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0704B1 - 풀림이 방지된 탄성밴드를 구비한 스프링수첩 - Google Patents

풀림이 방지된 탄성밴드를 구비한 스프링수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0704B1
KR102010704B1 KR1020180061142A KR20180061142A KR102010704B1 KR 102010704 B1 KR102010704 B1 KR 102010704B1 KR 1020180061142 A KR1020180061142 A KR 1020180061142A KR 20180061142 A KR20180061142 A KR 20180061142A KR 102010704 B1 KR102010704 B1 KR 102010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ebook
elastic band
hole
spring
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용길
Original Assignee
원용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용길 filed Critical 원용길
Priority to KR1020180061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7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4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combined or formed with other articles, e.g. punches, st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 B42F13/165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with flexible or resilient claws or ring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에 의해 넘김 구조로 메모를 하는 스프링수첩에 탄성밴드를 사용하여 필기 가능한 펜을 고정하면서 수첩이 접혀진 상태에서 임의적인 펼쳐짐을 방지하도록 감싸져 체결토록 하고, 체결된 상태에서 임의적으로 풀림이 방지되도록 한 것으로, 코일스프링으로 지철되는 여러 장의 속지의 전방과 후방에 앞지와 뒷지로 이루어지진 수첩본체가 구비되고, 상기 수첩본체의 앞지 또는 뒷지 중 어느 한 면에 3개 이상으로 수평 배열된 상단구멍과 하단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상단구멍과 하단구멍에 일측단과 타측단이 각각에 지그재그로 끼워지는 탄성밴드에 의하여 펜을 고정하는 고리부와 앞지와 뒷지를 감싸 체결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풀림이 방지된 탄성밴드를 구비한 스프링수첩{Spring notebook with elastic band preventing loosening}
본 발명은 스프링에 의해 넘김 구조로 메모를 하는 스프링수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수첩에 탄성밴드를 사용하여 필기 가능한 펜을 고정하면서 동시에 수첩이 임의적인 펼쳐짐을 방지하도록 감싸져 체결토록 하면서 체결된 탄성밴드가 임의적으로 풀림이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첩은 간단한 기록을 할 수 있는 물품으로써 휴대가 편하고 메모를 빠르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학생과 직장인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통상 이러한 수첩은 상하 방향으로 페이지를 넘길 수 있도록 스프링에 의해 지철되어진 스프링수첩과 속지가 재봉선이나 접착에 의해 노트처럼 페이지가 넘겨지는 노트수첩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메모된 속지를 한 장씩 간편하게 이형시킬 수 있는 스프링수첩에 비하여 노트수첩은 속지의 이형이 불가능하고, 강제로 이형시킬 경우에는 속지 전체가 이형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수첩에 메모나 필기를 하기 위해서는 펜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펜은 대부분 필통이나 가방 또는 의복의 주머니에 휴대한 상태에서 필기를 위해서 펜을 찾거나 꺼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수첩은 자유롭게 펼쳐지는 구조로써 메모된 내용이 의도치 않게 타인에게 보여지게 되거나 속지가 쉽게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대부분 펜꽂이가 구비되고 펼쳐짐을 방지하도록 체결수단이 구비된 다이어리를 많이 사용하는데 이러한 다이어리는 비닐이나 가죽의 재질로 만들어지는 커버부재 내에 종이재질의 다이어리 