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929Y1 - 증속밸브를 갖는 굴삭기의 크러셔 - Google Patents

증속밸브를 갖는 굴삭기의 크러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929Y1
KR200396929Y1 KR20-2005-0018759U KR20050018759U KR200396929Y1 KR 200396929 Y1 KR200396929 Y1 KR 200396929Y1 KR 20050018759 U KR20050018759 U KR 20050018759U KR 200396929 Y1 KR200396929 Y1 KR 2003969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er
excavator
valve
speed increase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7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식
Original Assignee
김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식 filed Critical 김재식
Priority to KR20-2005-00187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9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9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9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5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metal-cutting or concrete-crushing imp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67Valves or distribu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02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 F15B11/04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for controlling th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증속밸브를 갖는 굴삭기의 크러셔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굴삭기의 유압시스템을 이용하여 빔 및 철근 등의 자재를 절단하는 크러셔에 별도의 증속밸브를 형성한 후, 자재 파쇄 작업시 상기한 증속밸브에 의해 크러셔의 파쇄속도가 빨라지게 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증속밸브에 일체로 장착된 릴리프밸브에 의해 설정압력을 조절 가능하게 하여 굴삭기의 어느 기종이든 상관없이 모두 적용 가능하게 함은 물론, 굴삭기 작업중 외부요인에 의한 과부하가 발생하더라도 릴리프밸브를 통하여 크러셔의 손상을 방지하여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증속밸브를 갖는 굴삭기의 크러셔{Accelation valve for hadraulic crusher}
본 고안은 증속밸브를 갖는 굴삭기의 크러셔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굴삭기의 유압시스템을 이용하여 빔 및 철근 등의 자재를 절단하는 크러셔에 별도의 증속밸브를 형성한 후, 자재 파쇄 작업시 상기한 증속밸브에 의해 크러셔의 파쇄속도가 빨라지게 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증속밸브에 일체로 장착된 릴리프밸브에 의해 설정압력을 조절 가능하게 하여 굴삭기의 어느 기종이든 상관없이 모두 적용 가능하게 함은 물론, 굴삭기 작업중 외부요인에 의한 과부하가 발생하더라도 릴리프밸브를 통하여 크러셔의 손상을 방지하여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증속밸브를 갖는 굴삭기의 크러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공사 현장 또는 토목공사 현장에서는 다양한 중장비가 사용되는데, 이와 같은 중장비들중에는 공사현장의 암반 또는 기존의 콘크리트 구조물과 같은 장애물을 파쇄하거나 또는 빔 및 철근 등의 자재를 절단하는 크러셔가 굴삭기에 장착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크러셔는 굴삭기의 유압시스템을 통하여 작동하면서 빔 및 철근 등을 파쇄할 수 있다는 잇점은 있으나, 유압시스템 구조상 파쇄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높은 작업 효율을 기대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굴삭기 작업중 외부요인에 의해 과부하 발생하더라도 크러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과부하 발생시 크러셔가 쉽게 손상됨에 따라 사용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굴삭기의 유압시스템을 이용하여 빔 및 철근 등의 자재를 절단하는 크러셔에 별도의 증속밸브를 형성한 후, 자재 파쇄 작업시 상기한 증속밸브에 의해 크러셔의 파쇄속도가 빨라지게 하여 작업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증속밸브를 갖는 굴삭기의 크러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증속밸브에 일체로 장착된 릴리프밸브에 의해 설정압력을 조절 가능하게 함으로써, 굴삭기의 어느 기종이든 상관없이 크러셔가 모두 적용 사용될 수 있도록 한 증속밸브를 갖는 굴삭기의 크러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굴삭기 작업중 외부요인에 의해 과부하가 발생하더라도 릴리프밸브를 통하여 크러셔에 손상 가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한 증속밸브를 갖는 굴삭기의 크러셔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크러셔 상단을 선택하고 선택된 크러셔 상단에 증속밸브를 일체로 연결 형성하되, 이 증속밸브 몸체 한쪽에는 유압시스템에서 발생된 유압이 공급 또는 배출되게 하는 공급라인과 배출라인이 각각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는 공급된 유압이 유압실린더로 공급 배출될 수 있도록 연결호스측에 각각 연결되는 공급관과 배출관을 형성한 후, 상기한 배출라인을 통해 빠져 나온 유량과 공급라인으로 공급되는 유량이 혼합되면서 1.3배의 유량을 발생시켜 작동암의 파쇄속도가 빠르게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증속밸브가 장착된 크러셔의 정면도 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증속밸브가 크러셔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 이며, 도3는 본 고안에 따른 증속밸브가 크러셔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 정면도 이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증속밸브의 회로도이다.
