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4049A -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4049A
KR20220074049A KR1020200162103A KR20200162103A KR20220074049A KR 20220074049 A KR20220074049 A KR 20220074049A KR 1020200162103 A KR1020200162103 A KR 1020200162103A KR 20200162103 A KR20200162103 A KR 20200162103A KR 20220074049 A KR20220074049 A KR 20220074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wheel
portable
wash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5510B1 (ko
Inventor
김강
Original Assignee
김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강 filed Critical 김강
Priority to KR1020200162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510B1/ko
Publication of KR20220074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42Wheel cleaning devices
    • B08B1/002
    • B08B1/0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4Wipes; Absorbent members, e.g. swabs or sponges
    • B08B1/143W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는, 휠체어의 바퀴가 진입되는 진입부; 상기 진입부와 연결된 채, 상기 휠체어의 바퀴가 안착되는 안착부-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휠체어의 바퀴가 안착된 채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한 쌍의 롤러들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 및 상기 안착부의 바닥면 상부에 탈부착되는 세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PORTABLE WASHING APPRATUS FOR WHEELS OF WHEELCHAIR}
아래의 실시예들은 수동 휠체어의 바퀴를 세척하는데 사용되는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노약자 및 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을 위한 이동수단으로서 수동 휠체어가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동 휠체어는 실내 및 실외의 구분없이 사용되기 때문에, 실외에서 이동하며 바퀴에 묻은 오물이 그대로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휠체어의 바퀴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가 제안될 필요가 있다.
일 실시예들은 수동 휠체어의 바퀴를 세척하는 세척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보다 상세하게, 일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휠체어의 바퀴가 진입되어 안착된 상태에서 바퀴에 대한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일 실시예들은 바퀴를 세척하는 세척부를 모듈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세척 용도에 따라 세척 도구가 변경되는 세척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일 실시예들은 바퀴를 안착시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안착부의 구조가 적응적으로 변경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바퀴들에 대한 세척을 제공하는 세척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는, 휠체어의 바퀴가 진입되는 진입부; 상기 진입부와 연결된 채, 상기 휠체어의 바퀴가 안착되는 안착부-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휠체어의 바퀴가 안착된 채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한 쌍의 롤러들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 및 상기 안착부의 바닥면 상부에 탈부착되는 세척부를 포함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세척부는, 상기 안착부의 바닥면 상부에 용도에 따라 결합 및 분리되는 블록형 브러쉬 모듈 또는 블록형 면세척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롤러들은, 상기 세척부와 상기 휠체어의 바퀴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상기 세척부와 상기 휠체어의 바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안착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롤러들 각각의 위치 또는 상기 한 쌍의 롤러들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세척부와 상기 휠체어의 바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롤러들 각각의 위치 또는 상기 한 쌍의 롤러들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한 쌍의 롤러들 각각이 상기 안착부의 측벽 내면에 형성된 복수의 홈들 중 임의의 홈에 삽입 및 고정됨에 따라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는, 상기 휠체어의 보조바퀴 및 구동바퀴 사이 공간을 통한 상기 휠체어의 전면 진입으로 상기 구동바퀴의 진입 및 안착이 가능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진입부의 경사 각도 및 상기 한 쌍의 롤러들이 형성하는 경사 각도는, 상기 휠체어의 진입과 안착 이후 쏠림 현상을 방지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진입부에는, 상기 휠체어의 진입과 안착 이후 쏠림 현상을 방지하는 쏠림 방지 구조물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의 하면에는, 상기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의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 방지 구조물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시스템은, 한 쌍의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들 각각은, 휠체어의 바퀴가 진입되는 진입부; 상기 진입부와 연결된 채, 상기 휠체어의 바퀴가 안착되는 안착부-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휠체어의 바퀴가 안착된 채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한 쌍의 롤러들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 및 상기 안착부의 바닥면 상부에 탈부착되는 세척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들은 수동 휠체어의 바퀴를 세척하는 세척 장치를 제안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일 실시예들은 휠체어의 바퀴가 진입되어 안착된 상태에서 바퀴에 대한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일 실시예들은 바퀴를 세척하는 세척부를 모듈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세척 용도에 따라 세척 도구가 변경되는 세척 장치를 제안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들은 바퀴를 안착시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안착부의 구조가 적응적으로 변경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바퀴들에 대한 세척을 제공하는 세척 장치를 제안할 수 있다.
