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038Y1 - 물걸레 청소구 - Google Patents

물걸레 청소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038Y1
KR200419038Y1 KR2020060007013U KR20060007013U KR200419038Y1 KR 200419038 Y1 KR200419038 Y1 KR 200419038Y1 KR 2020060007013 U KR2020060007013 U KR 2020060007013U KR 20060007013 U KR20060007013 U KR 20060007013U KR 200419038 Y1 KR200419038 Y1 KR 2004190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water
main roller
floor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0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삼
Original Assignee
김종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삼 filed Critical 김종삼
Priority to KR20200600070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0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0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0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6Floor-scrubbing machines, hand-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1Roll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3Driving mean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11/4069Driving or transmission means for the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스의 내부 상측으로부터 밸브 및 공급관을 가진 물탱크가 설치되어 물이 공급되고 그 하부 중앙에 바닥면에 접촉 회전되고 동일축 상에 종동 기어가 구비된 주롤러가 구비되어, 이 주롤러의 전,후방 양측으로 한 쌍의 보조롤러가 맞물려 바닥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종동기어와 맞물리는 구동기어가 구비된 구동휠이 상기 케이스 외부에서 바닥에 지지되어 회전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롤러 외면에는 바닥에서 끌려 올라오는 먼지, 쓰레기 등을 걸러 주기 위한 한 쌍의 스크레이퍼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보조롤러의 상측으로 원형의 브러시 및 조임봉이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보조롤러와 함께 회전 되도록 설치되며, 각각의 상기 롤러는 관체의 외면에 벨크로테이프가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롤러의 외측으로는 상기 벨크로테이프와 접착되도록 내측면에 벨크로테이프층이 형성되고 그 위로 물을 적정량 흡수하고 바닥에 밀착력을 주기 위한 쿠션층과 그 위로 항균 및 발수 기능을 가진 패드층(28)이 일체로 형성된 걸레천(13)으로 이루어져 상기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물탱크로부터 물이 주롤러에 공급되면서 보조롤러의 걸레천을 함께 적시게 되어 롤러를 바닥면에 대고 청소기를 전,후방으로 밀고 당기면 구동휠의 회전력에 의해 주롤러가 어느 한쪽의 보조롤러와 맞물려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바닥에 있는 먼지나 바닥 쓰레기를 끌어올림과 동시에 바닥에 묻어 있는 오염 자국 등을 닦게 되며, 나머지 후방의 보조롤러는 주롤러와 진행 방향과 역회전 되면서 2차적 으로 물걸레질을 하면서 앞에서 닦여진 바닥을 한번 더 깨끗이 닦게 되고, 상측의 브러시에 의해 먼지나 불순물 등이 제거되고, 조임봉에 의해 걸레천의 물기를 함께 제거하게 된다.
케이스, 자루, 주롤러 보조롤러, 물탱크, 물받이, 브러시, 조임봉, 구동휠,

Description

물걸레 청소구{a damp cloth cleaner}
도 1 - 본 고안에 따른 청소구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 - 상기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3 - 본 고안에 따른 청소구의 평단면도
도 4 - 본 고안에 따른 청소구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 - 본 고안에 따른 청소구 제품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외관 사시도
도 6,도 7 - 본 고안에 따른 청소구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자루 2 ; 케이스
3 ; 힌지 4 ; 물탱크
5 ; 주입구 6 ; 공급관
7 ; 밸브 8; 롤러하우징
10; 롤러 11 ; 주롤러
12,12' ; 보조롤러 13; 걸레천
14 ; 종동기어 15; 구동기어
16; 구동휠 17,17' ; 스크레이퍼
18,18'; 롤러브러쉬 19,19'; 조임봉
