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798B1 - 굴삭기 - Google Patents

굴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798B1
KR102035798B1 KR1020180004412A KR20180004412A KR102035798B1 KR 102035798 B1 KR102035798 B1 KR 102035798B1 KR 1020180004412 A KR1020180004412 A KR 1020180004412A KR 20180004412 A KR20180004412 A KR 20180004412A KR 102035798 B1 KR102035798 B1 KR 102035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arm
vibration absorbing
vibration
absorb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6190A (ko
Inventor
정문교
정영재
Original Assignee
정문교
정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문교, 정영재 filed Critical 정문교
Priority to KR1020180004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798B1/ko
Priority to PCT/KR2018/006425 priority patent/WO2018230877A1/ko
Publication of KR20190086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4Booms only for booms with cable suspension arrangements; Cable susp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hammer-type to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1Circuitry for evaluating the brightness vari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5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originating from the display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단을 주행체에 회전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붐, 일단을 붐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암, 암의 타단에 연결 설치하는 어태치먼트, 상부 선회체와 상기 붐을 연결하도록 설치하며, 붐이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붐 실린더, 붐과 암을 연결하도록 설치하며, 암이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암 실린더, 암 내부에 결합 설치하며, 어태치먼트의 동작을 통해 암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력을 통해 흔들림 운동하는 복수의 암 진동흡수판, 암의 내부에 채워지도록 구비하며, 암 및 암 진동흡수판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력을 흡수하는 암 진동흡수유체, 붐 내부에 결합 설치하며, 붐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력을 통해 흔들림 운동하는 복수의 붐 진동흡수판, 붐의 내부에 채워지도록 구비하며, 붐 및 붐 진동흡수판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력을 흡수하는 붐 진동흡수유체를 포함하는 굴삭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굴삭기{Excavator}
본 발명은 토목, 건축, 건설 현장에서 땅을 파거나 토사 운반, 건물 해체, 지면 정리 작업을 하는 굴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Excavator)는 토목, 건축, 건설 현장에서 땅을 파는 굴삭 작업, 토사를 운반하는 적재작업, 건물을 해체하는 파쇄작업, 지면을 정리하는 정지작업 등의 작업을 행하는 건설기계로서 장비의 이동 역할을 하는 주행체와 주행체에 탑재되어 360도 회전하는 상부 선회체 및 작업용 어태치먼트(Attachment)로 구성된다.
여기서, 굴삭기의 구성 중, 어태치먼트는 토사와 암석의 상태, 작업의 종류 및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굴삭기에 장착되어 사용되는데, 이러한 어태치먼트의 종류에는 버켓(Bucket), 브레이커(Breaker), 크러셔(Crusher), 드릴(Drill), 집게, 바가지 등으로 다양하다.
이러한, 어태치먼트는 건설현장의 상황에 맞게 다양하게 교환되어 사용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버켓은 일반 굴삭 및 토사 운반을 담당하고 브레이커는 단단한 지면, 암석 등을 파쇄하며 크러셔는 건물의 해체 및 파쇄에 사용된다.
