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268Y1 - 반전장치 및 보관함 - Google Patents

반전장치 및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268Y1
KR200494268Y1 KR2020207000029U KR20207000029U KR200494268Y1 KR 200494268 Y1 KR200494268 Y1 KR 200494268Y1 KR 2020207000029 U KR2020207000029 U KR 2020207000029U KR 20207000029 U KR20207000029 U KR 20207000029U KR 200494268 Y1 KR200494268 Y1 KR 2004942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reversing device
reversing
assembly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70000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323U (ko
Inventor
홍강 레이
Original Assignee
썬전 하이브 박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전 하이브 박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썬전 하이브 박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013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3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2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2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9/00Revolving cabinets or racks; Cabinets or racks with revolving parts
    • A47B49/004Cabinets with compartments provided with trays revolving on a vertical axi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07F11/4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the articles being delivered by motor-drive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9/00Revolving cabinets or racks; Cabinets or racks with revol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9/00Revolving cabinets or racks; Cabinets or racks with revolving parts
    • A47B49/008Revolving cabinets or racks; Cabinets or racks with revolving parts with motoris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165Delivery means using xyz-picker or multi-dimensional article picking arrangements
    • G07F11/1657Delivery means using xyz-picker or multi-dimensional article picking arrangements the picking arrangements using su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1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means for safe-keeping of property, left temporarily, e.g. by fastening the property
    • G07F17/1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means for safe-keeping of property, left temporarily, e.g. by fastening the property comprising lockable containers, e.g. for accepting clothes to be clea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Handcart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전장치 및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반전장치는 보관함 중에 설치되고, 상기 반전장치는 반전장치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반전장치 본체는, 지지틀; 반전장치를 제어하여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회전기구, 물품을 클램핑하도록 설치된 클램핑기구, 상기 클램핑기구를 제어하여 물품을 반전하도록 설치된 반전기구 및 상기 클램핑기구를 제어하여 승강시키도록 설치된 승강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기구, 상기 클램핑기구, 상기 반전기구와 상기 승강기구는 모두 상기 지지틀에 설치된다.

Description

반전장치 및 보관함
본 고안은 보관함 기술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반전장치 및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 년간, 첨단기술이 왕성하게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의 생활 품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사람들에게 편리성도 제공하고 있다. 일상 생활에서, 스마트 보관함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스마트 보관함을 통해, 직접 물품을 구역별로 보관함 내부에 보관함으로써, 차지하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하지만, 관련 기술 중의 다면체 보관함(예를 들어, 팔각함), 물품보관랙과 단층 랙은 높이가 고정된 것으로서, 캐비닛은 검측된 물품 보관 높이에 근거해, 물품이 차지하는 랙의 층수를 계산하여 최적 보관 위치를 선택하고, 다시, 신축, 회전, 승강의 수송기구를 통해, 물품을 담은 팔레트를 지정위치에 보관한다.
하지만, 사람들이 물품 보관을 조작하는 경우. 물품을 엑세스포트(access port) 팔레트 내에 넣을 때. 늘 임의적인 행동을 취하고, 물품 진열이 합리적이지 않을 수 있는 데, 진열된 물품의 높이와 위치가 합리적이지 않은 경우, 물품이 팔레트의 중심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물품이 회전, 상승되는 운송과정에서, 쉽게 튕겨나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랙에 보관하는 물품의 높이가 실제로 필요한 높이보다 높고, 차지하는 랙의 층수가 많아, 보관 공간을 일정하게 낭비하게 된다.
