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657Y1 - 교체를 위한 어태치먼트를 구비하는 포크레인 - Google Patents

교체를 위한 어태치먼트를 구비하는 포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657Y1
KR200493657Y1 KR2020190002803U KR20190002803U KR200493657Y1 KR 200493657 Y1 KR200493657 Y1 KR 200493657Y1 KR 2020190002803 U KR2020190002803 U KR 2020190002803U KR 20190002803 U KR20190002803 U KR 20190002803U KR 200493657 Y1 KR200493657 Y1 KR 2004936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hook
forkrain
rotation shaft
doze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8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087U (ko
Inventor
이동우
Original Assignee
이동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우 filed Critical 이동우
Priority to KR20201900028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657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0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0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6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6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22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a hook and a locking element acting on a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3Arrangements on backhoes for alternate use of different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크레인 본체에 설치되는 아암과, 상기 아암의 선단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켓과, 상기 아암 및 상기 버켓을 작동시키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포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포크레인 본체의 전방에서 수평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설치되는 도저 블레이드부 및 상기 도저 블레이드부의 전방에 돌출되게 결합되고, 상기 버켓과 다른 용도를 가지는 어태치먼트가 걸림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교체를 위한 어태치먼트를 구비하는 포크레인{Excavator having attachment for change}
본 고안은 교체를 위한 어태치먼트를 구비하는 포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암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버켓 이외의 다른 용도의 어태치먼트가 교체 가능하게 구비된 포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크레인은 토사나 자재의 운반, 적재 및 굴착 작업을 위한 건설기계를 말한다.
또한, 포크레인에는 어태치먼트가 설치되며, 설치되는 어태치먼트의 종류에 따라 작업이 달라진다.
이러한 포크레인은 하나의 작업당 2 가지 내지 3 가지 정도의 어태치먼트를 교환하며 작업하게 되며, 이때 포크레인에 사용되는 어태치먼트에는 버켓(Bucket), 집게, 브레이커(Breaker) 등이 있다.
그러나, 통상 포크레인은 한번에 하나의 어태치먼트만을 설치할 수 있게 때문에, 다른 어태치먼트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작업에 필요한 어태치먼트가 위치된 장소까지 이동하여 하여야 한다.
여기서, 통상 필요한 어태치먼트가 위치된 장소와 포크레인이 작업하는 장소 사이에는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필요한 어태치먼트로 교환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어태치먼트의 교환을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포크레인의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아암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버켓 이외의 다른 용도를 가진 어태치먼트가 도저 블레이드에 고정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어태치먼트의 교체를 위하여 해당되는 보관 위치까지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작업 시간 또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교체를 위한 어태치먼트를 구비하는 포크레인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교체를 위한 어태치먼트를 구비하는 포크레인은 포크레인 본체에 설치되는 아암과, 상기 아암의 선단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켓과, 상기 아암 및 상기 버켓을 작동시키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포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포크레인 본체의 전방에서 수평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설치되는 도저 블레이드부 및 상기 도저 블레이드부 전방에 돌출되게 결합되고, 상기 버켓과 다른 용도를 가지는 어태치먼트가 걸림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도저 블레이드부를 관통하며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게 결합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며, 상기 어태치먼트에 마련된 회동축이 내부에 걸림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후크 및 상기 도어 블레이드의 후방에 위치된 상기 연결관에 체결되며, 상기 후크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후크는 상기 고정부재의 제거를 통하여 상기 도어 블레이드 전방의 상기 연결관에서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는 상기 고정부재의 제거에 따른 분리 시 수납부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와 함께 수납된다.
