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5846B1 -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 Google Patents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5846B1
KR100875846B1 KR1020070069944A KR20070069944A KR100875846B1 KR 100875846 B1 KR100875846 B1 KR 100875846B1 KR 1020070069944 A KR1020070069944 A KR 1020070069944A KR 20070069944 A KR20070069944 A KR 20070069944A KR 100875846 B1 KR100875846 B1 KR 100875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upport
folded
usability
ban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우
Original Assignee
박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우 filed Critical 박정우
Priority to KR1020070069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5846B1/ko
Priority to US12/668,881 priority patent/US20100187804A1/en
Priority to CN2008800249002A priority patent/CN101743129B/zh
Priority to EP08778771A priority patent/EP2195174A4/en
Priority to PCT/KR2008/004113 priority patent/WO2009008684A1/en
Priority to JP2010515979A priority patent/JP2010533083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5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5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0006Covers for loose-leaf binders
    • B42F13/0066Covers for loose-leaf binders with means for attaching the filing appliance to the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0006Covers for loose-leaf binders
    • B42F13/002Covers for loose-leaf binders with hinge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메인연결부(10)에 의하여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면커버(20) 및 후면커버(30)와; 전면커버(20)의 상부측에 분절라인(25a)의 의하여 연결되어 그 전면커버(20)에 포개어지는 전면접힘커버(25)와; 후면커버(30)의 상부측에 분절라인(35a)에 의하여 연결되어 그 후면커버(30)에 포개어지는 후면접힘커버(35)와; 전면접힘커버(25)와 후면접힘커버(35) 사이를 연결하는 서부연결부(15)와; 전면커버(20)와 전면접힘커버(25) 사이 또는 후면커버(30)와 후면접힘커버(35) 사이에 연결되어 그 전면커버(20)와 전면접힘커버(25) 또는 후면커버(30)와 후면접힘커버(35) 사이의 벌어진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각도유지부(4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버지지대, 다용도, 커버, 각도유지

Description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A cover capable of supporting diary or calendar}
본 발명은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다이어리에는, 일정관리, 메모, 주소, 전화번호등를 기재할 수 있는 각종 양식의 메모지나, 각종 유용한 정보, 예를 들면 지도, 지하철 노선등의 정보가 인쇄된 기록지로 이루어진 속지부를 가지며, 많은 유용한 정보들이 담겨져 있고 정보를 기록할 수 있개 때문에 바쁘게 생활하는 현대인에게 필수품이 되어 있다. 이러한 다이어리는 일상 생활을 하는 도중에 다양한 정보를 기록하거나 제공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업무를 진행하다 보면 다이어리를 틈틈이 확인하여야 하는 일이 많은데, 이 경우 책상에 뉘어진 다이어리를 확인하여야 하였다.
그런데, 상기한 속지부는 책상에 뉘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기록된 정보를 확 인하고자 할 경우에 몸을 앞으로 당겨 고개를 숙인 후 정보를 확인하여야 하였다. 이러한 동작은 불편한 동작이기 때문에, 반복하다 보면 허리는 물론 목에 무리가 간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기록된 속지부를 확인할 경우에도 허리나 고개를 숙일 필요가 없도록 할 수 있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속지부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어 휴대용 독서대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는, 메인연결부(10)에 의하여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면커버(20) 및 후면커버(30); 상기 전면커버(20)의 상부측에 분절라인(25a)의 의하여 연결되어 그 전면커버(20)에 포개어지는 전면접힘커버(25); 상기 후면커버(30)의 상부측에 분절라인(35a)에 의하여 연결되어 그 후면커버(30)에 포개어지는 후면접힘커버(35); 상기 전면접힘커버(25)와 후면접힘커버(35) 사이를 연결하는 서부연결부(15); 상기 전면커버(20)와 전면접힘커버(25) 사이 또는 후면커버(30)와 후면접힘커버(35) 사이에 연결되어 그 전면커버(20)와 전면접힘커버(25) 또는 후면커버(30)와 후면접힘커버(35) 사이의 벌어진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각도유지부(4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후면커버(20)(30)에 각각에 제1,2커버홈(20')(30')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접힘커버(25')는 상기 제1커버홈(20') 상단의 분절라인(25a')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제1커버홈(20')에 끼어지고, 상기 후면접힘커버(35')는 상기 제2커버홈(30') 상단의 분절라인(35a')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제2커버홈(30')에 끼어지며, 상기 각도유지부는, 상기 전면커버(20)와 전면접힘커버(25) 사이와 상기 후면커버(30)와 후면접힘커버(35) 사이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인연결부(10)와 전면커버(20)와 후면커버(3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각종 정보가 인쇄되거나 필기를 가능하게 하는 속지부를 착탈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착탈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브연결부(15)는, 상기 전면접힘커버(25)와 후면접힘커버(35)의 마주보는 가장자리를 분절라인(25b)(35b)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연결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브연결부(15')는, 상기 전면접힘커버(25)와 후면접힘커버(35)의 하부측을 연결한다. 