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205Y1 - 차 - Google Pa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205Y1
KR200494205Y1 KR2020197000026U KR20197000026U KR200494205Y1 KR 200494205 Y1 KR200494205 Y1 KR 200494205Y1 KR 2020197000026 U KR2020197000026 U KR 2020197000026U KR 20197000026 U KR20197000026 U KR 20197000026U KR 200494205 Y1 KR200494205 Y1 KR 2004942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ing
module
vibration damping
stress
plat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70000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084U (ko
Inventor
리우 안탕
Original Assignee
엑스.엘.티 인터내셔널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0210360.8U external-priority patent/CN207860371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1318775.3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855810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1606742.9U external-priority patent/CN209112380U/zh
Application filed by 엑스.엘.티 인터내셔널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엑스.엘.티 인터내셔널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020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0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2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2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8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16F15/07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using only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3/00Arrangements of batteries
    • B62J43/20Arrangements of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2J43/28Arrangements of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hidden within the cy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8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1/00Springs used in cycle frames or parts thereof
    • B62K2201/06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2/00Motorised scoo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4/00Adaptations for driving cycles by electric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에서 차를 제공한다. 상기 차는 전륜 모듈, 손잡이 모듈, 프레임 모듈 및 후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륜 모듈은 손잡이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 모듈의 일단은 손잡이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후륜 모듈은 프레임 모듈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전륜 모듈에는 제진 장치가 설치되고, 후륜 모듈에도 제진 모듈이 설치된 것에 의해 차의 진도를 저감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진동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차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람들은 건강에 유리한 교통 방법 예를 들면 스쿠터를 사용하고 있다. 사용자의 쾌적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차륜에 제진 모듈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스쿠터의 제진 부품은 대부분이 나선형 스프링이다. 스쿠터에 설치된 나선형 스프링을 통하여 좋은 제진 효과를 획득할 수 없으므로 나선형 스프링에 대신에 판형 탄성부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었지만, 판형 탄성부을 통하여 스쿠터의 쾌적성을 확보할 수 없다. 종래의 스쿠터의 제진 모듈의 제진 효과가 좋지 않은 문제는 스쿠터의 제조, 설계 및 사용 분야에서 고려해야 할 문제이다.
종래의 차의 제진 부품의 제진 효과가 좋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 차를 제공한다.
종래의 기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 차를 제공한다.
상기 차는 전륜 모듈, 손잡이 모듈, 프레임 모듈 및 후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륜 모듈은 손잡이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 모듈의 일단은 손잡이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후륜 모듈은 프레임 모듈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전륜 모듈에는 제진 장치가 설치되고, 후륜 모듈에도 제진 모듈이 설치된 것에 의해 차의 진도를 저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륜 모듈에는 제진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전륜 모듈은 U형 지지부와 전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진 장치는 U형 지지부와 전륜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진 장치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진 장치를 전륜부와 U형 지지부 사이에 설치할 경우 상기 개구는 후륜 모듈에 향하거나 또는 후륜 모듈에 등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진 장치는 제1 제진 판부, 제2 제진 판부 및 응력 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응력 판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한편 제1 제진 판부와 제2 제진 판부 사이에 설치된 것에 의해 상기 제1 제진 판부와 제2 제진 판부를 연결시키고, 제1 제진 판부에 수직된 방향을 제1 방향으로 하고 제1 제진 판부와 응력 판부의 연결 개소 또는 연결점의 축에 의하여 제진 장치의 서로 상대하는 양측을 획정하고, 상기 축은 제1 방향에 평행되고, 상기 응력 판부는 그의 일측에 설치되고, 응력 판부에서 떨어져 있는 상기 제2 제진 판부의 일단과 제1 제진 판부는 타측에 설치되는 한편 응력 판부에서 떨어져 있는 제2 제진 판부의 일단과 응력 판부에서 떨어져 있는 제1 제진 판부의 일단 사이에 틈새가 형성된 것에 의해 상기 제1 제진 판부와 제2 제진 판부 사이에는 상기 개구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응력 판부는 제1 응력 연결부와 제2 응력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응력 연결부는 상기 제1 응력 연결부와 상기 제2 제진 판부를 연결시키고,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응력 연결부가 제2 제진 판부에서 떨어져 가는 방향으로 연장된 것에 의해 상기 제2 응력 연결부와 제1 제진 판부를 연결시키고, 상기 제1 제진 판부에 연결된 제1 응력 연결부의 일단과 상기 제2 응력 연결부에 연결돈 제1 응력 연결부의 일단 사이에는 고도 차이가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U형 지지부는 지지축 연결부와 제진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축 연결부는 손잡이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제진 판부 및 상기 제진 연결부의 접촉면과 수평면 사이의 협각은 α이며, 상기 협각은 0°≤α≤60°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제진 판부가 위치한 방향을 제2 방향으로 하고, 상기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수직하고, 상기 제1 응력 연결부의 접선과 제2 방향 사이의 협각은 β이며, 이 혁각은 90°<β≤180°이며, 상기 제2 제진 판부는 원호형 판상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2 제진 판부가 임의의 한점의 접선 방향과 제2 방향 사이의 협각은 γ이며, 이 협각은 25°<γ <90°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제진 판부에 연결된 상기 제1 응력 연결부의 일단과 상기 제2 응력 연결부에 연결된 제1 응력 연결부의 일단 사이의 고도 차이는 12mm∼18mm이며, 상기 제1 응력 연결부의 제2 방향에 따른 투영의 길이는 12mm∼18mm이며, 상기 제2 제진 판부의 제2방향에 따른 투영의 길이는 70mm∼120mm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륜 모듈에는 제진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제진 모듈은 제진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제진 부품은 순서대로 연결된 고정 구역, 제진 구역 및 연결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구역은 프레임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 구역은 차륜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제진 구역의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최단 직선 거리는 L이며, 제진 구역의 실제의 최단 연장 길이는 S이며, L과 S의 비례는 1 : (1.16∼2)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진 구역은 원활하게 연결되는 한편 일체로 성형된 제1 과도부, 완충부, 제2 과도부 및 제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에서 떨어져 있는 상기 제1 과도부의 일단은 고정 구역에 연결되고, 완충부는 프레임 모듈에 연결되고, 제2 과도부에서 떨어져 있는 제진부의 일단은 연결 구역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과도부, 제2 과도부 및 제진부는 파랑형 또는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는 평면구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진 구역에는 적어도 3개의 아치형 돌기가 형성되고, 인접되어 있는 두 아치형 돌기의 개구의 방향은 부동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진 구역에는 적어도 4개의 아치형 돌기가 형성되고, 인접되어 있는 두 아치형 돌기의 개구의 방향은 같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완충부의 길이, 제1 과도부의 길이, 제2 과도부의 길이 및 제진부의 길이의 비례는 1 : (2∼3.5) : (1.2∼2) : (5.5∼7)이며, 상기 제1 과도부가 임의의 한점의 접선과 수평선 방향에 의해 형성된 코너 컷은 0∼55°이며, 상기 제2 과도부가 임의의 한점의 접선과 수평선 방향에 의해 형성된 코너 컷은 0∼50°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완충부의 길이와 고정 구역의 길이의 비례는 1 : (2∼6)이며, 상기 제2 과도부의 길이, 제1 과도부의 길이 및 제진부의 길이의 비례는 1 : (1∼3) : (2.8∼6)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완충부의 양단에 위치하는 상기 아치형 돌기의 개구의 방향은 같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는 스쿠터이다.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여 보면, 본 고안의 제진 모듈에 의해 아래와 같은 고안의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1. 제진 장치의 개구가 후륜 모듈에 향하거나 또는 후륜 모듈에 등지는 것에 의해, 진동을 유효적으로 저감하고, 제진 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진 장치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2. 제1 제진 판부, 제2 제진 판부 및 응력 판부를 설치한다. 응력 판부는 제1 제진 판부와 제2 제진 판부 사이에 설치되고, 응력 판부에서 떨어져 있는 제2 제진 판부의 일단과 응력 판부에서 떨어져 있는 제1 제진 판부의 일단은 동일측에 설치되는 한편 응력 판부에서 떨어져 있는 제2 제진 판부의 일단의 저면과 응력 판부에서 떨어져 있는 제1 제진 판부의 일단의 저면 사이에 틈새가 형성된 것에 의해 개구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변형에 의해 제1 제진 판부와 제2 제진 판부 사이에 형성된 응력을 제거하고, 스쿠터의 제진 효과를 향상시키고, 제진 장치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3. 제1 제진 판부 및 제진 연결부의 접촉면과 수평면 사이의 협각은 α이며, 바람직한 이 협각은 0°≤α≤60°이다. 이것에 의해 이 협각이 너무 클 때 제진 장치가 용이하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좋은 제진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4. 제진 모듈은 제진 부품을 포함하고, 제진 부품은 고정 구역, 제진 구역 및 연결 구역을 포함한다. 제진 구역에 접근되어 있는 고정 구역의 일단에서 제진 구역의 가장 먼 곳까지의 거리와 제진 구역의 실제 길이의 비례는 1 : (1.16∼2)이며, 이러한 비례에 의해 제진 장치의 제진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5. 제진 모듈의 제진 구역은 원활하게 연결된 제1 과도부, 완충부, 제2 과도부 및 제진부를 포함하고, 이것들이 원활하게 연결된 것에 의해 제진 장치의 사용 수명과 제진 장치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과도부, 제2 과도부 및 제진부는 파랑형 또는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이것들이 파랑형 또는 원호형으로 형성된 것에 의해 제진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6. 제진 구역에는 적어도 3개의 아치형 돌기가 형성되고, 인접되어 있는 두 아치형 돌기의 개구의 방향은 부동하다. 아치형 돌기가 형성된 것과 인접되어 있는 두 아치형 돌기의 개구의 방향이 부동한 것에 의해 제진 장치의 탄성을 증가시키고, 제진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7. 제진 부품이 설치되고, 제진 부품은 제진 구역을 포함하고, 제진 구역에는 적어도 4개의 아치형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아치형 돌기에 의해 제진 구역의 탄성을 증가시켜, 스쿠터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8. 제1 과도부, 제2 과도부의 접선과 수평선 방향에 의해 형성된 코너 컷은 0∼55°이다. 이 각도를 적합하게 하는 것에 의해 제진 장치의 탄성을 증가시키고, 제진 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9. 완충부의 길이와 고정 구역의 길이의 비례는 1 : (2∼6)이다. 이 비례를 적합하게 하는 것에 의해 응력을 제거하고, 제진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과도부의 길이, 제1 과도부의 길이 및 제진부의 길이의 비례는 1 : (1∼3) : (2.8∼6)이다. 이 비례를 적합하게 하는 것에 의해 제진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10. 바람직하게는 개구의 방향이 같은 아치형 돌기는 완충부의 양단에 위치한다. 이 구조에 의해 완충부와 스쿠터의 다른 부품 사이의 연결을 쉽게 하고, 스쿠터의 진동을 유효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스쿠터를 나타내는 입체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스쿠터의 손잡이 모듈을 나타내는 입체 구조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스쿠터의 접기 모듈을 나타내는 입체 구조도이다.