20; 받이편 21; 물받이
22; 관체 23,26; 벨크로테이프
24; 축구멍 25; 리브
27; 쿠션층 28; 패드층
본 고안은 긴 자루의 하단에 물걸레가 구비되어 선 자세에서 실내 바닥의 물걸레질을 할 수 있도록 된 물걸레 청소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맞물려서 회전되는 복수의 롤에 물을 임의대로 공급하면서 청소기를 밀고 당길 때 바닥에 있는 먼지나 쓰레기 등을 물기와 함께 끌어올려 제거함과 동시에 물걸레질 청소까지도 함께 할 수 있도록 된 물걸레 청소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물걸레 청소구는 길게 형성된 자루의 단부에 단순히 걸레를 결합하여 사용토록 된 것이 있으며, 이는 사용시에 수시로 걸레를 세척하여 사용하여야 하고, 세척이 불편하며, 걸레가 노출된 상태로 사용 및 보관하여야 하므로 위생적으로도 청결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근래에는 판 형의 걸레판을 구비하여 이 걸레판의 일면 또는 양 면에 걸레를 부착하고, 걸레판에 자루를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보다 위생적이고 편리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된 것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또한, 수시로 걸레를 세척하면서 사용하여야 하고, 걸레에 묻어 있는 수분이 증발되고 나면 다시 빨아서 물기가 있는 상태 에서 사용해야 번거로움이 있었으며,걸레의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고안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4-16959호,제2004-28514호 및 제2004-19721호로 출원한 바 있으며, 이 선 출원 고안은 맞물리는 한 쌍의 롤러에 걸레가 구비되어 바닥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바닥면을 닦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선출원 고안은 걸레에 묻는 불순물과 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후 출원된 고안에 있어서는 청소구를 앞,뒤로 밀고 당길 때 바닥에 떨어져 있는 쓰레기 또는 먼지들을 물기와 함께 끌어올려 제거함과 동시에 물걸레질 효과까지 얻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선 출원된 고안들은 그 구성이 복잡하고, 제품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는 구성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제품화 적용시 제조 단가의 상승과 바닥 쓰레기 제거와 물걸레질 청소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롤러에 탈부착하기 위한 걸레천의 탈착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작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걸레천을 자주 세척하여 사용하는 면에 있어서도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내재 되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맞물려서 회전되는 복수의 롤에 물을 임의대로 공급하면서 장시간 청소기를 밀고 당길 때 바닥에 있는 먼지나 쓰레기 등을 물기와 함께 끌어올려 제거함과 동시에 물걸레질 청소까지도 효율적으로 깨끗이 할 수 있도록 된 물걸레 청소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물탱크에서 롤러에 공급되는 물이 적정량 흡수된 상태에서 장시간 물걸레 청소가 가능하도록 하며, 청소기의 롤러에 걸레천을 자주 세척하여 사용하더라도 편리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없는 물걸레 청소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케이스의 내부 상측으로부터 물이 공급되고 하단에 설치되는 롤러가 바닥면에 접촉 회전되면서 청소를 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동일 축 상에 종동기어가 구비된 주롤러와, 상기 주롤러의 전,후방 양측으로 맞물리는 보조롤러로 되어 각각 바닥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도록 되고,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는 구동휠이 구비되어 바닥에 접촉된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휠의 내측으로 상기 종동기어와 맞물리는 구동기어가 설치되어 구동휠의 회전에 의해 상기 주롤러 및 상기 보조롤러가 연동되도록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주롤러의 상측 중앙에 물이 공급하기 위한 밸브 및 공급관을 가진 물탱크가 설치되며, 상기 주롤러 외면에는 바닥에서 끌려 올라오는 먼지, 쓰레기 등을 걸러 주기 위한 한 쌍의 스크레이퍼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보조롤러의 상측으로 원형의 브러시 및 조임봉이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보조롤러와 함께 회전 