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9394B1 - 지피에스 좌표의 보정을 통한 수치지도의 제작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피에스 좌표의 보정을 통한 수치지도의 제작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9394B1
KR101349394B1 KR1020130078365A KR20130078365A KR101349394B1 KR 101349394 B1 KR101349394 B1 KR 101349394B1 KR 1020130078365 A KR1020130078365 A KR 1020130078365A KR 20130078365 A KR20130078365 A KR 20130078365A KR 101349394 B1 KR101349394 B1 KR 101349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bricant
guide
camera
discharge hole
screw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8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헌
Original Assignee
명화지리정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화지리정보(주) filed Critical 명화지리정보(주)
Priority to KR1020130078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3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02Picture tak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mmetry or photographic surveying, e.g. controlling overlapping of pi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7/00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피에스 좌표의 보정을 통한 수치지도의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의 상하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수치정보를 획득하기가 용이하며, 촬영작업시 촬영보조장치에 윤활제를 용이하게 공급함으로써, 촬영보조장치가 원활히 작동하도록 하고, 촬영보조장치의 유지가 용이하도록 개선된 지피에스 좌표의 보정을 통한 수치지도의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류축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공급되는 윤활유의 안정적인 공급과 함께 공급 윤활유의 낭비를 막고, 과량 공급시 이를 신속히 배출하여 제거함으로서 고착에 따른 스크류축의 구동 정지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피에스 좌표의 보정을 통한 수치지도의 제작시스템{SYSTEM FOR MAKING NUMERICAL MAP WITH AMENDING COORDINATE OF GPS}
본 발명은 지피에스 좌표의 보정을 통한 수치지도의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의 상하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수치정보를 획득하기 용이하며, 촬영작업시 촬영보조장치에 윤활제를 간편하게 공급함으로써 촬영보조장치가 원활히 작동하도록 하고 촬영보조장치의 유지가 용이하도록 개선된 지피에스 좌표의 보정을 통한 수치지도의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한 수치지도는 항공촬영과 지상촬영을 통해 수집한 이미지로부터 제작되고, 이렇게 수집된 이미지는 이웃하는 이미지들 간의 상호 연결을 통해 완전한 일체의 이미지로 완성되어 온라인 전용 영상정보 수치지도로 완성되고, 이러한 수치지도에는 다양한 GIS정보가 저장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지상촬영에 있어, 한번 촬영 후에 해당 지역에 대한 영상정보를 업데이트 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주기적으로 해당 지역을 방문하고, 해당 지역의 지형지물에 어떤 변화가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하여, 변화된 지형 지물을 촬영함으로써, 수정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통해 수치지도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상기 카메라의 촬영위치를 한정되어 있어, 다양한 위치에서 촬영을 시도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정확한 수치지도 정보를 획득하기가 어려웠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일환의 종래기술로 특허 등록 제10-1017398호(2011.02.17.) "지형, 지물의 지피에스 좌표가 적용된 수치지도 보정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카메라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정확한 수치지도 정보를 획득하여 정보 보정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등록특허의 경우 이동판의 단부와 가이드의 내벽 사이를 통해 누설된 윤활유가 이동판 하부의 가이드 내부에 잔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이러한 누설은 윤활유의 원활한 공급을 저해하므로 결국 효율이 떨어지고 불필요한 윤활유 낭비를 발생시키는 단점이 파생되었다.
특히, 스크류축으로 윤활유가 과량공급될 경우에는 스크류축이 설치된 하우징의 내부 공간이 오염되고, 오랜시간 지속될 경우 윤활유가 굳어 스크류축의 원활한 회전을 방해하는 단점도 파생되었다.
