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2502B1 - 소음저감을 위한 철도레일용 도유장치 - Google Patents

소음저감을 위한 철도레일용 도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2502B1
KR101522502B1 KR1020140122051A KR20140122051A KR101522502B1 KR 101522502 B1 KR101522502 B1 KR 101522502B1 KR 1020140122051 A KR1020140122051 A KR 1020140122051A KR 20140122051 A KR20140122051 A KR 20140122051A KR 101522502 B1 KR101522502 B1 KR 101522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lubricating oil
tank
level sensor
lubric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2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화용
이범로
이수원
Original Assignee
(주)운창메카텍
이범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운창메카텍, 이범로 filed Critical (주)운창메카텍
Priority to KR1020140122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25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3/00Wetting or lubricating rails or wheel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9/00Lubricant containers for use in lubricators or lubricat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9/00Lubricant containers for use in lubricators or lubrication systems
    • F16N19/003Indicating oil lev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9/00Lubricant containers for use in lubricators or lubrication systems
    • F16N19/006Maintaining oil lev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5/00Distributing equipment with or without proportion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7/00Equipment for transferring lubricant from one container to an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 F16N7/38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with a separate pump; Central lubricat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50/00Measuring
    • F16N2250/18Lev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70/00Controlling
    • F16N2270/10Lev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80/00Valves
    • F16N2280/02Valves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저감을 위한 철도레일용 도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레일보다 높은 고도에 설치되고 윤활유를 수용하는 서브탱크와; 상기 레일의 측부에 배치되며, 중력의 작용에 의해 상기 서브탱크로부터 유도튜브를 통해 흘러 내려온 윤활유를 받아, 상기 레일의 헤드부 상부로 유도하여 헤드부에 윤활유를 도포하는 도유부와; 상기 도유부에 의해 레일에 도포된 후 레일 하부로 흘러내린 윤활유를 받아 수용하는 회수탱크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소음저감을 위한 철도레일용 도유장치는, 점도가 그리이스에 비해 낮은 유동성 윤활유를 사용하므로 자유낙하방식 도유가 가능하여 압출장치나 노즐 등이 필요 없어 그만큼 구조가 간단하고 고장발생이 거의 없고, 도유되는 윤활유의 유량을 간단하게 조절하거나 차단할 수 있어 차량의 운행 빈도에 맞추어 최적 유량의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어 도유 효율이 뛰어나다. 아울러, 레일에 도유된 윤활유를 모아 다시 올려 순환 사용하므로 윤활유의 소비가 거의 없어 유지비용이 현저히 낮음은 물론 레일과 레일주변을 오염시키지 않아 청소를 위해 작업자가 수시로 출동할 필요가 없어 그로인한 인명사고의 위험도 없고 관리가 편리하다.

Description

소음저감을 위한 철도레일용 도유장치{Lubrication device for rail of railway for noise reduction}
본 발명은 소음저감을 위한 철도레일용 도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을 안전하게 지지하며 차륜의 주행저항을 최대로 줄이기 위한 철도 레일은 강도와 내마모성과 내식성 등을 고려하여 고탄소강으로 제작된다. 특히 곡선구간의 레일은 차륜과의 강한 마찰에 의한 마모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담금질 등의 열처리를 하기도 한다.
그러나 레일과 차륜과의 빈번한 마찰은 레일의 마모를 야기하지 않을 수 없다. 더욱이 곡선구간의 내측 레일은 차륜과의 슬립현상에 의해 마모는 물론 매우 큰 소음과 마찰열을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로, 마모나 소음발생을 줄이고 더 나아가 레일을 냉각하기 위해 레일의 마찰부분에 윤활유나 그리이스(grease)를 도포하기 위한 다양한 도유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가령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878894호에는 철로레일의 상부에 소음저감재를 칠하거나 분사하는 철로용 소음저감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소음저감장치는, 레일의 주변에 별도로 설치되어 차량의 통과를 감지하는 장치로부터 신호를 받아 동작하는 것으로서, 특히 레일을 따라 일정 거리만큼 왕복 이동하며 레일의 소정 구간에 소음저감재를 도포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종래의 소음저감장치는, 바닥판상에 배치되는 슬라이드레일과, 상기 슬라이드레일 상부에 설치되며 슬라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레일에 소음저감재를 도포하는 도유수단과, 도유수단을 왕복운동 시키는 이송수단과, 바닥판의 상부공간을 커버하며 슬라이드레일과 도유수단과 이송수단을 커버하는 하우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구조를 갖는 소음저감장치는, 하우징의 내부 구조가 복잡하여 유지보수가 번거롭다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소음저감재 공급관에 설치된 체크밸브가, 소음저감재의 공급압력에 의해 개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고압펌프가 항상 동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자체의 구동 소음이 심하다는 문제도 갖는다.
아울러,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동작하는 것이므로, 신호기의 감도가 떨어지거나 아니면 기타의 이유로 신호기가 고장났을 경우에는 작동 정밀성이 현저히 저하됨은 물론 동작 자체가 불가능해 질 수 도 있다.
