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348B1 - 시접 가이드형 노루발 및 이를 포함하는 재봉기, 시트커버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시접 가이드형 노루발 및 이를 포함하는 재봉기, 시트커버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348B1
KR102189348B1 KR1020190038432A KR20190038432A KR102189348B1 KR 102189348 B1 KR102189348 B1 KR 102189348B1 KR 1020190038432 A KR1020190038432 A KR 1020190038432A KR 20190038432 A KR20190038432 A KR 20190038432A KR 102189348 B1 KR102189348 B1 KR 102189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m allowance
sewing
guide
fabric
sew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7090A (ko
Inventor
임정묵
김성대
김용혁
김용필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8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348B1/ko
Publication of KR20200117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6Presser feet
    • D05B29/08Presser feet comprising relatively-mova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5883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sewing, stitching or threadin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2Presser-contro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2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 D05B35/04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with movable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의 재봉선을 기준으로 폭이 다른 제1 시접과 제2 시접을 가이드하여 상기 가상의 재봉선이 반듯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재봉기에 관한 것으로, 바늘판이 배치되어 있는 테이블, 일측이 상기 바늘판 위에 위치하고 타측이 상기 테이블과 연결된 재봉본체, 상기 재봉본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는 승강유닛, 상기 바늘판과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시접을 가이드할 수 있는 재봉 가이드 및 상기 승강유닛의 승강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바늘판과 마주하며 상기 제2 시접을 가이드할 수 있는 시접 가이드형 노루발을 포함한다.
상기 시접 가이드형 노루발과 상기 바늘판 사이로 재봉할 원단이 통과할 수 있고, 상기 승강유닛에 의해 하강한 상기 시접 가이드형 노루발은 상기 제1 시접은 누르고 상기 제2 시접은 측면과 접하여 가이드 할 수 있다.
따라서, 시접의 가변 구간 재봉 시 커팅하지 않고 디자인 단계에서 가변 구간을 형성하고 가변에 따라 재봉 가이드 또는 시접 가이드부를 통해 원단을 가이드 하므로 가상의 재봉선은 재봉바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이에 원단의 재봉 공정이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Description

시접 가이드형 노루발 및 이를 포함하는 재봉기, 시트커버 제조 방법{Presser foot for seam guide type and sewing machine comprising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for seat cover}
본 발명은 시접 가이드형 노루발 및 이를 포함하는 재봉기, 시트커버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시트는 크게 탑승자가 앉는 쿠션과, 앉은 상태에서 등을 기대는 시트백으로 이루어지며, 쿠션과 시트백은 각각 쿠션과 시트백의 형상을 이루는 패드, 상기 패드의 둘레를 가죽, 천 따위로 이루어진 커버로 둘러싼다.
커버는 패드의 형상에 맞추어 들뜸 없이 밀착되고, 미관을 고려한 디자인에 따라서 몇 부분으로 분할된 원단들을 상호 봉제하여 제작하게 된다.
도면 [도 1]을 참고하면, 시트백의 커버는 중앙의 메인파트(10), 메인파트 위에 위치한 상부파트(15), 메인파트와 상부파트 양측에 위치한 사이드파트(20) 및 사이드파트와 연결되어 있고 시트백의 측면을 이루는 측면파트(30)를 포함한다. 그리고 메인파트, 상부파트, 사이드파트 및 측면파트를 이루는 원단들은 상호 재봉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패드를 씌울 수 있는 커버를 형성한다. 도면 [도 1]에 도시된 S, S1 부분이 원단들이 연결된 부분이다.
원단(2)들을 상호 재봉할 때 시접(m)이 형성된다(도면 도 2의 (a) 참조). 시접(m)은 재봉선(l)을 기준으로 외측에 남은 여백 부분이다. 시접(m)은 기설정된 폭(w)을 가지고 있으며, 시트백 외부에서 보이지 않아야 하므로 커버 내측에 위치하여 패드와 접하게 된다. 이때 시접(m)이 패드에 의해 눌리면서 구부러져 연결(S)(도 1 참조) 부위가 주름지고, 꺾이는 문제가 발생하여 시트백의 미감을 크게 저하되었다.
이에 패드(P)에 시접(m)이 삽입되는 시접홈(mh)을 형성하여 시접(m)이 구부러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시트백의 형상, 디자인, 시접홈 형성에 따른 비용 발생 등의 이유로 패드(P)의 기설정된 위치에서는 시접홈(mh)을 생략될 수 있다.
시접홈(mh)이 생략되면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시접(m)이 시접홈(mh)에 삽입되더라도 패드의 곡선 구간에서는 시접(m)이 여전히 꺾이게 되었다.
