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688Y1 - 원단 고정용 지그 장치 - Google Patents

원단 고정용 지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688Y1
KR200494688Y1 KR2020200003390U KR20200003390U KR200494688Y1 KR 200494688 Y1 KR200494688 Y1 KR 200494688Y1 KR 2020200003390 U KR2020200003390 U KR 2020200003390U KR 20200003390 U KR20200003390 U KR 20200003390U KR 200494688 Y1 KR200494688 Y1 KR 2004946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heet fabric
jig
ho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3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우
Original Assignee
박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우 filed Critical 박성우
Priority to KR20202000033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6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6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6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9/00Workpiece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91Seat covering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manufacturing seat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1/00Workpiece holders or hold-downs in machines for sewing lea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단 고정용 지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테이블의 상부면에는 지그 프레임에 구비된 중앙홀에 끼워져 결합 되는 보조 지그패널을 결합하며, 다수의 끼움홀을 형성한 가이드라인 홀부를 상기 보조 지그패널의 상부면에 형성하고, 가이드라인 홀부를 이루는 끼움홀 중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다수의 가이드 핀을 상기 보조 지그패널에 결합 구성하므로서, 상기 가이드 핀을 이용하여 시트 원단의 중앙 부분이 최대한으로 서로 밀착되게 지그 프레임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지그 프레임의 가장 자리에 구비된 고정핀과 클램핑 레버를 이용하여 고정하기 때문에 시트 원단의 중앙 부분이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지그 프레임에 결합 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봉재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시트 원단에 박음질하여 이미지 라인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시트 원단 중앙 부분이 일측으로 밀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박음질하여 상기 시트 원단에 형성되는 이미지 라인을 일정한 패턴을 이루는 타공홀과 타공홀 사이 중앙에 최대한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시트 원단에 이미지 라인을 가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박음질하여 이미지 라인이 가공된 시트 원단의 불량율을 현저히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원단 고정용 지그 장치 { Fabric fixing jig device }
본 고안은 원단 고정용 지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블의 상부면에는 지그 프레임에 구비된 중앙홀에 끼워져 결합 되는 보조 지그패널을 결합하며, 다수의 끼움홀을 형성한 가이드라인 홀부를 상기 보조 지그패널의 상부면에 형성하고, 가이드라인 홀부를 이루는 끼움홀 중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다수의 가이드 핀을 상기 보조 지그패널에 결합 구성하므로서, 상기 가이드 핀을 이용하여 시트 원단의 중앙 부분이 최대한으로 서로 밀착되게 지그 프레임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지그 프레임의 가장 자리에 구비된 고정핀과 클램핑 레버를 이용하여 고정하기 때문에 시트 원단의 중앙 부분이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지그 프레임에 결합 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봉재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시트 원단에 박음질하여 이미지 라인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시트 원단 중앙 부분이 일측으로 밀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박음질하여 상기 시트 원단에 형성되는 이미지 라인을 일정한 패턴을 이루는 타공홀과 타공홀 사이 중앙에 최대한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시트 원단에 이미지 라인을 가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박음질하여 이미지 라인이 가공된 시트 원단의 불량율을 현저히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원단 고정용 지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시트란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와 같이 탑승자의 안전과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게 차량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시트는 뼈대를 이루며, 힌지로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어 형상 및 안락함을 제공하는 폼패드 및 스프링과, 상기 프레임 및 폼패드와 스프링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시트 커버로 구성된다.
상기 시트 커버는 우레탄 스펀지 등과 같은 쿠션 원단에 인조 가죽 내지 천연 가죽 소재로 이루어진 커버 원단을 얹은 상태에서 박음질하여 형성한다.
