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423Y1 - 분무장치가 구비된 세척기 - Google Patents

분무장치가 구비된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423Y1
KR200429423Y1 KR2020060021273U KR20060021273U KR200429423Y1 KR 200429423 Y1 KR200429423 Y1 KR 200429423Y1 KR 2020060021273 U KR2020060021273 U KR 2020060021273U KR 20060021273 U KR20060021273 U KR 20060021273U KR 200429423 Y1 KR200429423 Y1 KR 2004294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
hole
coupled
receiving space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12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문식
Original Assignee
박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문식 filed Critical 박문식
Priority to KR20200600212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4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4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4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47L1/08Hand implements with provision for supplying liquids, e.g. clea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47L1/15Cloths, sponges, pads, or the like, e.g. containing cleaning agents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무기가 구비된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세척액이 수용되는 공간형태의 수용공간(112)을 구비한 분무통(111)를 형성하고, 분무통(111)의 상단에 밀폐부재(118)를 구비한 고정캡(116)을 형성하며, 분무통(111)의 하부 외주연 일측에 관통공(114) 형성한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고정캡(116)에 결합되도록 결착구(122)를 저면 중앙에 구비한 고정몸체(121)를 형성하고, 고정몸체(121)의 양측에 청소수단(123)을 장착한 세척부(120)및; 상기 세척부(120)의 끼움공(122a)에 분무노즐(136)을 분리 가능하게 형성하고, 몸체부(110)의 관통공(114)에 압축로드(133)를 내부에 구비한 분무몸체(131)를 결합 형성하며, 분무몸체(131) 타측으로 압축로드(133)에 연결되어 분무몸체(131)의 내부에 펌핑압력을 발생시키는 펌핑손잡이(132)를 형성하고, 분무몸체(131)의 일측으로 분무통(111)의 수용공간(112) 삽입되어 펌핑압력에 의해 세척액을 흡수하는 추출호스(134)를 형성하며, 추출호스(134)를 분무노즐(136)에 연결하도록 수용공간(112) 내부에 연장호스(135)를 형성시켜 분무노즐(136)을 통하여 세척액이 외부로 분무되도록 한 분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척기, 분무통, 연장봉, 세척부, 분무부, 분무노즐

Description

분무장치가 구비된 세척기{washer with spray equipment}
도 1 은 종래의 청소용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분무기가 구비된 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분무기가 구비된 세척기를 나타낸 반단면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분무기가 구비된 세척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분무기가 구비된 세척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분무기가 구비된 세척기의 몸체에 연장봉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반단면 분해 사시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분무기가 구비된 세척기의 몸체에 연장봉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세척기 110: 몸체부
111: 분무통 111a: 연장봉
112: 수용공간 113: 연결구
113a: 결합수단 113b: 체결공
113c: 고정수단 113d: 절개공
114: 관통공 115: 주입구
115a: 캡 116: 고정캡
117: 수직공 117a: 결합홈
117b: 체결홈 118: 밀폐부재
118a: 통공 119: 고정구
119a: 삽입공 119b: 고정결합공
120: 세척부 121: 고정몸체
121a: 끼움부 122: 결착구
122a: 끼움공 123: 청소수단
123a: 스펀지 123b: 와이퍼
130: 분무부 131: 분무몸체
132: 손잡이 132a: 힌지축
133: 압축로드 134: 추출호스
135:연장호스 136: 분무노즐
136a: 분사공 137: 끼움구
138: 분무헤드
본 고안은 분무기가 구비된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건물에는 채광을 위하여 유리창이 많이 설치되어 있으며, 유리창, 자동차의 창은 투명하기 때문에 먼지나 이물질이 묻게 되면 눈에 쉽게 보이게 되고 또 시야를 가리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유리창 청소를 해주어야 한다.
유리창을 닦을 때에는 내외측면을 각각 닦아주어야 깨끗한데, 내측면을 닦을 때에는 실내에서 쉽게 닦을 수 있지만 외측면은 작업자가 상체를 창밖으로 내밀고서 청소도구를 이용하여 닦게 된다.