특허 등록 제10-1017398호(2011.02.17.) "지형, 지물의 지피에스 좌표가 적용된 수치지도 보정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스크류축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공급되는 윤활유의 안정적인 공급과 함께 공급 윤활유의 낭비를 막고, 과량 공급시 이를 신속히 배출하여 제거함으로서 고착에 따른 스크류축의 구동 정지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지피에스 좌표의 보정을 통한 수치지도의 제작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카메라(200)가 설치되는 촬영보조장치(100); 촬영보조장치(100)에 설치되어,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카메라(200); 촬영보조장치(100)에 설치되는 GPS수신기(300); 촬영보조장치(100)에 설치되어, 카메라(200)의 촬영정보 및 GPS수신기(300)의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송신기(400); 촬영보조장치(100)·카메라(200)·GPS수신기(300)·송신기(400)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500); 제어유닛(50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유닛(600)을 갖춘 수치정보수집장치(A)와: 송신기(400)로부터 촬영정보 및 촬영지역 위치정보를 수신하며, 획득된 촬영정보와 기존의 촬영정보를 비교하여, 촬영지역의 수치지도 정보를 보정하는 보정서버(B)를 포함하는 수치지도 보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촬영보조장치(100)는, 상방 및 전방으로 개구된 가이드홈(111a1)이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승강장치설치부(111)가 전면에 구비된 차량(110); 내부에 윤활제수용공간(121a)이 형성되고, 측부에 윤활제수용공간(121a)을 개구하는 윤활제방출홀(121b)이 구비되며, 윤활제방출홀(121b)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도록 삽입홀(121c)이 형성되는 한편, 일단이 승강장치설치부(111)에 내설되고 타단이 차량(110) 상부로 돌출되는 가이드(121); 일단이 승강장치설치부(111)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고 타단이 차량(110) 상부로 돌출되는 스크류축(122); 차량(110)에 내설되며, 수치정보수집장치(A)의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스크류축(122)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123); 가이드(121)의 윤활제수용공간(121a)에 수용된 윤활제가 스크류축(122)으로 이동하도록 경사진 윤활제이동홈(124a)이 상면에 형성되는 한편, 일단이 가이드(121)를 상하이동가능하게 감싸고, 타단이 스크류축(122)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스크류축(122)을 따라 상하이동하며, 카메라(200)가 설치되는 카메라설치기구(124)를 갖춘 카메라승강장치(120)와: 카메라승강장치(120)의 가이드(121)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내설되며 가이드(121)의 윤활제방출홀(121b) 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카메라승강장치(120)의 윤활제수용공간(121a)에 배치되는 이동판(131); 카메라승강장치(120)의 가이드(121)에 내설되어 이동판(131)을 상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유지장치스프링(132)을 갖춘 윤활제위치유지장치(130)와: 카메라승강장치(120)의 가이드(121)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면이 라운드지고, 가이드(121)의 윤활제방출홀(121b)을 관통해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면서 윤활제방출홀(121b)을 개폐하도록 가이드(121)에 내설되는 돌출부(141a)와, 일단이 돌출부(141a)로부터 연장되며 스프링수용홈(141b1)이 형성되도록 'ㄱ'자 형상을 이뤄 타단이 가이드(121)의 삽입홈(121c)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141b)를 갖춘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141); 스프링수용홈(141b1)에 수용되어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141)를 외측으로 탄발지지하는 개폐장치스프링(142)을 갖춘 윤활제방출홀개폐장치(140)와: 가이드(121)의 윤활제수용공간(121a)을 개폐하도록 가이드(121)에 설치되는 밸브(150)를 갖추고, 상기 승강장치설치부(111)의 내부 바닥면에는 제어유닛(500)과 연결된 윤활유펌프(800)를 더 구비하며; 상기 윤활유펌프(800)의 흡입단에는 상기 가이드(121)의 하단과 연통되는 흡입관(810)이 배관되고; 상기 윤활유펌프(800)의 배출단에는 상기 가이드(121)의 상단과 연통되는 배출관(820)이 배관되며; 상기 배출관(820)의 길이 일부에는 체크밸브(830)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121)의 하단부 내벽면에는 제어유닛(500)과 연결된 유위감지센서(840)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121)의 길이 중간 내벽면에는 제어유닛(500)과 연결된 이동판(131) 감지용 근접센서(850)가 설치되어, 유위감지센서(840)와 근접센서(850)가 모두 감지신호를 송신했을 때만 상기 제어유닛(500)이 상기 윤활유펌프(800)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승강장치설치부(111)의 바닥면에는 드레인홀(860)이 천공 형성되며; 상기 드레인홀(860)의 하부에는 낙하되는 윤활유를 받아 수납하는 저유용기(87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피에스 좌표의 보정을 통한 수치지도의 제작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류축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공급되는 윤활유의 안정적인 공급과 함께 공급 윤활유의 낭비를 막고, 과량 공급시 이를 신속히 배출하여 제거함으로서 고착에 따른 스크류축의 구동 정지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치보정시스템의 전기적 연결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보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촬영보조장치의 전방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부분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W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5의 X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4의 Y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4의 Z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5의 B-B선 부분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치보정시스템의 작용을 나타낸 작용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윤활유 낭비와 고착을 방지하기 위해 추가된 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017398호를 그대로 이용한다. 때문에,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017398호에 기재된 사항들이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017398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윤활유의 원활한 공급과 낭비를 막도록 개선한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017398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수치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수치정보수집장치(A)와, 수치지도 정보를 보정하는 보정서버(B)를 포함한다.
