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9460A -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 - Google Patents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9460A
KR20240029460A KR1020220107953A KR20220107953A KR20240029460A KR 20240029460 A KR20240029460 A KR 20240029460A KR 1020220107953 A KR1020220107953 A KR 1020220107953A KR 20220107953 A KR20220107953 A KR 20220107953A KR 20240029460 A KR20240029460 A KR 20240029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ker
demolition
jaw
function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7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화
Original Assignee
박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화 filed Critical 박인화
Priority to KR1020220107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9460A/ko
Publication of KR20240029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9460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1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with several digging elements or tools mounted on one machin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5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metal-cutting or concrete-crushing imp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hammer-type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71Actuators and supports therefor and protection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치즐을 통해 대상 구조물을 타격하는 유압 브레이커와; 상기 유압 브레이커의 전면에 상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해체 대상물을 절단하는 조우(Jaw); 및 상기 유압 브레이커와 상기 조우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조우를 구동시키는 조우용 유압 실린더;를 포함한다.
따라서, 하나의 유압 브레이커를 이용하여 건물 등의 해체(철거) 작업에서 필요로 하는 파쇄와 절단기능을 선택적으로 원활하고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해체에 따른 작업 능률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브레이커 자체의 고장율은 낮추고 그 수명은 대폭 연장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Multi-function Demolition Breaker}
본 발명은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굴삭기의 아암 선단에 구비된 커넥팅 로드와 결합되어 암석 또는 콘크리트 덩어리 등을 가격하여 파쇄하는 유압 브레이커에 각종 건물 등의 해체(철거) 작업에서 필요로 하는 쉐어 또는 크라샤 또는 펄버라이져용 조우(Jaw)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설치하고, 하나의 유압 브레이커를 이용하여 건물 등의 해체(철거)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발명한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excavator)는 주로 토양을 굴착, 굴삭하는 건설기계로서 굴삭기 아암의 선단에 부착되는 작업 장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건설장비이다.
또한, 크라샤(Crusher)는, 부피가 큰 원석 또는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등을 분쇄하여 건축자재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콘크리트에 포함된 철근 및 철재를 절단하는 장치로서, 왕복운동하는 이송실린더와 연동되어 원석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분쇄하는 티(Tooth: 이빨) 및 절단날이 본체 상, 하단에 결합된 상태로 이루어진 건설 작업장비이다.
브레이커(Breaker)는, 망치로 정을 타격하는 원리와 같이 유압의 작용에 따라 하방향으로 반복적인 충격력을 가하여 암반 또는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등을 파쇄하는 장치로서, 왕복운동하는 이송실린더와 연동되어 암반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타격하는 로드 즉, 치즐(chisel: 정)이 본체 내부로 결합된 상태로 이루어진 건설 작업장비이다.