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각 롤러는 관체의 외면에 벨크로테이프가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롤러의 외측으로는 상기 벨크로테이프와 접착되도록 내측면에 벨크로테이프층이 형성되고 그 위로 물을 적정량 흡수하고 바닥에 밀착력을 주기 위한 쿠션층과, 그 위로 항균 및 발수 기능을 가진 패드층이 일체로 형성된 걸레천으로 이루어져 상기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물탱크로부터 물이 주롤러에 공급되면서 보조롤러의 걸레천을 함께 적시게 되고, 롤러를 바닥면에 대고 청소기를 전,후방으로 밀고 당기면 구동휠의 회전력에 의해 주롤러가 한쪽의 보조롤러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바닥에 있는 먼지나 바닥 쓰레기를 끌어올림과 동시에 바닥에 묻어 있는 오염 자국 등을 닦게 되며, 나머지 후방의 보조롤러는 주롤러와 함께 회전되면서 2차적으로 물걸레질을 하므로서 앞에서 닦여진 바닥을 한번 더 깨끗이 닦게 되고, 상측의 브러시에 의해 먼지나 불순물 등이 제거되고, 조임봉에 의해 걸레천의 물기를 함께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 보조 롤러의 전,후에는 선 출원된 고안에 의하면 물받이가 설치되며, 이 물받이는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물받이에 수거되는 물과 쓰레기등을 버리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일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청소구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청소구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청소구,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청소구 제품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외관 사시 도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선출원된 고안의 내용에 따라 길게 형성된 자루(1)가 케이스(2)의 상단부에서 힌지(3)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2)의 내부 상측에는 물탱크(4)가 구비되어 있으며, 케이스(2)의 상측 일단에는 상기 물탱크(4)에 물을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물탱크(4)의 하측으로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공급관(6)이 밸브(7)에 의해 개폐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이 공급관(6)의 밑면에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는 그 양단이 축지지되어 조립되기 위한 롤러하우징(8)이 구비되고, 상기 롤러하우징(8)의 내측 중앙으로 주롤러(11)가 위치되고 그 양측으로 한 쌍의 보조롤러(12,12')가 위치되어 기어캡(9)으로 서로 맞물려 회전되도록 이루어지는 롤러(1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롤러(10)는 케이스(2)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바닥에 모두 밀착되도록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주롤러(11) 및 보조롤러(12,12') 외면에는 착탈 가능한 걸레천(13)이 감싸지게 되어 있다.
이러한 롤러(10)는 상기 공급관(6) 하부에 주롤러(11)가 위치되므로서 주롤러(11)에 물이 공급되면 이에 밀착된 양측의 보조롤러(12,12')의 걸레천(13)에도 흡수되면서 적정량의 물이 롤러(10) 전체에 항시 공급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롤러(11)에는 동일축 상으로 종동기어(14)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2)의 외부 양측에는 상기 종동기어(14)와 맞물리는 구동기어(15)를 가진 한 쌍의 구동휠(16)이 바닥에 접촉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휠(16)은 청소구를 밀고 당기는 힘에 의해 굴러 회전되는 것이므로 상기 구동휠(16) 자체가 바닥면에 대해 마찰력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구동휠(16)의 접촉면에 마찰력이 높은 밴드 등이 감겨져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구를 밀거나 당기게 되면 구동휠(16)이 회전하여 주롤러(11)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맞물려 있는 보조롤러(12)가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서 바닥의 쓰레기 또는 먼지 등을 끌어올려 제거함과 동시에 다른 한쪽의 보조롤러(12')는 상기 주롤러(11)와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서 2차적인 물걸레질을 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구동휠(16)과 상기 주롤러(11) 사이에 개재되는 기어군을 배치하는 방법에 따라 주롤러(11)와 보조롤러(12,12')의 회전 방향은 바뀔 수 있다.
