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080B1 - 도저와 롤러가 구비된 건설장비 - Google Patents

도저와 롤러가 구비된 건설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080B1
KR102636080B1 KR1020220105244A KR20220105244A KR102636080B1 KR 102636080 B1 KR102636080 B1 KR 102636080B1 KR 1020220105244 A KR1020220105244 A KR 1020220105244A KR 20220105244 A KR20220105244 A KR 20220105244A KR 102636080 B1 KR102636080 B1 KR 102636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zer
roller
vehicle body
support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5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해
Original Assignee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5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0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76Graders, bulldozers, or the like with scraper plates or ploughshare-like elements; Levelling scarifying devices
    • E02F3/80Componen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2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consolidating or finishing laid-down unset materials
    • E01C19/23Rollers therefor; Such rollers usable also for compacting soil
    • E01C19/28Vibrated rollers or rollers subjected to impacts, e.g. hammering blows
    • E01C19/285Vibrated rollers or rollers subjected to impacts, e.g. hammering blows with attachments for work other than rolling, e.g. dozer blades, shoes for conversion into plate vibrator; fitted to vehicles, road-construction or earth-moving machinery ; vibrated or the like auxiliary rolls, e.g. for rolling road edges; provided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026Improving by compacting by rolling with rollers usable only for or specially adapted for soil compaction, e.g. sheepsfoot 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를 포함하는 건설장비의 전방과 후방에 도저와 롤러를 배치하여 지면 평탄화를 위한 도저의 기능과 지면을 다지기 위한 롤러를 병행해서 사용하도록 함과 아울러, 도저 블레이드의 전방 하부 및 양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교체블레이드를 구비하여 도저장치의 부품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유지 보수관리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롤러부재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레이퍼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레이퍼부재측에 좌,우 양측 부위별로 전달되는 외부 충격력을 완충 및 감쇄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도저와 롤러가 구비된 건설장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저와 롤러가 구비된 건설장비{Construction equipment with dozer and roller}
본 발명은 도저와 롤러가 구비된 건설장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굴삭기를 포함하는 건설장비의 전방과 후방에 도저와 롤러를 배치하여 지면 평탄화를 위한 도저의 기능과 지면을 다지기 위한 롤러를 병행해서 사용하도록 함과 아울러, 도저 블레이드의 전방 하부 및 양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교체블레이드를 구비하여 도저장치의 부품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유지 보수관리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롤러부재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레이퍼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레이퍼부재측에 좌,우 양측 부위별로 전달되는 외부 충격력을 완충 및 감쇄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도저와 롤러가 구비된 건설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토사나 자재의 운반, 적재 및 굴착 작업을 위한 건설기계를 말한다. 또한, 굴삭기에는 어태치먼트가 설치되며, 설치되는 어태치먼트의 종류에 따라 작업이 달라진다.
이러한, 굴삭기는 한 작업당 2가지 내지 3가지 정도의 어태치먼트를 교환하며 작업한다.
굴삭기에 사용되는 어태치먼트에는 버켓(Bucket), 집게, 브레이커(Breaker)등이 있다.
그러나, 통상 굴삭기는 한번에 하나의 어태치먼트만을 설치할 수 있게 때문에 다른 어태치먼트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 작업에 필요한 어태치먼트가 위치된 장소까지 이동하여야 한다.
또한, 필요한 어태치먼트가 위치되어있는 장소와 굴삭기가 작업하는 장소간에는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필요한 어태치먼트로 교환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어태치먼트의 교환을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굴삭기의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기존 도저가 구비된 굴삭기와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95598호 "도저 장치를 구비한 굴삭기"(등록일자 : 2020.12.2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도저 장치는 상기 굴삭기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도저 프레임과, 상기 도저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는 도저 블레이드 및 상기 도저 블레이드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일단부가 절곡된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기존 도로 포장용 롤러와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9402호 "도로 포장용 롤러장치"(등록일자 : 2013.02.26)에 개시된 바와 같이, 차량본체와, 상기 차량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차량본체의 주행을 지지하면서 지지면을 평탄하게 다지는 롤러바퀴를 포함하는 도로 포장용 롤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본체가 후진주행할 때, 상기 차량본체의 후방에 작업자 또는 장애물이 위치하면 이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차량본체의 주행을 정지시키는 안전유닛을 구비하되, 상기 안전유닛은 상기 차량본체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연장되는 회전로드와, 상기 롤러바퀴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회전로드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본체의 후방에 위치하는 작업자 또는 장애물과 접촉하여 상기 회전로드 및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접촉패널을 포함하는 감지부와, 차량본체 후방의 작업자 또는 장애물에 의해 상기 접촉패널이 가압되어 회전축이 회전하면 차량본체에 마련된 주차브레이크를 구동시켜 차량본체를 정지시키는 차량정지부를 포함한다.