본 고안의 크러셔(100)도 크게 굴삭기의 유압시스템에서 발생된 유압이 유압호스(110)(110a)를 통하여 내부로 공급되는 유압실린더(120)(120a)와, 상기 유압실린더(120)(120a)의 하단에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 내부로 유압이 공급되면 작동하여 자재를 파쇄시키는 작동암(130)(130a)으로 구성되어 기본적으로 작동되는 것은 종래와 같다.
다만, 본 고안은 더욱 효과적이고 기능적으로 크러셔(1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도1 내지 도4에서와 같이 공지의 크러셔(100)와, 상기 크러셔 (100)상단을 선택하고 선택된 크러셔 상단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는 증속밸브(200)와, 이 증속밸브(200)에 장착 사용되는 릴리프밸브(300)가 기본적으로 동원된다.
증속밸브(200) 몸체 한쪽에는 유압시스템에서 발생된 유압이 공급 또는 배출되게 하는 공급라인(230)과 배출라인(240)이 각각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는 공급된 유압이 유압실린더(120)(120a)로 공급 배출될 수 있도록 연결호스(110)(110a)측에 각각 연결되는 공급관(210)과 배출관(220)이 형성된다.
상기한 배출라인(240)을 통해 빠져 나온 유량은 회로내의 압력차에 의해 체크밸브(400)를 밀게 되고, 체크밸브(400)를 통과한 유량은 공급라인(230)으로 공급되는 유량과 혼합되면서 1.3배의 유량을 발생시켜 작동암(130)(130a)의 파쇄속도가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릴리프밸브(300)는 증속밸브(200) 상단에 장착 사용되는데, 이러한 릴리프밸브(300)는 유압시스템의 설정압력을 조절하여 증속밸브(200)를 갖는 크러셔(100)가 굴삭기의 어느 기종에 상관없이 모두 적용 사용되게 하고, 굴삭기 작업중 외부요인에 의해 과부하가 발생하더라도 크러셔(100)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활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크러셔(100), 증속밸브(200), 릴리프밸브(300)의 세부적인 기술 내용은 이미 공지 사항이므로 그에 따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고안은 공지의 크러셔(100)에 일체로 증속밸브(200)와 릴리프밸브(300)가 유기적으로 연결 사용되는 그 자체를 권리로서 보호받고자 함이 주된 목적임을 밝혀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굴삭기의 유압시스템에서 발생된 유압은 공급라인(230)을 통해 공급되고, 공급라인(230)으로 공급된 유압은 공급관(210), 유압호스(110)를 차례로 거치면서 유압실린더(120) 내부로 유입된다.
유압실린더(120) 내부로 유압이 유입되면 상기한 유압실린더(120)는 전진하면서 작동암(130)(130a)을 작동시키고, 작동되는 작동암(130)(130a)은 자재를 조임하여 파쇄시키게 된다.
이때 유압실린더(120a), 유압호스(110a), 배출관(220), 배출라인(140)을 통해 빠져 나오는 유량은 회로내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체크밸브(400)를 밀면서 통과하고, 체크밸브(400)를 통과한 배출라인(240)의 유량은 공급라인(230)으로 공급되는 유량과 합해지면서 1.3배의 유량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공급라인(230)으로 공급되는 유량을 1로 보면, 배출라인(240)에서 빠져나오는 유량은 0.3으로 볼수 있으며, Q(유량)=A(단면적)Xv(유속)에서 A1>A2이면 Q1>Q2라는 비례공식이 성립된다.
따라서 배출라인(240)에서 빠져나오는 유량과 공급라인(230)으로 공급되는 유량이 합해진 유량은 "속도∝유량"의 비례관계에 따라 크러셔의 작동암(130)(130a) 속도가 1.3배 정도 빨라져 높은 작업 효율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증속밸브(200)가 일체로 연결된 크러셔(100)를 굴삭기에 설치 사용시에는 굴삭기 기종에 상관없이 릴리프밸브(300)를 이용하여 적절하게 유압 압력을 조절한 후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굴삭기의 유압시스템을 이용하여 빔 및 철근 등의 자재를 절단하는 크러셔에 별도의 증속밸브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재 파쇄 작업시 상기한 증속밸브에 의해 크러셔의 파쇄속도가 빨라지게 하여 작업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증속밸브에 일체로 장착된 릴리프밸브를 통하여 유압시스템의 설정압력을 조절 가능하기 때문에 굴삭기의 어느 기종이든 상관없이 크러셔가 모두 적용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굴삭기 작업중 외부요인에 의해 과부하가 발생하더라도 릴리프밸브를 통하여 크러셔에 손상 가는 것이 방지됨으로 사용 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임을 밝혀둔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증속밸브가 장착된 크러셔의 정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증속밸브가 크러셔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
도3는 본 고안에 따른 증속밸브가 크러셔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 정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증속밸브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크러셔 110,110a ; 유압호스
120,120a ; 유압실린더 130,130a ; 작동암
200 ; 증속밸브 210 ; 공급라인
220 ; 배출라인 230 ; 공급관
240 ; 배출관 300 ; 릴리프밸브
400 ; 체크밸브

Claims (2)