도 3b는 본 고안의 스쿠터가 접어진 상태로 된 것을 나타내는 입체 구조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의 스쿠터의 프레임 모듈을 나타내는 분해 구조도이다.
도 4b는 본 고안의 스쿠터의 프레임 모듈의 전륜 모듈과 후륜 모듈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스쿠터의 후륜 모듈을 나타내는 분해 구조도이다.
도 6a는 본 고안의 스쿠터 제진 모듈을 나타내는 입체 구조도이다.
도 6b는 제진 모듈의 제1 제진 부품을 나타내는 측면 구조도이다.
도 6c는 제진 모듈의 제1 제진 부품을 나타내는 다른 측면 구조도이다.
도 6d는 본 고안의 스쿠터의 제진 모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 구조도이다.
도 6e는 본 고안의 스쿠터의 제진 모듈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 구조도이다.
도 6f는 제진 모듈의 제2 제진 부품을 나타내는 측면 구조도이다.
도 6g는 제진 모듈을 나타내는 평면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스쿠터의 후륜 모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 구조도이다.
도 8a는 본 고안의 스쿠터의 전륜 모듈을 나타내는 분해 구조도이다.
도 8b는 전륜 모듈의 U형 지지부를 나타내는 입체 구조도이다.
도 9a는 제진 장치를 나타내는 입체 구조도이다.
도 9b는 제진 장치를 제1 관찰 방향으로 관찰한 것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9c는 제진 장치를 제1 관찰 방향으로 관찰한 것을 나타내는 다른 구조도이다.
도 9d는 제진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입체 구조도이다.
도 10은 제진 장치가 전륜 모듈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국부 구조도이다.
도 11은 제진 장치가 전륜 모듈에 설치된 변형예를 나타내는 국부 구조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기술적 사항 및 고안의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이해하여 받기 위하여 아래에서 도면과 실시예에 의해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주의받고 싶은 것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만 본 고안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스쿠터(scooter)(10)는 손잡이 모듈 (11), 프레임 모듈(14), 전륜 모듈(12) 및 후륜 모듈(13)을 포함한다. 후륜 모듈 (13)은 프레임 모듈(14)의 일단에 연결되고, 전륜 모듈(12)은 손잡이 모듈(11)에 연결되는 한편 프레임 모듈(14)에 상대하여 회전할 수 있고, 전륜 모듈(12)과 지면이 접촉할 때 스쿠터(10)는 지면 위에 있어서 전진하거나 또는 활주할 수 있다. 손잡이 모듈(11)이 전륜 모듈(12)에 연결된 것에 의해 전륜 모듈(12)이 프레임 모듈 (14)에 상대하여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스쿠터(10)의 전진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손잡이 모듈(11)은 제1 손잡이(111), 제2 손잡이(112), 손잡이 본체(113) 및 연결봉(114)을 포함한다. 제1 손잡이(111)와 제2 손잡이(112)는 손잡이 본체(113)의 서로 마주하는 양측에 연결되고, 연결봉(114)의 일단은 제1 손잡이(111) 또는 제2 손잡이(112)의 수직 방향에 따라 손잡이 본체(113)에 연결되고, 타단은 전륜 모듈(12)에 연결된다. 제1 손잡이(111), 제2 손잡이(112) 및 연결봉(114)이 손잡이 본체(113)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 손잡이 모듈(11) 전체는 T형으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제1 손잡이(111)와 또는 제2 손잡이(112)를 잡고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스쿠터(10)의 전진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손잡이 모듈(11)은 핸드 브레이크(hand brake) 모듈(115)을 더 포함하고, 핸드 브레이크 모듈(115)은 제1 손잡이(111) 또는 제2 손잡이(112)에 연결되고, 전륜 모듈(12) 또는 후륜 모듈(13)에 힘을 주는 것에 의해 제동을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손잡이 모듈(11)은 제어 모듈(117)을 더 포함하고, 제어 모듈(117)은 프레임 모듈(14)과 전륜 모듈(12)에 전기 접속되어 스쿠터 (10)의 기동, 정지 또는 전진을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모듈(117)은 손잡이 본체(113) 내에 수납되고, 제어 모듈(117)의 일부분은 손잡이 본체(113)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사용자가 상기 제어 모듈(117)을 터치하거나 또는 클릭하는 것에 의해 스쿠터(10)의 기동 또는 정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모듈(11)은 접기 모듈 (116)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기 모듈(116)이 연결봉(114)과 전륜 모듈(12) 사이에 설치된 것에 의해 연결봉(114)과 전륜 모듈(12)이 연결되고, 연결봉(114)은 전륜 모듈(12)에 상대하여 접어진 상태일 수 있다.