또한, 특히, 철로에 한 번 도포된 소음저감재를 회수할 수 없어 레일 주변의 환경을 크게 훼손한다는 문제도 갖는다. 가령, 레일에 도포된 후 하부로 흘러내린 소음저감재가 주변 토양으로 그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없어 토양 및 지하수를 크게 오염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중력의 작용만으로도 유동할 수 있는 점도를 갖는 유동성 윤활유를 사용하므로 자유낙하방식 도유가 가능하여 그만큼 구조가 간단하고 작동시 소음을 발생하지 않는 소음저감을 위한 철도레일용 도유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유되는 윤활유의 유량을 간단하게 조절하거나 차단할 수 있어 차량의 운행 빈도에 맞추어 최적 유량의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는 소음저감을 위한 철도레일용 도유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레일에 도유된 윤활유를 모아 다시 올려 순환 사용하므로 윤활유의 소비가 거의 없어 유지비용이 현저히 낮음은 물론 레일과 레일주변을 오염시키지 않아 청소를 위해 작업자가 수시로 출동할 필요가 없어 그로인한 인명사고의 위험도 없고 관리가 편리한 소음저감을 위한 철도레일용 도유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음저감을 위한 철도레일용 도유장치는, 철도 레일에 근접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윤활유를 저장하는 메인탱크와; 상기 레일보다 높은 고도에 설치되고, 공급튜브를 통해 상기 메인탱크로부터 공급된 윤활유를 받아 수용하는 서브탱크와; 상기 레일의 측부에 배치되며, 중력의 작용에 의해 상기 서브탱크로부터 유도튜브를 통해 흘러 내려온 윤활유를 받아, 상기 레일의 헤드부 상부로 유도하여 헤드부에 윤활유를 도포하는 도유부와; 상기 도유부에 의해 레일에 도포된 후 레일 하부로 흘러내린 윤활유를 받아 수용하는 회수탱크와; 상기 메인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윤활유를 공급튜브를 통해 서브탱크로 펌핑하는 메인펌프와; 상기 회수탱크에 모인 윤활유를 회수튜브를 통해 서브탱크로 올리는 회수펌프와; 상기 메인펌프 및 회수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탱크의 내부에는; 설정되어 있는 서브탱크 내 윤활유의 최대량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 1레벨센서와, 설정되어 있는 서브탱크 내 윤활유의 최소량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 3레벨센서와, 상기 제 1레벨센서와 제 3레벨센서의 사이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설정 최대량과 설정 최소량 사이의 윤활유의 부피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 2레벨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회수탱크의 내부에는; 설정되어 있는 회수탱크 내 윤활유의 최대량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상부레벨센서와, 설정되어 있는 회수탱크 내 윤활유의 최소량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하부레벨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레벨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받은 경우, 상기 메인펌프를 동작시켜 메인탱크내의 윤활유를 서브탱크로 공급하되, 제 2레벨센서가 감지신호를 출력할 때 까지 공급하고, 상기 상부레벨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받은 경우, 회수펌프를 동작시켜 회수탱크에 모인 윤활유를 서브탱크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유도튜브에는, 상기 서브탱크로부터 도유부로 이동하는 윤활유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부로서, 유도튜브내 윤활유의 흐름을 결정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설정된 시간동안 개폐시키는 타임스위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유부는; 그 단부가 상기 레일의 헤드부상에 정위치된 상태로, 상기 유도튜브를 통해 내려온 윤활유를 상기 단부를 거쳐 헤드부의 상면으로 유도하는 도유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유부에는; 기 도유판을 지지하되, 레일에 대해 정위치되어 있는 도유판을 레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레일의 측부에 고정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도유판지지체와, 상기 도유판의 하부에 고정되되, 도유판지지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링크된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운동 시켜, 도유판을 레일에 대해 정위치 시키거나 레일로부터 분리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수단은;상기 레일의 측부에 고정되며, 레일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홀더와, 상기 슬라이딩홀더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홀더의 연장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며, 그 상단부에 상기 도유판을 갖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를 직선이동시켜, 도유판을 레일에 대해 정위치 시키거나, 레일로부터 분리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유판은; 상기 레일의 헤드부를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제공하며, 상기 경사면에는, 경사면을 흐르는 윤활유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안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유판은;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며, 그 상면에는 상기 단부로 개방되며 윤활유가 거쳐가는 체류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소음저감을 위한 철도레일용 도유장치는, 중력의 작용만으로 유동할 수 있는 저점도의 유동성 윤활유를 사용하므로 자유낙하방식 도유가 가능하여, 윤활유의 공급을 위한 동력이 그만큼 작고 구조가 간단하며 작동시 소음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도유되는 윤활유의 유량을 간단하게 조절하거나 차단할 수 있어 차량의 운행 빈도에 맞추어 최적 유량의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레일에 도유된 윤활유를 모아 순환시켜 재사용하므로 윤활유의 소비가 거의 없어 유지비용이 현저히 낮음은 물론, 레일과 레일주변을 오염시키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청소를 위해 작업자가 수시로 출동할 필요가 없어 그로인한 인명사고의 위험도 없고 관리가 편리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을 위한 철도레일용 도유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회수탱크 및 도유부를 따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철도레일에 대한 회수탱크의 상대 위치를 도시한 일부 절제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도유부의 도유판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도유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다른 방식의 도유부의 구조를 나타내 보인 구성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도유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또 다른 방식의 도유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도유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또 다른 방식의 도유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서브탱크를 별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을 위한 철도레일용 도유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도유판을 예를 들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을 위한 철도레일용 도유장치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을 위한 철도레일용 도유장치(11)는, 레일의 목적부위에 윤활유를 도포하되, 윤활유가 중력의 작용에 의해 목적부위로 흘러 도달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하여 윤활유가 수용되는 서브탱크(29)를 레일보다 높은 고도에 위치시켜 레일보다 큰 위치에너지를 가지게 하였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을 위한 철도레일용 도유장치(11)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을 위한 철도레일용 도유장치(11)는, 레일(R)의 측부에 배치되며 그 내부에 윤활유(17)를 수용하는 메인탱크(47)와, 공급튜브(43)를 통해 메인탱크(47)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레일(R) 보다 높은 고도에 배치되는 다수의 서브탱크(29)와, 상기 레일(R)의 측부에 설치되며 서브탱크(29)로부터 유도튜브(31)를 통해 내려온 윤활유를 레일(R)의 헤드부(R1) 상에 흘리는 도유부(45)와, 상기 레일(R)의 하부에 배치되며 레일(R)을 타고 하부로 흘러내린 윤활유를 받아 모으는 회수탱크(15)와, 상기 유도튜브(31)에 설치되며 도유부(45)로 내려가는 윤활유의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수단과, 상기 메인탱크(47)내의 윤활유를 각 서브탱크(29)로 올리는 메인펌프(49)와, 상기 회수탱크(15) 내의 윤활유를 서브탱크(29)로 올리는 회수펌프(27)와, 상기 조절수단과 펌프(49,27)를 제어하는 제어부(59)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메인탱크(47)는, 레일(R) 주변의 지면에 배치되는 저장수단으로서 작업자에 의해 윤활유가 채워진다. 상기 메인탱크(47) 내부의 윤활유의 잔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메인탱크(47)의 탱크본체(47d)에는 레벨확인창(47e)이 구비되어 있다. 작업자는 굳이 뚜껑(47f)을 열지 않더라도 레벨확인창(47e)을 통해 윤활유가 남아 있는 양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뚜껑(47f)은 탱크본체(47d)에 씌워진 상태로 탱크본체(47d)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윤활유를 신규로 공급하기 위하여 뚜껑(47f)을 개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메인탱크(47)의 용량은 필요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가령 200리터 정도의 용량을 가지도록 적용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메인탱크(47)의 내부에는 최대레벨센서(47a)와 최소레벨센서(47b)가 설치된다. 상기 최대레벨센서(47a)와 최소레벨센서(47b)는 수직의 지지샤프트(47c)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윤활유 유면의 최대레벨과 최소레벨을 감지하여 제어부(59)로 전달한다.
