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851Y1 - 모노레일 차량의 윤활유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모노레일 차량의 윤활유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851Y1
KR200493851Y1 KR2020190004758U KR20190004758U KR200493851Y1 KR 200493851 Y1 KR200493851 Y1 KR 200493851Y1 KR 2020190004758 U KR2020190004758 U KR 2020190004758U KR 20190004758 U KR20190004758 U KR 20190004758U KR 200493851 Y1 KR200493851 Y1 KR 2004938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bricating oil
lubricant
oil supply
monorail vehicle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7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1222U (ko
Inventor
성부섭
Original Assignee
성부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부섭 filed Critical 성부섭
Priority to KR20201900047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851Y1/ko
Publication of KR202100012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2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8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8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3/00Wetting or lubricating rails or wheel flanges
    • B61K3/02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2Rack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4Monorail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8Type of gearings to be lubricated, cooled or 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9/00Special means in lubricating arrangements or systems providing for the indication or detection of undesired conditions; Use of devices responsive to conditions in lubricating arrangements or systems
    • F16N29/04Special means in lubricating arrangements or systems providing for the indication or detection of undesired conditions; Use of devices responsive to conditions in lubricating arrangements or systems enabling a warning to be given; enabling moving parts to be stop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10/00Applications
    • F16N2210/04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60/00Fail safe
    • F16N2260/02Indicating
    • F16N2260/04Oil lev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60/00Fail safe
    • F16N2260/02Indicating
    • F16N2260/12Indicating using warning 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노레일 차량의 윤활유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노레일 차량의 주행 중, 모노레일 차량 바퀴의 피니언 기어 하부에 구비된 윤활유 공급부에 담긴 윤활유를 피니언 기어와 레일의 렉크 기어 사이의 윤활유로 공급하는 윤활유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주행 중인 모노레일 차량의 바퀴와 레일 사이에 공급되는 윤활유가 레일 하부로 떨어지는 양을 줄임으로써 윤활유의 낭비를 최소화 할 뿐 아니라, 이로써 토양에 떨어지는 윤활유를 최소화하여 토양 오염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모노레일 차량의 윤활유 공급장치{Lubricant supplying apparatus for monorail vehicle}
본 고안은 모노레일 차량의 윤활유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노레일 차량의 주행 중, 모노레일 차량 바퀴의 피니언 기어 하부에 구비된 윤활유 공급부에 담긴 윤활유를 피니언 기어와 레일의 렉크 기어 사이의 윤활유로 공급하는 윤활유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노레일 차량의 주행 중 모노레일 차량 바퀴와 레일 사이의 윤활 기능을 위해, 종래에는 레일 위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윤활유가 레일 하부로 떨어지는 양이 많아 수시로 윤활유를 공급해주어야 할 뿐 아니라, 떨어진 윤활유에 의해 토양을 오염시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KR 10-1452932 B1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주행 중인 모노레일 차량의 바퀴와 레일 사이에 공급되는 윤활유가 레일 하부로 떨어지는 양을 줄임으로써 윤활유의 낭비를 최소화 할 뿐 아니라, 이로써 토양에 떨어지는 윤활유를 최소화하여 토양 오염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모노레일 차량의 윤활유 공급장치는, 모노레일 차량 바퀴의 피니언 기어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에 공급할 윤활유를 담는 윤활유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윤활유 공급부 상부는 개방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가 일정 깊이까지 삽입되어 상기 윤활유 공급부 내부의 윤활유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윤활유 공급부는, 상기 모노레일 차량이 최대로 기울어진 상황에서도 윤활유가 상기 윤활유 공급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형성되고, 상기 윤활유 공급부는, 주행중 윤활유의 유출을 최소화하도록 피니언 기어의 전후 및 외측면과 밀착되고, 윤활유 공급시 상기 모노레일 차량의 경사 주행시에도 넘치지 않을 정도의 윤활유만 공급되도록, 상기 피니언 기어의 외측면과 밀착되는 상기 윤활유 공급부의 외부 측면은, 아래로 오목한 형상을 이룬다.
