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775B1 - 노루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헤드레스트용 커버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노루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헤드레스트용 커버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775B1
KR102031775B1 KR1020190002624A KR20190002624A KR102031775B1 KR 102031775 B1 KR102031775 B1 KR 102031775B1 KR 1020190002624 A KR1020190002624 A KR 1020190002624A KR 20190002624 A KR20190002624 A KR 20190002624A KR 102031775 B1 KR102031775 B1 KR 102031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er foot
pressing piece
fabrics
coupled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기형
Original Assignee
전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2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7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6Presser feet
    • D05B29/08Presser feet comprising relatively-mova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91Seat covering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manufacturing seat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2Presser-control devices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노루발 장치의 누름편들의 두께차이를 통해 헤드레스트 커버의 제작편의성 및 공정속도를 개선하는 노루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헤드레스트용 커버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루발 장치는 일단에서 하부에 해당하는 타단을 향해 연장되고 타단 일부는 전방으로 절곡 및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타단의 일측 및 타측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누름편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누름편들 각각의 저면은 봉제선을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수평선상에 위치한 원단을 동일압력으로 압박한다

Description

노루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헤드레스트용 커버제조방법{PRESSER FOOT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COVER FOR HEADREST USING THE SAM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노루발 장치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재봉틀에 장착되어 원단을 누르는 노루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헤드레스트용 커버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헤드레스트의 커버는 복수의 원단들을 헤드레스트를 둘러싸는 형태로 서로 봉제시킨 후 뒤집어 원단들이 이어진 부분을 안쪽으로 배치시키는 방법을 통해 외관이 수려하고 탑승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한다.
기존의 헤드레스트 커버의 봉제 공정은 통상적으로 원단 2장 또는 3장을 서로 봉제한 후 봉제선이 생성되는 위치에 남는 원단들 각각의 가장자리 중 어느 하나를 잘라내어 뒤집었을때 봉제선쪽에 위치한 부분의 외관이 돌출되거나 굴곡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원단들을 헤드레스트 커버 형태로 봉제한 상태에서는 봉제선쪽에 위치한 길이가 짧은 원단의 가장자리 부분을 가위로 자르는 공정이 난해하고, 균일한 절단면 형성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원단들을 봉제하기 전에 미리 원단을 자르고 봉제하는 경우, 봉제선을 사이에 두고 노루발이 밀착되는 원단의 표면 단차가 발생하여 봉제선의 완성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3603호는 재봉장치용 노루발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7349호는 재봉틀용 노루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발명들은 헤드레스트의 커버를 봉제하고 뒤집었을때 외관이 수려하고 공정의 편의성이 개선된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노루발 장치의 누름편들의 두께차이를 통해 헤드레스트용 커버의 제작편의성 및 공정속도를 개선하는 노루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헤드레스트용 커버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노루발 장치는 일단에서 하부에 해당하는 타단을 향해 연장되고 타단 일부는 전방으로 절곡 및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타단의 일측 및 타측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누름편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누름편들 각각의 저면은 봉제선을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수평선상에 위치한 원단을 동일압력으로 압박한다.
또한, 상기 제2 누름편은 상기 제1 누름편보다 상대적으로 하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누름편은 상단 일부분이 상기 제1 누름편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노루발 장치는 일단은 재봉틀 장치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연장되며 양측을 관통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누름편들 각각은 상기 바디의 양측에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서로 연동하여 각각이 밀착되는 서로 다른 수평선상에 위치한 원단을 동일하게 압박할 수 있다.
