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701Y1 - 토목 및 건설공사시 사용되는 파쇄장비의 마모방지보강구조 - Google Patents
토목 및 건설공사시 사용되는 파쇄장비의 마모방지보강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62701Y1 KR200362701Y1 KR20-2004-0019101U KR20040019101U KR200362701Y1 KR 200362701 Y1 KR200362701 Y1 KR 200362701Y1 KR 20040019101 U KR20040019101 U KR 20040019101U KR 200362701 Y1 KR200362701 Y1 KR 20036270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ar
- breaker
- bracket
- crushing equipment
- weld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5—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metal-cutting or concrete-crushing imp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hammer-type too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E04G23/082—Wrecking of buildings using shears, breakers, jaws and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토목 및 건설공사시 사용되는 파쇄장비의 마모방지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통상의 브레이커, 크래셔, 쉐어 등의 파쇄장비에 있어서,
상기한 브레이커, 크래셔, 쉐어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장비에 파쇄 및 절단하고자 하는 물체와 직,간접으로 가장 많이 부딪치게 되는 접촉부위에 고성능 내마모성 용접봉으로 용접하므로서 얻어지는 용접비드에 의하여 상기한 접촉부위에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돌출되는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가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토목 및 건설공사시 굴삭기 또는 크레인 등에 장착되어 지반의 굴착작업시 암반에 구멍을 뚫거나 깨뜨릴 때 사용되는 브레이커(Breaker), 건축구조물을 철거할 때 사용되는 크래셔(Crusher), 건축구조물 철거시 콘크리트벽면에 매설되어 있는 철근 등을 절단하는데 사용되는 쉐어(Shear) 등과 같은 파쇄장비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마모방지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및 건설공사시 굴삭기나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지반을 굴착할 때 지표면에 노출되어 있거나 또는 지하에 묻혀있는 암반에 구멍을 뚫어주거나 깨뜨려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타격용 치즐이 왕복운동을 하는 브레이커를 사용하게 되며, 또한 기 건축된 노후 건물이나 구조물 등을 철거할 때에는 크래셔를 사용하고 있으며, 또 노후된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이나 구조물을 철거함에 있어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있던 철근 등을 절단하고자 할 때에는 쉐어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한 브레이커, 크래셔, 쉐어 등의 각 파쇄장비는 사용용도에 따라 굴삭기 붐의 아암에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장비들은 작업 도중에 파쇄하고자 하는 물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므로서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물체와 접촉하게 되는 부위에는 마모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며, 그러한 마모현상에 의해 장비들의 사용수명이 현저하게 단축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브레이커의 경우에는 타격용 치즐만 돌출되도록 브레이커본체의 선단 전체를 덮어주는 박스형 브라켓이 장착된 것과, 브레이커본체의 선단이 노출되도록 본체의 양측을 커버하는 사이드 고정형 브라켓이 장착된 것이 있으며, 이러한 박스형 브라켓이나 사이드 고정형 브라켓들은 모두 철재로 되어 있어 브레이커로 콘크리트나 암반을 깨뜨리는 작업을 할 때 콘크리트 및 암반에 직접 접촉하거나 부딪치게 될 뿐 아니라 파쇄되는 잔석들이 부딪치게 되며, 이로 인하여 브레이커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박스형 브라켓 및 사이드 고정형 브라켓이 마모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며, 마모현상이 빠르게 진행되면 될수록 그만큼 브레이커의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브레이커를 사용하는 도중에 브라켓에 마모가 심하게 발생하게 되면 공사현장에서 마모부위에 철판이나 파이프 등을 덧대어 용접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는 공사를 중단하고 덧댐 용접을 해야 하기 때문에 공기가 지연될 뿐 아니라 덧댐작업이 힘들고 까다롭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또는 상기한 박스형 브라켓 및 사이드 고정형 브라켓의 외부에 강도가 우수한 고가의 주강으로 별도 제작된 커버판재 또는 커버박스를 브라켓에 체결하는 구조로서 브라켓을 보호하고 있으나, 이는 기존의 브레이커에다 고가의 주강판재를 추가로 장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브레이커의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단점과 