이와 같이, 거의 모든 건설작업에 다양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가 적용되어 배수로 묻기, 파이프 묻기, 건물기초 바닥파기, 토사적재 등과 같은 건설작업에 적재적소에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그런데, 굴삭기용 어태치먼트를 사용하여 작업하는 경우, 땅을 파거나 깎아내고 뚫기 때문에 진동 및 충격이 발생하고, 진동 및 충격은 암에서 붐으로 전달되면서 암과 어태치먼트의 연결부위, 암과 붐의 연결부위 수명을 감소시킴과 더불어 작업자에게 피로감을 주고 근골격계 질환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굴삭기용 어태치먼트로 브레이커를 사용하여 지면 또는 암석 등을 파쇄시, 암 및 붐으로 진동이 분산되면서 지면 또는 암석으로의 안정적인 타격력이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굴삭기 자체에 미리 설계된 수동식 또는 능동식 진동흡수장치를 추가로 장착 설치하는 구조를 채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진동흡수장치는 별도의 구성 장치로 구비됨으로써, 설치가 용이하지 못함과 더불어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됨에 따라 설계된 한 종류의 굴삭기에만 적용 가능하고 다양한 종류의 굴삭기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진동흡수장치를 구비하는 굴삭기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09-0111792호(2009.10.27)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어태치먼트로부터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을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굴삭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단을 주행체에 회전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붐, 일단을 상기 붐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암, 상기 암의 타단에 연결 설치하는 어태치먼트, 상기 상부 선회체와 상기 붐을 연결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붐이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붐 실린더, 상기 붐과 상기 암을 연결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암이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암 실린더, 상기 암 내부에 결합 설치하며, 상기 어태치먼트의 동작을 통해 상기 암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력을 통해 흔들림 운동하는 복수의 암 진동흡수판, 상기 암의 내부에 채워지도록 구비하며, 상기 암 및 암 진동흡수판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력을 흡수하는 암 진동흡수유체, 상기 붐 내부에 결합 설치하며, 상기 붐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력을 통해 흔들림 운동하는 복수의 붐 진동흡수판, 상기 붐의 내부에 채워지도록 구비하며, 상기 붐 및 붐 진동흡수판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력을 흡수하는 붐 진동흡수유체를 포함하는 굴삭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암 진동흡수판은, 상기 암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하고, 상기 붐 진동흡수판은, 상기 붐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 진동흡수판은, 상기 암 내측면에 결합되는 일단으로부터 상기 암 내부로 연장되는 타단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암 진동흡수판의 일단 및 타단 사이 양측면에는 암 회동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붐 진동흡수판은, 상기 붐 내측면에 결합되는 일단으로부터 상기 붐 내부로 연장되는 타단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붐 진동흡수판의 일단 및 타단 사이 양측면에는 붐 회동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어태치먼트는 브레이커이며, 상기 어태치먼트의 내부에는 진동 및 충격력을 흡수하는 복수의 브레이커 진동흡수판을 결합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는, 암 진동흡수판 및 암 진동흡수유체가 암 내부에 설치되고, 붐 진동흡수판과 붐 진동흡수유체가 붐 내부에 설치된 바, 어태치먼트의 작동에 따른 작업시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력이 암 진동흡수판과 붐 진동흡수판을 통해 암 진동흡수유체 및 붐 진동흡수유체로 전달 흡수되면서 암과 붐의 흔들림 감소를 통한 어태치먼트에 의한 타격력이 증대되어 작업성을 좋게함과 더불어 굴삭기를 운전하는 작업자에게 진동 및 충격력의 전달을 최소화하여 피로감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구성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암 진동흡수판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암 진동흡수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브레이커 진동흡수판의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 및 종래의 굴삭기 동작시 가속도값에 따른 진폭비교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구성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굴삭기는, 주행체(100), 상부 선회체(200), 붐(300), 붐 진동흡수유체(310), 암(400), 암 진동흡수유체(410), 어태치먼트(500), 붐 실린더(600), 암 실린더(700), 암 진동흡수판(800), 붐 진동흡수판(90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주행체(100)는 굴삭기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궤도나 바퀴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선회체(200)는 상기 주행체(100)에 360도로 회전 가능하게 탑재되며, 운전실과 기계실을 구비한다.