속지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 커*부재는 그 내측에 사진, 서류, 명함 등을 수납하는 여러 수납포켓이 구비되어 있어 수첩보다 매우 비싼 고가제품으로 간단한 메모를 하는 용도로는 적합치 않으며, 특히 소비자에게 비용부담이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다이어리에 다양한 체결기능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체결기능에 의하여 제조가 어렵고, 제조비용이 비싸며,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는 수리가 필요하여 사용자에 많은 불편함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 앞지와 뒷지가 연결면에 의하여 절첩되게 이루어진 수첩커버의 내측에 여러 장의 속지가 접착에 의해 접착되고, 앞지 또는 뒷지 중 어느 한 면에는 수첩커버의 높이 방향으로 3개 구멍이 다단으로 배열되고, 상기 구멍에 일측 선단과 타측 선단에 고정핀이 구비된 탄성밴드를 사용하여 상기 탄성밴드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고정핀을 수첩커버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 펜의 상단과 하단을 고정하는 고리부와 뒷지 방향으로 넘겨져 감김상태로 고정되는 걸림밴드를 형성하여 수첩이 임의적으로 펼쳐짐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수첩의 단점이 수첩커버의 내측에 여러 장의 속지가 접착에 의해 고정될 경우 무게에 의하여 접착력이 떨어지면서 이형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수첩을 고정하는 걸림밴드가 감김상태에서 자의적 또는 타의적으로 흘러내리면서 쉽게 벗겨지면서 체결기능이 제대로 작동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필기를 위한 펜을 고정하는 동시에 체결된 탄성밴드가 걸림에 의해 탄성장력을 조절되면서 임의적으로 풀림이 방지되도록 한 것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코일스프링으로 지철되는 여러 장의 속지와 상기 속지의 전방과 후방에 위치되는 앞지와 뒷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앞지 또는 뒷지 중 어느 하나에는 일측으로 적어도 3개 이상으로 배열된 상단구멍과 하단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상단구멍과 하단구멍에 각각 관통되어 전면과 후면에 지그재그로 끼워져 펜을 고정하는 고리부와 앞지와 뒷지가 임의적으로 펼쳐지지 않도록 걸림밴드로 이루어진 탄성밴드를 구비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3개 이상으로 배열된 상단구멍과 하단구멍을 다단으로 형성하여 끼워지는 위치에 따라서 탄성밴드의 고리부와 걸림밴드의 장력을 조절하여 펜과 수첩의 커버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단구멍에서 하단구멍까지 연결되게 보조구멍을 형성하여 길이가 짧은 펜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앞지와 뒷지 사이에는 연결면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면의 상단에는 내입부와 상기 내입부에 이격된 클립고정홀을 형성하여 클립이 형성된 펜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첩커버에 의하면, 수첩커버가 임의적으로 펼쳐지지 않도록 체결토록 하는 탄성밴드가 임의적으로 풀림이 방지되는 수첩을 제공하여 메모된 내용의 유출을 방지함은 물론 속지의 손상을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고, 동시에 휴대성이 향상된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첩커버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수첩커버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수첩커버가 펼쳐진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수첩커버에 탄성밴드가 끼워지는 상태도.
도5는 본 발명의 수첩커버에 형성된 고리부로 펜이 고정되는 상태도.
도6은 본 발명의 수첩커버가 걸림밴드에 의해 펼쳐짐이 방지되도록 체결되는 상태도.
도7은 본 발명의 수첩커버에 메모가능한 포스트 잇이 구비된 상태도.
도8은 본 발명의 걸림밴드가 체결된 상태에서 흘러내림이 방지되는 상태도.
도9는 본 발명의 수첩커버의 연결면에 클립이 구비된 펜이 장착되는 상태도.
도10은 본 발명의 탄성밴드의 고리부와 걸림밴드의 장력을 조절하는 다양한 실시를 나타낸 상태도.
도11은 본 발명의 수첩커버에 길이가 짧은 펜을 고정할 수 있는 보조구멍이 형성된 상태도.
