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600Y1 - 바인더 용 문서 홀더 - Google Patents

바인더 용 문서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600Y1
KR200494600Y1 KR2020190004994U KR20190004994U KR200494600Y1 KR 200494600 Y1 KR200494600 Y1 KR 200494600Y1 KR 2020190004994 U KR2020190004994 U KR 2020190004994U KR 20190004994 U KR20190004994 U KR 20190004994U KR 200494600 Y1 KR200494600 Y1 KR 2004946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er
document
extension
document hold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9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1367U (ko
Inventor
남정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원디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원디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원디앤피
Priority to KR20201900049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600Y1/ko
Publication of KR202100013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3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6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6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02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flexible or resilien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3/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involving perforations; Means therefor; Sheet details therefor
    • B42F3/04Attachment means of ring, finger or claw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41/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books or filing appliances
    • B42P2241/08Perforations or slots that can cooperate with filing means as claws, rings or the like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인더 용 문서 홀더를 제공한다. 바인더 용 문서 홀더는, 바인더 용 문서 홀더에 있어서, 바(Bar) 형상을 가지는 바디와; 문서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에 각각 삽입되도록,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과 상이한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인더 용 문서 홀더{Document holder for binders}
본 고안은 바인더 용 문서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인더는 서류, 팜플렛 등의 문서를 수시로 삽입하거나 빼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인더 내면에는 링 형상의 고정구가 제공되고, 고정구는 판 스프링 등의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고 닫혀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는 고정구를 벌려 문서를 고정구에 삽입하고, 고정구에 문서가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구를 닫아 바인더에 문서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반대되는 방식으로 문서를 바인더로부터 빼낼 수 있다.
바인더에 문서를 삽입하는 방식으로는, 문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공을 형성하고 문서에 형성된 타공을 바인더에 제공되는 고정구에 삽입하는 직접 삽입 방식과 문서에 형성된 개구에 문서 홀더를 삽입하고 문서 홀더를 바인더에 제공되는 고정구에 체결하는 간접 삽입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 간섭 삽입 방식의 경우 문서가 바인더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문서 홀더를 매개로 문서를 쉽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종류의 문서들을 카테고리에 따라 문서 홀더에 삽입시킴으로써, 카테고리 별로 문서를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간접 삽입 방식은 바인더에 대하여 삽입과 빼냄이 빈번하고, 바인더에서 빼낸 상태에서 사용자가 들고 다닐 필요가 있고, 카테고리 별로 문서 구분이 요구되는 카탈로그, 팜플렛 등을 바인더에 삽입하는 경우에 자주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바인더 용 문서 홀더가 문서에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팜플렛 또는 카탈로그 등의 문서(D)는 접혀질 수 있다. 문서(D)가 접혀진 영역 중 어느 하나에는 개구가 형성된다. 문서(D)에 형성된 개구에는 문서 홀더(1)가 삽입된다. 문서 홀더(1)가 문서(D)에 삽입된 상태에서 문서 홀더(1)가 가지는 체결부는 바인더에 제공되는 고정구에 체결된다.
그러나, 문서 홀더(1)가 바인더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문서(D)는 문서 홀더(1)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문서 홀더(1)가 바인더에 제공되는 고정구에 체결되는 경우에는 문서 홀더(1)의 체결부가 고정구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나, 문서 홀더(1)가 바인더에 제공되는 고정구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문서 홀더(1)의 체결부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문서 홀더(1)가 바인더로부터 분리되면 문서(D)는 문서 홀더(1)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문서 홀더(1)를 바인더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문서(D)를 적절히 파지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또한, 도 1의 'A' 영역을 살펴보면 알 수 있듯이, 문서(D)가 접히는 영역과 문서 홀더(1)의 체결부 간에는 일정한 갭(Gap)이 있다. 이에, 문서(D)가 바인더에 삽입된 상태이어도 문서(D)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문서 홀더(1)가 바인더에 체결된 상태에서 바인더를 계속하여 들고 다니게 되면, 문서(D)의 위치가 반복적으로 변경되고 문서(D)는 파손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사용자가 문서를 용이하게 파지 할 수 있는 바인더 용 문서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문서가 본 고안의 문서 홀더부터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바인더 용 문서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의 문서 홀더가 바인더에 결합된 경우에도 문서의 위치를 적절히 고정함으로써 문서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바인더 용 문서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의 문서 홀더가 삽입된 문서가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바인더 용 문서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들로부터 본 고안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바인더 용 문서 홀더를 제공한다. 