상기 붐(300)은 상기 상부 선회체(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붐(30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상부 선회체(2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구조로 연결되고, 상기 붐(300)은 이후 설명될 붐 실린더(60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상부 선회체(20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붐(300)은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고, 'ㄱ'자형의 수직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붐 진동흡수유체(310)는 붐(300)의 내부에 채워지도록 구비하여, 이후 설명될 암(400) 및 붐 진동흡수판(900)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력, 그리고 상부 선회체(20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력을 흡수한다. 여기서, 상기 붐 진동흡수유체(310)는 물이나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유체를 선택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삭제
상기 암(400)은 상기 붐(3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암(40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붐(300)의 길이방향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구조로 연결되고, 상기 암(400)은 이후 설명될 암 실린더(70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붐(40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붐(300)은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고, 일자형의 수직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암 진동흡수유체(410)는 암(400)의 내부에 채워지도록 구비하여, 이후 설명될 어태치먼트(500)의 작동을 통해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력, 그리고 암 진동흡수판(800)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력을 흡수한다. 여기서, 상기 암 진동흡수유체(410)는 물이나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유체를 선택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삭제
또한, 상기 암(400)에는 이후 설명될 어태치먼트(500)와 연결되는 어태치먼트 실린더(401)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어태치먼트 실린더(401)의 바디 부분은 상기 암(4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되고, 상기 어태치먼트 실린더(401)의 실린더 로드 단부는 어태치먼트(5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어태치먼트 실린더(401)는 어태치먼트(500)를 상기 암(400)의 길이방향 타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어태치먼트(500)는 상기 암(400)에 연결 설치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의 상황에 맞게 다양하게 교환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암(400)의 길이방향 타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어태치먼트(500)는 상기 암(400)의 길이방향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어태치먼트(500)는 앞서 설명한 상기 암(400)에 구비된 어태치먼트 실린더(401)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어태치먼트(500)는 단단한 지면이나 암석 등을 파쇄하는 브레이커를 선택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어태치먼트(500)에는 지면이나 암석을 파쇄할 때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복수의 브레이커 진동흡수판(510)을 결합 구비할 수 있다. 이같이, 상기 어태치먼트(500) 내부에는 상기 브레이커 진동흡수판(510)을 결합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브레이커 진동흡수판(510)은 일단을 상기 어태치먼트(500) 내측면에 결합하는 브레이커 연결단부(511)와, 상기 연결단부(511)의 타단 양측에 상호 대칭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삼각형 단면형상을 가지는 브레이커 진동흡수부(512)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브레이커 진동흡수판(510)은 상기 어태치먼트(500) 내측면에 결합되는 일단으로부터 상기 어태치먼트(500) 내부로 연장되는 타단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외에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브레이커 진동흡수판(510)의 일단은 상기 어태치먼트(500) 내측면에 용접, 볼팅, 리벳 중 어느 하나의 결합 구조를 통해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이외의 결합 구조로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붐 실린더(600)는 상기 붐(300)을 상기 상부 선회체(200)에서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실린더이다. 이러한, 상기 붐 실린더(600)는 상기 상부 선회체(200)와 상기 붐(300)을 연결하도록 설치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붐 실린더(600)의 바디 부분은 상기 상부 선회체(2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되고, 상기 붐 실린더(600)의 실린더 로드 단부는 상기 붐(3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된다.