상기 수치정보수집장치(A)는, 촬영을 하기 위한 촬영보조장치(100)와,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카메라(200)와, 촬영지역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GPS수신기(300)와, 수치정보를 송출하는 송신기(400)와, 촬영장치보조장치(100)·카메라(200)·GPS수신기(300)·송신기(400)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500)과, 제어유닛(50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유닛(600)을 갖춘다.
상기 촬영보조장치(100)는 차량(110)과, 카메라(200)를 승강하는 승강장치(120)와, 승강장치(120)에 수용된 윤활제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윤활제위치유지장치(130)와, 승강장치(120)에 수용된 윤활제의 흐름을 제어하는 윤활제방출홀개폐장치(140)와, 윤활제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150)를 갖춘다.
상기 차량(110)은 도로를 주행하는 일반적인 차량으로서, 전방에 승강장치설치부(111) 및 구동장치설치부(112)가 구비된다.
상기 승강장치설치부(111)는 전방에 수용공간(111a)가 형성된다. 이때 수용공간(111a)은 상방 및 전방으로 개구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111a1)과, 가이드홈(111a1)과 연통되어 후방으로 형성되며 가이드홈(111a1) 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수용홈(111a2)을 갖춘다.
상기 구동장치설치부(112)는, 구동장치설치공간(112a)이 형성되도록 승강장치설치부(111)의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게 구비된다.
상기 카메라승강장치(120)는, 카메라설치기구(124)가 안내되며 윤활제가 수용되는 가이드(121)와, 카메라설치기구(124)가 구동력을 전달받는 스크류축(122)과, 스크류축(122)이 회전력을 제공받는 구동장치(123)와, 카메라(200)가 이동되며 윤활제가 스크류축(122)으로 이동되는 카메라설치기구(124)를 갖춘다.
상기 가이드(121)는, 긴 바 형상을 가지고서 승강장치설치부(111)에 내설되어, 승강장치설치부(111)의 수용홈(111a2)에 배치되며, 상단이 수용홈(111a2)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121)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윤활제가 수용되는 윤활제수용공간(121a)과, 스크류축(122)와 마주보도록 측부에 형성되고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되어 윤활제수용공간(121a)와 연통되며 윤활제수용공간(121a)에 수용된 윤활제를 외부로 방출하는 윤활제방출홀(121b)과, 내부 측부에 각각 형성되어 윤활제방출홀(121b)의 상하 구비되는 한 쌍의 삽입홈(121c)과, 상부 측부에 형성되며 윤활제수용공간(121a)와 연통되어 윤활제수용공간(121a)으로 윤활제를 공급하는 윤활제공급홀(121d)을 갖춘다. 이때 윤활제방출홀(121b)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윤활제는, 가이드(121) 및 스크류축(122)과 접촉하여, 카메라설치기구(124)가 가이드(121) 및 스크류축(122)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하게 하기 위한 통상의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스크류축(122)은, 가이드(121)와 나란하게 승강장치설치부(111)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어, 승강장치설치부(111)의 수용홈(111a2)에 배치된다. 이때 스크류축(122)은, 상단이 수용홈(111a2) 외부로 노출되고, 하단이 승강장치설치부(111)의 하부를 관통하여 구동장치설치부(112)의 구동장치설치공간(112a)으로 노출된다.
상기 구동장치(123)는 구동장치설치부(112)에 설치되며,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스크류축(122)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구동장치(123)는 구동장치설치부(112)에 설치되는 케이스(C)에 내설되며, 케이스(C)에 안착되는 스크류축(122)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구동장치(123)는 통상의 모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설치기구(124)는, 일단이 가이드(121)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타단이 스크류축(122)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스크류축(122)을 따라 상하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설치기구(124)는 상면에 하방으로 경사진 윤활제이동홈(124a)가 형성되며, 윤활제이동홈(124a)은 일측이 윤활제수용공간(121a)와 연통되고 타단이 스크류축(122)과 카메라설치기구(124)의 연결부와 연통되어, 윤활제수용공간(121a)에 수용된 윤활제가 스크류축(122)과 카메라설치기구(124)의 연결부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윤활제위치유지장치(130)는 윤활제를 떠받치는 이동판(131)과, 이동판(131)을 상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유지장치스프링(132)를 갖춘다.
