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6333B1 - 보강구조를 갖는 브레이커 - Google Patents

보강구조를 갖는 브레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6333B1
KR101766333B1 KR1020160017415A KR20160017415A KR101766333B1 KR 101766333 B1 KR101766333 B1 KR 101766333B1 KR 1020160017415 A KR1020160017415 A KR 1020160017415A KR 20160017415 A KR20160017415 A KR 20160017415A KR 101766333 B1 KR101766333 B1 KR 101766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reaker
plate
chisel
reinforc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7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병희
Original Assignee
한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병희 filed Critical 한병희
Priority to KR1020160017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63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 E02F5/305Arrangements for breaking-up hard 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16Machines for digging other holes in the soil
    • E02F5/20Machines for digging other holes in the soil for vertical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측에 내장 설치되는 브레이커 본체에 실린더와 피스톤이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의 하측에 치즐이 연결되는 구성으로 브레이커가 설치되고, 상기 치즐이 노출되는 하우징의 하부 또는 하우징의 전방에 하부보강유니트 또는 전방보강유니트가 구비되며, 상기 보강유니트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둘레에 결합되면서 하우징에 밀착되면서 걸려 고정토록 되는 고정브라켓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보강구조를 갖는 브레이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강구조를 갖는 브레이커{A Hydraulic Breaker Reinforcement Apparatus of Excavator housing}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측에 내장 설치되는 브레이커 본체에 실린더와 피스톤이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의 하측에 치즐이 연결되는 구성으로 브레이커가 설치되고, 상기 치즐이 노출되는 하우징의 하부 및 하우징의 전방에 하부보강유니트 또는 전방보강유니트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보강유니트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둘레에 결합되면서 하우징에 걸려 고정토록 되는 고정브라켓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보강구조를 갖는 브레이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및 건설공사시 굴삭기나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지반을 굴착할 때 지표면에 노출되어 있거나 또는 지하에 묻혀있는 암반에 구멍을 뚫어주거나 깨뜨려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타격용 치즐이 왕복운동을 하는 브레이커를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브레이커 등의 각 파쇄장비는 사용용도에 따라 굴삭기 붐의 아암에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장비들은 작업 도중에 파쇄하고자 하는 물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므로서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물체와 접촉하게 되는 부위에는 마모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며, 그러한 마모현상에 의해 장비들의 사용수명이 현저하게 단축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되어 종래의 파쇄장비의 마모방지보강구조가 실용신안등록 제362701호에 제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파쇄장비(1) 중의 하나인 브레이커(2)는, 타격용 치즐(21a)을 기준하여 상기한 치즐이 돌출되는 브레이커본체(22a)의 선단이 은폐되어 있는 것과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는바, 먼저, 브레이커본체(22a)의 선단이 은폐되게 구성된 브레이커(2a)의 경우는 브레이커본체(22a)의 양측에는 사이드 브라켓(23a)이, 상단에는 탑 브라켓(24a)이 장착되어 있으며, 타격용 치즐(21a)이 돌출되는 브레이커본체(22a)의 선단과 양측 사이드 브라켓(23a)의 선단을 감싸주는 박스형 브 라켓(25a)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한 박스형 브라켓은 브레이커본체(22a)를 보호하기 위한 것인데, 상기의 박스형 브라켓(25a)은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되고 있는 철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박스형 브라켓(25a)에 내마모성을 부여하는데 이를 위해 타격용 치즐(21a)과는 이격된 거리를 가지면서 치즐을 둘러싸는 상태로서 상기한 박스형 브라켓(25a) 선단면의 가장자리 전체에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5a)를 돌출되게 형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마모방지보강구조는, 브레이커 선단 전체를 하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박스형 브 라켓(25a)에 의해 보강하는 구성으로 마모시 브라켓 전체를 교환하여야 하여 불필요한 낭비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또한, 일부만이 편 마모 되어도 브라켓 전체를 교환하여야 하고, 파쇄물을 모을 때 사용되는 사이드 브라켓(23a) 전체를 박스형 브라켓(25a)에 보강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쇄장비의 사용시 마모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파쇄장비의 원가상승의 요인을 줄이면서 파쇄장비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며, 마모부를 구획하여 편마모에 의한 전체교환시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조립및 교환이 용이하도록 하는 보강구조를 갖는 브레이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내측에 내장 설치되는 브레이커 본체에 실린더와 피스톤이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의 하측에 치즐이 연결되는 구성으로 브레이커가 설치되고, 상기 치즐이 노출되는 하우징의 하부 또는 하우징의 전방에 하부보강유니트 또는 전방보강유니트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보강유니트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둘레에 결합되면서 하우징에 밀착되면서 걸려 고정토록 되는 고정브라켓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보강구조를 갖는 브레이커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하부보강유니트는, 용접비드에 대응되어 걸리도록 걸림돌기가 구비되고, 내측에 댐퍼플레이트가 더 구비되며, 상기 댐퍼플레이트는 다공상의 제1패드와 강도를 갖는 제2패드로 이루어진 보강구조를 갖는 브레이커를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하부보강유니트는, 치즐이 삽입되는 부시와 상기 부시를 지지하는 플랜지를 갖는 이물차단유니트가 더 연결되는 보강구조를 갖는 브레이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물차단유니트는, 우레탄재질로 이루어지면서 내외측에 제1,2경사면이 일체로 형성되는 보강구조를 갖는 브레이커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방보강유니트는, 상기 하우징의 모서리에 결합되는 모서리부재와 상기 모서리부재에 각각 연결되는 전면판으로 이루어진 보강구조를 갖는 브레이커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파쇄장비의 사용시 마모현상을 방지하고, 파쇄장비의 원가상승의 요인을 줄이면서 파쇄장비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며, 마모부를 구획하여 편마모에 의한 전체교환시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조립및 교환이 용이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파쇄장비용 마모방지보강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브레이커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브레이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 내지 도6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커 및 하부보강유니트의 설치상태 단면도 및 분해도이다.