이때, 서브연결부(15')는, 띠 형태의 띠부재(15a')와, 상기 띠부재(15a')의 타측단과 상기 전면접힘커버(25)의 하부 사이에 설치되는 착탈부(15b')(15c')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20)는 그 전면커버(20)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단차부면(20a)을 가지며, 상기 전면접힘커버(25)가 상기 단차부면(20a)의 상부에 포개짐으로써, 상기 전면커버(20)와 동일한 두께가 되고; 상기 후면커버(30)는 그 후면커버(30)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단차부면(30a)을 가지며, 상기 후면접힘커버(35)가 상기 단차부면(30a)의 상부에 포개짐으로써, 상기 후면커버(30)와 동일한 두께가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면접힘커버(25)와 단차부면(20a)에는 그 전면접힘커버(25)가 단차부면(20a)에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착탈부(26a)(26b)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후면접힘커버(35)와 단차부면(30a)에는 그 후면접힘커버(35)가 단차부면(30a)에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착탈부(36a)(36b)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도유지부(41)는, 상기 전면커버(20)와 전면접힘커버(25) 사이 또는 후면커버(30)와 후면접힘커버(35)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띠부재로 구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도유지부(42)는, 상기 전면커버(20) 또는 후면커버(30)의 하부측에 형성된 홈(42a)과, 상기 전면커버(20) 또는 후면접힘커버(35)와 연결되어 상기 홈(42a)을 관통하는 띠부재(42b)와, 상기 홈(42a)의 상부측 후면커버(30)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1착탈부(42c)와, 상기 띠부재(42b)에 설치되어 상기 제1착탈부(42c)에 탈부착되는 제2착탈부(42d)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도유지부(43)는. 상기 전,후면커버(20)(30)와 전,후면접힘커버(25)(35)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띠부재(43a)와, 상기 전,후면커버(20)와 전,후면접힘커버(25)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띠부재(43a)에 착탈되는 제2띠부재(43b)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도유지부(44)는, 상기 전,후면커버(20)(30)와 전,후면접힘커버(25)(35)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띠부재(44a)와, 상기 전,후 면커버(20)(30)와 전,후면접힘커버(25)(35)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띠부재(44a)에 착탈되는 제2띠부재(44b)를 포함하고; 상기 제1띠부재(44a)와 제2띠부재(44b) 사이에는, 그 제1띠부재(44a)와 제2띠부재(44b)의 연결된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길이가변부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도유지부(45)는, 상기 전,후면커버(20)(30)의 하단에서 접힘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띠부재(45a)와, 상기 전,후면접힘커버(25)(35)의 하단에 접힘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띠부재(45a)에 착탈되는 제2띠부재(45b)를 포함하고; 상기 제1띠부재(45a)와 제2띠부재(45b) 사이에는, 그 제1띠부재(45a)와 제2띠부재(45b)의 연결된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길이가변부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착탈지지부(50)는, 연결부(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속지부(미도시)를 바인딩하기 위한 바인더로 구현되며, 상기 바인더는 상기 속지부에 체결된 체결공에 체결되는 다수의 스프링(51)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착탈지지부(52)는, 전면커버(20)와 후면커버(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단에는 속지부의 상단을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는 바인더 또는 클립 형태로 구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착탈지지부(53)는, 상기 전면커버(20) 및/또는 후면커버(30) 내측에는 메모종이나 명함등이 끼어지는 포켓 형태로 구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착탈지지부(54)는, 상기 연결부(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종이가 들어갈 수 있는 다수의 비닐포대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착탈지지부(55)는, 상기 전면커버(20)와 후면커버(30) 각각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고무밴드로 구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착탈지지부(56)는, 상기 전면커버(20)의 상하단과 후면커버(30)의 상하단 각각에 비스듬하게 설치되는 고무밴드로 