도12는 도11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첩은 코일스프링(30)에 의하여 지철되는 여러 장의 속지(20)와 상기 속지(20)의 전방과 후방으로 위치되는 앞지(11)와 뒷지(12)로 이루어진 커버본체(10)와, 상기 커버본체(10)의 앞지(11) 또는 뒷지(12) 중 어느 한 면에는 일측면의 상단과 하단에 적어도 3개 이상의 구멍이 수평으로 배열된 상단구멍(13)과 하단구멍(14)이 형성되고, 상기 상단구멍(13)과 하단구멍(14)에는 일측단과 타측단에 고정핀(41)이 형성된 탄성밴드(40)의 고정핀(41)이 각각 끼워져 커버본체(10)에 펜(100)을 고정하는 고리부(42)와 커버본체(10)가 임의적으로 펼쳐지지 않도록 체결하는 걸림밴드(43)가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수첩커버(10)는 내부의 속지(20)를 물이나 충격이나 기타 외부요소에 의해 손상되지 않게 보호하도록 강도가 있는 플라스틱 시트나 두꺼운 종이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첩커버(10)를 앞지(11)와 뒷지(12) 일측면 사이에 연결면(16)에 의하여 절첩되는 구조로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앞지(11) 또는 뒷지(12) 중 어느 한 면으로 속지(20)와 함께 코일스프링(30)에 의하여 지철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첩커버(10)의 구성이 본 발명의 목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도면에는 미도시 되었으나 상기 수첩커버(10)의 앞지(11)와 뒷지(12)를 분리되게 형성하여 속지(20)와 함께 코일스프링(30)에 의해 지철시켜 상향으로 넘겨지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7과 같이 속지(20)가 지철되지 않은 나머지 한 면의 내측면에는 접착수단에 의해 낱장으로 이형되어 간단한 메모를 할 수 있는 포스트잇을 구비하여 다양한 메모기능을 구비하여 다양한 메모기능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때 탄성밴드(40)는 커버본체(10)의 높이와 대응하거나 짧은 길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핀(41)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탄성밴드(40)의 일측단과 타측단에 분리되지 않게 일체로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밴드(40)의 고정핀(41)을 수첩커버(10)의 앞지(11) 또는 뒷지(12) 중 어느 한 면에 형성된 3개의 구멍이 수평 배열된 상단구멍(13) 및 하단구멍(14) 각각에 일측 구멍에서 타측 구멍에 지그재그로 끼움토록 함으로써 3개의 구멍 중 2개의 구멍에 의하여 상단구멍(13)에 펜(100)의 상단을 고정하는 고리부(42)와 하단구멍(14)에 펜(100)의 하단을 고정하는 고리부(42)가 수첩커버(10)의 전면에 각각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구멍에는 상기 상단구멍(11)과 하단구멍(12)을 세로방향으로 연결하는 걸림밴드(43)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밴드(43)를 당김토록 한 상태에서 뒷지(12)의 이면으로 이동시켜 수첩커버(10)의 앞지(11)와 뒷지(12)의 상하전후면으로 걸림밴드(43)가 감싸지게 되고, 이때 상단에 감겨진 걸림밴드(40)를 코일스프링(30)의 링 사이에 끼워 흘러내림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8과 같이 상기 수첩커버(10)의 앞지(11)와 뒷지(12)의 하단에는 내입된 걸림홈(15)을 형성하여 걸림밴드(43)가 일측이 코일스프링(30)의 링 사이에 고정된 상태에서 하단을 걸림홈(15)에 걸림되게 고정하여 체결된 걸림밴드(43)의 흘러내림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휴대 중에 흔들림이나 타 물품과 같이 보관된 상태에서 걸림에 의하여 걸림밴드(43)가 임의적으로 흘러내림이 방지되어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첩커버(10)의 앞지(11)와 뒷지(12)가 연결면(16)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도9와 같이 상기 연결면(16)의 상단을 앞지(11)와 뒷지(12)보다 길이가 짧게 절개한 내입부(17)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면(16)에는 내입부(17)와 이격된 클립걸림홀(18)을 형성하여 클립(110)이 구비된 펜(10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탄성밴드(40)의 고리부(42)에 클립(110)이 없는 연필이나 펜(100)을 고정하거나 클립(110)이 있는 펜(100)을 사용할 경우에는 연결면(16)의 내입부(17)에 의하여 연결면(16) 상단으로 클립(110)이 끼워지도록 하면서 클립(110)의 돌기가 클립걸림홀(18)에 걸림되어져 유동 및 분리되지 않게 견고하게 