이와 같이 시트 커버는 쿠션 원단에 커버 원단을 적층되게 결합한 상태에서 박음질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엉덩이 부분 등과 같은 신체와 맞닿은 부분이 뒤로 밀리거나 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종래의 시트 원단을 박음질 가공하는 시트 가공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시트 가공 장치는 도 7과 같이 시트 원단(S)을 구성하고 있는 쿠션 원단(S1)과 커버 원단(S2)를 고정하는 지그 유닛과, 상기 지그 유닛에 고정된 시트 원단(S)을 박음질하여 도 1과 같이 이미지 라인(L)을 형성하는 봉재 유닛(70)으로 구성된다.
지그 유닛은 테이블(10a)의 상부면에 결합 되는 지그 프레임(20)과, 상기 지그 프레임(20)을 테이블(10a)의 상부면에 장착할 수 있는 장착부(11)로 구성된다.
이때, 지그 프레임(20)의 후단 상부면에는 도면에 미 도시되었지만 전,후로 회전되는 클램핑 지그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상기 지그 프레임(20)의 중앙에는 봉재 유닛(70)을 이용하여 시트 원단(S)에 이미지 라인(L)을 가공할 수 있는 중앙홀(20a)이 형성되고, 상기 지그 프레임(20)의 상부면 가장 자리에는 시트 원단(S)을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핀(101)과 다수의 클램핑 레버(50)가 도 7과 같이 형성된다.
상기 클램핑 레버(50)는 지그 프레임(2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브라켓(60)과, 상기 브라켓(60)에 상,하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고정 레버(70)와, 상기 고정 레버(70)를 전,후로 회전 이동시키는 작동 손잡이(61) 및 상기 고정 레버(70)에 단부에 결합 되어 시트 원단(S)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단(63)으로 구성된다.
한편, 봉재 유닛(70)은, 테이블(10a)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제봉부(72)를 전,후 및 좌,우 또는 상,하로 이동시키는 링크부(71)와, 상기 링크부(71)의 선단에 결합되는 제봉부(72)로 구성된다.
상기 제봉부(72)는 링크부(71)의 선단에 결합되는 장착헤드(71a)의 하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도면에 미 도시되었지만 장착헤드(71a)에는 시트 원단(S)을 펀칭하는 펀칭부가 결합될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이때, 베이스 판(10)에 설치되는 봉재 유닛(70)은 공지의 기술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결합 구성된 종래의 시트 가공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그 프레임(20)의 가장 자리에 구비된 고정핀(101)에 관통되게 시트 원단(S)을 구성하고 있는 쿠션 원단(S1)과 커버 원단(S2)을 도 9와 같이 적층되게 결합한다.
상기 고정핀(101)에 관통되게 시트 원단(S)이 지그 프레임(20)에 결합 되면, 클램핑 레버(50)를 구성하고 있는 작동 손잡이(61)를 상기 지그 프레임(2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관통홀(20a)로 회전시켜 고정단(63)이 시트 원단(S)의 가장 자리를 고정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핀(101)과 클램핑 레버(50)를 이용하여 시트 원단(S)이 지그 프레임(20)의 상부면에 결합 되면, 작업자는 봉재 유닛(70)과 연결된 제어부(도면 미 도시)를 작동 한다.