상기 이동판(131)은, 가이드(121)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내설되며, 윤활제방출홀(121b) 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윤활제수용공간(121a)에 배치된다.
상기 유지장치스프링(132)은, 가이드(121)에 내설되며, 이동판(131)을 상방으로 탄발지지하여, 이동판(131)이 최초위치로 복원하도록 한다.
상기 윤활제방출홀개폐장치(140)는, 윤활제방출홀(121b)를 개폐하는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141)와, 윤활제방출홀(141)을 탄발지지하는 개폐장치스프링(142)을 갖춘다.
상기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141)는 가이드(121)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면이 라운드지고 가이드(121)의 윤활제방출홀(121b)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도록 가이드(121)에 내설되는 돌출부(141a)와, 일단이 돌출부(141a)로부터 연장되며 스프링수용홈(141b1)이 형성되도록 꺽쇠형상을 이뤄 타단이 가이드(121)의 삽입홈(121c)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141b)를 갖춘다.
상기 개폐장치스프링(142)은, 스프링수용홈(141b1)에 수용되어,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141)를 외측으로 탄발지지하여,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141)의 돌출부(141a)가 가이드(121)이 윤활제공급홀(121d)을 밀폐하도록 한다.
상기 밸브(150)는 가이드(121)의 상부에 설치되어, 윤활제공급홀(121d)을 개폐한다. 본 실시예에서 밸브(150)는 제어유닛(15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자동식이 적용되지만, 수동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200)는 카메라승강장치(120)의 카메라설치기구(124)에 설치되어, 승강장치설치부(111)의 가이드홈(111a1) 전방에 위치되며,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제어된다. 이때 카메라(200)는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통상의 것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200)는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된 설치보조기구(210)가 구비되며, 설치보조기구(210)는 카메라승강장치(120)의 카메라설치기구(124)에 설치되어, 승강장치설치부(111)의 가이드홈(111a1)를 따라 이동한다.
상기 GPS수신기(300)는 촬영보조장치(100)의 차량(100)에 설치되어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제어되며, 촬영지역의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GPS수신기(300)는 GPS인공위성(미도시)으로부터의 위치정보를 통해 촬영보조장치(100)의 현재위치정보를 획득하는 통상의 것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송신기(400)는 차량(110)에 설치되며,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카메라(200)의 촬영정보 및 GPS수신기(300)의 위치정보를 보정서버(B)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유닛(400)은 차량(110)에 설치되어, 구동장치(123)·밸브(150)·카메라(200)·GPS수신기(300)·송신기(400)를 작동제어하며, 카메라(200)로부터의 촬영정보 및 GPS수신기(300)로부터의 위치정보를 송신기(400)를 매개로 보정서버(B)로 출력한다.
상기 입력유닛(600)은 차량(100)에 설치되며, 제어유닛(50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제어유닛(500)이 각각의 전기적 구성요소를 작동제어하도록 한다.
상기 보정서버(B)는 차량(110)에 설치되며, 송신기(400)로부터 촬영정보 및 촬영지역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촬영지역에 따른 획득된 촬영정보와 기존의 촬영정보를 비교하여, 촬영지역의 수치정보를 보정한다. 이때 보정서버(B)는 수치정보를 수신하여 기존의 수치정보를 보정하는 통상의 것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 로 한다.
도 1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보정시스템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1 내지 도 1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작업자는, 입력유닛(600)을 매개로 제어유닛(50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촬영보조장치(100)의 밸브(150)를 개방하고, 별도의 윤활제공급장치(미도시)를 통해 가이드(121)의 윤활제수용공간(121a)에 윤활제를 주입한다.
그러면 상기 윤활제는 가이드(121)의 윤활제수용공간(121a)에 주입되면서, 윤활제 주입압에 의해 윤활제위치유지장치(130)의 이동판(131)이 하방으로 이동하고, 이후 촬영보조장치(100)의 밸브(150)가 잠겨지면, 도 11과 같이 윤활제가 가이드(121)의 윤활제수용공간(121a)에 수용된다.