도 1 은 종래의 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종래의 청소용구(1)는 소정의 길이의 손잡이(10)와, 상기 손잡이(10)의 일측 끝단에 세척수단(20)이 장착되어 사용자가 손잡이(10)를 파지하고 세척수단(20)을 이용하여 유리창, 자동차를 닦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세척수단(20)에는 유리창, 자동차 등을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일측에 발포성 수지로 형성되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스펀지(21)와, 스펀지(21)의 대응되는 위치에 고무재로 형성되어 물기를 제거하는 와이퍼(22)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청소용구(1)는 세척수단(20)의 스펀지(21)에 물기와 세척액을 적셔 유리창, 자동차 등을 닦은 후에 와이퍼(22)를 이용하여 물기와 닦여진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유리창이나 자동차를 효율적으로 닦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청소용구(1)는 스펀지(21)에 물, 세척액 등을 묻힌 다음에 유리창을 닦아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세척액이 담긴 용기를 준비해놓고 유리창의 새로운 면을 닦을 때마다 일일이 세척액을 묻혀 유리창을 닦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비교적 긴 길이의 손잡이를 이용한 유리창, 자동차 닦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청소용구(1)는 별도의 용기에 담겨진 세척액을 묻혀 유리창을 닦을 때마다 작업자의 반복된 동작에 의해 작업효율이 현저히 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스펀지에서 흘러내린 세척액이 유리창 주변에 떨어지게 됨으로써 작업자 주변이 지저분해지고 지저분해진 주변을 다시 한 번 청소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세척액을 몸체 내부에 수용하면서 분무몸체를 결합하고, 상단부에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스펀지와 세척액을 제거하는 와이퍼를 장착한 세척부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여, 분무몸체를 이용하여 세척액을 분무시켜 신속하고 간편하게 유리창, 자동차 등을 청소할 수 있는 분무기가 구비된 세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분무기가 구비된 세척기는, 일정량의 세척액이 수용되는 공간형태의 수용공간을 구비한 몸체를 형성시킨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몸체 상단에 오염물질을 제거하도록 스펀지와 와이퍼를 장착한 고정몸체를 형성시킨 세척부와; 상기 몸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세척액을 세척부의 전방으로 분사하는 분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분무기가 구비된 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분무기가 구비된 세척기를 나타낸 반단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분무기가 구비된 세척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분무기가 구비된 세척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며,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분무기가 구비된 세척기의 몸체에 연장봉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반단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분무기가 구비된 세척기의 몸체에 연장봉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분무기를 구비한 세척기(100)는, 세척액이 수용되는 공간형태의 수용공간(112)을 구비한 분무통(111)를 형성하고, 분무통(111)의 상단에 수용공간(112)을 밀폐시키도록 밀폐부재(118)를 구비한 고정캡(116)을 형성하며, 분무통(111)의 하부 외주연 일측에 수용공간(112)으로 관통시킨 관통공(114) 형성한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고정캡(116)에 결합되도록 결착구(122)를 저면 중앙에 구비한 고정몸체(121)를 형성하고, 고정몸체(121)의 상면에서 결착구(122)로 관통된 끼움공(122a)을 형성하며, 고정몸체(121)의 양측에 청소수단(123)을 장착한 세척부(120)및;
상기 세척부(120)의 끼움공(122a)에 분무노즐(136)을 분리 가능하게 형성하고, 몸체부(110)의 관통공(114)에 압축로드(133)를 내부에 구비한 분무몸체(131)를 결합 형성하며, 분무몸체(131) 타측으로 압축로드(133)에 연결되어 분무몸체(131)의 내부에 펌핑압력을 발생시키는 펌핑손잡이(132)를 형성하고, 분무몸체(131)의 일측으로 분무통(111)의 수용공간(112) 삽입되어 펌핑압력에 의해 세척액을 흡수하는 추출호스(134)를 형성하며, 추출호스(134)를 분무노즐(136)에 연결하도록 수용공간(112) 내부에 연장호스(135)를 형성시켜 분무노즐(136)을 통하여 세척액이 외부로 분무되도록 한 분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몸체부(110)는 일정량의 세척액이 수용되는 분무통(111)과, 상기 분무통(111)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세척액의 누출을 방지하는 고정캡(116)으로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몸체부(110)의 길이를 연장 할 수 있도록 분무통(111)에 삽입되는 연장봉(111a)과, 상기 연장봉(111a)을 분무통(111)에 고정시키는 고정구(119)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0)의 분무통(111)은 상단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세척액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형태의 수용공간(112)이 형성되며 분무통(111)의 상부 외주연에 결합구(113)를 형성한다.