설명된 기술적 효과는 상기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절단면 A-A'을 기준으로 하여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6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에 포함되는 세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에 구현되는 구조물들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절단면 A-A'을 기준으로 하여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a 내지 6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에 포함되는 세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6c를 참조하면, 일 실시에에 따른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시스템(100)은 한 쌍의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한 쌍의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들은 좌측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 및 우측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로 구성되며, 각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는 동일한 기능 및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이하, 한 쌍의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의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110)를 대상으로 기재하기로 한다.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110)는 진입부(111), 안착부(112) 및 세척부(113)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진입부(111)는 휠체어(120)의 바퀴(121)가 진입되는 구성부로서, 휠체어(120)의 바퀴(121)가 진입되는 용이성을 위하여 지면과의 단차를 형성하지 않고 지면에 밀착되는 초입 부분(111-1) 및 안착부(112)와 연결되기 위하여 지면과 단차를 형성하는 말단 부분(11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초입 부분(111-1)과 말단 부분(111-2)이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진입부(111)는 일정한 경사 각도를 갖게 될 수 있다. 진입부(111)의 경사 각도는 휠체어(120)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진입부(111)의 경사 각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2도 내지 23도 사이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안착부(112)는 진입부(111)와 연결된 채 휠체어(120)의 바퀴(121)가 안착되는 구성부로서, 안착부(112)에는 휠체어(120)의 바퀴(121)가 안착된 채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한 쌍의 롤러들(114, 115)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안착부(112)에 포함되는 한 쌍의 롤러들(114, 115)은, 안착부(112)에 안착된 휠체어(120)의 바퀴(121)와 후술되는 세척부(113)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안착부(112)에 안착된 휠체어(120)의 바퀴(121)와 후술되는 세척부(113)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휠체어(120)의 바퀴(121)를 지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한 쌍의 롤러들(114, 115)은 안착부(112)의 길이 방향에서 양단에 각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롤러들(114, 115) 각각의 위치(안착부(112) 상 길이 방향에서의 위치 및 높이 방향에서의 위치)와 한 쌍의 롤러들(114, 115) 사이의 이격 거리가 세척부(113)와 휠체어(120)의 바퀴(121) 사이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한 쌍의 롤러들(114, 115) 사이의 이격 거리가 휠체어(120)의 바퀴(121)의 지름보다 짧은 거리가 되도록 한 쌍의 롤러들(114, 115)이 안착부(112)의 길이 방향에서 양단에 각기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세척부(113)와 휠체어(120)의 바퀴(121) 사이의 공간은, 휠체어(120)의 바퀴(121)가 안착부(112)의 바닥면의 상부에 밀착되지 않고 세척부(113)에 포함되는 세척 모듈들에 스치듯이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높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한 쌍의 롤러들(114, 115) 각각의 위치와 한 쌍의 롤러들(114, 115) 사이의 이격 거리는, 한 쌍의 롤러들(114, 115) 각각이 안착부(112)의 측벽 내면에 형성된 복수의 홈들(112-1) 중 임의의 홈에 삽입 및 고정됨에 따라 조절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안착부(112)의 측벽 내면에 형성된 복수의 홈들(112-1)은 설명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롤러들(114, 115)이 삽입 및 고정되는 용도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세척부(113)를 구성하는 세척 모듈들(113-1, 113-2)이 결합 및 분리되는 용도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롤러들(114, 115)은 진입부(111)를 통한 안착부(112)로의 휠체어(120) 진입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안착부(112)에 안착된 휠체어(120)의 쏠림 현상을 방지하도록 적절한 경사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한 쌍의 롤러들(114, 115)의 경사 각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5도 내지 10도 사이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세척부(113)는 안착부(112)에 안착된 휠체어(120)의 바퀴(121)에 대한 세척을 