또한, 노루발 장치는 일단은 상기 공간에서 상기 바디의 전방 또는 후방 내측면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바디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누름편들 각각과 밀착되는 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부의 일단 및 타단 각각은 상기 바디의 타단과 동일한 자성의 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제조방법은 절단면이 서로 일치하고 각각의 겉감이 밀착되도록 상하부에 밀착 배치된 제1 및 제2 원단들 중 상기 제1 원단의 가장자리 겉감 및 안감 일부를 재단하여 재단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누름편의 저면은 제1 및 제2 원단을 누르고, 상기 제2 누름편의 저면은 상기 재단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원단을 상기 제1 누름편과 동일한 압력으로 누른 후 상기 제1 및 제2 원단들의 봉제를 통해 봉제선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원단의 봉제를 마친 후 상기 제1 및 제2 원단들 각각의 겉감을 상기 봉제선을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시킨 후 상기 제1 및 제2 원단을 뒤집어 헤드레스트 커버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루발 장치는 일측 또는 타측에 위치한 누름편이 반대쪽 누름편보다 상대적으로 하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봉제선을 사이에 두고 양측의 높이가 다른 원단을 균일한 압력으로 압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노루발 장치는 헤드레스트 커버를 위해 사용되고, 서로 상하부로 밀착된 원단들의 가장자리 일부분을 미리 재단한 상태에서 원단의 단차에 상관없이 원단을 안정적으로 압박하여 봉제선의 품질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노루발 장치를 통해 미리 재단된 원단들의 봉제가 가능하여, 봉제 후 가장자리 일부분을 재단하는 난해한 공정이 불필요하여 헤드레스트 커버제조공정의 편의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루발 장치의 사시도들.
도 2는 도 1의 노루발 장치의 일측 및 타측면을 나타내는 측면도들.
도 3은 도 1의 노루발 장치의 정면도 및 배면도들.
도 4는 도 1의 노루발 장치를 이용한 헤드레스트용 커버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들.
도 5는 도 4의 커버제조방법을 통해 제작된 커버의 사용상태도 및 단면도들.
도 6은 도 1의 노루발 장치를 이용하여 헤드레스트용 커버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들.
도 7 및 8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루발 장치의 사시도, 모식도 및 분해사시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루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커버제조방법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루발 장치의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노루발 장치의 일측 및 타측면을 나타내는 측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노루발 장치의 정면도 및 배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3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루발 장치(100)는 바디(200), 제1 누름편(300) 및 제2 누름편(400)을 포함한다.
노루발 장치(100)는 일측 또는 타측에 위치한 누름편들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봉제선(바느질선)을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수평선상에 위치한 원단에 균일한 압력을 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노루발 장치(100)는 단차가 있는 원단들 각각을 균일한 압력으로 압박하여, 재봉틀이 봉제하는 동안 봉제선이 안정적이고 일관된 형태로 형성되고, 누름편이 압박하지 못하는 원단에 의해 방해받는 시야의 확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200)의 일단은 재봉틀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고, 양측을 향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의 표면이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양측을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다.
바디(200)의 타단은 하부를 향해 확장되도록 연장되고, 바디(200)의 타단 일측 및 타측 전방 각각에는 제1 및 제2 누름편(300, 400)들 각각이 형성되어 봉제하는 과정에서 원단을 압박한다.
제1 누름편(300)의 일단은 바디(200)의 타단 일측에 결합되고, 제1 누름편(300)의 타단은 전방을 향해 상부면 및 저면이 상대적으로 넓은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며, 제1 누름편(300)의 타단 하부는 곡면이 형성되어 안전하게 원단을 압박한다.
제2 누름편(400)의 일단은 바디(200)의 타단 타측에 결합되고, 제2 누름편(400)의 타단은 전방을 향해 상부면 및 저면이 상대적으로 넓은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며, 제2 누름편(400)의 타단 하부에는 곡면이 형성되어 안전하게 원단을 압박한다.
제2 누름편(400)의 저면은 제1 누름편(300)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제2 누름편(400)의 저면은 제1 누름편(300)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수평선상에 형성된다.
제1 및 제2 누름편(300, 400)들 사이에는 봉제선이 노출되는 제1 공간(10)이 형성되고, 제1 공간(10)의 크기는 봉제방법에 따라 제1 및 제2 누름편(300, 400)들 각각의 위치를 조정하여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누름편(400)의 저면은 봉제선을 사이에 두고 바디(20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누름편(300)의 저면이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 원단의 표면을 압박하는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형성된 원단을 동일한 압력으로 압박할 수 있어 재봉 과정에서 원단의 이동이 안정적이고 시야확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제2 누름편(400)은 돌출부(420)를 포함한다.
제2 누름편(400)의 상단 일부분은 제1 누름편(300)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봉제선 및 제2 누름편(400) 사이에 배치되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원단이 제2 누름편(400)에 의해 봉제선으로 이동하여 봉제선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한다.