시접(m)의 꺾임을 방지하기 위해 시접홈(mh)이 생략된 위치, 곡선 구간 등과 대응하는 시접 부위의 폭을 다른 시접의 폭보다 좁게 형성하였다. 이에 원단 재봉 시 시접(m) 일부분을 커팅하여 시접(m)의 폭을 설정하였다. 그러나 재봉 공정에서 재봉과 동시에 시접(m)을 커팅하게 되었다. 시접 커팅 시 원단 이동 방향(Y)으로는 재봉과 동시에 커팅할 수 있으나, 원단 이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X)으로는 커팅을 할 수 없었다. 이에 재봉 공정이 완료된 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원단 이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X)으로 시접(m)을 커팅하게 되었다. 이에 재봉 공정에서 공정수가 증가하였고, 정교한 커팅이 진행되지 못하였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15322호 (2003.05.21.) 등록실용신안 제20-0315321호 (2003.05.21.)
본 발명은 원단 디자인 단계에서 가상의 재봉선을 기준으로 시접의 폭을 다르게 하여 재봉공정에서 시접 커팅에 따른 공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재봉 되는 원단에서 시접의 폭이 가변 되더라도 재봉 위치는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시접 가이드형 노루발 및 이를 포함하는 재봉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재봉기는, 가상의 재봉선을 기준으로 폭이 다른 제1 시접과 제2 시접을 가이드하여 상기 가상의 재봉선을 따라 재봉선이 반듯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바늘판이 배치되어 있는 테이블, 일측이 상기 바늘판 위에 위치하고 타측이 상기 테이블과 연결된 재봉본체, 상기 재봉본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는 승강유닛, 상기 바늘판과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시접을 가이드할 수 있는 재봉 가이드 및 상기 승강유닛의 승강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바늘판과 마주하며 상기 제2 시접을 가이드할 수 있는 시접 가이드형 노루발을 포함한다.
상기 시접 가이드형 노루발과 상기 바늘판 사이로 재봉할 원단이 통과할 수 있고, 상기 승강유닛에 의해 하강한 상기 시접 가이드형 노루발은 상기 제1 시접은 누르고 상기 제2 시접은 측면과 접하여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시접 가이드형 노루발은, 상기 승강유닛과 연결된 결합부,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어 있고 원단과 접할 수 있는 제1 누름부,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어 상기 재봉 가이드와 이웃하며 원단과 접할 수 있는 제2 누름부 및 상기 제1 누름부와 상기 제2 누름부 사이에 위치하여 승강할 수 있고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시접을 가이드하는 시접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접 가이드부는 상기 제2 시접의 측면 가이드 시 하면이 상기 바늘판에 밀착되고, 상기 제1 누름부와 상기 시접 가이드부 사이로 재봉바늘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재봉기는, 상기 시접 가이드부가 상기 바늘판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접 가이드부의 하면과 전면을 연결하는 모서리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재봉기는, 상기 제2 누름부에 체결되어 상기 시접 가이드부를 관통하는 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접 가이드부는 상기 핀부재를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핀부재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시접 가이드부가 회동하도록 일단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재봉기는,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누름부와 상기 시접 가이드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재봉바늘이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재봉바늘이 통과하는 원단 부분을 누르는 재봉선 누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접 가이드부의 하부 내측에는 상기 원단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시접이 위치하는 시접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접 가이드홈을 이루는 제1 면은 상기 제2 시접의 측면과 접하고 제2 면은 상기 제2 시접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시접 가이드부는, 상기 시접 가이드홈이 형성된 시접 가이드 몸체 및 상기 제2 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시접의 상면을 탄력적으로 누르는 탄성 누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봉 가이드는, 상기 테이블에 고정되어 있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에 제1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된 슬라이드바, 상기 슬라이드바와 연결되어 상기 브래킷 상면에 위치한 손잡이 및 상기 슬라이드바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시접과 접하는 가이드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에는 상기 손잡이가 관통하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홈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시접 가이드형 노루발은, 승강유닛과 연결될 수 있고 이동하는 원단을 누를 수 있는 노루발 본체, 상기 노루발 본체의 내측에 승강할 수 있게 배치된 시접 가이드부 및 상기 시접 가이드부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누르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시접 가이드부는, 이동하는 상기 원단을 상기 노루발 본체와 함께 누르거나 상기 원단의 측면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노루발 본체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어 있고 이동하는 원단을 누를 수 있는 제1 누름부 및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어 있고 이동하는 원단을 누를 수 있는 제2 누름부를 포함한다.