또한, 상기 후크는 상기 회동축이 내부로 인입되도록 마련된 개방 영역을 차폐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개방 영역의 내부에서 상기 회동축의 이탈을 차단하도록 결합되는 차단편을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차단편은 상기 회동축의 삽입 시 상기 후크에서 분리되며, 상기 회동축이 삽입된 이후 선택적으로 상기 후크에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차단편은 상기 개방 영역과 마주하도록 상기 후크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가이드에 의해 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한편, 상기 차단편은 상기 회동축의 삽입 시 회전 이동을 통해 상기 회동축의 인입을 위한 개방 영역이 개방되도록 하며, 상기 회동축의 삽입 이후에 상기 개방 영역이 차단되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은, 아암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버켓 이외의 다른 용도를 가진 어태치먼트가 도저 블레이드에 고정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어태치먼트의 교체를 위하여 해당되는 보관 위치까지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작업 시간 또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고안은 어태치먼트가 고정된 상태에서 포크레인이 이동하는 경우, 진동, 충격 등으로 인하여 어태치먼트가 고정부재 상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행 간섭을 최소화하며 어태치먼트 휴대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교체를 위한 어태치먼트를 구비하는 포크레인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교체를 위한 어태치먼트를 구비하는 포크레인의 도저 블레이드부 및 걸림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교체를 위한 어태치먼트를 구비하는 포크레인에 대한 어태치먼트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걸림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교체를 위한 어태치먼트를 구비하는 포크레인에 대한 어태치먼트가 결합 해제된 상태에서의 걸림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교체를 위한 어태치먼트를 구비하는 포크레인에 대한 걸림부의 보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교체를 위한 어태치먼트를 구비하는 포크레인에 대한 차단편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교체를 위한 어태치먼트를 구비하는 포크레인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교체를 위한 어태치먼트를 구비하는 포크레인의 도저 블레이드부 및 걸림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교체를 위한 어태치먼트를 구비하는 포크레인에 대한 어태치먼트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걸림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4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교체를 위한 어태치먼트를 구비하는 포크레인에 대한 어태치먼트가 결합 해제된 상태에서의 걸림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교체를 위한 어태치먼트를 구비하는 포크레인에 대한 걸림부의 보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교체를 위한 어태치먼트를 구비하는 포크레인에 대한 차단편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포크레인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레인 본체에 설치되는 아암(10)과, 아암(10)의 선단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켓(20)과, 아암(10) 및 버켓(20)을 작동시키는 유압 실린더(30)를 포함하고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른 포크레인은 도저 블레이드부(100) 및 걸림부(200)를 더 포함한다.
도저 블레이드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레인 하단부에 위치된 하부 프레임(110)에 결합되며, 포크레인 본체의 전방에서 수평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설치된다.
이러한 도저 블레이드부(100)는 지면에 대한 평탄화 작업을 위하여 마련되며, 지면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도어 블레이드부(100)는 평탄화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는 하강하게 되고, 포크레인의 주행 시에는 주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상승하게 되며, 이러한 승강 또는 하강의 동작은 운전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걸림부(200)는 도저 블레이드부(100) 전방에 돌출되게 결합되고, 버켓(30)과 다른 용도를 가지는, 예를 들어 크기가 다른 버켓이나, 또는 집게, 브레이커 등과 같은 어태치먼트(1)가 걸림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걸림부(200)는 연결관(210), 후크(220) 및 고정부재(330)를 구비한다.
연결관(210)은 도저 블레이드(100) 중심에 마련된 삽입 홀을 관통하며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결합된다.
여기서, 연결관(2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저 블레이드부(100)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되게 결합될 수도 있으나, 도저 블레이드(100) 상면에 힌지 결합될 수도 있고, 그에 따라 사용 시에만 후방으로 선택적인 폴딩이 이루어져 미사용 시 돌출에 의한 간섭을 방지할 수도 있다.
후크(220)는 연결관(210)과 연결되며, 어태치먼트(1)의 회동축(1a)이 내부에 걸림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후크(220)의 내부는 삽입된 회동축(1a)의 하부를 용이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회동축(1a)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후크(220)에는 상부 방향으로 개방 영역(A)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개방 영역(A)을 통해 회동축(1a)이 용이하게 삽입되어 내부에 걸림 위치되게 할 수 있다.
고정부재(230)는 도저 블레이드부(100)의 후방에 위치된 연결관(210) 단부에 체결되며, 후크(2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고정부재(230)는 삽입 홀을 관통한 연결관(210) 단부에 체결, 회전을 통해 이동하여 도저 블레이드부(100)의 후방에 접하게 배치됨으로써, 도저 블레이드부(100)로 진동 또는 충격 등이 가해지더라도, 효과적으로 연결관(210) 및 후크(2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230)는 연결관(210) 단부를 관통하는 소정의 길이를 가진 핀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와 같이 너트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그에 따라 연결관(210)의 단부에 마련된 나사산에 결합 및 회전을 통해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도저 블레이드부(100)의 후방에서 확실하게 연결관(210) 및 후크(2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230)는 연결관(210)과 후크(220)를 관통하거나, 또는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손쉽게 제거가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연결관(210) 및 후크(220)를 도저 블레이드부(100)에서 분리하거나, 또는 회동축(1a)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다른 후크(220)가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 블레이드부(100)에서 분리된 연결관(210) 및 연결관(210)과 연결된 후크(220)는, 분리 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재(120)의 내부에 삽입되며, 고정부재(230) 또한 수납부재(120)에 삽입된 연결관(210)의 단부에 체결되어 후크(220)를 포함한 연결관(210)의 수납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버켓이나, 또는 집게, 브레이커 등과 같은 어태치먼트(1)의 배치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고정부재(230)의 체결 해제를 통해 연결관(210) 및 후크(220)를 도저 블레이드부(100)에서 분리시켜 수납부재(120)에 수납되게 함으로써, 미사용 시 도저 블레이드부(100)에서 돌출된 연결관(210) 및 후크(220)로 인한 간섭을 방지함과 동시에, 결합 해제된 연결관(210), 후크(220) 및 고정부재(230)의 분실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220)는 어태치먼트(1)의 회동축(1a)이 내부로 인입되도록 마련된 개방 영역(A)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차단편(222)을 구비한다.