함께 이러한 브레이커를 구입하여 공사를 하게 되는 업체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주게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크래셔에 있어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철거 및 파괴할 때 고정몸체와 가동아암 각각의 끝단에 용접구조로 부착된 고정투스 및 가동투스가 철거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등에 직접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가장 많이 마모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며, 쉐어에 있어서도 고정몸체와 가동아암에 장착되어 고정커터 및 가동커터를 지지하고 있는 커터바디가 절단하고자 하는 철근 등에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가장 빨리 마모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므로서 상기한 크래셔 및 쉐어의 사용수명이 현저하게 단축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크래셔의 투스 및 쉐어의 커터바디를 강도가 우수한 고가의 주강으로 제작하게 될 경우에는 제작비가 그만큼 비싸질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기존의 브레이커, 크래셔, 쉐어 등 각 파쇄장비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별도의 추가 부품을 장착하지 않고, 또한 제작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면서 각 파쇄장비의 사용수명을 현저하게 연장시킬 수 있는 마모방지 보강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통상의 브레이커, 크래셔, 쉐어 등의 파쇄장비에 있어서,
상기한 브레이커, 크래셔, 쉐어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장비에 파쇄 및 절단하고자 하는 물체와 직,간접으로 가장 많이 부딪치게 되는 접촉부위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성능 내마모성 용접봉으로 경화용접하므로서 얻어지는 용접비드를 상기한 접촉부위에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돌출되는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파쇄장비가 브레이커본체의 선단에 박스형 브라켓이 장착된 브레이커일 경우 상기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는 타격용 치즐이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돌출되는 박스형 브라켓에서 파쇄하고자 하는 물체와의 접촉이 가장 많은 부위에 해당하는 선단면에 형성하되, 상기한 타격용 치즐과는 이격된 거리를 가지면서 치즐을 둘러싸도록 상기한 선단면의 가장자리 전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파쇄장비가 사이드 고정형 브라켓이 장착된 브레이커일 경우 상기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는 브레이커본체의 선단보다 더 돌출되는 양측 사이드 고정형 브라켓에서 파쇄하고자 하는 물체와의 접촉이 가장 많은 부위에 해당하는 선단부 전체에 서로 평행선을 이루도록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그 선단부 양단에서부터 전,후면을 향해 상향으로 일정높이까지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파쇄장비가 사이드 고정형 브라켓이 장착된 브레이커일 경우 상기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는 브레이커본체의 선단에 삽입되어 타격용 치즐의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프런트 커버에서 브레이커본체의 선단에서 노출되어 파쇄하고자 하는 물체와의 접촉이 가장 많은 부위에 해당하는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되, 상기한 치즐과는 이격된 채 치즐을 둘러싸는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파쇄장비가 크래셔인 경우 상기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는 고정몸체 및 가동아암 각각의 선단에 용접되어 파쇄 및 절단하고자 하는 물체와의 접촉이 가장 많은 부위에 해당하는 복수의 고정투스 및 가동투스들 각각의 선단을 감싼상태로 형성하되, 상기한 가동투스가 작동하게 되는 방향을 향해 안팎으로 이어지도록 한 줄 이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쇄장비가 쉐어인 경우 상기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는 고정몸체 및 가동아암 각각에 장착되어 있는 고정 및 가동 커터바디에서 절단하고자 하는 물체와의 접촉이 가장 많은 부위에 해당하는 노출표면에 일직선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브레이커의 박스형 브라켓에 적용한 마모방지 보강구조의 실시예.
도 2는 동 실시예의 브레이커 측면도 및 저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을 브레이커의 사이드 고정형 브라켓 및 프런트 커버에 적용한 실시예.
도 5는 동 실시예의 측면도 및 저면도.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동 실시예의 프런트 커버의 일부 단면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을 브레이커의 사이드 고정형 브라켓의 후면에 적용한 실시예.
도 9는 본 고안을 크래셔의 투스에 적용한 실시예.
도 10 및 도 11은 동 실시예의 고정투스 및 가동투스의 측면도 및 정면도.
도 12는 본 고안을 쉐어의 고정 및 가동 커터바디에 적용한 실시예.
도 13 및 도 14는 동 실시예의 고정 및 가동커터바디의 평면 및 측면도.