펜을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10은 펜(100)의 고정하는 고리부(42)와 수첩커버(10)의 앞지(11)와 뒷지(12)를 체결하는 걸림밴드(43)의 장력을 향상시켜 견고한 고정과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상기 상단구멍(13)과 하단구멍(14)을 2단 이상의 다단으로 형성하여 탄성밴드(40)의 고정핀(41)을 다단으로 형성된 상단구멍(13) 및 하단구멍(14)으로 끼워지는 위치에 따라서 탄성밴드(40)의 장력을 팽팽하게 조절함으로써 고리부와 걸림밴드의 탄성장력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단으로 형성된 상단구멍(13) 및 하단구멍(14)으로 끼워지는 탄성밴드(40)의 고정핀(41)의 위치에 따라서 탄성밴드가 팽팽하게 당겨지면서 고리부(42)와 걸림밴드(43)가 너플거리지 않고 탄성장력이 조절되어 펜(100)의 고정과 수첩의 체결기능을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11은 길이가 짧은 작은 펜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단구멍(13) 및 하단구멍(14) 사이에 수첩커버(10)의 길이방향으로 상단구멍(13)과 하단구멍(14)과 대응하는 갯 수로 다단으로 형성된 보조구멍(19)을 형성하여 탄성밴드(40)의 고리부(42) 및 걸림밴드(43)의 탄성장력을 조절하면서도 탄성밴드(40)의 고리부(42) 위치를 조정하여 길이가 짧은 펜(100)까지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 또는 변형된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10: 수첩커버 11: 앞지
12: 뒷지 13: 상단구멍
14: 하단구멍 15: 걸림홈
16: 연결면 17: 내입부
18: 클립걸림홀 19: 보조구멍
20: 속지
30: 코일스프링
40: 탄성밴드 41: 고정핀
42: 고리부 43: 걸림밴드
100: 펜 110: 클립

Claims (5)

  1. 코일스프링(30)으로 지철되는 여러 장의 속지(20)와,
    상기 속지(20)의 전방과 후방에 위치되는 앞지(11)와 뒷지(12)로 이루어져 상기 앞지(11)와 뒷지(12) 중 어느 한 면의 일측 상단과 하단에는 적어도 3개 이상으로 수평 배열된 상단구멍(13)과 하단구멍(14)이 형성된 수첩커버(10)와,
    상기 수첩커버(10)의 상단구멍(13)과 하단구멍(14) 각각에 끼워져 걸림고정되도록 일측단과 타측단에 고정핀(41)이 형성된 탄성밴드(40)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밴드(40)의 일측단과 타측단에 형성된 고정핀(41)이 수첩커버(10)에 형성된 상단구멍(13)과 하단구멍(14) 각각에 지그재그로 끼워져 펜(100)의 상단과 하단을 고정하는 고리부(42)와, 앞지(11)와 뒷지(12)의 상하전후로 감싸 수첩의 임의적인 펼침을 방지하도록 체결되는 걸림밴드(43)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밴드(43)는 상단의 코일스프링(30)의 링 사이에 끼워져 흘러내림을 방지하여 걸림밴드(43)가 체결된 상태에서 임의적으로 해제됨을 방지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이 방지된 탄성밴드를 구비한 스프링수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앞지(11) 및 뒷지(12)의 하단에는 내입된 걸림홈(15)을 형성하여 탄성밴드(40)의 걸림밴드(43)가 코일스프링의 링 사이 및 걸림홈(15)에 동시에 걸림되어 흘러내림을 방지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이 방지된 탄성밴드를 구비한 스프링수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첩커버(10)의 앞지(11)와 뒷지(12) 일측면 사이에는 상단에 내입부(17)가 형성된 연결면(16)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면(16)에는 상단에서 내측으로 클립걸림홀(18)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면(16)에 클립(110)이 구비된 펜(100a)을 고정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이 방지된 탄성밴드를 구비한 스프링수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구멍(13)과 하단구멍(14)은 다단으로 형성하여 탄성밴드(40)의 고정핀(41)이 다단으로 형성된 상단구멍(13)과 하단구멍(14)의 끼워지는 위치에 따라서 고리부(42)와 걸림밴드(43)의 장력을 조절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이 방지된 탄성밴드를 구비한 스프링수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구멍(13)과 하단구멍(14) 사이에 수첩커버(10)의 길이방향으로 보조구멍(19)을 형성하여 탄성밴드(40)의 고리부(42) 위치를 조정하여 길이가 짧은 펜(10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이 방지된 탄성밴드를 구비한 스프링수첩.
