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097Y1 - 크롤 머신 - Google Patents

크롤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097Y1
KR200458097Y1 KR2020090001555U KR20090001555U KR200458097Y1 KR 200458097 Y1 KR200458097 Y1 KR 200458097Y1 KR 2020090001555 U KR2020090001555 U KR 2020090001555U KR 20090001555 U KR20090001555 U KR 20090001555U KR 200458097 Y1 KR200458097 Y1 KR 2004580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frame
foot
roller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15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969U (ko
Inventor
이소승
Original Assignee
이소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소승 filed Critical 이소승
Priority to KR20200900015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097Y1/ko
Publication of KR200900089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9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0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0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047Walking and pulling or pushing a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85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belt, e.g. material, surface, indic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상체를 기울여 기어다니는 자세에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크롤 머신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사용자가 올라가 기어 다니는 자세에서 발을 앞으로 내딛으면 그 발이 자연스럽게 뒤쪽으로 미끄러지면서 이동될 수 있게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하향경사부를 이루게 롤로들을 배열 설치함에 의해 가능하다. 이러한 본 고안은 바닥에 안착할 수 있도록 저부는 수평면을 이루게 형성하고, 상부는 하향경사부를 이루게 형성하여 좌우로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설치한 2개의 발판본체; 상기 발판본체에 하향경사부를 따라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하여 사용자가 올라가 상체를 기울여 기어 다니는 자세에서 발을 앞으로 내딛으면 그 발이 자연스럽게 뒤쪽으로 미끄러지면서 이동되게 한 롤러들; 상기 롤러들에 의해 뒤쪽으로 미끄러지는 발이 상기 발판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상기 발판본체의 후단부를 돌출되게 형성한 이탈방지턱; 및 상기 이탈방지턱이 설치된 발판본체에 인접하게 설치하여 사용자가 상체를 기울여 기어 다니는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크롤(Crawl), 무동력, 지압, 발맛사지, 운동기구