여기서, 분무통(111)의 상부 외주연 일측에는 수용공간(112)으로 세척액을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115)를 외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며 주입구(115)의 외주연에는 수용공간(112)에 주입된 세척액이 외부로 누출되지 못하도록 주입구(115)를 밀폐시키는 캡(115a)을 결합 형성한다.
아울러, 주입구(115)의 외주연과 캡(115a)의 내주연에 나사산과 같은 결합수단을 형성하여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분무통(111)의 하부 외주연 일측에 수용공간(112)으로 관통된 통공형태의 관통공(114)을 형성한다.
더불어, 수용공간(112) 하부를 고무재로 이루어진 마감부재(118b)를 형성하여 밀폐시키거나 또는, 분무통(111)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외주연과 일체로 형성시켜 수용공간(112)의 하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0)의 고정캡(116)은 내부 중앙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시킨 수직공(117)을 형성하되, 수직공(117)의 하부 내주연에 분무통(111)의 결합구(113)에 결합되는 결합홈(117a)을 형성하며, 수직공(117)의 상부 외주연에는 체결홈(117b)을 형성하되, 결합홈(117a)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한다.
여기서, 고정캡(116)의 결합홈(117a)에는 수용공간(112)의 상부 내주연에 삽입되어 세척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부재(118)를 형성하고, 밀폐부재(118)의 중앙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시킨 통공(118a)을 형성한다.
나아가, 밀폐부재(118)는 방수성과 밀폐성이 좋은 고무재로 형성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한편, 몸체부(110)의 길이를 연장 시키고자 할 때는 분무통(111)에 삽입되는 연장봉(111a)을 소정의 길이로 형성하되, 내부 중앙을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시켜 중공부재로 형성하며, 분무통(111)의 수용공간(112)에 수용되도록 분무통(11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연장봉(111a)을 분무통(111)의 수용공간(112)으로 삽입할 경우 밀폐부재(118)를 수용공간(112)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며, 이때 분무통(111)의 주입구(115)의 위치보다 상부측에 위치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연장봉(111a)의 상부 외주연에는 고정캡(116)의 결합홈(117a)이 결합되는 연장결합구(111b)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연장봉(111a)을 분무통(111)에 삽입 고정하기 위해 분무통(111)의 상부 내주연에 결합되는 연결구(113) 를 형성한다.
여기서, 연결구(113)는 상협하광인 대략 원뿔 형태로 형성하여 내부 중앙을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시켜 내주연이 분부통(111)의 상부 외주연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하부 외주연에 복수의 체결공(113b) 내부로 관통시켜 체결수단(113c)으로 분무통(111)에 고정되도록 형성한다.
이때, 체결수단(113c)이 밀폐부재(118)에 고정되어, 밀폐부재(118)를 분무통(118)에 고정하게 된다.
나아가, 연결구(113)의 상부 외주연에는 결합수단(113a)이 형성되며 결합수단(113a)이 구획되도록 절개시킨 절개공(113d)이 형성된다.
