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799Y1 - 탁상용 카렌다의 케이스 - Google Patents

탁상용 카렌다의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799Y1
KR0139799Y1 KR2019970005472U KR19970005472U KR0139799Y1 KR 0139799 Y1 KR0139799 Y1 KR 0139799Y1 KR 2019970005472 U KR2019970005472 U KR 2019970005472U KR 19970005472 U KR19970005472 U KR 19970005472U KR 0139799 Y1 KR0139799 Y1 KR 01397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ring
side plate
hole
fitt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54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1266U (ko
Inventor
정우택
Original Assignee
정우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택 filed Critical 정우택
Priority to KR20199700054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799Y1/ko
Publication of KR199800612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2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7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7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탁상용 카렌다의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판상으로 제조, 판매할 수 있고 코일형바인더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사용자가 간편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합성수지시트로 이루어진 기판(10)중앙에는 접는선(12)을 형성하여서 기판(10)을 측판(14), (14')으로 양분시켜 접어 세울 수 있도록 하고, 한 측판(14)에는 단부에 구멍(22)을 가진 링형성편(16)과, 양쪽의 구멍(36)과 연결된 절개부(34)를 펀칭하여 형성시키고, 다른 한 측판(14')에는 링형성편(16)의 구멍(22)과 대응하는 돌출부(20)를 가진 링끼워맞춤편(18)과, 절개부(34)와 대응하는 고정용슬로트(30)를 가진 끼움편(32)을 포함하는 고정편(26)을 펀칭하여 형성시켜서된 탁상용 카렌다의 케이스임.

Description

탁상용 카렌다의 케이스
본 고안은 자체적으로 카렌다를 철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탁상용 카렌다의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탁상용 카렌다의 케이스는 제6도와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코일형 바인더(60)를 이용하여서 2등변삼각형으로 접혀지는 두꺼운 판지로 된 본체(62)에 카렌다(64)를 철할 수 있도록 된 것이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본체(62)에 힌지부(66-1), (66-2), (66-3)를 두어서 바닥판(68)의 양쪽으로 부터 양측판(70), (70')을 접어 세울 수 있도록 하고, 양측판(70), (70')의 끝부분과 카렌다(64)의 한쪽 끝부분에는 코일형 바인더(60)가 끼워질 수 있는 구멍(72)들을 각각 형성시켜 주어야만 했었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많이들었었고, 조립과정이 번거로우며 조립시간이 많이 걸려서 생산성이 매우 낮았었을 뿐아니라 바닥판(68)의 중앙에 있는 힌지부(66-1)를 이용하여서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접어주더라도 전체적인 두께가 두꺼워질 수밖에 없는 것이어서, 포장, 운반 및 취급면에서도 불편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한 것인바, 본 고안의 목적은 카렌다를 철하는 수단과 케이스를 탁상형으로 고정시켜주는 수단을 사용자가 간편하게 조립하여서 사용할 수 있는 탁상용 카렌다의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탁상용 카렌다 케이스의 전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탁상용 카렌다 케이스의 조립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서 보인 링형성편이 조립된 상태의 확대사시도.
제4도는 제2도에서 보인 고정편이 조립된 상태의 확대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탁상용 카렌다 케이스의 사용상태를 보인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6도는 종래 탁상용 카렌다 케이스의 사시도.
제7도는 종래 탁상용 카렌다 케이스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판 12 : 접는선
14, 14' : 측판 16 : 링형성편
18 : 링끼워맞춤편 20 : 돌출부
22 : 구멍 24 : 고리
26 : 고정편 28 : 접는선
30 : 고정용 슬로트 32 : 끼움편
34 : 절개부 36 : 구멍
본 고안은 제1도와 제2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폴리프로필렌수지와 같은 탄력성있는 합성수지시트로 이루어진 기판(10)의 중앙에는 접는선(12)을 형성하여서 기판(10)을 측판(14), (14')으로 나누면서 세워접을 수 있도록 되어있고, 한 측판(14)에서 접는선(12)과 근접한 곳에는 접는 선(12)쪽에서 한 측판(14)과 연결된 상태로 펀칭된 수개의 링형성편(16)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한 측판(14')에는 상기 링형성편(16)과 대응하는 링끼워맞춤편(18)이 다른 한 측판(14')과 연결된 상태로 펀칭되어 있다.
링형성편(16)의 끝부분에는 상기 링끼워맞춤편(18)의 돌출부(20)가 끼워지는 구멍(22)이 형성되어 있어서, 링형성편(16)을 한 측판(14)쪽으로 부터 다른 한 측판(14')쪽으로 당기면서 다른 한 측판(14')에 형성된 링끼워맞춤편(18)쪽으로 밀어 넣어주었을 때 링형성편(16)의 구멍(22)속으로 링끼워맞춤편(18)의 돌출부(20)가 끼워져서 고리(24)를 조립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측판(14')의 자유단부쪽에는 고정편(26)이 펀칭되어있다.
고정편(26)은 한쪽이 측판(14')과 접는선(28)으로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한쪽에는 고리용 슬로트(30)를 포함하는 끼움편(32)이 형성되어있다.
다른 측판(14)의 자유단부쪽에는 상기 끼움편(32)이 억지끼워맞춤되는 절개부(34)가 형성되어있다.
절개부(34)의 양끝부분에는 구멍(36)이 형성되어있어서 절개부(34)쪽으로 상기 고정편(26)의 끼움편(32)을 끼워줄 때 절개부(34)주위가 판스프링처럼 벌어졌다가 끼움편(32)의 고정용 슬로트(30)속에서 닫혀질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2도∼제5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먼저 기판(10)의 중앙에 있는 접는선(12)을 따라서 측판(14), (14')을 세워진 상태로 접고, 한 측판(14)과 연결된 상태로 펀칭된 링형성편(16)을 윗쪽으로 잡아당긴 다음 다른 한 측판(14')으로 부터 접혀질 수 있도록 펀칭된 고정편(26)의 끼움편(32)을 한 측판(14)의 절개부(34)와 구멍(36)쪽으로 밀어넣으면 끼움편(32)이 제5도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절개부(34)를 밀치면서 절개부(34)를 관통하게 되고 끼움편(32)의 고정용 슬로트(30)가 절개부(34)에 이르게되면 벌어졌던 절개부(34)가 도로 닫혀지게 되어서 측판(14')으로 부터 접혀진 고정편(26)이 다른 측판(14)에 고정되므로 측판(14), (14')이 A자형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펀칭된 구멍(40)을 가진 카렌다(42)를 측판(14')의 링끼워맞춤편(18)쪽에 갖다대고, 측판(14)으로 부터 펀칭된 링형성편(16)을 카렌다(42)의 구멍(40)을 통해서 링끼워맞춤편(18)쪽으로 밀어넣으면 제3도와 제5도에 잘 표현된 바와같이 링형성편(16)에 의해서 링끼워맞춤편(18)이 내측으로 밀쳐짐과 아울러 링형성편(16)의 단부에 있는 구멍(22)속으로 링끼워맞춤편(18)의 돌출부(20)가 끼워맞춤되면서 카렌다(42)를 철해주는 고리(24)로 조립된다.
본 고안의 예시도면에는 링형성편(16)과 링끼워맞춤편(18)의 조립에 의해서 형성되는 고리(24)가 4개 표현되어있으나 고리(24)의 갯수는 2개 또는 그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탄력성있는 합성수지시트로 이루어진 기판(10)에 카렌다(42)를 철할 수 있는 고리(24)로 조립되어지는 링형성편(16)과 링끼워맞춤편(18)을 형성하고,기판(10)의 중심에 있는 접는선(12)을 따라서 세워 접혀지는 측판(14), (14')의 접혀 세워진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고정편(26)과, 이 고정편(26)이 억지끼워맞춤되는 절개부(34)를 형성시켜서된 것이기 때문에 제1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판상으로 제조, 판매되고, 제2∼5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사용자가 간편하게 조립하여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된것이므로 종래것처럼 별도로 만들어진 코일형바인더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합성수지시트를 한벌의 금형으로 펀칭가공하여 제조하는 것이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으며, 부피가 작아서 포장, 운반 및 취급하기가 편리한 등의 장점이 있다.