돌출부(420)는 제2 누름편(400)의 상단 일부분이 바디(200)의 일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도록 제1 공간(10)에 형성되고, 제1 공간(10)의 봉제선 및 제2 누름편(400)의 일측면 사이에 상부로 돌출된 원단의 일부분을 압박한다.
도 4는 도 1의 노루발 장치를 이용한 헤드레스트 커버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들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커버제조방법을 통해 제작된 커버의 사용상태도 및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1의 노루발 장치를 이용하여 헤드레스트 커버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들을 도시한다.
도 4 및 6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노루발 장치(100)를 이용하여 헤드레스트 커버를 제조하는 커버제조방법은 각각의 절단면이 서로 일치하도록 상하부에 밀착 배치된 제1 및 제2 원단(20, 30)들 중 제1 원단(20)의 절단면에 인접한 가장자리 제1 겉감(22) 및 제2 안감(21) 일부를 재단하여 재단면을 형성하면서 시작된다(S110 단계).
제1 원단(20)에 재단면이 형성된 상태에서 제1 누름편(300)의 저면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된 제1 원단(20)의 제1 안감(21)을 향해 하강하여 제1 안감(21)을 하부를 향해 압박한다(S120 단계).
도 4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누름편(300)의 저면이 봉제선(40)의 일측에 해당하는 제1 안감(21)을 누르는 상태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더 하강하면, 제2 누름편(400) 역시 제1 원단(20)의 절단을 통해 상부를 향해 노출되는 제2 원단(30)의 제2 겉감(32)을 압박한다(S120 단계).
따라서, 제2 누름편(400)은 제1 겉감(22)의 두께부터 제1 안감(21) 및 제1 겉감(22)이 중첩된 두께 사이의 거리만큼 제1 누름편(300)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헤드레스트용 커버에 사용되는 제1 및 제2 원단(20, 30)들이 봉제되는 과정에서 안정적으로 제1 및 제2 원단(20, 30)들을 압박한다(S120 단계).
도 5를 참조하면, 헤드레스트용 커버는 제1 원단(20) 및 제2 원단(30)만을 서로 결합하여 제작되거나, 차량 시트의 전방 및 후방 각각에 배치되는 제1 원단(20)들과 제1 원단(20)들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원단(30)을 서로 결합시켜 제작될 수 있고, 헤드레스트 커버의 형태에 따라 노루발 장치(100)를 통해 제1 원단(20) 및 제2 원단(30)이 서로 밀착되는 부분을 봉제하여 봉제선(40)을 형성한다(S120 단계).
헤드레스트 커버제작을 위한 봉제선(40)이 형성되면, 제1 및 제2 겉감(22, 32)들이 외부를 향해 배치되도록 봉제선(40)을 통해 서로 연결된 제1 및 제2 원단(20, 30)들을 뒤집는다(S130 단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원단(20, 30)들이 뒤집어져 헤드레스트 커버의 형태로 제작되면, 봉제선(40)이 형성되기 전에 재단된 제1 안감(21) 및 제1 겉감(22)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공간에 제2 안감(31) 및 제2 겉감(32)의 가장자리 부분이 배치되어 제1 겉감(22)이 제2 원단(30)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된다(S130 단계).
따라서, 봉제선(40)이 형성되기 전에 재단된 제1 안감(21) 및 제1 겉감(22)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공간을 통해 완성된 헤드레스트용 커버의 외관이 개선되고, 제1 안감(21) 및 제1 겉감(22)의 일부분의 재단의 작업편의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S130 단계).