  1. 굴삭기의 유압시스템에서 발생된 유압이 유압호스를 통하여 내부로 공급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하단에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 내부로 유압이 공급되면 작동하여 자재를 파쇄시키는 작동암으로 이루어진 굴삭기의 크러셔에 있어서,
    상기 크러셔 상단을 선택하고 선택된 크러셔 상단에 증속밸브를 일체로 연결 형성하되, 이 증속밸브 몸체 한쪽에는 유압시스템에서 발생된 유압이 공급 또는 배출되게 하는 공급라인과 배출라인이 각각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는 공급된 유압이 유압실린더로 공급 배출될 수 있도록 연결호스측에 각각 연결되는 공급관과 배출관을 형성한 후, 상기한 배출라인을 통해 빠져 나온 유량과 공급라인으로 공급되는 유량이 혼합되면서 1.3배의 유량을 발생시켜 작동암의 파쇄속도가 빠르게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속밸브를 갖는 굴삭기의 크러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속밸브 상단에 릴리프밸브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릴리프밸브를 통하여 유압시스템의 설정압력이 조절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속밸브를 갖는 굴삭기의 크러셔.
KR20-2005-0018759U 2005-06-29 2005-06-29 증속밸브를 갖는 굴삭기의 크러셔 KR2003969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759U KR200396929Y1 (ko) 2005-06-29 2005-06-29 증속밸브를 갖는 굴삭기의 크러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759U KR200396929Y1 (ko) 2005-06-29 2005-06-29 증속밸브를 갖는 굴삭기의 크러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929Y1 true KR200396929Y1 (ko) 2005-09-28

Family

ID=43698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759U KR200396929Y1 (ko) 2005-06-29 2005-06-29 증속밸브를 갖는 굴삭기의 크러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92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629B1 (ko) * 2011-11-29 2014-09-04 이강창 굴삭기용 그래브와 그 구동장치
KR20160039731A (ko) 2014-10-01 2016-04-12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압 시어 및 크러셔용 과부하 방지 시스템
KR20160063453A (ko) 2014-11-26 2016-06-07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압 시어 및 크러셔용 무부하 체킹 시스템
KR20160065301A (ko) 2014-11-28 2016-06-09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실린더 모니터링 컨트롤러를 구비한 유압 시어 및 크러셔용 무부하 및 과부하 모니터링 시스템
KR20170001781A (ko) 2015-06-25 2017-01-05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압 절단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629B1 (ko) * 2011-11-29 2014-09-04 이강창 굴삭기용 그래브와 그 구동장치
KR20160039731A (ko) 2014-10-01 2016-04-12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압 시어 및 크러셔용 과부하 방지 시스템
KR20160063453A (ko) 2014-11-26 2016-06-07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압 시어 및 크러셔용 무부하 체킹 시스템
KR20160065301A (ko) 2014-11-28 2016-06-09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실린더 모니터링 컨트롤러를 구비한 유압 시어 및 크러셔용 무부하 및 과부하 모니터링 시스템
KR20170001781A (ko) 2015-06-25 2017-01-05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압 절단기
KR101738151B1 (ko) 2015-06-25 2017-05-22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압 절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6929Y1 (ko) 증속밸브를 갖는 굴삭기의 크러셔
KR101206003B1 (ko) 파쇄 해머와 파쇄 해머의 고정 요소, 측부판 및 보호케이싱
KR20110116866A (ko) 굴삭기의 집게장치
CN105065006A (zh) 一种挖斗和挖掘机
CN203494549U (zh) 一种新型的固定式液压碎石机
KR100727358B1 (ko) 저중량 구조의 무소음형 유압브레이커
CN101914931B (zh) 挖掘机岩石分裂器
CN212248464U (zh) 一种装载机用铲斗
JP2010203207A (ja) 作業機械の制御装置
JP2010133109A (ja) 破砕機及びこの破砕機を備えた建設機械
CN204877483U (zh) 一种挖掘机用的挖斗
CN201722724U (zh) 挖掘机岩石分裂器
KR101727635B1 (ko) 건설중장비용 퀵 커플러
CN105926472A (zh) 一种基于水铣除砼机器人对桥梁进行加宽的施工方法
JP6626863B2 (ja) 舗装版取り壊し用バケット並びにそのバケットを用いた建設機械および舗装版取り壊し方法
KR101200359B1 (ko) 죠오의 교체가 가능한 어태치먼트
JP2016094731A (ja) 破砕装置
KR101922219B1 (ko) 건설기계의 유압제어시스템
CN208072497U (zh) 一种巨型松土器系统及其推土机
CN220132992U (zh) 工程机械
KR101542545B1 (ko) 암대 설치형 집게를 구비하는 굴삭기용 유압장치
EP0823955B1 (en) Apparatus for performing work with a tool
KR20240029460A (ko)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
JP2005074934A (ja) 仕上げ用掘削機
KR20180058489A (ko) 수륙양용 유압 브레이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