본 고안은 출원일이 2018년 5월 9일이고 출원번호가 201820687067.0이며 명칭이“보관함 및 그 반전장치”인 중국 특허 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해당 고안의 전부 내용은 인용을 통해 본 출원 중에 결합시킨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반전장치를 통해 불합리하게 설치된 물품을 반전하고, 다시, 물품을 팔레트의 합리적인 위치에 진열하며, 물품을 보호하는 동시에, 보관함의 물품 보관 공간 이용율도 향상시킬 수 있는 반전장치 및 보관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보관함의 반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전장치는 보관함 중에 설치되고, 반전장치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반전장치 본체는 지지틀; 반전장치 회전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회전기구, 물품을 클램핑하도록 설치된 클램핑기구, 상기 클램핑기구를 제어하여 물품을 반전하도록 설치된 반전기구, 상기 클램핑기구의 승강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승강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기구, 상기 클램핑기구, 상기 반전기구, 상기 승강기구는 모두 상기 지지틀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보관함에 있어서, 캐비닛 본체, 검측기구, 제어기구와 상기 반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 본체는 팔레트를 포함하며, 상기 팔레트는 상기 캐비닛 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검측기구는 상기 캐비닛 본체 내에 설치되며, 상기 검측기구는 물품 사이즈와 상기 팔레트에서의 진열 위치를 검측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구는 상기 검측기구와 상기 반전장치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검측기구의 검측 결과에 근거해 상기 반전장치를 제어하여 물품을 상기 팔레트의 지정 위치에 진열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반전장치의 구조설명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함 중 반전장치를 엑세스포트(access port) 지점에 조립하여 설치하는 구조설명도이고;
도 3a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반전장치가 진열이 불합리한 물품의 방향을 조정하는 설명도 1이고;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반전장치가 진열이 불합리한 물품의 방향을 조정하는 설명도 2이고;
도 3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반전장치가 진열이 불합리한 물품의 방향을 조정하는 설명도 3이고;
도 3d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반전장치가 진열이 불합리한 물품의 방향을 조정하는 설명도 4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반전장치가 물품을 팔레트에 까지 진열하는 상태 설명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반전장치 중의 제1 구동어셈블리를 돌림판과 연결하는 설명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반전장치 중의 제2 구동어셈블리를 흡착판과 연결하는 설명도이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반전장치 중의 제3 구동어셈블리를 커넥터와 연결하는 설명도이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반전장치 중의 제4 구동어셈블리를 슬라이드 블록과 연결하는 설명도이고;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함 중의 반전장치를 텔레스코픽(telescopic) 차량기구 지점에 조립하여 설치하는 구조 설명도이고;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함의 제어기구의 연결 설명도이고;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함의 반전장치 본체를 이동기구와 연결하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 중의 좌, 우, 상, 하 등 방향 용어는 서로 상대되는 개념이거나 또는 제품의 정상 사용 상태를 참조하는 데 불과하며, 한정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지 말아야 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본 실시예는 반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상기 반전장치는 보관함(200) 중에 설치되고, 반전장치본체(100)를 포함하며, 해당 반전장치본체(100)는 지지틀(1), 반전장치본체(100)를 구동하여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회전기구(미도시), 물품(300)을 클램핑하도록 설치된 클램핑기구(3), 클램핑기구(3)를 구동하여 물품(300)을 반전하도록 설치된 반전기구(미도시), 클램핑기구(3)를 구동하여 승강시키도록 설치된 승강기구(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기구, 클램핑기구(3), 반전기구와 승강기구는 모두 지지틀(1)에 설치되어, 상기 반전장치본체(100)를 통해 물품(300)이 다방면으로 반전 및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물품(300)이 최적 진열위치까지 회전하도록 하여 팔레트에 진열한다. 