제공하는 구성부로서, 안착부(112)의 바닥면 상부에 탈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세척부(113)는 안착부(112)의 바닥면 상부에 결합 및 분리되는 세척 모듈들(113-1, 113-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세척 모듈들(113-1, 113-2)은 블록형 브러쉬 모듈(113-1) 및 블록형 면세척 모듈(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블록형 브러쉬 모듈(113-1) 및 블록형 면세척 모듈(113-2)은 용도에 따라 안착부(112)의 바닥면 상부에 조립식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으며, 결합 방식으로는 전술된 안착부(112)의 측벽 내면에 형성된 복수의 홈들(112-1)에 세척 모듈들(113-1, 113-2)의 돌출부가 삽입 및 고정되는 방식, 세척 모듈들(113-1, 113-2) 각각의 하면에 형성된 점착부를 통한 점착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블록형 브러쉬 모듈(113-1) 및 블록형 면세척 모듈(113-2)이 안착부(112)의 바닥면 상부에 결합되는 개수 및 위치는 도 6a 내지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도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110)는 휴대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세척부(113)의 세척 기능을 보장하는 것을 전제로 소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110)는 휠체어(120)의 보조바퀴 및 구동바퀴(121) 사이 공간을 통한 휠체어(120)의 전면 진입으로 구동바퀴(121)의 진입 및 안착이 가능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110)는 24cm의 길이와 구동바퀴(121)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110)는 설명된 구성부들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휠체어(120)의 쏠림 현상을 방지하는 쏠림 방지 구조물 또는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110)의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 장지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이처럼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110)는 설명된 구조를 통해, 휠체어(120)의 바퀴(121)가 진입되어 안착된 상태에서 바퀴(121)에 대한 세척을 사용자의 근력을 통한 자기기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110)는 설명된 바와 같이 세척부(113)를 모듈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세척 용도에 따라 세척 도구가 변경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수동 휠체어(120)가 진입 및 안착됨에 따라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110)가 수동 휠체어(120)의 바퀴(121)를 대상으로 세척을 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안착부(112)에서의 한 쌍의 롤러들(114, 115)의 구조가 변경됨으로써, 수동 휠체어(120)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이즈의 바퀴들에 대한 세척을 제공할 수 있다(예컨대, 유모차 등).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에 구현되는 구조물들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110)는 휠체어(120)의 쏠림 현상을 방지하는 쏠림 방지 구조물(171) 및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110)의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 장지 구조물(17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쏠림 방지 구조물(171)은 휠체어(120)의 진입과 안착 이후 세척 과정에서의 쏠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부(111)와 힌지(Hinge) 결합된 채 휠체어(120)가 진입할 때에는 아래로 내려가 진입부(111)의 일부로서 동작하다, 휠체어(120)가 안착된 이후에는 위로 올라가 쏠림 현상에 의해 휠체어(120)가 진입부(111)를 통해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밀림 방지 구조물(172)은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110)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신발 밑창과 같은 요철 패턴을 갖는 고무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시스템
110: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
111: 진입부
112: 안착부
113: 세척부
114, 115: 한 쌍의 롤러들

Claims (10)

  1.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에 있어서,
    휠체어의 바퀴가 진입되는 진입부;
    상기 진입부와 연결된 채, 상기 휠체어의 바퀴가 안착되는 안착부-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휠체어의 바퀴가 안착된 채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한 쌍의 롤러들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 및
    상기 안착부의 바닥면 상부에 탈부착되는 세척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안착부의 바닥면 상부에 용도에 따라 결합 및 분리되는 블록형 브러쉬 모듈 또는 블록형 면세척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롤러들은,