상기 시접 가이드부는, 상기 제1 누름부와 상기 제2 누름부 사이에 위치하고, 하면이 상기 원단을 누르거나 또는 일면이 상기 원단의 측면과 접하여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시접 가이드부의 하면과 전면을 연결하는 모서리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커버 제조 방법은, 전술한 재봉기를 이용하여 시트커버를 제조하는 것으로, 원단을 설치할 시트의 형상에 맞추어 디자인하는 단계 및 상기 재봉기를 이용하여 디자인된 원단들을 결합하는 재봉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디자인하는 단계에서, 원단의 가장자리에 제1 시접 및 제2 시접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시접의 폭은 가상의 재봉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시접의 폭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트커버 제조 방법은, 디자인한 상기 원단에 맞추어 폼을 재단하는 단계 및 재단된 상기 폼과 디자인 원단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폼의 측면은 상기 원단의 측면과 내측으로 3mm 내지 5mm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재봉단계에서, 상기 제1 시접의 측면은 상기 재봉기의 재봉 가이드와 접하고 상기 제2 시접의 측면은 상기 재봉기의 시접 가이드형 노루발에 위치한 시접 가이드부와 접하며, 상기 제1 시접의 측면이 상기 재봉 가이드와 접할 때 상기 시접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시접의 상면을 누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접의 가변 구간 재봉 시 커팅하지 않고 디자인 단계에서 가변 구간을 형성하고 가변에 따라 재봉 가이드 또는 시접 가이드부를 통해 원단을 가이드 하므로 가상의 재봉선은 재봉바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이에 원단의 재봉 공정이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의 재봉선을 기준으로 제1 시접은 테이블에 배치된 재봉 가이드가 가이드하고, 제1 시접보다 폭이 좁은 제2 시접은 시접 가이드형 노루발에 장착된 시접 가이드부가 가이드 하므로 가상의 재봉선은 시접의 폭 가변에 그 위치가 달라지지 않고 항상 재봉바늘 아래에서 이동한다. 이에 재봉바늘의 재봉 위치가 달라지지 않아 원단 재봉을 디자인에 맞추어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자동차 시트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시트에 적용되는 커버의 원단을 나타낸 것으로 (a)는 시접을 설명하기 위한 원단 일부분이고, (b)는 원단들이 재봉되어 시트에 씌워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재봉기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도 3의 A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3의 시접 가이드형 노루발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도 7은 도 6을 Ⅶ-Ⅶ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8은 도 5를 Ⅷ-Ⅷ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시접 가이드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재봉 가이드에 제1 시접이 접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a)의 측면도이며, c)는 시접 가이드부에 제2 시접이 접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d)는c)의 측면도.
도 10은 도 7의 시접 가이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11은 시트 커버를 제조하기 위한 원단들을 나타낸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 커버 제조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도 13은 제조된 시트커버가 시트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재봉기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재봉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3의 시접 가이드형 노루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6을 Ⅶ-Ⅶ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를 Ⅷ-Ⅷ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시접 가이드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재봉 가이드에 제1 시접이 접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a)의 측면도이며, c)는 시접 가이드부에 제2 시접이 접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d)는c)의 측면도이다.
먼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재봉기(100)는 테이블(110), 재봉본체(120), 승강유닛(121), 재봉 가이드(130) 및 시접 가이드형 노루발(140)을 포함하며 재봉되는 원단(200)에서 시접(220, 230)의 폭이 가변 되더라도 재봉 위치는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원단(200)은 복수의 조각으로 이루어져 재봉을 통해 서로 결합되어 시트커버를 형성할 수 있다. 각 원단(200)은 시트의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모양을 가지며 가장자리에는 가상의 재봉선(21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상의 재봉선(210)은 재봉바늘(150)을 통해 재봉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이에 가상의 재봉선(210)은 재봉 후 재봉선이 된다.
디자인에 따라 가상의 재봉선(210)과 원단의 단부와의 거리가 위치마다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가상의 재봉선(210)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폭(220w, 230w)이 다른 제1 시접(220)과 제2 시접(230)이 형성되며, 제2 시접(230)의 폭(230w)은 가상의 재봉선(210)을 기준으로 제1 시접(220)의 폭(220w) 보다 좁다(도 10 참조). 제1 시접(220)의 폭(220w)은 6mm 내지 10mm 일 수 있고, 제2 시접(230)의 폭(230w) 2mm 내지 4mm 일 수 있다. 그러나 제1 시접(220)의 폭(220w)은 8mm이고, 제2 시접(230)의 폭(230w)은 3mm 일 수도 있다.
테이블(110)은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상면 일측에 바늘판(111)이 배치되어 있다. 바늘판(111) 아래에는 밑실(도시하지 않음)이 위치한다.
재봉본체(120)는 테이블(110) 위에 위치하여 일측은 바늘판(111)과 간격을 두고 마주하며 타측은 테이블(110) 상면과 연결되어 있다. 재봉본체(120)의 내부에는 구동부, 제어부 따위가 배치되어 있다. 아울러, 재봉본체(120)의 일측 내부에는 바늘판(111)과 마주하는 바늘대(121b), 승강유닛(121) 따위가 배치되어 있다. 재봉본체(120)의 일측 아래에는 바늘대(121b)와 재봉바늘(150)이 위치한다.
재봉본체(120)의 일측과 바늘판(111) 사이로 재봉할 원단이 중첩되어 이동할 수 있으며, 재봉바늘(150)은 바늘대(121b)의 움직임으로 원단(200)과 바늘판(111)을 통과하면서 중첩되어 이동하는 원단을 재봉한다.
위에서 설명한, 테이블, 재봉본체, 바늘판, 구동부 바늘대 및 승강유닛의 세부 구조는 널리 공지된 재봉기(sewing machine)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 바, 상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더 참고하면, 재봉 가이드(130)는 테이블(110)에 배치되어 바늘판(111)과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다. 재봉 가이드(130)는 테이블(110)에서 재봉본체(120) 일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다. 재봉 가이드(130)는 시접의 폭에 따라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원단(200)의 이동 방향(Y)과 수직한 방향(X)으로 움직일 수 있다. 재봉 가이드(130)의 일면의 위치는 가상의 재봉선(210)으로부터 제1 시접(220)의 폭(220w)과 같다.
