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530Y1 - 링노트용 네임텍 - Google Patents

링노트용 네임텍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530Y1
KR200496530Y1 KR2020210001023U KR20210001023U KR200496530Y1 KR 200496530 Y1 KR200496530 Y1 KR 200496530Y1 KR 2020210001023 U KR2020210001023 U KR 2020210001023U KR 20210001023 U KR20210001023 U KR 20210001023U KR 200496530 Y1 KR200496530 Y1 KR 2004965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nametek
cover
fastening
no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0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416U (ko
Inventor
이주성
이소진
배유정
정다혜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2100010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530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4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4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5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5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21/00Indexing means; Indexing tabs or protectors therefor
    • B42F21/06Tabs detachably mounted on sheets, papers, cards, or suspension 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3/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involving perforations; Means therefor; Sheet details therefor
    • B42F3/04Attachment means of ring, finger or claw form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링노트용 네임텍에 관한 것이다. 상기 링노트형 네임텍은 링노트의 스프링에 체결되어 링노트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의 표지부; 상기 표지부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며 각각 연결 구멍을 갖는 2개의 체결부를 구비하는 네임텍 본체; 및 일단과 타단이 상기 연결 구멍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링노트용 네임텍{NAME TAG FOR RING NOTE}
본 고안은 링노트의 스프링에 체결되어 링노트를 식별하기 위한 링노트용 네임텍에 관한 것이다.
링노트(10)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지(11)와 커버(12)의 일측을 소정 간격으로 타공하고, 스프링(13)을 이용하여 속지(11)와 커버(12)를 체결하여 제작된 노트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링노트(10)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속지(11)와 커버(12)를 제본한 노트에 비해서 노트를 깨끗하게 뜯을 수 있고, 속지를 완전히 넘겨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필기할 때 책상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다.
특정 링노트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자는 링노트(10)의 커버(12)에 제목을 적을 수는 있으나, 앞 커버와 뒷 커버 사이에 위치한 노트의 등 부분인 스프링(13)에는 라벨을 붙일 수가 없다. 따라서, 여러 링노트를 책꽂이에 꽂거나 쌓아둔 경우, 찾고자 하는 링노트와 다른 링노트를 구별할 수 없어서 각각의 링노트를 일일이 확인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6-0004149호는 링노트의 앞, 뒤 커버에 부착 고정되는 네임텍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네임텍은, 사용자가 링노트를 펴고 닫는 작업을 반복하면 네임텍의 접착 부분의 접착력이 저하되면서 네임텍이 링노트로부터 쉽게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네임텍을 특정 링노트에 부착한 후, 상기 네임텍을 특정 링노트로부터 떼어 다른 링노트에 부착하게 되면 네임텍의 부착력이 낮아지며, 이를 반복하는 경우 네임텍의 부착력이 점차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네임텍이 링노트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유연하게 움직이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네임텍을 링노트의 커버에 부착하고 추후 링노트로부터 떼어낼 때, 커버의 재질이 예를 들어 종이 재질인 경우 네임텍이 분리되는 과정에서 링노트의 커버 일부가 함께 뜯겨져 나가므로, 링노트의 커버에 외관상 좋지 않은 흔적을 남길 뿐만 아니라, 이렇게 분리된 네임텍은 접착력이 거의 없어지므로 다시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6-0004149호(2016.12.06)
본 고안의 목적은 연결 끈을 통해 링노트의 스프링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링노트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링노트용 네임텍을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링노트용 네임텍에 관한 것이다. 