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6016A - 물걸레 청소기 - Google Patents

물걸레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6016A
KR20140026016A KR1020120092891A KR20120092891A KR20140026016A KR 20140026016 A KR20140026016 A KR 20140026016A KR 1020120092891 A KR1020120092891 A KR 1020120092891A KR 20120092891 A KR20120092891 A KR 20120092891A KR 20140026016 A KR20140026016 A KR 20140026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op
water tank
roller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형
Original Assignee
이상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형 filed Critical 이상형
Priority to KR1020120092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6016A/ko
Publication of KR20140026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60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8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 A47L11/282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having rotary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7Wound-up or endless cleaning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3Driving mean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11/4069Driving or transmission means for the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1Cleaning travelling work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걸레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물걸레를 자동으로 세척하여 바닥면을 청소하고, 또한 먼지를 빨아 들여 진공청소도 하는 물걸레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물걸레 청소기는, 하부에는 청소공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어 물을 수용하는 수조부재와; 상기 몸체부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스프라켓에 의해 상기 청소공과 상기 수조부재로 이동하는 체인부재와; 좌우 양측의 상기 체인부재에 자유회전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걸레롤러와; 상기 체인부재를 회전이동시키는 체인회전모터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과 먼지를 수용하는 먼지수용부가 장착된 본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흡입팬에 의해 바닥면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걸레롤러는 회전하는 상기 체인회전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체인부재를 따라 상기 청소공으로 이동하여 바닥면을 닦고, 상기 수조부재로 이동하여 상기 수조부재에 수용된 물에 의해 세척된 후, 다시 상기 청소공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걸레 청소기 { WET SCRUBBING MACHINES }
본 발명은 물걸레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물걸레를 자동으로 세척하여 바닥면을 청소하고, 또한 먼지를 빨아 들여 진공청소도 하는 물걸레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바닥면을 청소할 때에는 사용자가 직접 걸레를 이용하여 바닥면을 닦게 된다.
하지만 위와 같이 바닥면을 닦게 되면 사용자의 허리, 무릎, 팔과 같은 부위에 무리를 주게 된다.
최근에는 좀 더 편리하게 무리를 주지 않고, 물걸레 청소를 할 수 있는 물걸레 청소기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물걸레 청소기로는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419038호가 게재되어 있다.
도 9는 종래의 물걸레 청소기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물걸레 청소기는, 케이스의 내부 상측으로부터 물이 공급되고 하단에 설치되는 롤러가 바닥면에 접촉 회전되면서 청소를 하되, 상기 롤러는 동일 축 상에 종동기어(14)가 구비된 주롤러(11)와, 상기 주롤러(11)의 전,후방 양측으로 맞물리는 보조롤러(12,12')로 되어 각각 바닥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도록 되고, 상기 케이스(2)의 양측에는 구동휠(16)이 구비되어 바닥에 접촉된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휠(16)의 내측으로 상기 종동기어(14)와 맞물리는 구동기어(15)가 설치되어 구동휠(16)의 회전에 의해 상기 주롤러(11) 및 상기 보조롤러(12,12')가 연동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물걸레 청소기는 물탱크로부터 물이 주롤러(11)에 공급되면서 보조롤러(12,12')의 걸레천을 함께 적시게 되어 롤러를 바닥면에 대고 청소기를 전,후방으로 밀고 당기면 구동휠(16)의 회전력에 의해 주롤러(11)가 어느 한쪽의 보조롤러(12,12')와 맞물려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바닥에 있는 먼지나 바닥 쓰레기를 끌어올림과 동시에 바닥에 묻어 있는 오염 자국 등을 닦게 되며, 나머지 후방의 보조롤러(12,12')는 주롤러(11)와 진행 방향과 역회전 되면서 2차적으로 물걸레질을 하면서 앞에서 닦여진 바닥을 한번 더 깨끗이 닦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물걸레청소기는 걸레천이 바닥면을 계속 닦을 수 있게 물을 공급만 할 뿐, 걸레천이 오염되면 사용자가 일일이 세척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닥면의 오염물질을 청소하면서 오염된 걸레롤러를 사용자가 세척하지 않고 자동으로 세척하여 다시 바닥면을 닦아 주고, 또한 먼지를 빨아 들여 진공청소도 하는 물걸레 청소기를 제공하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물걸레 청소기는, 하부에는 청소공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어 물을 수용하는 수조부재와; 상기 몸체부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스프라켓에 의해 상기 청소공과 상기 수조부재로 이동하는 체인부재와; 좌우 양측의 상기 체인부재에 자유회전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걸레롤러와; 상기 체인부재를 회전이동시키는 체인회전모터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과 먼지를 수용하는 먼지수용부가 장착된 본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흡입팬에 의해 바닥면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걸레롤러는 회전하는 상기 체인회전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체인부재를 따라 상기 청소공으로 이동하여 바닥면을 닦고, 상기 수조부재로 이동하여 상기 수조부재에 수용된 물에 의해 세척된 후, 다시 상기 청소공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부에는 청소공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어 물을 수용하는 수조부재와; 상기 몸체부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스프라켓에 의해 상기 청소공과 상기 수조부재로 이동하는 체인부재와; 좌우 양측의 상기 체인부재에 자유회전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걸레롤러와; 상기 체인부재를 회전이동시키는 체인회전모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다수개의 걸레롤러는 회전하는 상기 체인회전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체인부재를 따라 상기 청소공으로 이동하여 바닥면을 닦고, 상기 수조부재로 이동하여 상기 수조부재에 수용된 물에 의해 세척된 후, 다시 상기 청소공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레롤러가 상기 청소공에 위치할 때, 상기 걸레롤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걸레롤러에 접촉하여 상기 걸레롤러를 회전시키는 벨트부와; 상기 