한편, 제1 및 제2 원단(20, 30)들이 뒤집어져 헤드레스트 커버로 제작되면, 헤드레스트 커버의 전방에서 봉제선(40)의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의 제1 겉감(22), 제1 안감(21), 제2 겉감(32) 및 제2 안감(31)을 봉제선(42)을 통해 봉제하여 헤드레스트 커버를 시트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제2 겉감(32) 및 제2 안감(31)의 일부분이 상부로 밀려올라가면서 제1 겉감(22)을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헤드레스트 커버의 후방에서 봉제선(40)의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의 제1 겉감(22), 제1 안감(21), 제2 겉감(32) 및 제2 안감(31)을 봉제선(44)을 통해 봉제하여 헤드레스트 커버를 시트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제2 겉감(32) 및 제2 안감(31)의 일부분이 상부로 밀려올라가면서 제1 겉감(22)을 후방으로 돌출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봉제선(46)의 경우 헤드레스트 커버의 하부 가장자리의 외관 및 마감을 위해 봉제선(42) 및 봉제선(44)과 연결되도록 헤드레스트 커버의 하부 가장자리에서 제1 겉감(22) 및 제2 안감(21)을 봉제하면서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8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루발 장치의 사시도, 모식도 및 분해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노루발 장치(120)는 바디(220), 제1 누름편(320), 제2 누름편(440) 및 조정부(500)를 포함한다.
노루발 장치(120)는 일단은 재봉틀 장치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연장된 후 전방을 향해 두 갈래로 분리되면서 연장되어 제1 및 제2 누름편(320, 440)들 각각이 노루발 장치(120)의 일측 및 타측 각각에 형성된다.
제1 및 제2 누름편(320, 440)들 각각은 서로 링크를 통해 연동하도록 형성되어 바디(220)를 따라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각각이 밀착되는 서로 다른 수평선상에 위치한 원단을 동일하게 압박한다.
구체적으로, 바디(220)는 슬라이딩부(222)를 포함한다.
바디(220)의 일단은 재봉틀 장치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양측을 관통하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슬라이딩부(222)의 일단 전면 및 배면은 바디(220)의 타단에 형성된 공간에서 바디(220)의 전후방 내측면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바디(220)의 타단을 지나 하부를 향해 연장된다.
슬라이딩부(222)의 양측면에는 상하부를 향해 길게 연장된 형태의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전방 및 후방에는 슬라이딩부(222)의 내측면 일부분에서 전방 및 후방 각각을 향해 함몰되어 슬라이딩홈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홈은 슬라이딩부(222)의 일단 및 타단 사이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은 상기 삽입홈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어 슬라이딩부(222)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형성된다.
제1 누름편(320)은 돌출부(322) 및 슬라이딩유닛(324)을 포함한다.
제1 누름편(320)의 일단은 바디(220)의 타단 일측면과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돌출부(322)는 제1 누름편(320)의 상단 일부분이 바디(220)의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슬라이딩유닛(324)은 제1 누름편(320)의 일단 측면에서 바디(220)의 일측면을 향해 형성된다.
슬라이딩유닛(324)은 상부 및 하부를 향해 길게 연장된 바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의 전면 및 배면 각각에는 슬라이딩부(222)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누름편(320)은 슬라이딩유닛(324)을 통해 슬라이딩부(222)와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돌기의 이동이 상기 슬라이딩홈의 공간안에서만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제한되므로 제1 누름편(320)이 바디(220)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2 누름편(440)은 돌출부(442) 및 슬라이딩유닛(444)을 포함한다.
제2 누름편(440)의 일단은 바디(220)의 타단 타측면과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돌출부(442)는 제2 누름편(440)의 상단 일부분이 바디(220)의 일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슬라이딩유닛(444)은 제2 누름편(440)의 일단에서 바디(220)의 타측면을 향해 형성된다.
슬라이딩유닛(444)은 상부 및 하부를 향해 길게 연장된 바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의 전면 및 배면 각각에는 슬라이딩부(222)의 타측에 형성된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슬라이딩유닛(324)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 누름편(440)은 슬라이딩유닛(444)을 통해 슬라이딩부(222)와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돌기의 이동이 상기 슬라이딩홈의 공간안에서 제한되므로 제2 누름편(440)이 바디(220)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조정부(500)는 링크(520), 제1 가압유닛(540) 및 제2 가압유닛(560)을 포함한다.
조정부(500)의 일단은 바디(220)의 타단 중앙에 형성된 공간에서 바디(220)의 전방 및 후방 내측면 각각과 전후방의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바디(220)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제1 및 제2 누름편(320, 440)들 각각의 일단 상부면과 밀착된다.
따라서, 제1 누름편(320)의 저면이 상대적으로 높은 제1 안감(21)과 밀착된 상태에서 노루발 장치(120)가 하강을 계속하면, 조정부(500)의 회동 및 압력에 의해 제2 누름편(440)이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대적으로 하부에 형성되는 제2 겉감(32)을 압박한다.