상기 제어부(도면 미 도시)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봉재 유닛(70)을 전,후 및 좌,우로 이동시켜 도 1과 같이 시트 원단(S)에 이미지 라인(L)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시트 원단(S)을 구성하고 있는 커버 원단(S2)에는 일정한 패턴을 이루는 타공홀(H)이 형성되고, 상기 일정한 패턴을 이루는 타공홀(H)과 타공홀(H) 사이로 봉재 유닛(70)에 의해 박음질 된 이미지 라인(L)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시트 원단(S)은 쿠션 원단(S1)과 상기 쿠션 원단(S1)이 하부에 결합 되면, 다수의 타공홀(H)이 일정한 패턴을 이루는 커버 원단(S2)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시트 가공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지그 장치의 문제점은 쿠션 원단(S1)과 커버 원단(S2)으로 이루어진 시트 원단(S)을 지그 프레임(20)에 결합 시 상기 시트 원단(S)을 가장 자리를 고정핀(101)에 관통되게 결합한 상태에서 클램핑 레버(50)를 이용하여 시트 원단(S)을 가장 자리를 다시한번 더 고정하기 때문에 시트 원단(S)의 중간 부분이 도 9와 같이 서로 이격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시트 원단(S)에 봉재 유닛(70)을 이용하여 박음질 가공 시 도 9와 같이 중앙 부분이 서로 이격된 시트 원단(S)으로 인해 봉재 유닛(90)이 진행 되는 방향으로 시트 원단(S)이 밀리게 되고, 이로 인하여 시트 원단(S)에 형성되는 이미지 라인(L)은 도 10과 같이 커버 원단(S2)에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된 타공홀(H)에 형성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일정한 패턴으로 시트 원단(S)에 형성된 타공홀(H)에 이미지 라인(L)이 형성되기 때문에 불량률이 증가되고, 이로 인하여 제작 비용 및 제작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 선행 기술 문헌 ◈
한국등록특허 제 10-1879242 호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테이블의 상부면에는 지그 프레임에 구비된 중앙홀에 끼워져 결합 되는 보조 지그패널을 결합하며, 다수의 끼움홀을 형성한 가이드라인 홀부를 상기 보조 지그패널의 상부면에 형성하고, 가이드라인 홀부를 이루는 끼움홀 중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다수의 가이드 핀을 상기 보조 지그패널에 결합 구성하므로서, 상기 가이드 핀을 이용하여 시트 원단의 중앙 부분이 최대한으로 서로 밀착되게 지그 프레임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지그 프레임의 가장 자리에 구비된 고정핀과 클램핑 레버를 이용하여 고정하기 때문에 시트 원단의 중앙 부분이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지그 프레임에 결합 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봉재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시트 원단에 박음질하여 이미지 라인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시트 원단 중앙 부분이 일측으로 밀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박음질하여 상기 시트 원단에 형성되는 이미지 라인을 일정한 패턴을 이루는 타공홀과 타공홀 사이 중앙에 최대한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시트 원단에 이미지 라인을 가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박음질하여 이미지 라인이 가공된 시트 원단의 불량율을 현저히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원단 고정용 지그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다수의 타공홀이 일정한 패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하측으로 쿠션 원단이 적층된 상태로 박음질 되는 시트 원단과,
중앙홀이 구비되며, 가장 자리에는 시트 원단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핀과, 클램핑 레버가 설치되어 있는 지그 프레임을 포함하는 원단 고정용 지그 장치에 있어서,
테이블과;
테이블에 고정 설치되고, 중앙홀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보조 지그패널과;
시트 원단에 형성된 타공홀의 외곽 라인을 따라 보조 지그패널 상에 끼움홀을 형성한 가이드라인 홀부와;
상기 가이드라인 홀부를 이루는 끼움홀 중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설치되는 가이드 핀;으로 구성하여, 시트 원단을 지그 프레임에 결합할 때 시트 원단이 가이드 핀이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클램핑 유닛이 가압 고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고안에 의하면, 테이블의 상부면에는 지그 프레임에 구비된 중앙홀에 끼워져 결합 되는 보조 지그패널을 결합하며, 다수의 끼움홀을 형성한 가이드라인 홀부를 상기 보조 지그패널의 상부면에 형성하고, 가이드라인 홀부를 이루는 끼움홀 중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다수의 가이드 핀을 상기 보조 지그패널에 결합 구성하므로서, 상기 가이드 핀을 이용하여 시트 원단의 중앙 부분이 최대한으로 서로 밀착되게 지그 프레임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지그 프레임의 가장 자리에 구비된 고정핀과 클램핑 레버를 이용하여 고정하기 때문에 시트 원단의 중앙 부분이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지그 프레임에 결합 