아울러, 연장봉(111a)을 연결구(113)에 견고히 고정하기 위해 연결구(113)의 결합수단(113a)에 결합되는 고정구(119)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고정구(119)는 연결구(113)의 결합수단(113a)에 결합되도록 내부 중앙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시킨 삽입공(119a)을 형성하며, 삽입공(119a) 하부 내주연에는 연결구(113)의 결합수단(113a)에 결합되는 고정결합공(119b)을 형성하여 결합력을 증진 시키는 것이 이상적이다.
아울러, 고정구(119)를 연합구(113)에 결합하게 되면 절개공(113d)의 간격이 좁혀 지면서 연결구(113)의 내주연 직경이 협소해지면서 연장봉(111a)의 외주연에 밀착되어 고정력이 증진된다.
상기 세척부(120)는 몸체부(11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고정몸체(121)와, 상기 고정몸체(121)의 양측에 결합되는 청소수단(123)으로 구성한다.
여기서, 청소수단(123)은 세척액이 적셔져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스펀지(123a)와, 상기 스펀지(123a)에 의해 유리창, 자동차등에 묻은 세척액을 닦는 와이퍼(123b)로 형성된다.
상기 청소수단(123)의 스펀지(123a)는 블록형태로 형성되어 세척액을 적셔 유리창, 자동차을 효과적으로 닦을 수 있도록 발포성 수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와이퍼(123a)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일측단면을 날렵하게 형성하여 세척액과 닦여진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고무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척부(120)의 고정몸체(121)는 소정의 블록 형태로 형성되고, 전면과 배면에 끼움부(121a)를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여, 청소수단(123)의 스펀지(123a)와, 와이퍼(123a)를 각각 끼움 결합시킨다.
여기서, 고정몸체(121)의 저면 중앙에는 고정캡(116)의 체결홈(117b)에 결합되도록 외주연에 나사산을 형성한 결착구(122)를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나아가, 결착구(122)의 중앙에는 고정몸체(121)의 상면으로 관통된 끼움공(122a)을 통공형태로 형성한다.
아울러, 끼움공(122a)의 내주연에는 나사산과 같은 체결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무부(130)는 몸체부(110)의 분무통(111)에 결합되어 세척액을 압출시키는 분무몸체(131)와, 상기 분무몸체(131)에서 압축된 세척액을 이송하는 연장호스(135)와, 상기 연장호스(135)에 결합되어 세척액을 분사하는 분무노즐(136)로 구성한다.
상기 분무부(130)의 분무몸체(131)는 내부에 압축로드(133)를 형성하고, 타측으로 세척액을 펌핑하는 손잡이(132)를 형성하고, 일측으로 상기 손잡이(132)의 펌핑력에 의해 세척액을 흡수하는 빨대 형상의 추출호스(134)로 구성한다..
여기서, 분무몸체(131)의 일측이 분무통(111)의 관통공(114)에 삽입 결합되며, 이때 추출호스(134)는 세척액에 수장되도록 분무통(111)의 수용공간(112)에 삽입 위치시키며, 손잡이(132)는 작업자가 작동시킬 수 있도록 분무통(111)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결합한다.
나아가, 분무몸체(131)의 손잡이(132)는 외향되게 돌출 형성되어 일측이 힌지축(132a)으로 분무몸체(131)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며 아울러, 손잡이(132)의 작동 으로 분무몸체(131) 내부에 고압의 펌핑 압력이 발생되도록 압축로드(133)에 연결한다.
나아가, 분무몸체(131)의 내부로 펌핑압력으로 세척액을 흡입하도록 분무몸체(131)에 수직연결되는 추출호스(134)를 형성하고, 추출호스(134)의 일측 끝단이 수용공간(112)의 바닥면 까지 연장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연장호스(135)는 통상의 호스 형상으로 수용공간(112)의 내부에 형성되며 연장호스(135)의 일측단이 분무몸체(131)의 추출호스(134) 타측단에 결합되고, 타측단은 밀폐부재(118)의 통공(118a)을 관통하여 고정캡(116)의 체결홈(117b)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 되도록 형성하여 세척부(120)의 끼움공(122a) 하부 내부연에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여기서, 연장호스(135)는 몸체부(110)의 분무통(111)에 연장봉(111a)이 결합되어 몸체부(110)의 길이가 연장되는 경우 세척액이 외부로 원활이 공급되도록 나선 형태로 압축 형성하여 신축성을 갖고 펼쳐지면서 연장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림직하다.