도 3a∼3b를 참조하면, 접기 모듈(116)은 제1 연결부(1161), 제2 연결부 (1162) 및 제3 연결부(1163)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1161)는 연결봉(114)에 연결되고, 제3 연결부(1163)는 전륜 모듈(12)에 연결되고, 제2 연결부(1162)는 제1 연결부(1161)와 제3 연결부(1163) 사이에 설치되고, 제1 연결부(1161)가 제2 연결부 (1162)에 상대하여 회전하는 것에 의해 스쿠터(10)를 수직 상태에서 접어진 상태로 변화시키고, 이것에 의해 수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a∼4b를 참조하면, 프레임 모듈(14)은 결합부(141), 차륜 뚜껑(142), 차 판체(143)를 포함한다. 결합부(141)는 판자체(143)의 일단에 연결되는 한편 접기 모듈(116)에 결합되고, 결합부(141)가 설치된 것에 의해 접기 모듈(116)과 결합부(141) 사이의 탈착을 쉽게 할 수 있다. 차륜 뚜껑(142)은 차 판체(143)의 타단에 설치되고, 후륜 모듈(13)이 차 판체(143)에 연결될 때 차륜 뚜껑(142)이 후륜 모듈 13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펜더(fender)와 같은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차륜 뚜껑(142)에는 풋 브레이크(foot brake)(1421)가 더 설치되어 있다. 풋 브레이크(1421)는 차륜 뚜껑(142)에 연결되고, 차륜 뚜껑(142)에 상대하여 탄성 변형을 할 수 있다. 풋 브레이크(1421)에 힘을 줄 때 풋 브레이크(1421)가 후륜 모듈(13)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제동을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 모듈(14)은 지지부(146)를 더 포함한다.지지부(146)는 프레임 모듈(14)의 저면에 설치되고, 지지부(146)가 프레임 모듈(14)에 상대하여 회전하는 것에 의해 지지부(146)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스쿠터(10)를 세우려고 할 때 사용자는 지지부(146)를 회전시켜서 타개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 스쿠터(10)를 지지할 수 있다. 스쿠터(10)를 사용하려고 할 때 지지부(146)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이것을 폐쇄 상태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 모듈(14)은 배터리 모듈(145)을 더 포함한다. 배터리 모듈(145)은 손잡이 모듈(11)에 접근되어 있는 차 판체(143)의 일측에 설치되고, 배터리 모듈(145)이 제어 모듈(117)에 전기 접속되는과 동시에 전륜 모듈(12)과 또는 후륜 모듈(13)에 전기 접속되는 것에 의해 스쿠터(10)에 전기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모듈(145)은 외부 케이스(1451), 제어 장치(1452) 및 전원(1453)을 포함한다. 외부 케이스(1451)는 차 판체(143)에 고정 연결되고, 외부 케이스(1451)와 차 판체(143) 사이에는 수납실이 형성되고, 제어 장치(1452)와 전원(1453)은 전기 접속되는 한편 상기 수납실에 수납된다. 제어 장치(1452)는 제어 모듈(117)에 전기 접속되고, 제어 모듈(117)을 통하여 전원의 급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후륜 모듈(13)은 후륜부(131), 브레이크 모듈(132), 차륜 회전축(133) 및 제진(damper) 모듈(15)을 포함한다. 차륜 회전축(133)은 후륜부(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브레이크 모듈(132)이 후륜부(131)에 연결된 것에 의해 후륜부(131)에 대한 브레이크 또는 급 제동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레이크 모듈(132)은 브레이크 블록(brake block)(1321)과 고정 모듈(1323)을 포함한다. 브레이크 블록(1321)은 볼트에 의해 후륜부(131)에 고정되고, 고정 모듈(1323)은 차륜 회전축(133) 또는 제진 모듈(15)에 연결되는 한편 브레이크 블록(1321)에 상대하여 이동하는 것에 의해 브레이크 블록(1321)을 집을 수 있다. 제동을 할 때 핸드 브레이크 모듈(115)을 통하여 고정 모듈(1323)에 힘을 주는 것에 의해 고정 모듈(1323)은 브레이크 블록(1321)을 집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브레이크 블록(1321)에 연결된 후륜부(131)에 저항력을 주고, 후륜부(131)에 대한 브레이크 또는 급 브레이크를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핸드 브레이크 모듈(115)을 잡아쥐는 힘이 크면 클수록 브레이크의 효과가 향상되므로 이것에 의해 후륜부(131)를 완전히 정지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핸드 브레이크 모듈(115)을 잡아쥐는 힘이 작으면 작을수록 브레이크의 효과가 저하되므로 후륜부(131)의 회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제진 모듈(15)이 차륜 회전축(133)과 프레임 모듈(14)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 후륜 모듈(13)이 전진할 때에 형성된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도 6a∼6b를 참조하면 구체적인 제진 모듈(15)의 예로서 판형 탄성부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진 모듈(15)은 제1 제진 부품(151)과 제2 제진 부품(155)을 포함하고, 제1 제진 부품(151)과 제2 제진 부품(155)은 일체로 연결되어 있지만, 제1 제진 부품(151)과 제2 제진 부품(155)을 따로따로 제조하여도 좋다.바람직하게는 제1 제진 부품(151)과 제2 제진 부품(155)은 축대칭 구조를 가지고, 압력 주조 방법 등에 의해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제진 부품(151)과 제2 제진 부품(155)의 축대칭 구조를 예로하여 설명을 한다.
제1 제진 부품(151)은 순서대로 연결된 제1 고정 구역(1511), 제1 제진 구역(1512) 및 제1 연결 구역(1513)을 포함한다. 제2 제진 부품(155)은 순서대로 연결된 제2 고정 구역(1551), 제2 제진 구역(1552) 및 제2 연결 구역(1553)을 포함한다.
제1 고정 구역(1511)과 제2 고정 구역(155)은 각각 프레임 모듈(14)에 연결되고, 제1 연결 구역(1513)과 제2 연결 구역(1553)은 각각 후륜 모듈(13)에 연결된다. 제1 제진 부품(151)과 제2 제진 부품(155) 사이에는 개구(152)가 형성되고, 이 개구(152)의 형상은 후륜 모듈(13)의 외형에 대응되고, 개구(152)의 사이즈가 후륜 모듈(13)의 사이즈보다 조금 큰 것에 의해 후륜 모듈(13)이 제진 모듈(15)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구(152)의 형상이 U형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고정 구역(1511) 및 제2 고정 구역(155)과 프레임 모듈(14)은 볼트에 의해 고정 연결된다.
제1 제진 부품(151)과 제2 제진 부품(155)의 제진 효과를 확보하기 위하여, 제1 고정 구역(1511), 제1 제진 구역(1512)의 두께(d1)를 2∼13mm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한 두께(d1)는 3∼10mm이며, 더욱 바람직한 두께(d1)는 3∼7mm이며, 제일 바람직한 두께(d1)는 4mm일 수 있다.
제2 고정 구역(1551), 제2 제진 구역(1552)의 두께도 d1이다. 두께(d1)의 범위는 2∼13mm이지만, 바람직한 두께(d1)는 3∼10mm이며, 더욱 바람직한 두께(d1)는 3∼7mm이며, 제일 바람직한 두께(d1)는 4mm일 수 있다.
도 6b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1 제진 구역(1512)은 원활하게 연결된 제1 과도부(1531), 제1 완충부(1532), 제2 과도부(1533) 및 제1 제진부(1534)를 포함한다. 제1 완충부(1532)에서 떨어져 있는 제1 과도부(1531)의 일단은 제1 고정 구역(1511)에 연결되고, 제2 과도부(1533)에서 떨어져 있는 제1 제진부(1534)의 일단은 제1 연결 구역(1513)에 연결된다. 제1 완충부(1532)는 평면 구조이며, 상기 제1 완충부(1532)는 프레임 모듈(14)에 연결되거나 또는 연결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 완충부(1532)가 프레임 모듈(14)에 연결된 것에 의해 제진 모듈(15)이 프레임 모듈(14)에 연결된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제1 제진 부품(151)의 변형에 의해 형성된 응력과 대항하고, 제1 제진 부품(151)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제1 완충부(1532)가 형성된 것에 의해, 제1 제진 부품(151)이 프레임 모듈(14)에 연결된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제1 고정 구역(1511)과 제1 제진 구역(1512)이 직접 연결된 것에 의해 응력이 형성되어 제1 제진 부품(151)이 파손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제1 과도부(1531)가 제1 고정 구역(1511)과 제1 완충부(1532) 사이에 형성되고 제1 과도부(1531)가 만곡 형상으로 형성된 것에 의해 응력의 형성을 방지하고, 좋은 제진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연결 구역(1513)은 후륜 모듈(13)의 차륜 회전축(133)의 일단에 고정 연결되고, 제1 제진부(1534)가 형성된 것에 의해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제1 제진부(1534), 제1 과도부(1531) 및 제2 과도부(1533)의 형상은 파랑형 또는 원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과도부(1531)가 파랑형으로 형성되어, 그의 접선과 수평선 방향에 의해 형성된 코너 컷(corner cut, θ1)은 0∼55°이며, 바람직한 θ1은 0∼45°이며, 제2 과도부(1533)는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그의 접선과 수평선 방향에 의해 형성된 코너 컷(θ2)은 0∼50°이며, 바람직한 θ2은 0∼45°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제진부(1534)가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제1 제진 구역(1512)에는 적어도 3개의 아치형 돌기(A)가 형성된다. 도 6c에는 4개의 아치형 돌기(A)가 형성되고, 인접되어 있는 두 아치형 돌기(A)의 개구의 방향은 부동하다. 아치형 돌기(A)의 개구의 방향은 두 방향을 포함하고, 하나는 수평 방향에서 위로 향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수평 방향에서 아래로 향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4개의 아치형 돌기(A)가 형성되고, 제1 고정 구역(1511)과 제1 과도부(1531)에 의해 형성된 첫번째 아치형 돌기 A의 개구의 방향은 수평 방향에서 아래로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제진 구역(1512)에는 적어도 3∼6개의 아치형 돌기(A)가 형성될 수도 있지만, 3개, 4개 또는 5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d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변형예에 있어서, 제1 완충부(1532)을 형성하지 않고, 제1 제진 구역(1512)에 아치형 돌기를 3개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과도부(1533)와 제1 제진부(1534)가 접하는 개소에는 전환점(1537)이 형성되고, 전환점(1537)에 의해 제2 과도부(1533)와 제1 제진부(1534)를 획정할 수 있다.