구체적으로, 링크(520)의 일단은 바디(220)의 타단에 형성된 공간에서 바디(220)의 전방 및 후방 내측면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바디(220)의 일측 및 타측 하부를 향해 각각 경사지게 두 갈래로 갈라지면서 연장된다.
제1 가압유닛(540)은 바디(220)의 일측에 원형의 평면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된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바디(220)의 일측으로 연장된 링크(520)의 타단과 결합된다.
제2 가압유닛(560)은 바디(220)의 타측에서 원형의 평면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된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바디(220)의 타측으로 연장된 링크(520)의 타단과 결합된다.
따라서, 제1 누름편(320)이 상부를 향해 이동하는 경우, 제1 가압유닛(540)이 상부를 향해 이동하면서 제2 가압유닛(560)을 하부를 향해 이동시키고, 제2 누름편(440)은 제2 가압유닛(560)의 하강 구동에 의해 하강한다.
또한, 제2 누름편(440)이 상부를 향해 이동하는 경우, 제2 가압유닛(560)이 상부를 향해 이동하면서 제1 가압유닛(540)을 하부를 향해 이동시키고, 제1 누름편(320)은 제1 가압유닛(540)의 하강 구동에 의해 하강한다.
또한, 노루발 장치(120)는 봉제선(40)의 양측에 배치되는 원단의 높이 차이가 매번 다른 경우에도 자동으로 봉제선(40) 양측에 해당하는 원단을 균일한 압력으로 압박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제1 가압유닛(540), 제2 가압유닛(560) 및 바디(220)는 서로 동일한 극을 가지는 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제1 또는 제2 가압유닛(540, 560)들 각각은 링크(520)의 일단의 회동으로 바디(220)에 접근하는 경우 자성의 반발력이 작용하므로 제1 및 제2 누름편(320, 440)들 각각이 원단과 분리되어 상승하면, 제1 또는 제2 가압유닛(540, 560)들 각각은 스스로 동일한 수평선상의 원위치로 복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또는 제2 가압유닛(540, 560)들 각각의 바디(220)에 대한 자성의 반발력 때문에 노루발 장치(120)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동안에 제1 및 제2 누름편(320, 440)들은 안정적으로 동일 수평선상에 배치되는 상태를 유지하고, 밀착되는 원단의 단차에 따라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하면서 안정적으로 원단을 압박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노루발 장치
200: 바디 300, 320: 제1 누름편
400, 440: 제2 누름편 500: 조정부

Claims (7)

  1. 일단에서 하부에 해당하는 타단을 향해 연장되고 타단 일부는 전방으로 절곡 및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일단은 재봉틀 장치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연장되며 양측을 관통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바디;
    각각의 일단은 상기 바디의 타단 일측면 및 타측면 각각과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누름편들; 및
    상부는 상기 공간에서 상기 바디의 전방 및 후방 내측면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바디의 일측 및 타측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두 갈래로 갈라지며 연장되는 링크, 상기 바디의 일측 및 타측에서 원형의 평면이 전후방으로 연장된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링크의 하부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 가압유닛들을 포함하는 조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누름편들은 상기 제1 및 제2 가압유닛들을 통해 서로 연동되어 각각이 밀착되는 서로 다른 수평선상에 위치한 원단을 동일한 압력으로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루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누름편은,
    상기 제1 누름편보다 상대적으로 하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루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누름편은,
    상단 일부분이 상기 제1 누름편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루발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압유닛들 각각은 상기 바디의 타단과 동일한 자성의 자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루발 장치.