그런데, 종래 대부분의 브레이커는 암석이 많은 지역에서의 작업시 암석의 브레이킹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굴삭기 아암에 독립적으로 장착되어 작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브레이킹은 용이하나 작업중 철근의 절단 또는 암석의 분쇄 작업 시에는 장착된 브레이커를 떼어낸 후 크라샤 등의 조우(Jaw)로 교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를 제안하고자 한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00849호(2002년 12월 31일)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75656호(2005년 02월 01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굴삭기의 아암 선단에 구비된 커넥팅 로드와 결합되어 암석 또는 콘크리트 덩어리 등을 가격하여 파쇄하는 유압 브레이커에 각종 건물 등의 해체(철거) 작업에서 필요로 하는 쉐어 또는 크라샤 또는 펄버라이져용 조우(Jaw)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설치하고, 하나의 유압 브레이커를 이용하여 건물 등의 해체(철거) 작업에서 필요로 하는 파쇄와 절단기능을 선택적으로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멀티 기능을 갖는 유압 브레이커로써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는, 왕복운동하는 브레이커용 유압 실린더와 연동되게 결합된 치즐을 통해 암반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타격하는 유압 브레이커와; 상기 유압 브레이커의 전면 중간부에 상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조우용 유압 실린더의 작동압력을 받아 상기 유압 브레이커의 전면을 향해 가위 형태로 회전되면서 철근 및 철재를 절단하는 조우(Jaw)와; 상기 유압 브레이커의 전면 상부와 상기 조우의 중간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조우를 구동시키는 조우용 유압 실린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우는 각각 내측에 복수의 이빨이 구비된 쉐어용 조우 또는 크라샤용 조우 또는 펄버라이져용 조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유압 브레이커는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 상부에는 조우용 유압 실린더의 상단부가 조립핀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게 하는 실린더 상부 조립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 상부 조립부재 하부의 상기 하우징 전면에는 조우의 상단부가 조립핀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게 하는 조우 조립부재가 설치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 상부 조립부재는 고정판의 양측에 날개를 일체로 절곡 형성한 것을 포함하며, 상기 양측 날개의 외면과 상기 고정판의 저단부 전면에는 밴딩응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 조립부재 보강판을 더 설치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우의 상부 양측에는 조우용 유압 실린더의 하단부가 조립핀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게 하는 실린더 하부 조립판을 더 설치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 하부 조립판의 외면에는 전단강도 보강판을 더 설치한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전면 하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철근 및 철재 절단을 위한 커터와, 암반 및 콘크리트 파쇄를 위한 파쇄용 플레이트를 더 설치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터와 상기 파쇄용 플레이트가 설치된 상기 하우징의 전면 하부에 내마모성 보강판을 더 설치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마모성 보강판의 상면 양측과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 사이에 복수의 내마모성 보강부재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더 설치한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내마모성 보강판의 전면에서 상기 커터와 상기 파쇄용 플레이트 사이에 압축 보강판을 더 설치한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서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밴딩응력 보강판을 더 설치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전면 저단부에 절단 대상물 걸림홈이 형성된 절단 대상물 이탈 방지부재를 더 설치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우용 유압 실린더의 상부에 상기 유압 브레이커의 브레이커용 유압 실린더와 상기 조우용 유압 실린더 중 어느 하나만 작동되게 제어하는 유압 콘트롤 밸브를 더 설치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압 콘트롤 밸브의 일측에서 조우 방향으로 물 분사용 노즐을 더 설치한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는 상기 유압 브레이커의 브레이커용 유압 실린더의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점검구를 설치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점검구의 외부에는 점검구 보강판을 더 설치한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에 의하면, 굴삭기의 아암 선단에 구비된 커넥팅 로드와 결합되어 암석 또는 콘크리트 덩어리 등을 가격하여 파쇄하는 유압 브레이커에 각종 건물 등의 해체(철거) 작업에서 필요로 하는 쉐어 또는 크라샤 또는 펄버라이져용 조우(Jaw)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설치하고, 