재봉 가이드(130)는 테이블(110)에 고정되어 있는 브래킷(131), 브래킷(131)에 X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된 슬라이드바(132) 및 슬라이드바(132)와 연결되어 있고 제1 시접(220)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몸체(133)를 포함한다. 브래킷(131)에는 슬라이드바(132)와 연결된 손잡이(134)이가 관통하는 슬라이드홈(131a)이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134)는 브래킷(131)의 상면으로 노출되어 있다. 슬라이드바(132)는 슬라이드홈(131a) 범위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동하는 원단의 제1 시접(220)의 측면은 재봉 가이드(130)의 일면과 접한다. 재봉 가이드(130)에 의해 원단(200)은 바늘판(111) 위에서 틀어지지 않고 반듯하게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원단이 이동할 때 가상의 재봉선(210)이 재봉바늘(150)의 아래에 위치하므로 재봉바늘(150)은 가상의 재봉선(210)을 통과하여 중첩된 원단을 재봉한다. 한편, 제2 시접(230)은 그 폭(230w)이 제1 시접(220)의 폭(220w) 보다 좁은 관계로 재봉 가이드(130)와 접하지 않고 떨어져 이동한다.
도 5 내지 도 9를 더 참고하면, 시접 가이드형 노루발(140)은 노루발 본체(141), 시접 가이드부(142), 핀부재(143) 및 탄성부재(144)를 포함하며 승강유닛(121)의 승강로드에 결합되어 이동하는 원단(200)의 재봉 부위를 누르고 가이드 할 수 있다.
노루발 본체(141)는 시접 가이드형 노루발(140)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며 결합부(141a), 제1 누름부(141b) 및 제2 누름부(141c)를 포함한다.
결합부(141a), 제1 누름부(141b) 및 제2 누름부(141c)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부(141a)는 승강로드와 볼트 따위의 체결수단으로 결합되어 분리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제1 누름부(141b)는 결합부(141a)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제2 누름부(141c) 보다 두께가 얇은 제2 누름부(141c)는 제1 누름부(141b)의 일측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제1 누름부(141b)와 제2 누름부(141c) 사이에는 배치공간(141d)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누름부(141b)와 제2 누름부(141c)의 하면은 바늘판(111)과 마주하여 승강유닛(121) 하강 시 원단의 상면과 접할 수 있으며 상승 시 원단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하강한 제1 누름부(141b)와 제2 누름부(141c)는 원단을 바늘판(111)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누를 수 있다.
한편, 제2 누름부(141c)의 하부측 일부분과 제1 누름부(141b)의 하부측 일부분은 배치공간(141d)의 바닥을 형성하는 연결부(141f)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누름부(141b)와 제2 누름부(141c) 사이의 일단은 상하 관통되어 개방부(141e)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은 연결부(141f)에 의해 막혀 있다.
여기서, 이동하는 원단(200)의 가상의 재봉선(210)은 제1 누름부(141b)와 제2 누름부(141c)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에 제1 누름부(141b)는 이동하는 원단(200)의 가상의 재봉선(210) 내측 부분을 누르며, 제2 누름부(141c)는 이동하는 원단(200)의 가상의 재봉선(210) 외측 부분을 누를 수 있다. 이에, 제2 누름부(141c)는 재봉 가이드(130)와 접하고 있는 제1 시접(220)의 상면을 누를 수 있다. 그러나 제2 누름부(141c)는 제2 시접(230)과는 접하지 않는다.
시접 가이드부(142)는 배치공간(141d)에 위치하여 제2 누름부(141c) 방향으로 편심되게 배치되어 있다. 이동하는 원단의 가상의 재봉선(210)은 제1 누름부(141b)와 시접 가이드부(142) 사이로 이동한다.
시접 가이드부(142)의 일측은 개방부(141e)를 통해 제1 누름부(141b)와 제2 누름부(141c) 사이를 벗어나 노출되어 있다. 시접 가이드부(142)의 하면은 제2 누름부(141c)와 함께 제1 시접(220)의 상면을 누를 수 있다. 그러나 제2 시접(230)의 경우 그 폭(230w)이 제1 시접(220)의 폭(220w) 보다 좁은 관계로 시접 가이드부(142) 아래에 위치하지 않는다. 이에 제2 시접(230)의 상면은 시접 가이드부(142)에 의해 눌리지 않는다. 다만, 제2 시접(230)의 측면이 시접 가이드부(142)의 일면과 접한다. 시접 가이드부(142)는 제2 시접(23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이때 시접 가이드부(142)의 하면은 제2 시접(230)의 상면을 누르지 않고 바늘판(111)과 접한다.
시접 가이드부(142)의 하면과 전면을 연결하는 모서리(142e)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곡면에 의해 제1 시접(220)은 시접 가이드부(142)와 바늘판(111) 사이로 걸리지 않고 삽입될 수 있다.