한편 상기 작업자는 촬영보조장치(100)의 차량(110)을 촬영이 필요한 작업위치에 위치시킨다.
이후 상기 작업자는 입력유닛(600)을 매개로 촬영보조장치(100)의 제어유닛(150)에 신호를 입력하여 카메라승강장치(120)의 구동장치(123)를 동작시킨다.
그러면 상기 카메라승강장치(120)의 스크류축(122)이 회전을 하고, 스크류축(122)의 회전력은 카메라승강장치(120)의 카메라설치기구(124)로 전달되어, 카메라설치기구(124)가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승강장치(120)의 카메라설치기구(124)는 저면은 도 12와 같이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141)의 돌출부(141a)의 선단과 맞닿고, 돌출부(141a)는 카메라설치기구(124)의 가압력에 의해 가이드(121)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141)의 돌출부(141a)가 가이드(121)의 내측으로 이동하면, 돌출부(141a)가 가이드(121)의 윤활제방출홀(121b)를 개방하고, 가이드(121)의 윤활제수용공간(121a)에 수용된 윤활제가 윤활제방출홀(121b)을 통해 방출되어, 도 13과 같이 된다.
이때 상기 윤활제는 가이드(121)의 외면과 카메라설치기구(124) 사이로 스며들어, 카메라설치기구(124)가 가이드(121)를 따라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윤활기능을 한다.
계속해서 상기 카메라설치기구(124)가 하강하면, 카메라설치기구(124)의 윤활제이동홈(124a)은 가이드(121)의 윤활제방출홀(121b)과 연통되어, 윤활제방출홀(121b)로부터의 윤활제가 윤활제이동홈(124a)로 이동하여, 도 14와 같이 윤활제가 스크류축(122)과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축(122)이 회전할 시 윤활제가 스크류축(122)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윤활제가 소비되면, 윤활제의 위치는 하방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이때 윤활제의 소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 윤활제의 위치가 가이드(121)의 윤활제방출홀(121b) 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윤활제는 가이드(121)의 윤활제방출홀(121b)로 방출될 수 없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윤활제가 소비되면, 윤활제위치유지장치(130)의 유지장치스프링(132)의 복원력에 의해 윤활제위치유지장치(130)의 이동판(131)이 윤활제 소비에 따라 생긴 공간만큼 윤활제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도 15와 같이 윤활제의 위치가 원래대로 항상 유지된다.
한편 상기 작업자는 입력유닛(600)을 매개로 구동장치(123)를 동작하여, 도 16과 같이 카메라(200)를 촬영하고자 하는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작업자는 입력유닛(600)을 매개로 제어유닛(50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카메라(200) 및 GPS수신기(300)를 작동시킨다.
상기 카메라(200)가 촬영을 시작하면, 제어유닛(500)은 카메라(200)로부터 촬영정보를 수신하고, GPS수신기(300)로부터 촬영지역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촬영지역에 대한 촬영정보 및 위치정보를 송신기(400)를 매개로 보정서버(B)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보정서버(B)는 촬영지역에 대한 촬영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통해 촬영지역으로부터 획득된 촬영정보와 기존의 촬영정보를 비교하여, 촬영정보에 변화가 발생하였을 경우, 기존의 촬영정보를 새로 획득된 촬영정보로 보정한다.
이때 상기 작업자는 위치를 이동하면서 촬영하여야 할 시, 차량(110)을 운행하여, 촬영하고자 하는 길을 따라 이동하면서 촬영지역을 촬영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보정시스템은, 카메라(200)의 상하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수치정보를 획득하기가 용이하며, 촬영작업시 촬영보조장치(100)에 윤활제를 용이하게 공급함으로써, 촬영보조장치(100)가 원활히 작동하도록 하고, 촬영보조장치(100)의 유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판(131)이 가이드(121)를 따라 승하강될 때 가이드(121)의 반경방향을 따라 발생되는 누유 현상에 적극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하고 정확한 윤활유 공급 구조를 갖춰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나아가, 윤활유 공급시 스크류축(122)에서 발생되는 과유에 따른 흘러내림, 흘러내림에 의한 바닥고임과 바닥고임의 장기화에 따른 고착의 문제로 스크류축(122)의 회전불량 현상 유발 등을 원천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더 갖춤으로써 상술한 시스템을 더욱 보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축(122)과 가이드(121)가 설치된 승강장치설치부(111)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된 윤활유펌프(800)를 포함한다.