벨트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주동풀리와; 상기 벨트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주동풀리를 회전시키는 벨트회전모터; 로 이루어지되, 상기 걸레롤러가 상기 청소공에 위치할 때, 회전하는 상기 벨트부의 외주면에 상기 걸레롤러의 외주면이 접하여 상기 걸레롤러가 회전하면서 바닥면을 닦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인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수조부재에 위치하는 상기 걸레롤러에 접촉하여 상기 걸레롤러를 세척하는 브러쉬부재;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러쉬부재는, 외주면에 솔이 형성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걸레롤러를 세척하는 브러쉬롤러부와; 상기 브러쉬롤러부를 회전시키는 브러쉬회전모터; 로 이루어지되, 상기 체인부재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수조부재에 배치되는 상기 걸레롤러는 회전하는 상기 브러쉬롤러부의 솔에 접하여 세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인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수조부재에서 세척된 상기 걸레롤러를 탈수시키는 탈수부재;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수부재는, 상기 걸레롤러에 압착되게 접하여 회전하면서 탈수시키는 탈수롤러부와; 상기 탈수롤러부를 회전시키는 탈수롤러회전모터; 로 이루어지되, 상기 걸레롤러는 상기 체인부재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수조부재에서 세척된 후, 상기 탈수롤러부에 접하여 탈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별도로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부와; 상기 물탱크부의 물을 상기 수조부재에 공급하거나, 상기 수조부재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물공급부재;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탱크부는, 새로운 물을 저장하는 제1물탱크와; 오염된 물을 저장하는 제2물탱크; 로 이루어지고, 상기 물공급부재는, 상기 제1물탱크에 수용된 물을 상기 수조부재로 공급하도록 연통된 입수구와; 상기 걸레롤러의 세척에 의해 오염된 상기 수조부재의 물을 상기 제2물탱크로 배출하도록 연통된 출수구와; 상기 입수구와 상기 출수구로 물을 이동시키는 펌프; 로 이루어지며, 상기 펌프는 상기 수조부재에서 상기 걸레롤러를 세척하면서 오염된 물을 상기 출수구를 통해 상기 제2물탱크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물탱크의 새로운 물을 상기 입수구를 상기 수조부재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공급부재는, 상기 수조부재에 수용된 물의 양을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펌프를 가동시키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물의 양이 미리 설정된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펌프를 가동시켜 상기 입수구를 통해 상기 제1물탱크의 물을 상기 수조부재에 공급하고,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물의 양이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펌프를 가동시켜 상기 출수구를 통해 상기 수조부재의 물을 상기 제2물탱크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조부재의 양측에는 물수용부가 형성되되, 상기 수조부재에 수용된 물의 양은, 상기 수조부재가 옆으로 놓였을 때, 상기 물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는 물의 양과 같거나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과 먼지를 수용하는 먼지수용부가 장착된 본체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흡입팬에 의해 바닥면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물걸레 청소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다수개의 걸레롤러가 회전하는 상기 체인회전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체인부재를 따라 상기 청소공으로 이동하여 바닥면을 닦고, 상기 수조부재로 이동하여 상기 수조부재에 수용된 물에 의해 세척된 후, 다시 상기 청소공으로 이동함으로써, 바닥면을 닦으면서 더러워진 상기 걸레롤러가 상기 수조부재에서 깨끗하게 세척된 후, 다시 바닥면을 닦고,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흡입팬에 의해 바닥면의 먼지를 흡입하는 상기 흡입유로가 형성됨으로써, 바닥면의 먼지도 흡입하여 먼지도 함께 청소하는 진공청소 효과가 있다.
상기 다수개의 걸레롤러가 회전하는 상기 체인회전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체인부재를 따라 상기 청소공으로 이동하여 바닥면을 닦고, 상기 수조부재로 이동하여 상기 수조부재에 수용된 물에 의해 세척된 후, 다시 상기 청소공으로 이동함으로써, 바닥면을 닦으면서 더러워진 상기 걸레롤러가 상기 수조부재에서 깨끗하게 세척된 후, 다시 바닥면을 닦는 효과가 있다.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걸레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보다 바닥면을 깨끗하게 닦을 수 있다.
상기 걸레롤러가 상기 청소공에 위치할 때, 회전하는 상기 벨트부의 외주면에 상기 걸레롤러의 외주면이 접하여 상기 걸레롤러가 회전하면서 바닥면을 닦아줌으로써, 상기 걸레롤러가 상기 회전하는 상기 벨트부에 의해 회전하면서 바닥면을 닦아주기 때문에 상기 바닥면을 보다 깨끗하게 닦는 효과가 있다.
상기 브러쉬부재가 상기 수조부재에 위치하는 상기 걸레롤러를 세척하기 때문에 상기 걸레롤러를 보다 깨끗하게 세척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체인부재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수조부재에 배치되는 상기 걸레롤러는 회전하는 상기 브러쉬롤러부의 솔에 접하여 세척됨으로써, 상기 걸레롤러를 보다 깨끗하게 세척해 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수조부재에서 세척된 상기 걸레롤러를 상기 탈수부재에 의해 탈수됨으로써, 상기 수조부재에서 세척되면서 상기 걸레롤러에 흡입된 물을 탈수한 후, 바닥면을 닦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걸레롤러가 상기 체인부재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수조부재에서 세척된 후, 상기 탈수롤러부에 접하여 탈수됨으로써, 상기 걸레롤러의 수분이 상기 탈수롤러부에 의해 탈수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물공급부재에 의해 상기 수조부재에 상기 물탱크부의 물을 공급하거나 상기 수조부재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걸레롤러를 세척하면서 오염된 물을 빼내고 새로운 물을 공급하여 상기 걸레롤러를 새로운 물로 세척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펌프가 상기 수조부재에서 상기 걸레롤러를 세척하면서 오염된 물을 상기 출수구를 통해 상기 제2물탱크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물탱크의 새로운 물을 상기 입수구를 통해 상기 수조부재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수조부재에서 상기 걸레롤러를 세척하면서 오염된 물을 새로운 물로 교체하여 상기 걸레롤러를 세척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물의 양이 미리 설정된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펌프를 가동시켜 상기 입수구를 통해 상기 제1물탱크의 물을 상기 수조부재에 공급하고,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물의 양이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펌프를 가동시켜 상기 출수구를 통해 상기 수조부재의 물을 상기 제2물탱크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수조부재에 수용된 물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수조부재에 수용된 물의 양이 상기 수조부재가 옆으로 놓였을 때, 상기 물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는 물의 양과 같거나 적음으로써, 물걸레 청소기가 옆으로 놓여도 상기 수조부재에 수용된 물이 상기 물수용부에 수용되기 때문에 상기 수조부재의 물이 외부로 흐르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몸체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A-A를 취해서 본 단면도.
