부로 노출된 급수관(150) 및 배수관(152)에는 급수마개(150a) 및 배수마개(152a)가 끼워진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스(148)의 일단면 및 타단면에는 급수관(150) 및 배수관(152)에 간섭되지 않게 손잡이(154)가 장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케이스(148)의 바닥 하부면 상에는 세척수조부(14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통상의 캐스터(caster; 156)가 장착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탈수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탈수어셈블리(158)는 한 쌍의 종동기어(160)와, 종동기어(160)와 맞물려 회전함과 아울러 걸레(124) 탈수 시 롤러축(122)의 양단이 삽입되어 걸레(124)가 장착된 롤러축(122)을 회전시키는 피동기어(162)와, 종동기어(16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레버뭉치(174)를 구비한다.
종동기어(160)는 일측이 수조(142)의 일단면 및 타단면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종동기어(160)의 타측 중앙에는 피니언기어(182)가 일체로 장착된다. 피동기어(162)는 종동기어(160)와 맞물릴 수 있도록 수조(142)의 일단면 및 타단면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피동기어(162)의 회전축(164)은 수조(142)의 일단면 및 타단면을 관통하여 수조(142)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회전축(164)의 연장단부에는 롤러축(122)의 양단이 안착되는 안착홈(166)이 형성된다. 한편, 롤러축(122)의 양단에는 안착홈(166)에 안착되는 안착돌기(168)가 돌출되게 장착되는 데, 안착돌기(168)는 롤러축(122)의 양단에서 롤러축(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롤러축(122)의 중심부측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홈(170)에서 이탈되지 않게 배치되며, 슬라이딩홈(170)에는 안착돌기(168)를 롤러축(122)의 양단 외부로 가압하는 제 2 스프링(172)이 내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안착홈(166), 안착돌기(168) 및 슬라이딩홈(170)은 5각 형상을 가진다.
한편, 레버뭉치(174)는 종동기어(16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한 쌍의 작동바아(176)와, 한 쌍의 작동바아(176)를 선회시키는 발판(178)을 구비한다.
작동바아(176)는 수조(142)의 일단면 및 타단면 상에 일단이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작동바아(176)의 타단은 케이스(148)의 전면을 관통하여 연장된다. 이때, 피니언기어(182)에 인접한 작동바아(176)의 하부에는 피니언기어(182)와 맞물리고 피니언기어(182)를 회전시키는 랙기어(180)가 작동바아(176)의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또한, 작동바아(176)는 피니언기어(182)를 회전시키기 위해 하측으로 선회된 작동바아(176)를 복귀시키는 제 3 스프링(184)이 제공되는데, 제 3 스프링(184)의 일단은 작동바아(176)의 상부에 연결되고 제 3 스프링(184)의 타단은 케이스(148)의 상부 내측에 연결된다. 그리고 케이스(128)의 전면에는 하측으로 선회하는 작동바아(176)가 간섭되지 않게 수직한 가이드장공(186)이 형성된다.
한편, 발판(178)은 케이스(148)의 외부로 연장된 각각의 작동바아(176)의 타단을 연결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10)는 지지홀더(114)를 롤러축(122) 및 걸레(124)에 간섭되지 않게 지지홀더(114)를 감싸면서 걸레(124) 세척 및 탈수 시 케이스(148)의 상부를 덮는 커버(190)를 더 구비한다.
전술한 커버(190)는 자루(112)에 끼워지고 수평틀(116a)의 상부에 배치된다. 한편, 커버(190)의 상부에는 자루(112)를 감싸면서 자루(112)를 따라 연장되는 주름관(192)이 배치되고, 주름관(192)의 내측에는 커버(190)를 지지홀더(114) 측으로 가압하는 제 4 스프링(194)이 배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스프링(194)의 일단은 커버(190)의 상부에 밀착되고, 제 4 스프링(194)의 타단은 주름관(192)의 상부면 내측에 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탈수어셈블리(150)의 레버뭉치(174)는 종동기어(160)를 회전시키는 통상의 전기모터로 제공될 수 있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물걸레 청소기(10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바닥을 물청소하기 위해서는, 우선 건조된 상태의 걸레(124)를 롤러축(122)에 장착하고, 급수마개(150a)를 분리시켜 수조(142) 내부로 세척수(W)를 주입한다. 세척수(W)가 주입되면, 다시 급수마개(150a)를 급수관(150)에 끼우고, 세척수조부(140) 및 걸레부(120)가 장착된 본체(110)를 청소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세척수(W)는 탈수어셈블리(158)의 안착홈(166)이 잠기지 않을 정도로 주입한다.