상기 윤활유펌프(800)는 소형 펌프로서, 윤활유를 퍼올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양정수단이다.
이때, 상기 윤활유펌프(800)의 공급단에는 흡입관(810)이 연결되는데, 상기 흡입관(810)은 상기 가이드(121)의 하단을 관통하여 내부와 연통되게 구비된다.
다시 말해, 상기 흡입관(810)은 반드시 상기 이동판(131) 보다 아래에 위치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윤활유펌프(800)의 배출단에는 배출관(820)이 연결되는데, 상기 배출관(820)은 가이드(121)의 외측에서 가이드(121)의 길이방향으로 상향 연장된 다음 가이드(121)의 상단부, 더 정확하게는 윤활제방출홀(121b) 보다 아래에 위치되게 가이드(121)를 관통하여 내부와 연통되게 배관된다.
이 경우, 상기 흡입관(810)과 배출관(820)은 모두 플렉시블관으로 구성하여야 동작의 원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배출관(820) 상에는 일방향으로만 개방되고 반대방향으로는 폐쇄하는 체크밸브(830)가 설치되어 배출관(820)을 통해 배출된 윤활유가 역류되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윤활유펌프(800)는 제어유닛(500)과 연결되어 구동제어되는데, 무작정 구동되면 비효율적이므로 두 개의 센서에 의한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되도록 제어된다.
즉, 상기 가이드(121)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의 위치의 내벽면에는 유위감지센서(840)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유닛(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유위감지센서(840)는 수위감지센서처럼 윤활유의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공지된 센서이며, 이동판(131)의 둘레에서 누설된 윤활유가 바닥면에 모여 일정량 이상이 되면 이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121)의 상하 길이 중간지점의 내벽면에는 근접센서(850)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유닛(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근접센서(850)는 상기 이동판(131)의 접근 유무를 검출하여 제어유닛(500)으로 신호를 송출하는 센서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500)은 상기 두 개의 센서가 앤드(AND) 조합일 때에만 상기 윤활유펌프(800)를 구동하도록 구성되며, 윤활유펌프(800) 구동 후 유위감지센서(840)의 검출신호가 해제되면 그때 윤활유펌프(800)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된다.
다시 말해, 유위감지센서(840)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고, 다시 근접센서(850)로부터 이동판(131)의 접근이 감지될 때만 윤활유펌프(800)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데, 이는 초기 윤활유가 공급되어 집유되어 있을 때에는 윤활유가 바닥까지 충만한 상태여서 이때도 펌프가 동작되어 버린다면 무의미하기 때문에 이동판(131)의 위치를 감지신호의 또다른 기준으로 설정하여 오동작이나 불필요한 동작을 미리 차단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윤활유가 스크류축(122)으로 공급되면서 그 양이 줄어들게 되면 무게가 가벼워져 유지장치스프링(132)의 탄성계수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그러면 이동판(131)은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면서 윤활유는 점점 줄어들고, 보충시기까지 점점 더 상승하게 되는데, 이러한 동작 중에 누유가 발생하여 가이드(121)의 바닥면에 모이게 되면 이것은 윤활유가 공급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바닥면에 윤활유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누유로 판정하고 제어유닛(500)은 즉시 윤활유펌프(800)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고여있던 윤활유는 펌핑되어 이동판(131)의 상측으로 이동되므로 재활용이 가능하고, 하부에 고여 있던 윤활유를 쉽고 빠르게 자동 제거할 수 있게 되어 낭비나 효율저하를 막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여러가지 사유로 인하여 윤활유가 스크류축(122)으로 과량 공급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과량 공급된 윤활유는 스크류축(122)을 타고 흘러내려 승강장치설치부(111)의 내부 바닥면에 고이게 된다.