도 4는 도 2에서 B-B를 취해서 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회전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브러쉬부재의 구조를 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탈수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수조부재에 수용된 물이 물수용부에 수용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물걸레 청소기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몸체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A-A를 취해서 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B-B를 취해서 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회전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브러쉬부재의 구조를 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탈수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수조부재에 수용된 물이 물수용부에 수용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는, 몸체부(100), 수조부재(200), 체인부재(300), 걸레롤러(400), 체인회전모터(350), 회전부재(500), 브러쉬부재(600), 탈수부재(700), 물탱크부(950), 물공급부재(800) 및 본체부(9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100)는 사람에 의해 닦고자 하는 바닥면을 이동하면서 바닥면을 닦아주는 부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에는 상기 수조부재(200), 상기 체인부재(300), 상기 걸레롤러(400), 상기 체인회전모터(350), 상기 회전부재(500), 상기 브러쉬부재(600), 상기 탈수부재(700) 등이 장착되어 사람에 의해 이동하면서 바닥면을 닦는다.
이러한 상기 몸체부(100)의 하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공(110)이 형성된다.
상기 청소공(1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레롤러(400)가 배치되어 바닥면을 닦아주는 곳이다.
상기 수조부재(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에 장착되어 물을 수용한다.
이렇게 상기 수조부재(200)에 수용된 물은 상기 걸레롤러(400)가 바닥면을 닦은 후 이동되어 세척되는 곳이다.
상기 체인부재(300)는 상기 몸체부(10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방과 같이 스프라켓(310)에 의해 상기 청소공(110)과 상기 수조부재(200)로 이동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체인부재(300)는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라켓(310)의 안내에 따라 회전이동하면서 상기 청소공(110)과 상기 수조부재(200)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걸레롤러(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의 상기 체인부재(300)에 자유회전되게 다수개가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걸레롤러(4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 접하여 바닥면을 닦아준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걸레롤러(400)는 상기 체인부재(300)에 다수개가 자유회전되게 장착되어 상기 체인부재(30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청소공(110)으로 이동하여 바닥면에 접하면서 바닥면을 닦아준다.
그리고 상기 걸레롤러(400)는 상기 체인부재(300)의 이동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청소공(110)에서 바닥면을 닦은 후, 상기 수조부재(200)로 이동하여 세척된다.
상기 체인회전모터(3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에 장착되어 상기 체인부재(300)를 회전이동시킨다.
즉, 상기 체인회전모터(350)는 상기 스프라켓(310)을 회전시켜 상기 체인부재(300)가 상기 청소공(110)과 상기 수조부재(200)로 이동하게 한다.
이때, 상기 체인회전모터(350)는 다수개의 상기 스프라켓(310) 중 주동스프라켓(311)만 회전시키고, 나머지 종동스프라켓(312)은 자유회전되게 상기 몸체부(100)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인회전모터(350)가 상기 몸체부(10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주동스프라켓(311)을 주동축(35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시키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상기 체인회전모터(350)가 상기 주동스프라켓(311)을 회전시키면, 상기 체인부재(300)가 상기 종동스프라켓(312)의 안내에 따라 상기 청소공(110)과 상기 수조부재(200)로 이동하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체인부재(300)에 장착된 다수개의 상기 걸레롤러(400)도 함께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걸레롤러(400)가 상기 청소공(110)으로 이동하여 바닥면을 닦고, 상기 수조부재(200)로 이동하여 세척된 후, 다시 바닥면으로 이동하면서 바닥면을 닦아 주게 된다.
즉, 상기 다수개의 걸레롤러(400)는 상기 체인회전모터(3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체인부재(300)를 따라 상기 청소공(110)으로 이동하여 바닥면을 닦고, 상기 수조부재(200)로 이동하여 세척된 후, 다시 청소공(110)으로 이동하여 바닥면을 닦아주는 것을 반복하게 되면서, 바닥면을 닦으면서 오염된 상기 걸레롤러(400)를 세척하여 오염물이 제거된 상기 걸레롤러(400)로 바닥면을 닦게 한다.
상기 체인회전모터(350)가 상기 주동스프라켓(311)을 회전시켜 상기 체인부재(300)를 이동시킬 때, 상기 주동스프라켓(311)을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의 전방에 배치하여 상기 체인부재(300)가 오랜 시간 사용에 의해 길이가 늘어나도 효율적으로 이동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체인부재(300)의 늘어난 부분이 상기 걸레롤러(400)가 상기 바닥면을 닦는 부분에 놓이도록 하여 상기 바닥면과 상기 걸레롤러(400)가 접하면서 발생하는 저항에 의해 늘어난 상기 체인부재(300)가 처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체인부재(300)가 오랜 시간 사용에 의해 늘어날 경우 상기 체인부재(300)가 스프라켓(310)에서 이탈되지 않게 일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체인부재(300)의 장력을 유지시켜 주는 장력유지스프라켓(도시되지 않음)을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부재(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레롤러(400)가 상기 청소공(110)에 위치할 때, 상기 걸레롤러(400)를 회전시킨다.
즉, 상기 회전부재(500)는 상기 걸레롤러(400)가 상기 청소공(110)에 위치할 때, 좌우 양측의 상기 체인부재(300)에 자유회전되게 장착된 상기 걸레롤러(400)를 회전시켜 상기 걸레롤러(400)가 바닥면을 회전하면서 닦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500)에 의해 상기 걸레롤러(400)가 회전하면서 바닥면을 닦아줌으로써, 바닥면을 보다 깨끗하게 닦을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회전부재(500)는 벨트부(510), 주동풀리(520), 종동풀리(530) 및 벨트회전모터(5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벨트부(510)는 상기 걸레롤러(400)에 접촉하여 상기 걸레롤러(400)를 회전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벨트부(510)가 회전하면서 상기 청소공(110)에 배치된 상기 걸레롤러(400)에 접하여 회전시켜 상기 걸레롤러(400)가 바닥면을 회전하면서 닦게 한다.