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봉재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시트 원단에 박음질하여 이미지 라인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시트 원단 중앙 부분이 일측으로 밀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박음질하여 상기 시트 원단에 형성되는 이미지 라인을 일정한 패턴을 이루는 타공홀과 타공홀 사이 중앙에 최대한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시트 원단에 이미지 라인을 가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박음질하여 이미지 라인이 가공된 시트 원단의 불량율을 현저히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트 원단을 박음질하여 이미지 라인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원단 고정용 지그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보조 지그패널이 지그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원단 고정용 지그 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원단 고정용 지그 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시트 원단이 지그 장치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지그 장치가 구비된 시트 가공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종래의 지그 장치에 시트 원단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종래의 지그 장치에 시트 원단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종래의 시트 원단을 박음질하여 이미지 라인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설명에 앞서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관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표기하여 중복되는 도면 부호의 설명은 생략 하기로 한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은,
다수의 타공홀(H)이 일정한 패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하측으로 쿠션 원단이 적층된 상태로 박음질 되는 시트 원단(S)과,
중앙홀(100a)이 구비되며, 가장 자리에는 시트 원단(S)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핀(101)과, 클램핑 레버(50)가 설치되어 있는 지그 프레임(100)을 포함하는 원단 고정용 지그 장치에 있어서,
테이블(10)과;
테이블(10)에 고정 설치되고, 중앙홀(100a)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보조 지그패널(130)과;
시트 원단(S)에 형성된 타공홀(H)의 외곽 라인을 따라 보조 지그패널(130) 상에 끼움홀(141)을 형성한 가이드라인 홀부(140)와;
상기 가이드라인 홀부(140)를 이루는 끼움홀(141) 중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설치되는 가이드 핀(150);으로 구성하여, 시트 원단(S)을 지그 프레임(100)에 결합할 때 시트 원단(S)이 가이드 핀(150)이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클램핑 유닛(50)이 가압 고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지그 프레임(100)에 결합 되는 시트 원단(S)의 중앙 부분을 최대한으로 밀착되도록 하여, 봉재 유닛(70)을 이용하여 시트 원단(S)에 박음질 가공하여 이미지 라인(L)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시트 원단(S)의 중간 부분이 뒤로 밀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도 1과 같이 시트 원단(S)에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된 타공홀(H) 사이 중앙으로 이미지 라인(L)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시트 원단(S)이 결합 되는 지그 프레임(100)의 중앙에 중앙홀(100a)을 형성하고, 지그 프레임(100)의 가장 자리을 따라 다수의 고정핀(101)과 다수의 클램핑 레버(50)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지그 프레임(100)의 중간홀(100a)에 도 3과 같이 다수의 가이드 핀(150)이 구비된 보조 지그패널(130)을 설치 구성하여 상기 지그 프레임(100)의 상부면에 결합 되는 시트 원단(S)의 중앙 부분이 도 5와 같이 서로 밀착되게 결합한다.
상기 가이드 핀(150)은 보조 지그패널(130)에 형성된 가이드라인 홀부(140)를 따라 상기 보조 지그패널(130)의 상부면에 고정되게 결합한다.
상기 가이드라인 홀부(140)는 시트 원단(S)을 구성하고 있는 커버 원단(S2)에 구비된 타공홀(H)의 외관을 따라 보조 지그패널(130) 상부면에 형성하는 데,
상기 가이드 핀(150)의 하단에 억지로 끼워지는 끼움홀(141)을 보조 지그패널(130) 도 2와 같이 라인 형태로 형성하여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 핀(150)은 가이드라인 홀부(140)를 구성하고 있는 끼움홀(141) 중 어느 하나의 끼움홀(141)에 결합하는 데,
작업자는 쿠션 시트(S1)와 커버 시트(S2)에 따라 가이드라인 홀부(140)에 복수개 결합한다.
이와 같이 결합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이드라인 홀부(140)가 구비된 보조 지그패널(130)을 도 2와 같이 테이블(10)의 상부면에 결합한다.
상기 보조 지그패널(130)이 테이블(10)에 결합 되면, 가이드라인 홀부(140)를 구성하고 있는 끼움홀(141) 중 어느 하나에 가이드핀(150)을 도 2와 같이 세워지게 결합한다.
