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7402B1 - 휴대용 휠체어 청소 모듈 - Google Patents

휴대용 휠체어 청소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402B1
KR101427402B1 KR1020130097438A KR20130097438A KR101427402B1 KR 101427402 B1 KR101427402 B1 KR 101427402B1 KR 1020130097438 A KR1020130097438 A KR 1020130097438A KR 20130097438 A KR20130097438 A KR 20130097438A KR 101427402 B1 KR101427402 B1 KR 101427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wheelchair
cartridge
uni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7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훈
조규진
윤기홍
송준봉
정정만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97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4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42Wheel cleaning devices

Abstract

휴대용 휠체어 청소모듈은 휠체어의 바퀴를 청소하는 청소부와 상기 청소부로 상기 휠체어의 바퀴를 유도하는 경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청소부는 프레임부 및 카트리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는 한 쌍이 롤러 형상으로 회전하며 상기 휠체어의 바퀴의 오물을 제거하는 청소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카트리지부는 상기 프레임부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청소유닛의 오물을 제거한다.

Description

휴대용 휠체어 청소 모듈{PORTABLE CLEANING MODULE FOR A WHEELCHAIR}
본 발명은 휴대용 휠체어 청소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가 가능하고 휠체어 바퀴의 오물을 청소할 수 있는 휴대용 휠체어 청소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노약자, 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한 자들을 위한 이동수단으로 휠체어의 보급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휠체어의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조 수단들도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휠체어의 경우, 대부분 실내와 실외에서 동시에 사용하게 되며, 별도의 청소 수단이 없는 경우라면 실외에서 휠체어의 바퀴에 묻은 오물이 그대로 실내로 유입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휠체어 바퀴 클리너에 관한 발명으로 특허출원 제10-2011-0018858호 등이 있다. 상기 출원에서는 한 쌍의 롤러를 회전하여 휠체어 바퀴의 오물을 제거하는 발명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휠체어 바퀴에 묻은 오물이 제거되며 청소용 롤러가 더러워지는 경우, 이에 대한 해결이 추가로 필요하며, 상기 출원에 개시된 클리너의 경우 부피가 지나치게 커서 특정 장소에 고정된 상태로만 사용하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성 및 청결 효과를 향상시킨 휴대용 휠체어 청소 모듈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휠체어 청소모듈은 휠체어의 바퀴를 청소하는 청소부와 상기 청소부로 상기 휠체어의 바퀴를 유도하는 경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청소부는 프레임부 및 카트리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는 한 쌍이 롤러 형상으로 회전하며 상기 휠체어의 바퀴의 오물을 제거하는 청소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카트리지부는 상기 프레임부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청소유닛의 오물을 제거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카트리지부는 양 끝단에 고정된 제1 및 제2 제거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제거유닛들은 상기 청소유닛이 상기 휠체어의 바퀴를 청소하는 경우 상기 청소유닛에 접촉하여 상기 청소유닛의 오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제거유닛들 각각은 롤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카트리지부는, 상기 휠체어의 바퀴에 접촉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와 상기 제1 및 제2 제거유닛들을 각각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장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부가 상기 휠체어의 바퀴에 접촉하여 눌리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제거유닛들은 상기 청소유닛에 접촉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부는, 마주보며 연장되는 제1 및 제2 측부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측부들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카트리지부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측부들 각각에는 상기 카트리지부가 고정되는 제1 및 제2 고정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카트리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제거유닛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제거유닛들의 연장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제1 및 제2 고정돌기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돌기들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고정홈들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홈들 각각은 수직홈과 수평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홈을 통해 상기 카트리지부가 탈부착되며, 상기 수평홈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고정돌기들이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휠체어 바퀴의 오물을 제거하는 프레임부의 청소유닛 외에, 상기 청소유닛의 오물을 추가로 제거하는 제거유닛들을 포함하는 카트리지부를 더 포함하므로,상기 청소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청소모듈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부가 프레임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부의 청소유닛을 청소하며 더러워진 상기 카트리지부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카트리지부는 상기 청소유닛의 오물을 제거하는 제1 및 제2 제거유닛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제거유닛들은 청소하는 경우만 상기 청소유닛에 접촉하여 오물을 제거하므로, 사용성, 휴대성 및 관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카트리지부는 휠체어의 바퀴가 접촉하는 경우만 상기 제1 및 제2 제거유닛들이 상기 청소유닛에 접촉하는 구조를 포함하므로, 휠체어 바퀴 청소의 효율성과 관리의 수월성이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휠체어 청소모듈이 최소화된 크기로 형성되므로, 휴대성이 향상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휠체어 청소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휠체어 청소 모듈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휴대용 휠체어 청소 모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휠체어 청소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휠체어 청소 모듈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휠체어 청소 모듈(1)은 청소부(10) 및 경사부(20)를 포함하며, 상기 청소부(10)는 프레임부(100) 및 카트리지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청소부(10)는 휠체어 바퀴(2)의 오물을 제거하며, 상기 경사부(20)는 상기 휠체어 바퀴(2)를 상기 청소부(10)로 유도하도록 지면과 경사를 이룬다. 상기 청소부(10)는 상기 휠체어 바퀴(2)의 일부와 접촉하도록 상대적으로 소형의 크기를 가진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청소부(10) 및 경사부(20)는 휴대가 가능한 이동식 청소모듈로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00)는 제1 측부(110), 제2 측부(120), 바닥부(130) 및 청소유닛(15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측부(110)와 상기 제2 측부(120)는 서로 마주보며 상기 프레임부(100)의 한 쌍의 측면을 형성하며, 상기 바닥부(130)는 상기 제1 측부(110) 및 상기 제2 측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부(100) 내의 수납공간(140)을 형성한다.