일 측면에서, 물품(300)이 회전 상승하는 운송과정에서, 쉽게 튕겨나가 떨어지지 않도록 보장하고, 다른 일 측면에서, 보관함의 랙 높이 공간을 최대한 이용하여 보관함의 보관 공간 이용율을 향상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도 1과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기구는 반전장치본체(100)가 회전하도록 설치된 돌림판(21)과 상기 돌림판(21)을 구동하여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제1 구동어셈블리(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어셈블리(22)는 돌림판(21)과 연결되며, 상기 돌림판(21)은 상기 지지틀(1)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구동어셈블리(22)를 통해 돌림판(21)을 이동하도록 하여 회전시킨 다음, 다시, 돌림판(21)을 통해 클램핑기구(3), 반전기구와 승강기구를 이동하도록 하여 회전시키는 데, 즉, 전체 반전장치본체(100)를 이동하도록 하여 회전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기구를 통해 전체 반전장치본체(100)가 수직방향(Z축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도 1과 도 2를 계속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상기 클램핑기구(3)는 물품(300)을 클램핑하도록 설계된 클램핑어셈블리(31)와 물품(300)의 사이즈 규격에 근거해 클램핑어셈블리(31)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설치된 평행이동어셈블리(32)를 포함하는 데, 상기 평행이동어셈블리(32)는 장착시트(6)를 통해 상기 돌림판(21)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평행이동어셈블리(32)에 설치되며, 상기 클램핑어셈블리(31)는 상기 승강기구에 설치된다. 상기 승강기구는 클램핑어셈블리(31)를 이동하도록 하여 물품 높이 방향의 중간 지점까지 하강하도록 하고, 클램핑어셈블리(31)는 물품의 양측에 위치하며, 다시, 상기 평행이동어셈블리(32)를 통해 클램핑어셈블리(31)를 닫아 물품(300)을 클램핑한 다음, 승강기구가 클램핑어셈블리(31)와 물품을 일정 높이로 상승시키고, 다시, 상기 평행이동어셈블리(32)가 물품(300)을 최적 위치까지 이동하며, 다시, 상기 승강기구와 결합하여 클램핑어셈블리(31)와 물품이 하강하도록 함으로써, 물품(300)이 팔레트의 최적 진열위치에 설치하며, 마지막으로, 평행이동어셈블리(3)는 클램핑어셈블리(31)가 물품(300)을 놓아 물품(300)을 팔레트에 진열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램핑어셈블리(31)은 2개의 흡착판(311)과, 상기 흡착판(311)에 장착되도록 설치된 커넥터(312)를 포함하는 데, 상기 흡착판(311)은 커넥터(312)에 설치되고, 상기 커넥터(312)는 승강기구에 설치되며, 상기 2개의 흡착판(311)을 통해 흡착 방식으로 물품(300)을 집어 꺼냄으로써, 물품(300)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층 더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312)를 가이드기둥(51)에 커버하여 설치하여, 흡착판(311)이 가이드 기둥에서 승강하면서 슬라이딩하도록 한다.
도 1과 도 7을 계속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상기 승강기구는 2세트의 가이드기둥(51)과, 흡착판(311)을 구동하여 가이드기둥(51)을 따라 승강시키도록 설치된 제3 구동어셈블리(52)를 포함하는 데, 상기 커넥터(312)는 상기 가이드기둥(51)에 커버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3 구동어셈블리(52)는 상기 커넥터(312)를 구동하여 가이드기둥(51)을 따라 승강시키며, 상기 제3 구동어셈블리(52)를 통해 커넥터(312)를 구동하여 가이드기둥(51)을 따라 상승하도록 하고, 더 나아가, 흡착판(311)을 이동하도록 하여 집어 꺼낸 물품(300)이 상승하도록 함으로써, 물품(300)을 반전하는 데 필요한 높이에 도달하도록 하며, 다시, 반전기구를 통해 물품(300)을 수평으로 반전(X축 또는 Y축을 따를 수 있음)하며, 그 다음, 높이가 조정 완료된 물품(300)이 팔레트까지 하강하도록 한 후, 이어서, 상기 클램핑기구(3)가 풀어지도록 한다.
도 1과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평행이동어셈블리(32)는 돌림판(21)과 연결되도록 설치된 지지로드(321), 가이드기둥(51)을 움직여 이동하도록 하여 2개의 흡착판(311)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드 블록(322), 상기 슬라이드 블록(322)을 구동하여 지지로드(321)에서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제4 구동어셈블리(323)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로드(321)는 장착시트(6)를 통해 돌림판(21)의 저부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블록(322)은 지지로드(321)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기둥(51)은 상기 슬라이드블록(322)에 설치되고, 상기 제4 구동어셈블리(323)는 상기 슬라이드블록(322)을 구동하여 지지로드(321)에서 슬라이딩하도록 하며, 상기 슬라이드블록(322)과 지지로드(321)의 매칭을 통해, 흡착판(311)이 물품(300)을 집어 꺼내 최적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로드(321)의 양단은 모두 슬라이드블록(322)이 미끄러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배플블록(baffle block)(323)을 설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반전기구는 클램핑기구(3)와 연결되는 데,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당 반전기구는 상기 흡착판(311)을 구동하여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물품(300)을 반전시키는 제2 구동어셈블리(4)를 포함하며, 상기 흡착판(311)은 회전가능하게 커넥터(312)에 장착된다. 흡착판(311)은 물품(300)을 집어 꺼낸 후, 승강기구를 이용하여, 물품(300)의 사이즈에 의해, 물품(300)이 반전할 때 필요한 높이까지 상승하고, 다시, 상기 제2 구동어셈블리로 흡착판(311)을 구동하여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물품(300)이 2개의 흡착판(311) 사이의 연결선을 따라 반전하는 것을 완성시키고, 물품(300)이 최적 진열 높이에 반전하도록 한다.
