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631Y1 - 굴삭기용 크러셔 - Google Patents

굴삭기용 크러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631Y1
KR200448631Y1 KR2020080011185U KR20080011185U KR200448631Y1 KR 200448631 Y1 KR200448631 Y1 KR 200448631Y1 KR 2020080011185 U KR2020080011185 U KR 2020080011185U KR 20080011185 U KR20080011185 U KR 20080011185U KR 200448631 Y1 KR200448631 Y1 KR 2004486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erential
plate
pair
crusher
exca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11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2218U (ko
Inventor
박찬환
Original Assignee
박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환 filed Critical 박찬환
Priority to KR20200800111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631Y1/ko
Publication of KR201000022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2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6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6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5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metal-cutting or concrete-crush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02C1/10Shape or construction of j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굴삭기용 크러셔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한 쌍의 파쇄아암 선단 구조를 개선하여 골재 폐기물을 보다 잘게 파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굴삭기용 크러셔에 의하면; 한 쌍의 파쇄아암(50L)(50R)들 선단부(52) 내측에는 상호 대향되도록 제1,제2미분장치(80L)(80R)가 각각 착탈식으로 부착되되; 이 제1,제2미분장치(80L)(80R)가 파쇄아암(50L)(50R)의 선단부(52)에 배치되며 마운팅볼트(90)를 통해 파쇄아암(50L)(50R)의 선단부(52) 양측을 감싸도록 체결되는 한 쌍의 결합판(81)과; 파쇄아암(50L)(50R)의 선단부(52) 내측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판(81)의 선단부에 후면이 접합된 미분판(83)과; 이 미분판(83)의 앞면에 돌출되게 마련되어 골재 폐기물을 깨뜨리기 위한 미분돌기(84a)(84b)(84c)(84d)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굴삭기, 크러셔, 파쇄, 미분, 마운팅볼트, 착탈

Description

굴삭기용 크러셔{A CRUSHER FOR EXCAVATOR}
본 고안은 굴삭기용 크러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사 암석을 채굴하거나 건축물 등의 철거 작업 시 굴삭기의 붐대에 어태치먼트를 통해 착탈식으로 부착하여 사용하는 굴삭기용 크러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공사 현장 또는 토목공사 현장에서는 굴삭기와 같은 다양한 중장비가 사용되고 있는데, 공사현장의 암반 또는 기존의 콘크리트 구조물과 같은 장애물을 파쇄하거나 또는 빔 또는 철근 등의 자재를 끌어내거나 절단하는 작업을 위해서는 중장비의 하나인 굴삭기의 붐대에 어태치먼트(ATTACHMENT)를 통해 크러셔(CRUSHER)가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굴삭기용 크러셔는 굴삭기 유압시스템을 이용하여 작동시키는 것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삭기의 붐대(미도시) 선단에 어태치먼트(미도시)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벌크캡(1)과, 이 벌크캡(1)에 선회체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몸체(2)와, 이 몸체(2)의 하단 양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힌지축(3L)(3R)과, 이 한 쌍의 힌지축(3L)(3R)을 통해 중앙부위가 회전작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파쇄아암(4L)(4R)과, 양단이 한 쌍의 파 쇄아암(4L)(4R) 후단부위에 각각 축결합되어 한 쌍의 파쇄아암(4L)(4R) 선단부위를 가위처럼 벌리거나 오므릴 수 있는 유압실린더(5)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크러셔의 몸체(2)에는 유압실린더(5)와 굴삭기의 유압펌프(미도시)를 연결하기 위한 유압장치(미도시)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파쇄아암(4L)(4R) 선단에는 상호 대향하는 부위에 요철 형태의 파쇄이(4a)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유압펌프를 통해 유압실린더(5)에 유압이 가해짐에 따라 유압실린더(5)의 피스톤로드가 전진하며, 이로 인해 힌지축(3L)(3R)을 중심으로 한 쌍의 파쇄아암(4L)(4R) 선단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작업 대상물(골재 또는 콘트리트 구조물 등)을 물면서 파쇄할 수 있다. 파쇄아암(4L)(4R)들의 가위와 같은 동작은 유압실린더(5)에 유압이 가해지고 빠짐에 따라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굴삭기용 크러셔에서는 파쇄이(4a)들이 마련된 파쇄아암(4L)(4R)의 선단부에 작업 대상물이 물려져 파쇄되는데, 이로 인해 작업 대상물을 보다 잘게 부수는데 그 한계가 있다. 즉, 한 쌍의 파쇄아암(4L)(4R) 선단부에 마련된 파쇄이(4a)들이 상호 닿아 형성되는 공간 사이즈 이하로 작업 대상물을 잘게 파쇄하는데에는 그 한계가 있다. 