도 15는 동 실시예의 고정커터와 가동커터의 작동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쇄장비 2,2a,2b : 브레이커
21a,21b : 타격용 치즐 22a,22b : 브레이커본체
23a,23b : 사이드 브라켓 24a,24b : 탑 및 상부 브라켓
25a : 박스형 브라켓 26b : 프런트 커버
3 : 크래셔 4 : 쉐어
31,41 : 고정몸체 32,42 : 가동몸체
33,43 : 탑 브라켓 34 : 고정투스
35 : 가동투스 44 : 고정커터바디
45 : 가동커터바디 46 : 고정커터
47 : 가동커터 5a,5b,5c,6,7 :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
본 고안의 각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을 브레이커의 박스형 브라켓에 적용한 마모방지 보강구조의 실시예이며,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을 브레이커의 사이드 고정형 브라켓 및 프런트 커버에 적용한 실시예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을 크래셔의 투스에 적용한 실시예이며, 도 11 내지 도 14는 본 고안을 쉐어의 고정 및 가동 커터바디에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부호 1로 표시하는 파쇄장비는 굴삭기 또는 크레인 등에 장착되어 토목공사 및 건설공사에 사용되는 브레이커(2), 크레인(3), 쉐어(4)를 포괄적으로 총칭하여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브레이커(2)는 지반 굴착시 암반이나 콘크리트에 구멍을 뚫어주거나 부수는데 사용되는 것이며, 크래셔(3)는 노후된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건축물 등을 파괴 철거하는데 사용되는 것이고, 쉐어(4)는 노후 건축물을 철거할 때 콘크리트벽에 매립되어 있던 철근이나 "ㄴ"자형 및 "ㄷ"자형 형강 등의 철재를 절단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파쇄장비(1) 중의 하나인 브레이커(2)는, 타격용 치즐(21a)을 기준하여 상기한 치즐이 돌출되는 브레이커본체(22a)의 선단이 은폐되어 있는 것과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는바,
먼저, 브레이커본체(22a)의 선단이 은폐되게 구성된 브레이커(2a)의 경우는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브레이커본체(22a)의 양측에는 사이드 브라켓(23a)이, 상단에는 탑 브라켓(24a)이 장착되어 있으며, 타격용 치즐(21a)이 돌출되는 브레이커본체(22a)의 선단과 양측 사이드 브라켓(23a)의 선단을 감싸주는 박스형 브라켓(25a)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한 박스형 브라켓은 브레이커본체(22a)를 보호하기 위한 것인데, 상기의 박스형 브라켓(25a)은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되고 있는 철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박스형 브라켓(25a)에 내마모성을 부여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인데, 이를 위해 타격용 치즐(21a)과는 이격된 거리를 가지면서 치즐을 둘러싸는 상태로서 상기한 박스형 브라켓(25a) 선단면의 가장자리 전체에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5a)를 돌출되게 형성하였다.
상기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5a)는 고성능 내마모성 텅스텐 재질의 용접봉을 사용하여 박스형 브라켓(25a)의 선단면 가장자리에 용접공정으로 경화용접하여 용접비드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구조로서 돌출 형성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고성능 내마모성 텅스텐 재질의 용접봉에 의해 경화용접되어 박스형 브라켓(25a)에 돌출 형성된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5a)는 박스형 브라켓(25a)의 철판재질보다 2 내지 5배 정도 강한 강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박스형 브라켓(25a)의 선단 가장자리 전체에 돌출 형성된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5a)는 타격용 치즐(21a)이 암반이나 콘크리트를 타격하여 부수거나 구멍을 뚫어줄 때 박스형 브라켓(25a)의 가장자리부분은 암반이나 콘크리트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외부로 돌출 형성된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5a)가 접촉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타격용 치즐(21a)의 타격작동에 의해 부서지는 잔석들이 박스형 브라켓(25a)의 가장자리부분에 직접 부딪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되므로서 브레이커(2a)를 사용하여 암반이나 콘크리트에 구멍을 뚫거나 부술 때 박스형브라켓(25a)의 선단면에 노출되게 돌출 형성된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5a)가 브라켓의 가장자리부분을 보호하게 되므로서 브레이커(2a)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 도 4 내지 도 7의 도시와 같이 타격용 치즐(21b)이 돌출되는 브레이커본체(22b)의 선단면이 노출된 상태로 구성되는 사이드 고정형 브라켓으로 구성되는 브레이커(2b)의 경우는, 상기 브레이커본체(22b)의 양측에 장착되는 사이드 브라켓(23b)의 선단부가 브레이커본체(22b)의 선단면보다 더 튀어나오게 돌출되어 있으며, 또한 이 실시예의 상부 브라켓(24b)은 양 사이드 브라켓(23b)의 일측에 돌출되게 연장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레이커본체(22b)의 선단면이 노출된 브레이커(2b)는 타격용 치즐(21b)로 암반이나 콘크리트를 타격할 때 브레이커본체(22b)의 선단면보다 더 돌출되어 있는 양측 사이드 브라켓(23b)의 선단부가 암반이나 콘크리트에 가장 많이 접촉 또는 부딪치게 된다. 