상기 보관함의 반전장치는 반전장치본체(100)를 움직여 이동하도록 설치된 이동기구(400)를 더 포함하는 데, 도 1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틀(1)은 상기 이동기구(400)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기구(400)와 회전기구의 결합을 통해, 흡착판(311)이 집어 꺼낸 물품(300)이 다방면으로 이동, 회전하도록 하고, 물품(300)이 최적 진열위치에 도달하도록 함으로써, 차지하는 공간을 최대 한도로 절약한다.
반전장치본체(100)는 사용자의 수요에 의해 물품(300)을 진열하도록 설치되는 데, 이하에서는 도 3과 도 4를 결합하여, 물품(300)을 회전, 이동하는 방식을 상세히 설명한다.
물품 설치 위치가 도 3a에 도시된 위치인 경우, 클램핑기구(3)가 물품(300)을 집어 들도록 하고, 다시, 승강기구를 이용하여, 물품(300)을 반전하는 데 필요한 높이까지 상승시키며, 다시, 반전기구를 이용하여, 물품(300)이 X축선을 따라 반전하도록 하여야 하되, 반전 방향은 도 3a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으며, 마지막으로, 승강기구와 클램핑기구(3)를 통해, 물품(300)을 팔레트(201) 지점까지 하강시키고, 흡착판(311)을 풀어, 바로 물품(300)을 도 3에 도시된 최적 위치에 진열한다.
물품 설치 위치가 도 3b에 도시된 위치인 경우, 흡착판(311)이 물품을 클램핑하고, 물품을 일정 높이로 상승시킨 후, 반전기구에 클램핑기구(3)를 결합하여, 물품(300)이 Y축선을 따라 반전하도록 하기만 하면, 바로 흡착판(311)이 도 3b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하고, 이어서, 반전장치가 X축을 따라 일정 거리 평행 이동하도록 하여 바로 물품을 최적 위치에 진열할 수 있다.
물품 설치 위치가 도 3c에 도시된 위치인 경우, 흡착판(311)이 물품을 클램핑하고, 물품을 일정 높이로 상승시킨 후, 돌림판(21)을 제어하여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반전장치본체(100)가 Z축 방향을 따라 90°회전하도록 하며, 즉, 반전장치본체(100)가 도 3c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90°회전하도록 하며, 다시, 반전기구에 클램핑기구(3)를 결합하여, 물품(300)이 Y축선을 따라 반전하도록 함으로써, 바로 최적 위치에 진열하여야 한다.
물품 설치 위치가 도 3d에 도시된 위치인 경우, 흡착판(311)이 물품을 클램핑하고, 물품을 일정 높이로 상승시킨 후, 돌림판(21)을 통해 반전장치본체(100)가 Z축선 방향을 따라 90°회전하도록 하며, 반전장치본체(100)가 도 3d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90°회전하도록 하며, 다시, 반전기구에 클램핑기구(3)를 결합하여, 물품(300)이 X축선을 따라 반전하도록 함으로써, 바로 최적 위치에 진열하여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물품을 어느 위치에 진열하든지 상관없이, 상기 반전장치를 통해, 물품(300)을 도 4에 도시된 최적 위치까지 진열할 수 있어, 보관함(200) 중의 텔레스코픽(telescopic) 기관차에 의해 팔레트를 꺼내 놓을 수 있고, 회전승강장치의 회전과 승강에 편리하므로, 물품이 튕겨나가지 않고, 진열장의 보관 공간을 합리적으로 이용하여 보관함의 보관 공간을 확장할 수 있다.
