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5456B1 -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 Google Patents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5456B1
KR100895456B1 KR1020080048381A KR20080048381A KR100895456B1 KR 100895456 B1 KR100895456 B1 KR 100895456B1 KR 1020080048381 A KR1020080048381 A KR 1020080048381A KR 20080048381 A KR20080048381 A KR 20080048381A KR 100895456 B1 KR100895456 B1 KR 100895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olded
folding
support
segmen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8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0199A (ko
Inventor
박정우
Original Assignee
박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우 filed Critical 박정우
Priority to KR1020080048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5456B1/ko
Publication of KR20090030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2Book cover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B42D3/126Book cover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nabling the book to be positioned upr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8Other accessorie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메인연결부(10)에 의하여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면커버(20) 및 후면커버(30)와; 전면커버(20) 상부측에 분절라인(25a)의 의하여 연결되어 그 전면커버(20)의 내측에 포개어지는 전면접힘커버(25)와; 후면커버(30)의 상부측에 분절라인(35a)에 의하여 연결되어 그 후면커버(30)의 내측에 포개어지는 후면접힘커버(35)와; 전면커버(20)와 전면접힘커버(25) 사이 또는 후면커버(30)와 후면접힘커버(35) 사이에 연결되어 그 전면커버(20)와 전면접힘커버(25) 또는 후면커버(30)와 후면접힘커버(35) 사이의 벌어진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각도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버지지대, 다용도, 커버, 각도유지

Description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A cover capable of supporting diary or calendar}
본 발명은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다이어리에는, 일정관리, 메모, 주소, 전화번호등를 기재할 수 있는 각종 양식의 메모지나, 각종 유용한 정보, 예를 들면 지도, 지하철 노선등의 정보가 인쇄된 기록지로 이루어진 속지부를 가지며, 많은 유용한 정보들이 담겨져 있고 정보를 기록할 수 있게 때문에 바쁘게 생활하는 현대인에게 필수품이 되어 있다. 이러한 다이어리는 일상 생활을 하는 도중에 다양한 정보를 기록하거나 제공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업무를 진행하다 보면 다이어리를 틈틈이 확인하여야 하는 일이 많은데, 이 경우 책상에 뉘어진 다이어리를 확인하여야 하였다.
그런데, 상기한 속지부는 책상에 뉘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기록된 정보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에 몸을 앞으로 당겨 고개를 숙인 후 정보를 확인하여야 하였다. 이러한 동작은 불편한 동작이기 때문에, 반복하다 보면 허리는 물론 목에 무리가 간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기록된 속지부를 확인할 경우에도 허리나 고개를 숙일 필요가 없도록 할 수 있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속지부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어 휴대용 독서대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일실시예는,
메인연결부(110)에 의하여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면커버(120) 및 후면커버(130); 상기 전면커버(120) 상부측에 분절라인(125a)의 의하여 연결되어 그 전면커버(120)에 포개어지는 제1전면접힘커버(125); 상기 분절라인(125a)에 의하여 연결되며 제1전면접힘커버(125)의 내측에 포개어지는 제2전면접힘커버(126); 상기 후면커버(130)의 상부측에 분절라인(135a)에 의하여 연결되어 그 후면커버(130)에 포개어지는 제1후면접힘커버(135); 상기 분절라인(135a)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제1후면접힘커버(135)의 내측에 포개어지는 제2후면접힘커버(136); 상기 제1전면접힘커버(125)와 제1후면접힘커버(135) 사이를 연결하는 제1서브연결부(115); 상기 제2전면접힘커버(126)와 제2후면접힘커버(136) 사이를 연결하는 제2서브연결부(116); 상기 전면커버(120)와 제1전면접힘커버(125) 사이 또는 상기 후면커버(130)와 제1후면접힘커버(135) 사이에 연결되어, 그 전면커버(120)와 제1전면접힘커버(125) 또는 상기 후면커버(130)와 제1후면접힘커버(135) 사이의 벌어진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1각도유지부(141); 및 상기 제1전면접힘커버(125)와 제2전면접힘커버(126) 사이 또는 상기 제1후면접힘커버(135)와 제2후면접힘커버(136) 사이에 연결되어, 그 제1전면접힘커버(125)와 제2전면접힘커버(126) 또는 상기 제1후면접힘커버(135)와 제2후면접힘커버(136) 사이의 벌어진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2각도유지부(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는,
메인연결부(210)에 의하여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면커버(220) 및 후면커버(230); 상기 전면커버(220) 상부측에 제1분절라인(225a)의 의하여 연결되어 그 전면커버(220)에 포개어지는 제1전면접힘커버(225); 상기 전면커버(220)의 상단측에 상기 제1분절라인(225a)과 다른 제2분절라인(226a)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제1전면접힘커버(225) 상부측의 상기 전면커버(220)에 포개어지는 제2전면접힘커버(226); 상기 후면커버(130)의 상부측에 제1분절라인(235a)에 의하여 연결되어 그 후면커버(230)에 포개어지는 제1후면접힘커버(235); 상기 후면커버(230)의 상단측에 상기 제1분절라인(235a)과 다른 제2분절라인(236a)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제1후면접힘커버(235) 상부측의 후면커버(230)에 포개어지는 제2후면접힘커버(236); 상기 제1전면접힘커버(225)와 제1후면접힘커버(235) 사이를 연결하는 제1서브연결부(215)와; 상기 제2전면접힘커버(226)와 제2후면접힘커버(236) 사이를 연결하는 제2서브연결부(216); 상기 전면커버(220)와 제1전면접힘커버(225) 사이 또는 후면커버(230)와 제1후면접힘커버(235)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전면커버(120)와 제2전 면접힘커버(225) 또는 상기 후면커버(230)와 제1후면접힘커버(235) 사이의 벌어진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1각도유지부(241); 및 상기 전면커버(220)와 제2전면접힘커버(226) 사이 또는 상기 후면커버(230)와 제2후면접힘커버(236)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전면커버(220)와 제2전면접힘커버(226) 또는 상기 후면커버(230)와 제2후면접힘커버(236) 사이의 벌어진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2각도유지부(2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에 따르면, 전면커버의 상부측에 분절라인의 의하여 연결되는 전면접힘커버와, 후면커버의 상부측에 분절라인에 의하여 연결되는 후면접힘커버와, 전,후면커버와 전,후면접힘커버 사이의 벌어진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각도유지부를 포함함으로써, 휴대시 일반 책자처럼 접어서 휴대할 수 있고, 사용시 독서대처럼 세워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기록된 속지부를 확인할 경우에도 허리나 고개를 숙일 필요가 없고, 또한 속지부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어 다양한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라는 작용,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전,후면접힘커버가 전,후면커버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있어서, 메인연결부에 착탈지지부가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1실시예는, 메인연결부(10)에 의하여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면커버(20) 및 후면커버(30)와; 전면커버(20) 상부측에 분절라인(25a)의 의하여 연결되어 그 전면커버(20)의 내측에 포개어지는 전면접힘커버(25)와; 후면커버(30)의 상부측에 분절라인(35a)에 의하여 연결되어 그 후면커버(30)의 내측에 포개어지는 후면접힘커버(35)와; 전면커버(20)와 전면접힘커버(25) 사이 또는 후면커버(30)와 후면접힘커버(35) 사이에 연결되어 그 전면커버(20)와 전면접힘커버(25) 또는 후면커버(30)와 후면접힘커버(35) 사이의 벌어진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각도유지부;를 포함한다. 이때, 전면접힘커버(25)와 후면접힘커버(35) 사이는 서브연결부(15)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도유지부는 메인연결부(10)와 서브연결부(15)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메인연결부(10)는 그 양측에서 분절라인(10a)에 의하여 전면커버(20)와 후면커버(30)를 연결한다.
