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636B1 -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윤활유 순환 시스템 - Google Patents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윤활유 순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636B1
KR102022636B1 KR1020170078600A KR20170078600A KR102022636B1 KR 102022636 B1 KR102022636 B1 KR 102022636B1 KR 1020170078600 A KR1020170078600 A KR 1020170078600A KR 20170078600 A KR20170078600 A KR 20170078600A KR 102022636 B1 KR102022636 B1 KR 102022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lubricating oil
disposed
metal particl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8419A (ko
Inventor
김영식
차길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078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636B1/ko
Publication of KR20180138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6Oils; Viscous liquids; Paints; Inks
    • G01N33/28Oils, i.e. hydrocarbon liquids
    • G01N33/2888Lubricating oil characteristics, e.g. deteri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9/00Special means in lubricating arrangements or systems providing for the indication or detection of undesired conditions; Use of devices responsive to conditions in lubricating arrangements or systems
    • F16N29/02Special means in lubricating arrangements or systems providing for the indication or detection of undesired conditions; Use of devices responsive to conditions in lubricating arrangements or systems for influencing the supply of lubri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9/00Arrangements for conditioning of lubricants in the lubricating system
    • F16N39/06Arrangements for conditioning of lubricants in the lubricating system by filt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6Oils; Viscous liquids; Paints; Inks
    • G01N33/28Oils, i.e. hydrocarbon liquids
    • G01N33/2835Specific substances contained in the oils or fuels
    • G01N33/2847Water in o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6Oils; Viscous liquids; Paints; Inks
    • G01N33/28Oils, i.e. hydrocarbon liquids
    • G01N33/2835Specific substances contained in the oils or fuels
    • G01N33/2858Metal particles
    • F16N2039/0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는,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며, 서로 대향되는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상기 공간과 연통되는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부재; 복수의 관통홀들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부에 기립배치되어 상기 유입구측의 제1 공간 및 상기 배출구측의 제2 공간으로 상기 공간을 분할 가능한 분할플레이트; 상기 제1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공간으로 유입된 윤활유에 포함된 금속성 마모입자량을 측정하여 금속입자량신호를 전달 가능한 금속입자량센싱부재; 상기 제2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윤활유에 포함된 수분함량을 측정하여 수분함량신호를 전달 가능한 수분함량센싱부재; 및 상기 금속입자량신호 및 상기 수분함량신호로부터 상기 윤활유의 오염도를 판단하는 판단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윤활유 순환 시스템{Apparatus for measuring contamination level of lubricant oil and system for lubricant oil circulation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윤활유 순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구동력 전달장치로부터 배출된 윤활유의 오염도를 효과적으로 측정 가능한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 및 측정된 윤활유의 오염도에 따라 구동력 전달장치에 선택적으로 윤활유를 재공급 가능한 윤활유 순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윤활유(lubricant oil)는 기계의 마찰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저감시키거나, 마찰면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을 분산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는 유상물질(油狀物質)을 의미하며, 주로 석탄계 광물유가 주요 성분으로 사용된다. 윤활유의 필요 성질은 그 사용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사용 조건에 적당한 점성을 유지할 것, 안정한 유막을 형성할 것, 열과 산화에 대한 안정성이 높을 것 등이 요구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17769호(2004.02.05.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력 전달장치로부터 배출된 윤활유의 오염도를 효과적으로 측정 가능한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 및 측정된 윤활유의 오염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력 전달장치에 선택적으로 윤활유를 재공급 가능한 윤활유 순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는,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며, 서로 대향되는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상기 공간과 연통되는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부재; 복수의 관통홀들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부에 기립배치되어 상기 유입구측의 제1 공간 및 상기 배출구측의 제2 공간으로 상기 공간을 분할 가능한 분할플레이트; 상기 제1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공간으로 유입된 윤활유에 포함된 금속성 마모입자량을 측정하여 금속입자량신호를 전달 가능한 금속입자량센싱부재; 상기 제2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윤활유에 포함된 수분함량을 측정하여 수분함량신호를 전달 가능한 수분함량센싱부재; 및 상기 금속입자량신호 및 상기 수분함량신호로부터 상기 윤활유의 오염도를 판단하는 판단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유입구는 상기 하우징부재의 상부측에 