상기 수납공간(140)의 양 측부에는 상기 청소유닛(150)이 고정되며 수납되고, 상기 수납공간(140)의 중앙부에는 상기 카트리지부(200)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수납된다.
한편, 상기 수납공간(140)에는 상기 청소유닛(150)의 세척에 의해 상기 휠체어 바퀴(2)로부터 이탈되는 오물이 축적될 수 있으며, 이렇게 축적된 상기 수납공간(140)의 오물은 상기 카트리지부(200)를 탈착한 후 외부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부(110) 및 상기 제2 측부(120)는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측부(110)의 형상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하고, 상기 제2 측부(120)의 형상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측부(110)는 제1 고정홈(111) 및 제2 고정홈(114)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홈(111) 및 상기 제2 고정홈(114)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제1 측부(110)의 면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1 고정홈(111)은 제1 수직홈(112) 및 제1 수평홈(113)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홈(114)은 제2 수직홈(115) 및 제2 수평홈(116)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수직홈(112) 및 상기 제2 수직홈(115)은 각각 상기 제1 측부(110)의 상측 모서리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상기 제1 측부(110)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 수평홈(113) 및 상기 제2 수평홈(116)은 각각 상기 제1 수직홈(112) 및 상기 제2 수직홈(115)으로부터 상기 제1 측부(1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상기 제1 수직홈(112) 및 상기 제1 수평홈(113), 상기 제2 수직홈(115) 및 제2 수평홈(116)은 각각 전체적으로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후술하겠으나, 상기 제1 고정홈(111) 및 상기 제2 고정홈(114)을 통해 상기 카트리지가 고정 또는 탈착될 수 있다.
상기 청소유닛(150)은 상기 제1 및 제2 측부들(110, 120)의 양 끝단에 고정되며,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청소유닛들(151, 15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청소유닛들(151, 152) 각각은 원통형 롤러 형상을 가지며, 휠체어의 바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청소유닛들(151, 152)도 상기 휠체어 바퀴에 접촉하며 회전하여 상기 휠체어 바퀴의 오물을 직접 제거한다.
상기 카트리지부(200)는 접촉부(210), 제1 제거유닛(220), 제2 제거유닛(230), 제1 연장부(240) 및 제2 연장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부(210)는 원통형 롤러 형상을 가지며, 상기 카트리지부(200)의 중앙에 위치한다.
상기 제1 제거유닛(220) 및 상기 제2 제거유닛(230)은 각각 상기 접촉부(210)의 양 끝단에 위치하며, 각각 원통형 롤러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1 연장부(240)는 상기 접촉부(210)와 상기 제2 제거유닛(230)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제2 연장부(250)는 상기 접촉부(210)와 상기 제1 제거유닛(220)을 서로 연결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연장부(240)와 상기 제2 연장부(250)는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연장되어, 상기 접촉부(210)가 상기 제1 및 제2 제거유닛들(220, 230) 보다 상부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들(240, 250)과 상기 접촉부(210) 및 상기 제1 및 제2 제거유닛들(220, 230)은 상대적으로 움직이도록 서로 결합된다. 그리하여, 상기 접촉부(210)가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외력을 받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들(240, 250) 사이의 각은 증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접촉부(210) 및 상기 제1 및 제2 제거유닛들(220, 230)도 동등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제거유닛들(220, 230)의 연장방향의 끝단에는 각각 제1 고정돌기(221) 및 제2 고정돌기(231)가 돌출되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돌기들(221, 231)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고정홈들(111, 114)에 삽입된다.
그리하여, 상기 카트리지부(200)는 상기 프레임부(100)와 탈부착이 가능하다. 즉, 상기 카트리지부(200)를 상기 프레임부(100)에 부착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고정돌기들(221, 231) 각각이 상기 제1 및 제2 수직홈들(112, 115)을 통과한 후 상기 제1 및 제2 수평홈들(113, 116)에 위치하도록 고정한다. 반면, 상기 카트리지부(200)를 상기 프레임부(100)로부터 탈착하는 경우, 상기 부착시와 반대로 상기 제1 및 제2 고정돌기들(221, 231)을 이동시킨다.
후술하겠으나, 상기 제1 및 제2 제거유닛들(220, 230)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청소유닛들(151, 152)에 접촉하여 상기 제1 및 제2 청소유닛들(151, 152)의 오물들을 제거한다.
이 경우, 상기 카트리지부(200)는 상기 프레임부(100)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므로, 오물로 더러워진 상기 제1 및 제2 제거유닛들(220, 230)의 교환 및 세척이 용이하다.
도 3은 도 1의 휴대용 휠체어 청소 모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카트리지부(200)가 상기 프레임부(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휠체어 바퀴(2)가 상기 경사부(20)를 따라 이동한 뒤 상기 프레임부(100)의 상부에 위치하면, 상기 휠체어 바퀴(2)는 상기 접촉부(210)에 접촉하며 상기 접촉부(210)를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상기 접촉부(210)와 연결된 상기 제1 및 제2 제거유닛들(220, 230)은 상기 접촉부(210)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수평홈들(113, 116)을 따라 이동하여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청소유닛들(151, 152)에 접촉 또는 근접(오물을 제거할 수 있을 정도의 거리)한다.
이 후, 상기 휠체어 바퀴(2)가 회전하면, 상기 제1 및 제2 청소유닛들(151, 152)이 상기 휠체어 바퀴(2)에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오물을 제거하고, 상기 제1 및 제2 청소유닛들(151, 152)에 묻은 오물은 상기 제1 및 제2 제거유닛들(220, 230)이 상기 제1 및 제2 청소유닛들(151, 152)에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제거된다.
이 후, 상기 휠체어 바퀴(2)의 오물이 모두 제거되면, 상기 카트리지부(200)는 상기 프레임부(10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제거유닛들(220, 230)을 청소하거나 교환한다. 또한, 상기 수납공간(140)에 쌓인 오물들은 별도로 제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휠체어 바퀴의 오물을 제거하는 프레임부의 청소유닛 외에, 상기 청소유닛의 오물을 추가로 제거하는 제거유닛들을 포함하는 카트리지부를 더 포함하므로,상기 청소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청소모듈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부가 프레임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부의 청소유닛을 청소하며 더러워진 상기 카트리지부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카트리지부는 상기 청소유닛의 오물을 제거하는 제1 및 제2 제거유닛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제거유닛들은 청소하는 경우만 상기 청소유닛에 접촉하여 오물을 제거하므로, 사용성, 휴대성 및 관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카트리지부는 휠체어의 바퀴가 접촉하는 경우만 상기 제1 및 제2 제거유닛들이 상기 청소유닛에 접촉하는 구조를 포함하므로, 휠체어 바퀴 청소의 효율성과 관리의 수월성이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휠체어 청소모듈이 최소화된 크기로 형성되므로, 휴대성이 향상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휠체어 청소 모듈은 휠체어의 바퀴 청소에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1 : 휴대용 휠체어 청소 모듈
10 : 청소부 20 : 경사부
100 : 프레임부 111 : 제1 고정홈
114 : 제2 고정홈 150 : 청소유닛
200 : 카트리지부 210 : 접촉부
220 : 제1 제거유닛 230 : 제2 제거유닛
240 : 제1 연장부 250 : 제2 연장부