그런데, 이렇게 고인 윤활유가 시간이 흐를 수록 경화되면서 고착되게 되므로 스크류축(122)의 회전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에서는 승강장치설치부(111)의 바닥면에 드레인홀(860)을 형성하고, 상기 드레인홀(860)의 하부에는 저유용기(870)를 구비하되, 넣고 뺄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일정량의 윤활유가 채워지면 빼내서 버리거나 재활용하고 다시 넣어 흘러내리는 윤활유를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윤활유가 잔류하면서 고착되는 일이 없어 스크류축(122)의 원활한 구동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A; 수치정보수집장치 B; 보정서버
100; 촬영보조장치 200; 카메라
300; GPS수신기 400; 송신기
500; 제어유닛 600; 입력유닛

Claims (1)

  1. 카메라(200)가 설치되는 촬영보조장치(100); 촬영보조장치(100)에 설치되어,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카메라(200); 촬영보조장치(100)에 설치되는 GPS수신기(300); 촬영보조장치(100)에 설치되어, 카메라(200)의 촬영정보 및 GPS수신기(300)의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송신기(400); 촬영보조장치(100)·카메라(200)·GPS수신기(300)·송신기(400)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500); 제어유닛(50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유닛(600)을 갖춘 수치정보수집장치(A)와: 송신기(400)로부터 촬영정보 및 촬영지역 위치정보를 수신하며, 획득된 촬영정보와 기존의 촬영정보를 비교하여, 촬영지역의 수치지도 정보를 보정하는 보정서버(B)를 포함하는 수치지도 보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촬영보조장치(100)는, 상방 및 전방으로 개구된 가이드홈(111a1)이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승강장치설치부(111)가 전면에 구비된 차량(110); 내부에 윤활제수용공간(121a)이 형성되고, 측부에 윤활제수용공간(121a)을 개구하는 윤활제방출홀(121b)이 구비되며, 윤활제방출홀(121b)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도록 삽입홀(121c)이 형성되는 한편, 일단이 승강장치설치부(111)에 내설되고 타단이 차량(110) 상부로 돌출되는 가이드(121); 일단이 승강장치설치부(111)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고 타단이 차량(110) 상부로 돌출되는 스크류축(122); 차량(110)에 내설되며, 수치정보수집장치(A)의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스크류축(122)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123); 가이드(121)의 윤활제수용공간(121a)에 수용된 윤활제가 스크류축(122)으로 이동하도록 경사진 윤활제이동홈(124a)이 상면에 형성되는 한편, 일단이 가이드(121)를 상하이동가능하게 감싸고, 타단이 스크류축(122)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스크류축(122)을 따라 상하이동하며, 카메라(200)가 설치되는 카메라설치기구(124)를 갖춘 카메라승강장치(120)와: 카메라승강장치(120)의 가이드(121)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내설되며 가이드(121)의 윤활제방출홀(121b) 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카메라승강장치(120)의 윤활제수용공간(121a)에 배치되는 이동판(131); 카메라승강장치(120)의 가이드(121)에 내설되어 이동판(131)을 상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유지장치스프링(132)을 갖춘 윤활제위치유지장치(130)와: 카메라승강장치(120)의 가이드(121)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면이 라운드지고, 가이드(121)의 윤활제방출홀(121b)을 관통해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면서 윤활제방출홀(121b)을 개폐하도록 가이드(121)에 내설되는 돌출부(141a)와, 일단이 돌출부(141a)로부터 연장되며 스프링수용홈(141b1)이 형성되도록 'ㄱ'자 형상을 이뤄 타단이 가이드(121)의 삽입홈(121c)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141b)를 갖춘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141); 스프링수용홈(141b1)에 수용되어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141)를 외측으로 탄발지지하는 개폐장치스프링(142)을 갖춘 윤활제방출홀개폐장치(140)와: 가이드(121)의 윤활제수용공간(121a)을 개폐하도록 가이드(121)에 설치되는 밸브(150)를 갖추고,
    상기 승강장치설치부(111)의 내부 바닥면에는 제어유닛(500)과 연결된 윤활유펌프(800)를 더 구비하며;
    상기 윤활유펌프(800)의 흡입단에는 상기 가이드(121)의 하단과 연통되는 흡입관(810)이 배관되고;
    상기 윤활유펌프(800)의 배출단에는 상기 가이드(121)의 상단과 연통되는 배출관(820)이 배관되며;
    상기 배출관(820)의 길이 일부에는 체크밸브(830)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121)의 하단부 내벽면에는 제어유닛(500)과 연결된 유위감지센서(840)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121)의 길이 중간 내벽면에는 제어유닛(500)과 연결된 이동판(131) 감지용 근접센서(850)가 설치되어, 유위감지센서(840)와 근접센서(850)가 모두 감지신호를 송신했을 때만 상기 제어유닛(500)이 상기 윤활유펌프(800)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승강장치설치부(111)의 바닥면에는 드레인홀(860)이 천공 형성되며;
    상기 드레인홀(860)의 하부에는 낙하되는 윤활유를 받아 수납하는 저유용기(87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피에스 좌표의 보정을 통한 수치지도의 제작시스템.