형성되며, 상기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윤활유가 상기 윤활유의 이동 경로가 하부측을 향해 변경되도록 상기 유입구 일측의 상기 공간 내에 배치되는 가이드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유입구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면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면 상에는 상기 유입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배출구측을 향해 함몰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부재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되되, 하단부가 상기 유입구의 하부측에 위치하도록 연장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금속입자량센싱부재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하단부 일측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는 복수의 필터링홀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공간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필터링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할플레이트는 상기 필터링플레이트 상에 기립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링플레이트는 상기 공간의 하부를 형성하는 상기 하부징부재의 하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분할플레이트는, 제1 높이의 폐쇄형 플레이트로 구비되어 하부측에 배치되는 차단플레이트; 및 제2 높이로 구비되어 상기 차단플레이트의 상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관통홀들이 관통 형성된 베플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금속입자량센싱부재 및 상기 수분함량센싱부재는 상기 제1 높이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분함량센싱부재는 상기 금속입자량센싱부재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제1 공간과 외부를 연통 가능한 제1 서포트홀 및 상기 제2 공간과 외부를 연통 가능한 제2 서포트홀이 각각 제1 공간 및 제2 공간과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는, 상기 제1 서포트홀이 형성된 상기 하우징부재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서포트홀로부터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하단부에 상기 금속입자량센싱부재가 배치되는 제1 서포트부재; 및 상기 제2 서포트홀이 형성된 상기 하우징부재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 서포트홀로부터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하단부에 상기 수분함량센싱부재가 배치되는 제2 서포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포트부재 및 제2 서포트부재는 내부 중공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금속입자량센싱부재 및 상기 수분함량센싱부재로부터 상기 판단유닛을 향해 연장되는 전선부재들의 연결경로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공간과 연통되는 보조배출구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는, 상기 보조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윤활유의 배출경로를 제공 가능한 보조배출배관; 및 상기 보조배출구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윤활유의 배출량을 조절 가능한 보조배출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유닛은 상기 윤활유에 포함된 금속입자량이 기준 금속입자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윤활유가 오염된 것으로 판단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판단유닛은 상기 윤활유에 포함된 수분함량이 기준 수분함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윤활유가 오염된 것으로 판단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는 상기 공간 내에 유입된 상기 윤활유의 양을 외부로 표시 가능한 표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윤활유 순환 시스템은,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며, 서로 대향되는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상기 공간과 연통되는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부재; 복수의 관통홀들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부에 기립배치되어 상기 유입구측의 제1 공간 및 상기 배출구측의 제2 공간으로 상기 공간을 분할 가능한 분할플레이트; 상기 제1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공간으로 유입된 윤활유에 포함된 금속성 마모입자량을 측정하여 금속입자량신호를 전달 가능한 금속입자량센싱부재; 상기 제2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윤활유에 포함된 수분함량을 측정하여 수분함량신호를 전달 가능한 수분함량센싱부재; 구동력 전달장치로부터 상기 유입구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구동력 전달장치에서 사용된 상기 윤활유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회수배관부재; 상기 구동력 전달장치에 재공급되는 상기 윤활유를 저장하는 순환저장조를 향해 상기 배출구로부터 연장되는 순환배관부재; 상기 순환배관부재 상에 배치되어 상기 순환배관부재를 통해 이동하는 상기 윤활유의 이동량을 조절 가능한 순환밸브부재; 및 상기 금속입자량신호 및 상기 수분함량신호로부터 상기 공간 내로 회수된 상기 윤활유의 오염도를 판단하며, 상기 금속입자량 및 상기 수분함량이 기준 금속입자량 및 기준 수분함량 이하인 경우에 한하여 순환밸브부재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윤활유 순환 시스템은, 재생 처리가 요구되는 상기 윤활유를 저장 가능한 재생저장조를 향해 상기 배출구로부터 분기 및 연장되어 상기 윤활유의 이동 경로를 제공 가능한 재생배관부재; 폐기 처리가 요구되는 상기 윤활유를 저장 가능한 폐기저장조를 향해 상기 배출구로부터 분기 및 연장되어 상기 윤활유의 이동 경로를 제공 가능한 폐기배관부재; 상기 재생배관부재 상에 배치되어 상기 재생배관부재를 통해 이동하는 상기 윤활유의 이동량을 조절 가능한 재생밸브부재; 및 상기 폐기배관부재 상에 배치되어 상기 폐기배관부재를 통해 이동하는 상기 윤활유의 이동량을 조절 가능한 폐기배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윤활유의 오염도에 따라 상기 재생밸브부재 및 폐기배관부재의 개도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는, 윤활유 내의 금속성 마모성분량 및 수분함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윤활유의 오염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윤활유 순환 시스템은 구동력 전달장치로부터 배출된 윤활유의 오염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그 오염도에 따라 선별적으로 다시 구동력 전달장치에 윤활유를 공급하는바, 효과적인 윤활유의 순환이 가능하며, 오염된 윤활유에 의해 구동력 전달장치가 이상거동을 일으키거나,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필터링플레이트 및 분할플레이트를 개락적으로 나타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조립도이다.
도 5는 조립된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투시도이다.