구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착탈지지부(57)는, 상기 전면커버(20)의 가장자리와 후면커버(30)의 가장자리에 각각 설치되는 클립으로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에 따르면, 전면커버의 상부측에 분절라인의 의하여 연결되는 전면접힘커버와, 후면커버의 상부측에 분절라인에 의하여 연결되는 후면접힘커버와, 전,후면커버와 전,후면접힘커버 사이의 벌어진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각도유지부를 포함함으로써, 휴대시 일반 책자처럼 접어서 휴대할 수 있고, 사용시 독서대처럼 세워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기록된 속지부를 확인할 경우에도 허리나 고개를 숙일 필요가 없고, 또한 속지부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어 다양한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라는 작용,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있어서, 분절라인이 전,후면커버의 최상단에 형 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있어서, 세워진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전방 사시도이다. 또, 도 4는 도 3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후방 사시도로서, 서브연결부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연결된 전면접힘커버와 후면접힘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후방 사시도로서, 서브연결부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연결된 전면접힘커버와 후면접힘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에 있어서 전,후면커버에 제1,2커버홈이 형성되고, 제1,2커버홈에 끼어지는 전,후면접힘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에 적용되는 각도유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원의 다용도 커비지지대에 적용되는 각도유지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에 적용되는 각도유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길이가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에 적용되는 각도유지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2는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에 있어서, 바인더 또는 클립 형태의 착탈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에 있어서, 포켓 형태의 착탈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4는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에 있어서, 비닐포대 형태의 착탈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 및 도 16은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에 있어서, 고무밴드 형태의 착탈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7은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에 있어서, 클립형태의 착탈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1실시예는, 메인연결부(10)에 의하여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면커버(20) 및 후면커버(30)와; 전면커버(20)의 상부측에 분절라인(25a)의 의하여 연결되어 그 전면커버(20)에 포개어지는 전면접힘커버(25)와; 후면커버(30)의 상부측에 분절라인(35a)에 의하여 연결되어 그 후면커버(30)에 포개어지는 후면접힘커버(35)와; 전면접힘커버(25)와 후면접힘커버(35) 사이를 연결하는 서부연결부(15)와; 전면커버(20)와 전면접힘커버(25) 사이 또는 후면커버(30)와 후면접힘커버(35) 사이에 연결되어 그 전면커버(20)와 전면접힘커버(25) 또는 후면커버(30)와 후면접힘커버(35) 사이의 벌어진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각도유지부;를 포함한다. 이때, 메인연결부(10)와 전면커버(20)와 후면커버(30) 중 어느 나에는 각종 정보가 인쇄되거나 필기를 가능하게 하는 속지부(미도시)를 착탈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착탈지지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는, 전면접힘커버(25)를 전면커버(20)에 연결하는 분절라인(25a)이나 후면접힘커버(35)를 후면커버(30)에 연결하는 분절라인(35a)이 전,후면커버(20)(30)의 상부측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는데, 이는 보다 용이한 설명을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있어 분절라인(25a)(35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면커버(20)(30)의 상부측뿐만 아니라, 전면커버의 최상단과 후면커버(30)의 최상단에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메인연결부(10)는 그 양측에서 분절라인(10a)에 의하여 전면커버(20)와 후면커버(30)를 연결한다.
서브연결부(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접힘커버(25)와 후면접힘커버(35)의 마주보는 가장자리를 분절라인(25b)(35b)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연결한다. 이 경우, 서브연결부(15)는 메인연결부(10)의 상부측과도 연결된다.
서브연결부(1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접힘커버(25)와 후면접힘커버(35)의 하부측을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연결부(15')는 띠 형상을 가지며, 일측이 전면접힘커버(25)와 후면접힘커버(35) 중 어느 하나의 하부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전면접힘커버(25)와 후면접힘커버(35) 중 다른 하나의 하부측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서브연결부(15')의 일측은 후면접힘커버(35)의 하부측에 고정되고, 타측은 전면접힘커버(25)의 하부측에 고정된다.