그런데, 기존 건설장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저와 롤러가 하나의 굴삭기 장비에 같이 장착되지 못하고, 어태치먼트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설치되거나 별개의 장비로 공사 현장에 투입되어야 하므로 공사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95598호 "도저 장치를 구비한 굴삭기"(등록일자 : 2020.12.2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9402호 "도로 포장용 롤러장치"(등록일자 : 2013.02.26)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굴삭기를 포함하는 건설장비의 전방과 후방에 도저와 롤러를 배치하여 지면 평탄화를 위한 도저의 기능과 지면을 다지기 위한 롤러를 병행해서 사용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도저와 롤러가 구비된 건설장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저 블레이드의 전방 하부 및 양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교체블레이드를 구비하여 도저장치의 부품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유지 보수관리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도저와 롤러가 구비된 건설장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롤러부재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레이퍼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레이퍼부재측에 좌,우 양측 부위별로 전달되는 외부 충격력을 완충 및 감쇄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도저와 롤러가 구비된 건설장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행 가능한 차량 본체와; 상기 차량 본체의 전방 측에 장착되고 승강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승강동작되어 지면과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도저장치와; 상기 차량 본체의 후방 측에 장착되고 지면 평탄화를 위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롤러부재; 및 상기 차량 본체의 후방에 지지수단으로 지지되고 상기 롤러부재의 표면과 근접되도록 배치되는 스크레이퍼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스크레이퍼부재의 상측 부위와 결합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좌,우측에 각각 연장되는 제1,2지지바와, 상기 제1,2지지바의 일단부가 내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결합되는 지지케이싱과, 상기 지지케이싱의 상부와 상기 차량 본체의 후방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지지케이싱의 내부에 내장되고 상기 제1,2지지바를 각각 상기 고정브라켓이 위치한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지지바는 일단에 상기 지지케이싱의 내부에 내장된 스프링부재에 접촉되고 상기 지지케이싱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플레이트 형태의 지지판이 더 구비된다.
상기 도저장치는 상기 승강실린더에 의해 지면과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도저 블레이드와, 상기 도저 블레이드의 전면 하부 좌,우 양측에 결합수단을 매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교체블레이드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도저 블레이드의 좌,우 양측면에 외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공과, 상기 도저 블레이드의 전면 하부에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복수의 결합공과, 상기 제1,2교체블레이드의 하부에 각각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관통공과, 상기 제1,2교체블레이드의 측면 테두리에 각각 연장되고 상기 슬라이드공과의 결합시 상기 제1,2교체블레이드와 도저 블레이드의 결합을 지지하며 상기 관통공과 결합공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가이드하는 결합핀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도저장치와 롤러부재가 차량 본체의 전방과 후방측에 배치되어 하나의 건설장비로 지면을 고르게 밀어내는 도저의 기능과 지면을 평탄화시키는 롤러의 두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품 유지 관리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롤러부재의 표면을 묻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레이퍼부재측에 외부 충격력이 전달되더라도 외부 충격력을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완충 감쇄할 수 있게 되어 스크레이퍼부재의 제품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도저장치의 도저 블레이드 전면과 측면 하부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교체블레이드를 구비함으로써, 도저 블레이드 전체를 교체할 필요없이 제1,2교체블레이드를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유지 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라이드공과 결합핀을 이용하여 결합공과 관통공 및 체결부재의 체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저와 롤러가 구비된 건설장비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도저장치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스크레이퍼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 지지수단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저와 롤러가 구비된 건설장비는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주행 가능한 차량 본체(100)와; 상기 차량 본체(100)의 전방 언더캐리지에 장착되고 승강실린더(250)에 의해 상,하로 승강동작되어 지면과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도저장치(200)와; 상기 차량 본체(100)의 후방 측에 장착되고 지면 평탄화를 위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롤러부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차량 본체(100)는 좌,우 양측에 바퀴 또는 무한궤도(120)에 의해 주행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부에 운전자가 탑승하는 캐빈(110)이 마련된다.