도 6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가이드플레이트 및 그 변형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 내의 윤활유의 유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윤활유 순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윤활유 순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언급되는 연결은 두 개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매개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윤활유는 회전 구동력 등을 전달하는 다양한 기계부품들의 마찰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 및 마찰열을 저감 및 분산시키는 목적으로 기계부품들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제철소의 압연설비에는 압연롤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거나 압연롤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어박스를 구비할 수 있으며, 기어박스 내에 배치된 각종 기어, 베어링 등의 기계부품의 마찰력 및 마찰열을 저감 및 분산시키기 위하여 윤활유가 공급될 수 있다. 압연설비의 기어박스에는 설비 특성상 윤활유가 순환 공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기어박스에는 윤활유를 공급하는 공급배관 및 사용된 윤활유를 배출시키는 배출배관이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된 윤활유는 재처리되어 다시 기어박스에 재사용되거나 폐기 처분될 수 있다. 압연설비의 설비 특성상 윤활유 내로 냉각수 등의 유체가 불가피하게 유입되는바, 압연설비의 지속적인 가동에 의해 윤활유 내의 수분함량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윤활유 내로 유입된 수분에 의해 기계부품의 부식이 가속되며, 그에 따라 윤활유 내에 금속성 마모입자의 함량이 증가하게 된다. 윤활유 내에 수분함량 또는 금속성 마모입자의 함량이 상승하게 되는 경우, 기어박스의 비정상적인 작동을 유발시키며, 종국적으로 대형 설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바, 기어박스의 안정적인 유지 및 보수를 위해 윤활유 내에 포함되는 수분함량 또는 금속성 마모입자의 함량을 정확하게 측정 가능한 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윤활유 내의 수분함량 및 금속성 마모입자의 함량을 효과적으로 측정 가능한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윤활유의 순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1)는 내부에 공간(102)을 구비하는 하우징부재(1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재(10)의 일단 및 타단에는 각각 공간(102)과 외부를 연통 가능한 유입구(12) 및 배출구(14)가 관통 형성되며, 유입구(12) 및 배출구(14)가 형성된 하우징부재(10)의 일측 및 타측에는 유입구(12) 및 배출구(14)와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회수배관부재(20) 및 순환배관부재(30)가 배치될 수 있다. 회수배관부재(20)는 각종 기계부품에 사용된 후 회수되는 윤활유의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순환배관부재(30)는 공간(102)으로부터 배출되는 윤활유의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윤활유는 회수배관부재(20)를 따라 이동하여 유입구(12)를 통해 공간(102)으로 공급되며, 공간(102) 내부의 윤활유는 배출구(14)를 통해 순환배관부재(30)로 배출될 수 있다.
유입구(12) 및 배출구(14)는 하우징부재(10)의 서로 대향되는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되는 것이 윤활유의 유동 효율 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며, 윤활유 내에 포함된 금속성 마모입자의 함량 및 수분함량의 측정의 정확성을 효과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유입구(12) 및 배출구(14)는 하우징부재(10)의 상부측의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하우징부재(10)의 외부에는 공간(102) 내부로 유입된 윤활유의 유량을 표시 가능한 표시부재(7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표시부재(70)를 통해 공간(102) 내부의 윤활유의 수용량을 파악할 수 있다. 도 1에는 눈금 및 표시창을 구비하는 표시부재(70)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표시부재(70)는 반드시 이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며, 공간(102) 내부의 윤활유량을 표시 가능한 모든 수단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공간(102)의 하부측에는 필터링플레이트(110)가 배치될 수 있으며, 필터링플레이트(110)에 의해 하부측의 하부공간(103) 및 상부측의 상부공간(105)으로 공간(102)이 분할될 수 있다. 또한, 필터링플레이트(110) 상에는 분할플레이트(120)가 기립 배치될 수 있으며, 분할플레이트(120)에 의해 상부공간(105)은 유입구(12)측의 제1 공간(106) 및 배출구(14)측의 제2 공간(108)으로 분할될 수 있다. 