Description

크롤 머신{Crawl Machine}
본 고안은 크롤 머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상체를 기울여 기어 다니는 자세에서 발을 앞으로 내딛으면, 그 발이 자연스럽게 뒤쪽으로 미끄러지면서 이동될 수 있게 함에 의해 기는 운동을 할 수 있게 한 크롤 머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정된 공간에서 걷거나 달리기 운동을 위한 런닝머신이 알려져 있고, 이러한 런닝머신은 분주한 일상생활 속에서 건강을 소홀히 하기 쉬운 현대인들이 실내에서도 달리거나 걷는 운동을 통해 체력단련을 할 수 있도록 개발된 실내운동기구이다. 또한, 상기 런닝머신은 헬스클럽뿐만 아니라 집안에서도 간편하게 운동할 수 있으므로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런닝머신은 통상 실내와 같은 바닥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연속하여 뛰거나 걸을 수 있게 일정구간을 연속하여 회전하는 벨트타입(Belt type)의 발판과 상기 발판을 회전시켜 주기 위한 모터(Motor) 및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판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런닝머신을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조작판넬을 이용하여 벨트타 입의 발판이 소정 속도로 회전되게 한 후, 그 발판에 올라가 뛰거나 걸으면서 운동을 하게 된다. 즉, 한정된 공간에서 연속적인 달리기 혹은 걷기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런닝머신은 발판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모터를 구동하여야 하는바, 상기 모터의 구동을 위해서는 반드시 전기에너지(Energy) 등이 필요함으로 전기가 많이 소요되는 이유로 사용을 위한 비용이 발생된다. 특히, 모터의 구동에 따른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기는 운동을 할 수 있는 크롤 머신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상체를 기울여 기어 다니는 자세에서 발을 앞으로 내딛으면, 그 발이 자연스럽게 뒤쪽으로 미끄러지면서 이동될 수 있게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하향경사부를 이루도록 롤로들을 배열 설치함에 의해 기는 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삭제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모터를 설치하지 않음에 따라 소음을 없애 쾌적한 운동환경을 제공하며, 또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이 없고 값이 저렴한 크롤 머신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바닥에 안착할 수 있도록 저부는 수평면을 이루게 형성하고, 상부는 하향경사부를 이루게 형성하여 좌우로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설치한 2개의 발판본체; 상기 발판본체에 하향경사부를 따라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하여 사용자가 올라가 상체를 기울여 기어 다니는 자세에서 발을 앞으로 내딛으면 그 발이 자연스럽게 뒤쪽으로 미끄러지면서 이동되게 한 롤러들; 상기 롤러들에 의해 뒤쪽으로 미끄러지는 발이 상기 발판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상기 발판본체의 후단부를 돌출되게 형성한 이탈방지턱; 및 상기 이탈방지턱이 설치된 발판본체에 인접하게 설치하여 사용자가 상체를 기울여 기어 다니는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수평프레임을 갖는 프레임몸체와 상기 프레임몸체로부터 상부로 수직하게 설치된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부를 사용자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형성한 손잡이부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손잡이부의 하측에서 사용자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사용자가 양팔을 의지하여 엎드려 기어 다니는 자세를 취할 수 있게 하는 팔걸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들의 외주면에는 지압용 돌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에 따른 클롤 머신은, 모터를 설치하지 않음에 따라 전기에너지가 필요 없어 전기요금에 대한 부담이 없고, 또 모터를 설치하지 않음으로 소음이 전혀 없는 운동기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고안은 무동력으로 소음이나 전자파 걱정이 없고, 또 에너지 사용이 없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클롤 머신은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이 없고, 값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의 크롤 머신은 롤러의 외주면에 지압용 돌기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운동을 할 때 발 맛사지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크롤 머신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I-I선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크롤 머신은 발판본체(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발판본체(110)는 바닥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구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발판본체(110)의 개구에는 제자리 회전되게 롤러(120)들이 설치된다. 상기 롤러(120)들에 의해 사용자가 올라가 기는 자세에서 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발판본체(110)는 바닥에 안착할 수 있도록 저부는 수평면을 이루게 형성하고, 상부에는 롤러(120)들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롤러(120)들은 사용자가 기는 운동을 할 수 있게 하고자 상기 롤러(120)들의 양단부에 베어링(미도시)을 개제하여 상기 롤러가 자연스럽게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함이 좋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롤러(120)들에 사용자가 기는 운동을 할 때, 사용자가 발을 앞으로 내딛으면 그 발이 자연스럽게 뒤쪽으로 미끄러지면서 이동될 수 있게 상기 롤러(120)들은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하향경사부(124)를 이루게 배열 설치된다. 즉, 상기 발판본체(110)에 하향경사부(124)를 이루게 롤러들을 배열 설치함에 의해, 기는 운동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하향경사부(124)에 의해 본 고안의 크롤 머신은 모터를 설치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기는 운동을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체를 기울여 기어 다니는 자세에서 발을 앞으로 내딛으면 그 발이 자연스럽게 미끄러지면서 뒤로 이동되어 기는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롤러(120)들에 의해 사용자가 기는 운동을 위해 앞으로 내딛은 발이 뒤쪽으로 미끄러지면서 이동시 뒤쪽으로 이동되는 발이 상기 발판본체(11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기 위해 발판본체(110)의 후단부에 이탈방지턱(130)을 돌출되게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사용자의 왼발과 오른발의 사이 간격에 대응하는 폭을 갖도록 2개의 발판본체를 한 쌍으로 설치하여 사용한다(도 9참조).