청소 위치로 이동이 완료되면, 걸레(124)에 물을 축이기 위해서 걸레부(120) 를 수조(142)의 내부로 삽입시키는데, 작업자는 본체(110)의 자루(112)를 잡고 수조(142)의 개방된 상부로 걸레부(120)를 삽입시킨다. 이때, 본체(110)에 장착된 커버(190)는 케이스(148)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함과 아울러 케이스(148)의 상부에 걸쳐진다. 이러한 상태 하에서 작업자가 자루(112)를 세척수조부(140) 측으로 가압하면, 걸레부(120) 및 지지홀더(114)는 수조(142)의 내측으로 하강하게 되고, 롤러축(122)에 양단에 장착된 안착돌기(168)는 피동기어(162)에 형성된 안착홈(166) 내에 삽입되고, 다시 자루(112)를 세척수조부(140) 측으로 가압하면, 안착돌기(168)는 안착홈(166)의 하부측으로 이탈되고, 그 결과 롤러축(112) 및 걸레(124)는 세척수(W) 내로 잠기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척수(W) 내에 걸레부(120)가 잠기면, 걸레(124)를 세척판(144)에 문질러 걸레(124)를 세척한 후, 걸레(124)를 탈수 시킨다. 걸레(124)를 탈수시키기 위해서는, 자루(112)를 세척수조부(140)의 상부측으로 들어올리는데, 이때 안착돌기(168)는 안착홈(166) 내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안착홈(166)에 안착돌기(168)가 삽입되면, 작업자는 발판(178)을 가압하여 레버뭉치(174)를 하측으로 선회시켜 탈수를 하게 된다. 즉, 레버뭉치(174)가 하측으로 선회되면, 작동바아(176)에 형성된 랙기어(180)는 피니언기어(182)를 회전시켜 종동기어(160)를 회전시키고, 종동기어(160)는 맞물려 있는 피동기어(162)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피동기어(162)가 회전함에 따라 피동기어(164)의 회전축(164)도 회전되고, 회전축(164)의 안착홈(166)에 삽입된 안착돌기(168)에 의해서 회전축(164)과 연결된 롤러축(122)도 회전하게 되어 걸레(124)를 탈수하게 된다.
누구나 알 수 있듯이, 피동기어(162)는 롤러축(122)에 장착된 래칫 휠(128)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되고, 종동기어(160)는 래칫 휠(128)이 회전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걸레(124)의 탈수가 완료되면, 다시 자루(112)를 세척수조부(140)의 상부측으로 강하게 들어올리면, 안착돌기(168)는 안착홈(166)에서 이탈되고, 걸레부(120)와 지지홀더(114) 및 커버(190)는 세척수조부(140)에서 이탈된다. 한편, 걸레부(120)가 세척수조부(140)에서 이탈되면, 레버뭉치(174)는 제 3 스프링(184)에 의해 복귀된다. 그리고 걸레(124)의 탈수를 더 원할 때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걸레부(120)를 세척수조부(140) 내로 삽입시켜 안착돌기(168)를 안착홈(166)에 안착시킨 후, 다시 레버뭉치(174)를 가압하여 탈수를 수행한다.