이러한 차단편(222)은 개방 영역(A)을 차폐하여 주행 중 진동 또는 충격 등으로 인하여 회동축(1a)이 이탈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후크(220) 내부에 어태치먼트(1)의 회동축(1a)이 걸림 위치된 상태에서 주행이 이루어지게 되면, 도저 블레이드부(100)의 승강 또는 하강이 가능할 수도 있지만, 그 각도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포크레인이 경사면을 주행하게 되는 경우, 노면의 진동 또는 충격 등으로 인해 회동축(1a)이 후크(220)의 내부에서 이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개방 영역(A)을 차폐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 차단편(222)을 후크(220)에 결합시켜 상기와 같이 회동축(1a)이 개방 영역(A)을 통해 후크(220)의 내부에서 이탈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포크레인의 주행 중 발생할 수 있는 2차 사고 또한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차단편(222)은 회동축(1a) 삽입을 위해, 다시 말해 개방 영역(A)이 개방되게 하기 위해 후크(220)에서 분리될 수 있고, 회동축(1a)이 삽입된 이후에는 선택적으로 후크(220)에 다시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편(222)은 소정의 각도 만큼 회동이 가능하게 후크(220)에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회동축(1a)의 직경 변화, 즉 직경이 커지도록 변화한 경우 소정의 각도 만큼 후크(220)에서 회동하여 다양한 회동축(1a)의 직경 변화에 대하여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후크(220)에는 가이드(224)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이드(224)는 상기와 같이 회전 이동하는 차단편(222)의 위치를 소정의 범위로 제한함으로써, 다양한 회동축(1a')의 직경 변화에 대해 범용적으로 적용되면서도, 회동축(1a)이 후크(2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 외에도, 차단편(222)은 회동축(1a)의 삽입 시 회전 이동을 통해 회동축(1a)의 인입을 위한 개방 영역(A)이 개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며, 회동축(1a)의 삽입 이후에는 회전 이동하여 그 무게에 의해 개방 영역(A)의 차단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편(22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양측으로 돌출된 걸림편(222a)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걸림편(222a)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별도 마련된 개방부재(미도시)에 의해 걸림될 수 있다.
이는, 원거리에서도 차단편(222)을 회전 이동시켜 개방 영역(A)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포크레인 운전자가 개방 영역(A) 개방을 위해 하차하지 않아도, 운전석에서 소정의 길이를 가진 개방부재(미도시)를 통해 걸림편(222a)을 당겨 개방 영역(A)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아암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버켓 이외의 다른 용도를 가진 어태치먼트가 도저 블레이드에 고정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어태치먼트의 교체를 위하여 해당되는 보관 위치까지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작업 시간 또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고안은 어태치먼트가 고정된 상태에서 포크레인이 이동하는 경우, 진동, 충격 등으로 인하여 어태치먼트가 고정부재 상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행 간섭을 최소화하며 어태치먼트 휴대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 : 어태치먼트 1a : 회동축
10 : 아암 20 : 버켓
30 : 유압 실린더 100 : 도저 블레이드부
110 : 하부 프레임 120 : 수납부재
200 : 걸림부 210 : 연결관
220 : 후크 222 : 차단편
222a : 걸림편 224 : 가이드
230 : 고정부재 A : 개방 영역

Claims (8)

  1. 포크레인 본체에 설치되는 아암과, 상기 아암의 선단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켓과, 상기 아암 및 상기 버켓을 작동시키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포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포크레인 본체의 전방에서 수평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설치되는 도저 블레이드부; 및
    상기 도저 블레이드부 전방에 돌출되게 결합되고, 상기 버켓과 다른 용도를 가지는 어태치먼트가 걸림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도저 블레이드부를 관통하며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게 결합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며, 상기 어태치먼트에 마련된 회동축이 내부에 걸림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후크; 및
    상기 도저 블레이드의 후방에 위치된 상기 연결관에 체결되며, 상기 후크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회동축이 내부로 인입되도록 마련된 개방 영역을 차폐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개방 영역의 내부에서 상기 회동축의 이탈을 차단하도록 결합되는 차단편을 구비하고,
    상기 차단편은,
    상기 회동축의 삽입 시 상기 후크에서 분리되며, 상기 회동축이 삽입된 이후 선택적으로 상기 후크에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개방 영역과 마주하도록 상기 후크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가이드에 의해 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를 위한 어태치먼트를 구비하는 포크레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고정부재의 제거를 통하여 상기 도저 블레이드부 전방의 상기 연결관에서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를 위한 어태치먼트를 구비하는 포크레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고정부재의 제거에 따른 분리 시 수납부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와 함께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를 위한 어태치먼트를 구비하는 포크레인.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편은,
    상기 회동축의 삽입 시 회전 이동을 통해 상기 회동축의 인입을 위한 개방 영역이 개방되도록 하며, 상기 회동축의 삽입 이후에 상기 개방 영역이 차단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를 위한 어태치먼트를 구비하는 포크레인.