여기서, 서브연결부(15')는 띠 형태의 띠부재(15a')와, 띠부재(15a')의 타측단과 전면접힘커버(25)의 하부 사이에 설치되는 착탈부(15b')(15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착탈부(15b')(15c')는, 상호 탈부착이 가능한 벨크로로 구현되거나, 자력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자석과 철편으로 구현되거나, 반대 극성으로 배치되는 자석으로 구현되거나, 비자석 버튼등으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착탈부(15b')(15c')는, 띠부재(15a')의 타측 단에 설치된 철편과 전면접힘커버(25)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버튼형태의 자석으로 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서브연결부(15')는, 띠 형태로 되어 있으며, 천, 플라스틱, 폴리계열의 수지, 가죽, 종이등의 재질로 구현된다.
전면커버(20)는 그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단차부면(20a)을 가진다.
전면접힘커버(25)는, 단차부면(20a)의 상부에 포개어지는 것으로서, 전면커 버(20)와 분절라인(25a)에 의하여 연결된다. 이러한 전면접힘커버(25)의 두께는 단차부면(20a)에 포개어질 때, 포개어진 단차부면(20a)과 전면접힘커버(25)의 전체 두께가 전면커버(20)와 동일한 두께가 될 정도를 가진다.
후면커버(30)는 그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단차부면(30a)을 가진다.
후면접힘커버(35)는, 단차부면(30a)의 상부에 포개어지는 것으로서, 후면커버(30)와 분절라인(35a)에 의하여 연결된다. 이러한 후면접힘커버(35)의 두께는 단차부면(30a)에 포개어질 때, 포개어진 단차부면(30a)과 후면접힘커버(35)의 전체 두께가 후면커버(30)와 동일한 두께가 될 정도를 가진다.
한편, 전면접힘커버(25)와 단차부면(20a)에는 그 전면접힘커버(25)가 단차부면(20a)에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착탈부(26a)(26b)가 설치되어 된다. 이러한 착탈부(26a)(26b)는 전면접힘커버(25)와 단차부면(20a)의 모서리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면접힘커버(35)와 단차부면(30a)에는 그 후면접힘커버(35)가 단차부면(30a)에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착탈부(36a)(36b)가 설치된다. 이러한 착탈부(36a)(36b)는 후면접힘커버(35)와 단차부면(30a)의 모서리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탈부(26a,26b)(36a,36b) 각각은, 상호 탈부착이 가능한 벨크로로 구현되거나, 자력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자석과 철편으로 구현되거나, 반대 극성으로 배치되는 자석이나, 비자석 버튼등으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전면접힘커버(25)와 후면접힘커버(35)를 구획하는 분절라 인(25a)(35a)은 전,후면커버(20)(30)의 상부측에 형성된 것을 예로써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한 분절라인(25a)(35a)은 전,후면커버(20)(30)의 최상단에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전,후면커버(20)(30)에 각각에 제1,2커버홈(20')(30')이 형성되고, 이 경우 전면접힘커버(25')는 제1커버홈(20') 상단의 분절라인(25a)에 의하여 연결되어 제1커버홈(20')에 끼어지고, 후면접힘커버(35')는 제2커버홈(30') 상단의 분절라인(35a)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제2커버홈(30')에 끼어질 수 있다. 이때, 전면커버(20)와 전면접힘커버(25') 사이와 후면커버(30)와 후면접힘커버(35') 사이에는 그 전면커버(20)와 전면접힘커버(25') 및 후면커버(30)와 후면접힘커버(35') 사이의 벌어진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각도유지부가 설치된다. 그리고, 전면접힘커버(25')와 후면접힘커버(35') 사이에는 그 전면접힘커버(25')와 후면접힘커버(35') 사이를 연결하는 서부연결부(15)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 평소에는 전면접힘커버(25')가 제1커버홈(20')에 끼어진 상태로 보관되고, 후면접힘커버(35')은 제2커버홈(30')에 끼어진 상태로 보관된다.