Claims (9)

  1. 휠체어의 바퀴를 청소하는 청소부와 상기 청소부로 상기 휠체어의 바퀴를 유도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휠체어 청소모듈에서, 상기 청소부는,
    한 쌍이 롤러 형상으로 회전하며 상기 휠체어의 바퀴의 오물을 제거하는 청소유닛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청소유닛의 오물을 제거하는 카트리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휠체어 청소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부는 양 끝단에 고정된 제1 및 제2 제거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제거유닛들은 상기 청소유닛이 상기 휠체어의 바퀴를 청소하는 경우 상기 청소유닛에 접촉하여 상기 청소유닛의 오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휠체어 청소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제거유닛들 각각은 롤러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휠체어 청소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부는,
    상기 휠체어의 바퀴에 접촉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와 상기 제1 및 제2 제거유닛들을 각각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장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휠체어 청소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가 상기 휠체어의 바퀴에 접촉하여 눌리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제거유닛들은 상기 청소유닛에 접촉하도록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휠체어 청소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마주보며 연장되는 제1 및 제2 측부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측부들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카트리지부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휠체어 청소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부들 각각에는 상기 카트리지부가 고정되는 제1 및 제2 고정홈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휠체어 청소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제거유닛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제거유닛들의 연장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제1 및 제2 고정돌기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돌기들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고정홈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휠체어 청소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홈들 각각은 수직홈과 수평홈을 포함하여,
    상기 수직홈을 통해 상기 카트리지부가 탈부착되며, 상기 수평홈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고정돌기들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휠체어 청소모듈.