시접 가이드부(142)의 타측은 연결부(141f) 위에 위치하여 핀부재(143)를 통해 제2 누름부(141c)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핀부재(143)는 그 끝이 제2 누름부(141c)에 체결되어 시접 가이드부(142)를 관통하고 있다. 핀부재(143)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핀부재(143)의 끝에는 너트가 체결될 수 있다. 시접 가이드부(142)는 핀부재(143)를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다.
탄성부재(144)는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한다. 탄성부재(144)는 핀부재(143)에 결합되어 일단은 시접 가이드부(142)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제2 누름부(141c)와 연결되어 있다. 탄성부재(144)는 시접 가이드부(142)의 일단에 탄성력을 가하여 시접 가이드부(142)의 하면이 바늘판(11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탄성부재(144)의 탄성력에 의해 시접 가이드부(142)의 하면은 제1 시접(220)을 바늘판(111) 방향으로 누르거나, 제2 시접(230)에서는 바늘판(111)에 밀착될 수 있다.
시접 가이드부(142)의 일단은 탄성부재(144)의 탄성력에 바늘판(111)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되어 제1 시접(220)을 제2 누름부(141c)와 함께 바늘판(111) 방향으로 누른다. 그리고 제2 시접(230)의 경우 시접 가이드부(142)에 미치지 못하므로 바늘판(111)에 접한 상태에서 측면이 접한 제2 시접(230)을 가이드 한다.
이에 따라 제1 시접(220)은 재봉 가이드(130)에 의해 가이드되고, 제2 시접(230)은 시접 가이드부(142)에 의해 가이드되어 가상의 재봉선(210)은 위치가 변경되지 않고 재봉바늘(150)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시접(220, 230)의 폭(220w, 230w)이 가변 되어도 재봉 위치는 시접의 가변에 따라 달라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재봉기(100)는 재봉선 누름부(1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재봉선 누름부(145)는 제1 누름부(141b)와 시접 가이드부(142) 사이에 위치하여 승강유닛(121)과 연결되어 있다. 재봉선 누름부(145)는 노루발 본체(141)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재봉선 누름부(145)에는 재봉바늘(150)이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재봉선 누름부(145)의 하면은 가상의 재봉선(210) 주변을 직접 누르며, 재봉바늘(150)이 원단을 재봉할 때 재봉 부분이 들뜨지 않도록 눌러준다.
위 설명과 도면에서 시접 가이드부(142)의 일단이 탄성부재(144)의 탄성력에 의해 핀부재(143)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일단의 하면이 제2 시접의 상면 또는 바늘판과 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시접 가이드부(142)의 승강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시접 가이드부(142)가 Z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를 통해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시접 가이드부(142)에 대한 구성을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고하여 시접 가이드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접 가이드부(142)는 시접 가이드 몸체(142a) 및 탄성 누름부(142c)를 포함하며 제2 시접(230)의 상면을 누름과 동시에 제2 시접(230)의 측면과 접하여 이동하는 원단(200)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시접 가이드 몸체(142a)는 일측은 제1 누름부(141b)와 제2 누름부(141c) 사이에 위치하고 타측은 승강로드(121a)와 연결되어 있다.
시접 가이드 몸체(142a)의 하면과 일면을 연결하는 모서리 부분에는 원단(2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시접 가이드홈(142b)이 형성되어 있다. 시접 가이드홈(142b)은 제2 시접(230)의 측면과 접하는 제1 면(142f) 및 제2 시접(230)의 상면과 접하는 제2 면(142g)을 갖는다.
시접 가이드 몸체(142a)의 하면이 바늘판(111)과 접하면 제2 시접(230)은 시접 가이드홈(142b)에 위치하여 눌리고 가이드 될 수 있다. 시접 가이드홈(142b)의 가이드로 제2 시접(230)은 시접 가이드 몸체(142a)를 따라 반듯하게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면(142g)이 제2 시접(230)의 상면을 누르므로 재봉바늘(150)이 통과하는 가상의 재봉선(210) 주변은 바늘판(111) 상에 더욱 밀착되어 재봉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탄성 누름부(142c)는 제2 면(142g)에 위치하여 시접 가이드 몸체(142a)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탄성 누름부(142c)는 탄성부재(142d)의 탄성력에 의해 제2 시접(230)의 상면을 더욱 탄력적으로 눌러줄 수 있다.
제2 시접(230)이 시접 가이드홈(142b)에 위하여 눌리고 가이드되므로 원단의 재봉은 틀어짐 없이 정확하고 반듯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시트커버 제조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11은 시트 커버를 제조하기 위한 원단들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 커버 제조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13은 제조된 시트커버가 시트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임
도 11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시트 커버 제조 방법은 원단 디자인단계(S10) 및 재봉단계(S40)를 포함한다. 시트 커버 제조 방법은 품 재단단계(S20) 및 폼과 원단 결합단계(S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트 커버를 씌울 시트의 형상에 맞추어 원단을 디자인하고, 디자인에 맞추어 재단한다. 시트의 디자인을 고려하여 원단은 도면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조각으로 이루어진다. 조각들은 재봉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원단 디자인 시 원단(200)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가상의 재봉선(210)을 형성할 수 있다. 가상의 재봉선(210)은 재봉의 기준이 된다. 가상의 재봉선(210)은 원단 내측에 형성하여 시트 커버를 완성하였을 때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한다. 이때 시트 패드에 형성되는 시접홈(mh)(도 2 참조)을 고려하여 원단(200)의 위치에 따라 가상의 재봉선(210)과 원단의 단부와 거리(폭)는 다르게 형성된다. 폭에 따라 제1 시접(220)과 제2 시접(230)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2 시접(230)의 폭(230w)은 가상의 재봉선(210)을 기준으로 제1 시접(220)의 폭(220w)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S10).