서브연결부(1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접힘커버(25)와 후면접힘커버(35)의 마주보는 가장자리를 분절라인(25b)(35b)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연결한다. 이 경우, 서브연결부(15)는 메인연결부(10)의 상부측과도 연결된다.
전면커버(20) 및 후면커버(30)는 탁상위에 세워지기 위하여 어느 정도의 견고성이 필요하므로, 비교적 견고성이 높으면서도 제조비용이 저렴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일반적으로 PP라고 칭함)을 사출하여 제조하거나, 아크릴, 하드보드와 같은 종이, 플라스틱, 알루미늄, 나무등으로 구현된다. 그리고, 고급성을 부가시키기 위하여, 전,후면커버(20)(30)에는 천연가죽이나 합성가죽, 천이 감싸여지며, 모서리 부분을 곡선처리할 수도 있다.
전,후면커버(20)(30) 각각에는 전,후면접힘커버(25)(35)가 각각 끼어지는 커버홈(20')(30')이 형성된다. 커버홈(20')(30')은 전,후면커버(20)(30)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며, 전,후면접힘커버(25)(35)가 커버홈(20')(30')에 포개어질 때 전체적인 두께는 전,후면커버(20)(30)의 두께와 동일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후면접힘커버(25)(35)와 커버홈(20')(30') 사이에는 그 전,후면접힘커버(25)(35)가 커버홈(20')(30')에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착탈부(26a,26b)(36a,36b)가 설치되어 된다. 이러한 탈부착부(26a,26b)(36a,36b) 각각은, 상호 탈부착이 가능한 벨크로로 구현되거나, 자력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자 석과 철편으로 구현되거나, 반대 극성으로 배치되는 자석이나, 비자석 버튼등으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전면접힘커버(25)를 전면커버(20)에 연결하는 분절라인(25a)이나 후면접힘커버(35)를 후면커버(30)에 연결하는 분절라인(35a)이 전,후면커버(20)(30)의 상부측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보다 용이한 설명을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있어 분절라인(25a)(35a)은 전,후면커버(20)(30)의 상부측뿐만 아니라, 전면커버의 최상단과 후면커버(30)의 최상단에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각도유지부(40)는,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가 세워질 수 있도록 전,후면커버(20)(30)와 전,후면접힘커버(25)(35) 사이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각도유지부(40)의 가장 간단한 형태는, 전,후면커버(20)(30)와 전,후면면접힘커버(25)(35) 사이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띠부재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다용도 커버지지대는, 각종 정보가 인쇄되거나 필기를 가능하게 하는 속지부를 메인연결부(10) 또는 전면커버(20) 또는 후면커버(30)에 착탈하기 위한 착탈지지부(50)를 더 포함한다. 착탈지지부(5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연결부(10)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자력에 의하여 탈부착되는 제1자력식탈부착부(51)와, 속지부의 전면과 후면이 각각 끼어지는 포켓(52a)(52b)이 형성된 속지지지부(52)와, 속지지지부(52)를 제본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제1자력식탈부착부(51)에 부착되는 제2자력식탈부착부(5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2자력식탈부착부(51)(52)는 자석 과 철편으로 구현되던지, 상호 반대 극성을 향하는 자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속지지지부(52)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되어, 대략 중앙 부분이 절개되어 포켓(52a)(52b)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 외에, 착탈지지부는 메인연결부(10)에 설치되는 공지의 스프링바인더로 구현될 수 있고, 전면커버(20)와 후면커버(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단에 설치되어 속지부의 상단을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는 클립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전면커버(20) 및/또는 후면커버(30) 내측에는 메모종이나 명함등이 끼어지는 포켓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메인연결부(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종이가 들어갈 수 있는 다수개의 비닐포대로 구현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착탈지지부는, 전면커버(20)와 후면커버(30) 각각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고무밴드로 구현될 수 있는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있어서, 전,후면커버가 제1전,후면접힘커버에 의하여 세워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4에 있어서, 전,후면커버가 제2전,후면접힘커버에 의하여 세워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2실시예는, 메인연결부(110)에 의하여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 는 전면커버(120) 및 후면커버(130)와; 전면커버(120) 상부측에 분절라인(125a)의 의하여 연결되어 그 전면커버(120)에 포개어지는 제1전면접힘커버(125)와; 분절라인(125a)에 의하여 연결되며 제1전면접힘커버(125)의 내측에 포개어지는 제2전면접힘커버(126)와; 후면커버(130)의 상부측에 분절라인(135a)에 의하여 연결되어 그 후면커버(130)에 포개어지는 제1후면접힘커버(135)와; 분절라인(135a)에 의하여 연결되어 제1후면접힘커버(135)의 내측에 포개어지는 제2후면접힘커버(136)와; 제1전면접힘커버(125)와 제1후면접힘커버(135) 사이를 연결하는 제1서브연결부(115)와; 제2전면접힘커버(126)와 제2후면접힘커버(136) 사이를 연결하는 제2서브연결부(116)와; 전면커버(120)와 제1전면접힘커버(125) 사이 또는 후면커버(130)와 제1후면접힘커버(135) 사이에 연결되어, 그 전면커버(120)와 제1전면접힘커버(125) 또는 후면커버(130)와 제1후면접힘커버(135) 사이의 벌어진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1각도유지부(141)와; 제1전면접힘커버(125)와 제2전면접힘커버(126) 사이 또는 제1후면접힘커버(135)와 제2후면접힘커버(136) 사이에 연결되어, 그 제1전면접힘커버(125)와 제2전면접힘커버(126) 또는 제1후면접힘커버(135)와 제2후면접힘커버(136) 사이의 벌어진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2각도유지부(142);를 포함한다.