따라서 양측 사이드 브라켓(23b) 각각의 선단부에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5b)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양측 사이드 브라켓(23b)을 보호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에서의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5b)는 양측 사이드 브라켓(23b) 각각의 선단부 전체에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5b)의 양단은 사이드 브라켓(23b)의 전면과 이면에 일정높이까지 연장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브레이커본체(22b)의 선단면이 노출되는 브레이커(2b)의 경우에는 브레이커본체(22b)의 선단에는 타격용 치즐(21b)의 왕복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프런트커버(26b)가 장착되어 있는데, 상기 프런트 커버의 선단부는 브레이커본체(22b)의 선단면에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프런트 커버(26b)의 선단면에도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5c)를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한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5c)는 타격용 치즐(21b)과는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게 하므로서 타격용 치즐(21b)이 왕복운동을 할 때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한 실시예에서의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5b)(5c)는 전술한 실시예(도 1 내지 도3 실시예)와 같은 고성능 내마모성 텅스텐 재질로 된 용접봉에 의하여 경화용접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양측 사이드 브라켓(23b) 및 프런트 커버(26b) 각각의 선단에 돌출 형성된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5b)(5c)는 브레이커(2b)로 암반이나 콘크리트를 타격할 때 부서지는 잔석에 직접 접촉하여 사이드 브라켓(23b) 및 프런트 커버(26b)를 보호하는 작용을 담당하게 되므로서 브레이커(2b)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사이드 고정형 브라켓이 장착된 브레이커(2b)의 경우에는 도 8의 도시와 같이 양측 사이그 브라켓(23b)의 후면 전체와 상단 일부에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5c)를 형성시킬 수도 있는데, 이는 브레이커(2b)로 암반 등을 파쇄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깨어진 잔석들이 파쇄하고자 하는 암반에 쌓이게 될 때에는 브레이커(2b)의 후면부가 암반을 향해 눕혀지게 한 상태에서 잔석들을 쓸어낼 때 양측 사이드 브라켓(23b)의 후면 전체에 형성된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5c)만 암반에 닿도록 하므로서 양측 사이드 브라켓(23b) 및 브레이커본체(22b)를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파쇄장비(1)의 하나인 크래셔(3)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크래셔(3)는 고정몸체(31)의 내측에 장착된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가동아암(32)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한 고정몸체(31)에는 탑 브라켓(33)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또한 고정몸체(31) 및 가동아암(32) 각각의 끝단에는 고정투스(34)와 가동투스(35)가 복수개씩 용접되어 있다.
상기한 고정투스(34) 및 가동투스(35)는 파쇄 및 철거하고자 하는 물체(콘크리트벽체 등)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파쇄시키게 되므로서 마모가 가장 많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고정투스 및 가동투스의 마모를 방지할 목적으로 그들의 표면에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6)를 돌출되게 형성하였다.
상기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6)는 가동투스(35)가 회전작동하는 방향을 향해 고정투스(34)와 가동투스(35)의 안팎으로 각각 한 줄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6) 역시 고성능 내마모성 텅스텐 재질의 용접봉으로 경화용접하여 형성시킨 것이므로 각 투스에 비하여 2내지 5배 정도로 강한 강도를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투수(34) 및 가동투스(35) 각각에 한 줄 이상으로 형성된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6)는 가동아암(32)의 회전 압착작동으로 파쇄 및 절단하고자 하는 물체를 파쇄 및 절단할 때 고정투스(34) 및 가동투스(35)들이 그 물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각 투스를 보호하게 되며, 이에 따라 크래셔(3)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2 내지 도 15의 도시는 파쇄장비(1)의 하나인 쉐어(4)에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쉐어(4)는 고정몸체(41)와 가동아암(42)이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가위작동을 할 수 있도록 조립되어 있으며, 고정몸체(41)에는 탑 브라켓(4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몸체(41)와 가동아암(42) 각각의 절단부에는 고정커터바디(44)와 가동커터바디(45)가 부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한 고정 및 가동 커터바디 각각에는 고정커터(46) 및 가동커터(47)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쉐어(4)는 철근이나 형강 등을 절단 제거할 때 고정 및 가동 커터바디(44)(45)가 절단하고자 하는 물체(철근 등)에 접촉하게 되어 마모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할 목적으로 본 고안에서는 고정 및 가동 커터바디(44)(45)들이 서로 마주하는 각각의 표면 전체에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7)를 일직선상으로 돌출 형성하였다.