상기 링노트용 네임텍은 링노트의 스프링에 체결되어 링노트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의 표지부; 상기 표지부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며 각각 연결 구멍을 갖는 2개의 체결부를 구비하는 네임텍 본체; 및 일단과 타단이 상기 연결 구멍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지부에는, 링노트 반대편의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라벨이 삽입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라벨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라벨 삽입부는, 상기 표지부의 내부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표지부의 좌측 또는 우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외부로 연통된 개방부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 끈의 일단 및 타단에는 각각 상기 연결 끈이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하게 배향되고, 상기 연결 구멍의 직경보다 큰 길이를 갖는 끼움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체결부에는, 상기 연결 구멍의 일측에서 상기 연결 구멍을 사이에 두고 상기 네임텍 본체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끼움 돌기가 안착 가능한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체결부에는, 상기 연결 구멍으로부터 상기 표지부 측으로 이격된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체결부는, 상기 연결 구멍에 대향한 상기 관통부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연결 구멍을 향하여 상기 관통부 내측으로 돌출되어, 링노트 스프링 내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 걸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 구멍은, 상기 연결 끈이 상기 관통부를 통해 상기 연결 구멍에 끼움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관통부와 연통되는 끼움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끼움 통로의 폭은 상기 연결 구멍의 직경 및 상기 연결 끈의 폭보다 더 작은 크기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지부와 상기 각각의 체결부 사이에는 상기 표지부와 상기 체결부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접힘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힘부에는, 상기 체결부가 상기 표지부의 길이방향 축선으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된 다른 축선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주름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름부는 상기 표지부 측에 형성된 제1 주름부, 및 상기 체결부 측에 형성된 제2 주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주름부와 상기 제2 주름부는 꺾인 부분이 서로 대향하는 'V'자 형태의 홈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연결 끈을 네임텍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네임텍을 링노트 스프링에 체결함으로써, 책장이나 선반에 꽂혀있는 링노트들을 개별적으로 꺼내어 확인하지 않아도 찾고자 하는 링노트를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네임텍이 링노트 스프링에 유연하게 체결되어, 스프링에 지지된 상태에서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링노트의 앞 커버와 뒷 커버가 서로 근접하도록 링노트를 360˚로 펼칠 때 네임텍이 180˚로 회전 가능하므로, 네임텍의 연결이 끊어지지 않고 앞 커버와 뒷 커버의 이동에 간섭하지 않는다.
또한, 링노트 스프링에 네임텍을 체결할 때 사용자가 체결 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임의로 정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네임택을 하나의 링노트에 체결 가능하다.
또한, 라벨 삽입부의 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개방부를 통해, 라벨을 보다 손쉽게 라벨 삽입부 내에 삽입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링노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링노트용 네임텍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링노트형 네임텍의 장착부가 링노트 스프링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링노트용 네임텍의 각 구성 중, 장착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링노트형 네임텍과 연결 끈의 결합 전 상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링노트형 네임텍이 연결 끈에 의해 링노트 스프링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링노트형 네임텍의 접힘부를 통해 표지부와 체결부를 서로 다른 축선상에 위치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링노트용 네임텍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링노트형 네임텍의 장착부가 링노트 스프링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링노트용 네임텍의 각 구성 중, 장착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링노트용 네임텍은 링노트(10)의 스프링(13)에 체결되어 링노트(10)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네임텍 본체(100) 및 연결 끈(210)을 포함한다.
네임텍 본체(10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의 표지부(110), 및 표지부(110)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며 각각 연결 구멍(121)을 갖는 2개의 체결부(120)를 구비한다. 네임텍 본체(100)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네임텍 본체(100)는 스프링(13)의 외부로부터 스프링(13)에 체결되며, 스프링(13)의 외주면에 의해 지지된다. 네임텍 본체(110)는 스프링(13)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링노트(10)의 스프링(13)에 네임텍을 체결할 때 사용자가 체결 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임의로 정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네임택을 하나의 링노트(10)에 동시에 체결 가능하다.
표지부(11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네임텍 본체(100)의 중심부를 형성한다. 표지부(110)는 링노트(10)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프링(13) 외부에서 스프링(13)에 의해 지지되도록 배치된다. 사용자는 표지부(110)에 링노트(10)를 식별할 수 있는 표지내용을 직접 유성펜 등으로 기입하거나, 또는 후술할 라벨 삽입부(111) 내에 라벨을 삽입할 수 있다.