상기 주동풀리(520)는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벨트부(510)의 일측에 배치된다.
즉, 상기 주동풀리(520)는 상기 벨트부(510)의 일측 내측에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벨트부(510)를 회전시킨다.
상기 종동풀리(5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벨트부(510)의 타측에 배치된다.
즉, 상기 종동풀리(530)는 상기 주동풀리(520)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벨트부(510)의 타측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벨트부(510)가 회전되게 회전하면서 타측을 지지해준다.
상기 벨트회전모터(540)는 상기 주동풀리(520)를 회전시킨다.
즉, 상기 벨트회전모터(540)는 상기 주동풀리(520)를 회전시켜 상기 주동풀리(520)와 상기 종동풀리(530)에 걸린 상기 벨트부(510)를 회전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벨트회전모터(540)가 상기 걸레롤러(400)가 상기 청소공(110)에 위치할 때, 상기 주동풀리(520)를 회전시켜 상기 주동풀리(520)와 상기 종동풀리(530)에 걸린 상기 벨트부(510)를 회전시고, 회전하는 상기 벨트부(510)의 외주면에 상기 걸레롤러(400)의 외주면이 접하여 상기 걸레롤러(400)가 회전하면서 바닥면을 닦아 주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하는 상기 벨트부(510)의 외주면에 상기 걸레롤러(400)가 접하여 회전하면서 바닥면을 닦아 줌으로써, 보다 깨끗하게 바닥면을 닦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동풀리(530)는 상기 청소공(110)의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스프라켓(310)에 상기 주동풀리(520)는 상기 청소공(110)의 후방에 위치하는 스프라켓(310)에 장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상기 벨트부(510)가 상기 걸레롤러(400)를 회전시키도록 하였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주동풀리(520)와 상기 종동풀리(530)를 상기 청소공(110)의 전방과 후방에 위치하는 스프라켓(310)의 사이에 배치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주동풀리(520)와 상기 종동풀리(530)를 상기 청소공(110)의 전방과 후방에 위치하는 스프라켓(310) 사이에 배치하게 되면, 상기 걸레롤러(400)가 상기 청소공(110)에 위치하여 바닥면에 닿은 상태에서 상기 벨트부(510)에 접하여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걸레롤러(400)에 저항에 발생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회전시키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종동풀리(530)는 상기 청소공(110)의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스프라켓(310)에 상기 주동풀리(520)는 상기 청소공(110)의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스프라켓(310)에 장착하여 상기 걸레롤러(400)가 상기 청소공(110)에 위치하여 바닥면에 닿기 전에 상기 벨트부(510)에 접하여 회전하면서 바닥면에 접하여 닦게 함으로써, 상기 걸레롤러(400)를 저항이 없는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바닥면에 닿아 보다 효율적으로 회전하여 바닥면을 닦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동풀리(530)는 상기 주동스프라켓(311)을 회전시키는 주동축(351)에 대해 자유회전되게 장착하고, 상기 주동풀리(520)는 상기 벨트회전모터(540)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종동스프라켓(312)은 자유회전되게 장착하였다.
상기 브러쉬부재(600)는 상기 체인부재(30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수조부재(200)에 위치하는 상기 걸레롤러(400)에 접촉하여 상기 걸레롤러(400)를 세척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브러쉬부재(6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청소공(110)에서 바닥면을 청소하면서 오염된 상기 걸레롤러(400)가 상기 체인부재(30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수조부재(200)에 위치하여 상기 수조부재(200)에 수용된 물에 접하게 되면 상기 걸레롤러(400)에 접하여 상기 걸레롤러(400)의 오염물질을 세척한다.
이와 같이 상기 브러쉬부재(600)가 상기 걸레롤러(400)를 세척함으로써, 보다 깨끗하게 상기 걸레롤러(400)의 세척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브러쉬부재(6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쉬롤러부(610) 및 브러쉬회전모터(6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러쉬롤러부(610)는 외주면에 솔(611)이 형성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걸레롤러(400)를 세척한다.
즉, 상기 브러쉬롤러부(610)는 상기 걸레롤러(400)가 상기 수조부재(200)의 물에 접하면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솔(611)이 상기 걸레롤러(400)에 접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걸레롤러(400)를 세척한다.
상기 브러쉬회전모터(620)는 상기 브러쉬롤러부(610)를 회전시킨다.
즉, 상기 브러쉬회전모터(620)는 상기 브러쉬롤러부(610)를 회전시켜 상기 걸레롤러(400)에 접하여 상기 브러쉬롤러부(610)가 상기 걸레롤러(400)를 세척하게 한다.
상기 브러쉬롤러부(610)가 상기 걸레롤러(400)를 세척하는 과정은 상기 브러쉬회전모터(620)에 의해 상기 브러쉬롤러부(610)가 빠르게 회전하게 되면, 상기 브러쉬롤러부(610)에 접하여 회전하는 걸레롤러(400)도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걸레롤러(400)는 물에 접하면서 저항이 발생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상기 브러쉬롤러부(610)는 작은 저항 발생하게 되면서 상기 브러쉬롤러부(610)가 상기 걸레롤러(400)보다 빠르게 회전하여 상기 걸레롤러(400)를 세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브러쉬롤러부(610)가 상기 걸레롤러(400)에 접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걸레롤러(400)를 세척함으로써, 상기 걸레롤러(400)를 보다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러쉬롤러부(610)를 상기 체인부재(300)가 상기 수조부재(200)의 물에 담가졌다가 상승하게 되는 상기 종동스프라켓(312)의 회전중심부에 장착하여 상기 브러쉬롤러부(610)는 상기 브러쉬회전모터(620)에 의해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종동스프라켓(312)은 상기 브러쉬롤러부(610)의 회전과 상관없이 자유회전하도록 하여 상기 체인부재(300)가 상기 종동스프라켓(312)에 의해 회전이동하도록 장착하였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브러쉬롤러부(610)를 상기 종동스프라켓(312)의 회전중심부가 아닌 다른 부분에 장착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브러쉬롤러부(610)를 상기 종동스프라켓(312)의 회전주심부에 장착되지 않게 되며, 상기 브러쉬롤러부(610)가 상기 걸레롤러(400)와 접하여 회전하면서 세척하는 구간이 짧아지면서 상기 걸레롤러(400)를 효율적으로 회전시키지 못해 상기 걸레롤러(400)의 세척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브러쉬롤러부(610)를 상기 수조부재(200) 내부의 수중에 배치되는 상기 종동스프라켓(312)의 회전중심부에 장착하여 상기 체인부재(300)가 종동스프라켓(312)에 의해 회전이동하는 동안 상기 브러쉬롤러부(610)가 상기 걸레롤러(400)에 접하여 회전하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세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수부재(700)는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인부재(30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수조부재(200)에서 세척된 상기 걸레롤러(400)를 탈수시킨다.