상기 암 실린더(700)는 상기 암(400)을 상기 붐(300)에서 회전하도록 구동력 발생시키는 실린더이다. 이러한, 상기 암 실린더(700)는 상기 암(400)과 상기 붐(300)을 연결하도록 설치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암 실린더(700)의 바디 부분은 상기 붐(300)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되고, 상기 암 실린더(700)의 실린더 로드 단부는 상기 암(4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된다.
상기 암 진동흡수판(800)은 상기 어태치먼트(500)의 작동에 따른 작업을 수행하면서 상기 암(400)으로 전달된 진동 및 충격력을 암 진동흡수유체(410)에서 흡수하도록 전달하는 판 부재이다. 즉, 상기 암 진동흡수판(800)은 상기 암(400)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력을 전달받은 후 흔들림 운동을 통해 암 진동흡수유체(410)로 분산 전달되게 하면서 흡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어태치먼트(500)에 의한 파쇄력을 증대되게 한다. 이같이, 상기 암 진동흡수판(800)은 상기 암(400)으로 전달된 진동 및 충격력을 암 진동흡수유체(410)로 전달하여 흡수되게 하면서 상기 암(400)의 흔들림을 방지하게 되는 바, 상기 어태치먼트(500)에 의한 대상물의 타격시 가속도를 증대시키면서 파쇄력이 안정적으로 전달되게 하는 바, 대상물의 안정적인 파쇄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암 진동흡수판(800)은 상기 암(400)의 내부에 복수개를 삽입 설치하는데, 이때 상기 암(400)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암 진동흡수판(800)의 일단은 상기 암(400)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암 진동흡수판(800)의 타단은 상기 암(400) 내부로 연장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암 진동흡수판(800)은 상기 암(400) 내측면에 결합되는 일단으로부터 상기 암(400) 내부로 연장되는 타단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같이, 상기 암 진동흡수판(800)은 사다리꼴 단면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암(400)으로 전달된 진동 및 충격력은 상기 암(400)에 연결된 상기 암 진동흡수판(800)의 후단으로 갈수록 흔들림이 커지게 하는 바, 상기 암 진동흡수판(800)의 전후방향으로 흔들림 운동을 통한 진동 및 충격력이 암 진동흡수유체(410)를 통해 안정적으로 흡수 제거되게 한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암 진동흡수판(801)으로서, 상기 암 진동흡수판(801)의 일단 및 타단 사이 양측면에는 암 회동홈(8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암 회동홈(810)은 상기 암(400)으로 전달된 진동 및 충격력에 의한 상기 암 진동흡수판(801)의 흔들림 운동되는 부분을 추가하면서, 상기 암 진동흡수판(801)의 흔들림 운동력을 증대시켜 상기 암 진동흡수유체(410)를 통한 진동 및 충격력의 흡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상기 붐 진동흡수판(900)은 상기 어태치먼트(500)의 작동에 따른 작업을 수행하면서 상기 암(400)을 통해 상기 붐(300)으로 전달된 진동 및 충격력과 상기 상부 선회체(200)를 통해 상기 붐(300)으로 전달된 진동 및 충격력을 붐 진동흡수유체(310)에서 흡수하도록 전달하는 판 부재이다. 즉, 상기 붐 진동흡수판(900)은 상기 붐(300)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력을 전달받은 후 흔들림 운동을 통해 붐 진동흡수유체(310)로 분산전달되게 하면서 흡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어태치먼트(500)에 의한 파쇄력을 증대되게 한다. 이같이, 상기 붐 진동흡수판(900)은 상기 붐(300)으로 전달된 진동 및 충격력을 붐 진동흡수유체(310)로 전달하여 흡수되게 하면서 상기 붐(300)의 흔들림을 방지하게 되는 바, 상기 어태치먼트(500)에 의한 대상물의 타격시 가속도를 증대시키면서 파쇄력이 안정적으로 전달되게 하는 바, 대상물의 안정적인 파쇄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붐 진동흡수판(900)은 상기 붐(300)의 내부에 복수개를 삽입 설치하는데, 이때 상기 붐(300)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붐 진동흡수판(900)의 일단은 상기 붐(300)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붐 진동흡수판(900)의 타단은 상기 붐(300) 내부로 연장된다. 앞서 설명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붐 진동흡수판(900)은 상기 붐(300) 내측면에 결합되는 일단으로부터 상기 붐(300) 내부로 연장되는 타단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같이, 상기 붐 진동흡수판(900)은 사다리꼴 단면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붐(300)으로 전달된 진동 및 충격력은 상기 붐(300)에 연결된 상기 붐 진동흡수판(900)의 후단으로 갈수록 흔들림이 커지게 하는 바, 상기 붐 진동흡수판(900)의 전후방향으로 흔들림 운동을 통한 진동 및 충격력이 붐 진동흡수유체(310)를 통해 안정적으로 흡수 제거되게 한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도 3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붐 진동흡수판(901)으로, 상기 붐 진동흡수판(901)의 일단 및 타단 사이 양측면에는 붐 회동홈(9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붐 회동홈(910)은 상기 붐(300)으로 전달된 진동 및 충격력에 의한 상기 붐 진동흡수판(901)의 흔들림 운동되는 부분을 추가하면서, 상기 붐 진동흡수판(901)의 흔들림 운동력을 증대시켜 상기 붐 진동흡수유체(310)를 통한 진동 및 충격력의 흡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붐(300)의 내부와 상기 암(400)의 내부에 상기 붐 진동흡수유체(310)와 암 진동흡수유체(410) 및 상기 암 진동흡수판(800)과 상기 붐 진동흡수판(900)을 설치하여 구성된 일 실시예의 굴삭기에서 지면에 플레이트를 고정한 상태로 상기 어태치먼트(500)를 브레이커로 적용한 상태에서 상기 어태치먼트(500)로 상기 플레이트를 타격할 때 상기 암(400) 부분에서 측정된 가속도값은 아래의 표 1과 같다.