도 2,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상기 보관함(200)의 반전장치에 근거해, 본 실시예는 대응되게 보관함(200)을 더 제공하는 데, 해당 보관함(200)은 캐비닛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 본체 내에 팔레트(201)를 설치하며, 상기 캐비닛 본체 내에, 물품(300)의 사이즈와 팔레트(201)에서의 진열 위치를 검측하도록 설치된 검측기구(20), 반전장치, 검측기구(20)와 반전장치(100)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도록 설치된 제어기구(10)를 더 설치하고, 상기 제어기구(10)는 검측기구(20)의 검측 결과에 근거해, 반전장치본체(100)를 제어하여 물품(300)을 팔레트(201)의 지정 위치에 진열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캐비닛 본체 중에 엑세스포트(access port)(202)와 텔레스코픽(telescopic) 차량기구(203)를 더 설치하는 데, 상기 반전장치는 엑세스포트(202) 또는 텔레스코픽 차량기구(203) 지점에 설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반전장치는 엑세스포트(202) 또는 텔레스코픽 차량기구(203)의 상부에 설치되며, 반전장치는 보관함의 기타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보관함의 정상 사용에 영향만 미치지 않으면 된다.
반전장치를 엑세스포트(202) 지점에 설치하는 것을 예로 들면, 사용자가 물품(300)을 팔레트(201)에 놓은 후, 상기 검측기구를 이용하여 물품(300)의 사이즈, 위치, 방향 등을 검측하고, 제어기구(10)로 조정 필요 여부를 판정한다. 조정해야 하는 경우, 제어기구(10)는 어느 방향을 조정해야 최적 진열위치에 도달할 수 있는 가를 계산하여 제어신호를 반전장치에게 발송함으로써, 반전장치를 제어하여 물품(300)의 방향 조정을 완성한 다음, 물품(300)을 팔레트의 최적 위치에 진열한 후, 보관함의 텔레스코픽 차량기구(203)를 이용하여 팔레트를 꺼내고, 다시, 회전승강장치로 팔레트를 이동하도록 하여, 설정된 랙 지점에 회전하면서 승강하여 팔레트를 랙에 놓는다. 본 실시예는 물품(300)을 3차원 반전하여 물품(300)을 가장 합리적인 높이에 진열함으로써, 일 측면에서, 물품(300)이 회전, 상승하는 운송과정에서, 쉽게 튕겨나가 떨어지지 않도록 보장하고, 다른 일 측면에서, 캐비닛의 고도 공간을 최대한 이용하여 보관 공간의 이용율을 향상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관함(200)은 택배보관함, 물품 보관 캐비닛 또는 도서 대출 열람 캐비닛이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보관함(200)은 택배 보관, 송부, 출하 등 단계에 이용할 수 있고, 백화점 주변 물품의 잠시 보관과 도서관의 도서 대출 열람 등에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반전장치는 보관함 중에 설치되고, 해당 반전장치는, 지지틀(1), 반전장치를 제어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된 회전기구, 물품을 클램핑하도록 설치된 클램핑기구, 클램핑기구를 제어하여 물품을 반전하도록 설치된 반전기구, 클램핑기구를 제어하여 승강하도록 설치된 승강기구를 포함하는 데, 상기 회전기구, 클램핑기구, 반전기구와 승강기구는 모두 지지틀(1)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기구, 클램핑기구, 반전기구와 승강기구는 물품이 다방면으로 반전 및 이동하도록 하여, 물품의 진열이 가장 합리하도록 함으로써, 일 측면에서, 물품이 회전, 상승하는 운송과정에서, 쉽게 튕겨나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고, 다른 일 측면에서, 보관함의 고도 공간을 최대한 이용하여 보관 공간의 이용율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반전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원가가 낮을 뿐만 아니라, 관련 기술 중의 보관함을 개조하여도 기존 보관함의 메인바디는 파괴하지 않을 수 있어, 광범위하게 보급하는 데 적절하다.
이와 동시에, 본 실시예의 보관함은 택배 보관, 송부, 수취 등 단계에 이용할 수 있고, 백화점 주변 물품의 잠시 보관에도 이용할 수 있어, 다양한 장소에 사용하는 데 적절하다.