즉, 상기 탈수부재(700)는 상기 수조부재(200)에 수용된 물에 의해 세척되면서 물을 흡수하고 있는 상기 걸레롤러(400)의 물을 탈수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탈수부재(700)가 상기 걸레롤러(400)의 물을 탈수시킴으로써, 물기가 많은 상태에서 상기 걸레롤러(400)가 상기 청소공(110)으로 이동하면 바닥면을 닦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즉, 탈 수 되지 않은 걸레롤러(400)로 바닥면을 닦게 되면 바닥면에 물기가 많이 남게 되는데, 이렇게 바닥면에 물기가 많이 남지 않도록 상기 걸레롤러(400)에 흡수된 물을 탈수시킨다.
이러한 상기 탈수부재(7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롤러부(710) 및 탈수롤러회전모터(7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탈수롤러부(710)는 상기 걸레롤러(400)에 압착되게 접하여 회전하면서 탈수시킨다.
즉, 상기 탈수롤러부(710)는 상기 자유회전되게 장착된 상기 걸레롤러(400)에 압착되게 접하여 회전하면, 상기 걸레롤러(400)도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걸레롤러(400)에 흡수된 물을 탈수시킨다.
상기 탈수롤러회전모터(720)는 상기 탈수롤러부(710)가 회전시킨다.
즉, 상기 탈수롤러회전모터(720)가 상기 탈수롤러부(710)를 회전시키면, 상기 걸레롤러(400)에 상기 탈수롤러부(710)가 압착되게 장착되어 있어 상기 걸레롤러(400)도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걸레롤러(400)에 흡수된 물을 탈수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탈수롤러부(710)가 상기 걸레롤러(400)에 압착되게 접하여 상기 걸레롤러(400)와 함께 회전하면서 걸레롤러(400)의 물을 탈수시킴으로써, 많은 물이 흡수된 걸레롤러(400)가 바닥면을 닦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탈수부재(7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부재(200)의 상부에 장착하여 탈수된 물이 상기 수조부재(200)에 수용되도록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탈수롤러부(710)의 회전방향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레롤러(400)와 접하는 부분이 하부에 상부로 접하도록 회전시켜 접촉되는 부분에서 탈수되는 물이 바로 상기 수조부재(200)의 하부로 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수롤러부(710)를 상기 체인부재(300)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상기 종동스프라켓(312)의 회전중심부에 장착하여 상기 탈수롤러회전모터(720)에 의해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종동스프라켓(312)은 회전하는 상기 탈수롤러부(710)와 상관없이 자유회전하여 상기 체인부재(300)를 회전이동시키도록 장착하였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탈수롤러부(710)를 상기 종동스프라켓(312)의 회전중심부에 장착하지 않고 상기 수조부재(200)에서 세척된 상기 걸레롤러(400)가 수면위로 떠오르면 상기 탈수롤러부(710)에 접하여 회전하여 탈수 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걸레롤러(400)가 수면위에 떠오르면 상기 탈수롤러부(710)에 접하여 회전하면, 상기 체인부재(300)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걸레롤러(400)와 상기 탈수롤러부(710)가 접하는 구간이 짧아지면서 효율적으로 상기 걸레롤러(400)에 흡수된 물을 탈수시키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탈수롤러부(710)를 상기 종동스프라켓(312)의 회전중심부에 장착하여 상기 종동스프라켓(312)에서 체인부재(300)의 이동방향이 변하는 구간 동안 상기 탈수롤러부(710)가 상기 걸레롤러(400)에 접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걸레롤러(400)에 흡수된 물을 효율적으로 탈수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탱크부(950)는 별도로 물을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부재(8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탱크부(950)의 물을 상기 수조부재(200)에 공급하거나 상기 수조부재(200)의 물을 상기 물탱크부(950)로 배출시킨다.
즉, 상기 물탱크부(950)에는 새로운 물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물공급부재(800)는 상기 물탱크부(950)에 저장된 새로운 물을 상기 수조부재(200)에 공급하여 상기 수조부재(200)에서 상기 걸레롤러(400)가 세척되면서 오염된 물을 새로운 물로 교체하여 준다.
이와 같이 상기 물공급부재(800)에 의해 상기 수조부재(200)에 상기 물탱크부(950)의 물을 공급하거나 상기 수조부재(200)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수조부재(200)에 상기 걸레롤러(400)를 세척하면서 오염된 물을 빼내고 새로운 물을 공급하여 상기 걸레롤러(400)를 새로운 물로 세척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상기 물공급부재(8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구(810), 출수구(820), 펌프(도시되지 않음), 센서부(830) 및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부(9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물을 저장하는 제1물탱크(951)와 오염된 물을 저장하는 제2물탱크(952)로 이루어진다.
상기 입수구(8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물탱크(951)에 수용된 물을 상기 수조부재(200)로 공급하도록 연통된 통로이다.
상기 출수구(8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레롤러(400)의 세척에 의해 오염된 상기 수조부재(200)의 물을 상기 제2물탱크(952)로 배출하도록 연통된 통로이다.