하나의 유압 브레이커를 이용하여 건물 등의 해체(철거) 작업에서 필요로 하는 파쇄와 절단기능을 선택적으로 원활하고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해체에 따른 작업 능률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브레이커 자체의 고장율은 낮추고 그 수명은 대폭 연장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에 의하면, 고객의 구매 부담이 줄어들고, 어태치먼트를 교체할 필요가 없어서 작업성 및 생산성이 증가될 뿐 아니라, 휴대성도 1개의 어태치먼트만 가지고 다니기 때문에 편리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에 의하면, 각종 건물 등을 해체(철거)하는데 있어서, 파쇄 및 절단 동작은 물론 평탄작업(나라시)과 같은 일까지 하나로 실시할 수 있고, 또한 작업 포인트에 정확히 맞춰 물을 분사시켜 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공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의 조우가 열린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의 조우가 닫힌 상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의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포함하여 각 구성에 따른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의 조우가 열린 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의 조우가 닫힌 상태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유압 브레이커(10)와 조우(20) 및 조우용 유압 실린더(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는 하우징(40)과 실린더 상부 조립부재(50) 및 조우 조립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유압 브레이커(10)는 도 2에서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왕복운동하는 브레이커용 유압 실린더(11)와 연동되게 결합된 치즐(1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유압 브레이커(10)는 하우징(40) 내에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상기 유압 브레이커(10)는 상기 치즐(12)만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를 갖도록 후술하는 하우징(40)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굴삭기 운전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브레이커용 유압 실린더(11)가 작동되고, 상기 브레이커용 유압 실린더(11)의 하단부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치즐(12)이 상기 브레이커용 유압 실린더(11)의 작동에 대응하여 왕복운동하며 암반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 등을 타격하여 파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조우(20)는 각각 내측에 복수의 이빨(21)이 구비된 쉐어용 조우 또는 크라샤용 조우 또는 펄버라이져용 조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단부는 상기 유압 브레이커(10)의 전면 중간부 즉, 상기 유압 브레이커(10)가 내부에 구비된 상기 하우징(40)의 전면에 설치된 상기 조우 조립부재(60)에 상단부가 조립핀(61)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조우(20)는 후술하는 조우용 유압 실린더(30)의 작동압력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조우 조립부재(60)의 상기 조립핀(61)을 기점으로 회전(선회)되거나 또는 악력에 의해 가위처럼 오므라지다가(도 2 참조) 다시 벌어지는 작동(도 1 참조)을 반복하면서 상기 하우징(40)의 전면과 이빨(21)이 구비된 내면 사이에 존재하는 철근 및 철재 등을 절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조우용 유압 실린더(30)는 상기 유압 브레이커(10)의 전면 상부 즉, 상기 유압 브레이커(10)가 내부에 설치된 상기 하우징(40)의 전면 상부와 상기 조우(20)의 중간부 사이에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조우용 유압 실린더(30)는 굴삭기 운전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단부가 상기 조우(20)의 중간부에 힌지 결합된 실린더 로드가 본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왕복해서 출입하며, 상기 조우(20)에 회전력(또는 악력) 및 절단압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조우(20) 및 상기 조우용 유압 실린더(30)의 설치 개수는, 본 발명의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에 적용 또는 설치하고자 하는 조우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우(20)로 2개가 한 조를 이루는 구성의 쉐어용 조우 또는 크라샤용 조우일 경우는, 상기 조우용 유압 실린더(30)도 2개가 설치되고, 1개의 조우로 구성되는 펄버라이져용 조우일 경우는 상기 조우용 유압 실린더(30)는 1개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굴삭기를 이용하여 각종 건물 등에 대한 해체(철거)작업을 실시하는 작업자는 해체작업 중 현장 상황에 맞춰, 상기한 쉐어용 조우 또는 크라샤용 조우 또는 펄버라이져용 