이때, 가이드라인 홀부(140)를 구성하고 있는 끼움홀(141)에 가이드 핀(150)이 결합 된 보조 지그패널(130)을 테이블(10)의 상부면에 결합할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이와 같이 가이드 핀(150)이 구비된 보조 지그패널(130)이 테이블(10)의 상부면에 고정 되면, 중앙홀(100a)의 내측에 보조 지그패널(130)이 끼워지도록 도 3과 같이 지그 프레임(100)을 테이블(10)의 상부면에 결합하고, 시트 원단(S)의 중앙 부분을 도 5와 같이 1차로 가압하여 가이드 핀(150)에 관통되게 상기 시트 원단(S)을 보조 지그패널(130) 상부면에 결합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점차적으로 시트 원단(S)의 가장 자리를 가압하여 가이드 핀(150)에 시트 원단(S)을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시트 원단(S)의 가장자리가 고정핀(101)에 관통되게 결합한다.
따라서, 지그 프레임(100)의 상부면에 결합 되는 시트 원단(S)은 보조 지그패널(130)에 구비된 가이드 핀(150)에 의해 도 5와 같이 중앙 부분이 밀착된 상태로 상기 지그 프레임(100)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것이다.
즉, 지그 프레임(100)의 중앙홀(100a)에 결합된 보조 지그패널(130)에 구비된 가이드 핀(150)으로 인해 시트 원단(S)의 중앙 부분은 최대한으로 평평함을 유지한 채 쿠션 원단(S1)과 커버 원단(S2)이 밀착되게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 핀(150)에 시트 원단(S) 중앙 부분이 관통되게 결합되면, 작업자는 시트 원단(S)의 가장 자리를 도 5와 같이 고정핀(101)에 관통되게 결합한 후에 클램핑 레버(50)를 이용하여 시트 원단(S)을 지그 프레임(100)에 한번더 고정한다.
이와 같이 방법으로 시트 원단(S)이 지그 프레임(100)의 상부면에 고정 결합 되면, 작업자는 지그 프레임(100)에 압력을 가해 테이블(10)로부터 상기 지그 프레임(100)을 분리하고, 그 분리된 지그 프레임(100)을 봉재 유닛(70)이 설치된 테이블(10a)의 상부면으로 결합한다.
그리고 봉재 유닛(70)을 On 작동시켜 도 1과 같이 시트 원단(S)에 박음질 가공한 이미지 라인(L)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지그 프레임(100)의 상부면에 결합 되는 시트 원단(S)은 보조 지그패널(130)에 구비된 가이드 핀(150)에 의해 시트 원단(S)의 중앙 부분이 밀착되게 결합한 상태에서 그 시트 원단(S)의 가장 자리를 고정핀(101)과 클램핑 레버(50)를 이용하여 고정하기 때문에 봉재 유닛(70)을 이용하여 시트 원단(S)에 박음질하여 이미지 라인(L)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시트 원단(S)의 중앙 부분이 일측으로 밀리거나 시트 원단(S)을 구성하고 있는 쿠션 원단(S1)과 커버 원단(S2)이 서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시트 원단(S)에 형성되는 이미지 라인(L)은 도 1과 같이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된 관통홀(H)의 사이 중앙에 최대한으로 위치하도록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10,10a: 베이스 판, 11: 장착부,
20: 지그 프레임, 20a: 중앙홀,
50: 클램핑 레버, 60: 브라켓,
61: 작동 손잡이, 62: 고정레버,
63: 고정단, 70: 봉재 유닛,
71: 링크부, 72: 봉재부,
100: 지그 프레임, 100a: 중앙홀,
101: 고정핀, 130: 보저 지그패널,
140: 가이드라인 홀부, 141: 끼움홀,
150: 가이드 핀, H: 타공홀,
L: 이미지 라인, S: 시트 원단,
S1: 쿠션 원단, S2: 커버 원단,

Claims (1)

  1. 다수의 타공홀(H)이 일정한 패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하측으로 쿠션 원단이 적층된 상태로 박음질 되는 시트 원단(S)과,
    중앙홀(100a)이 구비되며, 가장 자리에는 시트 원단(S)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핀(101)과, 클램핑 레버(50)가 설치되어 있는 지그 프레임(100)을 포함하는 원단 고정용 지그 장치에 있어서,
    테이블(10)과;
    테이블(10)에 고정 설치되고, 중앙홀(100a)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보조 지그패널(130)과;
    시트 원단(S)에 형성된 타공홀(H)의 외곽 라인을 따라 보조 지그패널(130) 상에 끼움홀(141)을 형성한 가이드라인 홀부(140)와;
    상기 가이드라인 홀부(140)를 이루는 끼움홀(141) 중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설치되는 가이드 핀(150);으로 구성하여, 시트 원단(S)을 지그 프레임(100)에 결합할 때 시트 원단(S)이 가이드 핀(150)이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클램핑 유닛(50)이 가압 고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고정용 지그 장치.