원단의 재단이 완료되면, 원단에 맞추어 폼을 재단할 수 있다. 폼의 면적은 원단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한다. 그러나 폼의 면적과 원단의 면적은 같을 수 있다. 이 경우 원단(200)에 형성된 가상의 재봉선(210)이 보이지 않으므로 폼(300)에 가상의 재봉선을 형성할 수 있다(S20).
폼(300)을 원단(200)의 이면에 배치하여 서로 결합한다. 폼(300)과 원단(200)의 결합은 폼(300)의 용융되거나 접착제 따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폼(300)과 원단(200)의 결합에 대해서는 공지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폼(300)의 면적이 원단(200)의 면적보다 적으므로 폼(300)의 측면과 원단(200)의 측면의 거리(L)는 3mm 내지 5mm 이격될 수 있다. 거리(L)의 수치는 디자인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S30).
폼이 결합된 원단 또는 폼이 결합되지 않은 원단을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재봉기(100)를 이용하여 재봉한다(S40).
재봉할 원단을 중첩한다. 이때 시트 커버의 표면을 이루는 부분이 서로 접하도록 하여 재봉할 원단을 중첩한다. 중첩되는 원단의 가상의 재봉선은 서로 일치하도록 한다. 재봉할 원단을 바늘판(111)과 시접 가이드형 노루발(140) 사이로 위치시켜 제1 시접(220)의 측면이 재봉 가이드(130)에 접하도록 한다. 이때 가상의 재봉선(210)은 제1 누름부(141b)와 시접 가이드부(142) 사이에 위치하여 재봉바늘(150)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승강유닛(121)의 작동으로 하강한 승강 시접 가이드형 노루발(140)과 재봉선 누름부(145)는 원단(200)에 밀착되어 원단(200)을 바늘판(111) 방향으로 누를 수 있다. 제1 누름부(141b)는 가상의 재봉선(210)을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하여 원단을 누르고, 제2 누름부(141c)와 시접 가이드부(142)는 가상의 재봉선(210)을 기준으로 외측에 위치하여 제2 시접(230)의 상면을 누른다. 시접 가이드부(142)의 일단은 탄성부재(144)의 탄성력에 의해 바늘판(111) 방향으로 가압되어 제2 시접(230)의 상면을 더욱 누른다. 그리고 재봉선 누름부(145)는 재봉이 이루어지는 가상의 재봉선(210) 주변을 직접 누른다.
구동부에 의해 재봉바늘(150)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재봉할 원단을 관통하면서 원단을 재봉하며 원단의 이동으로 가상의 재봉선(210)을 따라 재봉선이 형성되고 적층된 원단은 서로 결합된다. 그리고 원단은 이동할 때 재봉 가이드(130)에 의해 가이드되어 반듯하게 이동한다.
원단의 이동으로 제2 시접(230)이 시접 가이드형 노루발(140)에 도달하면 제1 시접(220)의 폭(220w) 보다 좁은 폭(230w)을 갖는 제2 시접(230)은 시접 가이드부(142)와 제2 누름부(141c) 아래에 위치하지 않는다. 이에 제2 누름부(141c)는 바늘판(111)과 마주하며 시접 가이드부(142)는 그 일단이 탄성부재(144)의 탄성력에 의해 핀부재(143)를 기준으로 바늘판(111) 방향으로 회전하여 바늘판(111)과 접하게 된다. 이때 제2 시접(230)의 측면은 시접 가이드부(142)의 일면과 접하게 된다. 원단(200)은 시접 가이드부(142)에 의해 가이드되어 반듯하게 이동한다.
이후, 제1 시접(220)이 다시 시접 가이드형 노루발(140)에 도달하면 제2 시접(230)의 상면은 시접 가이드부(142)와 제2 누름부(141c) 아래에 위치하여 눌리게 된다. 이때 시접 가이드부(142)의 전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모서리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제1 시접(220)은 시접 가이드부(142)에 걸리지 않고 시접 가이드부(142) 아래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시접 가이드부(142)의 일단은 곡면의 모서리에 의해 제1 시접(220)의 상면으로 자연스럽게 오를 수 있다. 즉, 시접 가이드부(142)는 핀부재(143)를 기준으로 그 일단이 들리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 시접(220)의 상면에 위치하여 제1 시접(220)을 바늘판(111) 방향으로 누르며 재봉바늘(150)은 원단을 재봉한다.