Claims (1)

  1. 합성수지시트로 이루어진 기판(10)의 중앙에는 접는선(12)을 형성하여서 기판(10)을 측판(14), (14')으로 양분시켜 접어 세울 수 있도록 하고, 한 측판(14)에는 접는선(12)과 근접한 곳에서 한 측판(14)과 연결된 상태로 펀칭되고 단부에 구멍(22)을 가진 링형성편(16)을 형성시키며, 다른 한 측판(14')에는 링형성편(16)의 구멍(22)에 대응하는 돌출부(20)를 가진 링끼워맞춤편(18)을 측판(14')과 연결된 상태로 펀칭하여 형성시키고, 한 측판(14)의 자유단부쪽에는 양쪽의 구멍(36)과 연결된 절개부(34)를 형성시키고, 다른 한측판(14')의 자유단부쪽에는 한쪽이 접는선(28)으로 측판(14')과 연결된 상태로 펀칭되고 다른 한쪽에는 절개부(34)와 대응하는 고정용 슬로트(30)를 가진 끼움편(32)을 포함하는 고정편(26)을 펀칭하여 형성시켜서 된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카렌다의 케이스.
KR2019970005472U 1997-03-22 1997-03-22 탁상용 카렌다의 케이스 KR01397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472U KR0139799Y1 (ko) 1997-03-22 1997-03-22 탁상용 카렌다의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472U KR0139799Y1 (ko) 1997-03-22 1997-03-22 탁상용 카렌다의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266U KR19980061266U (ko) 1998-11-05
KR0139799Y1 true KR0139799Y1 (ko) 1999-05-15

Family

ID=19497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5472U KR0139799Y1 (ko) 1997-03-22 1997-03-22 탁상용 카렌다의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79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143B1 (ko) * 2001-03-08 2003-09-13 박용규 탁상용 캘린더 링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266U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8122A (en) Molded plastic one-piece loose-leaf binder ring structure
US4628572A (en) Clip structure
EP1208015B1 (en) Storage device
US6419416B1 (en) Filing device
KR0139799Y1 (ko) 탁상용 카렌다의 케이스
US5295622A (en) Folder or the like
JPS5928199B2 (ja) バインダ
JP2006036350A (ja) 紙箱
KR200260070Y1 (ko) 인덱스 클리어 파일
JP2001018573A (ja) リングバインダ装置
US20040251677A1 (en) Loose leaf device
KR200493812Y1 (ko) 탄성클립유닛을 구비한 서류보관파일
JP2800089B2 (ja) 綴 具
JP2005022672A (ja) 折り畳み式箱形容器
CN109397918B (zh) 部件的固定构造
JP3059093U (ja) ファイル
KR200343712Y1 (ko) 바인더 커버
JPH079770Y2 (ja) 包装用箱
KR200442053Y1 (ko) 착탈식 서류보관용 파일
JP2004299245A (ja) ボックスファイル
RU2004115113A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чемоданчик
KR200343713Y1 (ko) 바인더 커버
JPS6113351Y2 (ko)
JP2596386Y2 (ja) ファイル
KR200228896Y1 (ko) 파일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