측정 위치 방향 측정된 가속도 최대값(g)
1회 2회 3회 4회 5회
종래
굴삭기 암
전후 5.32 6.54 6.54 4.29 5.02
좌우 9.57 13.38 9.68 8.56 11.01
상하 10.52 15.01 11.19 10.16 12.09
일실시예
굴삭기 암
전후 6.6 8.4 9.34 9.94 10.46
좌우 17.04 16.57 21.56 22.12 20.17
상하 21.11 19.59 25.41 24.71 24.22
표 1과 도 5 내지 도 7을 통해, 상기 붐(300)의 내부와 상기 암(400)의 내부에 상기 붐 진동흡수유체(310)와 암 진동흡수유체(410) 및 상기 암 진동흡수판(800)과 상기 붐 진동흡수판(900)을 설치할 때, 가속도값이 더욱 증대됨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어태치먼트(500)에서 상기 플레이트에 가해지는 타격력이 더욱 증대됨을 알 수 있다. 이같이, 상기 붐 진동흡수유체(310)와 암 진동흡수유체(410) 및 암 진동흡수판(800)과 상기 붐 진동흡수판(900)을 통해 진동 및 충격력이 흡수되는 바, 상기 암(400)과 상기 붐(300)의 변위, 즉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의 흔들림을 크게 감소되게 하면서 상기 암(400) 부분에서 측정된 가속도값이 증대됨을 알 수 있고, 가속도값의 증대는 상기 어태치먼트(500)를 통한 누르는 힘이 증가되게 하는 바, 상기 어태치먼트(500)에 의한 상기 플레이트의 타격력이 증대된다.
더불어,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는 상기 어태치먼트(500)의 작동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진동 및 충격력을 상기 암 진동흡수판(800)과 상기 붐 진동흡수판(900)에서 붐 진동흡수유체(310) 및 암 진동흡수유체(410)로 전달 흡수되게 하면서, 상기 암(400)과 상기 붐(300)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력을 최소화시키는 바, 상기 암(400)과 상기 어태치먼트(500)의 연결부위와, 상기 상기 암(400)과 상기 붐(300)의 연결부위 및, 상기 붐(300)과 상기 상부 선회체(200)의 연결부위로의 진동 및 충격력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증대시킴과 더불어 굴삭기를 운전하는 작업자에게 피로감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는, 상기 암 진동흡수판(800) 및 암 진동흡수유체(410)가 상기 암(40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붐 진동흡수판(900)과 붐 진동흡수유체(310)가 상기 붐(300) 내부에 설치된 바, 상기 어태치먼트(500)의 작동을 따른 작업시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력이 상기 암 진동흡수판(800)과 상기 붐 진동흡수판(900)을 통해 암 진동흡수유체(410) 및 붐 진동흡수유체(310)로 전달 흡수되면서 상기 암(400)과 상기 붐(300)의 흔들림 감소를 통한 상기 어태치먼트(500)에 의한 타격력이 증대되어 작업성을 좋게함과 더불어 굴삭기를 운전하는 작업자에게 진동 및 충격력의 전달을 최소화하여 피로감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주행체 200: 상부 선회체
300: 붐 310: 붐 진동흡수유체
400: 암 401: 어태치먼트 실린더
410: 암 진동흡수유체 500: 어태치먼트
510: 브레이커 진동흡수판 600: 붐 실린더
700: 암 실린더 800: 암 진동흡수판
810: 암 회동홈 900: 붐 진동흡수판
910: 붐 회동홈

Claims (8)

  1. 일단을 주행체에 회전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붐과;
    일단을 상기 붐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암과;
    상기 암의 타단에 연결 설치하는 어태치먼트와;
    상기 상부 선회체와 상기 붐을 연결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붐이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붐 실린더와;
    상기 붐과 상기 암을 연결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암이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암 실린더와;
    상기 암 내부에 결합 설치하며, 상기 어태치먼트의 동작을 통해 상기 암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력을 통해 흔들림 운동하는 복수의 암 진동흡수판과;
    상기 암의 내부에 채워지도록 구비하며, 상기 암 및 암 진동흡수판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력을 흡수하는 암 진동흡수유체와;
    상기 붐 내부에 결합 설치하며, 상기 붐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력을 통해 흔들림 운동하는 복수의 붐 진동흡수판; 및
    상기 붐의 내부에 채워지도록 구비하며, 상기 붐 및 붐 진동흡수판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력을 흡수하는 붐 진동흡수유체;를 포함하는 굴삭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 진동흡수판은, 상기 암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하고,
    상기 붐 진동흡수판은, 상기 붐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한 굴삭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 진동흡수판은, 상기 암 내측면에 결합되는 일단으로부터 상기 암 내부로 연장되는 타단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단면 형상을 가지는 굴삭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암 진동흡수판의 일단 및 타단 사이 양측면에는 암 회동홈이 더 형성된 굴삭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붐 진동흡수판은, 상기 붐 내측면에 결합되는 일단으로부터 상기 붐 내부로 연장되는 타단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단면 형상을 가지는 굴삭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붐 진동흡수판의 일단 및 타단 사이 양측면에는 붐 회동홈이 더 형성된 굴삭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는 브레이커이며,
    상기 어태치먼트의 내부에는 진동 및 충격력을 흡수하는 복수의 브레이커 진동흡수판을 결합 구비하는 굴삭기.