상기한 전면커버(20) 및 후면커버(30)는 탁상위에 세워지기 위하여 어느 정도의 견고성이 필요하므로, 비교적 견고성이 높으면서도 제조비용이 저렴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일반적으로 PP라고 칭함)을 사출하여 제조하거나, 아크릴, 하드보드와 같은 종이, 플라스틱, 알루미늄, 나무등으로 구현된다. 그리고, 고급성을 부가시키기 위하여, 전,후면커버(20)(30)에는 천연가죽이나 합성가죽, 천이 감싸여지며, 모서리 부분을 곡선처리할 수도 있다.
각도유지부는,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가 세워질 수 있도록 전후면커버(20)(30)와 전후면접힘커버(25)(25')(35)(35') 사이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각도유지부(41)의 가장 간단한 형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커버(20)와 전면접힘커버(25) 사이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띠부재로 구현된다. 이러한 각도유지부(41)는 후면커버(30)와 후면접힘커버(35)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각도유지부(42)는, 전,후면커버(20)(30)와 전,후면접힘커버(25)(35) 사이의 벌어진 각도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데, 설명을 위하여 후면커버(30)와 후면접힘커버(35) 사이에 각도유지부가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유지부(42)는, 후면커버(30)의 하부측에 형성된 홈(42a)과, 후면접힘커버(35)와 연결되어 홈(42a)을 관통하는 띠부재(42b)와, 홈(42a)의 상부측 후면커버(30)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1착탈부(42c)와, 띠부재(42b)에 설치되어 제1착탈부(42c)에 탈부착되는 제2착탈부(42d)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2착탈부(42c)(42d)는 상호 탈부착이 가능한 벨크로로 구현되거나, 자력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자석과 철편으로 구현되거나, 반대 극성으로 배치되는 자석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2착탈부(42c)(42d)는, 띠부재(42b)에 설치된 철편과 후면커버(30)에 설치되는 버튼형태의 자석으로 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 상기한 띠부재는 다양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천, 플라 스틱, 폴리계열의 수지, 가죽, 종이등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제1착탈부(42c)가 특정 위치의 제2착탈부(42d)에 탈부착됨에 따라, 홈(42a)을 관통하는 띠부재(42b)의 길이가 가변되고, 이에 따라 후면커버(30)와 후면접힘커버(35) 사이의 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각도유지부(43)는. 전,후면커버(20)(30)와 전,후면접힘커버(25)(35)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띠부재(43a)와, 전,후면커버(20)(30)와 전,후면접힘커버(25)(35)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제1띠부재(43a)에 착탈되는 제2띠부재(43b)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한 구조는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띠부재(43a)의 단부에 걸게(43a)를 형성하고, 제2띠부재(43b)에 걸게(43a)가 걸어지는 걸게홈(43b')을 형성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각도유지부(44)는. 전,후면커버(20)(30)와 전,후면접힘커버(25)(35)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띠부재(44a)와, 전,후면커버(20)(30)와 전,후면접힘커버(25)(35)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제1띠부재(44a)에 착탈되는 제2띠부재(44b)를 포함하고, 제1띠부재(44a)와 제2띠부재(44b) 사이에는, 그 제1띠부재(44a)와 제2띠부재(44b)의 연결된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길이가변부가 마련된다.
이러한 길이가변부는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띠부재(44a)의 전방측으로 형성되는 후크형상의 걸게(44a)와, 제2띠부재(44b)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걸게(44a)가 걸어지는 걸게홈(44b')로 구현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길이가변부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띠부재(44a)와 제2띠부재(44b)에 각각 설치되어 상호 탈부착이 가능한 벨크로(44a")(44b")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길이가변부는, 탈부착이 가능한 자석과 철편으로 구현되거나, 반대극성으로 배치되는 자석으로 구현되거나, 비자석 버튼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도유지부(45)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면커버(20)(30)의 하단에서 접힘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띠부재(45a)와, 전,후면접힘커버(25)(35)의 하단에 접힘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서 제1띠부재(45a)에 착탈되는 제2띠부재(45b)를 포함하고, 제1띠부재(45a)와 제2띠부재(45b) 사이에는 그 제1띠부재(45a)와 제2띠부재(45b)의 연결된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길이가변부가 마련된다. 이때 길이가변부는 도 8에서 설명된 벨크로로 구현되거나, 탈부착이 가능한 자석과 철편으로 구현되거나, 반대극성으로 배치되는 자석으로 구현되거나, 비자석 버튼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착탈지지부(5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여러 페이지로 구성되는 속지부(미도시)를 바인딩하기 위한 바인더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바인더 타입의 착탈지지부(50)는, 상호 벌어지는 다수의 스프링(51)을 가지며, 스프링(51)들이 속지부에 형성된 체결공(미도시)에 체결됨으로써, 속지부는 착탈지지부(50)에 바인딩되는 것이다. 이러한 바인더는 다이어리에서 일반적으로 채용하고 있는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착탈지지부(5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커버(20)와 후면커버(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단에는 속지부의 상단을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는 바인더 또는 클립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에에서는 바인더 형태로 구현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바인더 또는 클립 형태의 착탈지지부(52)는 다양한 문구 분야에서 사용되는 공지의 기술이기 때문에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착탈지지부(53)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커버(20) 및/또는 후면커버(30) 내측에는 메모종이나 명함등이 끼어지는 포켓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포켓에는 일반 노우트와 같은 속지부의 전면과 후면이 끼어짐으로써, 속지부를 지지하게 된다.