KR2020200003390U 2020-09-18 2020-09-18 원단 고정용 지그 장치 KR2004946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390U KR200494688Y1 (ko) 2020-09-18 2020-09-18 원단 고정용 지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390U KR200494688Y1 (ko) 2020-09-18 2020-09-18 원단 고정용 지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688Y1 true KR200494688Y1 (ko) 2021-12-01

Family

ID=78891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390U KR200494688Y1 (ko) 2020-09-18 2020-09-18 원단 고정용 지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688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7747A (ko) * 2011-07-11 2013-01-21 주재필 갑피 재봉을 위한 지그장치
KR101879242B1 (ko) * 2017-03-23 2018-07-17 석정호 자동차 시트커버 원단 고정용 지그
KR102098703B1 (ko) * 2020-01-09 2020-04-10 최순우 차량 시트커버 제조용 원단 지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7747A (ko) * 2011-07-11 2013-01-21 주재필 갑피 재봉을 위한 지그장치
KR101879242B1 (ko) * 2017-03-23 2018-07-17 석정호 자동차 시트커버 원단 고정용 지그
KR102098703B1 (ko) * 2020-01-09 2020-04-10 최순우 차량 시트커버 제조용 원단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58041A1 (ja) 車両用シート
US9610875B2 (en) Trim cover assembly and sewing method for forming same
JP6339694B2 (ja) カバーを有する要素を製造する方法、及びこのような要素
KR101879242B1 (ko) 자동차 시트커버 원단 고정용 지그
JP2017518910A5 (ko)
KR200494688Y1 (ko) 원단 고정용 지그 장치
KR102189348B1 (ko) 시접 가이드형 노루발 및 이를 포함하는 재봉기, 시트커버 제조 방법
JP6683534B2 (ja) トリムカバー用表皮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並びに製造用治具
US4968376A (en) Bonding device for manufacturing vehicle seat
JP3991309B2 (ja) ミシンの押え金
JP3781183B2 (ja) 玉縁縫いミシン
KR102031775B1 (ko) 노루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헤드레스트용 커버제조방법
JP3864110B2 (ja) ミシンの生地案内装置
JP4405073B2 (ja) 縫製装置の布押さえ装置
JPH04266793A (ja) 多数本ステッチ縫いの1枚物トリムカバーを有する座席体
KR102479110B1 (ko) 상하부 이종의 시접을 형성하는 가이드를 구비하는 재봉기
JP6443859B2 (ja) 畳縫着装置、および、畳縫着方法
KR102182039B1 (ko) 볼륨 시트 커버 성형 방법
US11807967B2 (en) Sewing assembly and method
JP2001038079A (ja) ミシンの布押え装置
KR20220053127A (ko) 프레스식 시트 타공 장치
JP4070214B2 (ja) 湾曲した被縫製体の保持枠及びミシン
JPH08266764A (ja) トリムカバーの縫製方法
JP3900360B2 (ja) 自動縫製装置
JP4921655B2 (ja) 立体物縫製装置及び立体物縫製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