도 6e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있어서 제진 모듈(15)의 변형예인 다른 제진 모듈(25)을 제공한다. 제진 모듈(25)은 제1 제진 부품(251)과 제2 제진 부품(255)을 포함하고, 상기 제진 모듈(25)의 제1 제진 구역(2512) 및 제2 제진 구역(도시하지 않았음)의 구조는 제진 모듈(15)의 제1 제진 구역(1512) 및 제2 제진 구역(1552)의 구조와 부동하다. 제1 제진 구역(2512)을 예로하여 설명할 경우, 제1 제진 구역(2512)에는 적어도 4개의 아치형 돌기(B)가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는 두 아치형 돌기(B)의 개구의 방향은 같다. 즉 서로 인접하는 두 아치형 돌기(B)의 개구의 방향은 모두 수평 방향에서 위로 향하거나 또는 수평 방향에서 아래로 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완충부(2532)의 양단에 위치하는 두 아치형 돌기(B)의 개구의 방향은 같지만 본 고안은 이러한 구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구의 방향이 같고 인접되어 있는 두 아치형 돌기(B)는 제1 과도부(2531) 위에 형성되거나 또는 제2 과도부(2533) 등 위에 형성될 수 있지만, 개구의 방향이 같고 인접되어 있는 두 아치형 돌기(B)가 제1 제진 부품(251) 위에 형성되는 구조이면 임의의 하나를 사용하여도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완충부(2532)의 양단에 위치하는 두 아치형 돌기(B)의 개구의 방향은 수평 방향에서 아래로 향하고, 이러한 구조를 사용할 경우 탄성 쿠션(cushion)(135)은 제진 모듈(25)의 과도한 진동에 의해 형성된 탄력을 용이하게 저감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제1 제진부(2534)의 형상은 원호형이고, 아치형 돌기(B)의 개구의 방향이 수평 방향에서 아래로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f를 참조하면, 제2 제진 구역(1552)은 순서대로 원활하게 연결되는 제3 과도부(1561), 제2 완충부(1562), 제4 과도부(1563) 및 제2 제진부(1564)를 포함한다.
제2 완충부(1562)에서 떨어져 있는 제3 과도부(1561)의 일단은 제2 고정 구역(1551)에 연결되고, 제4 과도부(1563)에서 떨어져 있는 제2 제진부(1564)의 일단은 제2 연결 구역(1553)에 연결된다. 제2 완충부(1562)은 평면 구조이고, 상기 제2 완충부(1562)는 프레임 모듈(14)에 연결되거나 또는 연결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2 완충부(1562)가 프레임 모듈(14)에 연결된 것에 의해 제진 모듈(15)이 프레임 모듈(14)에 연결된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제2 제진 부품(155)의 변형에 의해 형성된 응력과 대항하고, 제2 제진 부품(155)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6g를 참조하면, 제1 제진 부품(151)과 제2 제진 부품(155) 사이의 거리(L7)는 프레임 모듈(14)에 접근되어 있는 일단에서 후륜 모듈(13)의 일단으로 향하는 방향으르 가면서 이 거리가 조금씩 작아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제진 모듈(15)을 프레임 모듈(14), 후륜 모듈(13)에 탈착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제1 고정 구역(1511)에서 제1 제진 구역(1552)까지의 폭이 조금씩 작아지는 것에 의해 제진 모듈(15)의 탄성을 향상시키고, 제진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진 모듈(15)의 길이(L1)는 150∼240mm이며, 바람직한 길이(L1)는 160∼220mm이며, 더욱 바람직한 길이(L1)는 180∼210mm이며, 제일 바람직한 길이(L1)는 190mm, 195mm 또는 200mm이다. 제1 완충부(1532)의 길이(L3)와 제1 고정 구역(1511)의 길이(L2)의 비례는 1 : (2∼6)이며, 바람직한 비례는 1 : (2.5∼5) 또는 1 : (3∼4)이다. 이 비례가 상기 범위 내에 들어 있을 때 프레임 모듈(14)에 연결된 안정성을 확보하고, 좋은 제진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L3과 L2의 비례는 1:3이다. 제2 과도부(1533)의 길이(L5)와 제1 과도부(1531)의 길이(L4)의 비례는 1 : (1∼3)이며, 바람직한 비례는 1 : (1.2∼2.3) 또는 1 : (1.3∼1.6)이다. 이 비례가 상기 범위 내에 들어 있을 때 응력을 제거하는과 동시에 좋은 제진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L5과 L4의 비례는 1:1.6이다. 제2 과도부(1533)의 길이(L5)와 제1 제진부(1534)의 길이(L6)의 비례는 1 : (2.8∼6)이며, 바람직한 비례는 1 : (3.5∼5.3) 또는 1 : (4∼4.8)이다. 이 비례가 상기 범위 내에 들어 있을 때 좋은 제진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L5과 L6의 비례는 1 : 4.7이다. 제2 과도부(1533)의 길이(L5), 제1 과도부(531) 길이(L4) 및 제1 제진부(1534)의 길이(L6)의 비례는 1 : (1∼3): (2.8∼6)이며, 바람직한 비례는 1 : (1.2∼2.3): (3.5∼5.3) 또는 1 : (1.3∼1.6): (4∼4.8)이다. 이 비례가 상기 범위 내에 들어 있을 때, 응력을 제거하는과 동시에 좋은 제진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L5, L4 및 L6의 비례는 1 : 1.6 : 4.7이다. 제1 완충부(1532)의 길이(L3), 제1 과도부(1531)의 길이(L4), 제2 과도부(1533)의 길이(L5) 및 제1 제진부(1534)의 길이(L6)의 바람직한 비례는 1 : (2∼3.5): (1.2∼2): (5.5∼7)이며, 더욱 바람직한 비례는 1: (2∼2.7): (1.3∼1.8): (6∼6.9)이다. 제1 제진 구역(1512)의 길이(L)는 제1 고정 구역(1511)에서 제1 제진 구역(1512)으로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제1 제진 구역(1512)의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최단 거리를 가리킨다. 제1 제진 구역(1512)의 실제적 최단 연장 길이는 S이며, 이 길이(S)는 제1 고정 구역(1511)에서 제1 제진 구역(1512)으로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제1 제진 구역(1512)이 전개된 길이를 가리킨다. L와 S의 비례는 1 : (1.16∼2)이며, 바람직한 L와 S의 비례는 1 : (1.2∼1.5)이다. 제1 고정 구역(1511)의 길이(L2)는 30∼60mm이며, 바람직한 L2는 40∼55mm이며, 더욱 바람직한 L2는 40∼45mm이며, 제일 바람직한 L2는 42.7mm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제진부(1534)의 실제적 최단 연장 길이는 (1.2∼1.8)L이며, 더욱 바람직한 길이는 (1.35∼1.6)L이다. 이럴 경우 바람직한 L는 145∼170mm이며, 바람직한 S는 160∼200mm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과도부(1531)의 실제적 최단 연장 길이는(1.2∼1.4) L3이며, 더욱 바람직한 길이는 (1.25∼1.35) L3이다. 바람직하게는 제2 과도부(1533)의 실제적 최단 연장 길이는 (1.1∼1.4) L5이며, 더욱 바람직한 길이는 (1.15∼1.25) L5이다.
제2 제진 부품(155)과 제1 제진 부품(151)은 축대칭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제1 고정 구역(1511)과 제2 고정 구역(1551)은 축대칭 구조를 가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제진 부품(251)과 제2 제진 부품(255)은 축대칭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제1 제진 구역(1512)과 제2 제진 구역(1552)은 축대칭 구조를 가지고 있고, 제1 연결 구역(1513)과 제2 연결 구역(1553)은 축대칭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제2 제진 부품(155)의 구체적인 비례와 구조는 제1 제진 부품(151)을 참조할 수 있고, 제2 제진 부품(255)의 구체적인 구조는 제1 제진 부품(251)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후륜 모듈(13)은 탄성 쿠션(135)을 더 포함하고, 탄성 쿠션(135)은 제1 완충부(1532)와 프레임 모듈(14) 사이와 또는 제2 완충부(1562)와 프레임 모듈(14) 사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탄성 쿠션(135) 내에는 관통 구멍(1351)이 형성되고, 탄성 쿠션(135)이 제1 완충부(1532) 및 또는 제2 완충부(1562)와 프레임 모듈(14) 사이에 설치될 때 탄성 쿠션(135)은 볼트에 의해 프레임 모듈(14)에 고정된다. 탄성 쿠션(135)의 관통 구멍(1351)의 직경이 볼트의 직경보다 조금 큰 것에 의해 탄성 쿠션(135)은 볼트 위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탄성 쿠션(135)의 축방향의 사이즈는 스쿠터(10)가 비이동 상태로 되어 있을 때 제1 완충부(1532)에서 프레임 모듈(14)까지의 거리보다 작거나 또는 같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쿠션(135)의 축방향의 사이즈는 제1 완충부(1532)에서 프레임 모듈(14)까지의 거리와 같다. 탄성 쿠션(135)이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에 의해 탄성 완충을 진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쿠션(135)의 재질은 러버 스프링(rubber spring)일 수 있다. 즉 탄성 쿠션(135)은 러버 스프링제 탄성 쿠션일 수 있다.