그리고 상기 펌프(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입수구(810)와 상기 출수구(820)로 물을 이동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수조부재(200)에서 상기 걸레롤러(400)가 세척되면서 오염된 물은 상기 출수구(820)를 통해 상기 제2물탱크(952)로 이동하고, 상기 제1물탱크(951)의 새로운 물은 상기 입수구(810)를 통해 상기 수조부재(200)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펌프가 상기 수조부재(200)에서 상기 걸레롤러(400)를 세척하면서 오염된 물을 상기 출수구(820)를 통해 상기 제2물탱크(952)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물탱크(951)의 새로운 물을 상기 입수구(810)를 통해 상기 수조부재(200)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수조부재(200)에서 상기 걸레롤러(400)를 세척하면서 오염된 물을 새로운 물로 교체하여 새로운 물로 상기 걸레롤러(400)를 세척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센서부(830)는 상기 수조부재(200)에 수용된 물의 양을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센서부(830)의 신호에 따라 상기 펌프를 가동시킨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830)에서 측정된 물의 양이 미리 설정된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펌프를 가동시켜 상기 입수구(810)를 통해 상기 제1물탱크(951)의 물을 상기 수조부재(200)에 공급하고, 상기 센서부(830)에서 측정된 물의 양이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펌프를 가동시켜 상기 출수구(820)를 통해 상기 수조부재(200)의 물을 상기 제2물탱크(952)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부(830)의 신호에 따라 상기 펌프를 가동시켜 물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수조부재(200) 내부의 물을 일정량을 유지하면서 오염된 물을 새로운 물로 교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조부재(200)의 양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수용부(210)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물수용부(21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부재(200) 방향으로는 관통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을 막혀있다.
이러한 상기 물수용부(210)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부재(200)가 옆으로 놓였을 때, 상기 수조부재(200)에 수용되어 있는 물을 수용하여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한다.
이때,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부재(200)에 수용된 물은 양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부재(200)가 옆으로 놓였을 때, 상기 물수용부(210)에 수용될 수 있는 물의 양과 같거나 적은 것은 양을 수용한다.
이는 상기 수조부재(200)가 옆으로 놓였을 때, 상기 수조부재(200)에 수용된 물이 상기 물수용부(210)에 수용되면서 수용될 수 있는 양을 초과하여 외부로 흐르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수조부재(200)의 양측에 상기 물수용부(210)가 형성됨으로써, 물걸레 청소기가 옆으로 놓여도 상기 수조부재(200)의 물은 상기 물수용부(210)에 수용되기 때문에 외부로 상기 수조부재(200)의 물이 흐르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본체부(90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910)과 먼지를 수용하는 먼지수용부(92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0)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팬(910)에 의해 바닥면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유로(120)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흡입유로(120)는 상기 흡입팬(910)의 흡입력에 의해 바닥면의 공기를 흡입하여 먼지를 흡입하는 통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유로(120)를 상기 몸체부(100)의 중앙과 전방에 즉, 상기 청소공(110)의 전방과 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몸체부(100)의 전방, 즉 상기 청소공(110)의 전방에만 형성하거나, 상기 몸체부(100)의 중앙, 즉 상기 청소공(110)의 후방에만 형성하여 먼지를 흡입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부(900)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910)과 먼지를 수용하는 먼지수용부(920)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00)에는 흡입유로(120)가 형성되어 상기 흡입팬(910)에 의해 바닥면의 먼지가 상기 흡입유로(120)로 흡수되어 상기 먼지수용부(920)에 수용되게 됨으로써, 물걸레 청소와 함께 먼지 청소도 함께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걸레롤러(400)가 바닥면을 닦는 물걸래 청소는 정지시킨 후, 상기 흡입팬(910)만 가동하여 바닥면의 먼지가 상기 흡입유로(120)를 통해 흡입되는 진공청소 기능만 수행하도록 할 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900)를 따로 배치하고 상기 본체부(900)에 상기 흡입팬(910), 상기 먼지수용부(920), 그리고 상기 물탱크부(950)를 장착하였으며, 상기 몸체부(100)에는 손잡이부(101)를 형성하여 상기 몸체부(100)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였고, 상기 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900)는 호스(102)를 통해 상기 먼지수용부(920)와 흡입유로(120)가 연통되게 하였으며, 상기 물탱크부(950)와 상기 입수구(810) 및 출수구(820)가 연통되게 하였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900)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에 커버가 도시하지 않았지만, 실질적으로는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에 커버가 배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물걸레 청소기의 작동 상태를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1물탱크(951)에 새로운 물을 채우게 된다.
그러고 나서 청소기를 가동시킨 후, 사용자는 손잡이부(101)를 잡고 상기 몸체부(100)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체인부재(300)는 상기 스프라켓(310)의 안내에 따라 상기 청소공(110)과 상기 수조부재(200)로 회전이동하게 된다.
그로 인해 상기 체인부재(300)에 자유회전되게 장착된 다수개의 상기 걸레롤러(400)도 상기 청소공(110)과 상기 수조부재(200)를 따라 이동하면서 바닥면을 닦고, 이동하여 상기 수조부재(200)에서 세척된 후, 다시 청소공(110)으로 이동하여 상기 바닥면을 닦게 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청소공(110)에 상기 걸레롤러(400)가 배치되면, 상기 걸레롤러(400)에 상기 벨트부(510)의 외주면이 접하면서 상기 걸레롤러(400)는 회전하게 되고, 회전하는 상기 걸레롤러(400)는 상기 체인부재(300)의 회전이동에 의해 이동하면서 상기 바닥면에 접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바닥면을 닦아주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걸레롤러(400)가 상기 벨트부(510)에 접하여 회전하면서 바닥면을 닦아줌으로써, 보다 깨끗하게 바닥면을 닦게 된다.
이후, 상기 걸레롤러(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인부재(300)의 회전이동에 의해 상기 수조부재(200)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수조부재(200)로 이동된 상기 걸레롤러(400)는 상기 수조부재(200)의 물에 의해 세척되는데, 이때, 상기 브러쉬부재(600)의 상기 브러쉬롤러부(610)에 형성된 상기 솔(611)이 상기 걸레롤러(400)에 접하여 회전하면서 보다 깨끗하게 세척된다.