상기 차량 본체(100)는 전방측에 도저장치(200)가 배치되고, 후방측에 롤러부재(300)가 배치된다.
이로 인해, 전방의 도저장치(200)가 차량 본체(100)의 주행방향 전방측에 위치한 지면을 평탄화시킨 후에, 차량 본체(100)의 후방에 위치한 롤러부재(300)가 지면을 다지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차량 본체(100)의 후방에는 지지수단(600)으로 지지되고 상기 롤러부재(300)의 표면과 근접되도록 배치되는 스크레이퍼(scraper)부재(50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스크레이퍼부재(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부재(300)와 근접되게 배치되는 하단부에 테이퍼진 경사면(510)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510)은 상기 롤러부재(300)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지지수단(6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레이퍼부재(500)의 상측 부위와 결합되는 고정브라켓(610)과, 상기 고정브라켓(610)의 좌,우측에 각각 연장되는 제1,2지지바(620,630)와, 상기 제1,2지지바(620,630)의 일단부가 내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결합되는 지지케이싱(640)과, 상기 지지케이싱(640)의 상부와 상기 차량 본체(100)의 후방을 연결하는 연결부재(660), 및 상기 지지케이싱(640)의 내부에 내장되고 상기 제1,2지지바(620,630)를 각각 상기 고정브라켓(610)이 위치한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650)를 구비한다.
상기 제1,2지지바(620,630)는 일단이 상기 지지케이싱(640)의 내부에 진입되어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브라켓(610)의 좌,우측에 일체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1,2지지바(620,630)는 일단에 상기 지지케이싱(640)의 내부에 내장된 스프링부재(650)에 접촉되고 상기 지지케이싱(64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플레이트 형태의 지지판(622)이 더 구비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2지지바(620,630)는 상기 스프링부재(650)와 연계되어 상기 롤러부재(300)의 지면 평탄화 작업시 자갈 등의 이물질이 상기 스크레이퍼부재(500)측에 부딪힐 경우 상기 스크레이퍼부재(50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을 감쇄시키고 완충시켜 스크레이퍼부재(500)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상,하로 승강동작된다.
상기 스프링부재(650)는 상기 지지케이싱(64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2지지바(620,630)의 지지판(622)을 하측의 고정브라켓(610)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탄성 지지하는 압축스프링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도저장치(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실린더(250)에 의해 지면과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도저 블레이드(210)와, 상기 도저 블레이드(210)의 전면 하부 좌,우 양측에 결합수단(400)을 매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교체블레이드(220,230)를 구비한다.
상기 제1,2교체블레이드(220,230)는 상기 도저 블레이드(210)의 경사진 전면 하부의 좌,우 양측과 대응되는 형태로 밀착되게 결합되도록 전방측으로 경사진 접촉면(222,23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접촉면(222,232)의 측단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절곡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도저 블레이드(210)의 좌,우 양측면 하부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절곡면(224,234)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2교체블레이드(220,230)의 접촉면(222,232)은 상기 도저 블레이드(210)의 전면 하부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면접촉되며, 상기 절곡면(224,234)은 상기 도저 블레이드(210)의 좌,우 양측면에 면접촉되도록 서로 대칭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제1,2교체블레이드(220,230)는 도저장치(200)의 작동과정에서 지면 상에 돌출된 부위와 반복적으로 접촉됨에 따라 마모되거나 손상이 자주 발생되는 부위를 부분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도저 블레이드(2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품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결합수단(4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저 블레이드(210)의 좌,우 양측면에 외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공(410)과, 상기 도저 블레이드(210)의 전면 하부에 체결부재(450)가 체결되는 복수의 결합공(420)과, 상기 제1,2교체블레이드(220,230)의 하부에 각각 상기 결합공(420)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450)가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관통공(430)과, 상기 제1,2교체블레이드(220,230)의 측면 테두리에 각각 연장되고 상기 슬라이드공(410)과의 결합시 상기 제1,2교체블레이드(220,230)와 도저 블레이드(210)의 결합을 지지하며 상기 관통공(430)과 결합공(420)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가이드하는 결합핀(440)을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드공(4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핀(440)이 끼워지도록 상기 도저 블레이드(210)의 좌,우 양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핀(440)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결합핀(440)이 진입되는 입구측의 지름 폭(R1)이 막혀있는 내측단의 지름 폭(R2)보다 더 크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R1>R2).