바인더 용 문서 홀더는, 바인더 용 문서 홀더에 있어서, 바(Bar) 형상을 가지는 바디와; 문서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에 각각 삽입되도록,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과 상이한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연장부는, 바인더의 내면에 제공되는 고정구에 체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바디와 상기 체결부 사이에 제공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체결부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바디보다 상기 체결부에 더 인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연장부는,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연장부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돌출부가 돌출되는 방향과 상기 연장부들 중 다른 하나로부터 상기 돌출부가 돌출되는 방향은 서로 반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연장부는,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제공되고, 상기 연장부 중 어느 일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제공되고, 상기 연장부 중 다른 일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돌출부가 제공되지 않는 상기 연장부는 상기 돌출부가 제공되는 상기 연장부들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방향과 상이한 제2방향을 따라 상기 연장부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방향과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은 서로 수직하고, 상기 제2방향과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문서 홀더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문서 홀더는, 합성 수지를 포함하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문서를 용이하게 파지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문서가 본 고안의 문서 홀더부터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본 고안의 문서 홀더가 바인더에 결합된 경우에도 문서의 위치를 적절히 고정함으로써 문서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본 고안의 문서 홀더가 삽입된 문서가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들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바인더 용 문서 홀더가 문서에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인더 용 문서 홀더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바인더 용 문서 홀더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바인더 용 문서 홀더가 휘어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인더 용 문서 홀더가 문서에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바인더 용 문서 홀더가 삽입된 문서가 바인더에 체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바인더 용 문서 홀더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인더 용 문서 홀더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바인더 용 문서 홀더의 정면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바인더 용 문서 홀더(100)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바인더 용 문서 홀더(100)의 길이 방향과 상이한 방향을 제1방향(12)으로 정의한다. 예컨대, 제1방향(12)은 바인더 용 문서 홀더(10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또한, 바인더 용 문서 홀더(100)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제1방향(12)과 상이한 방향을 제2방향(14)으로 정의한다. 예컨대, 제2방향(14)은 제1방향(12)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제2방향(14)은 바인더 용 문서 홀더(100)의 길이 방향과 서로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제1방향(12)과 제2방향(14)에 대하여 상이한 방향을 제3방향(16)으로 정의한다. 예컨대, 제3방향(16)은 제1방향(12) 및 제2방향(14)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바인더 용 문서 홀더(100)는 바디(110), 연장부(130), 그리고 돌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10)는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디(110)는 일 단과 타 단이 라운드(Round) 진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디(110)는 두께와 너비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바디(110)는 두께보다 너비가 더 클 수 있다.
연장부(130)는 바디(110)로부터 바디(110)의 길이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130)는 바디(11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130)는 바디(110)로부터 제1방향(1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방향(12)과 바디(110)의 길이 방향은 서로 수직할 수 있다.
연장부(130)는 체결부(132)와 연결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132)는 바인더에 제공되는 고정구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132)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체결부(132)는 원형의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체결부(132)와 바디(110) 사이에는 연결부(134)가 제공될 수 있다. 연결부(134)는 바디(110)로부터 연장되고, 체결부(132)는 연결부(134)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즉, 바디(110), 체결부(132), 그리고 연결부(134)는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돌출부(150)는 연장부(13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150)는 제1방향(12)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부(13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150)는 제2방향(14)을 따라 연장부(13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2방향(14)은 제1방향(12)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제2방향(14)은 바디(110)의 길이 방향과 같은 방향일 수 있다. 돌출부(150)는 연장부(130)의 체결부(132)와 연결부(134) 중 연결부(134)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150)의 끝 단은 체결부(132)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예컨대, 체결부(132)의 외면에 접하고, 제1방향(12)에 평행한 가상의 직선을 상정하였을 때, 돌출부(150)의 끝 단은 상기 가상의 직선을 지나도록 연결부(134)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50)는 바디(110)보다 체결부(132)에 더 인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연장부(130)가 문서에 형성된 개구에 삽입되면, 문서는 돌출부(150)와 바디(110) 사이의 갭(Gap)에 끼워질 수 있다.