조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교체 설치하고, 또한 해당 조우의 종류 및 개수에 맞춰 상기 조우용 유압 실린더(30)의 개수를 결정하여 설치하면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40)의 전면 상부에는 상기 조우용 유압 실린더(30)의 상단부를 조립핀(51)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실린더 상부 조립부재(50)를 더 설치한 것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실린더 상부 조립부재(50)는 소정 면적 및 두께를 갖는 철판을 이용하여 소정 면적을 갖는 고정판(52)의 양측에 조립핀 통과공(도면 보호 기입 생략함)이 천공된 한 쌍의 날개(53)를 절단 및 밴딩공정을 통해 일체로 절곡 형성한 형태를 갖는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실린더 상부 조립부재(50)를 제작할 때, 소정 두께 및 면적을 갖는 철판을 이용하여 고정판(52)의 양측에 한 쌍의 날개(53)를 일체로 절곡 성형하는 밴딩과정에서 상기 고정판(52)과 상기 한 쌍의 날개(53) 사이 및 상기 고정판(52)의 저단부가 밴딩응력에 의해 약해지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 상부 조립부재(50)의 고정판(52) 양측에서 일체로 절곡 형성된 상기 양측 날개(53)의 외면과, 상기 고정판의 저단부 전면에는 각각 별도의 조립부재 보강판(54)을 더 설치하여, 상기 고정판(52)과 상기 한 쌍의 날개(53) 사이 및 상기 고정판(52)의 저단부가 밴딩응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린더 상부 조립부재(50) 하부의 상기 하우징(40) 전면에는 한 쌍의 조립핀 결합용 힌지편이 일체로 구비된 조우 조립부재(60)를 더 설치한 것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조우 조립부재(60)는, 상기 조우(20)의 상단부가 조립핀(61)을 통해 조우 조립부재(60)의 조립핀 결합용 힌지편(도면 부호 기입 생략함)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조우 조립부재(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 상부 조립부재(50)와 별개로 제작하여 상기 실린더 상부 조립부재(50)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40)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조우 조립부재(60)와 상기 실린더 상부 조립부재(50)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실린더 상부 조립부재(50)를 제작할 때, 상기 실린더 상부 조립부재(50)의 고정판(52) 저부에 상기 조우 조립부재(60)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이 두 조립부재를 일체로 성형할 경우 조립부재들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조립상 간편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우(20)의 상부 양측에 조립핀 통과공(도면 부호 기입 생략함)이 천공된 한 쌍의 실린더 하부 조립판(70)을 더 설치한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조우(20)의 상부 양측에 한 쌍의 실린더 하부 조립판(70)을 더 설치하게 되면, 상기 조우용 유압 실린더(30)의 하단부를 상기 조우(20)에 직접 결합하지 않고, 상기 한 쌍의 실린더 하부 조립판(7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조립핀(71)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실린더 하부 조립판(70)의 외면에 전단강도 보강판(72)을 더 설치한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실린더 하부 조립판(70)의 외면에 전단강도 보강판(72)을 더 설치하게 되면, 일정 두께를 갖는 철판으로 성형된 상기 실린더 하부 조립판(70)의 전단강도를 대폭 증대시켜 줄 수 있으므로 장기간 동안 상기 조우용 유압 실린더(30)가 상기 조우(20)를 회전 작동시키며 상기 조우(20)를 통해 철근 및 철재 등을 절단할 때 가해지는 강한 악력 및 전단력에 의해 상기 실린더 하부 조립판(70) 자체가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40)의 전면 하부에 상기 조우(20)의 절단 기능을 보조하는 절단용 보조부재(80, 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절단용 보조부재(80)에는 커터(81)와 파쇄용 플레이트(82)가 포함될 수 있다.
칼날 형상을 갖는 커터(81)와 삼각 판체 형상을 갖는 파쇄용 플레이트(82)는 상기 하우징(40)의 전면 하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정해진 거리를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터(81)는 철근 및 철재 등을 절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고, 상기 파쇄용 플레이트(82)는 암반 및 콘크리트 등을 파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하우징(40)의 전면 하부에 커터(81)와 파쇄용 플레이트(82)를 더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조우용 유압 실린더(30)를 통해 내측이 복수의 이빨(21)이 돌출 형성된 형태를 갖는 상기 조우(20)가 상기 하우징(40)의 전면 방향으로 강하게 회전(선회)되며 오므라지는 작동이 수행될 때, 철근 및 철재 등은 상기 조우(20)의 이빨(21)들과 상기 커터(81) 사이에서 구동되는 조우(20)의 회전력 또는 악력에 대응하여 원활히 절단되고, 암반 및 콘크리트 등은 상기 조우(20)의 이빨(21)들과 상기 파쇄용 플레이트(82) 사이에서 원활히 파쇄되므로 상기 조우(20)를 이용한 해체(철거) 