필터링플레이트(110)에는 복수의 필터링홀들(112)이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분할플레이트(120)는 필터링플레이트(110)의 직상부에 배치되는 폐쇄형의 차단플레이트(122) 및 차단플레이트(122)의 상부측에 배치되며 복수의 관통홀들(125)이 수평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베플플레이트(124)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플레이트(122)는 제1 높이(h1)로 구비될 수 있으며, 베플플레이트(124)는 제2 높이(h2)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분할플레이트(120)의 높이(h1+h2)는 필터링플레이트(110)로부터 하우징부재(10) 상부까지의 높이(h)보다 작은 높이로 구비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1 공간(106) 및 제2 공간(108)의 상부측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필터링플레이트(110)에는 복수의 필터링홀(112)들이 관통 형성되는바, 윤활유 내에 포함되는 금속성 마모입자들이 필터링홀(112)을 통해 하부공간(103)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분할플레이트(120)은 제1 높이(h1)를 가지는 차단플레이트(122) 및 차단플레이트(122)의 상부측에 배치되며 복수의 관통홀들(125)이 관통 형성된 베플플레이트(124)를 포함하는바, 차단플레이트(122)에 의해 초기에 제1 공간(106)으로 유입되는 윤활유에 맴돌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제1 높이(h1) 이상의 윤활유가 유입된 경우에 제2 공간(108)으로 윤활유가 유입되는바 제2 공간(108) 내로 공급된 윤활유에서 맴돌이 현상 내지는 흔들림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1 공간(106) 내부의 유입구(12)의 일측에는 가이드플레이트(130)가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플레이트(130)는 하우징부재(10)의 상부에 연결되어 하부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가이드플레이트(130)의 하단이 유입구(12)의 하부측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가이드플레이트(130)의 일면에 형성된 가이드면은 유입구(12)와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유입구(12)를 통해 제1 공간(106)으로 유입된 윤활유는 가이드플레이트(130)의 가이드면에 충돌한 후 가이드플레이트(130)를 따라 하부측으로 그 유동 방향이 전환되는바, 공간(102) 내에서 윤활유가 비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입구(12)와 대응하는 위치의 가이드면 상에는 배출구(14) 쪽을 향하여 함몰된 가이드홈(13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간(106)으로 유입된 윤활유는 가이드홈(132)에 충돌한 부 상부측을 향해 튀거나, 비산되는 것이 방지되는바, 공간(102) 내에서 윤활유가 비산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홈(132)의 구체적인 형상 및 그 변형예에 대해서는 아래의 도 6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1) 필터링플레이트(110) 및 분할플레이트(120)를 구비하는바, 공간(102) 내에서 윤활유의 비산 및 맴돌이 현상을 방지하여 윤활유 내에 기포 등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공간(102) 내로 공급된 윤활유에 포함된 수분함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제1 공간(106) 및 제2 공간(108)에는 윤활유에 포함된 금속성 마모입자량을 측정 가능한 금속입자량센싱유닛(40) 및 윤활유에 포함된 수분함량을 측정 가능한 수분함량센싱유닛(50)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금속입자량센싱유닛(40) 및 수분함량센싱유닛(50)이 각각 제2 공간(108) 및 제1 공간(106)에 배치되는 경우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으나, 윤활유에 포함된 금속성 마모입자량 및 수분함량 측정의 정확성 측면에서 금속입자량센싱유닛(40) 및 수분함량센싱유닛(50)은 각각 제1 공간(106) 및 제2 공간(108)에 구분되어 배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1 공간(106)과 대응하는 하우징부재(10)의 상부측에는 제1 공간(106)과 외부를 연통 가능한 제1 서포트홀(106')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입자량센싱유닛(40)은 제1 서포트홀(106')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하우징부재(10)의 상부측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금속입자량센싱유닛(40)은 내부중공형으로 구비되어 상단은 하우징부재(10)의 상부에 고정되고 하단은 제1 공간(106)에 내에 배치되며, 제1 서포트홀(106')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제1 서포트부재(420), 제1 서포트부재(420)의 하단부에 실장 배치되는 금속입자량센싱부재(410), 제1 서포트부재(420)의 하단부에 금속입자량센싱부재(410)를 고정시키는 제1 고정구(412), 제1 서포트부재(420)의 상단부를 하우징부재(10)의 상부측에 체결시키는 제1 체결구(422), 제1 서포트부재(420)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제1 플렉서블호스(430) 및 금속입자량센싱부재(410)에 연결되며, 제1 서포트부재(420) 및 제1 플렉서블호스(430)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는 제1 전선부재(4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공간(108)과 대응하는 하우징부재(10)의 상부측에는 제2 공간(108)과 외부를 연통 가능한 제2 서포트홀(108')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수분함량센싱유닛(50)은 제2 서포트홀(108')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하우징부재(10)의 상부측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수분함량센싱유닛(50)은 내부중공형으로 구비되어 상단은 하우징부재(10)의 상부에 고정되고 하단은 제2 공간(108) 내에 배치되며, 제2 서포트홀(108')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제2 서포트부재(520), 제2 서포트부재(520)의 하단부에 실장 배치되는 수분함량센싱부재(510), 제2 서포트부재(520)의 하단부에 수분함량센싱부재(510)를 고정시키는 제2 고정구(512), 제2 서포트부재(520)의 상단부를 하우징부재(10)의 상부측에 체결시키는 제2 체결구(522), 제2 서포트부재(520)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제2 플렉서블호스(530) 및 수분함량센싱부재(510)에 연결되며, 제2 서포트부재(520) 및 제2 플렉서블호스(530)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는 제2 전선부재(514)를 포함할 수 있다.