또한, 폐기 골재를 아주 잘게 처리해야 하는 최근의 폐기물 처리규격에 만족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굴삭기용 크러셔는 골재 폐기물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 등을 파쇄하는 단순 작업만을 수행할 수 있어 이의 활용도가 극히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파쇄아암들의 선단 구조를 개선하여 골재 폐기물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 등을 잘게 파쇄하여 처리해야 하는 최근의 폐기물 처리규격에 만족하도록 골재 폐기물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 등을 보다 잘게 파쇄 처리할 수 있는 굴삭기용 크러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파쇄아암들의 선단 구조를 개선하여 폐기 골재등을 파쇄처리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공사 현장에서 형강 또는 철근 등을 물어서 끌어내는 집게 기능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굴삭기용 크러셔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굴삭기의 붐대에 장착되는 벌크캡과, 상기 벌크캡 선단에 선회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선단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힌지축과, 상기 한 쌍의 힌지축에 중앙부위가 각각 결합되어 이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선단부 내측으로는 요철 형태의 파쇄이가 상호 대향되게 마련된 한 쌍의 파쇄아암과, 한 쌍의 파쇄아암 후단부에 양측 단부가 각각 축결합되어 상기 파쇄아암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를 갖춘 굴삭기용 크러셔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파쇄아암들 선단부 내측에는 상호 대향되도록 제1,제2미분장치가 각각 착탈식으로 부착되되;
상기 제1,제2미분장치는 상기 파쇄아암의 선단부에 배치되며 마운팅볼트를 통해 상기 파쇄아암의 선단부 양측을 감싸도록 체결되는 한 쌍의 결합판과; 상기 파쇄아암의 선단부 내측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결합판의 선단부에 후면이 접합된 미분판과; 상기 미분판의 앞면에 돌출되게 마련되어 골재 폐기물을 깨뜨리기 위한 미분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1,제2미분장치가 상기 미분판 후면에 바닥이 접합되며 상기 결합판에 측면이 접합되어 상기 미분판과 결합판의 결합력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비드를 복수개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한 쌍의 결합판 사이틈에 상기 마운팅볼트 체결 시 상기 파쇄아암 선단부의 파쇄이 오목부에 당접하여 상기 미분판을 보강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미분돌기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미분판의 전면에서 돗트 형태로 복수개가 돌출되게 배치되되, 상기 제1미분장치의 미분판과 상기 제2미분장치의 미분판이 오므려질때 상기 미분돌기들이 상호 어긋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미분돌기가 상기 미분판의 전면에서 가로방향으로 돌출된 바(bar) 형태로 마련되되, 상기 제1미분장치의 미분판과 상기 제2미분장치의 미분판이 오므려질때 상기 미분돌기가 상호 어긋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굴삭기용 크러셔에 의하면; 파쇄아암들의 선단부에 부착된 제1,제2미분장치에 의해 골재 폐기물(작업 대상물) 등을 보다 잘게 파쇄하여 처리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제1,제2미분장치를 통해 골재 폐기물 등을 보다 잘게 파쇄처리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공사 현장에서 형강 또는 철근 등을 물어서 끌어내는 집게 기능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제2미분장치가 마운팅볼트를 통해 파쇄아암들의 선단에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되기 때문에, 작업 조건에 따라 굴삭기용 크러셔를 집게 기능 또는 미분화하는 기능 등과 같이 보다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가 적용된 굴삭기용 크러셔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1,제2미분장치의 결합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제1,제2미분장치를 발췌하여 보인 것이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굴삭기용 크러셔의 다른 사용 상태를 보인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굴삭기용 크러셔는 파쇄아암들의 선단부 구조를 개선하여 골재 폐기물 등을 잘게 파쇄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용 크러셔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삭기의 붐대에 장착되는 벌크캡(10)과, 이 벌크캡(10)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몸체(30)와, 이 몸체(30)의 선단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힌지축(40L)(40R)과, 한 쌍의 힌지축(40L)(40R)에 중앙부위가 각각 결합되어 이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파쇄아암(50L)(50R)과, 이 한 쌍의 파쇄아암(50L)(50R) 후단부(51)에 양측 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파쇄아암(50L)(50R)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60)와, 한 쌍의 파쇄아암(50L)(50R)들 선단부(52) 내측에 상호 대향되도록 부착되어 골재 폐기물 등을 미분하기 위한 제1,제2미분장치(80L)(80R)를 갖추고 있는데, 각 구성요소들의 상세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벌크캡(10)은 굴삭기의 붐대(미도시)에 어태치먼트(미도시)를 매개로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것이며, 몸체(30)는 크러서의 외형 바디를 이루며 벌크캡(10)의 선단에 선회축(2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유압메카니즘을 통해 벌크캡(10) 선단에 장착되는 몸체(30)를 다양한 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다.