한편, 상기 주롤러(11) 상측에는 바닥에서 끌려 올라오는 먼지, 쓰레기 등을 걸러 주기 위한 한 쌍의 스크레이퍼(17,17')가 간격을 두고 상기 주롤러(11)의 외면에 거의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보조롤러(12,12')의 상측으로 원형의 롤러브러시(18,18') 및 조임봉(19)이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보조롤러(12,12')와 함께 회전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롤러브러쉬(18,18')는 상기 롤러하우징(8)에 저속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보조롤러(12,12')의 회전력으로 함께 회전하면서 걸레천(13) 표면에 부착된 먼지 또는 바닥쓰레기 걸러 주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조임봉(19,19')은 상기 보조롤러(12,12')의 외면이 눌러지는 정도로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므로서 보조롤러(12,12')의 걸레천(13)의 물기가 짜지면서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보조롤러(12,12')의 전,후에는 제거된 물기와 바닥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한 선 출원된 고안에 의한 받이편(20)을 가진 물받이(21)가 설치되며, 이 물받이(21)는 상기 케이스(2)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수거되는 물과 쓰레기 등을 버리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물탱크(4)로부터 물이 주롤러(11)에 공급되면서 보조롤러(12,12')의 각각의 걸레천(13) 전체에 적정량의 물이 흡수되므로서, 바닥면에 대고 청소기를 전,후방으로 밀고 당기면 구동휠(16)의 회전력에 의해 주롤러(11)가 진행방향 쪽의 보조롤러(12)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바닥에 있는 먼지나 바닥 쓰레기를 끌어올림과 동시에 바닥에 묻어 있는 오염 자국 등을 깨끗이 닦아 주게 된다.
이때, 나머지 보조롤러(12')는 주롤러(11)와 함께 회전 되므로서 2차적으로 물걸레질을 하면서 앞에서 닦여진 바닥을 한번 더 연속적으로 깨끗이 닦아 주게 되고, 상측의 롤러브러시(18,18')에 의해 먼지나 불순물 등이 걸러진 다음 상기 조임봉(19,19')에 의해 걸레천(13)의 물기가 짜지면서 함께 물기와 상기 물받이부로 모여져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걸레천(13)을 롤러(10)로 부터 간편하게 착탈시킬 수 있어서 더럽혀진 걸레천(13)를 편리하게 분리하여 세척하거나 새 걸레천(13)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롤러(10)는 그 양측에 상기 기어캡(9)이 끼워지도록 관체(22)로 구성되어 상기 주롤러(11) 및 보조롤러(12,12')가 서로 맞물려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관체(22) 외면에는 벨크로테이프(23)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 관체(22)는 그 내부 중심에 회전축(S)이 끼워지는 축구멍(24)이 형성되어 있고, 십자형태의 리브(25)가 일체로 구성된 것으로 압출 성형으로 제작 가능한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롤러(10)의 외측으로는 상기 벨크로테이프(23)와 접착되어 탈착 가능한 걸레천(13)이 구비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걸레천(13)은 대략 롤러 관체(22)의 외면을 감싸는 정도의 면적을 가지도록 이루어지고, 그 내측면에 상기 벨크로테이프(23)와 접착되기 위한 벨크로테이프층(26)이 형성되어 있고, 그 위로 물을 적정량 흡수하고 바닥에 밀착력을 주기 위한 쿠션층(27)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위로 항균 처리 및 발수 기능이 탁월한 공지의 극세사 등의 패드층(28)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롤러 관체(24)로 부터 용이하게 벨크로테이프(23,26)에 의해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의 전방 및 후방 하측 네모서리 부위에는 두 쌍의 바퀴(29)가 설치되어 물걸레 청소구의 이동이나 걸레질을 할 때 평행을 유지시켜 상기 주롤러(11) 및 보조롤러(12,12')가 바닥에 대해 평행한 상태로 밀착되어 바닥쓰레기 및 먼지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물걸레 청소가 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자루(1)는 공지의 청소구와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 길이의 조절이 가능토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물걸레 청소구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케이스(2)의 상측으로 형성된 주입구(5)를 통해 물을 주입하게 되고, 밸브(7)를 열면 공급관(6)을 통해 물이 하측으로 분출되어 주롤러(11)에 먼저 물이 공급되어 이에 밀착된 보조롤러(12,12')에 물이 흡수되므로서 적정량의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된다.