메인연결부(110)는 그 양측에서 분절라인(110a)에 의하여 전면커버(120)와 후면커버(130)를 연결한다. 제1서브연결부(115)는, 제1전면접힘커버(125)와 제1후면접힘커버(135)의 마주보는 가장자리를 분절라인(125b)(135b)에 의하여 연결한다. 제2서브연결부(116)는, 제2전면접힘커버(126)와 제2후면접힘커버(136)의 마주보는 가장자리를 분절라인(126b)(136b)에 의하여 연결한다.
전면커버(120) 및 후면커버(130)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전면커버(20) 및 후면커버(30)와 거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전면접힘커버(125) 및 제1후면접힘커버(135) 각각에는 제2전면접힘커버(126)와 제2후면접힘커버(136)가 각각 끼어지는 커버홈(125')(135')이 형성된다. 커버홈(125')(135')은 제1전,후면커버(125)(135)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며, 제2전,후면접힘커버(126)(136)가 커버홈(125')(135')에 포개어질 때 전체적인 두께는 제1전,후면접힘커버(125)(135)의 두께와 동일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전,후면접힘커버(125)(135)와 전,후면커버(120)(130) 사이에는 그 제1전,후면접힘커버(125)(135)가 전,후면커버(120)(130)에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1탈부착부(127a)(127b)가 설치된다. 또한 제2전,후면접힘커버(126)(136)와 커버홈(125')(135') 사이에는 그 제2전,후면접힘커버(126)(136)가 커버홈(125')(135')에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2탈부착부(128a)(128b)가 설치되어 된다. 이러한 탈부착부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거의 유사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각도유지부(141)는,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한 경사를 가지며 세워질 수 있도록 전,후면커버(120)(130)와 제1전,후면접힘커버(125)(135) 사이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제2각도유지부(141)는,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경사를 가지며 세워질 수 있도록 제2전,후면접힘커버(126)(136)와 제1전,후면접힘커버(125)(135) 사이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제 1,2각도유지부(141)(142)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거의 유사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용도 커버지지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정보가 인쇄되거나 필기를 가능하게 하는 속지부를 메인연결부(110) 또는 전면커버(120) 또는 후면커버(130)에 착탈하기 위한 착탈지지부(150)를 더 포함한다. 착탈지지부(15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메인연결부(110)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1자력식탈부착부(151)와, 속지부의 전면과 후면이 각각 끼어지는 포켓(152a)(152b)이 형성된 속지지지부(152)와, 속지지지부(152)를 제본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제1자력식탈부착부(151)에 부착되는 제2자력식탈부착부(15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2자력식탈부착부(151)(152)는 자석과 철편으로 구현되던지, 상호 반대 극성을 향하는 자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속지지지부(152)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되어, 대략 중앙 부분이 절개되어 포켓(152a)(152b)이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3실시예는, 메인연결부(210)에 의하여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면커버(220) 및 후면커버(230)와; 전면커버(220) 상부측에 제1분절라인(225a) 의 의하여 연결되어 그 전면커버(220)에 포개어지는 제1전면접힘커버(225)와; 전면커버(220)의 상단측에 제1분절라인(225a)과 다른 제2분절라인(226a)에 의하여 연결되어 제1전면접힘커버(225) 상부측의 전면커버(220)에 포개어지는 제2전면접힘커버(226)와; 후면커버(130)의 상부측에 제1분절라인(235a)에 의하여 연결되어 그 후면커버(230)에 포개어지는 제1후면접힘커버(235)와; 후면커버(230)의 상단측에 제1분절라인(235a)과 다른 제2분절라인(236a)에 의하여 연결되어 제1후면접힘커버(235) 상부측의 후면커버(230)에 포개어지는 제2후면접힘커버(236)와; 제1전면접힘커버(225)와 제1후면접힘커버(235) 사이를 연결하는 제1서브연결부(215)와; 제2전면접힘커버(226)와 제2후면접힘커버(236) 사이를 연결하는 제2서브연결부(216)와; 전면커버(220)와 제1전면접힘커버(225) 사이 또는 후면커버(230)와 제1후면접힘커버(235) 사이에 연결되어, 그 전면커버(120)와 제2전면접힘커버(225) 또는 후면커버(230)와 제1후면접힘커버(235) 사이의 벌어진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1각도유지부(241)와; 전면커버(220)와 제2전면접힘커버(226) 사이 또는 후면커버(230)와 제2후면접힘커버(236) 사이에 연결되어, 그 전면커버(220)와 제2전면접힘커버(226) 또는 후면커버(230)와 제2후면접힘커버(236) 사이의 벌어진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2각도유지부(242);를 포함한다.