탄성 쿠션(135)이 프레임 모듈(14)과 접촉하여 변형하는 것에 의해, 제진 모듈(15)의 과도한 진동에 의해 형성된 탄력을 저감하고, 제진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진 모듈(15)을 다른 차의 차륜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차량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도 8a∼8b를 참조하면, 전륜 모듈(12)은 전륜부(127), U형 지지부(124) 및 제진 장치(125)를 포함한다. U형 지지부(124)의 일단은 손잡이 모듈(11)에 연결되는 한편 프레임 모듈(14)에 상대하여 회전할 수 있고, 제진 장치(125)는 U형 지지부(124)와 전륜부(127) 사이에 설치되고, 전륜부(127)가 전진할 때 형성된 진동을 저감한다.
구체적으로 U형 지지부(124)는 지지축 연결부(1241)와 지지축 연결부(1241)에 연결되는 제진 연결부(1243)를 포함한다. 제진 연결부(1243)는 제진 장치(125)와 지지축 연결부(1241)를 연결시키고, 지지축 연결부(1241)는 제3 연결부(1163)에 연결되는 한편 프레임 모듈(14)에 상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제진 연결부(1243)와 손잡이 모듈(11)을 연결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손잡이 모듈(11)을 회전시킬 때 U형 지지부(124)가 손잡이 모듈(11)과 같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전륜 모듈(12)의 전진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제진 장치(125)에 결합된 제진 연결부(1243)의 일면과 수평면 사이의 협각은 α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협각은 0°≤α≤60°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협각은 10°≤α≤45°이다. 이것에 의해 스쿠터(10)가 전진할 때 제진 장치(125)에 주는 충격을 저감할 수 있다.
전륜부(127)는 차륜 모터(121), 전륜(122) 및 회전축(123)을 포함한다. 회전축(123)은 차륜 모터(121)의 회전축이며, 차륜 모터(121)는 전륜(122)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륜 모터(121)는 제어 모듈(117)에 전기 접속되고, 제어 모듈(117)은 차륜 모터(121)가 회전축(123)을 중심으로하여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이런 경우의 차륜 모터(121)는 아우터 로터 모터(outer rotor motor)이다.
제진 장치(125)가 U형 지지부(124)와 회전축(123) 사이에 설치된 것에 의해 U형 지지부(124)와 회전축(123)을 탄성으로 연결시킨다. 이 때문에 전륜 모듈(12)이 전진할 때 진동이 발생하면 이 탄성 구조에 의해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진 장치(125)는 2개이며, 이것들은 전륜부(127)의 회전축(123)의 축방향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전륜 모듈(12)은 전부 펜더(126)를 더 포함하고, 전부 펜더(126)는 U형 지지부(124)와 전륜(122) 사이에 설치되는 한편 U형 지지부(124)에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전륜 모듈(12)이 전진할 때 뛰어 오르는 흙을 막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차륜 모터(121)를 전륜 모듈(12)에 설치하지 않고 차륜 모터(121)를 후륜 모듈(13)에 설치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스쿠터(10)는 후륜의 구동에 의해 전진한다.
도 9a를 참조하면, 제진 장치(125)는 제1 제진 판부(1251), 제2 제진 판부(1253) 및 응력 판부(1252)를 포함한다. 제1 제진 판부(1251)는 U형 지지부(124)에 연결되고, 제2 제진 판부(1253)는 전륜부(127)에 연결된다. 응력 판부(1252)가 제1 제진 판부(1251)와 제2 제진 판부(1253)사이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변형에 의하여 제1 제진 판부(1251)와 제2 제진 판부(1253) 사이에 형성된 응력을 제거하고, 스쿠터의 제진 효과를 획득하는 한편 제진 장치(125)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제진 판부(1251), 제2 제진 판부(1253) 및 응력 판부(1252)는 용접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제진 판부(1251), 제2 제진 판부(1253) 및 응력 판부(1252)가 일체로 성형된다.
도 9b∼9c를 참조하면, 제1 제진 판부(1251)는 길이가 L8이며, 두께가 d2인 판상 구조를 가지고 있다. L8은 70mm∼120mm이며, 바람직한 L8은 90mm∼100mm이다. d2는 3mm∼6mm이며, 바람직한 d2는 4mm∼5mm이다.
응력 판부(1252)는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일체로 연결된 제1 응력 연결부(1254)와 제2 응력 연결부(1256)를 포함한다. 제1 응력 연결부(1254)는 제1 제진 판부(1251)에 연결되고, 제2 응력 연결부(1256)는 제1 응력 연결부(1254)와 제2 제진 판부(1253)를 연결시킨다.
구체적으로 제1 제진 판부(1251)에 수직한 방향을 제1 방향이라고 하고 제1 제진 판부(1251)와 응력 판부(1252)의 연결 개소 또는 연결점의 축에 의하여 제진 장치(125)의 상대하는 양측을 획정한다. 상기 축은 제1 방향에 평행되고, 제1 제진 판부(1251)가 위치하는 방향은 제2 방향으로 된다.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수직되고, 제1 응력 연결부(1254)의 일단은 제1 제진 판부(1251)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 제진 판부(1251)에서 떨어져 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편 제2 응력 연결부(1256)에 연결된다. 제1 제진 판부(1251)에 연결된 제1 응력 연결부(1254)의 일단과 제2 응력 연결부(1256)에 연결된 제1 응력 연결부(1254)의 일단 사이의 고도 차이는 H이며, 이 H는 12mm∼18mm이다. 제1 응력 연결부(1254)의 제2 방향에 따른 투영의 길이는 L9이며, 이 L9는 12mm∼18mm이다.
제1 응력 연결부(1254)는 원호으로 형성되고, 제1 응력 연결부(1254)의 접선과 제2 방향 사이의 협각 β은 90°<β≤180°이다. 바람직하게는 135°≤β≤18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35°≤β≤165°이다.
상기 협각 β은 점차로 변하는 각도이다. 즉 제1 응력 연결부(1254)와 제1 제진 판부(1251)의 연결단에서 제1 응력 연결부(1254)와 제2 응력 연결부(1256)의 연결단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가면서 협각 β은 점차로 증가된다.
제2 응력 연결부(1256)는 제1 응력 연결부(1254)와 제2 제진 판부(1253)을 연결시킨다. 제2 응력 연결부(1256)는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제2 응력 연결부(1256)의 원호부에 있어서 상기 원호부의 원심 각도 β1는 90°<β1≤165°이며, 바람직하게는 100°≤β1≤135°이다.
제2 제진 판부(1253)는 직선형 판상 구조 또는 원호형 판상 구조를 가지고, 그 두께는 d3이며, 제2 방향에 따른 투영의 길이는 L10이다. L10은 70mm∼120mm이며, 바람직한 L10은 90mm∼100mm이다. d3은 3mm∼6mm이며, 바람직한 d3은 4mm∼5mm이다.
바람직하게는, 제2 제진 판부(1253)는 원호형 판상 구조를 가지고, 제2 제진 판부(1253)의 임의의 한점의 접선 방향과 제2 방향 사이의 협각 γ은 25°<γ <90°이며, 바람직하게는 35°≤γ≤60°이다.
제2 제진 판부(1253)의 일단은 제2 응력 연결부(1256)에 연결되고, 타단은 응력 판부(1252)에서 떨어져 있는 제1 제진 판부(1251)의 일단과 상대하는 응력 판부(1252)의 제1 방향의 동일측에 설치되고,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수직된다. 응력 판부(1252)에서 떨어져 있는 제2 제진 판부(1253)의 일단과 응력 판부(1252)에서 떨어져 있는 제1 제진 판부(1251)의 일단 사이에 틈새(H1)가 형성된 것에 의해 제진 장치(125)에 개구(1257)가 형성된다.
제1 방향에 있어서 제1 제진 판부(1251)와 응력 판부(1252)의 연결 개소 또는 연결점의 축 Y를 경계선으로 하고 상대하는 양측을 획정한다. 즉 제1 방향에 있어서 제1 제진 판부는 상대하는 양측을 구비한다. 응력 판부(1252)에서 떨어져 있는 제2 제진 판부(1253)의 일단과 응력 판부(1252)에서 떨어져 있는 제1 제진 판부(1251)의 일단은 모두 Y축의 동일측에 설치되고, 응력 판부(1252)에서 떨어져 있는 제2 제진 판부(1253)의 일단과 응력 판부(1252)에서 떨어져 있는 제1 제진 판부(1251)의 일단 사이에 틈새(H1)가 형성되고, 응력 판부(1252)는 상대하는 타측에 위치한다.