상기 최대레벨은 메인탱크(47)에 최대로 수용되어 있는 윤활유의 유면의 높이이고, 최소레벨은 메인탱크(47)에 잔류하는 윤활유의 최소량의 유면의 높이이다. 메인탱크(47) 내의 윤활유의 최대량(최대부피)을 얼마로 설정하고 최소량(최소부피)을 얼마로 설정할지는 사용자에 의해 결정되며, 결정에 따라 최대레벨센서(47a)와 최소레벨센서(47b)의 높이가 세팅된다.
가령 윤활유의 최대량을 200리터라고 설정할 경우, 메인탱크(47)에 200리터의 윤활유를 공급했을 때의 탱크내 윤활유 유면의 높이를 최대레벨센서(47a)가 감지하게 하고, 윤활유의 최소량을 20리터라고 설정할 경우, 메인탱크(47)에 남아 있는 20리터의 윤활유의 유면의 높이를 최소레벨센서(47b)가 감지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최대레벨센서(47a)와 최소레벨센서(47b)가 감지한 정보는 제어부(59)로 전달된다. 제어부(59)는 최소레벨센서(47b)로부터 잔량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작업자에게 알려 메인탱크내에 윤활유를 보충하게 한다. 작업자에게 알리는 방식은 매우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며, 가령 경고등(미도시)을 점멸시키거나 음향을 출력하는 방식을 취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메인탱크(47)의 측부에는 메인펌프(49)가 위치한다. 상기 메인펌프(49)는 메인탱크(47) 내부의 윤활유를 각각의 서브탱크(29)로 펌핑하여 올리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인펌프(49)의 작동은 제어부(59)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서브탱크(29)는 레일(R)보다 높은 고도에 배치된다. 레일(R)에 대한 서브탱크(29)의 상대 높이는 대략 1미터 내지 1.5미터 정도면 좋다. 하지만 현장 상황에 따라 높이를 더 높게 하거나 더 낮게 할 수 도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서브탱크(29)가 기둥(A)에 고정되어 있다. 즉 기둥(A)에 고정프레임(29n)을 설치하고 서브탱크(29)를 그 위에 올려 장착한 것이다. 주변에 적당한 기둥이 없다면, 상기 상대높이를 유지할 수 있는 다른 적절한 위치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서브탱크(29)는 하나의 메인탱크(47)에 다수 개가 병렬로 연결된다. 하나의 메인탱크(47)에, 2개 내지 5개 정도의 서브탱크(29)를 연결할 수 있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메인탱크(47) 하나에 서브탱크(29)를 단독으로 연결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9에 상기 서브탱크(29)의 구조를 자세히 도시하였다.
도 9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서브탱크(29)는, 상부로 개방된 박스형 탱크본체(29a)와, 상기 탱크본체(29a)의 상부에 씌워지는 뚜껑(29b)과, 상기 탱크본체(29a)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 1,2,3레벨센서(29f,29h,29k)를 포함한다.
상기 탱크본체(29a)는, 메인탱크(47)로부터 공급튜브(43)를 통해 올라온 윤활유를 받아 임시 저장하는 용기로서 그 측부에 투명창(29c)을 갖는다. 상기 투명창(29c)은 서브탱크(29) 내부의 윤활유의 유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서브탱크(29)의 용량은 메인탱크(47) 용량의 1/4 내지 1/3 정도이다.
아울러 상기 탱크본체(29a)의 상단 측부에는 제 1,2유입포트(29d,29p)가 구비되어 있고, 바닥부에는 유출포트(29e)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유입포트(29d)는 공급튜브(43)의 단부가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메인탱크(47)로부터 공급튜브(43)를 통해 올라온 윤활유를 서브탱크(29) 내부로 받아들이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 2유입포트(29p)는 후술할 회수튜브(25b)가 연결되는 포트이다. 상기 회수튜브(25b)는 회수탱크(15)에 모아진 윤활유를 서브탱크(29)로 이동시키는 호스로서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유출포트(29e)는 서브탱크(29)에 저장되어 있는 윤활유를 유도튜브(31)로 내려 보내는 통로이다. 상기 유도튜브(31)는 윤활유를 내부 유동시켜 도유부(45)로 보낸다.
상기 제 1,2,3레벨센서(29f,29h,29k)는 수직의 지지샤프트(29m)에 의해 수직으로 배치되며, 윤활유의 유량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어부(59)로 보낸다.
이러한 제 1,2,3레벨센서(29f,29h,29k)는 위에 설명한, 최대레벨센서(47a) 및 최소레벨센서(47b)와 같은 동작 원리를 갖는다. 즉, 윤활유(17)의 유면이 제 1,2,3레벨센서(29f,29h,29k)의 감지영역에 위치할 경우 그 사실을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59)로 보내는 것이다.
상기 제 1레벨센서(29f)는 서브탱크(29)내의 윤활유의 최대량을 감지한다. 이를테면, 윤활유가 서브탱크(29) 내부의 전체용적의 85% 내지 90%를 채웠을 때를 최대량으로 설정하고, 이 때의 유면의 높이를 제 1레벨센서(29f)가 감지하게 하는 것이다.
제 1레벨센서(29f)는 서브탱크(29)에 채워진 윤활유(17)의 부피가 서브탱크(29) 내 전체용적의 85% 내지 90% 일 때 작동하여, 그 사실을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이다.