메인연결부(210)는 그 양측에서 분절라인(210a)에 의하여 전면커버(220)와 후면커버(230)를 연결한다. 제1서브연결부(215)는, 제1전면접힘커버(225)와 제1후면접힘커버(235)의 마주보는 가장자리를 분절라인(225b)(235b)에 의하여 연결한다. 제2서브연결부(216)는, 제2전면접힘커버(226)와 제2후면접힘커버(236)의 마주보는 가장자리를 분절라인(226b)(236b)에 의하여 연결한다.
전면커버(220) 및 후면커버(230)는 제1,2실시예에서 설명된 전면커버(20) 및 후면커버(30)와 거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전,후면접힘커버(225)(235)와 전,후면커버(220)(230) 사이에는 그 제1전,후면접힘커버(225)(235)가 전,후면커버(220)(230)에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1탈부착부(227a)(227b)가 설치된다. 또한 제2전,후면접힘커버(226)(236)와 전,후면커버(220)(230) 사이에는 그 제2전,후면접힘커버(226)(236)가 전,후면커버(220)(230)에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2탈부착부(228a)(228b)가 설치되어 된다. 이러한 탈부착부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며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각도유지부(241)는,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가 경사를 가지며 세워질 수 있도록 전,후면커버(220)(230)와 제1전,후면접힘커버(225)(235) 사이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제2각도유지부(241)는,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가 작은 경사를 가지며 세워질 수 있도록 제2전,후면접힘커버(226)(236)와 전,후면커버(220)(230) 사이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제1,2각도유지부(241)(242)는 제1,2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거의 유사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용도 커버지지대는, 각종 정보가 인쇄되거나 필기를 가능하게 하는 속지부를 메인연결부(210) 또는 전면커버(220) 또는 후면커버(230)에 착탈하기 위한 착탈지지부(250)를 더 포함한다. 착탈지지부(25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연결부(210)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1자력식탈부착부(251)와, 속지부의 전면과 후면이 각각 끼어지는 포켓(252a)(252b)이 형성된 속지지지부(252)와, 속지지지부(252)를 제본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제1자력식탈부착부(251)에 부착되는 제2자력식탈부착부(25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2자력식탈부착부(251)(252)는 자석과 철편으로 구현되던지, 상호 반대 극성을 향하는 자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속지지지부(252)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되어, 대략 중앙 부분이 절개되어 포켓(252a)(252b)이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4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4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있어서, 서브연결부로 스프링의 일부가 관통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4실시예는,
각종 정보가 인쇄되거나 필기를 가능하게 하는 속지부의 전,후면에 포개어지는 것으로서 스프링(350)에 의하여 제본되는 전면커버(320) 및 후면커버(330)와; 전면커버(320) 상부측에 분절라인(325a)의 의하여 연결되어 그 전면커버(320)에 포개어지는 전면접힘커버(325)와; 후면커버(330)의 상부측에 분절라인(335a)에 의하여 연결되어 그 후면커버(330)의 내측에 포개어지는 후면접힘커버(335)와; 전면접 힘커버(325)와 후면접힘커버(335)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스프링(350)의 일부분이 끼어져 관통되는 스프링홈(315a)이 형성된 서브연결부(315)와; 전면커버(320)와 전면접힘커버(325) 사이 또는 상기 후면커버(330)와 후면접힘커버(335) 사이에 연결되어, 그 전면커버(320)와 전면접힘커버(325) 또는 상기 후면커버(330)와 후면접힘커버(335) 사이의 벌어진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각도유지부(340);을 포함한다.
전면커버(320) 및 후면커버(330)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전면커버(20) 및 후면커버(30)와 거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서브연결부(315)에 있어서 스프링(350)에 대향하는 위치에 스프링홈(315a)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를 포갤 경우에, 스프링(350)의 일부분이 스프링홈(315a)을 관통하게 된다.
전,후면접힘커버(325)(335)는, 본 실시에에서 전,후면커버(320)(330)의 상단에 분절라인(325a)(335a)에 의하여 연결된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전,후면커버(320)(330)의 상단에서 약간 아랫측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후면접힘커버(325)(335)와 전,후면커버(320)(330) 사이에는 그 전,후면접힘커버(325)(335)가 전,후면커버(320)(330)에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탈부착부(326a)(326b)가 설치된다. 이러한 탈부착부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며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각도유지부(340)는,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가 세워질 수 있도록 전,후면커버(320)(330)와 제1전,후면접힘커버(325)(335) 사이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5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5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5실시예는, 메인연결부(410)에 의하여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면커버(420) 및 후면커버(430)와; 전면커버(420) 상부측에 분절라인(425a)의 의하여 연결되어 그 전면커버(420)에 포개어지는 전면접힘커버(425)와; 후면커버(430)의 상부측에 분절라인(435a)에 의하여 연결되어 그 후면커버(430)의 내측에 포개어지는 후면접힘커버(435)와; 전면커버(420)의 하단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서 전면접힘커버(425)의 단부가 끼어지는 다수의 끼움홈(440a)이 형성된 제1각도유지부(440)와; 후면커버(430)의 하단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서 후면접힘커버(435)의 단부가 끼어지는 다수의 끼움홈(445a)이 형성된 제2각도유지부(445);를 포함한다. 이때, 전면커버(420)와 후면커버(430) 각각에는, 제1각도유지부(440)와 제2각도유지부(445) 각각이 끼어지는 끼움홈(420')(430')이 형성된다.
그 외에, 전면커버(420) 및 후면커버(430)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전면커버(20) 및 후면커버(30)와 거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면접힘커버(425)와 후면접힘커버(435)는 서브연결부(415)에 분절라인(425b)(435b)에 의하여 전체 또는 일부분에 연결될 수도 있다. 그러나, 서브연결 부(415)를 채용하지 않고서도 본원의 커버지지대가 세워지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전,후면접힘커버(425)(435)와 상기 전,후면커버(420)(430) 사이에는 그 전,후면접힘커버(425)(435)가 전,후면커버(420)(430)에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탈부착부(426a)(426b)가 설치된다. 이러한 탈부착부는 제1,2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며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2각도유지부(440)(445)는,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가 세워질 수 있도록 전,후면커버(420)(430)와 전,후면접힘커버(425)(435) 사이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제1,2각도유지부(440)(445)에는 전,후면접힘커버(425)(435)의 단부가 끼어지는 끼움홈(440a)(445a)이 형성되어 있어, 끼어지는 위치에 따라서 전,후면커버(420)(430)의 세움 각도가 가변된다.