KR1020130097438A 2013-08-16 2013-08-16 휴대용 휠체어 청소 모듈 KR101427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438A KR101427402B1 (ko) 2013-08-16 2013-08-16 휴대용 휠체어 청소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438A KR101427402B1 (ko) 2013-08-16 2013-08-16 휴대용 휠체어 청소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7402B1 true KR101427402B1 (ko) 2014-08-07

Family

ID=51749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7438A KR101427402B1 (ko) 2013-08-16 2013-08-16 휴대용 휠체어 청소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740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5587A (ko) 2015-09-23 2017-03-31 박소연 휴대용 바퀴 청소 모듈
WO2022034960A1 (ko) * 2020-08-10 2022-02-17 김강 바퀴 세척장치
KR20220033383A (ko) 2020-09-09 2022-03-16 박택주 휴대용 멀티 바퀴 청소 모듈
KR20220074049A (ko) * 2020-11-27 2022-06-03 김강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
US11964637B2 (en) 2020-03-18 2024-04-23 Eric Paad Tire cleaning mechanism for wheelchair and methods of us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262A (ja) * 1995-06-26 1997-01-14 Mitsuhiro Fujiwara 洗浄装置
JP2004067060A (ja) 2002-08-09 2004-03-04 Maruzen Kogyo Kk 台車類のタイヤ清掃装置
KR20110097169A (ko) * 2010-02-24 2011-08-31 한철수 바퀴 세정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262A (ja) * 1995-06-26 1997-01-14 Mitsuhiro Fujiwara 洗浄装置
JP2004067060A (ja) 2002-08-09 2004-03-04 Maruzen Kogyo Kk 台車類のタイヤ清掃装置
KR20110097169A (ko) * 2010-02-24 2011-08-31 한철수 바퀴 세정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5587A (ko) 2015-09-23 2017-03-31 박소연 휴대용 바퀴 청소 모듈
US11964637B2 (en) 2020-03-18 2024-04-23 Eric Paad Tire cleaning mechanism for wheelchair and methods of use
WO2022034960A1 (ko) * 2020-08-10 2022-02-17 김강 바퀴 세척장치
KR20220019494A (ko) 2020-08-10 2022-02-17 김강 바퀴 세척장치
KR20220033383A (ko) 2020-09-09 2022-03-16 박택주 휴대용 멀티 바퀴 청소 모듈
KR20220074049A (ko) * 2020-11-27 2022-06-03 김강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
KR102405510B1 (ko) * 2020-11-27 2022-06-08 김강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7402B1 (ko) 휴대용 휠체어 청소 모듈
US8695152B2 (en) Apparatus for cleaning a touch or display screen
US8650692B2 (en) Cleaning device with electrostatic sheet auto rolling
US20110138571A1 (en) Castor that can be Detached and Cleaned Easily and Quickly
JP2007054505A (ja) 清掃装置
KR20140074532A (ko) 보조소제부가 구비된 청소기구
KR101740063B1 (ko) 청소 도구
KR101505932B1 (ko) 전기 바닥 청소기
CN101873820B (zh) 清洁装备
JP5359407B2 (ja) 電気掃除機用ブラシアタッチメント
TWI678138B (zh) 保護殼
KR200474749Y1 (ko) 유리창 닦이
KR101521181B1 (ko) 청소 헤드
KR102534177B1 (ko) 청소 장치
CN210673224U (zh) 一种土木工程作业清扫除尘装置
KR20060115109A (ko) 소형 로봇 청소기
US20120110760A1 (en) Rotary screen cleaner
US20190323252A1 (en) Chlorine Tablet Holder
KR200494862Y1 (ko)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
CN218852631U (zh) 清洁设备
CN213876515U (zh) 一种具有市场调查功能的多媒体终端
KR20140011719A (ko) 안경 전동 청소기
CN209966289U (zh) 一种双面拖把
CN216317454U (zh) 一种卡式弹性助力挤水拖把
EP4085809A1 (en) Robot vacuum charging 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