KR1020180061142A 2018-05-29 2018-05-29 풀림이 방지된 탄성밴드를 구비한 스프링수첩 KR102010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142A KR102010704B1 (ko) 2018-05-29 2018-05-29 풀림이 방지된 탄성밴드를 구비한 스프링수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142A KR102010704B1 (ko) 2018-05-29 2018-05-29 풀림이 방지된 탄성밴드를 구비한 스프링수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0704B1 true KR102010704B1 (ko) 2019-08-13

Family

ID=67624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142A KR102010704B1 (ko) 2018-05-29 2018-05-29 풀림이 방지된 탄성밴드를 구비한 스프링수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7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063U (ko) * 2006-12-06 2007-01-10 서희원 필기구가 부착된 휴대용 수첩
KR20090002088U (ko) * 2007-08-29 2009-03-04 김필원 개방 상태 방지 기능을 구비한 다이어리
KR20110001204A (ko) * 2009-06-29 2011-01-06 전달용 책형태의 물체에 필기구를 보관가능 하도록 하기 위한 책커버와 이를 위해 사용되는 필기구
KR20120004779U (ko) * 2010-12-23 2012-07-03 김용희 접착식 메모지를 구비한 수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063U (ko) * 2006-12-06 2007-01-10 서희원 필기구가 부착된 휴대용 수첩
KR20090002088U (ko) * 2007-08-29 2009-03-04 김필원 개방 상태 방지 기능을 구비한 다이어리
KR20110001204A (ko) * 2009-06-29 2011-01-06 전달용 책형태의 물체에 필기구를 보관가능 하도록 하기 위한 책커버와 이를 위해 사용되는 필기구
KR20120004779U (ko) * 2010-12-23 2012-07-03 김용희 접착식 메모지를 구비한 수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2636B2 (en) Writing instrument holder and bookmark
US8151981B2 (en) Retrieval device for use with a compartment or pocket
US11737536B2 (en) Fabric organizer with clipboard
KR102010704B1 (ko) 풀림이 방지된 탄성밴드를 구비한 스프링수첩
US20040253045A1 (en) Notebook with elastic retaining mechanism
US7025381B2 (en) Report folder
JP6341408B2 (ja) 楽譜用ファイル
US20070183839A1 (en) Bound component with adjustable elastic device
KR200491616Y1 (ko) 결속밴드가 설치된 책 표지
KR100891749B1 (ko) 스프링 바인더용 파일
KR20200012275A (ko) 스마트폰이 장착되는 수첩
US20100201113A1 (en) Multipurpose cover supporter
JP6910524B1 (ja) 着脱係止自立収納ユニット
KR100875846B1 (ko)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KR20100006470U (ko) 세움기능을 가지는 다용도 판형지지대
KR200496530Y1 (ko) 링노트용 네임텍
US20070183840A1 (en) Organizer
TWM563053U (zh) 樂譜夾
JP3204479U (ja) メモ帳
US10647149B2 (en) Stationery securing apparatus and instrument holder
KR200383581Y1 (ko) 휴대용 메모수첩
JP2009241391A (ja) 収納ファイル
CA2378253A1 (en) Folder apparatus
KR100448175B1 (ko) 책표지
JP3109360U (ja) 肩ヒモがしおり機能を兼ねる肩かけ式ブックカバーもしくはノートブック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