연장부(130)는 문서(D)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에 각각 삽입되도록, 바디(110)로부터 제1방향(12)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130)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연장부(130)는 3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연장부(130)는 바디(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제공될 수 있다. 연장부(130)들 중 어느 일부에는 돌출부(150)가 제공될 수 있다. 연장부(130)들 중 다른 일부에는 돌출부(150)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돌출부(150)가 제공되지 않는 연장부(130)는 돌출부(150)가 제공되는 연장부(130)들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연장부(130)가 3 개로 제공되는 경우 바디(110)의 일 단, 그리고 타 단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연장부(130)에는 돌출부(150)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바디(110)의 일 단, 그리고 타단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연장부(130)들 사이에 제공되는 연장부(130)에는 돌출부(150)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연장부(130)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부(150)가 돌출되는 방향과 연장부(130)들 중 다른 하나로부터 돌출부(150)가 돌출되는 방향은 서로 반대될 수 있다. 예컨대, 바디(110)의 일 단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연장부(130)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150)는 위 방향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바디(110)의 타 단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연장부(130)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150)는 아래 방향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바인더 용 문서 홀더(10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바인더 용 문서 홀더(100)는 합성 수지를 포함하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바인더 용 문서 홀더(100)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바인더 용 문서 홀더(100)는 사출 금형 방식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바인더 용 문서 홀더(100)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공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인더 용 문서 홀더(100)는 휘어 질 수 있다. 이에, 바인더 용 문서 홀더(100)를 문서(D)에 형성된 개구에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인더 용 문서 홀더가 문서에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바인더 용 문서 홀더가 삽입된 문서가 바인더에 체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인더 용 문서 홀더(100)는 문서(D)에 형성된 개구에 삽입될 수 있다. 문서(D)에 형성된 개구는 문서(D)가 접혀진 영역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문서(D)에 형성된 개구는 복수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로 형성된 개구에는 바인더 용 문서 홀더(100)의 연장부(130)들이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바인더 용 문서 홀더(100)의 연장부(130)들이 문서(D)에 형성된 개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바인더 용 문서 홀더(100)는 바인더(200)의 본체(210)에 제공되는 고정 부재(220)에 체결될 수 있다. 고정 부재(220)는 바인더(200)의 내면에 제공될 수 있다. 고정 부재(220)는 판 스프링을 가지는 고정 판(222)과, 고정 판(222)에 결합되는 고정구(224)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구(224)는 고정 판(222)에 제공되는 판 스프링에 의해 벌려지거나 닫혀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바인더 용 문서 홀더(100)의 연장부(130)들이 문서(D)에 형성된 개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장부(130)가 가지는 체결부(132)는 고정구(224)에 체결될 수 있다.
일반적인 문서 홀더는 문서(D)에 형성된 개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구(224)에 체결되지 않으면 문서(D)로부터 이탈될 수 있었다. 이는 사용자가 문서(D)를 바인더(200)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적절히 파지하는 것을 어렵게 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인더 용 문서 홀더(100)에는 돌출부(150)가 형성된다. 즉, 문서(D)에 형성된 개구에 본 고안의 연장부(130)를 삽입시키면, 바인더 용 문서 홀더(100)의 바디(110)와 돌출부(150) 사이의 갭에 문서(D)가 끼워지게 된다. 이에, 바인더 용 문서 홀더(100)를 바인더(200)로부터 분리하더라도, 문서(D)가 바인더 용 문서 홀더(1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문서(D)를 바인더(200)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반적인 문서 홀더에서는 문서(D)가 적절히 고정되지 않아 문서(D)의 위치가 반복적으로 이동된다. 이는 문서(D)를 파손시킨다. 그러나,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인더 용 문서 홀더(100)에 의하면, 바인더 용 문서 홀더(100)가 바인더(200)에 체결되더라도 문서(D)는 돌출부(150)와 바디(110) 사이의 갭(Gap)에 끼워져 고정되므로, 문서(D)의 위치가 반복적으로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는 문서(D)가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 한다.