이렇게 상기 수조부재(200)에서 세척된 상기 걸레롤러(400)는 상기 체인부재(300)의 회전이동에 의해 상기 탈수롤러부(710)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탈수부재(700)로 이동된 상기 걸레롤러(400)는 상기 탈수롤러부(71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수조부재(200)에서 흡수된 상기 걸레롤러(400)의 물을 탈수하게 된다.
이렇게 탈수부재(700)에서 탈수된 상기 걸레롤러(400)는 상기 체인부재(300)의 회전이동에 의해 상기 청소공(110)으로 다시 이동된 후, 상기 회전부재(500)에 의해 바닥면을 닦아 주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체인부재(300)에 다수개가 장착된 상기 걸레롤러(400)가 상기 체인부재(300)의 회전이동에 의해 이동하면서 바닥면을 닦고 이동하여 세척된 후 탈수되어 다시 바닥면을 닦아 줌으로써 바닥면을 물청소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물탱크(951)의 새로운 물은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입수구(810)를 통해 상기 수조부재(200)에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걸레롤러(400)를 세척하면서 오염된 상기 수조부재(200)의 물은 상기 펌프에 의해 출수구(820)를 통해 상기 제2물탱크(952)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조부재(200)의 물이 상기 펌프의 가동에 의해 이동하면서 상기 수조부재(200)에서 세척되는 상기 걸레롤러(400)를 새로운 물로 세척하여 보다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830)에서 상기 수조부재(200)의 물의 양을 측정한 측정값에 따라 상기 펌프를 가동시켜 상기 입수구(810)와 출수구(820)를 통해 상기 수조부재(200)의 물을 공급하거나 배출하여 상기 수조부재(200)의 물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또한, 청소를 하다가 상기 몸체부(100)가 옆으로 눕혀져도 상기 수조부재(200)에 수용된 물은 외부로 흐르지 않게 된다.
즉,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부재(200)에 수용된 물의 양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부재(200)가 옆으로 눕혀져도 상기 물수용에 수용될 수 있는 물의 양과 같거나 작기 때문에 상기 몸체부(100)가 옆으로 눕혀져도 상기 수조부재(200)에 수용된 물이 외부로 흐르지 않고 상기 물수용부(210)에 수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면의 먼지는 상기 본체부(900)에 장착된 상기 흡입팬(910)에 흡입력에 의해 상기 몸체부(100)에 형성된 상기 흡입유로(120)를 통해 흡입되어 상기 먼지수용부(920)에 수용되지 때문에 물청소와 함께 먼지 청소 즉, 진공청소 기능도 함께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물청소 기능은 정지시키고, 상기 흡입팬(910)만 가공시켜 진공 청소 기능만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인 물걸레 청소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몸체부 101: 손잡이부 102: 호스
110: 청소공 120: 흡입유로 200: 수조부재
210: 물수용부 300: 체인부재 310: 스프라켓
311: 주동스프라켓 312: 종동스프라켓 350: 체인회전모터
351: 주동축 400:걸레롤러 500: 회전부재
510: 벨트부 520: 주동풀리 530: 종동풀리
540: 벨트회전모터 600: 브러쉬부재 610: 브러쉬롤러부
611: 솔 620: 브러쉬회전모터 700: 탈수부재
710: 탈수롤러부 720: 탈수롤로회전모터 800: 물공급부재
810: 입수구 820: 출수구 830: 센서부
900:본체부 910: 흡입팬 920: 먼지수용부
950: 물탱크부 951: 제1물탱크 952: 제2물탱크

Claims (12)

  1. 하부에는 청소공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어 물을 수용하는 수조부재와;
    상기 몸체부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스프라켓에 의해 상기 청소공과 상기 수조부재로 이동하는 체인부재와;
    좌우 양측의 상기 체인부재에 자유회전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걸레롤러와;
    상기 체인부재를 회전이동시키는 체인회전모터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과 먼지를 수용하는 먼지수용부가 장착된 본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흡입팬에 의해 바닥면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걸레롤러는 회전하는 상기 체인회전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체인부재를 따라 상기 청소공으로 이동하여 바닥면을 닦고, 상기 수조부재로 이동하여 상기 수조부재에 수용된 물에 의해 세척된 후, 다시 상기 청소공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2. 하부에는 청소공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어 물을 수용하는 수조부재와;
    상기 몸체부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스프라켓에 의해 상기 청소공과 상기 수조부재로 이동하는 체인부재와;
    좌우 양측의 상기 체인부재에 자유회전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걸레롤러와;
    상기 체인부재를 회전이동시키는 체인회전모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다수개의 걸레롤러는 회전하는 상기 체인회전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체인부재를 따라 상기 청소공으로 이동하여 바닥면을 닦고, 상기 수조부재로 이동하여 상기 수조부재에 수용된 물에 의해 세척된 후, 다시 상기 청소공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레롤러가 상기 청소공에 위치할 때, 상기 걸레롤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걸레롤러에 접촉하여 상기 걸레롤러를 회전시키는 벨트부와;
    상기 벨트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주동풀리와;
    상기 벨트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주동풀리를 회전시키는 벨트회전모터; 로 이루어지되,
    상기 걸레롤러가 상기 청소공에 위치할 때, 회전하는 상기 벨트부의 외주면에 상기 걸레롤러의 외주면이 접하여 상기 걸레롤러가 회전하면서 바닥면을 닦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인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수조부재에 위치하는 상기 걸레롤러에 접촉하여 상기 걸레롤러를 세척하는 브러쉬부재;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부재는,
    외주면에 솔이 형성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걸레롤러를 세척하는 브러쉬롤러부와;
    상기 브러쉬롤러부를 회전시키는 브러쉬회전모터; 로 이루어지되,
    상기 체인부재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수조부재에 배치되는 상기 걸레롤러는 회전하는 상기 브러쉬롤러부의 솔에 접하여 세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인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수조부재에서 세척된 상기 걸레롤러를 탈수시키는 탈수부재;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재는.