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크롤 머신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표시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위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구조에서 상기 롤러(120)들의 외주면에 지압용 돌부(122)가 더 형성된 구성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이와 같이 상기 롤러(120)들의 외주면에 지압용 돌부(122)를 더 형성하게 되면, 사용자가 기는 운동을 할 때 상기 지압용 돌부(122)에 의해 발바닥을 지압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따라서, 기는 운동을 하면서 발바닥의 지압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크롤 머신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의 제3실시예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구조에서 상기 롤러(120)들을 사용자의 왼발과 오른발의 사이 간격에 대응하는 폭을 갖도록 2열로서 배열되게 구성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이와 같이 상기 롤러(120)들을 2열을 이루게 설치하게 되면, 상기 롤러(120)위에 올라가 기는 운동을 위해 발을 앞으로 내딛을 때 상호 교차되는 양발에 의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크롤 머신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표시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6표시의 요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의 제4실시예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구조에서 상기 롤러(120)들의 구성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즉,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서는 상기 롤러들(120)을 하나의 축(121a)에 대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하는 다수개의 회전체(121)들을 설치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회전체(121)들은 상호 인접한 축(121a)에 대하여 상호 교호적으로 배치되게 설치한다. 즉, 상기 롤러(120)들은 하나의 축(121a)에 다수개의 회전체(121)들을 간격을 두고 설치한 것으로, 상기 롤러(120)들의 배치는 인접 배치된 회전체(121)들이 각 회전체(121)들의 사이마다 끼워진 상태를 이루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롤러(120)들을 하나의 축(121a)에 대하여 다수개의 회전 체(121)들을 설치하여 각각 끼워지게 설치하게 되면, 상기 회전체(121)들이 인접 회전체(121)들 간에 간격이 좁아져 발이 뒤로 이동시 롤로(120) 간에 요철로 인한 발바닥 충격의 불편함을 감소할 수 있게 발이 매끄럽게 뒤로 이동이 더욱 자연스러워 진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크롤 머신에 인접하여 프레임이 설치된 일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발판본체(110)에 인접하게 프레임(10)을 설치하여 사용한다. 즉, 상기 프레임(10)은 사용자가 본 고안에 따른 크롤 머신에 올라가 상체를 기울려 기어 다니는 자세에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손으로 잡을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프레임(10)은 상기 발판본체(110)를 중앙부로 위치시킬 수 있게 좌우측프레임(12a,12b)과 상기 좌우측프레임(12a,12b)을 일체로 지지하여 상기 좌우측프레임(12a,12b)이 지면에 세워질 수 있게 하는 지지프레임(14) 및 상기 지지프레임(14)에 의해 일체형으로 되어 지면에 세워지는 상기 좌우측프레임(12a,12b)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게 한 손잡이프레임(16)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기어 다니는 운동을 할 때 상기 손잡이프레임(16)을 손으로 잡고 운동을 함으로서 안정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도 10은 도 9표시의 프레임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표시의 변형예에 따른 프레임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기는 운동을 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변형예에 따른 프레임(20)은 상기 발판본체(110)를 중앙부에 위치시킬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지면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는 수평프레임(22a,22b)이 형성된 프레임몸체(22)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몸체(22)에서 상부로 수직하게 수직프레임(24)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수직프레임(24)의 상단부는 사용자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손잡이부(26)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26)의 하측에는 사용자 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팔걸이부(28)가 형성하여, 상기 팔걸이부(28)에 사용자의 양팔을 의지하여 기어 다니는 자세를 용이하게 취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프레임(20)을 이용하여 운동을 할 경우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26)를 손으로 잡고 사용자의 팔부위를 상기 팔걸이부(28)에 걸쳐지게 한 상태로 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는 사용자가 거의 엎드리는 자세 즉, 사용자가 상체가 앞쪽으로 기울여 기어 다니는 자세로 운동을 하게 할 수 있게 함으로서, 신체에 생길 수 있는 각종 질병을 예방하면서 운동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인간은 직립 보행으로 인한 각종 질병에 시달린다. 즉, 직립 보행으로 인한 체중의 부담으로 무릎과 고관절에 퇴행이 발생하고, 중력에 의한 모든 장기의 하복부 쏠림 현상이 발생되어 장기에 스트레스를 주게 되므로 수많은 질병을 일으키며 특히 직장이나 항문질환의 주원인이 된다. 또한, 척추질환은 직립 보행으로 인한 인류의 숙명적인 질환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프레임(10a)을 잡고 사용자가 기어 다니는 자세로 운동을 하게 되면 신체의 무릎과 발목 등에 체중이 가중되지 않게 됨으로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9와 도 10에서와 같이 2개의 발판본체(110)를 한 쌍으로 설치하여 사용함에 따라 양발이 서로 교차되는 동작에서 롤러들의 회전이 서로 간섭 받지 않게 되어, 운동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상기 롤러들이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하향경사면을 이루게 배열 설치됨에 의해 기는 운동을 할 때 힘들지 않고 편하게 운동할 수 있다. 즉, 앞으로 내딛은 발이 자연적으로 미끄러지면서 뒤쪽으로 이동됨으로서 기어 다니는 동작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발판본체(110)의 후단부에 형성한 이탈방지턱(130)에 의해 사용자의 발이 롤러(120)에 의해 뒤로 이동될 시 발판본체(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걷기 혹은 기어 다니는 운동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크롤 머신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크롤 머신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표시의 II-II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크롤 머신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크롤 머신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표시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6표시의 요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크롤 머신에 인접하여 프레임이 설치된 일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표시의 프레임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표시의 변형예에 따른 프레임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운동을 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발판본체 120 - 롤러
124 - 하향경사부 130 - 이탈방지턱