이 상태에서 자루(1)를 잡고 밀면 구동휠(16),주롤러(11) 및 보조롤러(12,12')가 바닥면과 접촉되어 구르면서 바닥면을 닦게 되는데, 이때 구동휠(16)이 먼저 청소구의 진행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함께 회전되는 구동기어(15)에 맞물려 있는 상기 종동기어(14)를 역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주롤러(11)가 함께 역회전하게 되므로서 양측의 보조롤러(12,12')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롤러(11)와 전방의 보조롤러(12)가 서로 맞물려 회전되면서 전방에 있는 바닥쓰레기 또는 먼지 등이 주롤러(11)와 보조롤러(12) 사이로 들어와 끌어 올려지면서 제거됨과 동시에 바닥을 한번 닦아 주게 된다.
그리고, 끌어올려진 바닥쓰레기 또는 먼지는 상기 스크레이퍼(17,17')에 걸려 주롤러(11) 상측으로는 넘어가지 못하고 보조롤러(12)측으로 넘어가게 되므로서 상기 롤러브러쉬(18)와 조임봉(19)을 거쳐 물기와 함께 짜지면서 받이편(20)에 의해 걸러져 물받이(21)로 떨어져 제거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주롤러(11)의 후방의 보조롤러(12')는 회전하면서 진행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손으로 걸레질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되므로서 바닥에 묻어 있는 묵은 때나 오염 자국을 2차적으로 말끔하게 닦아 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청소구를 후방으로 당기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휠(16)은 반대로 회전하므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번엔 주롤러(11)와 후방의 보조롤러(12')가 맞물려 회전되면서 후방에 있는 바닥쓰레기 또는 먼지 등을 주롤러(11)와 보조롤러(12') 사이로 끌어 올려지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롤러브러쉬(18')와 조임봉(19')을 거치면서 물기와 함께 받이편(20)에 걸러져 물받이(21)로 떨어져 제거 되는것이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전방의 보조롤러(12)는 회전하면서 진행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후방 측에 미쳐 제거되지 못한 바닥에 묻어 있는 묵은 때나 오염 자국을 재차 말끔하게 닦아 주게 되므로서 연속적인 물걸레질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연속적인 물걸레 청소를 하다가 걸레천(13)이 많이 오염된 상태에서는 롤러(10)에 감겨져 있는 걸레천(13)을 잡아당기기만 하면 벨크로테이프(23,26)로 부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쉽게 빼내어 세척을 하여 재사용하거나 햇볕 등에 말려 살균 처리 등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롤러(10)에 부착시킬 때에도 걸레천(13)의 단부을 관체(22) 외면에 먼저 부착시킨 상태에서 롤러(10)를 회전시키게 되면 자동적으로 롤러(10)의 외면에 감기게 되므로서 걸레천(13)의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시켜 사용자가 걸레천(13)의 세척 또는 교체 작업에 대한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을 것 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맞물려서 회전되는 세 개의 롤러에 물을 임의대로 적정량 공급하면서 장시간 물걸레 청소기를 밀고 당길 때 바닥에 있는 먼지나 쓰레기 등을 물기와 함께 끌어올려 제거함과 동시에 물걸레질을 연속적으로 손걸레질 하는 듯 깨끗이 할 수 있으며, 장시간 물걸레 청소를 하는 동안에 롤러에 걸레천을 자주 세척하여 사용하더라도 편리하게 탈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없는 물걸레질 청소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케이스의 내부 상측으로부터 물이 공급되고 하단에 설치되는 롤러가 바닥면에 접촉 회전되면서 청소를 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동일 축 상에 종동기어(14)가 구비된 주롤러(11)와, 상기 주롤러(11)의 전,후방 양측으로 맞물리는 보조롤러(12,12')로 되어 각각 바닥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도록 되고, 상기 케이스(2)의 양측에는 구동휠(16)이 구비되어 바닥에 접촉된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휠의 내측으로 상기 종동기어(14)와 맞물리는 구동기어(15)가 설치되어 구동휠의 회전에 의해 상기 주롤러(11) 및 상기 보조롤러(12,12')가 연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롤러(11)의 상측 중앙에 물이 공급되기 위한 밸브(7) 및 공급관(6)을 가진 물탱크(4)가 설치되며, 상기 주롤러(11) 외면에는 바닥에서 끌려 올라오는 먼지, 쓰레기 등을 걸러 주기 위한 한 쌍의 스크레이퍼(17,17')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보조롤러(12,12')의 상측으로 원형의 롤러브러시(18;18') 및 조임봉(19,19')이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보조롤러(12,12')와 함께 회전 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10)는 관체(22)로 이루어져 그 외면에 벨크로테이프(23)가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롤러(10)의 외측으로는 상기 벨크로테이프(23)와 접착되도록 내측면에 벨크로테이프층(26)이 형성되고, 그 위로 물을 적정량 흡수하고 바닥에 밀착력을 주기 위한 쿠션층(27)과, 그 위로 항균 및 발수 기능을 가진 패드층(28)이 일체로 형성된 걸레천(13)으로 이루어져 상기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구.