또한 제 3레벨센서(29k)는 서브탱크(29) 내의 윤활유의 최소 잔량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이 때, 최소 잔량을 얼마로 볼 것이냐는 적용 환경에 따라 결정될 일이지만, 윤활유의 부피가 서브탱크(29) 내부 용적의 10% 이면 그 때의 윤활유의 잔량을 최소로 판단한다. 즉, 윤활유가 서브탱크(29)의 내부용적의 10%를 채웠을 때를 최소량으로 판단하고 이를 제 3레벨센서(29k)가 센싱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퍼센티지(%)는 제 1,3레벨센서(29f,29k)의 수직 위치를 조절하여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레벨센서(29h)는, 제 1레벨센서(29f)와 제 3레벨센서(29k)의 대략 중간부분에 고정된 것으로서, 최대량으로 채워졌던 윤활유가 부피 V 만큼 빠져나갔을 때 신호를 발생한다. 즉, 윤활유에 잠겨있는 상태로 대기하며 윤활유의 유면이 낮아지기를 기다렸다가 유면이 마침내 자신의 감지영역에 도달할 때 신호를 발생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부피 V는 회수탱크(15) 내에 모아질 수 있는 윤활유의 총 부피와 같다. 이는 상기 제 2레벨센서(29h)가 신호를 발생한 후, 회수탱크(15) 내부의 윤활유를 모두 서브탱크(29)로 공급하더라도 서브탱크(29)가 넘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다시 도 1로 돌아와 설명을 계속 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레일(R)의 하부에 회수탱크(15)가 위치하고 있다. 상기 회수탱크(15)는 레일(R)을 받치고 있는 슬리퍼(sleeper)의 사이에 설치되며,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레일(R)을 타고 하부로 흘러내린 윤활유를 받아 임시 저장한다. 상기 회수탱크(15)는 서브탱크(29)와 일대일 대응한다. 즉 서브탱크(29)의 개수와 회수탱크(15)의 개수는 동일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회수탱크(15)는 박스의 형태를 취하며 슬리퍼(51)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고, 그 상부에 사각의 관통구(15a)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상기 관통구(15a)는 레일(R)의 하부로 흘러내린 윤활유가 통과하는 통로이다. 윤활유는 관통구(15a)를 통해 회수탱크(15)에 모인다. 필요에 따라 상기 관통구(15a)에 스크린을 장착하여 회수탱크(15) 내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회수탱크(15)의 내부에는 상부레벨센서(19)와 하부레벨센서(21)가 구비된다. 상기 상하부레벨센서(19,21)는 수직의 지지샤프트(23)에 지지된 상태로 수거된 윤활유의 부피를 감지한다.
상기 상부레벨센서(19)는, 모아진 윤활유가 회수탱크(15) 내부 공간의 90%를 차지할 때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59)로 전달한다. 즉, 윤활유의 유면이 점차 차올라, 윤활유가 회수탱크(15) 내부 용적의 90%를 차지할 때 신호를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레벨센서(19)가 신호를 발생하면 제어부(59)는 회수펌프(27)를 즉각 동작시켜, 회수탱크(15) 내의 윤활유를 서브탱크(29)로 이동시킨다.
상기 하부레벨센서(21)는 회수탱크(15) 내부의 윤활유의 최소 잔량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보낸다. 상기 하부레벨센서(21)가 감지하는 윤활유의 최소 잔량은, 회수탱크(15) 용적의 5% 이하이다. 제어부(59)는 하부레벨센서(21)가 보내온 신호를 기초로 회수펌프(27)의 동작을 멈춘다.
상기 회수펌프(27)는 제어부(59)에 의해 동작하여, 회수탱크(15) 내의 윤활유를 서브탱크(29)로 올리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수펌프(27)는 회수튜브(25a)를 통해 회수탱크(15)와 연결되고, 다른 회수튜브(25b)를 통해 서브탱크(29)와 이어진다.
특히 상기 회수탱크(15)와 회수펌프(27)의 사이에는 필터(61)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61)는 서브탱크(29)로 공급될 윤활유 내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레일(R)의 상단 헤드부(R1)의 측부에는 도유부(45)가 설치된다. 상기 도유부(45)는 유도튜브(31)를 통해 내려온 윤활유를 받아 헤드부(R1)의 상부로 흘려 보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도유부(45)는, 헤드부(R1)의 측부에 고정되는 지지부재(45b)와, 상기 지지부재(45b)의 상부에 고정되는 도유판(45a)과, 상기 도유판(45a) 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유출블록(45c)과, 상기 유출블록(45c)에 윤활유를 분배하는 분배블록(45e)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45b)는 헤드부(R1)의 측부에 고정된 상태로 도유판(45a)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이다. 상기 지지부재(45b)의 형식은 경우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레일에 대한 지지부재(45b)의 고정방식도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부재(45b)를 레일에 용접시킬 수 도 있고, 착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도 있는 것이다.
상기 도유판(45a)은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의 부재로서 상기 지지부재(45b)에 고정되되, 헤드부(R1)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도유판(45a)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 (θ)은 5도 내지 15도 정도이다. 상기 도유판(45a) 단부(45m)의 에지라인은 레일의 연장방향과 평행하다.
이와같이 도유판(45a)을 기울여 세팅함으로써, 유출블록(45c)으로부터 유출된 윤활유가 중력의 작용에 의해 헤드부(R1)측으로 흘러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도유판(45a)의 상면에는 다수의 안내홈(45f)이 음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홈(45f)은 각 유출블록(45c)으로부터 흘러나온 윤활유를 가이드하여 도유판(45a)의 단부로 안내하는 홈이다.
상기 유출블록(45c)은, 다수 개가 레일(R)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열되며 하부의 접속홀더(45d)를 통해 올라온 윤활유를 유출구멍(45k)을 통해 배출한다.
상기 접속홀더(45d)는 분배블록(45e)과 유출블록(45c)을 연결하는 분배튜브(45g)가 끼워지는 커넥터이다. 상기 분배블록(45e)으로 들어온 윤활유는 각 분배튜브(45g)를 통과한 후 접속홀더(45d)를 경유하여 유출블록(45c)로 유동한다.
여하튼 상기 도유판(45a)을 타고 흘러내린 윤활유는 헤드부(R1)의 상면에 도포된 상태로, 차륜의 통과시 소음을 저감하고 마찰열을 냉각시킨 후, 레일 하부로 흘러 회수탱크(15)로 모아진다.
또한, 상기 도유부(45)의 분배블록(45e)과 서브탱크(29)는 유도튜브(31)로 연결된다. 상기 유도튜브(31)는 서브탱크(29)에 저장되어 있는 윤활유를 분배블록(45e)으로 내려 보내는 호스이다.
상기 유도튜브(31)에는 유량조절수단으로서 제 1,2수동밸브(37,39)와 제 2솔레노이드밸브(35)가 구비된다. 상기 제 1,2수동밸브(37,39)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되는 밸브이다. 가령 제 2솔레노이드밸브(35)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할 때 제 1,2수동밸브(37,39)를 통해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2솔레노이드밸브(35)는 제어부(59)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로서 특히 타임스위치(41)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타임스위치(41)는 제 2솔레노이드밸브(35)의 개방 시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가령 제 2솔레노이드밸브를 매일 일정시간 동안 개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테면 차량의 운행시간에 맞추어 개방하고, 운행하지 않는 시간 동안에는 차단시키는 것이다.