착탈지지부(54)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종이가 들어갈 수 있는 다수개의 비닐포대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비닐포대 형태의 착탈지지부(54)를 채용함으로써, A4 용지등으로 된 보고서나 참고내용을 보관하거나 참고하는 것이 매우 용이해진다.
이 외에도 착탈지지부(55)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커버(20)와 후면커버(30) 각각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고무밴드로 구현될 수 있다. 착탈지지부(56)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커버(20)의 상하단과 후면커버(30)의 상하단 각각에 비스듬하게 설치되는 고무밴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착탈지지부(57)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커버(20)의 가장자리와 후면커버(30)의 가장자리에 각각 설치되는 클립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클립의 수는 필요에 따라 복수개로 할 수 있다.
다음, 상기한 구조의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여,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를 휴대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접힘커버(25) 및 후면접힘커버(35)를 각각의 단차부면(20a)(30a)의 상부에 포갠 후, 전면커버(20)와 후면커버(30)를 메인연결부(10)의 분절라인(10a)에 대하여 접으면 된다.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를 세워놓고자 할 경우에는,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커버(20)와 후면커버(30)를 펼친 후, 전,후면접힘커버(25)(35)(25')(35')를 분절라인(25a)(35a)을 중심으로 전,후면커버(20)(30)로부터 벌어지게 하면 된다. 이때 전,후면커버(20)(30)와 전,후면접힘커버(25)(35) 사이의 벌어짐 각도는 각도유지부(41)(42)(43)(44)(45)에 의하여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착탈지지부(50)(52)(53)(54)(55)(56)(57)에 의하여 고정되는 속지부의 내용을 정면에서 볼 수 있도록 독서대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 분절라인이 전,후면커버의 최상단에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있어서, 세워진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전방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후방 사시도로서, 서브연결부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연결된 전면접힘커버와 후면접힘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3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후방 사시도로서, 서브연결부의 다른 실시에에서 의하여 연결된 전면접힘커버와 후면접힘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에 있어서 전,후면커버에 제1,2커버홈이 형성되고, 제1,2커버홈에 끼어지는 전,후면접힘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에 적용되는 각도유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원의 다용도 커비지지대에 적용되는 각도유지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에 적용되는 각도유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길이가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에 적용되는 각도유지부의 또 다른 실시예 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에 있어서, 바인더 또는 클립 형태의 착탈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에 있어서, 포켓 형태의 착탈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에 있어서, 비닐포대 형태의 착탈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 및 도 16은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에 있어서, 고무밴드 형태의 착탈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에 있어서, 클립형태의 착탈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인연결부 10a ... 분절라인
15 ... 서브연결부 15' ... 서브연결부
15a' ... 띠부재 15b',15c ... 착탈부
20 ... 전면커버 20a ... 단차부면
25,25' ... 전면접힘커버 25a, 25b ... 분절라인
26a,26b ... 착탈부 30 ... 후면커버
30a ... 단차부면 35,35' ... 후면접힘커버
35a,35b ... 분절라인 36a,36b ... 착탈부
41,42,43 ... 각도유지부 42a ... 홈
42b ... 띠부재 42c ... 제1착탈부
42d ... 제2착탈부 43a ... 제1띠부재
43b .. 제2띠부재 44a ... 제1띠부재
44b ... 제2띠부재 50,52,53,54,55,56,57... 착탈지지부

Claims (20)

  1. 메인연결부(10)에 의하여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면커버(20) 및 후면커버(30);
    상기 전면커버(20)의 상부측에 분절라인(25a)의 의하여 연결되어 그 전면커버(20)에 포개어지는 전면접힘커버(25);
    상기 후면커버(30)의 상부측에 분절라인(35a)에 의하여 연결되어 그 후면커버(30)에 포개어지는 후면접힘커버(35);
    상기 전면접힘커버(25)와 후면접힘커버(35) 사이를 연결하는 서부연결부(15);