Claims (5)

  1. 바닥에 안착할 수 있도록 저부는 수평면을 이루게 형성하고, 상부는 하향경사부를 이루게 형성하여 좌우로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설치한 2개의 발판본체;
    상기 발판본체에 하향경사부를 따라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하여 사용자가 올라가 상체를 기울여 기어 다니는 자세에서 발을 앞으로 내딛으면 그 발이 자연스럽게 뒤쪽으로 미끄러지면서 이동되게 한 롤러들;
    상기 롤러들에 의해 뒤쪽으로 미끄러지는 발이 상기 발판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상기 발판본체의 후단부를 돌출되게 형성한 이탈방지턱; 및
    상기 이탈방지턱이 설치된 발판본체에 인접하게 설치하여 사용자가 상체를 기울여 기어 다니는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수평프레임을 갖는 프레임몸체와 상기 프레임몸체로부터 상부로 수직하게 설치된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부를 사용자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형성한 손잡이부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손잡이부의 하측에서 사용자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사용자가 양팔을 의지하여 엎드려 기어 다니는 자세를 취할 수 있게 하는 팔걸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롤 머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090001555U 2008-03-03 2009-02-12 크롤 머신 KR2004580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555U KR200458097Y1 (ko) 2008-03-03 2009-02-12 크롤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817 2008-03-03
KR2020080007258 2008-06-02
KR2020090001555U KR200458097Y1 (ko) 2008-03-03 2009-02-12 크롤 머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969U KR20090008969U (ko) 2009-09-08
KR200458097Y1 true KR200458097Y1 (ko) 2012-01-18

Family

ID=41296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1555U KR200458097Y1 (ko) 2008-03-03 2009-02-12 크롤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0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7850A1 (ko) * 2015-09-16 2017-03-23 이성호 트레드밀용 지지판 및 트레드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773B1 (ko) * 2015-04-17 2017-03-16 주식회사 태선테크 무전원 트레드밀
CN108283783A (zh) * 2017-01-09 2018-07-17 张云轩 一种旋转平板跑步机跑道
KR102282205B1 (ko) * 2019-10-25 2021-07-29 (주)에스앤에스연구소 인지능력강화 기능이 향상된 보행 재활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7470A (ja) * 1989-05-31 1991-05-20 Iwate Pref Gov Chiyuushiyou Kigyo Shinko Koushiya 開発したセンサーとそのセンサーを利用するワカメの自動芯抜き装置
JP2004154511A (ja) * 2002-11-05 2004-06-03 Akitoshi Ogoshi 歩行等足腰運動用器具
KR20070114874A (ko) * 2006-05-30 2007-12-05 김수동 건강지압용 런닝머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7470A (ja) * 1989-05-31 1991-05-20 Iwate Pref Gov Chiyuushiyou Kigyo Shinko Koushiya 開発したセンサーとそのセンサーを利用するワカメの自動芯抜き装置
JP2004154511A (ja) * 2002-11-05 2004-06-03 Akitoshi Ogoshi 歩行等足腰運動用器具
KR20070114874A (ko) * 2006-05-30 2007-12-05 김수동 건강지압용 런닝머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7850A1 (ko) * 2015-09-16 2017-03-23 이성호 트레드밀용 지지판 및 트레드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969U (ko) 2009-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9344B1 (ko) 착석형 트레드밀 및 사용 방법
TWI605857B (zh) 具有可拆卸的把手的跑步機及其組裝方法
JP5843119B2 (ja) ストレッチ器具
US11819730B2 (en) Seated treadmill and method of use
KR200458097Y1 (ko) 크롤 머신
JP2004337275A (ja) 歩行訓練装置
CA2969835C (en) Acupressure walking machine applying pressure to foot reflex zones
JP6612386B2 (ja) 健康器具
JP2009165813A (ja) 健康増進器具
KR100850885B1 (ko) 운동기구용 바이브레이타
KR100770651B1 (ko) 다기능 마사지기
KR100649276B1 (ko) 발목 펌프 운동기구
CN202028115U (zh) 爬行锻炼机
JP2011194051A (ja) 足の健康器具
KR100807361B1 (ko) 하체 근력 강화기
JP2008237785A5 (ko)
KR200396540Y1 (ko) 양방향 발지압맛사지기
KR101365934B1 (ko) 발바닥 지압 및 하체운동용 좌식발판
KR20130072407A (ko) 워킹 머신
KR101250893B1 (ko) 지압 런닝머신
KR20200117469A (ko) 등산연습 겸용 계단오르기용 스텝 운동기구
KR20210001936U (ko) 종아리 근육 강화용 스트레칭 운동기구
KR200437440Y1 (ko) 제자리 걸음기
JP7202001B2 (ja) 下肢筋肉トレーニング装置
KR20020084047A (ko) 전신운동 기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