상기 타임스위치(41)는 설정된 시간이 되는 순간 개방 또는 차단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로 보내고, 제어부로 하여금 제 2솔레노이드밸브를 개폐하게 하는 것이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회수탱크(15) 및 도유부(45)를 따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철도레일에 대한 회수탱크의 상대 위치를 도시한 일부 절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레일(R)을 받치고 있는 슬리퍼(51)의 사이에 회수탱크(15)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회수탱크(15)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15a)는 당연히 레일(R)의 연직 하부에 위치한다.
아울러, 상기 도유부(45)가 회수탱크(15)의 상부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 상기 도유부(45)는 서브탱크(29)로부터 공급된 윤활유를 레일(R)에 공급하여, 윤활유로 하여금 차량 운행에 따른 소음을 감쇄시키고 마모를 방지하게 한다. 특히 상기 도유부(45)의 도유판(45a)을 따라 흘러내리는 윤활유는, 하향 유동하며 펼쳐져 헤드부(R1) 상에 골고루 도포된다.
도 5는 상기한 도유부(45)에서의 도유판(45a)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도유판(45a)은 직사각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며 그 상면에 다수의 유출블록(45c)을 갖는다. 상기 각 유출블록(45c)은 윤활유를 내보내는 유출구멍(45k)을 갖는다.
아울러 각 유출구멍(45k)의 전방에는 다수의 안내홈(45f)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홈(45f)은, 유출구멍(45k)에서 흘러나온 윤활유를 도유판의 단부(45m) 측으로 펼쳐 유도하는 것으로서 방사형으로 벌어진 패턴을 취한다. 도유판(45a) 단부(45m)에서의 각 안내홈(45f)의 간격(z)은 상호 동일하다. 상기 간격(z)는 필요에 따라 다르게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단부(45m)를 이루는 에지라인은 레일의 헤드부 상부에 위치한다.
도 6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도유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다른 방식의 도유부(45)의 구조를 나타내 보인 구성도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6에 도시한 도유부(45)는, 레일 헤드부(R1)의 측면에 고정되고 그 상단에 스토퍼부(53a)를 갖는 지지부재(53)와, 상기 지지부재(53)에 회동 가능하도록 핀(63) 연결되고 상부로 연장된 회동부재(55)와, 상기 회동부재(55)를 화살표 s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당기는 인장스프링(57)과, 상기 회동부재(55)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도유판(45a)과, 도유판(45a)에 구비되는 유출블록(45c)과 분배블록(45e)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유판(45a)은 회동부재(55)의 상단부에 결합하여 회동부재(55)와 함께, 화살표 s 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다. 특히 상기 인장스프링(57)의 작용에 의해 도유판(45a)은 항상 화살표 s 방향으로 당겨져 그 저면이 스토퍼부(53a)에 탄력적으로 접한 말하자면 기본상태가 된다.
상기 도유판(45a)이 스토퍼부(53a)에 탄력적으로 접한 상태에서의 도유판(45a)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 (θ)은 5도 내지 15도 이다.
인력을 가하여 도유판(45a)을 화살표 t 방향으로 당겼다 놓을 경우, 인장스프링(57)의 작용에 의해 도유판(45a)은 기본상태로 복귀한다.
상기와 같이 인장스프링(57)을 적용함으로써, 차량의 운행시 레일을 통해 전달된 진동이 도유판(45a)으로 직접 전달되지 않는다.
도 7a 및 도 7b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도유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또 다른 방식의 도유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타입의 도유부(45)는, 필요시 도유판(45a)이 레일로부터 벌어질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말하자면, 도유판(45a)이 차량의 운행시간에는 레일측으로 근접하여 기본상태를 유지하고, 차량의 운행시간이 종료된 후에는 레일로부터 이격되는 것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또 다른 방식의 도유부(45)는 레일(R)의 풋(foot)(R3)에 채워지는 고정플램프(67)와, 상기 고정클램프(67)에 고정되되 레일의 측부에 나란하게 위치하는 지지체(69)와, 상기 지지체(69)의 상부에 핀(73a) 연결되는 회동부재(71)와, 상기 회동부재(71)의 상단에 고정되는 도유판(45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유판(45a)에 유출블록(45c)과 접속홀더(45d) 등이 적용됨은 물론이다.
상기 고정클램프(67)는, 레일의 풋(R3)에 착탈 가능하게 채워지는 고정 지지체로서, 힌지부(67c)로 연결된 클램프편(67a,67b)과, 상기 클램프편(67b)을 레일에 대해 고정시키는 가압볼트(67e)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볼트(67e)의 체결을 위해 일측 클램프편(67b)에 암나사구멍(67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볼트(67e)는 암나사구멍(67d)을 통과해 그 선단부가 레일의 풋(R3)에 접한 상태로, 암나사구멍(67d)의 내부로 더욱 진입함으로써, 레일에 대한 고정클램프(67)의 고정 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 지지체(69)는 일측 클램프편(67b)에 고정된 요소로서, 수직 상부로 연장된 수직연장부(69c)를 갖는다. 상기 수직연장부(69c)는 도유판(45a)을 레일헤드부의 높이 이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단부와 중앙부에 스토퍼(69k,69a)를 갖는다.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69k)는 회동부재(71)가 수직의 상태에서, 화살표 m 방향으로 넘어가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중앙부에 구비되어 있는 스토퍼(69a)는 회동부재(71)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걸림홈(71a)에 끼워져, 회동부재(71)가 더 이상 회동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회동부재(71)는 핀(73a)을 통해 수직연장부(69c)에 연결된 부속으로서, 그 상단부에 도유판(45a)에 고정된다. 상기 회동부재(71)는 도유판(45a)과 더불어 회동운동 하여 도 7a의 기본상태와 도 7b의 이격상태를 왕복한다.
상기 회동부재(71)에서의 핀(73a) 하측부분은 사선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측부에 걸림홈(71a)을 갖는다. 상기 걸림홈(71a)은 도 7b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토퍼(69a)가 끼워지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수직연장부(69c)에는 모터(73)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모터(73)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동작하여, 회동부재(71)를 양방향으로 회동운동 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모터(73)는 타임스위치(41)와 연동한다. 즉 타임스위치(41)가 제 2솔레노이드밸브(35)를 차단할 때 동작하여 도유판(45a)을 화살표 m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상기 제 2솔레노이드밸브(35)는 차량의 운행시간이 종료된 후 차단되므로, 결국 도유판(45a)은 차량의 운행시간이 종료된 후 자동적으로 재껴져 도 7b에 도시한 바와같이 레일로부터 이격된다.