금속입자량센싱부재(410) 및 수분함량센싱부재(510)는 제1 높이(h1)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금속입자량센싱부재(410)는 가이드플레이트(130) 하단부의 하부측 일측에 배치되고, 수분함량센싱부재(510)는 금속입자량센싱부재(410)보다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금속입자량센싱부재(410)가 가이드플레이트(130) 하단부의 하부측 일측에 배치되는바, 윤활유에 포함된 금속성 마모입자들이 자중에 의해 하부측으로 이동하기 전의 상태를 정확히 측정 가능할 수 있으며, 윤활유에 포함된 금속성 마모입자들의 함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수분함량센싱부재(510)는 제1 공간(106)과 구분되는 제2 공간(108)에 배치되며, 가이드플레이트(130) 및 분할플레이트(120)에 의해 윤활유 내의 기포 생성을 최대한 억제하여 윤활유에 포함된 수분함량을 측정 가능한바, 윤활유에 포함된 수분의 함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더불어, 수분함량센싱부재(510)는 필터링플레이트(110)에 의해 금속성 마모입자들이 일정량 하부공간(103)으로 이동된 후 윤활유에 포함된 수분함량을 측정하게 되는바, 금속성 마모입자들에 의해 수분함량 측정 결과값이 영향 받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하우징부재(10)의 하부측에는 하부공간(103)과 외부를 연통 가능한 보조배출구(104)가 관통 형성되며, 보조배출구(104)에 대응하는 하우징부재(10)의 하부측에는 보조배출구(104)와 연통되는 보조배출배관(60)이 배치될 수 있다. 보조배출배관(60) 상에는 보조배출밸브(62)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보조배출밸브(62)에 의해 보조배출관(60)을 통해 이동하는 유체의 유량이 조절될 수 있다.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 도중 또는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 작업이 종료된 후 작업자는 보조배출밸브(62)를 개방하고 공간(102) 내에 세척액 등의 유체를 공급하여 하우징부재(10)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부공간(103) 내에 퇴적되었던 금속성 마모입자들은 보조배출배관(6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1)는 금속입자량센싱유닛(40)으로부터 금속입자량신호를 전달받거나 및 수분함량센싱유닛(50)으로부터 수분함량신호를 전달받아 윤활유의 오염도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표시 가능한 판단유닛(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판단유닛(80)은 금속입자량신호 및 수분함량신호를 기초로 현재 공간(102) 내부의 윤활유의 금속성 마모입자량 및 수분함량이 기준 금속입자량 및 기준 수분함량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현재 공간(102) 내부의 윤활유에 포함된 금속성 마모입자량 및 수분함량이 기준 금속입자량 및 기준 수분함량을 초과하는 경우 윤활유가 오염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판단유닛(80)의 결과값을 기초로 윤활유의 재사용, 재생, 폐기 등을 결정할 수 있는바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며, 그에 따라 효과적인 윤활유의 순환이 가능할 수 있다.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필터링플레이트 및 분할플레이트를 개락적으로 나타난 단면도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플레이트(120)에 구비되는 베플플레이트(124)에는 베플플레이트(124)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관통홀들(125)이 구비되며, 관통홀들(125)에 의해 제1 공간(106) 및 제2 공간(108)이 연통될 수 있다. 관통공들(125)의 직경(d2)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높이방향을 따라 직경(d2)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필터링플레이트(110)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필터링플레이트(110)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필터링홀들(1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공간(106)과 하부공간(103)을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제1 필터링홀들(112a) 및 제2 공간(108)과 하부공간(103)을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제2 필터링홀들(112b)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필터링홀들(112a)의 직경(d1a) 및 제2 필터링홀들(112b)의 직경(d1b)은 동일하게 구비될 수도 있으며, 제1 공간(106)으로부터 제2 공간(108)을 향해 순차적으로 직경이 감소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제1 필터링홀들(112a) 및 제2 필터링홀들(112b)은 금속성 마모입자가 상부공간(105)으로부터 하부공간(103)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취지에 비추어 볼 때, 그 직경(d1a, d1b)은 관통홀들(125)의 직경(d2) 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터링홀들(112a)의 직경(d1a) 은 제2 필터링홀들(112b)의 직경(d1b)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윤활유의 유동 방향에 따라 금속성 마모입자의 입도에 따른 순차적인 필터링이 가능하며, 제1 공간(106)으로부터 하부공간(103)으로 이동한 금속성 마모입자가 다시 제2 공간(108)으로 역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조립도이며, 도 5는 조립된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재(10)는 상부측의 상부하우징프레임(10a) 및 하부측의 메인하우징프레임(10b)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부하우징프레임(10a) 및 메인하우징프레임(10b)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 공간(102)을 구비하는 하우징부재(10)가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플레이트(130)는 상부하우징프레임(10a)의 하단면에 고정 배치될 수 있으며, 필터링플레이트(110) 및 분할플레이트(120)는 메인하우징프레임(10b)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부하우징프레임(10a) 상에는 제1 서포트홀(106') 및 제2 서포트홀(108')이 관통 형성되며, 제1 서포트홀(106') 및 제2 서포트홀(108')의 주위에는 제1 체결공(422') 및 제2 체결공(5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구들(422) 및 제2 체결구들(522)은 각각 제1 서포트부재(420) 및 제2 서포트부재(520)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선단부가 각각 제1 체결공(422') 및 제2 체결공(522')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부하우징프레임(10a)에 금속입자량센싱유닛(40) 및 산소함량센싱유닛(50)이 고정 배치될 수 있다. 메인하우징프레임(10b) 내에 필터링플레이트(110) 및 분할플레이트(120)를 배치한 후, 가이드플레이트(130), 금속입자량센싱유닛(40) 및 산소함량센싱유닛(50)이 고정된 상부하우징프레임(10a)을 메인하우징프레임(10b)의 상부에 고정시킴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1)가 제공될 수 있다.