삭제
상기 모노레일 차량의 윤활유 공급장치는, 상기 윤활유 공급부 내부의 윤활유의 양을 감지하는 윤활유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노레일 차량의 윤활유 공급장치는, 상기 윤활유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윤활유 공급부 내부의 윤활유 량이 기준량에 미달할 경우, 차량 계기판으로 경고 신호를 보내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노레일 차량의 윤활유 공급장치는, 상기 경고 신호를 확인한 관리자의 입력이 있을 경우, 자동으로 윤활유 보충을 수행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노레일 차량의 윤활유 공급장치는, 상기 윤활유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윤활유 공급부 내부의 윤활유 량이 기준량에 미달할 경우, 자동으로 윤활유 보충을 수행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노레일 차량의 윤활유 공급장치는, 윤활유를 상기 윤활유 공급부로 전달되기 위한 윤활유 공급 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노레일 차량의 윤활유 공급장치는, 상기 윤활유 공급 파이프와 연결되고, 상기 윤활유 공급부에 보충할 윤활유를 저장하는 윤활유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주행 중인 모노레일 차량의 바퀴와 레일 사이에 공급되는 윤활유가 레일 하부로 떨어지는 양을 줄임으로써 윤활유의 낭비를 최소화 할 뿐 아니라, 이로써 토양에 떨어지는 윤활유를 최소화하여 토양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모노레일 차량(100) 하부에 구비된 바퀴의 피니언 기어(pinion gear)(110)와, 본 고안의 윤활유 공급장치(300)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모노레일 차량(100) 하부에 구비된 바퀴의 피니언 기어(110)가 레일(200)의 래크 기어(rack gear)(210)와 맞물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모노레일 차량(100)이 수평의 레일(200)을 주행할 경우, 윤활유 공급장치(300) 내부의 윤활유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모노레일 차량(100)이 경사진 레일(200)을 주행할 경우, 윤활유 공급장치(300) 내부의 윤활유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모노레일 차량(100) 하부에 구비된 바퀴의 피니언 기어(pinion gear)(110)와, 본 고안의 윤활유 공급장치(3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모노레일 차량(100) 하부에 구비된 바퀴의 피니언 기어(110)가 레일(200)의 래크 기어(rack gear)(210)와 맞물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모노레일 차량(100)의 바퀴는, 주행 레일(200)을 운행하는 구동 바퀴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는 롤러(roller)(120) 및 피니언 기어(pinion gear)(110)를 구비하는데, 피니언 기어(110)는 레일(200) 하부에 형성된 래크 기어(rack gear)(210)와 맞물려 돌아간다. 도 2에는 편의상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도 1에는 본 고안의 윤활유 공급장치(300)가 도시되어 있다. 윤활유 공급장치는 윤활유 공급부(310)와 윤활유 공급 파이프(320)를 포함하는데, 윤활유 공급부(310)에는 일정 높이까지 윤활유가 채워져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의 모노레일 차량 바퀴 주변 구조는 동일하지 않으나, 본 고안의 윤활유 공급장치(300)에는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도 3은 모노레일 차량(100)이 수평의 레일(200)을 주행할 경우, 윤활유 공급장치(300) 내부의 윤활유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윤활유 공급부(310) 상부는 개방되어, 모노레일 차량 바퀴의 피니언 기어(110)가 윤활유 공급부(310) 상부로부터 일정 깊이까지 삽입되어 윤활유 공급부(310) 내부의 윤활유(330)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주행 중 피니언 기어(110)가 회전하면서, 윤활유(330)는 피니언 기어(110)와 접촉하는 레일(200)의 래크 기어(210)에도 묻혀지게 된다. 