KR2020060007013U 2006-03-15 2006-03-15 물걸레 청소구 KR2004190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013U KR200419038Y1 (ko) 2006-03-15 2006-03-15 물걸레 청소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013U KR200419038Y1 (ko) 2006-03-15 2006-03-15 물걸레 청소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038Y1 true KR200419038Y1 (ko) 2006-06-16

Family

ID=41768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013U KR200419038Y1 (ko) 2006-03-15 2006-03-15 물걸레 청소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03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8855A (ko) * 2014-07-15 2016-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용 걸레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로봇 청소기
CN109008834A (zh) * 2018-09-11 2018-12-18 苏州毫安时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拖把
KR20200015361A (ko) * 2018-08-02 2020-02-12 주식회사 유진로봇 이동식 로봇 청소기 및 그를 위한 장치
WO2022045680A1 (ko) * 2020-08-27 2022-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8855A (ko) * 2014-07-15 2016-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용 걸레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로봇 청소기
KR102193998B1 (ko) * 2014-07-15 2020-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용 걸레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로봇 청소기
KR20200015361A (ko) * 2018-08-02 2020-02-12 주식회사 유진로봇 이동식 로봇 청소기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136537B1 (ko) * 2018-08-02 2020-07-22 주식회사 유진로봇 이동식 로봇 청소기 및 그를 위한 장치
CN109008834A (zh) * 2018-09-11 2018-12-18 苏州毫安时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拖把
WO2022045680A1 (ko) * 2020-08-27 2022-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50339B (zh) 清洁工具及用其清理黏性垃圾的方法
JPH081731Y2 (ja) 濡れ雑巾機能を有する真空掃除機
CN206630553U (zh) 清洁机器人
CN111150338A (zh) 一种地面清洁工具
CN211834240U (zh) 挤压辊及带有该挤压辊的清洁工具
KR200419038Y1 (ko) 물걸레 청소구
CN111166256A (zh) 一种自清洁拖扫机
CN111166257A (zh) 水槽及自清洁拖扫机
CN111150337A (zh) 清洁工具
KR20140145714A (ko) 걸레 회전형 청소장치
CN212591943U (zh) 一种自清洁拖扫机
CN212334824U (zh) 一种具有过滤功能的水箱
CN212574806U (zh) 一种用于地面清洁工具的水箱
CN212574805U (zh) 一种水槽组件
CN211834239U (zh) 清洁工具
CN211834237U (zh) 一种清洁工具
KR100652260B1 (ko) 물걸레 청소기
JP4945255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CN212500276U (zh) 一种火车车厢底部杂物清理装置
CN217390622U (zh) 一种地面拖洗装置
EP4324375A1 (en) Ground cleaning apparatus having front dust collection function
KR200361344Y1 (ko) 물걸레 청소구
CN215838784U (zh) 清洁装置及吸尘器
KR960014574B1 (ko) 습건식 진공 청소기
CN212326297U (zh) 水槽及自清洁拖扫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