상술한 예에서는, 연장부(130)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부(150)가 연장되는 방향과 연장부(130)들 중 다른 하나로부터 돌출부(150)가 연장되는 방향은 서로 반대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30)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부(150)가 돌출되는 방향과 연장부(130)들 중 다른 하나로부터 돌출부(150)가 돌출되는 방향은 서로 같을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돌출부(150)가 돌출되는 방향이 바디(11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50)는 바디(1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부(13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50)는 바디(1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고, 바디(1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부(13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50)는 바디(1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고 바디(1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부(13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돌출부(150)가 연결부(134)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50)는 체결부(132)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50)는 체결부(132)로부터 바디(110)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서는 체결부(132)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부(150)가 돌출되는 방향과 체결부(132)들 중 다른 하나로부터 돌출부(150)가 돌출되는 방향이 서로 반대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32)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부(150)가 돌출되는 방향과 체결부(132)들 중 다른 하나로부터 돌출부(150)가 돌출되는 방향은 서로 같을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돌출부(150)가 돌출되는 방향이 바디(11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50)는 바디(1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체결부(132)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50)는 바디(1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고, 바디(1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체결부(132)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50)는 바디(1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고 바디(1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체결부(132)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고안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고안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고안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고안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고안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바인더 용 문서 홀더 : 100
바디 : 110
연장부 : 130
체결부 : 132
연결부 : 134
돌출부 : 150
바인더 : 200
본체 : 210
고정 부재 : 220
고정 판 : 222
고정구 : 224

Claims (12)

  1. 바인더 용 문서 홀더에 있어서,
    바(Bar) 형상을 가지는 바디와;
    문서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에 각각 삽입되도록,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과 상이한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바인더의 내면에 제공되는 고정구에 체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바디와 상기 체결부 사이에 제공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링 형상을 가지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방향과 상이한 제2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부로부터 돌출되는 바인더 용 문서 홀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바디보다 상기 체결부에 더 인접하게 제공되는 바인더 용 문서 홀더.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연장부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돌출부가 돌출되는 방향과 상기 연장부들 중 다른 하나로부터 상기 돌출부가 돌출되는 방향은 서로 반대되는 바인더 용 문서 홀더.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제공되고,
    상기 연장부 중 어느 일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제공되고,
    상기 연장부 중 다른 일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제공되지 않는 바인더 용 문서 홀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제공되지 않는 상기 연장부는 상기 돌출부가 제공되는 상기 연장부들 사이에 제공되는 바인더 용 문서 홀더.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과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은 서로 수직하고,
    상기 제2방향과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은 서로 동일한 바인더 용 문서 홀더.
  11.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홀더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공되는 바인더 용 문서 홀더.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홀더는,
    합성 수지를 포함하는 재질로 제공되는 바인더 용 문서 홀더.
KR2020190004994U 2019-12-11 2019-12-11 바인더 용 문서 홀더 KR2004946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994U KR200494600Y1 (ko) 2019-12-11 2019-12-11 바인더 용 문서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994U KR200494600Y1 (ko) 2019-12-11 2019-12-11 바인더 용 문서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367U KR20210001367U (ko) 2021-06-21
KR200494600Y1 true KR200494600Y1 (ko) 2021-11-12

Family

ID=76603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994U KR200494600Y1 (ko) 2019-12-11 2019-12-11 바인더 용 문서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600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1970A (ja) * 1998-11-12 2000-05-23 Hiroshi Sato ホル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534Y1 (ko) * 1987-02-11 1992-01-15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피복된 알루미늄 합금 소재판
JPH042687U (ko) * 1990-04-25 1992-01-10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1970A (ja) * 1998-11-12 2000-05-23 Hiroshi Sato ホル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367U (ko) 202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4691A (en) Device for storing a data diskette in a file folder
US7954212B2 (en) Sheet attaching instrument
US7159347B1 (en) Display sheet holder
US6672785B1 (en) Insert for a coil bound notebook
KR200494600Y1 (ko) 바인더 용 문서 홀더
US5257870A (en) Paper retaining means
US7052045B2 (en) Labeling device for bound materials
US20170341455A1 (en) Single booster binder mechanism
US20080048015A1 (en) Paper-box handle structure
US20080170927A1 (en) Snap together push button latch mechanism
KR20070014007A (ko) 다이어리 조립구조
JP2001018573A (ja) リングバインダ装置
JP5138749B2 (ja) 綴じ具
KR20080111265A (ko) 다이어리 조립구조
KR102130462B1 (ko) 다이어리 고정클립
KR200496530Y1 (ko) 링노트용 네임텍
JP4201500B2 (ja) 綴じ部材
JP6821252B2 (ja) 綴じ具のパッド
KR0139799Y1 (ko) 탁상용 카렌다의 케이스
JP3058172U (ja) ファイル金具の取付け機構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止め具
JP5204823B2 (ja) 綴じ具
US20190308438A1 (en) Flat Binder Clip
KR200344045Y1 (ko) 책갈피를 구비한 바인더
JP4272949B2 (ja) シート状物の保持具
JP2004122578A (ja) 綴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