제2 방향으로 획정할 경우 제1 제진 판부(1251)는 상대하는 양측을 구비하고, 응력 판부(1252)와 제2 제진 판부(1253)는 제1 제진 판부(1251)에 의해 획정된 양측에 각각 위치하고, 제2 방향에 따른 제2 제진 판부(1253)의 투영은 제1 제진 판부(1251) 위에 위치한다 (적어도 일부분은 제1 제진 판부(1251)와 중첩된다). 응력 판부(1252)에서 떨어져 있는 제2 제진 판부(1253)의 일단과 응력 판부(1252)에서 떨어져 있는 제1 제진 판부(1251)의 일단 사이에 틈새(H1)가 형성된 것에 의해 개구(1257)가 형성된다.
제2 제진 판부(1253)에는 회전축 연결부(1258)가 설치되고, 제2 제진 판부(1253)와 회전축(123)은 회전축 연결부(1258)에 의해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축 연결부(1258)는 제1 제진 판부(1251)에 접근되어 있는 제2 제진 판부(1253)에 일측에 설치된다.
제1 응력 연결부(1254)는 제1 제진 판부(1251)에 연결되는 한편 제1 제진 판부(1251)에서 떨어져 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응력 연결부(1256)는 제1 응력 연결부(1254)와 제2 제진 판부(1253)을 연결시키는 한편 제1 제진 판부(125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것에 의해 응력 판부(1252)는 양호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고, 제2 제진 판부(1253)가 용이하게 탄성 변형하는 것에 의해 제2 제진 판부(1253)는 양호한 제진 효과와 사용 수명을 획득할 수 있다.
응력 판부(1252)에서 떨어져 있는 제2 제진 판부(1253)의 일단과 응력 판부(1252)에서 떨어져 있는 제1 제진 판부(1251)의 일단은 응력 판부(1252)에 상대하여 제1 방향의 동일측에 설치되고, 응력 판부(1252)에서 떨어져 있는 제2 제진 판부(1253)의 일단의 저면과 응력 판부(1252)에서 떨어져 있는 제1 제진 판부(1251)의 일단의 저면 사이에 틈새(H1)가 형성된 것에 의해 제진 장치(125)에는 개구(1257)가 형성된다. 제진 장치(125)가 전륜부(127)와 U형 지지부(124) 사이에 설치된 것에 의해 전륜부(127)가 전진할 때 형성된 진동을 유효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진 판부(1251)와 또는 제2 제진 판부(1253)가 변형될 때 응력을 응력 판부(1252)가 위치한 개소에 집중시키고, 응력 판부(1252)의 원호형의 만곡을 통하여 이 응력을 저감하는 것에 의해 제1 제진 판부(1251)와 제2 제진 판부(1253)가 탄성 변형 될 때 응력의 집중에 의해 파손되는 확률을 저감할 수 있다.
도 9d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있어서 변형된 제진 장치(225)를 제공한다. 이럴 경우 회전축 연결부(2258)는 노치 개구(2259)를 포함하고, 상기 노치 개구(2259)의 사이즈는 회전축(123)의 사이즈에 적합한다. 상기 노치 개구(2259)에 의해 회전축(123)을 회전축 연결부(2258)에 용이하게 송입한 후, 회전축(123)에 의해 제2 제진 판부(2253)와 회전축(123)을 연결시킬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진 장치(125)를 전륜부(127)와 U형 지지부(124) 사이에 설치했을 때 제1 제진 판부(1251) 및 U형 지지부(124)의 제진 연결부(1243)의 접촉면과 수평면 사이의 협각은 α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협각은 0°≤α≤6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협각은 10°≤α≤45°이다. 이것에 의해 스쿠터(10)가 전진하는 때 제진 장치(125)는 변형에 의해 형성된 응력을 응력 판부(1252)에 이전시키고 좋은 제진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제진 장치(125)를 전륜부(127)과 U형 지지부(124) 사이에 설치했을 때 제1 응력 연결부(1254)는 제1 방향에 있어서 제1 제진 판부(1251)에서 떨어져 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응력 연결부(1254)가 임의의 한점의 접선과 제1 제진 판부(1251)에 결합된 제진 연결부(1243)의 일면 사이의 협각 α1은 90°<α1≤135°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진 장치(125)를 전륜부(127)과 U형 지지부(124) 사이에 설치했을 때 상기 개구(1257)는 후륜 모듈(13)에 등진다. 제1 제진 판부(1251)와 수평면 사이의 협각은 α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협각은 0°≤α≤60°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협각은 10°≤α≤45°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개구(1257)의 변형예인 개구(2257)를 제공하고, 상기 개구(2257)는 후륜 모듈(13)으로 향할 수 있다. 제1 제진 판부(2251)와 수평면 사이의 협각은 α이다. 바람직한 협각은 0°≤α≤60°이며, 더 바람직한 협각은 10°≤α≤45°이다.
주의받고 싶은 것은 제진 장치(125)에 의해 프레임 모듈(14)과 전륜부(127)를 연결시킬 수 있다. 즉 제진 장치(125)는 프레임 모듈(14)에 고정되고, 전륜부(12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진 장치(125)를 프레임 모듈(14)과 후륜 모듈(13) 사이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후륜 모듈(13)과 프레임 모듈(14) 사이의 진동을 제거할 수 있다.
주의받고 싶은 것은 제진 장치(125)와 제진 모듈(15)을 다른 차의 차륜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다른 차의 진동을 제거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여 보면, 본 고안의 제진 모듈에 의해 아래와 같은 고안의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1. 제진 장치의 개구가 후륜 모듈에 향하거나 또는 후륜 모듈에 등지는 것에 의해, 진동을 유효적으로 저감하고, 제진 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진 장치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2. 제1 제진 판부, 제2 제진 판부 및 응력 판부를 설치한다. 응력 판부는 제1 제진 판부와 제2 제진 판부 사이에 설치되고, 응력 판부에서 떨어져 있는 제2 제진 판부의 일단과 응력 판부에서 떨어져 있는 제1 제진 판부의 일단은 동일측에 설치되는 한편 응력 판부에서 떨어져 있는 제2 제진 판부의 일단의 저면과 응력 판부에서 떨어져 있는 제1 제진 판부의 일단의 저면 사이에 틈새가 형성된 것에 의해 개구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변형에 의해 제1 제진 판부와 제2 제진 판부 사이에 형성된 응력을 제거하고, 스쿠터의 제진 효과를 향상시키고, 제진 장치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3. 제1 제진 판부 및 제진 연결부의 접촉면과 수평면 사이의 협각은 α이며, 바람직한 이 협각은 0°≤α≤60°이다. 이것에 의해 이 협각이 너무 클 때 제진 장치가 용이하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좋은 제진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4. 제진 모듈은 제진 부품을 포함하고, 제진 부품은 고정 구역, 제진 구역 및 연결 구역을 포함한다. 제진 구역에 접근되어 있는 고정 구역의 일단에서 제진 구역의 가장 먼 곳까지의 거리와 제진 구역의 실제 길이의 비례는 1 : (1.16∼2)이며, 이러한 비례에 의해 제진 장치의 제진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5. 제진 모듈의 제진 구역은 원활하게 연결된 제1 과도부, 완충부, 제2 과도부 및 제진부를 포함하고, 이것들이 원활하게 연결된 것에 의해 제진 장치의 사용 수명과 제진 장치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과도부, 제2 과도부 및 제진부는 파랑형 또는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이것들이 파랑형 또는 원호형으로 형성된 것에 의해 제진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6. 제진 구역에는 적어도 3개의 아치형 돌기가 형성되고, 인접되어 있는 두 아치형 돌기의 개구의 방향은 부동하다. 아치형 돌기가 형성된 것과 인접되어 있는 두 아치형 돌기의 개구의 방향이 부동한 것에 의해 제진 장치의 탄성을 증가시키고, 제진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7. 제진 부품이 설치되고, 제진 부품은 제진 구역을 포함하고, 제진 구역에는 적어도 4개의 아치형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아치형 돌기에 의해 제진 구역의 탄성을 증가시켜, 스쿠터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8. 제1 과도부, 제2 과도부의 접선과 수평선 방향에 의해 형성된 코너 컷은 0∼55°이다. 이 각도를 적합하게 하는 것에 의해 제진 장치의 탄성을 증가시키고, 제진 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9. 완충부의 길이와 고정 구역의 길이의 비례는 1 : (2∼6)이다. 이 비례를 적합하게 하는 것에 의해 응력을 제거하고, 제진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과도부의 길이, 제1 과도부의 길이 및 제진부의 길이의 비례는 1 : (1∼3) : (2.8∼6)이다. 이 비례를 적합하게 하는 것에 의해 제진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10. 바람직하게는 개구의 방향이 같은 아치형 돌기는 완충부의 양단에 위치한다. 이 구조에 의해 완충부와 스쿠터의 다른 부품 사이의 연결을 쉽게 하고, 스쿠터의 진동을 유효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위에서 본 고안의 호적한 실시예를 상술해 왔지만 상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예시에밖에 지나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의 설계 변경 등이 있어도 본 고안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10 : 스쿠터 11 : 손잡이 모듈 111 : 제1 손잡이
112 : 제2 손잡이 113 : 손잡이 본체 114 : 연결봉
115 : 핸드 브레이크 모듈 116 : 접기 모듈 1161 : 제1 연결부
1162 : 제2 연결부 1163 : 제3 연결부 117 : 제어 모듈
12 : 전륜 모듈 121 : 차륜 모터 122 : 전륜
123 : 회전축 124 : U형 지지부 1241 : 지지축 연결부
1243 : 제진 연결부 125 : 제진 장치 1251 : 제1 제진 판부
1252 : 응력 판부 1253 : 제2 제진 판부 1254 : 제1 응력 연결부
1256 : 제2 응력 연결부 1257 : 개구 1258 : 회전축 연결부
126 : 전부 펜더 127 : 전륜부 13 : 후륜 모듈
131 : 후륜부 132 : 브레이크 모듈 1321 : 브레이크 블록
1323 : 고정 모듈 133 : 차륜 회전축 135 : 탄성 쿠션
1351 : 관통 구멍 14 : 프레임 모듈 141 : 결합부
142 : 차륜 뚜껑 1421 : 풋 브레이크 143 : 차 판체
145 : 배터리 모듈 1451 : 외부 케이스 1452 : 제어 장치
1453 : 전원 146 : 지지부 15 : 제진 모듈
151 : 제1 제진 부품 1511 : 제1 고정 구역 1512 : 제1 제진 구역
1513 : 제1 연결 구역 152 : 개구 1531 : 제1 과도부
1532 : 제1 완충부 1533 : 제2 과도부 1534 : 제1 제진부
1537 : 전환점 155 : 제2 제진 부품 1551 : 제2 고정 구역
1552 :제2 제진 구역 1553 : 제2 연결 구역 1561 : 제3 과도부
1562 : 제2 완충부 1563 : 제4 과도부 1564 : 제2 제진부