이로써 모노레일 차량의 원활한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윤활유를 레일 위에 직접 공급하게 됨으로써, 지면에 떨어지는 윤활유의 양이 많아 윤활유의 소모량이 많아질 뿐 아니라, 토양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과 같이 피니언 기어(110) 하부에 구비된 윤활유 공급부(310)의 윤활유를 사용할 경우, 피니언 기어(110)와 레일(200)의 래크 기어(210)의 접촉면은 항상 윤활유가 공급될 뿐만 아니라, 지면으로 떨어지는 윤활유의 양도 최소화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 경우 윤활유 공급부(310)에의 윤활유의 보충은, 관리자가 육안으로 확인 후 보충을 할 수도 있으나, 윤활유 공급장치(300)에 윤활유 감지 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윤활유가 기준량에 미달할 경우, 자동으로 윤활유 공급장치(300)의 제어장치가 작동하여 윤활유를 채우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윤활유 공급장치(300)의 제어장치가 차량 계기판에 윤활유 경고등을 켜주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경고등이 켜지면 관리자의 버튼 입력 등이 있을 경우 윤활유 공급장치(300)의 제어장치가 작동하여 윤활유가 윤활유 공급부(310)를 자동으로 채우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윤활유는 필요시 윤활유 공급 파이프(320)를 통하여 윤활유 공급부(310)로 채워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윤활유 공급 파이프(320)와 연결되어, 윤활유 공급 파이프(320)를 통해 윤활유 공급부(310)로 보충할 윤활유를 저장하고 있는 윤활유 저장부(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는 모노레일 차량(100)이 경사진 레일(200)을 주행할 경우, 윤활유 공급장치(300) 내부의 윤활유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와 같이 경사진 레일(200)을 주행하는 경우, 윤활유 공급장치(300)의 윤활유(330) 표면은 도 4와 같은 형태가 된다. 이 경우 윤활유(330)가 윤활유 공급부(310)에서 넘치지 않으려면, 일 실시예로서, 윤활유(330)를 담고 있는 윤활유 공급부(310) 내부의 최고점(311)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110)의 수평 중심선(10) 위치 또는 그 이상의 높이에 있어야 한다. 이러한 최고점(311) 높이는, 레일의 경사 상황, 피니언 기어 높이 또는 윤활유 공급부(310) 형태 등에 따라 약간 차이가 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레일(200)의 최대 경사진 구간에서도 윤활유(330)가 넘치지 않도록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10: 모노레일 차량 바퀴의 수평 중심선
100: 모노레일 차량
110: 모노레일 차량 바퀴의 피니언 기어(pinion gear)
120: 모노레일 차량 바퀴의 롤러
200: 레일
210: 레일의 래크 기어(rack gear)
300: 모노레일 차량의 윤활유 공급장치
310: 윤활유 공급부
311: 윤활유 공급부 최고점
320: 윤활유 공급 파이프
330: 윤활유

Claims (8)

  1. 모노레일 차량의 윤활유 공급장치로서,
    모노레일 차량 바퀴의 피니언 기어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에 공급할 윤활유를 담는 윤활유 공급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윤활유 공급부 상부는 개방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가 일정 깊이까지 삽입되어 상기 윤활유 공급부 내부의 윤활유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윤활유 공급부는,
    상기 모노레일 차량이 최대로 기울어진 상황에서도 윤활유가 상기 윤활유 공급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형성되고,
    상기 윤활유 공급부는,
    주행중 윤활유의 유출을 최소화하도록 피니언 기어의 전후 및 외측면과 밀착되고,
    윤활유 공급시 상기 모노레일 차량의 경사 주행시에도 넘치지 않을 정도의 윤활유만 공급되도록, 상기 피니언 기어의 외측면과 밀착되는 상기 윤활유 공급부의 외부 측면은, 아래로 오목한 형상을 이루는,
    모노레일 차량의 윤활유 공급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공급부 내부의 윤활유의 양을 감지하는 윤활유 감지 센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 차량의 윤활유 공급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윤활유 공급부 내부의 윤활유 량이 기준량에 미달할 경우, 차량 계기판으로 경고 신호를 보내는 제어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 차량의 윤활유 공급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경고 신호를 확인한 관리자의 입력이 있을 경우, 자동으로 윤활유 보충을 수행하는 제어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 차량의 윤활유 공급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윤활유 공급부 내부의 윤활유 량이 기준량에 미달할 경우, 자동으로 윤활유 보충을 수행하는 제어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 차량의 윤활유 공급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윤활유를 상기 윤활유 공급부로 전달되기 위한 윤활유 공급 파이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 차량의 윤활유 공급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공급 파이프와 연결되고, 상기 윤활유 공급부에 보충할 윤활유를 저장하는 윤활유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 차량의 윤활유 공급장치.