    상기 걸레롤러에 압착되게 접하여 회전하면서 탈수시키는 탈수롤러부와;
    상기 탈수롤러부를 회전시키는 탈수롤러회전모터; 로 이루어지되,
    상기 걸레롤러는 상기 체인부재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수조부재에서 세척된 후, 상기 탈수롤러부에 접하여 탈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별도로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부와;
    상기 물탱크부의 물을 상기 수조부재에 공급하거나, 상기 수조부재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물공급부재;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부는,
    새로운 물을 저장하는 제1물탱크와;
    오염된 물을 저장하는 제2물탱크; 로 이루어지고,
    상기 물공급부재는,
    상기 제1물탱크에 수용된 물을 상기 수조부재로 공급하도록 연통된 입수구와;
    상기 걸레롤러의 세척에 의해 오염된 상기 수조부재의 물을 상기 제2물탱크로 배출하도록 연통된 출수구와;
    상기 입수구와 상기 출수구로 물을 이동시키는 펌프; 로 이루어지며,
    상기 펌프는 상기 수조부재에서 상기 걸레롤러를 세척하면서 오염된 물을 상기 출수구를 통해 상기 제2물탱크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물탱크의 새로운 물을 상기 입수구를 상기 수조부재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재는,
    상기 수조부재에 수용된 물의 양을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펌프를 가동시키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물의 양이 미리 설정된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펌프를 가동시켜 상기 입수구를 통해 상기 제1물탱크의 물을 상기 수조부재에 공급하고,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물의 양이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펌프를 가동시켜 상기 출수구를 통해 상기 수조부재의 물을 상기 제2물탱크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조부재의 양측에는 물수용부가 형성되되,
    상기 수조부재에 수용된 물의 양은, 상기 수조부재가 옆으로 놓였을 때, 상기 물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는 물의 양과 같거나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KR1020120092891A 2012-08-24 2012-08-24 물걸레 청소기 KR201400260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891A KR20140026016A (ko) 2012-08-24 2012-08-24 물걸레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891A KR20140026016A (ko) 2012-08-24 2012-08-24 물걸레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016A true KR20140026016A (ko) 2014-03-05

Family

ID=50640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891A KR20140026016A (ko) 2012-08-24 2012-08-24 물걸레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6016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08793A (zh) * 2016-01-25 2016-11-16 湖北泽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扫地机器人的抹布清洁装置
CN107212815A (zh) * 2017-05-26 2017-09-29 吴晓栋 清洁装置
CN107518835A (zh) * 2017-09-06 2017-12-29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清洁机器人
CN110051293A (zh) * 2019-04-28 2019-07-26 吴晓栋 一种清洁装置
CN110074726A (zh) * 2019-04-28 2019-08-02 吴晓栋 清洁装置
CN110101342A (zh) * 2019-04-28 2019-08-09 吴晓栋 具有刷洗组件的清洁装置
CN111166257A (zh) * 2020-01-22 2020-05-19 帝舍智能科技(武汉)有限公司 水槽及自清洁拖扫机
CN111938523A (zh) * 2020-09-09 2020-11-17 山东浩睿智能科技有限公司 具有凹槽的附胶挤水转辊、采用其的拖地装置及环卫设备
CN112690706A (zh) * 2020-12-24 2021-04-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清洁设备
CN113100674A (zh) * 2020-04-28 2021-07-13 杨炳辉 一种地面清洗装置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08793A (zh) * 2016-01-25 2016-11-16 湖北泽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扫地机器人的抹布清洁装置
CN107212815A (zh) * 2017-05-26 2017-09-29 吴晓栋 清洁装置
CN107518835A (zh) * 2017-09-06 2017-12-29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清洁机器人
CN110051293B (zh) * 2019-04-28 2024-05-31 吴晓栋 一种清洁装置
CN110051293A (zh) * 2019-04-28 2019-07-26 吴晓栋 一种清洁装置
CN110074726A (zh) * 2019-04-28 2019-08-02 吴晓栋 清洁装置
CN110101342A (zh) * 2019-04-28 2019-08-09 吴晓栋 具有刷洗组件的清洁装置
CN110074726B (zh) * 2019-04-28 2024-10-15 吴晓栋 清洁装置
CN110101342B (zh) * 2019-04-28 2024-10-15 吴晓栋 具有刷洗组件的清洁装置
CN111166257A (zh) * 2020-01-22 2020-05-19 帝舍智能科技(武汉)有限公司 水槽及自清洁拖扫机
CN113100674A (zh) * 2020-04-28 2021-07-13 杨炳辉 一种地面清洗装置
CN111938523A (zh) * 2020-09-09 2020-11-17 山东浩睿智能科技有限公司 具有凹槽的附胶挤水转辊、采用其的拖地装置及环卫设备
CN112690706A (zh) * 2020-12-24 2021-04-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清洁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6016A (ko) 물걸레 청소기
JP3186168U (ja) 電動掃除洗浄装置
CN109528093B (zh) 一种自动化地面清洁设备
CN112244701A (zh) 智能洗地机的自清洁-烘干方法和组件
CN103769394B (zh) 一种汽车脚垫清洁机
CN112137522B (zh) 用于智能洗地机的自清洁-风干方法和组件
CN111166257B (zh) 水槽及自清洁拖扫机
CN112120613A (zh) 用于智能洗地机的滚刷的自清洁方法和组件
JP2007513659A (ja) 自立走行型又はハンドル操作型の掃除機、及び掃除機とベースステーションとの組み合わせ
CN111166256A (zh) 一种自清洁拖扫机
KR20090086657A (ko) 물걸레 로봇청소기 및 이의 자동세탁 기능을 가지는 충전기
CN212591943U (zh) 一种自清洁拖扫机
KR100565262B1 (ko) 건습식 복합형 업라이트 청소기
CN212326297U (zh) 水槽及自清洁拖扫机
CN203678774U (zh) 一种新型汽车脚垫清洁机
KR100831023B1 (ko) 마포걸레 세척장치
CN214906476U (zh) 用于智能洗地机的自清洁-风干组件
KR100961890B1 (ko) 물걸레 청소기
CN2870713Y (zh) 地面清洁机
KR100697080B1 (ko) 습,건식 겸용 업라이트 청소기
KR100652260B1 (ko) 물걸레 청소기
KR102245631B1 (ko) 고추 세척기
KR100589781B1 (ko) 물걸레 청소기
KR101466323B1 (ko) 휴대용 다목적 청소기
KR940002584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