대상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절단 및 파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커터(81) 및 상기 파쇄용 플레이트(82)가 설치된 상기 하우징(40)의 전면에 내마모성 보강판(83)을 더 설치한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40)의 전면에 내마모성 보강판(83)을 더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조우용 유압 실린더(30)를 통해 상기 조우(20)를 상기 하우징(40)의 전면 방향으로 강하게 오므렸다가 펼치는 동작을 반복할 경우, 상기 조우(20)의 내면과 상기 하우징(40)의 전면 사이에 위치되어 절단 및 파손되는 해체(철거) 대상물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40)의 전면부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상기 조우(20)의 내면과 상기 내마모성 보강판(83)의 외면 사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조우(20)의 내면을 포함한 이빨(21)들과 상기 커터(81) 및 상기 파쇄용 플레이트(82) 사이에서 절단 또는 파손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40)의 전면부에 대한 내마모성을 크게 증대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40)의 전면부 일부가 해체 대상물에 의해 마모되는 것 자체를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마모성 보강판(83)의 상면 양측과 상기 하우징(40)의 양측면 사이에 복수의 내마모성 보강부재(84)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더 설치한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내마모성 보강판(83)의 상면 양측과 상기 하우징(40)의 양측면 사이에 복수의 내마모성 보강부재(84)를 더 설치해 주게 되면, 상기 조우용 유압 실린더(30)를 통해 상기 조우(20)를 상기 하우징(40)의 전면 방향으로 강하게 오므렸다가 펼치는 동작을 반복할 경우, 상기 하우징(40)의 전면부의 마모를 방지하는 상기 내마모성 보강판(83)의 내마모성 향상기능과 더불어 상기 내마모성 보강판(83)이 상기 하우징(40)의 양측면에 대한 내마모성도 대폭 향상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우(20)의 내면과 상기 하우징(40)의 전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조우(20)와 상기 커터(81) 및 상기 파쇄용 플레이트(82) 사이에서 절단 및 파손되는 해체(철거) 대상물에 의해 상기 하우징(40)의 전면부는 물론 상기 하우징(40)의 양측면이 마모 또는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 자체를 보다 더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우징(40)의 전면 저단부에 절단 대상물 걸림홈(91)이 형성된 절단 대상물 이탈 방지부재(90)를 더 설치한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절단 대상물 이탈 방지부재(90)는 상기 조우(20)의 오무려지는 작동을 통해 절단 대상물인 철근 또는 각종 철재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상기 하우징(40)의 전면부와 상기 조우(20) 내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빠져나가는 일부 대상물이 상기 절단 대상물 이탈 방지부재(90)의 상기 절단 대상물 걸림홈(91)에 걸려지게 되므로 한 번의 절단 과정에서 보다 많은 량의 대상물을 절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따르면 상기 내마모성 보강판(83)의 전면에서 상기 커터(81)와 상기 파쇄용 플레이트(82) 사이에 압축 보강판(85)을 더 설치한 것을 포함한다.
통상 상기 조우용 유압 실린더(30)를 통해 조우(20)를 동작시켜 절단물 또는 파쇄물을 파쇄할 때, 상기 조우용 유압 실린더(30)에 압축응력이 발생되고, 이와 같이 발생된 응력은 상기 유압 브레이커(10)에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이 상기 내마모성 보강판(83)의 전면에 상기 압축 보강판(85)을 더 설치해 주게 되면, 상기 압축 보강판(85)이 응력전달을 최소화시켜 주게 되므로 구조물의 소성변형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조우(20)의 동작부위를 유압 브레이커(10) 부품중에 하나인 상기 하우징(40)의 전면 하방부에 상기 내마모성 보강판(83)과 함께 상기 압축 보강판(85)을 설치해 줌으로써 피스톤 시스템에 줄 수 있는 영향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도 3과 같이 상기 하우징(40)의 배면에서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밴딩응력 보강판(43)을 더 설치한 것을 포함한다.