상기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7)는 전술한 각 실시예와 같이 고성능 내마모성 텅스텐 재질의 용접봉으로 경화용접하여 형성시킨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정 및 가동 커터바디(44)(45) 각각의 표면에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7)가 돌출 형성된 쉐어(4)는 고정커터(46)와 가동커터(47)로 철근 또는 형강 등의 철재를 절단할 때 철근 등이 고정커터바디(44)와 가동커터바디(45)에 접촉하지 않고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7)가 접촉하게 되는 상태로 절단작동을 수행하게 되므로서 이에 따라 고정 및 가동 커터바디의 마모현상을 방지하게 되어 궁극적으로 쉐어(4)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굴삭기 또는 크레인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브레이커, 크래셔, 쉐어 등의 각 파쇄장비에서 파쇄 및 절단하고자 하는 물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부위에 고성능 내마모성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를 돌출 형성시키는 구조로서 각 파쇄장비의 사용시 마모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종래 기술과 같이 각 파쇄장비에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철재보강판을 추가로 접합시키지 않고 물체와의 접촉부위에 고성능 내마모성 용접봉으로 경화용접하므로서 각 파쇄장비의 원가상승의 요인을 줄이면서 파쇄장비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7)
- 통상의 브레이커, 크래셔, 쉐어 등의 파쇄장비에 있어서,상기한 브레이커, 크래셔, 쉐어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장비에 파쇄 및 절단하고자 하는 물체와 직,간접으로 가장 많이 부딪치게 되는 접촉부위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성능 내마모성 용접봉으로 경화용접하므로서 얻어지는 용접비드를 상기한 접촉부위에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돌출되는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및 건설공사시 사용되는 파쇄장비의 마모방지 보강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파쇄장비가 브레이커본체의 선단에 박스형 브라켓이 장착된 브레이커일 경우 상기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는 타격용 치즐이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돌출되는 박스형 브라켓에서 파쇄하고자 하는 물체와의 접촉이 가장 많은 부위에 해당하는 선단면에 형성하되, 상기한 타격용 치즐과는 이격된 거리를 가지면서 치즐을 둘러싸도록 상기한 선단면의 가장자리 전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및 건설공사시 사용되는 파쇄장비의 마모방지 보강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파쇄장비가 사이드 고정형 브라켓이 장착된 브레이커일 경우 상기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는 브레이커본체의 선단보다 더 돌출되는 양측 사이드 고정형 브라켓에서 파쇄하고자 하는 물체와의 접촉이 가장 많은 부위에 해당하는 선단부 전체에 서로 평행선을 이루도록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그 선단부 양단에서부터 전,후면을 향해 상향으로 일정높이까지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및 건설공사시 사용되는 파쇄장비의 마모방지 보강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파쇄장비가 사이드 고정형 브라켓이 장착된 브레이커의 경우 상기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는 상부 브라켓의 반대측으로서, 양측 사이드 브라켓의 후면 전체와 상단 일부까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및 건설공사기 사용되는 파쇄장비의 마모방지 보강구조.