또한, 상기 슬라이드공(410)은 상기 결합핀(440)이 끼워짐에 따라 상기 제1,2교체블레이드(220,230)의 관통공(430)과 상기 결합공(420)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되어 각각의 체결부재(450; 볼트)가 체결되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결합핀(440)은 상기 슬라이드공(410)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슬라이드공(410)의 내측단까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체결부재(450)에 대한 상기 결합공(420)과 관통공(430)의 체결 정위치까지 자동적으로 정렬되어 상기 슬라이드공(410)과의 결합시 상기 체결부재(450)의 체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차량 본체(100)가 주행 중인 상태에서 승강실린더(250)에 의해 지면과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도저장치(200)의 도저 블레이드(210)의 높이를 조절한다.
상기 도저 블레이드(210)의 하부가 평탄화하고자 하는 지면의 돌출 부위에 간섭됨에 따라 상기 지면의 돌출 부위를 밀어내는 도저장치(200)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차량 본체(100)의 후방측에 배치된 롤러부재(300)가 자중으로 지면을 평탄화하도록 다지게 된다.
이때, 상기 도저장치(200)는 도저 블레이드(210)의 전면 하부 및 양측면 하부에 제1,2교체블레이드(220,230)가 결합수단(40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2교체블레이드(220,230) 중 하나가 손상될 경우 전체 부위를 교체할 필요없이 부분적으로 교체함으로써, 교체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부품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제1,2교체블레이드(220,230)는 상기 도저 블레이드(210)와의 결합시 결합공(420)과 관통공(430)의 체결 정위치를 위해 구멍들간의 중심을 맞출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제1,2교체블레이드(220,230)의 각 절곡면(224,234)에 형성된 결합핀(440)을 상기 슬라이드공(410)의 내부로 진입시켜 끼움결합시킴에 따라 관통공(430)과 결합공(420)이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가이드함과 아울러, 상기 제1,2교체블레이드(220,230)와 도저 블레이드(210)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에, 상기 제1,2교체블레이드(220,230)는 체결부재(450)를 이용하여 관통공(430)과 결합공(420)을 통해 관통시킨 후에 미도시된 너트와의 체결작업을 통해 도저 블레이드(210)에 결합시킨다.
상기 제1,2교체블레이드(220,230)는 분해시 체결부재(450)의 체결상태를 해제한 후에, 도저 블레이드(210)의 측면으로부터 좌,우 양 외측방향으로 빼내면서 슬라이드공(410)과 결합핀(440)의 끼움 결합상태를 해제시킴으로써, 도저 블레이드(210)와 제1,2교체블레이드(220,230)를 분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부재(300)는 차량 본체(100)의 후방측에 지지수단(600)에 의해 지지된 스크레이퍼부재(500)를 이용하여 지면을 평탄화시키는 중에 진흙 등의 이물질이 롤러부재(300)의 표면에 달라붙는 것을 제거하도록 긁어낼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600)의 제1,2지지바(620,63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레이퍼부재(500)의 좌측 부위에 외부 충격력이 전달될 경우, 상기 제1,2지지바(620,630) 중 충격이 전달된 부위에 해당하는 제1지지바(620)의 일단부가 상기 지지케이싱(640)의 내부에서 상측으로 상승동작되면서 상기 스프링부재(650)를 수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1,2지지바(620,63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상의 스크레이퍼부재(500)의 우측 부위에 외부 충격력이 전달될 경우, 상기 제1,2지지바(620,630) 중 충격이 전달된 부위에 해당하는 제2지지바(630)의 일단부가 상기 지지케이싱(640)의 내부에서 상측으로 상승동작되면서 상기 스프링부재(650)를 수축시키게 된다.
상기 제1,2지지바(620,630)는 외부 충격이 해소된 후에는 상기 수축된 스프링부재(650)의 복원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되면서 스크레이퍼부재(500)측에 전달되는 외부 충격력을 완충 및 감쇄시키게 된다.