표지부(110)에는, 링노트 반대편의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라벨이 삽입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라벨 삽입부(111)가 형성된다. 라벨 삽입부(111)는 표지부(110)의 내부 공간을 정의하며, 표지부(110)의 좌측 또는 우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외부로 연통된 개방부(111a)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라벨 삽입부(111)의 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개방부(111a)를 통해, 라벨을 보다 손쉽게 라벨 삽입부(111) 내에 삽입할 수 있다. 라벨 삽입부(111)의 측부에는 사용자가 라벨을 손쉽게 뺄 수 있도록 하는 반원형 홈(111b)이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체결부(120)는 표지부(110)의 상부 및 하부에 표지부(110)로부터 연장되어 네임텍 본체(100)의 양 단부를 형성한다. 체결부(120)는 네임텍 본체(100)를 링노트(10)의 스프링(13)에 체결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다. 표지부(110)와 체결부(120) 사이에는 표지부(110)와 체결부(120) 사이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접힘부(130)가 형성되며, 접힘부(130)는 관절 운동과 같이 체결부(120)가 표지부(110)로부터 스프링(13)측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체결부(120)에는, 연결 구멍(121)으로부터 표지부(110) 측으로 이격된 관통부(122)가 형성된다. 관통부(122)는 네임텍 본체(100)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체결부(120)는 연결 구멍(121)에 대향한 관통부(122)의 측면(122a)으로부터 연결 구멍(121)을 향하여 관통부(122) 내측으로 돌출되어, 링노트(10)의 스프링(13) 내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 걸이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걸이부(123)는 짧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반대편의 연결 구멍(121)을 향해 배향된다. 걸이부(123)는 관통부(122)의 측면(122a) 중 링노트(10)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연장되되, 네임텍 본체(100)가 스프링(13)에 체결될 때 스프링(13) 내측으로 끼워지도록, 네임텍 본체(100)의 스프링(13) 측 후면의 바깥쪽으로 이격된 축을 따라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걸이부(123)를 통해 네임텍 본체(100)를 링노트(10)의 스프링(13)에 체결함으로써, 책장이나 선반에 꽂혀있는 링노트들의 라벨을 링노트의 측부를 향해 일정하게 정돈된 형태로 배열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링노트형 네임텍과 연결 끈의 결합 전 상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링노트형 네임텍이 연결 끈에 의해 링노트 스프링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연결 끈(210)은 일단과 타단이 연결 구멍(12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 끈(210)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끈(210)의 일단 및 타단에는 연결 끈(210)이 연결 구멍(121)에 끼워진 상태에서 연결 끈(210)을 고정시킬 수 있는 끼움 돌기(220)가 형성된다. 끼움 돌기(220)는 연결 끈(210)이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하게 배향되고, 연결 구멍(121)의 직경보다 큰 길이를 갖도록 설계된다.
사용자는 연결 끈(210)을 링노트(10)의 스프링(13) 내부 공간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네임텍 본체(100)를 스프링(13)의 외부에서 연결 끈(210)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한 후, 연결 끈(210)의 양 단부에 형성된 끼움 돌기(220)를 대응하는 연결 구멍(121)에 통과시키는 방식으로 연결 끈(210)을 네임텍 본체(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각각의 체결부(120)에는, 연결 구멍(121)의 일측에서 연결 구멍(121)을 중심에 두고 네임텍 본체(10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끼움 돌기(220)가 안착 가능한 안착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124)은 끼움돌기(220)가 안착되어 네임텍 본체(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끼움돌기(220)의 돌출을 최소화하는 파임 구조로 형성된다.