위 설명에서 원단에 폼을 결합한 후 원단들을 재봉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원단에 폼을 결합하지 않고 원단만 재봉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시접의 가변 구간 재봉 시 커팅하지 않고 디자인 단계에서 가변 구간을 형성하고 가변에 따라 재봉 가이드(130) 또는 시접 가이드부(142)를 통해 원단을 가이드 하므로 가상의 재봉선은 재봉바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이에 원단의 재봉 공정이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의 재봉선을 기준으로 제1 시접(220)은 테이블에 배치된 재봉 가이드(130)가 가이드하고, 제1 시접보다 폭이 좁은 제2 시접은 시접 가이드형 노루발에 장착된 시접 가이드부가 가이드 하므로 가상의 재봉선은 시접의 폭 가변에 그 위치가 달라지지 않고 항상 재봉바늘 아래에서 이동한다. 이에 재봉바늘의 재봉 위치가 달라지지 않아 원단 재봉을 디자인에 맞추어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재봉기 110: 테이블
111: 바늘판 120: 재봉본체
121: 승강유닛 121a: 승강로드
121b: 바늘대 130: 재봉 가이드
140: 시접 가이드형 노루발
141: 노루발 본체 141a: 결합부
141b: 제1 누름부 141c: 제2 누름부
141d: 배치공간 141e: 개방부
141f: 연결부 142: 시접 가이드부
142a: 시접 가이드 몸체 142b: 시접 가이드홈
142c: 탄성 누름부 142d: 탄성부재
142e: 모서리 142f: 제1 면
142g: 제2 면 143: 핀부재
144: 탄성부재 145: 재봉선 누름부
150: 재봉바늘 200: 원단
210: 가상의 재봉선 220: 제1 시접
230: 제2 시접 220w, 230w: 폭
220t, 230t: 상면 220s, 230s: 측면
300: 폼 L: 거리

Claims (16)

  1. 가상의 재봉선을 기준으로 폭이 다른 제1 시접과 제2 시접을 가이드하여 상기 가상의 재봉선을 따라 재봉선이 반듯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바늘판이 배치되어 있는 테이블,
    일측이 상기 바늘판 위에 위치하고 타측이 상기 테이블과 연결된 재봉본체,
    상기 재봉본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는 승강유닛,
    상기 바늘판과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시접을 가이드할 수 있는 재봉 가이드 및
    상기 승강유닛의 승강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바늘판과 마주하며 상기 제2 시접을 가이드할 수 있는 시접 가이드형 노루발
    을 포함하며,
    상기 시접 가이드형 노루발과 상기 바늘판 사이로 재봉할 원단이 통과할 수 있고, 상기 승강유닛에 의해 하강한 상기 시접 가이드형 노루발은 상기 제1 시접은 누르고 상기 제2 시접은 측면과 접하여 가이드 하는
    재봉기.
  2. 제1항에서,
    상기 시접 가이드형 노루발은,
    상기 승강유닛과 연결된 결합부,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어 있고 원단과 접할 수 있는 제1 누름부,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어 상기 재봉 가이드와 이웃하며 원단과 접할 수 있는 제2 누름부 및
    상기 제1 누름부와 상기 제2 누름부 사이에 위치하여 승강할 수 있고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시접을 가이드하는 시접 가이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시접 가이드부는 상기 제2 시접의 측면 가이드 시 하면이 상기 바늘판에 밀착되고, 상기 제1 누름부와 상기 시접 가이드부 사이로 재봉바늘이 위치하는
    재봉기.
  3. 제2항에서,
    상기 시접 가이드부가 상기 바늘판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재봉기.
  4. 제3항에서,
    상기 시접 가이드부의 하면과 전면을 연결하는 모서리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재봉기.
  5. 제3항에서,
    상기 제2 누름부에 체결되어 상기 시접 가이드부를 관통하는 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접 가이드부는 상기 핀부재를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는 재봉기.
  6. 제5항에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핀부재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시접 가이드부가 회동하도록 일단에 탄성력을 가하는 재봉기.
  7. 제2항에서,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누름부와 상기 시접 가이드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재봉바늘이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재봉바늘이 통과하는 원단 부분을 누르는 재봉선 누름부를 더 포함하는 재봉기.
  8. 제2항에서,
    상기 시접 가이드부의 하부 내측에는 상기 원단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시접이 위치하는 시접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접 가이드홈을 이루는 제1 면은 상기 제2 시접의 측면과 접하고 제2 면은 상기 제2 시접의 상면과 접하는 재봉기.
  9. 제8항에서,
    상기 시접 가이드부는,
    상기 시접 가이드홈이 형성된 시접 가이드 몸체 및
    상기 제2 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시접의 상면을 탄력적으로 누르는 탄성 누름부를
    포함하는 재봉기.