상기 분무노즐(136)은 세척액을 분사하는 분무헤드(138)와, 상기 분무헤드(138)의 저면이 세척부(120)의 고정몸체(121)에 밀착 고정되도록 의 끼움공(122a)에 결합 고정되는 끼움구(137)로 구성한다.
여기서, 끼움구(137)에는 연장호스(135)의 타측단이 결합되며, 내부 중앙에는 분무헤드(138)를 관통시킨 분사공(136a)을 형성하여 세척액이 외부로 뿌려질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끼움구(137)의 외주연에 나사산과 같은 체결수단을 형성하여 끼움공(122a)에 고정력을 증진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무노즐(136)을 세척부(120)의 고정몸체(121)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세척부(120)만 교체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은 분무기를 구비한 세척기(100)는 몸체부(110)의 분무통(111)에 세척부(120)의 고정몸체(121)가 체결홈(117b)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110) 분무통(111)에 결합된 분무부(130)의 분무몸체(131)의 펌핑 압력에 의해 분무노즐(136)을 통하여 세척액이 외부로 분사되어 세척부(120)의 고정몸체(121)에 결합된 스펀지(123a)와, 와이퍼(123b)를 이용하여 유리창, 자동차등의 세척 작업이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먼저, 이와 같이 세척작업을 하기위해서는 몸체부(110)의 주입구(115) 캡(115a)을 개방하여 수용공간(112) 내부로 세척액을 주입시키며, 이때 세척액을 수용공간(112)의 2/3 정도 채우는 것이 이상적이며, 세척액의 주입이 완료되면 주입구(115)를 캡(115a)을 이용하여 밀폐시킨다.
여기서, 세척액은 세제가 혼합된 세척액, 또는 물을 말하며, 세척액이 수용공간(112)에 수용되면 밀폐부재(118)와, 마감부재(118b)에 의해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다.
이렇게, 세척액의 주입이 완료되면 분무통(111)에 결합된 분무부(130)의 손 잡이(132)를 힌지축(132a)을 중심으로 반복하여 회동하게되면 압축로드(133)에 의해 분무몸체(131)의 내부가 고압이 형성되어 세척액이 추출호스(134)로 흡입되면서 분무몸체(131)를 지나 연장호스(135)로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세척액이 분무몸체(131)의 압력에 의해 연장호스(135)로 이송되면 분무노즐(136)의 분사공(136a)를 통하여 유리창, 자동차 등에 분사하게 되며, 손잡이(132)를 계속 작동시키게 되면 세척액은 지속적으로 분사되고, 손잡이(132)의 작동을 정지시키면 세척액은 분사되지 않는다.
이처럼, 세척액이 분사되면 유리창, 자동차에 묻게되고 이때 스펀지(123(로 문지르면서 닦아 오염물질을 원활히 제거할 수 있게 되며, 오염물질을 제거하면서 와이퍼(123b)를 이용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유리창, 자동차를 닦아 세척액과 오염물질을 완전히 제거한다.