이에 같이, 연결 끈(210)을 네임텍 본체(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네임텍 본체(100)를 링노트(10)의 스프링(13)에 체결함으로써, 책장이나 선반에 꽂혀있는 링노트들을 개별적으로 꺼내어 확인하지 않아도 찾고자 하는 링노트를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네임텍 본체(100)가 링노트(10)의 스프링(13)에 유연하게 체결되어, 스프링(13)에 지지된 상태에서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링노트(10)의 앞 커버와 뒷 커버가 서로 근접하도록 링노트(10)를 360˚로 펼칠 때 네임텍 본체(100)가 180˚로 회전 가능하므로, 네임텍 본체(100)의 연결이 끊어지지 않고 앞 커버와 뒷 커버의 이동에 간섭하지 않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링노트(10)의 노트 필기 등을 수행할 때에는 연결 끈(210)을 이용하여 네임텍 본체(100)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사용하고, 그 외 링노트(10)의 보관 등의 경우에는 걸이부(123)를 통해 네임텍 본체(100)를 링노트(10)의 스프링(13)에 체결하여 고정 상태로 정돈된 사용이 가능하다.
연결 구멍(121)은, 연결 끈(210)이 관통부(122)를 통해 연결 구멍에 끼움 결합 가능하도록 관통부(122)와 연통되는 끼움 통로(121a)를 포함한다. 끼움 통로(121a)의 폭은 연결 구멍(121)의 직경 및 연결 끈(210)의 폭보다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사용자는 연결 끈(210)을 끼움 통로(121a)를 통과시켜 연결 구멍(121)에 끼움 결합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연결 구멍(121)에 연결 끈(210)의 끼움 돌기(220)를 비틀어 삽입하지 않더라도, 끼움 통로(121a)를 통해 연결 끈(210)을 연결 구멍(121)에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도 2의 링노트형 네임텍의 접힘부를 통해 표지부와 체결부를 서로 다른 축선상에 위치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접힘부(130)에는, 체결부(120)가 표지부(110)의 길이방향 축선(l)으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된 다른 축선(k)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주름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주름부(131)는 표지부(110) 측에 형성된 제1 주름부(131a), 및 체결부(120) 측에 형성된 제2 주름부(131b)를 포함한다. 제1 주름부(131a)와 제2 주름부(131b)는 꺾인 부분이 서로 대향하는 'V'자 형태의 홈을 갖는다. 네임텍 본체(100)가 스프링(13)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주름부(131a)의 홈은 스프링(13) 측에 형성되며, 제2 주름부(131b)이 홈은 스프링(13)의 반대편에 형성된다. 사용자가 체결부(120)를 표지부(110) 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제1 및 제2 주름부(131a, 131b) 각각의 'V'자형 홈의 내측면이 서로 맞닿으며 홈의 내부 공간이 없어진다. 이에 따라, 체결부(120)는 표지부(110)로부터 지그재그 형태로 꺾여, 스프링(12)의 외주면에 맞닿아 지지되며, 표지부(11)는 스프링으로부터 떠 있는 상태가 된다.
이 분야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 링노트 11: 속지
12: 커버 13: 스프링
100: 네임텍 본체 110: 표지부
111: 라벨 삽입부 111a: 개방부
111b: 반원형 홈 120: 체결부
121: 연결 구멍 121a: 끼움 통로
122: 관통부 122a: 관통부의 측면
123: 걸이부 124: 안착홈
130: 접힘부 131: 주름부
131a: 제1 주름부 131b: 제2 주름부
210: 연결 끈 220: 끼움 돌기
l: 표지부의 길이방향 축선
k: 표지부의 축선과 이격된 다른 축선

Claims (10)

  1. 링노트의 스프링에 체결되어 링노트를 식별하기 위한 링노트용 네임텍으로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의 표지부;
    상기 표지부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며 각각 연결 구멍을 갖는 2개의 체결부를 구비하는 네임텍 본체; 및
    일단과 타단이 상기 연결 구멍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끈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끈의 일단 및 타단에는 각각 상기 연결 끈이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하게 배향되고, 상기 연결 구멍의 직경보다 큰 길이를 갖는 끼움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노트용 네임텍.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부에는, 링노트 반대편의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라벨이 삽입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라벨 삽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노트용 네임텍.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 삽입부는, 상기 표지부의 내부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표지부의 좌측 또는 우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외부로 연통된 개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노트용 네임텍.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체결부에는, 상기 연결 구멍의 일측에서 상기 연결 구멍을 사이에 두고 상기 네임텍 본체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끼움 돌기가 안착 가능한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노트용 네임텍.