본 발명의 다용도 커버지지대는, 각종 정보가 인쇄되거나 필기를 가능하게 하는 속지부를 메인연결부(410) 또는 전면커버(420) 또는 후면커버(430)에 착탈하기 위한 착탈지지부(450)를 더 포함한다. 착탈지지부(45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연결부(410)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1자력식탈부착부(451)와, 속지부의 전면과 후면이 각각 끼어지는 포켓(452a)(452b)이 형성된 속지지지부(452)와, 속지지지부(452)를 제본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제1자력식탈부착부(451)에 부착되는 제2자력식탈부착부(45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2자력식탈부착부(451)(452)는 자석과 철편으로 구현되던지, 상호 반대 극성을 향하는 자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속지지지부(452)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되어, 대략 중앙 부분이 절개되어 포켓(452a)(452b)이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6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6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6실시예는, 메인연결부(510)에 의하여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면커버(520) 및 후면커버(530)와; 전면커버(520) 상부측에 분절라인(525a)의 의하여 연결되어 그 전면커버(520)에 포개어지는 전면접힘커버(525)와; 후면커버(530)의 상부측에 분절라인(535a)에 의하여 연결되어 그 후면커버(530)의 내측에 포개어지는 후면접힘커버(535)와; 전면접힘커버(525)와 후면접힘커버(535) 사이를 연결하는 서브연결부(515)와; 메인연결부(510)의 하단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서 서브연결부(515)의 단부가 끼어지는 다수의 끼움홈(540a)이 형성된 각도유지부(540);를 포함한다. 이때, 메인연결부(510)에는, 각도유지부(540)가 끼어지는 끼움홈(5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커버(520) 및 후면커버(530)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전면커버(20) 및 후면커버(30)와 거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서브연결부(515)는 분절라인(525b)(535b)에 의하여 전면접힘커버(525)와 후면접힘커버(535)를 연결한다. 이때 서브연결부(515)는 전면접힘커버(525)와 후면접 힘커버(535) 전체를 연결할 수도 있고 일부분만 연결할 수도 있다.
전,후면접힘커버(525)(535)와 전,후면커버(520)(530) 사이에는 그 전,후면접힘커버(525)(535)가 전,후면커버(520)(530)에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탈부착부(526a)(526b)가 설치된다. 이러한 탈부착부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며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각도유지부(540)는,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가 세워질 수 있도록 메인연결부(510)와 서브연결부(515) 사이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각도유지부(540)에는 전,후면접힘커버(525)(535) 사이의 서브연결부(515)의 단부가 끼어지는 끼움홈(540a)이 형성되어 있어, 끼어지는 위치에 따라서 전,후면커버(520)(530)의 세움 각도가 가변된다.
본 발명의 다용도 커버지지대는, 각종 정보가 인쇄되거나 필기를 가능하게 하는 속지부를 메인연결부(510) 또는 전면커버(520) 또는 후면커버(530)에 착탈하기 위한 착탈지지부(550)를 더 포함한다. 착탈지지부(55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연결부(510)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1자력식탈부착부(551)와, 속지부의 전면과 후면이 각각 끼어지는 포켓(552a)(552b)이 형성된 속지지지부(552)와, 속지지지부(552)를 제본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제1자력식탈부착부(551)에 부착되는 제2자력식탈부착부(55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2자력식탈부착부(551)(552)는 자석과 철편으로 구현되던지, 상호 반대 극성을 향하는 자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속지지지부(552)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되어, 대략 중앙 부분이 절개되어 포켓(552a)(552b)이 형성되 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7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7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7실시예는, 메인연결부(610)에 의하여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면커버(620) 및 후면커버(630)와; 전면커버(620) 상부측에 분절라인(625a)의 의하여 연결되어 그 전면커버(620)에 포개어지는 전면접힘커버(625)와; 후면커버(630)의 상부측에 분절라인(635a)에 의하여 연결되어 그 후면커버(630)의 내측에 포개어지는 후면접힘커버(635)와; 전면접힘커버(625)와 후면접힘커버(635) 사이를 연결하는 서브연결부(615)와; 서브연결부(615)에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1탈부착부(641)와, 메인연결부(610)에 연결되어 서브연결부(615)의 하부측을 관통하는 띠부재(642)와, 띠부재(642)의 단부에 설치되어 제1탈부착부(641)에 부착되는 제2탈부착부(643)로 이루어지는 각도조절부(6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면커버(620) 및 후면커버(630)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전면커버(20) 및 후면커버(30)와 거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후면접힘커버(625)(635)와 전,후면커버(620)(630) 사이에는 그 전,후면접힘커버(625)(635)가 전,후면커버(620)(630)에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탈부착부(626a)(626b)가 설치된다. 이러한 탈부착부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며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각도유지부(640)는,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가 세워질 수 있도록 전,후면커버(620)(630)와 전,후면접힘커버(625)(635) 사이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제2탈부착부(643)가 특정 위치의 제1탈부착부(641)에 부착됨에 따라 띠부재(642)는 전,후면커버(620)(630)와 전,후면접힘커버(625)(635) 사이의 간격을 가변하고, 이에 따라 전,후면커버(620)(630)의 세움 각도가 가변된다.
여기서, 제1,2탈부착부(641)(643)는 상호 탈부착이 가능한 벨크로로 구현되거나, 자력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자석과 철편으로 구현되거나, 반대 극성으로 배치되는 자석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2탈부착부(641)(643)는, 띠부재(642)에 설치된 철편과 서브연결부(615)에 설치되는 버튼형태의 자석으로 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 상기한 띠부재는 다양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천, 플라스틱, 폴리계열의 수지, 가죽, 종이등이 있다.