KR1020130078365A 2013-07-04 2013-07-04 지피에스 좌표의 보정을 통한 수치지도의 제작시스템 KR101349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365A KR101349394B1 (ko) 2013-07-04 2013-07-04 지피에스 좌표의 보정을 통한 수치지도의 제작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365A KR101349394B1 (ko) 2013-07-04 2013-07-04 지피에스 좌표의 보정을 통한 수치지도의 제작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9394B1 true KR101349394B1 (ko) 2014-01-13

Family

ID=50145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8365A KR101349394B1 (ko) 2013-07-04 2013-07-04 지피에스 좌표의 보정을 통한 수치지도의 제작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93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343B1 (ko) 2005-07-29 2005-12-21 제일항업(주)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하천 유역 시설물 정보를 수치지도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하천정보 gis의 구축방법
KR100887361B1 (ko) 2008-05-13 2009-03-06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수치지도 오차 보정을 위한 기준거리의 실시간 측정용위치정보시스템
KR100960337B1 (ko) 2009-06-15 2010-05-28 주식회사 동서지엔아이 수치정보확인 및 지피에스측정 정보를 이용한 수치지도 업그레이드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343B1 (ko) 2005-07-29 2005-12-21 제일항업(주)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하천 유역 시설물 정보를 수치지도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하천정보 gis의 구축방법
KR100887361B1 (ko) 2008-05-13 2009-03-06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수치지도 오차 보정을 위한 기준거리의 실시간 측정용위치정보시스템
KR100960337B1 (ko) 2009-06-15 2010-05-28 주식회사 동서지엔아이 수치정보확인 및 지피에스측정 정보를 이용한 수치지도 업그레이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0318B1 (ko) 지리정보를 기준으로 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영상도화용 합성시스템
JP7247306B2 (ja) 管理装置及び支援装置
KR101017398B1 (ko) 지형, 지물의 지피에스 좌표가 적용된 수치지도 보정시스템
KR101041190B1 (ko) 지피에스측량을 이용한 중요 지형의 수치지도 정보 보정시스템
KR102374351B1 (ko) 신속 변경 모터 드라이브, 자동화된 가스 제거 및 유체 회수 시스템을 갖는 포괄적 펌프 시스템 및 방법 및 그의 원격 모니터링, 감시 및 제어
KR101710429B1 (ko) 지아이에스 기반으로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보정장치
CN111417757A (zh) 挖土机及挖土机的管理系统
KR101005284B1 (ko) 항공촬영이미지와 수치정보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도화시스템
KR101126350B1 (ko) 지형이미지에 적용된 기준점과 지피에스 위치정보의 정밀 비교를 통한 수치지도의 오차확인시스템
KR20120057461A (ko) 관정을 통한 지하수 인공 함양 방법 및 그 방법에 적용되는 지하수 인공 함양 장치
CN105335144A (zh) 一种车辆后备箱自动开启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349394B1 (ko) 지피에스 좌표의 보정을 통한 수치지도의 제작시스템
JPWO2018198498A1 (ja) 油の状態検出装置、作業機械、管理システム、及び油の状態検出方法
JP2008025784A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ケースのオーバーフロープラグ、及び、ドレンボルト、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トランスミッションフルードの温度測定装置
CN111527314B (zh) 液压油的监控系统及液压油的监控方法
KR101008835B1 (ko) 지표면의 기준점 별 지형정보 변화에 따른 실시간 영상도화보정시스템
KR101362825B1 (ko) 지피에스 수신기의 동선에 의한 수치지도의 수치정보를 보정하는 수치정보 시스템
KR101531027B1 (ko) 지아이에스(gis) 기반으로 정밀도를 높인 수치지도 보정시스템
US201801217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s of lighting system
KR101350925B1 (ko) 지피에스 지형정보의 영상이미지를 업그레이드한 영상처리 시스템
WO2018124163A1 (ja) 便器
KR101041186B1 (ko) 지형정보 비교를 통한 수치지도 정보 관리시스템
KR101223183B1 (ko) 지리정보를 기준으로 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영상도화용 합성시스템
FR3102405B1 (fr) Système de gestion de la qualité de l’air dans un habitacle de véhicule sur un trajet prédéterminé
KR200493851Y1 (ko) 모노레일 차량의 윤활유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