한 쌍의 힌지축(40L)(40R)은 몸체(30)의 선단 양측에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나란하게 고정 설치되며, 여기에 파쇄아암(50L)(50R)들의 중심부위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한 쌍의 파쇄아암(50L)(50R)은 플레이트 타입의 강판을 통해 제작된 것으로, 한 쌍의 힌지축(40L)(40R)에 중앙부위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러한 한 쌍의 파쇄아암(50L)(50R)의 선단부(52)에는 내측으로 요철(凹凸) 형태의 파쇄이(53)가 상호 대향되게 마련되며, 중앙부위 내측에는 철근 등을 절단할 수 있도록 칼날(도면부호 미부여)이 상호 대향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유압실린더(60)는 몸체(30)의 중앙부위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며, 유압에 의해 진퇴운동하는 유압실린더(60) 양측 피스톤로드(61)(62) 단부는 각각 파쇄아암(50L)(50R)들의 후단부(51)에 축결합된다. 이러한 유압실린더(60)는 굴삭기의 유압펌프(미도시)에 연결되어 있어서, 양측 피스톤로드(61)(62)가 진퇴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유압실린더(60)에 유압이 전달되고 빠지는 것에 의해, 한 쌍의 파쇄아암(50L)(50R) 선단이 벌어지고 오므려지는 동작을 반복하여 골재 폐기물 등을 파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1,제2미분장치(80L)(80R)는 한 쌍의 파쇄아암(50L)(50R) 선단부(52) 내측에 상호 대향되도록 착탈식으로 부착하여 골재 폐기물 등을 보다 잘게 파쇄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쇄아암(50L)(50R)의 선단부(52)에 마운팅볼트(90)를 통해 체결되는 한 쌍의 결합판(81)과, 이 결합판(81)의 선단부에 파쇄아암(50L)(50R)의 선단부(52) 내측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접합된 미분판(83)과, 이 미분판(83)의 앞면에 돌출되게 마련된 미분돌기(84a)(84b)를 구비하고 있다.
결합판(81)들은 파쇄아암(50L)(50R)의 선단부(52)에 양측을 감싸도록 마운팅볼트(90)를 통해 체결되는 것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금속 플레이트를 통해 대략 반달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마운팅볼트(90) 체결을 위해 결합판(81)들과 파쇄아암(50L)(50R)의 선단부(52)에는 상호 일치되게 볼트홀(54)(82)이 천공되어 있다.
미분판(83)은 결합판(81)의 선단(직선단부)에 후면이 접합되어 파쇄아 암(50L)(50R)의 선단부(52) 내측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이것 역시 소정의 두께를 갖는 금속 플레이트를 통해 사각 형태로 제작된다. 또한, 미분판(83)과 결합판(81)의 결합력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비드(86)가 복수개 마련되어 있다. 이 보강비드(86)들 역시 금속 플레이트를 통해 제작된 것으로, 이의 바닥은 미분판(83) 후면에 용접 결합되고 이의 측면은 결합판(81)에 용접 결합된다.
또한, 한 쌍의 결합판(81) 사이에는 마운팅볼트(90)를 통해 결합판(81)을 파쇄아암(50L)(50R)의 선단부(52)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파쇄아암(50L)(50R) 선단부(52)의 파쇄이(53) 오목부에 당접하여 미분판(83)을 떠받쳐 지지하는 지지부재(85)가 마련된다. 즉, 지지부재(83)는 파쇄이(53) 오목부와 부합되도록 반원형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있어서, 마운팅볼트(90) 체결 시 파쇄아암(50L)(50R) 선단부(52)의 파쇄이(53) 오목부에 수용되어 요철 형태로 당접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 1실시 예에서 미분돌기(84a)(84b)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미분판(83)의 전면에서 돗트(dot) 형태의 돌출핀으로 복수개가 마련되어 있는데, 유압실린더(60)의 작동에 의해 제1미분장치(80L)의 미분판(83)과 이와 대응하는 제2미분장치(80R)의 미분판(83)이 오므려질 때 미분돌기(84a)(84b)들이 상호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것은 골재 폐기물을 더욱 강하게 압박하면서 보다 잘게 파쇄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제1,제2미분장치의 장착과정 및 이를 통한 골재 폐기물 파쇄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파쇄아암(50L)(50R)들을 양측으로 벌린 상태에서 이의 선단부(52)에 제1,제2미분장치(80L)(80R)의 결합판(81)들을 끼워 볼트홀(54)(82)을 상호 일치시킨다.