225 : 제진 장치 2253 : 제2 제진 판부 2258 : 회전축 연결부
2259 : 노치 개구 25 : 제진 모듈 251 : 제1 제진 부품
2512 : 제1 제진 구역 2531 : 제1 과도부 2532 : 제1 완충부
2533 : 제2 과도부 2534 : 제1 제진부 255 : 제2 제진 부품

Claims (15)

  1. 차에 있어서, 상기 차는 전륜 모듈, 손잡이 모듈, 프레임 모듈 및 후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륜 모듈은 손잡이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 모듈의 일단은 손잡이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후륜 모듈은 프레임 모듈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전륜 모듈에는 제진 장치가 설치되고, 후륜 모듈에도 제진 모듈이 설치된 것에 의해 차의 진도를 저감하고, 상기 전륜 모듈에는 제진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전륜 모듈은 U형 지지부와 전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진 장치는 U형 지지부와 전륜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진 장치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진 장치를 전륜부와 U형 지지부 사이에 설치할 경우 상기 개구는 후륜 모듈에 향하거나 또는 후륜 모듈에 등지고, 상기 제진 장치는 제1 제진 판부, 제2 제진 판부 및 응력 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응력 판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한편 제1 제진 판부와 제2 제진 판부 사이에 설치된 것에 의해 상기 제1 제진 판부와 제2 제진 판부를 연결시키고, 제1 제진 판부에 수직된 방향을 제1 방향으로 하고 제1 제진 판부와 응력 판부의 연결 개소 또는 연결점의 축에 의하여 제진 장치의 서로 상대하는 양측을 획정하고, 상기 축은 제1 방향에 평행되고, 상기 응력 판부는 그의 일측에 설치되고, 응력 판부에서 떨어져 있는 상기 제2 제진 판부의 일단과 제1 제진 판부는 타측에 설치되는 한편 응력 판부에서 떨어져 있는 제2 제진 판부의 일단과 응력 판부에서 떨어져 있는 제1 제진 판부의 일단 사이에 틈새가 형성된 것에 의해 상기 제1 제진 판부와 제2 제진 판부 사이에는 상기 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판부는 제1 응력 연결부와 제2 응력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응력 연결부는 상기 제1 응력 연결부와 상기 제2 제진 판부를 연결시키고,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응력 연결부가 제2 제진 판부에서 떨어져 가는 방향으로 연장된 것에 의해 상기 제2 응력 연결부와 제1 제진 판부를 연결시키고, 상기 제1 제진 판부에 연결된 제1 응력 연결부의 일단과 상기 제2 응력 연결부에 연결된 제1 응력 연결부의 일단 사이에는 고도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형 지지부는 지지축 연결부와 제진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축 연결부는 손잡이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제진 판부 및 상기 제진 연결부의 접촉면과 수평면 사이의 협각은 α이며, 상기 협각은 0°≤α≤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진 판부가 위치한 방향을 제2 방향으로 하고, 상기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수직하고, 상기 제1 응력 연결부의 접선과 제2 방향 사이의 협각은 β이며, 이 혁각은 90°<β≤180°이며, 상기 제2 제진 판부는 원호형 판상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2 제진 판부가 임의의 한점의 접선 방향과 제2 방향 사이의 협각은 γ이며, 이 협각은 25°<γ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진 판부에 연결된 상기 제1 응력 연결부의 일단과 상기 제2 응력 연결부에 연결된 제1 응력 연결부의 일단 사이의 고도 차이는 12mm∼18mm이며, 상기 제1 응력 연결부의 제2 방향에 따른 투영의 길이는 12mm∼18mm이며, 상기 제2 제진 판부의 제2방향에 따른 투영의 길이는 70mm∼1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 모듈에는 제진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제진 모듈은 제진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제진 부품은 순서대로 연결된 고정 구역, 제진 구역 및 연결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구역은 프레임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 구역은 차륜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제진 구역의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최단 직선 거리는 L이며, 제진 구역의 실제의 최단 연장 길이는 S이며, L과 S의 비례는 1 : (1.16∼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 구역은 원활하게 연결되는 한편 일체로 성형된 제1 과도부, 완충부, 제2 과도부 및 제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에서 떨어져 있는 상기 제1 과도부의 일단은 고정 구역에 연결되고, 완충부는 프레임 모듈에 연결되고, 제2 과도부에서 떨어져 있는 제진부의 일단은 연결 구역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과도부, 제2 과도부 및 제진부는 파랑형 또는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는 평면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 구역에는 적어도 3개의 아치형 돌기가 형성되고, 인접되어 있는 두 아치형 돌기의 개구의 방향은 부동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 구역에는 적어도 4개의 아치형 돌기가 형성되고, 인접되어 있는 두 아치형 돌기의 개구의 방향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의 길이, 제1 과도부의 길이, 제2 과도부의 길이 및 제진부의 길이의 비례는 1 : (2∼3.5) : (1.2∼2) : (5.5∼7)이며, 상기 제1 과도부가 임의의 한점의 접선과 수평선 방향에 의해 형성된 코너 컷은 0∼55°이며, 상기 제2 과도부가 임의의 한점의 접선과 수평선 방향에 의해 형성된 코너 컷은 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의 길이와 고정 구역의 길이의 비례는 1 : (2∼6)이며, 상기 제2 과도부의 길이, 제1 과도부의 길이 및 제진부의 길이의 비례는 1 : (1∼3) : (2.8∼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의 양단에 위치하는 상기 아치형 돌기의 개구의 방향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15. 제 1 항, 제 4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차는 스쿠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KR2020197000026U 2018-02-05 2018-09-30 KR20049420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20210360.8U CN207860371U (zh) 2018-02-05 2018-02-05 一种减振装置、滑板车
CN201820210360.8 2018-02-05
CN201821318775.3 2018-08-15
CN201821318775.3U CN208855810U (zh) 2018-08-15 2018-08-15 一种减振装置及滑板车
CN201821606742.9U CN209112380U (zh) 2018-09-29 2018-09-29 减振组件及滑板车
CN201821606742.9 2018-09-29
PCT/CN2018/109222 WO2019148881A1 (zh) 2018-02-05 2018-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084U KR20190002084U (ko) 2019-08-14
KR200494205Y1 true KR200494205Y1 (ko) 2021-08-25

Family

ID=67479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7000026U KR200494205Y1 (ko) 2018-02-05 2018-09-30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60953B2 (ko)
EP (1) EP3763612A4 (ko)
KR (1) KR200494205Y1 (ko)
SG (1) SG11202007489QA (ko)
WO (1) WO20191488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46068B (zh) * 2019-04-12 2022-05-03 格步计程车控股私人有限公司 电动个人移动装置
USD972652S1 (en) 2019-11-08 2022-12-13 Zhejiang Taotao Vehicles Co., Ltd. Electric scooter
USD955498S1 (en) * 2020-03-13 2022-06-21 Zhejiang Okai Vehicle Co., Ltd. Part of electric scooter
USD982670S1 (en) * 2020-07-13 2023-04-04 Zhejiang Taotao Vehicles Co., Ltd. Electric scooter
CN112078710B (zh) * 2020-08-24 2021-12-21 拓肯兴业股份有限公司 车头碗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938Y1 (ko) * 2000-06-27 2000-11-15 주식회사오토엠아이티 바퀴에 완충장치를 구비한 스쿠터
US20010030404A1 (en) 2000-04-18 2001-10-18 Chieh-I Liu Shock absorber for a scooter
CN201457650U (zh) 2009-04-16 2010-05-12 黎象喜 用于助动车上的避震器
CN204021101U (zh) * 2014-09-09 2014-12-17 胡小华 一种弹跳滑板车
KR101520354B1 (ko) 2014-11-28 2015-05-21 (주)인간과기술 접이식 전동형 주행보드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358240A (fr) * 1929-02-18 1929-03-30 Perfectionnements aux patinettes
GB158616A (en) * 1919-10-31 1921-01-31 Gloucestershire Aircraft Compa Improvements in motor cycles, scooters and like vehicles
US2051762A (en) * 1935-08-06 1936-08-18 Vincent Joseph Scooter
US4152001A (en) * 1977-11-28 1979-05-01 Tony Christianson Skateboard truck
US4181316A (en) * 1978-05-12 1980-01-01 Stiebel Eltron Gmbh & Co. Kg Skate Board
US4398735A (en) * 1980-08-12 1983-08-16 D. Beam Solid state skate truck
US5707068A (en) * 1995-11-21 1998-01-13 Bradfield; Athol George In-line skateboard
NL1010504C1 (nl) * 1998-11-06 2000-05-09 Delft Thermoplastic Composites Torsiestijf U-vormig veerelement van een vezelversterkt thermoplastisch composietmateriaal.