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체결부에는, 상기 연결 구멍으로부터 상기 표지부 측으로 이격된 관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노트용 네임텍.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체결부는, 상기 연결 구멍에 대향한 상기 관통부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연결 구멍을 향하여 상기 관통부 내측으로 돌출되어, 링노트 스프링 내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 걸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노트용 네임텍.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구멍은, 상기 연결 끈이 상기 관통부를 통해 상기 연결 구멍에 끼움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관통부와 연통되는 끼움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끼움 통로의 폭은 상기 연결 구멍의 직경 및 상기 연결 끈의 폭보다 더 작은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노트용 네임텍.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부와 상기 각각의 체결부 사이에는 상기 표지부와 상기 체결부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접힘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힘부에는, 상기 체결부가 상기 표지부의 길이방향 축선으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된 다른 축선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주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노트용 네임텍.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는 상기 표지부 측에 형성된 제1 주름부, 및 상기 체결부 측에 형성된 제2 주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주름부와 상기 제2 주름부는 꺾인 부분이 서로 대향하는 'V'자 형태의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노트용 네임텍.
KR2020210001023U 2021-04-01 2021-04-01 링노트용 네임텍 KR2004965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023U KR200496530Y1 (ko) 2021-04-01 2021-04-01 링노트용 네임텍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023U KR200496530Y1 (ko) 2021-04-01 2021-04-01 링노트용 네임텍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416U KR20220002416U (ko) 2022-10-11
KR200496530Y1 true KR200496530Y1 (ko) 2023-02-21

Family

ID=83596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023U KR200496530Y1 (ko) 2021-04-01 2021-04-01 링노트용 네임텍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530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666Y1 (ko) 2003-09-04 2003-12-11 주식회사 두산 스프링 지철방식을 갖는 책의 책등 색인구조
KR200476078Y1 (ko) * 2013-10-31 2015-01-27 최선나 네임텍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149U (ko) 2016-11-15 2016-12-06 최선나 링 노트용 네임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666Y1 (ko) 2003-09-04 2003-12-11 주식회사 두산 스프링 지철방식을 갖는 책의 책등 색인구조
KR200476078Y1 (ko) * 2013-10-31 2015-01-27 최선나 네임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416U (ko)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36774A1 (en) Notebook, folio, and divider with pen holder
KR200496530Y1 (ko) 링노트용 네임텍
CN107554129B (zh) 文件保持件及文件夹
US4659109A (en) Binder and folder for use therewith
JP4749148B2 (ja) 背見出しタグ
KR20080001711U (ko) 필기구 수납홈을 가진 책
KR100850291B1 (ko) 노트
KR20070000293U (ko) 스프링책자용 색인기능을 갖는 필기구
KR20160002554U (ko) 북커버
JP5461067B2 (ja) ファイル
US5895165A (en) Folio pocket system
KR100944452B1 (ko) 필기구 홀더 및 필기구 홀더가 구비된 서적
US20070183840A1 (en) Organizer
JP3065984U (ja) 書類ホルダ―
KR200494801Y1 (ko) 필기구 꽂이를 구비한 서책
KR102410741B1 (ko) 포스트잇이 내장되는 필기장
KR200350477Y1 (ko) 표찰 수용 스티커
US8042837B2 (en) Self-retaining sell tag for a bound component
KR102010704B1 (ko) 풀림이 방지된 탄성밴드를 구비한 스프링수첩
JP3211925U (ja) ノートカバー
JP6971086B2 (ja) バインダー
KR200391112Y1 (ko) 카드보관용 수첩
JP3210729U (ja) 貼付タブ構造
KR20010106088A (ko) 파일링 용구
JP2007136771A (ja) ファイル及び冊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