KR2020190002803U 2019-07-05 2019-07-05 교체를 위한 어태치먼트를 구비하는 포크레인 KR2004936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803U KR200493657Y1 (ko) 2019-07-05 2019-07-05 교체를 위한 어태치먼트를 구비하는 포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803U KR200493657Y1 (ko) 2019-07-05 2019-07-05 교체를 위한 어태치먼트를 구비하는 포크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087U KR20210000087U (ko) 2021-01-13
KR200493657Y1 true KR200493657Y1 (ko) 2021-05-12

Family

ID=74130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803U KR200493657Y1 (ko) 2019-07-05 2019-07-05 교체를 위한 어태치먼트를 구비하는 포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657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3052B2 (ja) 1991-02-05 1997-10-15 日立建機株式会社 ホイール式作業車両
JP2725037B2 (ja) 1988-12-07 1998-03-09 油谷重工株式会社 作業車両用振動抑制装置
US20160052751A1 (en) * 2014-08-21 2016-02-25 Caterpillar Work Tools B.V. Work tool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771U (ko) * 1998-07-10 2000-02-07 추호석 휠 타입 굴삭기의 버켓받침대
KR20100059397A (ko) * 2008-11-26 2010-06-04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수납공간이 구비된 굴삭기의 하부프레임
KR20100066615A (ko) * 2008-12-10 2010-06-18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휠타입 굴삭기의 버킷지지대
KR20120035051A (ko) * 2010-10-04 2012-04-13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접이식 버켓 레스트가 장착되는 휠타입 굴삭기
KR102195598B1 (ko) * 2014-03-03 2020-12-2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도저 장치를 구비한 굴삭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5037B2 (ja) 1988-12-07 1998-03-09 油谷重工株式会社 作業車両用振動抑制装置
JP2663052B2 (ja) 1991-02-05 1997-10-15 日立建機株式会社 ホイール式作業車両
US20160052751A1 (en) * 2014-08-21 2016-02-25 Caterpillar Work Tools B.V. Work tool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087U (ko) 202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177B1 (ko)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클램핑장치
US35969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back hoe bucket as a frozen ground ripper
US20110262212A1 (en) Work tool coupling arrangement
JP5173976B2 (ja) 建設機械のフロントガード取付装置
US9096993B2 (en) Dipper latch mechanism
US7832127B2 (en) Apparatus for attaching a work tool to a loader
EP1878835B1 (en) Construction machine
CN115853058A (zh) 模块化地面接合工具系统
KR20130142001A (ko) 굴삭기용 버켓
EP0717154A1 (en) Hydraulic shovel operating machine
KR102636080B1 (ko) 도저와 롤러가 구비된 건설장비
KR200493657Y1 (ko) 교체를 위한 어태치먼트를 구비하는 포크레인
JP2007146582A (ja) 作業車両のクイックカプラ
US20170037596A1 (en) Excavator Bucket With an Internally Deployable Breaker
KR101254193B1 (ko) 중장비 작업기의 퀵체인지 구조
EP0166771B1 (de) Bagger
US20170130419A1 (en) Latch assembly for service pin of machine
US20220298742A1 (en) Assembly for securely coupling a tool on a working arm of a public works machine with improved operation
KR200149333Y1 (ko) 스키드 스티어 로더용 퀵 태치 구조
EP3904605A1 (en) Work vehicle and method for attaching and detaching mudguard
JP5532838B2 (ja) 作業機械
KR970000013Y1 (ko) 크레인 트럭 부착용 굴착기
AU2015100873A4 (en) Surface Mining Tooth Retention
KR100824512B1 (ko) 소형 굴삭기
US20070028488A1 (en) Bracket and Method for Transport of Articulated Arm Attach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