도7 및 도8은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브레이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커의 요부 분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브레이커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브레이커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4 내지 도6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커 및 하부보강유니트의 설치상태 단면도 및 분해도이고, 도7 및 도8은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브레이커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커의 요부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브레이커(100)는, 하우징(110)의 내측에 내장 설치되는 브레이커 본체(130)에 피스톤(미도시)이 내장되는 실린더(131)가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의 하측에 치즐(150)이 연결되어 피스톤의 하강시 치즐을 타격토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치즐(150)이 노출되는 하우징(110)의 하부 또는 하우징의 전방에 위치토록 주강 재질로 이루어진 하부보강유니트(210) 또는 전방보강유니트(2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브레이커본체(130)에는 치즐(150)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가이드부시(300)가 더 구비되고,
이때, 상기 가이드부시(300)는 걸림턱(331)을 갖는 플랜지(330)와 상기 플랜지에 걸려 지지토록 지지턱(311)을 갖는 부시몸체(310)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시몸체는 다양한 규격을 갖는 플랜지(330)만을 교환하여 연결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보강유니트(210)는, 플레이트(211)와 상기 플레이트의 둘레에 결합되면서 하우징(110)에 밀착되면서 걸려 고정토록 되는 고정브라켓(213)의 볼트 조립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브라켓(213)은 하우징의 비드에 대응되는 걸림돌기(231a)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보강유니트(210)는, 내부에 댐퍼플레이트(219)가 더 구비되어도 좋으며, 상기 댐퍼플레이트(219)는, 다공상 즉 복수의 구성을 갖는 제1패드(219a)와 강도를 갖는 제2패드(219b)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진다.
더하여, 상기 하부보강유니트(210)는, 중앙부에 관통공(217)이 형성되어 치즐(150)이 삽입되는 이물차단유니트(280)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이물차단유니트(280)는 우레탄재질로 이루어지면서 내외측에 제1,2경사면(281)(283)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보강유니트(230)는, 상기 하우징(110)의 모서리에 결합되는 모서리부재(231)와 상기 모서리부재에 각각 연결되는 전면판(23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모서리부재(231)는, 전면판의 두께에 대응되는 밀착홈(231a)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9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브레이커(100)는, 하우징(110)의 내측에 내장 설치되는 브레이커 본체(130)에 피스톤(미도시)이 내장되는 실린더(131)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에 공급되는 유압의 동작에 의한 피스톤의 승하강시 그 하측에 연결되는 치즐(150)을 타격하여 암석등을 파쇄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커(100)는 상기와 같은 치즐(150)에 의한 암석의 파쇄작업과 파쇄된 암석파편을 하우징(110) 측면의 넓은 면적을 통하여 이동시키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브레이커(100)에 의한 파쇄 및 운반작업시 하우징(110)에는 파편등에 의해 편 마모가 발생되게 되고, 상기와 같은 편 마모를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하부 또는 하우징의 전방에 위치토록 하부보강유니트(210) 또는 전방보강유니트(230)를 통하여 보강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소토록 한다.
또한, 상기 브레이커본체(130)에는 치즐(150)의 이동을 가이드 하면서 마찰되는 위치에 걸림턱(331)을 갖는 플랜지(330)와 상기 플랜지에 걸려 지지토록 지지턱(311)을 갖는 부시몸체(310)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가이드부시를 설치하여 상대적으로 쉽게 파손되는 플랜지(330)만을 교환하여 내구성을 높이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보강유니트(210)는, 플레이트(211)와 상기 플레이트의 둘레에 결합되면서 하우징(110)에 밀착되면서 걸려 고정토록 되는 고정브라켓(213)의 볼트 조립구조로 이루어져 하우징에 별도의 결합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결합이 가능토록 된다.
이때, 상기 고정브라켓(213)은 하우징(110)의 용접비드에 대응되는 걸림돌기(213a)가 일체로 형성되어 긴밀하게 밀착되어 사용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보강유니트(210)는, 내부에 댐퍼플레이트(219)가 더 구비되어 파편 등이 하부보강유니트에 충돌할 때 발생되는 소음이나 진동 등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댐퍼플레이트(219)는, 다공상의 제1패드(219a)와 강도를 갖는 제2패드(219b)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져 하부보강유니트의 내측에 장착시 소음을 다공에 의해 용이하게 흡수토록 한다.
더하여, 상기 하부보강유니트(210)는, 중앙부에 관통공(217)이 형성되어 치즐(150)이 삽입되면서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진 이물차단유니트(280)가 일체로 장착되어 돌가루 등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치즐(150)에 의한 진동이나 소음등을 흡수토록 한다.
이때, 상기 이물차단유니트(280)는 우레탄재질로 이루어지면서 내,외측에 제1,2경사면(281)(283)이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력을 높이면서 파편등을 용이하게 반사시켜 충격을 최소화 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보강유니트(230)는, 상기 하우징(110)의 모서리에 결합되는 모서리부재(231)와 상기 모서리부재에 각각 연결되는 전면판(233)으로 이루어져 조립 및 교환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100...브레이커 110...하우징
130...브레이커본체 131...실린더
150...치즐 210...하부보강유니트
219...댐퍼플레이트 230...전방보강유니트
300...가이드부시