  7. 일단은 재봉틀 장치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연장되며 양측을 관통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바디;
    각각의 일단은 상기 바디의 타단 일측면 및 타측면 각각과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누름편들; 및
    상부는 상기 공간에서 상기 바디의 전방 및 후방 내측면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바디의 일측 및 타측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두 갈래로 갈라지며 연장되는 링크, 상기 바디의 일측 및 타측에서 원형의 평면이 전후방으로 연장된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링크의 하부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누름편들 각각과 밀착되는 제1 및 제2 가압유닛들을 포함하는 조정부;를 포함하는 노루발 장치를 이용하여 헤드레스트 커버를 제조하는 커버제조방법에 있어서,
    절단면이 서로 일치하고 각각의 겉감이 밀착되도록 상하부에 밀착 배치된 제1 및 제2 원단들 중 상기 제1 원단의 가장자리 겉감 및 안감 일부를 재단하여 재단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누름편의 저면은 제1 및 제2 원단을 누르고, 상기 제2 누름편의 저면은 상기 재단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원단을 상기 제1 누름편과 동일한 압력으로 누른 후 상기 제1 및 제2 원단들의 봉제를 통해 봉제선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원단의 봉제를 마친 후 상기 제1 및 제2 원단들 각각의 겉감을 상기 봉제선을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시킨 후 상기 제1 및 제2 원단을 뒤집어 헤드레스트 커버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제조방법.

KR1020190002624A 2019-01-09 2019-01-09 노루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헤드레스트용 커버제조방법 KR102031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624A KR102031775B1 (ko) 2019-01-09 2019-01-09 노루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헤드레스트용 커버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624A KR102031775B1 (ko) 2019-01-09 2019-01-09 노루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헤드레스트용 커버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1775B1 true KR102031775B1 (ko) 2019-10-15

Family

ID=68209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624A KR102031775B1 (ko) 2019-01-09 2019-01-09 노루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헤드레스트용 커버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7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612B1 (ko) * 2021-10-05 2022-04-21 주식회사 일신에스티 자동차 헤드레스트 커버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322Y1 (ko) * 2003-02-26 2003-06-02 김희중 재봉기용 노루발
KR200394996Y1 (ko) * 2005-04-06 2005-09-07 주식회사 대유에이텍 자동차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커버
KR20120051153A (ko) * 2010-11-12 2012-05-22 주식회사 썬스타 재봉기의 노루발 승하강 높이조절장치
CN202466133U (zh) * 2011-12-22 2012-10-03 天津应大股份有限公司 一种加工塔克的高低压脚结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322Y1 (ko) * 2003-02-26 2003-06-02 김희중 재봉기용 노루발
KR200394996Y1 (ko) * 2005-04-06 2005-09-07 주식회사 대유에이텍 자동차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커버
KR20120051153A (ko) * 2010-11-12 2012-05-22 주식회사 썬스타 재봉기의 노루발 승하강 높이조절장치
CN202466133U (zh) * 2011-12-22 2012-10-03 天津应大股份有限公司 一种加工塔克的高低压脚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612B1 (ko) * 2021-10-05 2022-04-21 주식회사 일신에스티 자동차 헤드레스트 커버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0119B2 (en) Trim cover assembly and sewing method for forming same
CN106192236A (zh) 自动衬衫袖叉机
KR102031775B1 (ko) 노루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헤드레스트용 커버제조방법
US4928609A (en) Automatic sewing apparatus
US2487285A (en) Presser foot for stitching machines
KR102098702B1 (ko) 미싱장치
KR102539316B1 (ko) 가변 시접 가이드를 구비하는 재봉기
JP3754880B2 (ja) ミシンの押え金
JP3781183B2 (ja) 玉縁縫いミシン
EP0491056A1 (en) Sewing method and device
JP5126744B2 (ja) 車屋内装置品
CN211897326U (zh) 一种移动压脚缝纫机构
JP3499358B2 (ja) 布案内を備えたメスつき押えをもつミシン
JP2841193B1 (ja) ミシンにおける布縫い合わせ段部の縫製用押え金具
CN210215789U (zh) 汽车配件生产用缝纫机压脚结构
JP2001038079A (ja) ミシンの布押え装置
JP6846904B2 (ja) 飾りステッチ付き表皮材の製造方法
JPH0229357B2 (ko)
US5493981A (en) Semi-automatic top stitcher with die plate and movable support
JP6443859B2 (ja) 畳縫着装置、および、畳縫着方法
TWM250948U (en) Fabric guide device for a sewing machine
JP3586408B2 (ja) ミシンの押え金
CN215757938U (zh) 一种面剪装置
KR102616304B1 (ko) 안내지그가 부착된 차량의 헤드레스트 커버용 재봉기
JPS5856633Y2 (ja) ミシンの押え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