도 6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가이드플레이트 및 그 변형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플레이트(130) 상에는 유입구(12)와 대응하는 위치에 가이드홈(132)이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홈(132)은 절곡 형성된 제1 절곡플레이트(132a) 및 제2 절곡플레이트(132b)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곡플레이트(132a) 및 제2 절곡플레이트(132b)는 서로 대응하는 높이로 가이드플레이트(130)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 윤활유는 제1 절곡플레이트(132a) 및 제2 절곡플레이트(132b)와 충돌한 후 가이드플레이트(130)를 따라 하부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공간(106) 내로 유입된 윤활유의 비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윤활유의 유입량 및 유입속도, 윤활유의 점도 등의 요소에 따라 가이드홈(132)의 형상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3의 (b)와 같이, 제1 절곡플레이트(132a)에 비해 제1 절곡플레이트(132b)가 더 큰 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도 3의 (c)와 같이 반구형 또는 반타원구형의 가이드홈(132)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들은 본 발명의 가이드홈(132)의 일 예들에 불과하며,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되는 윤활유의 비산을 효과적으로 방지 가능한 모든 형상이 본 발명의 가이드홈(132)에 포함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 내의 윤활유의 유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2)를 통해 제1 공간(106)으로 유입된 윤활유(A)는 차단플레이트(122)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차오른 후 관통공들(125)을 통해 제2 공간(108)으로 유입(B)되거나, 또는 필터링플레이트(110)에 형성된 필터링홀(112)을 통해 제2 공간(108)으로 유입(C)될 수 있다. 즉, 제1 공간(106)으로 유입된 윤활유는 1차적으로 제1 공간(106)에 머무른 후 제2 공간(108)으로 유입되는바, 제2 공간(108) 내에서 윤활유의 맴돌이 현상 등의 윤활유의 급작스러운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유입구(12)를 통한 윤활유의 공급이 지속되는 경우 공간(102) 내의 유량은 증가하게 되며, 배출구(13)에 도달한 윤활유는 배출구(13)를 통해 하우징부재(10)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윤활유 순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윤활유 순환 시스템(5) 앞서 설명한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1)의 주요구성을 모두 포함하는바, 서로 대응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1)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윤활유 순환 시스템(5)은 하우징부재(10)로부터 구동력 전달장치(7)를 향해 연장된 회수배관부재(20)를 구비하며, 구동력 전달장치(7)에서 사용된 윤활유는 회수배관부재(20)를 통해 이동하여 하우징부재(1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구동력 전달장치(7)는 회전 구동력을 전달 가능한 각종 기계 부품들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압연롤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거나 압연롤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어박스일 수 있다.
순환배관부재(330), 재생배관부재(320) 및 폐기배관부재(310)은 배출구(13)로부터 연장되어 각각 분기되도록 배치되며, 순환배관부재(330), 재생배관부재(320) 및 폐기배관부재(310)는 각각 순환저장조(930), 재생저장조(920) 및 폐기저장조(910)를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순환배관부재(330), 재생배관부재(320) 및 폐기배관부재(310) 상에는 각각의 배관을 통해 이동하는 유체의 이동량을 조절 가능한 순환밸브부재(332), 재생밸브부재(322) 및 폐기밸브부재(312)가 배치되며, 제어유닛(90)은 공간(102) 내로 유입된 윤활유 내에 포함된 금속성 마모입자량 및 수분함량을 기초로 각각의 순환밸브부재(332), 재생밸브부재(322) 및 폐기밸브부재(312)의 개도를 제어할 수 있다.
순환밸브부재(332), 재생밸브부재(322) 및 폐기밸브부재(312)가 모두 폐쇄된 기준상태를 기준으로, 제어유닛(90)은 공간(102)으로 유입된 윤활유 내에 포함된 금속성 마모입자량 및 수분함량이 기준 금속입자량 및 기준 수분함량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순환밸브부재(312)만을 개방하여 순환배관부재(310)를 통해 순환저장조(910)로 윤활유가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순환저장조(910)에 저장된 윤활유는 다시 구동력 전달장치(7)로 공급되어 재사용 될 수 있다.
제어유닛(90)은 기준상태를 기준으로 공간(102)으로 유입된 윤활유 내에 포함된 금속성 마모입자량 및 수분함량이 기준 금속입자량 이상이거나 기준 수분함량 이상이나 폐기 금속입자량 및 폐기 수분함량 이내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재생밸브부재(322) 만을 개방하여 재생배관부재(320)를 통해 재생저장조(920)로 윤활유가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유닛(90)은 공간(102)으로 유입된 윤활유 내에 기준 금속입자량 이상 또는 기준 수분함량 이상의 금속성 마모입자 또는 수분이 함유되어 있으나, 일정한 처리 과정을 거쳐 재사용 가능한 수준이라면, 재생밸브부재(322)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재생저장조(920)에 저장된 윤활유는 유수분리장치 또는 금속성분 제거장치 등에서 일련의 처리 공정을 거친 후 순환저장조(93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90)은 기준상태를 기준으로 공간(102)으로 유입된 윤활유 내에 포함된 금속성 마모입자량 및 수분함량이 폐기 금속입자량 및 폐기 수분함량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폐기밸브부재(312) 만을 개방하여 폐기배관부재(310)을 통해 폐기저장조(910)로 윤활유가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폐기저장조(910)에 저장된 윤활유는 별도의 폐기장치 등에 의해 폐기 처리될 수 있다.