이렇게 걸레(124)의 세척 및 탈수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자루(112)를 잡고, 걸레(124)를 바닥에 밀착시킨 후, 바닥 물청소를 수행한다. 이때, 바닥 청소를 하기 위한 걸레(124)의 진행방향과 래칫 휠(128)의 회전방향이 반대가 되게 걸레(124)를 바닥에 밀착시켜 바닥 청소를 수행한다. 한편, 걸레(124)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걸레(124)의 진행방향과 래칫 휠(128)의 회전방향을 일치시켜 걸레(124)를 밀면, 래칫 폴(130)은 래칫 휠(128)에서 이탈되고, 롤러축(122)은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걸레(124)의 전체적은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걸레(124)를 다시 세척 및 탈수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척 및 탈수를 수행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체에 걸레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도시된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탈수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물걸레 청소기 110 : 본체
112 : 자루 114 : 지지홀더
120 : 걸레부 122 : 롤러축
124 : 걸레 126 : 단속클러치
128 : 래칫 휠 130 : 래칫 폴
140 : 세척수조부 142 : 수조
144 : 세척판 148 : 케이스
158 : 탈수어셈블리 190 : 커버

Claims (13)

  1. 자루와, 상기 자루에 일체로 장착되는 지지홀더를 가지는 본체;
    양단이 상기 지지홀더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축과, 상기 롤러축에 감겨지는 걸레와, 상기 롤러축을 한쪽방향으로만 간헐적으로 회전되게 단속하는 단속클러치를 가지는 걸레부; 및
    상기 걸레를 세척 및 탈수시키는 세척수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속클러치는 상기 롤러축에 장착되는 래칫 휠과, 상기 지지홀더에 장착되어 상기 래칫 휠의 역회전을 단속하는 래칫 폴로 이루어지고,
    상기 세척수조부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세척수가 충진되며 상기 걸레가 삽입되어 세척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를 감싸며 지지하는 케이스, 및 상기 수조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장착됨과 아울러 세척이 완료된 상기 걸레를 회전 탈수시킬 수 있도록 상기 롤러축의 양단이 삽입되며, 상기 롤러축을 회전시키는 탈수어셈블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홀더는 상기 자루의 하부에 장착되는 수평틀과, 상기 수평틀의 양단에서 수직하게 하측으로 절곡된 한 쌍의 수직틀을 구비하며, 상기 롤러축의 양단은 상기 수직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 휠은 상기 롤러축에 감겨진 상기 걸레의 양단부에 간섭되지 않게 상기 수직틀의 내측면에 인접한 상기 롤러축의 외주면 상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래칫 폴은 상기 수직틀의 내측면 상에 일단이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래칫 폴의 타단은 상기 래칫 휠의 외주면 상에 걸쳐져 상기 래칫 휠을 역회전을 단속하며, 상기 래칫 휠의 회전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래칫 폴의 타측에는 상기 래칫 폴을 상기 래칫 휠 측으로 가압하는 제 1 스프링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래칫 폴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래칫 폴의 일단에 간섭되지 않게 상기 수직틀의 내측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바닥 상부면에는 세척판이 제공되고, 상기 세척판 망상의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수조의 바닥 상부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높아지는 경사를 가지며 연장되며, 상기 세척판의 상부면 상에는 다수의 세척돌기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내부에 상기 수조가 배치됨과 아울러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상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의 상부와 상기 수조의 상부는 서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과 상기 수조의 외측면은 서로 이격되며, 상기 케이스의 일단면 상부에는 상기 세척수가 유입되는 급수관이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의 타단면 하부에는 이물질이 혼용된 상기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수관이 장착되며, 상기 급수관 및 상기 배수관은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서부터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수조를 관통하여 상기 수조의 내부와 연통하게 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급수관 및 상기 배수관에는 급수마개 및 배수마개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단면 및 타단면에는 상기 급수관 및 상기 배수관에 간섭되지 않게 손잡이가 장착되며, 상기 케이스의 바닥 하부면 상에는 통상의 캐스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어셈블리는, 일측이 상기 수조의 일단면 및 타단면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 중앙에는 피니언기어가 일체로 장착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수조의 일단면 및 타단면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회전축은 상기 수조의 일단면 및 타단면을 관통하여 상기 수조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전축의 연장단부에는 상기 롤러축의 양단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피동기어; 및 일단이 상기 수조의 일단면 및 타단면 상에 일단이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의 