한편, 몸체부(110)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해 연장봉(111a)이 분무통(111)의 수용공간(112)에 삽입된 경우 고정력을 증진 시키기위해 연결구(113)가 분무통(111)에 체결수단(113c)으로 결합된 상태가 되며, 고정구(119)가 결합수단(113a)의 외주연에 체결되어 절개공(113d)의 간격이 좁혀져 있어 연장봉(111a)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장봉(111a)이 연결구(113)에 의해 고정되면, 고정구(119)을 약간 풀어 고정력을 제거하여 좁혀져 있던 절개공(113d)의 간격이 원상복귀 되면서 연결구(113)의 내주연과 연장봉(111a)의 외주연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장봉(111a)이 원활이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연장봉(111a)이 움직이게 되면 연장봉(111a)을 수용공간(112)으로 부터 빼내어 몸체부(110)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연장봉(111a)을 빼내게 되면 압축되어 있던 연장호스가 늘어나게되어 분무노즐(136)에 세척액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연장봉(111a) 을 어느 정도 빼내면 고정구(119)를 조여 연장봉(111a)을 연결구(113)에 고정시켜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한편, 세척부(120)의 스펀지(123a), 와이퍼(123b)의 손상으로 교체를 하고자 할때는 먼저, 끼움공(122a)에 결합되어 있는 분무노즐(136)을 제거하며, 몸체부(110)의 고정캡(116)에 결합되어 있는 세척부(120)의 결착구(122)를 제거하여 몸체부(110)와 세척부(120)를 분리하여 제거한다.
이와 같이, 세척부(120)가 제거되면 세로운 세척부(120)의 결착구(122)를 고정캡(116)의 체결홈(117b)에 결합하며, 분무헤드(138)가 고정몸체(121)에 밀착 되도록 끼움구(137)를 끼움공(122a)에 끼워 결합한다.
이때, 연장호스(135)에 끼움구(137)의 끝단을 삽입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세척기(100)에 세척액을 분사하는 분무부(13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유리창, 자동차등의 청소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되는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분무기를 구비한 세척기는, 몸체를 파지한 채, 분무부의 손잡이를 작동시켜 필요한 세척액을 유리창, 자동차의 외관 등에 공급하면서 세척부의 스펀지로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세척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고안의 분무기를 구비한 세척기는, 세척액을 간단한 방식으로 분사시켜 가면서 유리창, 자동차 등을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분무부가 몸체에 수납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분무부가 부착된 세척기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고 이들을 휴대한 상태에서 간편하게 청소작업을 수행할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더불어, 본 고안의 분무기를 구비한 세척기는, 분무부와 몸체부가 분리되고, 분무부에 결합된 분사노즐이 분리되어, 소모품인 세척부의 스펀지, 와이퍼 손상시 세척부를 리필 할 수 있어 세척기의 구입비용이 절감되는 효과 발생한다.
아울러, 분무기를 구비한 세척기는, 몸체부에 몸체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는 연장봉을 결합할 수 있어, 높은 유리창이나 대형 자동차을 손쉽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3)

  1. 세척액이 수용되는 공간형태의 수용공간(112)을 구비한 분무통(111)를 형성하고, 분무통(111)의 상단에 수용공간(112)을 밀폐시키도록 밀폐부재(118)를 구비한 고정캡(116)을 형성하며, 분무통(111)의 하부 외주연 일측에 수용공간(112)으로 관통시킨 관통공(114) 형성한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고정캡(116)에 결합되도록 결착구(122)를 저면 중앙에 구비한 고정몸체(121)를 형성하고, 고정몸체(121)의 상면에서 결착구(122)로 관통된 끼움공(122a)을 형성하며, 고정몸체(121)의 양측에 청소수단(123)을 장착한 세척부(120)및;
    상기 세척부(120)의 끼움공(122a)에 분무노즐(136)을 분리 가능하게 형성하고, 몸체부(110)의 관통공(114)에 압축로드(133)를 내부에 구비한 분무몸체(131)를 결합 형성하며, 분무몸체(131)의 타측으로 압축로드(133)에 연결되어 분무몸체(131)의 내부에 펌핑압력을 발생시키는 펌핑손잡이(132)를 외향되게 돌출 형성하고, 분무몸체(131)의 일측으로 분무통(111)의 수용공간(112) 삽입되어 펌핑압력에 의해 세척액을 흡수하는 추출호스(134)를 형성하며, 추출호스(134)를 분무노즐(136)에 연결하도록 수용공간(112) 내부에 연장호스(135)를 형성시켜 분무노즐(136)을 통하여 세척액이 외부로 분무되도록 한 분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를 구비한 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0)에 형성된 분무통(111)의 외주연 일측에 수용공간(112)으로 연통되어 세척액을 수용할 수 있는 주입구(115)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주입구(115)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주입구(115)를 밀폐시키는 캡(115a)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를 구비한 세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0)의 분무통(111)의 길이를 연장하도록 분무통(111)의 수용공간(112)으로 하부측이 삽입되고 상부측에 분무부(130)를 결합시킨 연장봉(111a)과,
    상기 연장봉(111a)을 분무통(111)에 고정하도록 내부 중앙이 관통되며 상부 외주연에 절개공(113d)으로 복수 구획된 결합수단(113a)을 형성하고, 하부 외주연에 체결수단(113c)이 관통되는 체결공(113b)을 형성하여 분무통(111)의 상부외주연에 결합되는 연결구(113)와,
    상기 연결구(113)의 결합수단(113a)에 결합도록 내부 중앙을 관통시켜 삽입공(119a)을 형성하며, 삽입공(119a)의 하부 내주연에 고정결합공(119b)이 구비된 고정구(119)를 더 구성하여 분무통(111) 길이를 연장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를 구비한 세척기.