이상에서 검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윤활유 순환 시스템(5)은 구동력 전달장치(7)로부터 배출된 윤활유의 오염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그 오염도에 따라 선별적으로 다시 구동력 전달장치(7)에 윤활유를 공급하는바, 효과적인 윤활유의 순환이 가능하며, 오염된 윤활유에 의해 구동력 전달장치(7)가 이상 거동을 일으키거나,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 5: 윤활유 순환 시스템
7: 구동력 전달장치 10: 하우징부재
20: 회수배관부재 30: 순환배관부재
40: 금속입자량센싱유닛 50: 수분함량센싱유닛
60: 보조배관부재 70: 표시부재
80: 판단유닛 90: 제어유닛
110: 필터링플레이트 120: 분할플레이트
130: 가이드플레이트 310: 폐기배관부재
320: 재생배관부재 330: 순환배관부재
410: 금속입자량센싱부재 510: 수분함량센싱부재
910: 폐기저장조 920: 재생저장조
930: 순환저장조

Claims (17)

  1.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며, 서로 대향되는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상기 공간과 연통되는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부재;
    복수의 관통홀들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부에 기립배치되어 상기 유입구측의 제1 공간 및 상기 배출구측의 제2 공간으로 상기 공간을 분할 가능한 분할플레이트;
    상기 제1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공간으로 유입된 윤활유에 포함된 금속성 마모입자량을 측정하여 금속입자량신호를 전달 가능한 금속입자량센싱부재;
    상기 제2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윤활유에 포함된 수분함량을 측정하여 수분함량신호를 전달 가능한 수분함량센싱부재; 및
    상기 금속입자량신호 및 상기 수분함량신호로부터 상기 윤활유의 오염도를 판단하는 판단유닛을 포함하는,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하우징부재의 상부측에 형성되며,
    상기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윤활유가 상기 윤활유의 이동 경로가 하부측을 향해 변경되도록 상기 유입구 일측의 상기 공간 내에 배치되는 가이드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유입구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면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면 상에는 상기 유입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배출구측을 향해 함몰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부재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되되, 하단부가 상기 유입구의 하부측에 위치하도록 연장 배치되는,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입자량센싱부재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하단부 일측의 하부에 배치되는,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는 복수의 필터링홀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공간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필터링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할플레이트는 상기 필터링플레이트 상에 기립 배치되는,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플레이트는 상기 공간의 하부를 형성하는 상기 하부징부재의 하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플레이트는,
    제1 높이의 폐쇄형 플레이트로 구비되어 하부측에 배치되는 차단플레이트; 및
    제2 높이로 구비되어 상기 차단플레이트의 상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관통홀들이 관통 형성된 베플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금속입자량센싱부재 및 상기 수분함량센싱부재는 상기 제1 높이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함량센싱부재는 상기 금속입자량센싱부재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제1 공간과 외부를 연통 가능한 제1 서포트홀 및 상기 제2 공간과 외부를 연통 가능한 제2 서포트홀이 각각 제1 공간 및 제2 공간과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는,
    상기 제1 서포트홀이 형성된 상기 하우징부재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서포트홀로부터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하단부에 상기 금속입자량센싱부재가 배치되는 제1 서포트부재; 및
    상기 제2 서포트홀이 형성된 상기 하우징부재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 서포트홀로부터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하단부에 상기 수분함량센싱부재가 배치되는 제2 서포트부재를 더 포함하는,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포트부재 및 제2 서포트부재는 내부 중공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금속입자량센싱부재 및 상기 수분함량센싱부재로부터 상기 판단유닛을 향해 연장되는 전선부재들의 연결경로를 각각 제공하는,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공간과 연통되는 보조배출구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는,
    상기 보조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윤활유의 배출경로를 제공 가능한 보조배출배관; 및
    상기 보조배출구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윤활유의 배출량을 조절 가능한 보조배출밸브를 더 포함하는,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유닛은 상기 윤활유에 포함된 금속성 마모입자량이 기준 금속입자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윤활유가 오염된 것으로 판단결과를 도출하는,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유닛은 상기 윤활유에 포함된 수분함량이 기준 수분함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윤활유가 오염된 것으로 판단결과를 도출하는,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는 상기 공간 내에 유입된 상기 윤활유의 양을 외부로 표시 가능한 표시부재를 더 포함하는,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
  16.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며, 서로 대향되는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상기 공간과 연통되는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부재;
    복수의 관통홀들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부에 기립배치되어 상기 유입구측의 제1 공간 및 상기 배출구측의 제2 공간으로 상기 공간을 분할 가능한 분할플레이트;
    상기 제1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공간으로 유입된 윤활유에 포함된 금속성 마모입자량을 측정하여 금속입자량신호를 전달 가능한 금속입자량센싱부재;
    상기 제2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윤활유에 포함된 수분함량을 측정하여 수분함량신호를 전달 가능한 수분함량센싱부재;
    구동력 전달장치로부터 상기 유입구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구동력 전달장치에서 사용된 상기 윤활유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회수배관부재;
    상기 구동력 전달장치에 재공급되는 상기 윤활유를 저장하는 순환저장조를 향해 상기 배출구로부터 연장되는 순환배관부재;
    상기 순환배관부재 상에 배치되어 상기 순환배관부재를 통해 이동하는 상기 윤활유의 이동량을 조절 가능한 순환밸브부재; 및
    상기 금속입자량신호 및 상기 수분함량신호로부터 상기 공간 내로 회수된 상기 윤활유의 오염도를 판단하며, 상기 금속입자량 및 상기 수분함량이 기준 금속입자량 및 기준 수분함량 이하인 경우에 한하여 순환밸브부재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윤활유 순환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순환 시스템은,
    재생 처리가 요구되는 상기 윤활유를 저장 가능한 재생저장조를 향해 상기 배출구로부터 분기 및 연장되어 상기 윤활유의 이동 경로를 제공 가능한 재생배관부재;
    폐기 처리가 요구되는 상기 윤활유를 저장 가능한 폐기저장조를 향해 상기 배출구로부터 분기 및 연장되어 상기 윤활유의 이동 경로를 제공 가능한 폐기배관부재;
    상기 재생배관부재 상에 배치되어 상기 재생배관부재를 통해 이동하는 상기 윤활유의 이동량을 조절 가능한 재생밸브부재; 및
    상기 폐기배관부재 상에 배치되어 상기 폐기배관부재를 통해 이동하는 상기 윤활유의 이동량을 조절 가능한 폐기밸브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윤활유의 오염도에 따라 상기 재생밸브부재 및 폐기밸브부재의 개도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윤활유 순환 시스템.