통상 상기 유압 브레이커(10)는 작업 여건상적 불가피하게 돌틈에 상기 유압 브레이커(10)의 치즐(12)을 끼워 제껴서 동작을 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서 상기 유압 브레이커(10) 부품 중에 하나인 상기 브레이커용 유압 실린더(11)의 피스톤에 손상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되고, 또한 상기 조우용 유압 실린더(30)에 의해 상기 조우(20)를 동작시켜 절단물을 전단하거나 또는 파쇄물을 파쇄시 상기 유압 브레이커(10)에 밴딩응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이 하우징(40)의 배면에서 수직방향으로 2~4개의 밴딩응력 보강판(43)을 더 설치해 주게 되면, 상기 유압 브레이커(10)에 전달되는 밴딩응력을 상기 밴딩응력 보강판(43)이 최소화시켜 주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실린더 상부 조립부재(50)에 구비된 상기 조립부재 보강판(54)과 함께 상기 유압 브레이커 부품중에 하나인 상기 하우징(40)의 배면에도 복수의 밴딩응력 보강판(43)을 더 설치해 줌으로써 피스톤 시스템에 줄 수 있는 영향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3과 같이, 상기 조우용 유압 실린더(30)의 상부에 유압 콘트롤 밸브(32)를 설치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상 상기 유압 브레이커(10)의 브레이커용 유압 실린더(11)와 상기 조우용 유압 실린더(30)를 동시에 작동시키면 의도치 않은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우용 유압 실린더(30)의 상부에 상기 유압 브레이커(10)의 브레이커용 유압 실린더(11)와 상기 조우용 유압 실린더 중 어느 하나만 작동되게 제어하는 상기 유압 콘트롤 밸브(32)를 더 설치해 줌으로써 상기와 같은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도 3과 같이 상기 유압 콘트롤 밸브(32)의 일측에 물 공급용 호스 연결구(33)와 물 분사용 노즐(34)을 더 설치하되, 상기 물 분사용 노즐(34)은 상기 조우(20) 방향으로 설치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적용된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를 이용하여 각종 건물 등의 해체(철거) 작업을 실행할 때, 상기 물 공급용 호스 연결구(33)에 물 공급용 호스를 연결하고, 굴착기 조정자가 상기 물 분사용 노즐(34)을 통해 정확한 작업 포인트로 물을 분사시켜 주면서 해당 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불필요한 인건비의 발생은 물론 파편 등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기 하우징(40)의 양측면에 투명재질의 점검구(41)를 더 설치하여 줌으로써, 상기 하우징(40)의 외부에서 상기 하우징(4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유압 브레이커(10)의 브레이커용 유압 실린더(11) 작동 상태를 보다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점검구(41)의 외부에 투명재질의 점검구 보강판(42)을 더 설하 줌으로써, 본 발명이 적용된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를 이용하여 특정 건물 등에 대한 해체(철거) 작업을 수행하던 중 철거 대상물의 일부가 상기 점검구(41)에 직접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점검구(41) 자체가 상기 점검구 보강판(42)에 의해 2중 구조를 갖게 되므로 상기 점검구(41)의 수명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하우징(40)의 상부에는 굴삭기의 아암 선단에 구비된 커넥팅 로드와 결합되어 굴삭기 결합부재(100)를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40)의 전면 또는 측면 상방부에는 상기 유압 브레이커(10)의 브레이커용 유압 실린더(11)로 연결되는 유체 IN/OUT 포트(13)가 설치되며, 상기 조우용 유압 실린더(30)의 몸체 외부에는 체크밸브가 구비된 유체 IN/OUT 포트(3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압 브레이커(10)의 브레이커용 유압 실린더(11)로 연결되는 상기 유체 IN/OUT 포트(13)의 외부에는 도 3과 같이, 보호 커버(14)를 더 설치하여 유압호스 금구 및 피팅의 외부 노출로 인한 손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유압 브레이커
11 : 브레이커용 유압 실린더 12 : 치즐
13 : 유체 IN/OUT 포트 14 : 보호 커버
20 : 조우 21 : 이빨
30 : 조우용 유압 실린더
31 : 유체 IN/OUT 포트 32 : 유압 컨트롤 밸브
33 : 물 공급용 호스 연결구 34 : 물 분사용 노즐
40 : 하우징 41 : 점검구
42 : 점검구 보강판 43 : 밴딩응력 보강판
50 : 실린더 상부 조립부재
51 : 조립핀 52 : 고정판
53 : 날개 54 : 조립부재 보강판
60 : 조우 조립부재 61 : 조립핀
70 : 실린더 하부 조립판
71 : 조립핀 72 : 전단강도 보강판
81 : 커터 82 : 파쇄용 플레이트
83 : 내마모성 보강판 84 : 내마모성 보강부재
85 : 압축 보강판
90 : 절단 대상물 이탈 방지부재 92 : 절단 대상물 걸림홈
100 : 굴삭기 결합부재

Claims (12)

  1. 치즐(chisel)을 통해 대상 구조물을 타격하는 유압 브레이커와;
    상기 유압 브레이커의 전면에 상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해체 대상물을 절단하는 조우(Jaw); 및
    상기 유압 브레이커와 상기 조우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조우를 구동시키는 조우용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조우는,
    쉐어(Shear)용 조우, 크라샤(Crusher)용 조우 또는 펄버라이져(Pulverizer)용 조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압 브레이커는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 상부에는 실린더 상부 조립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 상부 조립부재 하부의 상기 하우징 전면에는 조우 조립부재가 설치된 것을 포함하는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상부 조립부재는 고정판의 양측에 날개를 일체로 절곡 형성한 것을 포함하며,