이와같이 도유판(45a)을 레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유는, 야간에 선로보수차량의 통행을 위한 것이다. 선로보수차량의 차륜은 전동차의 차륜과 다른 구조를 가져, 도유판(45a)에 걸릴 수 있으므로 도유판(45a)을 레일로부터 벌려 분리시키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모터(73)는, (가령 다음 날 차량의 운행시간이 시작되어) 타임스위치(41)가 다시 작동하여 제 2솔레노이드밸브(35)를 개방시킬 때 동작하여, 회동부재(71)를 반대방향 즉 화살표 m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도유판(45a)을 도 7a의 상태로 복귀시킨다.
한편, 상기 회동부재(71)와 지지체(69)의 사이에는 인장스프링(75)이 구비된다. 상기 인장스프링(75)을 장착할 수 있도록, 회동부재(71)의 상단부와 지지체(69)의 하단부에는 고정돌기(69b,71b)가 구비되어 있다.
인장스프링(75)은 그 양단부가 고정돌기(69b,71b)에 걸려 고정된 상태로 고정돌기(69b,71b)를 상호 당기는 방향으로 인장한다. 상기 인장스프링(75)의 작용에 의해 도유판(71)은 기본상태와 이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a 및 도 8b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도유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또 다른 방식의 도유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도유부(45)는, 상기 클램프편(67b)의 상부에 고정되되 레일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홀더(69f)와, 상기 슬라이딩홀더(69f)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홀더(69f)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랙기어(69e)와, 상기 랙기어(69e)에 고정된 상태로 랙기어(69e)와 함께 왕복운동하는 지지체(69)와, 상기 지지체(69)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도유판(45a)과, 상기 랙기어(69e)를 화살표 p 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 직선운동 시키는 모터(71)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체(69)는 랙기어(69e)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로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연장부(69c)를 갖는다. 특히 상기 수직연장부(69c)에는 탄성고무(69d)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탄성고무(69d)는 차량의 통행시 레일로부터 고정클램프(67)를 통과해 들어오는 진동이 도유판(45a)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상기 모터(71)는 상기 타임스위치(41)에 연동하는 모터로서 구동축에 피니언기어(77)를 갖는다. 상기 피니언기어(77)가 랙기어(69e)에 치합함은 물론이다.
상기 모터(71)는 타임스위치(41)가 제 2솔레노이드밸브(35)를 차단할 때 동작하여, 랙기어(69e)를 화살표 p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위에 언급한 바와같이, 제 2솔레노이드밸브(35)는 차량의 운행시간이 종료된 후 차단되므로, 결국 도유판(45a)은 차량의 운행시간이 종료된 후, 레일로부터 자동적으로 멀어져 이격된다. 도유판(45a)을 레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유는 상기한 바와같다.
상기 모터(73)는, 타임스위치(41)가 다시 작동하여 제 2솔레노이드밸브(35)를 개방시킬 때 동작하여, 랙기어(69e)를 레일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도유판(45a)을 도 8a의 상태로 복귀시킨다.
결국, 상기 도유판(45a)은 제 2솔레노이드밸브가 차단될 때 레일로부터 이격되고, 개방될 때 레일측으로 붙어 도유를 가능케 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을 위한 철도레일용 도유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도유판(45a)을 예를 들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도유판(45a)은, 대략 사각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며 그 상면에 체류홈(45p)을 갖는다. 상기 체류홈(45p)은 3면이 측벽부(45r)에 의해 차단되고 단부(45m)를 향해 개방되어 있는 수용공간으로서, 유출블록(45c)을 통해 흘러나온 윤활유가 머물다가 나가는 공간이다.
상기 체류홈(45p)의 내부에 윤활유가 모여 체류할 수 있도록 체류홈(45p)의 바닥부는 단부(45m)를 향해 상향 경사져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단부(45m)를 이루는 에지라인은, 도유판(45a)의 정위치 상태에서, 레일의 헤드부 상부에 위치한다.
특히 상기 단부(45m)의 에지라인의 고도는, 도유판(45a)이 수평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측벽부(45r)의 고도 보다 낮다. 따라서, 상기 체류홈(45s)에 윤활유가 가득 채워진 상태에서, 체류홈(45s)에 윤활유가 추가로 유입되면, 윤활유가 상기 단부(45m)를 넘어 헤드부로 공급되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 상기와 같이 체류홈(45p)을 갖는 도유판(45a)도, 위에 언급한 도유판과 마찬가지로 기울여 세팅할 수 도 있다.
아울러, 같은 설명의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은 생략하였지만, 도 7a 내지 도 8b를 통해 다룬 지지수단도 도 10의 도유판에 당연히 적용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을 위한 철도레일용 도유장치(11)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상기 메인탱크(47) 내의 윤활유 상태를 확인하여 필요하다면 메인탱크(47) 내에 윤활유를 공급한다. 이 때 윤활유를 최대레벨센서(47a)가 동작할 때 까지 보충한다.
상기와 같이 윤활유의 준비가 완료되었다면, 상기 제1,2,3레벨센서(29f,29h,29k)를 통해 각 서브탱크(29) 내부의 윤활유의 부피를 감지하여, 서브탱크(29)로의 윤활유의 신규 공급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 3레벨센서(29k)가 동작하면, 서브탱크(29)가 거의 비어있는 것이므로 상기 메인펌프(49)를 동작시켜 제 2레벨센서(29h)가 감지신호를 출력할 때 까지 윤활유를 채운다. 그동안 유도튜브(31)가 차단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이 때, 윤활유가 이미 충분히 채워져 있는 서브탱크(29)에는, 윤활유의 신규 공급이 불필요하므로 제 1솔레노이드밸브(33)를 차단한다. 상기 제 1솔레노이드밸브(33)는 각각의 서브탱크(29)에 설치되어 서브탱크(29)로 들어가는 윤활유의 흐름을 결정하는 것으로서 제어부(59)에 의해 조작된다.
상기 과정을 통해 각 서브탱크(29) 내의 제 2레벨센서(29h)가 신호를 발생하면 메인펌프(49)를 정지시키고, 개방되어 있던 제 1솔레노이드밸브(33)도 차단한다.
또한, 회수탱크(15) 내부의 윤활유의 잔량도 체크하여 서브탱크(29)로 올려보낸다. 회수탱크(15) 내부에 모여있던 윤활유의 양이 아무리 많더라도, 서브탱크(29) 내부의 제 2레벨센서(29h) 상부의 공간(도 7의 V) 보다는 작으므로, 회수탱크(15) 내의 윤활유를 서브탱크(29)로 모두 올려도 서브탱크가 넘칠 염려가 없다.