Claims (10)

  1. 반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전장치는 보관함 중에 설치되어 반전장치본체를 포함하는 데, 상기 반전장치 본체는,
    지지틀;
    반전장치 본체를 구동하여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회전기구;
    물품을 클램핑하도록 설치된 클램핑기구;
    상기 클램핑기구를 구동하여 물품을 반전하도록 설치된 반전기구; 및
    상기 클램핑기구를 구동하여 승강시키도록 설치된 승강기구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회전기구, 상기 클램핑기구, 상기 반전기구와 상기 승강기구가 모두 상기 지지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구는 반전장치 본체가 회전하도록 설치된 돌림판과, 상기 돌림판을 구동하여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제1 구동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어셈블리는 돌림판과 연결되며, 상기 돌림판은 상기 지지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기구는 물품을 클램핑하도록 설치된 클램핑어셈블리와, 물품 사이즈에 근거해 클램핑어셈블리 개폐를 제어하도록 설치된 평행이동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평행이동 어셈블리는 장착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평행이동 어셈블리는 상기 장착시트를 통해 상기 돌림판에 설치되도록 더 설치되고,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평행이동 어셈블리에 설치되며, 상기 클램핑어셈블리는 상기 승강기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어셈블리는 2개의 흡착판과, 상기 흡착판을 장착하도록 설치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흡착판는 상기 커넥터에 설치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승강기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기구는 상기 클램핑기구와 연결되고, 상기 반전기구는 상기 흡착판을 구동해 회전하여 물품을 반전시키도록 설치된 제2 구동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는 2세트의 가이드 기둥과, 상기 흡착판을 구동해 상기 가이드 기둥을 따라 승강하도록 설치된 제3 구동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가이드 기둥에 커버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3 구동어셈블리는 상기 커넥터를 구동하여 상기 가이드 기둥을 따라 승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이동 어셈블리는 상기 돌림판과 연결되도록 설치된 지지로드, 상기 가이드 기둥을 움직여 이동하도록 하여 2개의 상기 흡착판 사이의 간격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드 블록, 상기 슬라이드 블록을 구동하여 상기 지지로드에서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된 제4 구동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블록은 상기 지지로드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기둥은 상기 슬라이드 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제4 구동어셈블리는 상기 슬라이드 블록을 구동하여 상기 지지로드에서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장치 본체를 움직여 이동시키도록 설치된 이동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틀은 상기 이동기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장치.
  9. 캐비닛 본체, 검측기구, 제어기구 및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반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 본체는 팔레트를 포함하며, 상기 팔레트는 상기 캐비닛 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검측기구는 상기 캐비닛 본체 내에 설치되며, 상기 검측기구는 물품의 사이즈 및 상기 팔레트에서의 진열 위치를 검측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구는 상기 검측기구와 상기 반전장치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검측기구의 검측 결과에 근거해, 상기 반전장치가 물품을 상기 팔레트의 지정 위치에 진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본체 내에 설치된 텔레스코픽(telescopic) 차량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 본체에 엑세스포트(access port)를 더 설치하며, 상기 반전장치는 엑세스포트 또는 텔레스코픽 차량기구 지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함.
KR2020207000029U 2018-05-09 2018-10-31 반전장치 및 보관함 KR20049426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20687067.0U CN208891890U (zh) 2018-05-09 2018-05-09 一种储物柜及其翻转装置
CN201820687067.0 2018-05-09
PCT/CN2018/113022 WO2019214176A1 (zh) 2018-05-09 2018-10-31 翻转装置及储物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323U KR20200001323U (ko) 2020-06-19
KR200494268Y1 true KR200494268Y1 (ko) 2021-09-06

Family

ID=66565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7000029U KR200494268Y1 (ko) 2018-05-09 2018-10-31 반전장치 및 보관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622855B1 (ko)
KR (1) KR200494268Y1 (ko)
CN (1) CN208891890U (ko)