본 발명의 다용도 커버지지대는, 각종 정보가 인쇄되거나 필기를 가능하게 하는 속지부를 메인연결부(610) 또는 전면커버(620) 또는 후면커버(630)에 착탈하기 위한 착탈지지부(650)를 더 포함한다. 착탈지지부(65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연결부(610)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1자력식탈부착부(651)와, 속지부의 전면과 후면이 각각 끼어지는 포켓(652a)(652b)이 형성된 속지지지부(652)와, 속지지지부(652)를 제본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제1자력식탈부착부(651)에 부착되는 제2자력식탈부착부(653)로 이루 어질 수 있다. 이때 제1,2자력식탈부착부(651)(652)는 자석과 철편으로 구현되던지, 상호 반대 극성을 향하는 자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속지지지부(652)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되어, 대략 중앙 부분이 절개되어 포켓(652a)(652b)이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7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8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8실시예는, 메인연결부(710)에 의하여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면커버(720) 및 후면커버(730)와; 전면커버(720) 상부측에 분절라인(725a)의 의하여 연결되어 그 전면커버(720)에 포개어지는 전면접힘커버(725)와; 후면커버(730)의 상부측에 분절라인(735a)에 의하여 연결되어 그 후면커버(730)의 내측에 포개어지는 후면접힘커버(735)와; 전면접힘커버(725)와 후면접힘커버(735) 사이를 연결하는 서브연결부(715)와; 서브연결부(715)와 메인연결부(710) 사이에 연결되어, 전면커버(720)와 전면접힘커버(725) 및 후면커버(730)와 후면접힘커버(735) 사이의 벌어진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각도유지부(740);를 포함한다.
전면커버(720) 및 후면커버(730)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전면커버(20) 및 후면커버(30)와 거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서브연결부(715)는 분절라인(725b)(735b)에 의하여 전면접힘커버(725)와 후 면접힘커버(735)를 연결한다. 이때 서브연결부(715)는 전면접힘커버(725)와 후면접힘커버(735) 전체를 연결할 수도 있고 일부분만 연결할 수도 있다.
전,후면접힘커버(765)(735)와 전,후면커버(720)(730) 사이에는 그 전,후면접힘커버(725)(735)가 전,후면커버(720)(730)에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탈부착부(726a)(726b)가 설치된다. 이러한 탈부착부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며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각도유지부(740)는,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가 세워질 수 있도록 전,후면커버(720)(730)와 전,후면접힘커버(725)(735) 사이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각도유지부(740)의 가장 간단한 형태는, 전,후면커버(720)(730)와 전,후면접힘커버(725)(735) 사이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띠부재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다용도 커버지지대는, 각종 정보가 인쇄되거나 필기를 가능하게 하는 속지부를 메인연결부(710) 또는 전면커버(720) 또는 후면커버(730)에 착탈하기 위한 착탈지지부(750)를 더 포함한다. 착탈지지부(75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연결부(710)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1자력식탈부착부(751)와, 속지부의 전면과 후면이 각각 끼어지는 포켓(752a)(752b)이 형성된 속지지지부(752)와, 속지지지부(752)를 제본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제1자력식탈부착부(751)에 부착되는 제2자력식탈부착부(75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2자력식탈부착부(751)(752)는 자석과 철편으로 구현되던지, 상호 반대 극성을 향하는 자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속지지지부(752)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되어, 대략 중앙 부분이 절개되어 포켓(752a)(752b)이 형성되 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9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9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있어서, 전,후면접힘커버의 상,하단을 연결하는 서브연결띠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9실시예는, 각종 정보가 인쇄되거나 필기를 가능하게 하는 속지부의 전,후면에 포개어지는 것으로서 스프링(850)에 의하여 제본되는 전면커버(820) 및 후면커버(830)와; 전면커버(820) 상부측에 분절라인(825a)의 의하여 연결되어 그 전면커버(820)에 포개어지는 전면접힘커버(825)와; 후면커버(830)의 상부측에 분절라인(835a)에 의하여 연결되어 그 후면커버(830)의 내측에 포개어지는 후면접힘커버(835)와; 전면커버(820)와 전면접힘커버(825) 사이 또는 후면커버(830)와 후면접힘커버(835) 사이에 연결되어, 그 전면커버(820)와 전면접힘커버(825) 또는 후면커버(830)와 후면접힘커버(835) 사이의 벌어진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각도유지부(840);을 포함한다. 이때, 전면접힘커버(825)와 후면접힘커버(835)의 상단 또는 하단을 연결하는 서브연결띠부(81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면커버(820) 및 후면커버(830)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전면커버(20) 및 후면커버(30)와 거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서브연결띠부(815)는 전면접힘커버(825)와 후면접힘커버(835)의 양단 을 연결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전면접힘커버(825)와 후면접힘커버(835)의 상단 또는 하단을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서브연결띠부9815)를 채용하지 않고서도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를 세우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전,후면접힘커버(825)(835)는, 본 실시에에서 전,후면커버(820)(830)의 상단에 분절라인(825a)(835a)에 의하여 연결된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전,후면커버(820)(830)의 상단에서 약간 아랫측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후면접힘커버(865)(835)와 전,후면커버(820)(830) 사이에는 그 전,후면접힘커버(825)(835)가 전,후면커버(820)(830)에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탈부착부(826a)(826b)가 설치된다. 