    상기 양측 날개의 외면과 상기 고정판의 저단부 전면에는 밴딩응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 조립부재 보강판을 더 설치한 것을 포함하는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우의 상부 양측에 실린더 하부 조립판이 더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 하부 조립판의 외면에 전단강도 보강판이 더 설치된 것을 포함하는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 하부에서 상,하방향으로는 해체 대상물의 절단을 위한 커터 또는 해체 대상물을 파쇄하기 위한 파쇄용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설치한 것을 포함하는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터 및 상기 파쇄용 플레이트가 설치된 상기 하우징의 전면 하부에 내마모성 보강판을 더 설치한 것을 포함하는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내마모성 보강판의 상면 양측과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 사이에 복수의 내마모성 보강부재를 더 설치한 것을 포함하는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서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밴딩응력 보강판을 더 설치한 것을 포함하는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 저단부에 절단 대상물 걸림홈이 형성된 절단 대상물 이탈 방지부재를 더 설치한 것을 포함하는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우용 유압 실린더의 상부에 브레이커용 유압 실린더와 상기 조우용 유압 실린더 중 어느 하나만 작동되게 제어하는 유압 콘트롤 밸브를 더 설치한 것을 포함하는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유압 콘트롤 밸브의 일측에서 조우 방향으로 물 분사용 노즐을 더 설치한 것을 포함하는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는 상기 유압 브레이커의 상기 브레이커용 유압 실린더의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점검구를 설치하고,
    상기 점검구의 외부에는 점검구 보강판을 더 설치한 것을 포함하는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
KR1020220107953A 2022-08-26 2022-08-26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 KR202400294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953A KR20240029460A (ko) 2022-08-26 2022-08-26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953A KR20240029460A (ko) 2022-08-26 2022-08-26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9460A true KR20240029460A (ko) 2024-03-05

Family

ID=90298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7953A KR20240029460A (ko) 2022-08-26 2022-08-26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946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9Y1 (ko) 2002-07-26 2003-01-17 김경철 브레이커겸용크라샤
KR200375656Y1 (ko) 2004-11-22 2005-03-11 김종만 브레이커 겸용 크라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9Y1 (ko) 2002-07-26 2003-01-17 김경철 브레이커겸용크라샤
KR200375656Y1 (ko) 2004-11-22 2005-03-11 김종만 브레이커 겸용 크라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3216A (en) Demolishing apparatus
KR101355629B1 (ko) 굴삭기용 진동리퍼
CN207660021U (zh) 一种挖掘机用破碎剪
US9127442B1 (en) Bucket, breaker, and gripping apparatus for an excavator boom stick
US6058632A (en) Tool holder with percussion member
KR20240029460A (ko)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
KR200396929Y1 (ko) 증속밸브를 갖는 굴삭기의 크러셔
KR20240031786A (ko) 멀티 기능의 회전형 데몰리션 브레이커
US20040148820A1 (en) Multi-shank ripper
JP6122481B1 (ja) 破砕機
JP2010133109A (ja) 破砕機及びこの破砕機を備えた建設機械
CN209798872U (zh) 一种岩石臂
KR20160067339A (ko) 버켓부가 구비된 굴삭기용 브레이커
KR200448631Y1 (ko) 굴삭기용 크러셔
KR101200359B1 (ko) 죠오의 교체가 가능한 어태치먼트
KR100855709B1 (ko) 리퍼 기능을 갖는 유압브레이커
JPH06240889A (ja) 切断機付き油圧ブレーカ
KR100252487B1 (ko) 구축물파쇄기및상기구축물파쇄기를이용한구축물해체공법
AU2012216738B2 (en) An excavating tool
CN220132992U (zh) 工程机械
KR102615136B1 (ko) 크라샤 겸용 버켓
KR200362701Y1 (ko) 토목 및 건설공사시 사용되는 파쇄장비의 마모방지보강구조
EP0823955B1 (en) Apparatus for performing work with a tool
KR20060041010A (ko) 브레이커 겸용 크라샤
KR200375656Y1 (ko) 브레이커 겸용 크라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