CO (1) CO2019014826A2 (ko)
RU (1) RU198216U1 (ko)
WO (1) WO20192141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5922A (zh) * 2019-08-02 2019-11-19 合肥嘉东光学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基片自动翻转的镀膜机件
CN112444034A (zh) * 2019-09-03 2021-03-05 东莞御膳坊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冷柜及其控制方法
CN112959349A (zh) * 2021-04-26 2021-06-15 林秀纯 一种多段式转向机械手
CN114474854B (zh) * 2022-01-22 2023-09-19 四川大胜达中飞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气动压盒机
CN115123812B (zh) * 2022-07-09 2024-03-01 福鼎市艺双自动化设备制造有限公司 工件正反面自动输送加工装置及其控制方法
CN116276932B (zh) * 2023-05-22 2023-08-11 哈尔滨商业大学 一种翻转机械手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52863A1 (en) 2004-11-08 2006-05-18 Bartholomew Julie R Automated customized cosmetic dispenser
WO2006124211A2 (en) 2005-05-16 2006-11-23 Intelligent Hospital Systems Ltd. Automated pharmacy admixture system (apas)
CN201647668U (zh) 2010-05-11 2010-11-24 云南众诚士德柔性自动化设备有限公司 烟包拆分上线装盘及姿态调整装置
CN204549359U (zh) 2015-01-30 2015-08-12 东莞誉铭新工业有限公司 翻转装置
CN105398728A (zh) 2015-12-08 2016-03-16 天津慧尊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自动仓储装置及其方法
US20170181341A1 (en) 2015-12-17 2017-06-2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Working apparatus and work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0109A (ja) * 1995-10-20 1997-04-28 Miyagi Oki Denki Kk 自動倉庫のワーク収納方法
KR101089752B1 (ko) * 2010-02-25 2011-12-07 세대산전 주식회사 쇼케이스의 회전형 선반구조
US20150096950A1 (en) * 2013-10-03 2015-04-09 Zackary Engel Shelving System With Rotational Functionality
NL2012515B1 (en) * 2014-03-27 2016-01-19 Vmi Holland Bv Unloading system and method for unloading a tire tread carri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52863A1 (en) 2004-11-08 2006-05-18 Bartholomew Julie R Automated customized cosmetic dispenser
WO2006124211A2 (en) 2005-05-16 2006-11-23 Intelligent Hospital Systems Ltd. Automated pharmacy admixture system (apas)
CN201647668U (zh) 2010-05-11 2010-11-24 云南众诚士德柔性自动化设备有限公司 烟包拆分上线装盘及姿态调整装置
CN204549359U (zh) 2015-01-30 2015-08-12 东莞誉铭新工业有限公司 翻转装置
CN105398728A (zh) 2015-12-08 2016-03-16 天津慧尊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自动仓储装置及其方法
US20170181341A1 (en) 2015-12-17 2017-06-2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Working apparatus and work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22855A1 (en) 2020-03-18
EP3622855B1 (en) 2023-07-26
EP3622855C0 (en) 2023-07-26
KR20200001323U (ko) 2020-06-19
CO2019014826A2 (es) 2020-02-28
WO2019214176A1 (zh) 2019-11-14
RU198216U1 (ru) 2020-06-23
CN208891890U (zh) 2019-05-24
EP3622855A4 (en)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4268Y1 (ko) 반전장치 및 보관함
US11479413B2 (en) Automated outdoor terminal for storage and handover of online orders and a method to operate the terminal
JP3226592U (ja) ワインキャビネット
US20210321810A1 (en) Self-service parcel cabinet
WO2019174262A1 (zh) 储物柜
KR102025733B1 (ko) 쇼케이스의 승강장치
CN106115151A (zh) 仓储式自动化存取设备
JP2008056474A (ja) 自動倉庫
JP2008081301A (ja) スタッカクレーン
CN109795834A (zh) 一种储物柜及储物柜控制方法
CN109801454A (zh) 智能物流柜
KR102469331B1 (ko) 참배 대상물의 보관 설비
CN215711429U (zh) 一种物流对象存取装置
US20240025643A1 (e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comprising an access station compartment
KR102168478B1 (ko) 반송대차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반송대차
CN209807961U (zh) 一种存取柜
WO2020020082A1 (zh) 智能储物柜
CN219198725U (zh) 一种立体库货物视觉盘点辅助机构
CN220617422U (zh) 在不同楼层之间转移存储物品的系统
CN220843994U (zh) 搬运机器人
CN220252654U (zh) 便于拿取的校园快递存放柜
CN210895637U (zh) 一种基于对射光栅的防夹手装置及售货机
CN203975704U (zh) 一种智能样品存储室
CN214341101U (zh) 一种装有感应防护帘的仓储货架
CN213216017U (zh) 全自动抵质押品存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