이러한 탈부착부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며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각도유지부(840)는,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가 세워질 수 있도록 전,후면커버(820)(830)와 전,후면접힘커버(825)(835) 사이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각도유지부(840)의 가장 간단한 형태는, 전,후면커버(820)(830)와 전,후면면접힘커버(825)(835) 사이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띠부재로 구현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전,후면접힘커버가 전,후면커버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에 있어서, 메인연결부에 착탈지지부가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있어서, 전,후면커버가 제1전,후면접힘커버에 의하여 세워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4에 있어서, 전,후면커버가 제2전,후면접힘커버에 의하여 세워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4실시예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있어서, 서브연결부로 스프링의 일부가 관통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 지지대의 제5실시예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6실시예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7실시예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8실시예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9실시예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있어서, 전,후면접힘커버의 상,하단을 연결하는 서브연결띠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인연결부 15 ... 서브연결부
20 ... 전면커버 25 ... 전면접힘커버
25a ... 분절라인 25b ... 분절라인
26a, 26b ... 탈부착부 30 ... 후면커버
35 ... 후면접힘커버 35a ... 분절라인
35b ... 분절라인 36a, 36b ... 탈부착부
50 ... 착탈지지부 51, 53 ... 제1,2자력식탈부착부
110 ... 메인연결부 110a ... 분절라인
115 ... 제1서브연결부 116 ... 제2서브연결부
120 ... 전면커버 125 ... 제1전면접힘커버
125a ... 분절라인 125b ... 분절라인
126 ... 제2전면접힘커버 127a, 127b ... 제1탈부착부
128a, 128b ... 제2탈부착부 135 ... 제1후면접힘커버
135a ... 분절라인 135b ... 분절라인
136 ... 제2후면접힘커버 141 ... 제1각도유지부
142 ... 제2각도유지부 150 ... 착탈지지부
151, 153 ... 제1,2자력식탈부착부 152 ... 속지지지부
210 ... 메인연결부 215 ... 제1서브연결부
216 ... 제2서브연결부 220 ... 전면커버
225 ... 제1전면접힘커버 225a ... 제1분절라인
225b ...분절라인 226 ... 제2전면접힘커버
226a ... 제2분절라인 227a, 227b ... 제1탈부착부
228a, 228b ... 제2탈부착부 230 ... 후면커버
235 ... 제1후면접힘커버 235a ... 분절라인
235b ... 분절라인 236 ... 제2후면접힘커버
241 ... 제1각도유지부 242 ... 제2각도유지부
250 ... 착탈지지부 251, 253 ... 제1,3자력식탈부착부
310 ... 메인연결부 320 ... 전면커버
325 ... 전면접힘커버 325a ... 분절라인
326a, 226b ... 탈부착부 330 ... 후면커버
335 ... 후면접힘커버 335a ... 분절라인
340 ... 각도유지부
410 ... 메인연결부 420 ... 전면커버
425 ... 전면접힘커버 425a ... 분절라인
426a, 426b ... 탈부착부 430 ...후면커버
435 ...후면접힘커버 435a ... 분절라인
440 ... 제1각도유지부 440a ... 끼움홈
445 ... 제2각도유지부 445a ... 끼움홈
450 ... 착탈지지부 451, 453 ... 제1,3자력식탈부착부
510 ... 메인연결부 515 ... 서브연결부
520 ... 전면커버 525 ... 전면접힘커버
525a ... 분절라인 526a, 526b ... 탈부착부
530 ...후면커버 535 ...후면접힘커버
535a ... 분절라인 540 ... 각도유지부
550 ... 착탈지지부 551, 553 ... 제1,2자력식탈부착부
610 ... 메인연결부 615 ... 서브연결부
620 ... 전면커버 625 ... 전면접힘커버
625a ... 분절라인 626a, 626b ... 탈부착부
630 ...후면커버 635 ...후면접힘커버
635a ... 분절라인 640 ... 각도조절부
641 ... 제1탈부착부 642 ... 띠부재
643 ... 제2탈부착부 650 ... 착탈지지부
651, 653 ... 제1,2자력식탈부착부 652 ... 속지지지부
710 ... 메인연결부 715 ... 서버연결부
720 ... 전면커버 725 ... 전면접힘커버
725a ... 분절라인 726a, 726b ... 탈부착부
730 ... 후면커버 735 ... 후면접힘커버
735a ... 분절라인 740 ... 각도유지부
750 ... 착탈지지부 751, 753 ... 제1,2자력식탈부착부
815 ... 서브연결띠부 820 ... 전면커버
825 ... 전면접힘커버 825a ... 분절라인
826a, 826b ... 탈부착부 830 ... 후면커버
835 ... 후면접힘커버 835a ... 분절라인
840 ... 각도유지부

Claims (18)

  1. 메인연결부(110)에 의하여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면커버(120) 및 후면커버(130);
    상기 전면커버(120) 상부측에 분절라인(125a)의 의하여 연결되어 그 전면커버(120)에 포개어지는 제1전면접힘커버(125);
    상기 분절라인(125a)에 의하여 연결되며 제1전면접힘커버(125)의 내측에 포개어지는 제2전면접힘커버(126);
    상기 후면커버(130)의 상부측에 분절라인(135a)에 의하여 연결되어 그 후면커버(130)에 포개어지는 제1후면접힘커버(135);
    상기 분절라인(135a)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제1후면접힘커버(135)의 내측에 포개어지는 제2후면접힘커버(136);
    상기 제1전면접힘커버(125)와 제1후면접힘커버(135) 사이를 연결하는 제1서브연결부(115);
    상기 제2전면접힘커버(126)와 제2후면접힘커버(136) 사이를 연결하는 제2서브연결부(116);
    상기 전면커버(120)와 제1전면접힘커버(125) 사이 또는 상기 후면커버(130)와 제1후면접힘커버(135) 사이에 연결되어, 그 전면커버(120)와 제1전면접힘커버(125) 또는 상기 후면커버(130)와 제1후면접힘커버(135) 사이의 벌어진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1각도유지부(141); 및
    상기 제1전면접힘커버(125)와 제2전면접힘커버(126) 사이 또는 상기 제1후면접힘커버(135)와 제2후면접힘커버(136) 사이에 연결되어, 그 제1전면접힘커버(125)와 제2전면접힘커버(126) 또는 상기 제1후면접힘커버(135)와 제2후면접힘커버(136) 사이의 벌어진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2각도유지부(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면접힘커버(125) 및 제1후면접힘커버(135) 각각에는 상기 제2전면접힘커버(126)와 제2후면접힘커버(136)가 각각 끼어지는 커버홈(125')(13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3. 제1항에 있어서,
    각종 정보가 인쇄되거나 필기를 가능하게 하는 속지부를 상기 메인연결부(110)에 착탈하기 위한 착탈지지부(1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탈지지부(150)는, 상기 메인연결부(110)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1자력식탈부착부(151)와, 상기 속지부의 전면과 후면이 각각 끼어지는 포켓(152a)(152b)이 형성된 속지지지부(152)와, 상기 속지지지부(152)를 제본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제1자력식탈부착부(151)에 부착되는 제2자력식탈부착부(1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 지지대.