KR2020060021273U 2006-08-08 2006-08-08 분무장치가 구비된 세척기 KR2004294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273U KR200429423Y1 (ko) 2006-08-08 2006-08-08 분무장치가 구비된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273U KR200429423Y1 (ko) 2006-08-08 2006-08-08 분무장치가 구비된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423Y1 true KR200429423Y1 (ko) 2006-10-23

Family

ID=41777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273U KR200429423Y1 (ko) 2006-08-08 2006-08-08 분무장치가 구비된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42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474Y1 (ko) 2009-08-20 2010-04-13 이문희 유리창 닦개
KR101591948B1 (ko) * 2015-09-30 2016-02-04 황재순 창문닦이
KR200487426Y1 (ko) * 2017-04-19 2018-09-13 금영성 물청소기
KR200494862Y1 (ko) * 2020-07-22 2022-01-12 이덕규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474Y1 (ko) 2009-08-20 2010-04-13 이문희 유리창 닦개
KR101591948B1 (ko) * 2015-09-30 2016-02-04 황재순 창문닦이
WO2017057967A1 (ko) * 2015-09-30 2017-04-06 황재순 창문닦이
KR200487426Y1 (ko) * 2017-04-19 2018-09-13 금영성 물청소기
KR200494862Y1 (ko) * 2020-07-22 2022-01-12 이덕규 바닥 및 유리창 물기 제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785B1 (ko) 물청소장치
KR200429423Y1 (ko) 분무장치가 구비된 세척기
CN209808234U (zh) 一种用于清洁拖地机器人中擦布的清洗座
KR100892628B1 (ko) 습식 청소기
KR200312947Y1 (ko) 세척용 걸레
KR101501372B1 (ko) 세정제 분사장치
KR200374705Y1 (ko) 분무장치가 구비된 유리창 청소구
CN210784150U (zh) 一种清洁工具
CN205819144U (zh) 一种洗车机用喷液刷
KR200210819Y1 (ko) 청소용구
KR20130007464U (ko) 습식 지우개
KR200407088Y1 (ko) 용액공급수단이 포함된 유리창 청소구
CN220562697U (zh) 一种汽车内饰清理装置
KR20030031738A (ko) 유리창 닦개
KR0127793Y1 (ko) 차량의 휴대용 세차 브러쉬
KR200352693Y1 (ko) 물청소기
KR102076508B1 (ko) 스피드 세차를 위한 다목적 브러쉬
KR102305600B1 (ko) 포터블 손걸레
RU162154U1 (ru)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ь ручной моющий автомобильный
KR102223522B1 (ko) 자동차용 세차기
JP3148092U (ja) 洗浄用具
KR920004144Y1 (ko) 세차용 자동 분수 청소기
KR100682301B1 (ko) 자동차용 청소기
KR200253708Y1 (ko) 진공 세척기
CN205819145U (zh) 一种高效洗车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