즉, 상기 스크레이퍼부재(500)는 진흙 등의 이물질에 포함된 자갈 등의 단단한 경도를 갖는 이물질이 스크레이퍼부재(500)에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수단(600)의 제1,2지지바(620,630)와 스프링부재(650)를 이용하여 스크레이퍼부재(500)의 좌,우측 부위에 대한 충격 감쇄 및 완충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저장치(200)와 롤러부재(300)가 차량 본체(100)의 전방과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지면을 고르게 밀어내는 도저의 기능을 선 수행한 후에, 차량 본체의 후방에 배치되어 지면을 평탄화시키는 롤러의 두가지 기능을 후수행함으로써, 하나의 건설 장비로 두가지 작업을 같이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품 유지 관리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롤러부재(300)의 표면을 묻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레이퍼부재(500)측에 외부 충격력이 전달되더라도 외부 충격력을 스프링부재(65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완충 감쇄할 수 있게 되어 스크레이퍼부재(500)의 제품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도저장치(200)의 도저 블레이드(210) 전면과 측면 하부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교체블레이드(220,230)를 구비함으로써, 도저 블레이드(210) 전체를 교체할 필요없이 제1,2교체블레이드(220,230)를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유지 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라이드공(410)과 결합핀(440)을 이용하여 결합공(420)과 관통공(430) 및 체결부재(450)의 체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차량 본체 110 : 캐빈
200 : 도저장치 210 : 도저 블레이드
220,230 : 제1,2교체블레이드
222,232 : 접촉면 224,234 : 절곡면
250 : 승강실린더 300 : 롤러부재
400 : 결합수단 410 : 슬라이드공
420 : 결합공 430 : 관통공
440 : 결합핀 450 : 체결부재
500 : 스크레이퍼부재 510 : 경사면
600 : 지지수단 610 : 고정브라켓
620,630 : 제1,2지지바 640 : 지지케이싱
650 : 스프링부재 660 : 연결부재

Claims (4)

  1. 주행 가능한 차량 본체(100)와;
    상기 차량 본체(100)의 전방 측에 장착되고 승강실린더(250)에 의해 상,하로 승강동작되어 지면과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도저장치(200)와;
    상기 차량 본체(100)의 후방 측에 장착되고 지면 평탄화를 위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롤러부재(300); 및
    상기 차량 본체(100)의 후방에 지지수단(600)으로 지지되고 상기 롤러부재(300)의 표면과 근접되도록 배치되는 스크레이퍼부재(500);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수단(600)은 상기 스크레이퍼부재(500)의 상측 부위와 결합되는 고정브라켓(610)과, 상기 고정브라켓(610)의 좌,우측에 각각 연장되는 제1,2지지바(620,630)와, 상기 제1,2지지바(620,630)의 일단부가 내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결합되는 지지케이싱(640)과, 상기 지지케이싱(640)의 상부와 상기 차량 본체(100)의 후방을 연결하는 연결부재(660), 및 상기 지지케이싱(640)의 내부에 내장되고 상기 제1,2지지바(620,630)를 각각 상기 고정브라켓(610)이 위치한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65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저와 롤러가 구비된 건설장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지지바(620,630)는 일단에 상기 지지케이싱(640)의 내부에 내장된 스프링부재(650)에 접촉되고 상기 지지케이싱(64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플레이트 형태의 지지판(622)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저와 롤러가 구비된 건설장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저장치(200)는 상기 승강실린더(250)에 의해 지면과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도저 블레이드(210)와,
    상기 도저 블레이드(210)의 전면 하부 좌,우 양측에 결합수단(400)을 매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교체블레이드(220,23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저와 롤러가 구비된 건설장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400)은 상기 도저 블레이드(210)의 좌,우 양측면에 외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공(410)과,
    상기 도저 블레이드(210)의 전면 하부에 체결부재(450)가 체결되는 복수의 결합공(420)과,
    상기 제1,2교체블레이드(220,230)의 하부에 각각 상기 결합공(420)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450)가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관통공(430), 및
    상기 제1,2교체블레이드(220,230)의 측면 테두리에 각각 연장되고 상기 슬라이드공(410)과의 결합시 상기 제1,2교체블레이드(220,230)와 도저 블레이드(210)의 결합을 지지하며 상기 관통공(430)과 결합공(420)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가이드하는 결합핀(44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저와 롤러가 구비된 건설장비.