  4. 메인연결부(210)에 의하여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면커버(220) 및 후면커버(230);
    상기 전면커버(220) 상부측에 제1분절라인(225a)의 의하여 연결되어 그 전면커버(220)에 포개어지는 제1전면접힘커버(225);
    상기 전면커버(220)의 상단측에 상기 제1분절라인(225a)과 다른 제2분절라인(226a)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제1전면접힘커버(225) 상부측의 상기 전면커버(220)에 포개어지는 제2전면접힘커버(226);
    상기 후면커버(130)의 상부측에 제1분절라인(235a)에 의하여 연결되어 그 후면커버(230)에 포개어지는 제1후면접힘커버(235);
    상기 후면커버(230)의 상단측에 상기 제1분절라인(235a)과 다른 제2분절라인(236a)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제1후면접힘커버(235) 상부측의 후면커버(230)에 포개어지는 제2후면접힘커버(236);
    상기 제1전면접힘커버(225)와 제1후면접힘커버(235) 사이를 연결하는 제1서브연결부(215)와;
    상기 제2전면접힘커버(226)와 제2후면접힘커버(236) 사이를 연결하는 제2서브연결부(216)와;
    상기 전면커버(220)와 제1전면접힘커버(225) 사이 또는 후면커버(230)와 제1후면접힘커버(235)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전면커버(120)와 제2전면접힘커버(225) 또는 상기 후면커버(230)와 제1후면접힘커버(235) 사이의 벌어진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1각도유지부(241); 및
    상기 전면커버(220)와 제2전면접힘커버(226) 사이 또는 상기 후면커버(230)와 제2후면접힘커버(236)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전면커버(220)와 제2전면접힘커버(226) 또는 상기 후면커버(230)와 제2후면접힘커버(236) 사이의 벌어진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2각도유지부(2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5. 제4항에 있어서,
    각종 정보가 인쇄되거나 필기를 가능하게 하는 속지부를 상기 메인연결부(210) 또는 상기 전면커버(220) 또는 상기 후면커버(230)에 착탈하기 위한 착탈지지부(2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탈지지부(250)는, 상기 메인연결부(210)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1자력식탈부착부(251)와, 상기 속지부의 전면과 후면이 각각 끼어지는 포켓(252a)(252b)이 형성된 속지지지부(252)와, 상기 속지지지부(252)를 제본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제1자력식탈부착부(251)에 부착되는 제2자력식탈부착부(2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080048381A 2008-05-26 2008-05-26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KR100895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381A KR100895456B1 (ko) 2008-05-26 2008-05-26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381A KR100895456B1 (ko) 2008-05-26 2008-05-26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042A Division KR100892348B1 (ko) 2007-07-12 2007-09-19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007A Division KR20090030245A (ko) 2008-10-02 2008-10-02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KR1020080097002A Division KR20090030244A (ko) 2008-10-02 2008-10-02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199A KR20090030199A (ko) 2009-03-24
KR100895456B1 true KR100895456B1 (ko) 2009-05-07

Family

ID=40696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8381A KR100895456B1 (ko) 2008-05-26 2008-05-26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54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841B1 (ko) 2011-05-24 2011-07-25 김애자 독서대 기능을 구비한 도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702Y1 (ko) * 2017-02-03 2018-03-22 김경신 북커버
KR102177669B1 (ko) * 2019-03-08 2020-11-11 원용길 임의적인 풀림이 방지되는 일체형의 잠금 기능이 구비된 메모수첩커버
KR102102332B1 (ko) * 2019-11-27 2020-04-20 주식회사 코너스톤에스에이치 폴딩라인 색종이 탈부착 켈린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2167U (ko) * 1980-07-30 1982-02-19
JPS57162874U (ko) * 1981-04-04 1982-10-14
KR200180055Y1 (ko) * 1999-11-10 2000-04-15 이정용 독서대를 구비한 서적
KR20080005031A (ko) * 2006-07-07 2008-01-10 김남철 내용별 분책 착탈형 책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2167U (ko) * 1980-07-30 1982-02-19
JPS57162874U (ko) * 1981-04-04 1982-10-14
KR200180055Y1 (ko) * 1999-11-10 2000-04-15 이정용 독서대를 구비한 서적
KR20080005031A (ko) * 2006-07-07 2008-01-10 김남철 내용별 분책 착탈형 책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841B1 (ko) 2011-05-24 2011-07-25 김애자 독서대 기능을 구비한 도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199A (ko) 2009-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8150B1 (ko)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KR100895456B1 (ko)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US20120099921A1 (en) Folder notebooks
US5494366A (en) Organizer notebook
KR20130092179A (ko) 탁상달력
KR100892348B1 (ko)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US20100187803A1 (en) Cover capable of supporting diary or calendar
KR20210000344U (ko) 일정 계획 및 업무 관리가 용이한 시스템 다이어리
CN101743129B (zh) 护眼封面
KR20090030244A (ko)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KR20090030245A (ko)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KR20090092571A (ko)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KR100875846B1 (ko)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JP2010538789A (ja) 目保護カバー支持台
KR101181082B1 (ko) 캘린더 겸용 다이어리
WO2007069842A1 (en) Binding goods having covers for standing
KR20090094998A (ko)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KR100952923B1 (ko) 일체형 북커버
US20080211221A1 (en) Notebook system
KR100883785B1 (ko)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US20070089331A1 (en) Foldable Desk Pad
US20090309351A1 (en) Reading Supply Device
CN219360681U (zh) 多功能趣味本
US9403398B2 (en) Notepad cover
KR20100005337A (ko) 눈보호 커버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