계속하여, 파쇄아암(50L)(50R)의 선단부에 결합판(81)의 볼트홀(54)(82)을 관통하도록 마운팅볼트(90)를 삽입한 후 볼트를 조이면, 결합판(81)들이 파쇄아암(50L)(50R)의 선단부(52) 양측을 감싸도록 고정되는 것은 물론이며 이들 사이에 마련된 지지부재(85)가 파쇄이(53) 오목부에 요철 형태로 당접하여 지지된다. 이와 같이, 마운팅볼트(90)를 통해 제1,제2미분장치(80L)(80R)를 장착하면 파쇄아암(50L)(50R)들의 선단부(52)에 상호 대향되게 위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1,제2미분장치(80L)(80R)가 장착된 크러셔를 굴삭기의 붐대에 설치하면, 골재 폐기물 등을 보다 잘게 파쇄할 수 있다.
즉, 유압실린더(60)에 유압을 가하고 빼는 동작에 의해 한 쌍의 파쇄아암(50L)(50R)이 가위와 같이 벌어지고 오므려지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골재 폐기물 등은 파쇄아암(50L)(50R)에 물려 파쇄되는데, 특히 제1,제2미분장치(80L)(80R)의 상호 어긋나게 돌출된 미분돌기(84a)(84b)들에 보다 잘게 파쇄된다.
한편,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서는 제1,제2미분장치(80L)(80R)의 미분돌기(84a)(84b)들을 돗트 형태로 구성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분돌기(84c)(84d)들을 육각 금속-바를 소정길이로 절단하여 접합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제1,제2미분장치(80L)(80R)를 보 인 것으로, 미분판(83)의 전면에서 미분돌기(84c)(84d)들을 가로방향으로 돌출된 바(bar) 형태로 마련하여도 본 고안의 소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제1미분장치(80L)의 미분판(83)에 마련되는 미분돌기(84c)와 제2미분장치(80R)의 미분판(83)에 마련되는 미분돌기(84d)를 상호 어긋나게 구성하면, 골재 폐기물을 보다 잘게 파쇄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공사 현장에서 철근 등을 물어서 끌어내는 집게 기능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마운팅볼트(90)를 통해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제1,제2미분장치(80L)(80R)를 탈거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굴삭기용 크러셔와 동일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굴삭기용 크러셔에 제1,제2미분장치(80L)(80R)를 착탈식으로 장착함으로써 작업 조건에 따라 굴삭기용 크러셔를 보다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굴삭기용 크러셔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가 적용된 굴삭기용 크러셔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1,제2미분장치의 결합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제1,제2미분장치의 결합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굴삭기용 크러셔의 다른 사용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벌크캡 20..선회축
30..몸체 40L,40R..힌지축
50L,50R..파쇄아암 60..유압실린더
61,62..피스톤로드 53..파쇄이
80L,80R..제1,제2미분장치 90..마운팅볼트

Claims (5)

  1. 굴삭기의 붐대에 장착되는 벌크캡(10)과, 상기 벌크캡(10) 선단에 선회축(2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몸체(30)와, 상기 몸체(30)의 선단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힌지축(40L)(40R)과, 상기 한 쌍의 힌지축(40L)(40R)에 중앙부위가 각각 결합되어 이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선단부(52) 내측으로는 요철 형태의 파쇄이(53)가 상호 대향되게 마련된 한 쌍의 파쇄아암(50L)(50R)과, 한 쌍의 파쇄아암(50L)(50R) 후단부(51)에 양측 단부가 각각 축(70)결합되어 상기 파쇄아암(50L)(50R)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60)를 갖춘 굴삭기용 크러셔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파쇄아암(50L)(50R)들 선단부(52) 내측에는 상호 대향되도록 제1,제2미분장치(80L)(80R)가 각각 착탈식으로 부착되되;
    상기 제1,제2미분장치(80L)(80R)는; 상기 파쇄아암(50L)(50R)의 선단부(52)에 배치되며 마운팅볼트(90)를 통해 상기 파쇄아암(50L)(50R)의 선단부(52) 양측을 감싸도록 체결되는 한 쌍의 결합판(81)과; 상기 파쇄아암(50L)(50R)의 선단부(52) 내측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결합판(81)의 선단부에 후면이 접합된 미분판(83)과; 상기 미분판(83)의 앞면에 돌출되게 마련되어 골재 폐기물을 깨뜨리기 위한 미분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크러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미분장치(80L)(80R)는;
    상기 미분판(83) 후면에 바닥이 접합되며 상기 결합판(81)에 측면이 접합되어 상기 미분판(83)과 결합판(81)의 결합력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비드(86)를 복수개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크러셔.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결합판(81) 사이틈에는 상기 마운팅볼트(90) 체결 시 상기 파쇄아암(50L)(50R) 선단부(52)의 파쇄이(53) 오목부에 당접하여 상기 미분판(83)을 보강 지지하는 지지부재(85)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크러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돌기(84a)(84b)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미분판(83)의 전면에서 돗트 형태로 복수개가 돌출되게 배치되되, 상기 제1미분장치(80L)의 미분판(83)과 상기 제2미분장치(80R)의 미분판(83)이 오므려질때 상기 미분돌기(84a)(84b)들이 상호 어긋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크러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돌기(84c)(84d)는 상기 미분판(83)의 전면에서 가로방향으로 돌출된 바(bar) 형태로 마련되되, 상기 제1미분장치(80L)의 미분판(83)과 상기 제2미분장치(80R)의 미분판(83)이 오므려질때 상기 미분돌기(84c)(84d)가 상호 어긋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크러셔.