  10. 제1항에서,
    상기 재봉 가이드는
    상기 테이블에 고정되어 있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에 제1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된 슬라이드바,
    상기 슬라이드바와 연결되어 상기 브래킷 상면에 위치한 손잡이 및
    상기 슬라이드바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시접과 접하는 가이드몸체
    를 포함하며,
    상기 브래킷에는 상기 손잡이가 관통하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홈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재봉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되어 있는 재봉기를 이용하여 시트커버를 제조하는 것으로,
    원단을 설치할 시트의 형상에 맞추어 디자인하는 단계 및
    상기 재봉기를 이용하여 디자인된 원단들을 결합하는 재봉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디자인하는 단계에서,
    원단의 가장자리에 제1 시접 및 제2 시접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시접의 폭은 가상의 재봉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시접의 폭보다 좁은
    시트커버 제조 방법.
  15. 제14항에서,
    디자인한 상기 원단에 맞추어 폼을 재단하는 단계 및
    재단된 상기 폼과 디자인 원단을 결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폼의 측면은 상기 원단의 측면과 내측으로 3mm 내지 5mm 이격되게 위치하는 시트커버 제조 방법.
  16. 제14항에서,
    상기 재봉단계에서,
    상기 제1 시접의 측면은 상기 재봉기의 재봉 가이드와 접하고 상기 제2 시접의 측면은 상기 재봉기의 시접 가이드형 노루발에 위치한 시접 가이드부와 접하며, 상기 제1 시접의 측면이 상기 재봉 가이드와 접할 때 상기 시접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시접의 상면을 누르고 있는 시트커버 제조 방법.
KR1020190038432A 2019-04-02 2019-04-02 시접 가이드형 노루발 및 이를 포함하는 재봉기, 시트커버 제조 방법 KR102189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432A KR102189348B1 (ko) 2019-04-02 2019-04-02 시접 가이드형 노루발 및 이를 포함하는 재봉기, 시트커버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432A KR102189348B1 (ko) 2019-04-02 2019-04-02 시접 가이드형 노루발 및 이를 포함하는 재봉기, 시트커버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090A KR20200117090A (ko) 2020-10-14
KR102189348B1 true KR102189348B1 (ko) 2020-12-14

Family

ID=72847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432A KR102189348B1 (ko) 2019-04-02 2019-04-02 시접 가이드형 노루발 및 이를 포함하는 재봉기, 시트커버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3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4324A (ko) 2021-07-21 2023-01-30 석정호 가변 시접 가이드를 구비하는 재봉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141B1 (ko) * 2021-02-09 2023-02-16 송해붕 자동차 내장원단의 자수 또는 퀼팅 패턴 작업시 원단의 누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1429A (ja) 2008-08-27 2010-03-11 Tsuzuki:Kk ミシンの押え及びブラインドステッチ縫い目用の縫製方法
JP2015062611A (ja) 2013-09-26 2015-04-09 株式会社豊和化成 縫製装置とその縫製装置を用いた縫製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321Y1 (ko) 2003-02-26 2003-06-02 김희중 재봉기용 노루발
KR200315322Y1 (ko) 2003-02-26 2003-06-02 김희중 재봉기용 노루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1429A (ja) 2008-08-27 2010-03-11 Tsuzuki:Kk ミシンの押え及びブラインドステッチ縫い目用の縫製方法
JP2015062611A (ja) 2013-09-26 2015-04-09 株式会社豊和化成 縫製装置とその縫製装置を用いた縫製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4324A (ko) 2021-07-21 2023-01-30 석정호 가변 시접 가이드를 구비하는 재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090A (ko)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9348B1 (ko) 시접 가이드형 노루발 및 이를 포함하는 재봉기, 시트커버 제조 방법
JP4725863B2 (ja) 押え金及びミシン
US10596937B2 (en) Interior part of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023983B2 (en) Sewing machine presser foot
JP6047200B2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とデッキシーム及び袋縫いを行うための支持ガイド
US7418909B2 (en) Sewing device for sewing sealing material with base materials
US7267063B2 (en) Embroidery presser for embroidery machine
KR102539316B1 (ko) 가변 시접 가이드를 구비하는 재봉기
KR102098702B1 (ko) 미싱장치
US4022139A (en) Tacker guide and method
KR102479110B1 (ko) 상하부 이종의 시접을 형성하는 가이드를 구비하는 재봉기
KR102031775B1 (ko) 노루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헤드레스트용 커버제조방법
JP3781183B2 (ja) 玉縁縫いミシン
US6716023B2 (en) Thermal pressure die for forming seat
KR20180087083A (ko) 봉제물의 시접을 테이프로 마감 재봉하는 장치
JP3864110B2 (ja) ミシンの生地案内装置
KR20210154054A (ko) 포인트 원단 공급용 재봉틀의 노루발 어태치먼트 및 그에 의한 이불제조방법
TWI729090B (zh) 縫紉機
KR200494688Y1 (ko) 원단 고정용 지그 장치
JP2841193B1 (ja) ミシンにおける布縫い合わせ段部の縫製用押え金具
KR200315322Y1 (ko) 재봉기용 노루발
CN216998795U (zh) 一种压料组件
JPH0884873A (ja) 偏平縫いミシン
KR100679732B1 (ko) 오토지그 트리머 및 이를 이용한 패턴틀 제조공정
JP4224812B2 (ja) 玉縁材縫製用ミシンの被縫製物押さ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