  8. 삭제
KR1020180004412A 2017-06-14 2018-01-12 굴삭기 KR102035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412A KR102035798B1 (ko) 2018-01-12 2018-01-12 굴삭기
PCT/KR2018/006425 WO2018230877A1 (ko) 2017-06-14 2018-06-05 굴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412A KR102035798B1 (ko) 2018-01-12 2018-01-12 굴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190A KR20190086190A (ko) 2019-07-22
KR102035798B1 true KR102035798B1 (ko) 2019-10-24

Family

ID=67469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412A KR102035798B1 (ko) 2017-06-14 2018-01-12 굴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7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355B1 (ko) 2004-08-18 2012-08-29 가부시끼가이샤 도오요오구우끼세이사꾸쇼 브레이커 부착용 브래킷
KR101651969B1 (ko) 2015-04-30 2016-08-3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굴삭기용 진동저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956B1 (ko) * 2010-01-25 2012-09-07 주식회사 지원중공업 굴삭기용 브레이커
KR20160073240A (ko) * 2014-12-16 2016-06-24 (주) 대동이엔지 유압브레이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355B1 (ko) 2004-08-18 2012-08-29 가부시끼가이샤 도오요오구우끼세이사꾸쇼 브레이커 부착용 브래킷
KR101651969B1 (ko) 2015-04-30 2016-08-3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굴삭기용 진동저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190A (ko) 201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017B1 (ko) 중장비용 바이브레이터 니퍼
KR101505646B1 (ko) 충격흡수식 진동브레이커
US9238902B2 (en) Cab suspension system for a machine adapted to surface excavate rock or like materials
KR101355629B1 (ko) 굴삭기용 진동리퍼
KR100878296B1 (ko) 진동 니퍼
ES2508915T3 (es) Pinza de tipo vibratorio
KR20110116647A (ko) 중장비용 진동 니퍼
JP6429098B2 (ja) 掘削機を用いた掘削装置
KR101268417B1 (ko) 중장비용 진동 리퍼
KR101551168B1 (ko) 콤팩트
KR102035798B1 (ko) 굴삭기
WO2018230877A1 (ko) 굴삭기
JP2015145571A (ja) トンネル施工設備及び施工方法
KR20130063166A (ko) 진동 리퍼
KR20140095885A (ko) 샹크 링크 회전 방식의 진동 리퍼
KR20160073240A (ko) 유압브레이커
CN115003928A (zh) 用于挖掘机的减振装置
KR200483502Y1 (ko) 굴삭기
KR20110032791A (ko) 건설장비용 진동 파쇄기
KR101359024B1 (ko) 진동 브레이커
KR101898894B1 (ko) 굴삭기용 암
KR101533365B1 (ko) 진동브레이커 연결링크
KR101743679B1 (ko) 보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굴삭기
KR20140095886A (ko) 가이드롤러가 구비된 진동 리퍼
JP6864638B2 (ja) 建設機械のフロン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