KR2020080011185U 2008-08-22 2008-08-22 굴삭기용 크러셔 KR2004486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185U KR200448631Y1 (ko) 2008-08-22 2008-08-22 굴삭기용 크러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185U KR200448631Y1 (ko) 2008-08-22 2008-08-22 굴삭기용 크러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218U KR20100002218U (ko) 2010-03-04
KR200448631Y1 true KR200448631Y1 (ko) 2010-05-03

Family

ID=44197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1185U KR200448631Y1 (ko) 2008-08-22 2008-08-22 굴삭기용 크러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63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911B1 (ko) 2019-12-25 2020-05-29 한창희 죠 크러셔
KR20210087826A (ko) 2020-01-03 2021-07-13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건설장비용 죠오 어셈블리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262B1 (ko) * 2019-12-12 2020-02-21 (유) 태영건설산업 살수장치가 구비된 건물 철거용 중장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811Y1 (ko) 1997-12-31 2000-01-15 김종만 다용도 고정식 크라샤
KR200362684Y1 (ko) 2004-06-30 2004-09-22 김재식 유압 파쇄장치
KR20080050563A (ko) * 2005-06-29 2008-06-09 제너시스 어태치먼트, 엘엘씨 교체 가능한 조 조립체를 갖는 굴착기용 파쇄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811Y1 (ko) 1997-12-31 2000-01-15 김종만 다용도 고정식 크라샤
KR200362684Y1 (ko) 2004-06-30 2004-09-22 김재식 유압 파쇄장치
KR20080050563A (ko) * 2005-06-29 2008-06-09 제너시스 어태치먼트, 엘엘씨 교체 가능한 조 조립체를 갖는 굴착기용 파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911B1 (ko) 2019-12-25 2020-05-29 한창희 죠 크러셔
KR20210087826A (ko) 2020-01-03 2021-07-13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건설장비용 죠오 어셈블리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218U (ko)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82793B1 (en) Concrete crusher
US5183216A (en) Demolishing apparatus
JP6353619B1 (ja) 大型飛行機解体用剪断機及び大型飛行機解体用作業車
KR200448631Y1 (ko) 굴삭기용 크러셔
EP1896658B1 (en) Improved hammer mounting
EP2085170B1 (en) Crushing apparatus for demolition or similar works
US11559814B2 (en) Double acting demolition device and utility machine for demolishing structures
JP2010133109A (ja) 破砕機及びこの破砕機を備えた建設機械
JP2004143683A (ja) 構築物破砕機及び破砕刃
KR200300849Y1 (ko) 브레이커겸용크라샤
US20110262218A1 (en) Keyless coupling arrangement
KR100418864B1 (ko) 콘크리트구조물의 파쇄 및 철근 절단용 토건중장비 작업기
JP5723510B2 (ja) 切断機
KR200257227Y1 (ko) 유압식항타기가 장착된 크라샤
KR200445677Y1 (ko) 크래셔
JPH0327174Y2 (ko)
KR200428588Y1 (ko) 크러셔 커터
KR101940154B1 (ko) 도로 포장재 파쇄장치
KR200164811Y1 (ko) 다용도 고정식 크라샤
KR200366878Y1 (ko) 건설장비의 죠오 결합장치
JP3182688B2 (ja) 破砕機
KR20240029460A (ko) 멀티 기능의 데몰리션 브레이커
KR20090001992U (ko) 크래셔
JPH1157507A (ja) コンクリートクラッシャ
NZ543739A (en) Impact hammer for breaking, levering and raking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