    상기 전면커버(20)와 전면접힘커버(25) 사이 또는 후면커버(30)와 후면접힘커버(35) 사이에 연결되어 그 전면커버(20)와 전면접힘커버(25) 또는 후면커버(30)와 후면접힘커버(35) 사이의 벌어진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각도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면커버(20)(30)에 각각에 제1,2커버홈(20')(30')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접힘커버(25')는 상기 제1커버홈(20') 상단의 분절라인(25a')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제1커버홈(20')에 끼어지고,
    상기 후면접힘커버(35')는 상기 제2커버홈(30') 상단의 분절라인(35a')에 의 하여 연결되어 상기 제2커버홈(30')에 끼어지며,
    상기 각도유지부는, 상기 전면커버(20)와 전면접힘커버(25) 사이와 상기 후면커버(30)와 후면접힘커버(35)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메인연결부(10)와 전면커버(20)와 후면커버(3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각종 정보가 인쇄되거나 필기를 가능하게 하는 속지부를 착탈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착탈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연결부(15)는,
    상기 전면접힘커버(25)와 후면접힘커버(35)의 마주보는 가장자리를 분절라인(25b)(35b)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연결부(15')는,
    상기 전면접힘커버(25)와 후면접힘커버(35)의 하부측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연결부(15')는,
    띠 형태의 띠부재(15a')와, 상기 띠부재(15a')의 타측단과 상기 전면접힘커버(25)의 하부 사이에 설치되는 착탈부(15b')(15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20)는 그 전면커버(20)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단차부면(20a)을 가지며, 상기 전면접힘커버(25)가 상기 단차부면(20a)의 상부에 포개짐으로써, 상기 전면커버(20)와 동일한 두께가 되고;
    상기 후면커버(30)는 그 후면커버(30)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단차부면(30a)을 가지며, 상기 후면접힘커버(35)가 상기 단차부면(30a)의 상부에 포개짐으로써, 상기 후면커버(30)와 동일한 두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접힘커버(25)와 단차부면(20a)에는 그 전면접힘커버(25)가 단차부면(20a)에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착탈부(26a)(26b)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후면접힘커버(35)와 단차부면(30a)에는 그 후면접힘커버(35)가 단차부면(30a)에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착탈부(36a)(36b)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유지부(41)는, 상기 전면커버(20)와 전면접힘커버(25) 사이 또는 후면커버(30)와 후면접힘커버(35)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띠부재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유지부(42)는, 상기 전면커버(20) 또는 후면커버(30)의 하부측에 형성된 홈(42a)과, 상기 전면커버(20) 또는 후면접힘커버(35)와 연결되어 상기 홈(42a)을 관통하는 띠부재(42b)와, 상기 홈(42a)의 상부측 후면커버(30)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1착탈부(42c)와, 상기 띠부재(42b)에 설치되어 상기 제1착탈부(42c)에 탈부착되는 제2착탈부(42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유지부(43)는. 상기 전,후면커버(20)(30)와 전,후면접힘커버(25)(35)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띠부재(43a)와, 상기 전,후면커버(20)(30)와 전,후면접힘커버(25)(35)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띠부재(43a)에 착탈되는 제2띠부재(43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유지부(44)는,
    상기 전,후면커버(20)(30)와 전,후면접힘커버(25)(35)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띠부재(44a)와, 상기 전,후면커버(20)(30)와 전,후면접힘커버(25)(35)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띠부재(44a)에 착탈되는 제2띠부재(44b)를 포함하고;
    상기 제1띠부재(44a)와 제2띠부재(44b) 사이에는, 그 제1띠부재(44a)와 제2띠부재(44b)의 연결된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길이가변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유지부(45)는, 상기 전,후면커버(20)(30)의 하단에서 접힘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띠부재(45a)와, 상기 전,후면접힘커버(25)(35)의 하단에 접힘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띠부재(45a)에 착탈되는 제2띠부재(45b)를 포함하고;