KR1020170078600A 2017-06-21 2017-06-21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윤활유 순환 시스템 KR102022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600A KR102022636B1 (ko) 2017-06-21 2017-06-21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윤활유 순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600A KR102022636B1 (ko) 2017-06-21 2017-06-21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윤활유 순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419A KR20180138419A (ko) 2018-12-31
KR102022636B1 true KR102022636B1 (ko) 2019-09-18

Family

ID=64959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600A KR102022636B1 (ko) 2017-06-21 2017-06-21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윤활유 순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6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32026B (zh) * 2021-07-02 2024-07-12 北京威治科技有限公司 箱式部件集中润滑系统及油处理组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1388A (ja) 2003-03-10 2004-09-30 Denso Corp オイル用pHセンサ
KR100928947B1 (ko) 2008-02-21 2009-11-3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통합형 인라인 오일 모니터링 장치
KR101611491B1 (ko) 2008-10-22 2016-04-11 토탈 마케팅 서비스 윤활유 품질 제어용 장치 및 윤활유를 사용하는 산업 장비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4732B2 (ja) * 1991-08-29 1998-02-16 東洋運搬機株式会社 潤滑油の性能判定装置
KR100417769B1 (ko) 2003-04-21 2004-02-05 한국기계연구원 폐윤활유속에 포함된 입자상 오염물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93364A (ko) * 2015-01-29 2016-08-08 (주)호현 선박 엔진 윤활유의 수분 함유도 검사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1388A (ja) 2003-03-10 2004-09-30 Denso Corp オイル用pHセンサ
KR100928947B1 (ko) 2008-02-21 2009-11-3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통합형 인라인 오일 모니터링 장치
KR101611491B1 (ko) 2008-10-22 2016-04-11 토탈 마케팅 서비스 윤활유 품질 제어용 장치 및 윤활유를 사용하는 산업 장비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419A (ko) 201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8152A (en) Lubricating system
EP3007795B1 (de) Filteranlage zum entfernen und/oder neutralisieren von ungelösten ölen, fetten und salzen und/oder metallabrieben auf und in wasserhaltigen emulsionen
KR102022636B1 (ko) 윤활유의 오염도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윤활유 순환 시스템
JP2009523069A (ja) ロールネックを収容する取付け部材を備える圧延スタンド
EP3554725B1 (en) Apparatus for cleaning industrial parts
US20220387907A1 (en) Improved filter system for removing and/or neutralizing undissolved oil, grease, and salts and/or abraded metal particles on and in emulsions containing water
KR101522502B1 (ko) 소음저감을 위한 철도레일용 도유장치
KR20220124204A (ko) 풍력 터빈의 메인 베어링 하우징
JP5892705B2 (ja) 工作機械の加工液タンク
WO2002020121A2 (de) Sedimentationsfilteranlage
CN208877959U (zh) 一种油水分离装置
JP5430790B1 (ja) 流路式浮上油回収装置
JP4427724B2 (ja) 油圧製品の検査装置
KR20170007410A (ko) 냉각 윤활제 혼합물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반제품 성형을 위한 성형 설비, 그리고 냉각 윤활제 혼합물의 이용
US20070235090A1 (en) Fluid processing system
KR20140035872A (ko) 필터 프레스에 있어서의 여과판의 윤활방법, 윤활장치 및 이 윤활장치를 구비한 필터 프레스
MXPA00010617A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el vaciado de un medio lubricante desde cojinetes de deslizamiento..
JP4067627B2 (ja) オイルエア潤滑装置
CN219429699U (zh) 一种沥液器及液体收集装置
CN208365176U (zh) 一种润滑油的冷却装置
KR102526002B1 (ko) 냉난방 시스템용 공기 및 이물질 제거장치
CN216827943U (zh) 一种新式乳液车间在线自动撇油装置
KR20160137101A (ko) 절삭유 수거 장치
CN211039407U (zh) 一种海洋拖拽设备的钢索卷筒润滑装置
GB2260581A (en) De-aeration of water-based hydraulic flu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