KR2020190004758U 2019-11-25 2019-11-25 모노레일 차량의 윤활유 공급장치 KR2004938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758U KR200493851Y1 (ko) 2019-11-25 2019-11-25 모노레일 차량의 윤활유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758U KR200493851Y1 (ko) 2019-11-25 2019-11-25 모노레일 차량의 윤활유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222U KR20210001222U (ko) 2021-06-02
KR200493851Y1 true KR200493851Y1 (ko) 2021-06-15

Family

ID=76376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758U KR200493851Y1 (ko) 2019-11-25 2019-11-25 모노레일 차량의 윤활유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851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502B1 (ko) * 2014-09-15 2015-05-21 (주)운창메카텍 소음저감을 위한 철도레일용 도유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0260Y1 (ko) * 1979-03-09 1980-03-10 김정현 현미기의 급유장치
JP2587551Y2 (ja) * 1993-05-14 1998-12-16 藤井電工株式会社 単軌条運搬機の軌条塗油装置
KR101452932B1 (ko) 2013-06-17 2014-10-22 우성이엠씨(주) 퍼스널 모노레일의 구동롤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502B1 (ko) * 2014-09-15 2015-05-21 (주)운창메카텍 소음저감을 위한 철도레일용 도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222U (ko) 202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92142B1 (en) Vehicle power transfer unit (ptu) with oil feed passage
KR200493851Y1 (ko) 모노레일 차량의 윤활유 공급장치
FR2769275A1 (fr) Dispositif d'alimentation de securite pour circuit hydraulique double
US5409138A (en) Liquid supply device
KR101522502B1 (ko) 소음저감을 위한 철도레일용 도유장치
EP1821003A1 (en) Oil level adjuster
JP4303902B2 (ja) 燃料タンク
KR102040750B1 (ko) 추가 저장 용적을 가지는 연료 탱크
JP2002145062A (ja) レールと車輪間への給液装置及び給液方法
KR101903618B1 (ko) 기어박스 윤활장치
CN104276236B (zh) 油箱及其摩托车
JPH0658392A (ja) トランスファギヤの潤滑装置
KR20180060630A (ko) 자동 주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주유 방법
JP2008075528A (ja) 二輪車における燃料供給装置の取付け構造
EP1813510A2 (de) Lenkverfahren zur Vermeidung eines Umkippens eines Fahrzeugs
CN219409239U (zh) 一种润滑油灌装机
CN202832702U (zh) 带有挡油板的油底壳
US9689734B2 (en) Splash shield for a fluid containment system of a vehicle
JP2020029909A (ja) リーチ式フォークリフト
JPS6227371Y2 (ko)
KR101362825B1 (ko) 지피에스 수신기의 동선에 의한 수치지도의 수치정보를 보정하는 수치정보 시스템
US9605569B1 (en) Closed-loop oil-transfer system for a vehicle
JPH0716054U (ja) ギヤケーシング
KR101349394B1 (ko) 지피에스 좌표의 보정을 통한 수치지도의 제작시스템
RU158453U1 (ru) Система топливных баков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