    상기 제1띠부재(45a)와 제2띠부재(45b) 사이에는, 그 제1띠부재(45a)와 제2띠부재(45b)의 연결된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길이가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지지부(50)는, 연결부(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속지부(미도시)를 바인딩하기 위한 바인더로 구현되며, 상기 바인더는 상기 속지부에 체결된 체결공에 체결되는 다수의 스프링(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지지부(52)는, 전면커버(20)와 후면커버(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단에는 속지부의 상단을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는 바인더 또는 클립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지지부(53)는, 상기 전면커버(20) 및/또는 후면커버(30) 내측에는 메모종이나 명함등이 끼어지는 포켓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1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지지부(54)는, 상기 연결부(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종이가 들어갈 수 있는 다수의 비닐포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1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지지부(55)는, 상기 전면커버(20)와 후면커버(30) 각각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고무밴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1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지지부(56)는, 상기 전면커버(20)의 상하단과 후면커버(30)의 상하단 각각에 비스듬하게 설치되는 고무밴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2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지지부(57)는, 상기 전면커버(20)의 가장자리와 후면커버(30)의 가장자리에 각각 설치되는 클립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KR1020070069944A 2007-07-12 2007-07-12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KR100875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944A KR100875846B1 (ko) 2007-07-12 2007-07-12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US12/668,881 US20100187804A1 (en) 2007-07-12 2008-07-11 Multipurpose cover supporter
CN2008800249002A CN101743129B (zh) 2007-07-12 2008-07-11 护眼封面
EP08778771A EP2195174A4 (en) 2007-07-12 2008-07-11 MULTI-PURPOSE COVER SUPPORT
PCT/KR2008/004113 WO2009008684A1 (en) 2007-07-12 2008-07-11 A multipurpose cover supporter
JP2010515979A JP2010533083A (ja) 2007-07-12 2008-07-11 目保護カバー支持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944A KR100875846B1 (ko) 2007-07-12 2007-07-12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5846B1 true KR100875846B1 (ko) 2008-12-26

Family

ID=40373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944A KR100875846B1 (ko) 2007-07-12 2007-07-12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58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684B1 (ko) * 2014-12-10 2015-05-11 이상화 독서용 북홀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841Y1 (ko) 2003-03-13 2003-06-18 김두용 클램프를 채용한 절첩식 독서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841Y1 (ko) 2003-03-13 2003-06-18 김두용 클램프를 채용한 절첩식 독서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684B1 (ko) * 2014-12-10 2015-05-11 이상화 독서용 북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1979A (en) Dual binder with ring binder compartment and storage compartment
CA2290121C (en) Day planner with a partitioned photo compartment
KR100838150B1 (ko)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US20120082505A1 (en) Folder notebooks
US11737536B2 (en) Fabric organizer with clipboard
KR100895456B1 (ko)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KR100875846B1 (ko)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KR20210000344U (ko) 일정 계획 및 업무 관리가 용이한 시스템 다이어리
CN101743129B (zh) 护眼封面
US20070183839A1 (en) Bound component with adjustable elastic device
JP2010538789A (ja) 目保護カバー支持台
KR100952923B1 (ko) 일체형 북커버
KR20090094998A (ko)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KR100892348B1 (ko)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KR20090122601A (ko) 눈보호 커버지지대
KR200494801Y1 (ko) 필기구 꽂이를 구비한 서책
KR20100006470U (ko) 세움기능을 가지는 다용도 판형지지대
JP3065984U (ja) 書類ホルダ―
KR100883785B1 (ko)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KR20100005337A (ko) 눈보호 커버지지대
KR102010704B1 (ko) 풀림이 방지된 탄성밴드를 구비한 스프링수첩
JP2011031602A (ja) 冊子カバー
KR200405774Y1 (ko) 다기능의 스프링 노트북
KR20090078107A (ko)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US20040145175A1 (en) File device having white board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