전면을 관통하여 연장되며 하부에는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랙기어가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작동바아를 가지는 레버뭉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어셈블리의 상기 레버뭉치는 상기 종동기어를 회전시키는 통상 전기모터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축의 양단에는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안착돌기가 돌출되게 장착되며, 상기 안착돌기는 상기 롤러축의 양단에 형성된 슬라이딩홈에 이탈되지 않게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에는 상기 안착돌기를 가압하는 제 2 스프링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 상기 안착돌기 및 상기 슬라이딩홈은 5각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뭉치는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해 하측으로 선회된 상기 작동바아를 복귀시키는 제 3 스프링을 더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는 하측으로 선회하는 상기 작동바아가 간섭되지 않게 수직한 가이드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연장된 각각의 상기 작동바아의 타단은 발판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 3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작동바아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 3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케이스의 상부 내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지지홀더를 상기 롤러축 및 상기 걸레에 간섭되지 않게 상기 지지홀더를 감싸면서 상기 걸레 세척 및 탈수 시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덮는 커버를 더 구비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자루에 끼워지고, 상기 커버의 상부에는 상기 자루를 감싸면서 상기 자루를 따라 연장되는 주름관이 배치되며, 상기 주름관의 내측에는 상기 커버를 상기 지지홀더 측으로 가압하는 제 4 스프링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KR1020080043911A 2008-05-13 2008-05-13 물걸레 청소기 KR100961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911A KR100961890B1 (ko) 2008-05-13 2008-05-13 물걸레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911A KR100961890B1 (ko) 2008-05-13 2008-05-13 물걸레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239A KR20090118239A (ko) 2009-11-18
KR100961890B1 true KR100961890B1 (ko) 2010-06-09

Family

ID=41602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911A KR100961890B1 (ko) 2008-05-13 2008-05-13 물걸레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18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892B1 (ko) 2016-09-05 2017-12-28 (주)라이프양행 걸레장착드럼 착탈형 수직회전식 물걸레청소기
KR20180124415A (ko) * 2017-05-11 2018-11-21 임진택 물걸레 청소기
KR20190038790A (ko) * 2019-04-02 2019-04-09 임진택 물걸레 청소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0035A (ja) 1998-03-06 1999-09-24 Canon Inc クリーニ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0035A (ja) 1998-03-06 1999-09-24 Canon Inc クリーニング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892B1 (ko) 2016-09-05 2017-12-28 (주)라이프양행 걸레장착드럼 착탈형 수직회전식 물걸레청소기
KR20180124415A (ko) * 2017-05-11 2018-11-21 임진택 물걸레 청소기
KR101967348B1 (ko) * 2017-05-11 2019-04-09 임진택 물걸레 청소기
KR20190038790A (ko) * 2019-04-02 2019-04-09 임진택 물걸레 청소기
KR102019107B1 (ko) 2019-04-02 2019-09-06 임진택 물걸레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239A (ko) 200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6168U (ja) 電動掃除洗浄装置
US7159275B2 (en) Glass surface cleaning machine
EP2568863B1 (en) Method of cleaning mop material
CN111150338A (zh) 一种地面清洁工具
WO2016109908A1 (zh) 地面清洁器
KR100961890B1 (ko) 물걸레 청소기
KR20140026016A (ko) 물걸레 청소기
CN108175346B (zh) 立刮折甩清洁工具
KR100831023B1 (ko) 마포걸레 세척장치
CN108078508A (zh) 家用省力拖地机
US20030009843A1 (en) Automate glass surface cleaning machine
KR102521390B1 (ko) 마포걸레용 세척탈수기
KR200419038Y1 (ko) 물걸레 청소구
KR200392263Y1 (ko) 걸레 카트리지가 장착된 무인청소기
CN113509109B (zh) 一种地板清洗机的可活动刮条结构
CN110944558B (zh) 家用清洁设备
KR100599843B1 (ko) 밀걸레 세탁기 및 이동식 밀걸레 세탁 장치
KR19980079217A (ko) 물걸레 청소기
KR200234737Y1 (ko) 세척통을 구비한 마포 걸레 탈수기
KR200464298Y1 (ko) 세척기능을 갖는 탈수장치
CN215305550U (zh) 辊式地面清洁机
CN215838784U (zh) 清洁装置及吸尘器
CN214157217U (zh) 一种自洗式拖地机
KR960014574B1 (ko) 습건식 진공 청소기
CN214965130U (zh) 辊式地面清洁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