이어서, 상기 제 1,2수동밸브(37,39)를 개방한 상태로 타임스위치(41)를 세팅하여, 가령 열차의 운행시간에 맞추어 제 2솔레노이드밸브의 개방시간을 설정한다.
상기 타임스위치(41)에서 세팅한 설정시간이 도래한 순간, 상기 제어부(59)의 작동에 의해 제 2솔레노이드밸브(35)가 개방된다.
제 2솔레노이드밸브(35)가 개방되면, 서브탱크(29) 내에 저장되어 있는 윤활유가, 중력의 작용으로 유도튜브(31)를 통과해 도유부(45)로 내려가고 도유판(45a)을 흐르며 펼쳐져 레일의 헤드부(R1) 상에 도포된다.
상기 레일에 도포되어 자신의 임무를 마친 윤활유는 하부로 흘러내려 회수탱크(15)로 모인다. 상기 동작은 제 2솔레노이드밸브(35)가 개방된 동안 계속적으로 유지된다.
상기 과정이 지속되어 회수탱크(15) 내에 흘러들어 모인 윤활유의 양이 늘어나 마침내 상기 상부레벨센서(19)가 신호를 발생하면, 제어부(59)는 회수펌프(27)를 작동시켜 회수탱크(15) 내부의 윤활유를 서브탱크(29)로 다시 올려 보낸다.
상기 회수탱크(15)에 모여있던 윤활유가 서브탱크(29)로 이동함에 따라, 회수탱크(15)는 또 다시 비워지고 서브탱크(29)는 채워진다. 만일 회수탱크(15) 내에 모아진 윤활유를 서브탱크(29)로 모두 올려보냈으나 제 2레벨센서(29h)가 신호를 발생하지 않으면 메인펌프(49)를 동작시킴과 아울러 제 1솔레노이드밸브(33)를 개방하여 윤활유를 추가 보충한다.
상기 순환과정을 반복하며 레일의 목적부위에 윤활유를 계속적으로 도포한다.
마침내, 차량의 운행시간이 종료되어 타임스위치(41)가 동작하면 제어부(59)가 제 2솔레노이드밸브(35)를 차단시켜 레일로 내려가는 윤활유의 공급을 정지시킨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도유장치 15:회수탱크 15a:관통구
17:윤활유 19:상부레벨센서 21:하부레벨센서
23:지지샤프트 25a,25b:회수튜브 27:회수펌프
29:서브탱크 29a:탱크본체 29b:뚜껑
29c:투명창 29d:제 1유입포트 29e:유출포트
29f:제 1레벨센서 29h:제 2레벨센서 29k:제 3레벨센서
29m:지지샤프트 29n:고정프레임 29p:제 2유입포트
31:유도튜브 33:제 1솔레노이드밸브 35:제 2솔레노이드밸브
37:제 1수동밸브 39:제 2수동밸브 41:타임스위치
43:공급튜브 45:도유부 45a:도유판
45b:지지부재 45c:유출블록 45d:접속홀더
45e:분배블록 45f:안내홈 45g:분배튜브
45k:유출구멍 45m:단부 45p:체류홈
47:메인탱크 47a:최대레벨센서 47b:최소레벨센서
47c:지지샤프트 47d:탱크본체 47e:레벨확인창
47f:뚜껑 49:메인펌프 51:슬리퍼(sleeper)
53:지지부재 53a:스토퍼부 55:회동부재
57:인장스프링 59:제어부 61:필터
63:핀 67:고정클램프 67a,67b:클램프편
67c:힌지부 67d:암나사구멍 67e:가압볼트
69:지지체 69a,69k:스토퍼 69b:고정돌기
69c:수직연장부 69d:탄성고무 69e:랙기어
69f:슬라이딩홀더 71:회동부재 71a:걸림홈
71b:고정돌기 73:모터 73a:핀
75:인장스프링 77:피니언기어

Claims (10)

  1. 철도 레일에 근접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윤활유를 저장하는 메인탱크와;
    상기 레일보다 높은 고도에 설치되고, 공급튜브를 통해 상기 메인탱크로부터 공급된 윤활유를 받아 수용하는 서브탱크와;
    상기 레일의 측부에 배치되며, 중력의 작용에 의해 상기 서브탱크로부터 유도튜브를 통해 흘러 내려온 윤활유를 받아, 상기 레일의 헤드부 상부로 유도하여 헤드부에 윤활유를 도포하는 도유부와;
    상기 도유부에 의해 레일에 도포된 후 레일 하부로 흘러내린 윤활유를 받아 수용하는 회수탱크와;
    상기 메인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윤활유를 공급튜브를 통해 서브탱크로 펌핑하는 메인펌프와;
    상기 회수탱크에 모인 윤활유를 회수튜브를 통해 서브탱크로 올리는 회수펌프와;
    상기 메인펌프 및 회수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탱크의 내부에는;
    설정되어 있는 서브탱크 내 윤활유의 최대량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 1레벨센서와,
    설정되어 있는 서브탱크 내 윤활유의 최소량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 3레벨센서와,
    상기 제 1레벨센서와 제 3레벨센서의 사이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설정 최대량과 설정 최소량 사이의 윤활유의 부피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 2레벨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회수탱크의 내부에는;
    설정되어 있는 회수탱크 내 윤활유의 최대량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상부레벨센서와,
    설정되어 있는 회수탱크 내 윤활유의 최소량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하부레벨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을 위한 철도레일용 도유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레벨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받은 경우, 상기 메인펌프를 동작시켜 메인탱크내의 윤활유를 서브탱크로 공급하되, 제 2레벨센서가 감지신호를 출력할 때 까지 공급하고,
    상기 상부레벨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받은 경우, 회수펌프를 동작시켜 회수탱크에 모인 윤활유를 서브탱크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을 위한 철도레일용 도유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튜브에는, 상기 서브탱크로부터 도유부로 이동하는 윤활유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부로서,
    유도튜브내 윤활유의 흐름을 결정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설정된 시간동안 개폐시키는 타임스위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을 위한 철도레일용 도유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유부는;
    그 단부가 상기 레일의 헤드부상에 정위치된 상태로, 상기 유도튜브를 통해 내려온 윤활유를 상기 단부를 거쳐 헤드부의 상면으로 유도하는 도유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을 위한 철도레일용 도유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도유부에는;
    상기 도유판을 지지하되, 레일에 대해 정위치되어 있는 도유판을 레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을 위한 철도레일용 도유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레일의 측부에 고정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도유판지지체와,
    상기 도유판의 하부에 고정되되, 도유판지지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링크된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운동 시켜, 도유판을 레일에 대해 정위치 시키거나 레일로부터 분리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을 위한 철도레일용 도유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레일의 측부에 고정되며, 레일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홀더와,
    상기 슬라이딩홀더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홀더의 연장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며, 그 상단부에 상기 도유판을 갖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를 직선이동시켜, 도유판을 레일에 대해 정위치 시키거나, 레일로부터 분리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을 위한 철도레일용 도유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도유판은;
    상기 레일의 헤드부를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제공하며,
    상기 경사면에는, 경사면을 흐르는 윤활유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안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을 위한 철도레일용 도유장치.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도유판은;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며, 그 상면에는 상기 단부로 개방되며 윤활유가 거쳐가는 체류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을 위한 철도레일용 도유장치.