-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파쇄장비가 사이드 고정형 브라켓이 장착된 브레이커일 경우 상기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는 브레이커본체의 선단에 삽입되어 타격용 치즐의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프런트 커버에서 브레이커본체의 선단에서 노출되어 파쇄하고자 하는 물체와의 접촉이 가장 많은 부위에 해당하는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되, 상기한 치즐과는 이격된 채 치즐을 둘러싸는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및 건설공사시 사용되는 파쇄장비의 마모방지 보강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파쇄장비가 크래셔인 경우 상기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는 고정몸체 및 가동아암 각각의 선단에 용접되어 파쇄 및 절단하고자 하는 물체와의 접촉이 가장 많은 부위에 해당하는 복수의 고정투스 및 가동투스들 각각의 선단을 감싼상태로 형성하되, 상기한 가동투스가 작동하게 되는 방향을 향해 안팎으로 이어지도록 한 줄 이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및 건설공사시 사용되는 파쇄장비의 마모방지 보강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파쇄장비가 쉐어인 경우 상기 마모방지용 용접보강비드는 고정몸체 및 가동아암 각각에 장착되어 있는 고정 및 가동 커터바디에서 절단하고자 하는 물체와의 접촉이 가장 많은 부위에 해당하는 노출표면에 일직선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및 건설공사시 사용되는 파쇄장비의 마모방지 보강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19101U KR200362701Y1 (ko) | 2004-07-06 | 2004-07-06 | 토목 및 건설공사시 사용되는 파쇄장비의 마모방지보강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19101U KR200362701Y1 (ko) | 2004-07-06 | 2004-07-06 | 토목 및 건설공사시 사용되는 파쇄장비의 마모방지보강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62701Y1 true KR200362701Y1 (ko) | 2004-09-21 |
Family
ID=49437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19101U KR200362701Y1 (ko) | 2004-07-06 | 2004-07-06 | 토목 및 건설공사시 사용되는 파쇄장비의 마모방지보강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62701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120925A (zh) * | 2016-06-23 | 2016-11-16 | 上海工程技术大学 | 一种套阀式液压破碎锤 |
KR101766333B1 (ko) * | 2016-02-15 | 2017-08-08 | 한병희 | 보강구조를 갖는 브레이커 |
CN117885223A (zh) * | 2023-12-27 | 2024-04-16 | 中交一公局集团有限公司 | 用于墙面的打孔定位装置及其定位方法 |
-
2004
- 2004-07-06 KR KR20-2004-0019101U patent/KR20036270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66333B1 (ko) * | 2016-02-15 | 2017-08-08 | 한병희 | 보강구조를 갖는 브레이커 |
CN106120925A (zh) * | 2016-06-23 | 2016-11-16 | 上海工程技术大学 | 一种套阀式液压破碎锤 |
CN117885223A (zh) * | 2023-12-27 | 2024-04-16 | 中交一公局集团有限公司 | 用于墙面的打孔定位装置及其定位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55017B1 (ko) | 중장비용 바이브레이터 니퍼 | |
KR101364791B1 (ko) | 암반 파쇄기 장착유닛 | |
EP0922539B1 (en) | 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a hydraulic breaking apparatus | |
US9127442B1 (en) | Bucket, breaker, and gripping apparatus for an excavator boom stick | |
KR200362701Y1 (ko) | 토목 및 건설공사시 사용되는 파쇄장비의 마모방지보강구조 | |
KR20180056283A (ko) | 브레이커용 파편 비산 방지장치 | |
KR100727358B1 (ko) | 저중량 구조의 무소음형 유압브레이커 | |
JP4543130B2 (ja) | トンネル拡幅装置 | |
KR200396929Y1 (ko) | 증속밸브를 갖는 굴삭기의 크러셔 | |
JP6653092B2 (ja) | 掘削翼表面に鋳物製の掘削翼被覆耐摩耗部材が着脱自在に装着される地盤改良装置 | |
KR101283663B1 (ko) | 2아치 터널 시공 방법 | |
JP3789100B2 (ja) | 拡幅トンネルの築造方法 | |
KR101355134B1 (ko) | 굴착기의 치즐 구조장치 | |
CN212248464U (zh) | 一种装载机用铲斗 | |
JP6626863B2 (ja) | 舗装版取り壊し用バケット並びにそのバケットを用いた建設機械および舗装版取り壊し方法 | |
KR20080072127A (ko) | 리퍼 기능을 갖는 유압브레이커 | |
KR102427716B1 (ko) | 굴착기 | |
KR100252487B1 (ko) | 구축물파쇄기및상기구축물파쇄기를이용한구축물해체공법 | |
KR101355133B1 (ko) | 굴착기의 브레이커 구조장치 | |
JPS6042125Y2 (ja) | 破砕機能などを有する掘削バケット | |
JP4938569B2 (ja) | トンネル拡幅防護装置と拡幅工法。 | |
JP3796524B2 (ja) | トンネルの拡幅方法およびトンネル | |
KR20090002769U (ko) | 콘크리트 면삭용 헤더 | |
KR200427064Y1 (ko) | 저중량 구조의 무소음형 유압브레이커 | |
JPS6042124Y2 (ja) | 破砕機能などを有する掘削バケッ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