    상기 세척부와 상기 휠체어의 바퀴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상기 세척부와 상기 휠체어의 바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안착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롤러들 각각의 위치 또는 상기 한 쌍의 롤러들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세척부와 상기 휠체어의 바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롤러들 각각의 위치 또는 상기 한 쌍의 롤러들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한 쌍의 롤러들 각각이 상기 안착부의 측벽 내면에 형성된 복수의 홈들 중 임의의 홈에 삽입 및 고정됨에 따라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는,
    상기 휠체어의 보조바퀴 및 구동바퀴 사이 공간을 통한 상기 휠체어의 전면 진입으로 상기 구동바퀴의 진입 및 안착이 가능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부의 경사 각도 및 상기 한 쌍의 롤러들이 형성하는 경사 각도는,
    상기 휠체어의 진입과 안착 이후 쏠림 현상을 방지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부에는,
    상기 휠체어의 진입과 안착 이후 쏠림 현상을 방지하는 쏠림 방지 구조물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의 하면에는,
    상기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의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 방지 구조물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
  10.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시스템에 있어서,
    한 쌍의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들
    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들 각각은,
    휠체어의 바퀴가 진입되는 진입부;
    상기 진입부와 연결된 채, 상기 휠체어의 바퀴가 안착되는 안착부-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휠체어의 바퀴가 안착된 채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한 쌍의 롤러들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 및
    상기 안착부의 바닥면 상부에 탈부착되는 세척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시스템.
KR1020200162103A 2020-11-27 2020-11-27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 KR102405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103A KR102405510B1 (ko) 2020-11-27 2020-11-27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103A KR102405510B1 (ko) 2020-11-27 2020-11-27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049A true KR20220074049A (ko) 2022-06-03
KR102405510B1 KR102405510B1 (ko) 2022-06-08

Family

ID=81981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103A KR102405510B1 (ko) 2020-11-27 2020-11-27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51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6036A (ja) * 1999-10-12 2001-04-17 Ke Corporation:Kk 車椅子掃除機
KR101427402B1 (ko) * 2013-08-16 2014-08-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휠체어 청소 모듈
JP2017210130A (ja) * 2016-05-26 2017-11-30 国立大学法人東京工業大学 車椅子車輪用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6036A (ja) * 1999-10-12 2001-04-17 Ke Corporation:Kk 車椅子掃除機
KR101427402B1 (ko) * 2013-08-16 2014-08-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휠체어 청소 모듈
JP2017210130A (ja) * 2016-05-26 2017-11-30 国立大学法人東京工業大学 車椅子車輪用洗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5510B1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16218A1 (en) Walking aid adapted for mounting a height obstacle
US4843661A (en) Device to aid persons rising from a seated position
CN107013058B (zh) 具有爬壁能力的游泳池清洁装置及其清洁方法
WO2017073917A1 (ko) 자체 추진력 제공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KR20090103357A (ko) 계단 주행이 가능한 휠체어 및 그 바퀴
KR102405510B1 (ko) 휴대용 휠체어 바퀴 세척 장치
US20150250674A1 (en) Personal mobility device
US6260867B1 (en) Child walker
WO2018010750A1 (en) Cleaning device
DE69504968D1 (de) Kombination von rollstuhl und gehhilfe
CN109662846A (zh) 一种便于攀爬台阶的轮椅
KR200458097Y1 (ko) 크롤 머신
KR100993942B1 (ko)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
KR102414327B1 (ko) 바퀴 세척장치
WO2008062408A2 (en) Personal mobility device
KR20160023292A (ko) 계단 이송 가능 휠체어
EP3414058A1 (fr) Robot mobile d'assistance comprenant au moins un systeme d'appui
US10610433B2 (en) Swivel seat system
KR100796781B1 (ko) 보행보조기
KR102589526B1 (ko) 구름 운동 기구에 적용될 수 있는 휠 모듈
EP3300711A1 (en) Electromechanical walking aid
WO2009050528A1 (en) Stairway accessibility device
EP4265487A1 (en) Wheel cleaning device
KR200211683Y1 (ko) 휠체어 장애인용 팔 운동장치
KR102635734B1 (ko) 전동휠체어 휠 클리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