KR1020220105244A 2022-08-23 2022-08-23 도저와 롤러가 구비된 건설장비 KR102636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244A KR102636080B1 (ko) 2022-08-23 2022-08-23 도저와 롤러가 구비된 건설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244A KR102636080B1 (ko) 2022-08-23 2022-08-23 도저와 롤러가 구비된 건설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6080B1 true KR102636080B1 (ko) 2024-02-14

Family

ID=89896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5244A KR102636080B1 (ko) 2022-08-23 2022-08-23 도저와 롤러가 구비된 건설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0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47768A (zh) * 2024-03-26 2024-04-30 中铁建工集团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用地基平整设备及其使用方法
CN118029356A (zh) * 2024-04-11 2024-05-14 晋江贝唯商贸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压土机械
CN117947768B (zh) * 2024-03-26 2024-06-04 中铁建工集团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用地基平整设备及其使用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7856U (ko) * 1987-09-16 1989-03-24
JPH0336598Y2 (ko) * 1984-03-23 1991-08-02
JPH0449850Y2 (ko) * 1984-05-08 1992-11-25
JPH08209735A (ja) * 1995-02-06 1996-08-13 Yutani Heavy Ind Ltd 建設機械の振動ローラ装置
US20120152573A1 (en) * 2010-12-18 2012-06-21 Caterpillar Inc. Tractor blade assembly
KR101239402B1 (ko) 2012-07-24 2013-03-11 신민지 도로 포장용 롤러장치
KR102195598B1 (ko) 2014-03-03 2020-12-2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도저 장치를 구비한 굴삭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6598Y2 (ko) * 1984-03-23 1991-08-02
JPH0449850Y2 (ko) * 1984-05-08 1992-11-25
JPS6447856U (ko) * 1987-09-16 1989-03-24
JPH08209735A (ja) * 1995-02-06 1996-08-13 Yutani Heavy Ind Ltd 建設機械の振動ローラ装置
US20120152573A1 (en) * 2010-12-18 2012-06-21 Caterpillar Inc. Tractor blade assembly
KR101239402B1 (ko) 2012-07-24 2013-03-11 신민지 도로 포장용 롤러장치
KR102195598B1 (ko) 2014-03-03 2020-12-2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도저 장치를 구비한 굴삭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47768A (zh) * 2024-03-26 2024-04-30 中铁建工集团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用地基平整设备及其使用方法
CN117947768B (zh) * 2024-03-26 2024-06-04 中铁建工集团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用地基平整设备及其使用方法
CN118029356A (zh) * 2024-04-11 2024-05-14 晋江贝唯商贸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压土机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0569B2 (en) Platform assembly for use with working vehicle
CN106988362B (zh) 带有弯曲悬臂的绳索挖掘机
KR102636080B1 (ko) 도저와 롤러가 구비된 건설장비
US20090050340A1 (en) Scarifier
US9133599B2 (en) Skid device attachable to a bucket, bucket assembly for moving material, and method of forming the skid device
EP2798127B1 (en) Wear pad assembly
US9260836B2 (en) Earthmov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machine
US5295318A (en) Backhoe-loader
US7260903B2 (en) Ejector mechanism for back hoe excavator bucket
CN204750336U (zh) 一种具有清扫功能的两用式挖掘机
CN211340943U (zh) 全回转式多用途挖掘机铲斗
US9366006B2 (en) Bucket for work vehicle, and work vehicle equipped with bucket with left and right boom attachment portions
EP2369065A1 (de) Selbstfahrende Arbeitsmaschine, insbesondere Radbagger
KR20240027255A (ko) 도저와 롤러 연동기구가 구비된 건설장비
RU2650566C1 (ru) Ковш для фронтального погрузчика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перекоса
KR200491832Y1 (ko) 스키드 스티어 로더 버킷용 보호커버
CN205776053U (zh) 一种车载式四段除雪铲
US3287066A (en) Hammering tools
JP4031372B2 (ja) 建設機械の排土装置
US2755573A (en) Crane attachment
CN208604647U (zh) 挖掘机挖斗装置
KR102528060B1 (ko) 스틸트랙용 러버패드
US10844578B2 (en) Cylinder protection device
US20050006112A1 (en) Grader
CN206749950U (zh) 挖掘机履带梁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