KR1020140122051A 2014-09-15 2014-09-15 소음저감을 위한 철도레일용 도유장치 KR101522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051A KR101522502B1 (ko) 2014-09-15 2014-09-15 소음저감을 위한 철도레일용 도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051A KR101522502B1 (ko) 2014-09-15 2014-09-15 소음저감을 위한 철도레일용 도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2502B1 true KR101522502B1 (ko) 2015-05-21

Family

ID=53395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2051A KR101522502B1 (ko) 2014-09-15 2014-09-15 소음저감을 위한 철도레일용 도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250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02580A (zh) * 2015-11-05 2016-03-16 中国建材国际工程集团有限公司 浮法玻璃切割机的全自动润滑装置及其方法
WO2019221691A1 (en) * 2018-05-14 2019-11-21 Whitmore Manufacturing,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a lubricant to the rail and determining the amount of lubricant dispensed and remaining
KR20210001222U (ko) * 2019-11-25 2021-06-02 성부섭 모노레일 차량의 윤활유 공급장치
KR20220078205A (ko) * 2020-12-03 2022-06-10 유네코 주식회사 고속열차용 방빙액 분사장치
CN115111516A (zh) * 2022-07-20 2022-09-27 中南大学 一种基于护轨结构的轨道润滑系统
CN115107823A (zh) * 2021-03-23 2022-09-27 中国航天科工飞航技术研究院(中国航天海鹰机电技术研究院) 一种适用于超高速磁悬浮列车轨道的润滑系统及方法
CN115111516B (zh) * 2022-07-20 2024-05-31 中南大学 一种基于护轨结构的轨道润滑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285B1 (ko) * 2010-07-01 2010-11-10 주식회사 케이이엘 철도소음저감 유체분사장치
US20140060972A1 (en) * 2009-05-29 2014-03-06 Glen Appleby Top of rail resilient ba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60972A1 (en) * 2009-05-29 2014-03-06 Glen Appleby Top of rail resilient bar
KR100993285B1 (ko) * 2010-07-01 2010-11-10 주식회사 케이이엘 철도소음저감 유체분사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02580A (zh) * 2015-11-05 2016-03-16 中国建材国际工程集团有限公司 浮法玻璃切割机的全自动润滑装置及其方法
WO2019221691A1 (en) * 2018-05-14 2019-11-21 Whitmore Manufacturing,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a lubricant to the rail and determining the amount of lubricant dispensed and remaining
CN111511627A (zh) * 2018-05-14 2020-08-07 惠特莫尔制造公司 用于将润滑剂分配到轨道并确定所分配及剩余润滑剂量的设备和方法
KR20210001222U (ko) * 2019-11-25 2021-06-02 성부섭 모노레일 차량의 윤활유 공급장치
KR200493851Y1 (ko) * 2019-11-25 2021-06-15 성부섭 모노레일 차량의 윤활유 공급장치
KR20220078205A (ko) * 2020-12-03 2022-06-10 유네코 주식회사 고속열차용 방빙액 분사장치
KR102477628B1 (ko) 2020-12-03 2022-12-13 유네코 주식회사 고속열차용 방빙액 분사장치
CN115107823A (zh) * 2021-03-23 2022-09-27 中国航天科工飞航技术研究院(中国航天海鹰机电技术研究院) 一种适用于超高速磁悬浮列车轨道的润滑系统及方法
CN115107823B (zh) * 2021-03-23 2023-08-15 中国航天科工飞航技术研究院(中国航天海鹰机电技术研究院) 一种适用于超高速磁悬浮列车轨道的润滑系统及方法
CN115111516A (zh) * 2022-07-20 2022-09-27 中南大学 一种基于护轨结构的轨道润滑系统
CN115111516B (zh) * 2022-07-20 2024-05-31 中南大学 一种基于护轨结构的轨道润滑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2502B1 (ko) 소음저감을 위한 철도레일용 도유장치
US9334769B2 (e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crankcase oil sump overfill protection
CN102084128B (zh) 用于风轮机齿轮系统的润滑系统
US6622824B2 (en) Lubrication supply system for a machine
KR101486089B1 (ko) 엘리베이터의 카 가이드 레일 급유 장치
KR101364760B1 (ko) 복합기능 굴삭기의 그리스 공급시스템
US3590857A (en) Constant level liquid supply means
JP4309305B2 (ja) エンジンオイル循環装置
CN110318455B (zh) 一种恒流量排水控制方法及控制系统
US6685778B2 (en) Lane dressing supply system for bowling lane maintenance machines
KR101903618B1 (ko) 기어박스 윤활장치
KR101421228B1 (ko)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
ES2725829T3 (es) Lubricador automático accionado por flujo de aire para una cadena de motocicleta
CN216328328U (zh) 一种新型的工业机器人齿轮设备
US4301824A (en) Sump level maintenance system
CN101982700B (zh) 汽车生产线自动加油机
US3438386A (en) Two liquid measuring devices
KR102022636B1 (ko)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윤활유 순환 시스템
JP2003127858A (ja) レールへの塗油装置
KR101906105B1 (ko) 용수 공급용 다기능 저수조장치
RU151178U1 (ru) Вагон-рельсосмазыватель
KR200493851Y1 (ko) 모노레일 차량의 윤활유 공급장치
KR20200076953A (ko) 염소투입량 조절이 가능한 자동 염소투입 제어 감시/관제 시스템
KR20090006465U (ko) 오일저장탱크의 오버플로우 방지장치
JP3106924U (ja) 自動補給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