US6347681B1 (en) * 1999-08-27 2002-02-19 Patmont Motor Werks Electrically integrated scooter with dual suspension and stowage mechanism
US6409190B1 (en) * 2000-02-21 2002-06-25 Shui-Te Tsai Front suspension device for a skate cart
GB2367792A (en) * 2000-10-10 2002-04-17 Tsai Shui Te Kick scooter with shock absorbing mechanism
US20020079662A1 (en) * 2000-12-21 2002-06-27 James Lee Brake/shock-absorber seat structure of handle-controlled skate board
US20020121756A1 (en) * 2001-02-21 2002-09-05 Chen Cheng Lai Scooter rear wheels provided with suspension mechanism
US20020148663A1 (en) * 2001-04-15 2002-10-17 Hui-Lung Chang Drive device of a motorized scooter
US20030024752A1 (en) * 2001-08-03 2003-02-06 Mayer Richard A. Wheelie scooter
US6634661B1 (en) * 2001-08-10 2003-10-21 Bill Huang Kick scooter shock absorbing structure
US20060061054A1 (en) * 2002-10-01 2006-03-23 Grossman Richard D Skateboard assembly with shock absorbing suspension system
US20040227317A1 (en) * 2003-05-14 2004-11-18 Cheng Kao Tsun Eccentric scooter having cushioning device
GB0411376D0 (en) * 2004-05-21 2004-06-23 Trw Ltd Suspension apparatus
US7513513B2 (en) * 2006-08-03 2009-04-07 Jae Hyun Hong Metal grip for T-bar
US8820763B2 (en) * 2007-03-15 2014-09-02 Mindworks Holdings Llc Device of human conveyance
US20110298194A1 (en) * 2010-06-02 2011-12-08 Sanchez Richard R Road Skeez
US20130300082A1 (en) * 2011-03-22 2013-11-14 Craig Swinney Push scooter with vertically active suspension
WO2013128437A1 (en) * 2012-02-13 2013-09-06 Zaid Amir Urban vehicle
DE102012009963A1 (de) * 2012-05-19 2013-11-21 Rpm Imatec Gmbh Fahrzeug
US20130320648A1 (en) * 2012-06-05 2013-12-05 Cameron Eckert Scooter
WO2014043450A1 (en) * 2012-09-14 2014-03-20 Bowboard, LLC Spiral gear system
CN105209331B (zh) * 2012-11-26 2018-10-12 格林瑞德有限公司 可折叠电动踏板车
TWM455636U (zh) * 2013-01-18 2013-06-21 Laing Ban Internat Inc 滑板車之後避震結構
CN106715254B (zh) * 2014-09-15 2019-05-31 睿能创意公司 车辆底盘、两轮车辆以及用于机动车辆的悬架
WO2016053351A1 (en) * 2014-10-03 2016-04-07 Ma Feiyu Dry land ski
US9321502B1 (en) * 2014-11-18 2016-04-26 Zhejiang Freedare Sports Equipment Co., Ltd. Concealed rear wheel suspension device for a scooter
CN204296995U (zh) * 2014-12-11 2015-04-29 东莞市泓美运动用品有限公司 一种新型双避震滑板车
FR3030436A1 (fr) * 2014-12-19 2016-06-24 Franck Livio Severino Grolleau Vehicule de type trottinette a pliage assiste
FR3037865B1 (fr) * 2015-06-25 2018-07-13 M-Otion Engineering Suspension de vehicule de type cycle, dotee d'un element elastique permettant l'obtention d'une courbe de compression statique optimale, element elastique optimise pour une telle suspension
KR101740038B1 (ko) * 2016-04-12 2017-06-08 신춘우 자전거 프레임
US10850783B2 (en) * 2016-09-27 2020-12-01 Armando Luis Cordero Foldable electric scooter and manufacture method of the same
WO2019032545A1 (en) * 2017-08-07 2019-02-14 Urban626, Llc FOLDING TROTTINETTE WITH TENSILE BODY
CN108528605B (zh) * 2018-02-05 2019-07-02 深圳市欣力通科技有限公司 一种减振装置、滑板车及车辆
CN207860371U (zh) * 2018-02-05 2018-09-14 深圳市欣力通科技有限公司 一种减振装置、滑板车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30404A1 (en) 2000-04-18 2001-10-18 Chieh-I Liu Shock absorber for a scooter
KR200202938Y1 (ko) * 2000-06-27 2000-11-15 주식회사오토엠아이티 바퀴에 완충장치를 구비한 스쿠터
CN201457650U (zh) 2009-04-16 2010-05-12 黎象喜 用于助动车上的避震器
CN204021101U (zh) * 2014-09-09 2014-12-17 胡小华 一种弹跳滑板车
KR101520354B1 (ko) 2014-11-28 2015-05-21 (주)인간과기술 접이식 전동형 주행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2007489QA (en) 2020-09-29
WO2019148881A1 (zh) 2019-08-08
KR20190002084U (ko) 2019-08-14
US10960953B2 (en) 2021-03-30
EP3763612A4 (en) 2022-04-06
US20190367124A1 (en) 2019-12-05
EP3763612A1 (en) 202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4205Y1 (ko)
CN103958923B (zh) 具有悬挂系统的车轮和具有悬挂系统的对中单元
WO2019148768A1 (zh) 一种减振装置、滑板车及车辆
US10053011B2 (en) Driving device of electric folding type side view mirror for a vehicle
JP2011174531A (ja) スプリングガイド及びクッションユニット
TWM452911U (zh) 自行車後上叉避震結構
JP2002067644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ブッシング
CN209818611U (zh) 减振器及滑板车
CN211519767U (zh) 一种滑板车的减震机构
CN202641344U (zh) 一种新型后拉杆悬置
KR20220095728A (ko) 퍼스널 모빌리티
CN114962517A (zh) 减震机构及车辆
TWM472651U (zh) 用於自行車之吸震座桿
CN109018153B (zh) 一种减振装置及滑板车
CN214698928U (zh) 减震机构及车辆
JP2006316864A (ja) ダンパ
KR102291663B1 (ko) 인휠모터를 구비한 토션 빔 액슬 리어 현가장치
JP2001063332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用金具
JP3204776U (ja) カバン用緩衝機能付きキャスター
CN218594489U (zh) 电动车用折叠下座减震铸件
CN106287119B (zh) 隔振型纯电动物流车驱动电机支撑架
JP5952882B2 (ja) カバン用緩衝機能付きキャスター
CN214043885U (zh) 一种电动车蓄电池的减震装置
KR102367960B1 (ko) 전동 바이크의 완충장치
CN220577449U (zh) 减震装置、车架结构以及平衡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