Claims (5)

  1. 하우징의 내측에 내장 설치되는 브레이커 본체에 실린더와 피스톤이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의 하측에 치즐이 연결되는 브레이커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 및 하부에 전방보강유니트 및 하부보강유니트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하부보강유니트는,
    a).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둘레에 결합될 때 하우징에 밀착되면서 걸려 고정토록 되는 고정브라켓의 볼트 조립구조로 이루어지고,
    b).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치즐이 삽입되는 이물차단유니트가 장착되고, 상기 이물차단유니트는 우레탄재질로 이루어지면서 내외측에 제1,2경사면이 일체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전방보강유니트는, 상기 하우징의 모서리에 결합되는 모서리부재와 상기 모서리부재에 각각 연결되는 전면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레이커본체는, 치즐에 밀착되는 가이드부시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시는 걸림턱을 갖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에 걸려 지지토록 지지턱을 갖는 부시몸체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구조를 갖는 브레이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보강유니트는, 하우징의 비드에 대응되는 걸림돌기가 고정브라켓에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에 댐퍼플레이트가 더 구비되며,
    상기 댐퍼플레이트는, 복수의 구멍을 갖는 제1패드와 제2패드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구조를 갖는 브레이커.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17415A 2016-02-15 2016-02-15 보강구조를 갖는 브레이커 KR101766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415A KR101766333B1 (ko) 2016-02-15 2016-02-15 보강구조를 갖는 브레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415A KR101766333B1 (ko) 2016-02-15 2016-02-15 보강구조를 갖는 브레이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6333B1 true KR101766333B1 (ko) 2017-08-08

Family

ID=59653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7415A KR101766333B1 (ko) 2016-02-15 2016-02-15 보강구조를 갖는 브레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63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8832A1 (ko) * 2022-09-01 2024-03-07 박인화 멀티 기능의 회전형 데몰리션 브레이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701Y1 (ko) * 2004-07-06 2004-09-21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토목 및 건설공사시 사용되는 파쇄장비의 마모방지보강구조
KR200369452Y1 (ko) * 2004-09-21 2004-12-04 주식회사 코막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파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701Y1 (ko) * 2004-07-06 2004-09-21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토목 및 건설공사시 사용되는 파쇄장비의 마모방지보강구조
KR200369452Y1 (ko) * 2004-09-21 2004-12-04 주식회사 코막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파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8832A1 (ko) * 2022-09-01 2024-03-07 박인화 멀티 기능의 회전형 데몰리션 브레이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017B1 (ko) 중장비용 바이브레이터 니퍼
JP4559156B2 (ja) ブレーカ取付用ブラケット
KR101098788B1 (ko) 완충부를 갖는 콤팩터
KR101379831B1 (ko) 진동리퍼용 완충장치
CN104114781A (zh) 磨耗总成
US8276681B2 (en) Nipper
JP4430145B2 (ja) 液圧式破砕機械に関する装置
KR101268417B1 (ko) 중장비용 진동 리퍼
KR101766333B1 (ko) 보강구조를 갖는 브레이커
KR101551168B1 (ko) 콤팩트
KR100647466B1 (ko) 굴삭기용 브레이카의 저소음 장치
KR100957223B1 (ko) 브레이커
EP1715106A1 (en) Mobile milling machine
KR20130063166A (ko) 진동 리퍼
KR100447250B1 (ko) 건설중장비의 파쇄형 작업장치의 저소음형 브레이커
KR200451577Y1 (ko) 굴삭기용 저소음 브레이카의 프론트커버구조
CN115003928A (zh) 用于挖掘机的减振装置
JP2003176543A (ja) バケット
KR20120044109A (ko) 유압브레이커용 방진 브라켓
CN215483229U (zh) 一种具有组合插设式扁钢的破碎锤
KR102383283B1 (ko) 중장비 공구용 방진장치의 결합구조
KR101518809B1 (ko) 유압 브레이커의 치즐핀 조립체
KR102035798B1 (ko) 굴삭기
KR20140082661A (ko) 굴삭기용 부품 보호장치
JP2005350948A (ja) 油圧ショベルの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